KR101479088B1 - 인라인커넥터 - Google Patents

인라인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88B1
KR101479088B1 KR20120149282A KR20120149282A KR101479088B1 KR 101479088 B1 KR101479088 B1 KR 101479088B1 KR 20120149282 A KR20120149282 A KR 20120149282A KR 20120149282 A KR20120149282 A KR 20120149282A KR 101479088 B1 KR101479088 B1 KR 101479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wiring harness
slide groove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4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991A (ko
Inventor
민백기
권도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2014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구역에 삽입되는 복수의 커넥터와 커넥팅되고, 플로우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바디커넥터와, 상기복수의구역의제1 삽착부에 삽착되며,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1 프론트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2 삽착부에 삽착되며, 제2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2 프론트커넥터 및 상기 제1 프론트 커넥터의 상부와 커넥팅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의 상기 제3 삽착부에 삽착되며, 상부에 메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메인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삽착부는, 바닥면에서 상기 메인커넥터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커넥터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돌기부재 및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삽착부를 따라 슬라이드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인라인커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라인커넥터{INLINE CONNECTER}
본 발명은 인라인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에 마련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분할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와이어링 하네스를 분할 장착할 수 있는 인라인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고, 상기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이용한다. 또한, 현재 차량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편의 및 안전 시스템 사양이 증대되고 이와 관련된 회로 수 또한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은 한정된 공간으로 제한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각 부품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되는 공간 또한 제한되고 있다. 그 결과 고객 만족을 위한 시스템 적용에 대한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인라인커넥터를 장착하여 다양한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가 장착되는 멀티박스를 차량 내에 장착하여 다량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연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은 인라인커넥터의 연결구조가 복잡했으며, 멀티박스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했다. 따라서, 경차나 소형차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대신하여 회로가 접하는 공간마다 인라인커넥터를 장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의 위치에 따라 인라인커넥터를 장착하는 이점이 있으나, 각각의 인라인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인라인커넥터가 과다로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커넥터를 차량에 장착하는 인라인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를 마련하여 다수의 커넥터를 차량에 장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상기의 방식으로 다수의 커넥터를 장착하게 되면 인라인커넥터 프로텍터를 별도로 개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협소한 공간에도 장착되어 다수의 커넥터를 장착하여 작업성 및 수익성이 증가한 인라인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도 차량에 직접 장착 가능한 인라인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조가 간단해지는 인라인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인라인커넥터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구역에 삽입되는 복수의 커넥터와 커넥팅되고, 플로우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바디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1 삽착부에 삽착되며,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1 프론트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2 삽착부에 삽착되며, 제2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2 프론트커넥터 및 상기 제1 프론트 커넥터의 상부와 커넥팅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3 삽착부에 삽착되며, 상부에 메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메인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삽착부는, 바닥면에서 상기 메인커넥터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커넥터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돌기부재 및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삽착부를 따라 상기 메인커넥터가 슬라이드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장착되어 다수의 커넥터를 장착하여 작업성 및 수익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도 차량에 직접 장착 가능할 뿐 아니라, 연결구조가 간단해지는 인라인커넥터가 제공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다수의 커넥터가 장착된 바디커넥터에도 와이어링 하네스를 장착하여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수의 커넥터를 장착함에 따라 다수의 커넥터를 일체화함으로써, 인라인커넥터가 축소되어 차량의 한정된 공간 내에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커넥터가 장착된 바디커넥터에도 와이어링 하네스를 장착하여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수의 커넥터를 차량 내에 장착함으로써, 커넥터 장착 작업의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도한 인라인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수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객의 요구에 따른 증가된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하여 신뢰성 및 수익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바디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 프론트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메인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디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 프론트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메인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커넥터(100)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구역에 삽입되는 복수의 커넥터와 커넥팅되고, 플로우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바디커넥터(120)와,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1 삽착부(123)에 삽착되며,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와,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2 삽착부(125)에 삽착되며, 제2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2 프론트커넥터(160) 및 상기 제1 프론트커넥터(140)의 상부와 커넥팅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3 삽착부(127)에 삽착되며, 상부에 메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메인커넥터(18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커넥터(100)는 바디커넥터(120)를 기반으로 하여 제1 및 제2 프론트커넥터(140, 160)와 메인커넥터(180)가 상기 바디커넥터(120)에 삽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커넥터(120)은 복수의 커넥터가 삽착됨과 동시에 플로우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어 차량 내의 각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커넥터를 연결하는 인라인커넥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그 결과, 인라인커넥터(100)의 크기가 축소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경차나 소형차 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바디커넥터(120)는 플로우커넥터라고 할 수 있으며, 차량 내의 플로우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바로 연결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커넥터(120)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가 삽착되는 제1 삽착부(123)와, 제2 프론트커넥터(160)의 저면과 면접하도록 삽착되는 제2 삽착부(125)와, 상기 바디커넥터(120) 상에 메인커넥터(180)의 메인커넥터(180) 저면과 면접하도록 삽착되는 제3 삽착부(127)를 구비한다.
