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715Y1 -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715Y1
KR200413715Y1 KR2020060002795U KR20060002795U KR200413715Y1 KR 200413715 Y1 KR200413715 Y1 KR 200413715Y1 KR 2020060002795 U KR2020060002795 U KR 2020060002795U KR 20060002795 U KR20060002795 U KR 20060002795U KR 200413715 Y1 KR200413715 Y1 KR 200413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igh voltage
ground bracket
ground
voltag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호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2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Abstract

본 고안은 차체 내부에 다수 가닥 배열되는 고전압 케이블 각각을 접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접지브라켓 각각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시 접지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 케이블, 접지브라켓

Description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structure of fixing a ground-bracket in a high-voltage cable}
도 1은 종래 고전압 케이블을 고정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을 고정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전압 케이블 13: 몰딩패킹
15: 접지브라켓 14: 끼움홈
16: 설치홀 22: 플레이트
23: 안착구 24: 설치돌기
27: 볼트 30: 안착홈
본 고안은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내부에 다수 가닥 배열되는 고전압 케이블 각각을 접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접지브라켓 각각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시 접지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카는 대략 20,000V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바, 고전압 케이블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전압 케이블(1)은 끝단에 압착단자(12)를 심선(도시하지 않음)과 연결하고, 압착단자(12)와 심선의 연결부위를 몰딩패킹(13)으로 밀봉한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10)은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브라켓(15)을 구비하여 차체에 접지(ground)시킨다.
또한, 상기 접지브라켓(15)은 설치홀(16)을 통공하고, 이 설치홀(16)에 볼트(27)가 삽입되어 차체패널(28)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패킹(13)은 판 형상의 플레이트(22)를 삽입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22)는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 개의 안착구(23)를 반원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안착구(23)에는 몰딩패킹(13)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2) 상에는 안착구(23)의 개수만큼 설치돌기(24)를 돌출 형성한다.
특히, 상기 설치돌기(24)는 각각의 안착구(23)에 대해 동일 방향을 향하는 직선 상에 해당하는 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돌기(24)는 접지브라켓(15)의 설치홀(16)에 끼워진다.
그래서, 상기 접지브라켓(15) 각각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돌기(24)는 플레이트(22)의 양측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지브라켓(15)이 외력에 의해 흔들릴 경우 설치돌기(24)를 파손시킬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플레이트(22)는 일측면에서 접지브라켓(15) 각각의 양측면에 동시에 접하도록 서포트돌기(26)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접지브라켓(15)은 서포트돌기(26)에 의해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설치돌기(24)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가 몰딩패킹(13)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몰딩패킹(13)은 둘레면에 끼움홈(14)을 함몰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 접지브라켓 고정용 플레이트는 서포트돌기로서 접지브라켓의 양측을 지지하는 구조이나, 접지브라켓이 장기간 흔들림으로 인해 서포트돌기가 파손되며, 결과적으로 접지브라켓의 방향이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차체 내부에서 다수 개 배열되는 고전압 케이블 각각에 구비되어 차체에 접지되도록 체결되는 접지브라켓을 모두 동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플레이트에 설치 시 플레이트에 안착홈을 함몰하여 접지브라켓을 안착함에 따라 접지브라켓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접지브라켓의 흔들림 방지 및 접지브라켓의 흔들림시 충격력을 분산시켜 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레이트는 동일 방향성을 갖는 안착홈을 함몰 형성하여 각각의 접지브라켓을 안착함으로써 접지브라켓의 둘레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접지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 고정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을 고정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10)은 끝단에 압착단자(12)를 심선(도시하지 않음)과 연결하고, 압착단자(12)와 심선의 연결부위를 몰딩패킹(13)으로 밀봉한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10)은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브라켓 (15)을 구비하여 차체에 접지(ground)시킨다.
이때, 상기 접지브라켓(15)은 몰딩패킹(13)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브라켓(15)은 설치홀(16)을 통공하고, 이 설치홀(16)에 볼트(27)가 삽입되어 차체패널(28)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패킹(13)은 판 형상의 플레이트(22)를 삽입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22)는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 개의 안착구(23)를 반원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안착구(23)에는 몰딩패킹(13)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접지브라켓(15)과 플레이트(22)는 면접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2) 상에는 안착구(23)의 개수만큼 설치돌기(24)를 돌출 형성한다.
특히, 상기 설치돌기(24)는 각각의 안착구(23)에 대해 동일 방향을 향하는 직선 상에 해당하는 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돌기(24)는 접지브라켓(15)의 설치홀(16)에 끼워진다.
그래서, 상기 접지브라켓(15) 각각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돌기(24)는 플레이트(22)의 양측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설치돌기(24)에는 볼트(27)가 삽입되어 차체패널(28)과 결합됨으로써 접지브라켓(15)과 플레이트(22)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접지브라켓(15)을 차체패널(28)에 접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지브라켓(15)이 외력에 의해 흔들릴 경우 설치돌기(24)를 파손 시킬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플레이트(22)는 접지브라켓(15)의 설치 방향을 따라 접지브라켓(15)과 동일 형상으로 안착홈(30)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30)은 각각 접지브라켓(15)을 수용함으로써 접지브라켓(15)의 둘레면은 안착홈(30)의 내측면 둘레와 연속적으로 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접지브라켓(15)은 안착홈(