즉, 바디커넥터(120)는 3개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론트커넥터(140)는 제1 삽착부(123)에 삽착되는데, 특히 제1 프론트커넥터(140)의 저면이 차량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제1 삽착부(123)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가 장착되는 구역에 홀(H)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와는 달리, 프론트커넥터(140)의 저면이 면접하는 바닥면(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프론트커넥터(160)와 메인커넥터(180)는 바디커넥터(120)의 제2 및 제3 삽착부(125, 127)에 삽착되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삽착부(125)와 제3 삽착부(127)는 바닥면(f)이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착부(123)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의 걸림턱(142)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단(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122)은 걸림턱(142)이 안착단(122)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 삽착부(123)의 측벽 일부가 홀(H)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삽착부(123)에 장착되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는 장착몸체(143)와 고정몸체(145)로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3을 살펴보면, 장착몸체(143)는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4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삽착부(123)의 안착단(122)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프론트커넥터(140)가 제1 삽착부(123)에 장착된 후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삽착부(123)의 측벽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42)은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가 제1 삽착부(123)에 삽착된 후 바디커넥터(120)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상기 걸림턱(142)은 외부로 노출된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를 가이드하는 영역이다. 걸림턱(142)에 의하여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를 바디커넥터(120)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142)은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145) 상에는 메인커넥터(180)가 삽착될 수 있으며, 메인커넥터(180) 저면과 면접하되 메인커넥터(180)의 삽착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슬라이드홈(128)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커넥터(180)는 고정몸체(145)에 삽착될 때, 삽착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왜냐하면, 각 커넥터는 정확한 위치에 삽착되어야 각 커넥터에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통해 전류가 정확하게 흐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몸체(145)에 제3 슬라이드홈(144)이 형성되어 메인커넥터(180)가 고정몸체(145)에 삽착될 때 정확한 위치에 삽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3 슬라이드홈(144)은 고정몸체(145) 내부의 일 측면 슬라이드홈 형상으로 형성하고, 메인커넥터(180)에는 슬라이드홈에 장착되는 슬라이드부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몸체(145) 내부 일 측면에 바코드를 마련하고, 메인커넥터(180)에는 상기 바코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마련하여 바코드와 센서가 맞물리면 소리가 발생하는 방식으로 메인커넥터(180)의 삽착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고정몸체(145)와 메인커넥터(180)가 정확한 위치에 삽착되기 위한 부재의 형상, 방식 등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고정몸체(145)의 외측벽에는 슬라이드부재(14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47)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가 제1 삽착부(123)에 삽착될 때 보다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부재(147)가 걸림턱(142)과 대향되는 외측벽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삽착부(123) 내측면에는 슬라이드부재(147)와 대향되어 슬라이드부재(147)의 슬라이드 결합을 안내하는 슬라이드걸림홈(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론트커넥터(160)와 인접한 고정몸체(145)의 외측면에는 제2 프론트커넥터(160)가 슬라이드 장착될 수 있도록 제4 슬라이드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슬라이드홈(146)은 제1 및 제2 프론트커넥터(140, 160)의 장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본 발명에서는 고정몸체(145)에 제4 슬라이드홈(146)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와 반대로 제2 프론트커넥터(160)에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고정몸체(145)에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제1 및 제2 프론트커넥터(140, 160)를 장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고정몸체(145)의 바닥면에는 제2 돌기부재(148)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2 돌기부재(148)는 후술할 메인커넥터(180)가 고정몸체(145) 상에 안착될 때, 고정몸체(145)와 메인커넥터(18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며, 상기 메인커넥터(180)에는 상기 제2 돌기부재(148)가 장착될 수 있는 돌기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착부(125)는 제2 프론트커넥터(160)의 측면과 면접하되 제2 프론트커넥터(160)의 삽착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슬라이드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커넥터는 정확한 위치에 삽착되어야 와이어링 하네스를 통해 전류가 정확하게 흘러 차량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삽착부(125)에 제2 프론트커넥터(160)의 오 삽입을 방지하는 슬라이드홈과 같은 키코드를 적용하게 된다. 상기 키코드는 제1 슬라이드홈(124) 이외에도 제2 프론트커넥터(160)와 제2 삽착부(125)로의 삽착 방향을 안내하도록 제2 프론트커넥터(160)의 일 측면에 바코드를 형성하고, 제2 삽착부(125) 내면에는 상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센서를 장착하는 방식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착부(125)에 삽착되는 제2 프론트커넥터(160)는, 제1 슬라이드홈(124)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가이드부재(162)와 상기 제4 슬라이드홈(146)을 따라 슬라이드 장착되는 장착돌기(16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삽착부(127)는 제1 돌기부재(126)와 제2 슬라이드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부재(126)는 바닥면에서 후술할 메인커넥터(180)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바디커넥터(120)에 안착된 메인커넥터(180)의 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메인커넥터(180)가 제3 삽착부(127)에 삽착될 때, 메인커넥터(18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커넥터(18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슬라이드홈(128)은 제3 삽착부(127)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메인커넥터(180)가 제3 삽착부(127)에 삽착될 때 오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용이하게 제3 삽착부(127)에 메인커넥터(180)가 삽착될 수 있도록 한다.
메인커넥터(180) 측면에 제2 슬라이드홈(128)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돌기(182)와, 제1 프론트커넥터(140)의 고정몸체(145) 내에 마련된 제3 슬라이드홈(144)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돌기(184) 및 메인커넥터(180) 저면에 형성되어 제1 돌기부재(126)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188)을 구비한다.
여기서, 메인커넥터(180)는 레버(lever)(미도시)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커넥터(180)를 레버를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함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메인커넥터(180)를 바디커넥터(120)에 장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삽착부(127)의 바닥면에는 메인커넥터(180) 저면에 장착되어 제3 삽착부(127)와 메인커넥터(180)의 삽착 안정력을 증대시키는 제1 돌기부재(126)가 형성된다. 메인커넥터(180)에는 상기 제1 돌기부재(126)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188)이 형성되어 메인커넥터(180)가 제3 삽착부(127)에 안착될 때, 제3 삽착부(127)와 메인커넥터(18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메인커넥터(180) 저면에는 제1 프론트커넥터(140)에 형성된 제2 돌기부재(148)가 장착되는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커넥터(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제1 프론트커넥터(140) 상면과 커넥팅되는 제1 메인커넥터와, 제3 삽착부(127)에 삽착되는 제2 메인커넥터로 구성되어 별도의 메인커넥터가 2개로 이루어져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메인커넥터(180)가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는 서로 분리,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는 서로 동일한 규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커넥터(180)의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를 동일한 규격,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제1 및 제2 메인커넥터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메인커넥터(18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차량 내에 장착된 인라인커넥터(100)는 다수의 와이어링 하네스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디커넥터(120)에는 차량 후방을 연결하는 플로우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커넥터(180)의 상부에는 장착구(186)를 통해 차량 전방을 연결하는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프론트커넥터(140, 160) 또한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을 연결하는 메인측 와이어링 하네스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커넥터가 삽착된 인라인커넥터(100)의 바디를 플로우커넥터 기능이 구비된 바디커넥터(120)로 형성함으로써, 인라인커넥터(100)를 형성하는 별도의 바디를 마련하지 않고, 인라인커넥터(100)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인라인커넥터(100)와 와이어링 하네스를 연결하게 되어 소형차, 경차와 같은 공간이 협소한 차량에도 인라인커넥터(100)를 장착하여 차량에 다양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커넥터를 삽착하는 과정에서 각 커넥터의 위치, 삽착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코트를 적용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각 커넥터가 삽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삽착이 완료된 인라인커넥터(100)의 신뢰성이 증대되어 장치 품질의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각 커넥터가 삽착하는 바디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라인커넥터(100)를 공정하는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인라인커넥터(100)의 무분별한 사용을 방지하여 과다한 장치 사용을 줄이고, 인라인커넥터(100)를 집약적으로 구성하여 인라인커넥터(100)의 연결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50: 와이어링 하네스 100: 인라인커넥터
120: 바디 122: 안착단
123: 제1 삽착부 124: 제1 슬라이드홈
125: 제2 삽착부 126: 제1 돌기부재
127: 제3 삽착부 128: 제2 슬라이드홈
140: 제1 프론트커넥터 141: 해제방지턱
142: 걸림턱 143: 장착몸체
144: 제3 슬라이드홈 145: 고정몸체
146: 제4 슬라이드홈 147: 슬라이드부재
148: 제2 돌기부재 160: 제2 프론트커넥터
162: 가이드부재 164: 장착돌기
180: 메인커넥터 186: 장착구
188: 장착홈

Claims (7)

  1.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구역에 삽입되는 복수의 커넥터와 커넥팅되고, 플로우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바디커넥터;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1 삽착부에 삽착되며,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1 프론트커넥터;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2 삽착부에 삽착되며, 제2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제2 프론트커넥터; 및
    상기 제1 프론트 커넥터의 상부와 커넥팅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3 삽착부에 삽착되며, 상부에 메인측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되는 메인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삽착부는,
    바닥면에서 상기 메인커넥터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커넥터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돌기부재; 및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삽착부를 따라 상기 메인커넥터가 슬라이드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착부는 상기 제2 프론트커넥터의 측면과 면접하되, 상기 제2 프론트커넥터의 장착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커넥터.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커넥터는,
    상기 바디커넥터 외측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디커넥터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1 프론트측 와이어링 하네스를 안내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장착몸체; 및
    상기 메인커넥터의 저면과 면접하되, 상기 메인커넥터의 장착 방향을 안내하는 제3 슬라이드홈 및 상기 제2 프론트커넥터와 인접한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론트커넥터가 슬라이드 장착되도록 안내하는 제4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고정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바닥면에 형성되며, 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에 안착된 상기 메인커넥터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돌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커넥터.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론트커넥터는,
    상기 제4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장착되는 장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커넥터.
  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청구항 5 및 청구항 6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넥터는,
    상기 제2 슬라이드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돌기;
    상기 제3 슬라이드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 슬라이드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부재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커넥터.
KR20120149282A 2012-12-20 2012-12-20 인라인커넥터 KR101479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9282A KR101479088B1 (ko) 2012-12-20 2012-12-20 인라인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9282A KR101479088B1 (ko) 2012-12-20 2012-12-20 인라인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91A KR20140079991A (ko) 2014-06-30
KR101479088B1 true KR101479088B1 (ko) 2015-01-07

Family

ID=5113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9282A KR101479088B1 (ko) 2012-12-20 2012-12-20 인라인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34B1 (ko) * 2015-02-02 2016-07-21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멀티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594A (ko) * 2008-06-16 2009-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박스
KR101091660B1 (ko) * 2010-09-30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콤비네이션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594A (ko) * 2008-06-16 2009-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박스
KR101091660B1 (ko) * 2010-09-30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콤비네이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91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82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07196088B (zh) 连接器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US897423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relay module
US9583869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5754380B2 (ja) コネクタの電線保護部材
KR101637721B1 (ko)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TWI505585B (zh) Usb插座
KR102353873B1 (ko)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KR20130100367A (ko) 커넥터
JP202001373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6244969A (ja) 自動調芯用コネクタ
US7717746B2 (en) Bulb socket structure for onboard interior lighting system
KR101479088B1 (ko) 인라인커넥터
CN109792117B (zh) 连接器
JP2009268291A (ja) 端子付回路ケース
EP2015408A2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KR100993105B1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JP4678326B2 (ja) ユニット接続装置
JP5805313B2 (ja) 保護されたダイレクトコンタクトを備えたダイレクトプラグエレメント
CN112740486B (zh) 连接器及基板单元
JP6371604B2 (ja) コネクタ
JP6219123B2 (ja) アウター付きメス端子
KR101356257B1 (ko) 커넥터 및 조명 장치
KR20110109135A (ko) 암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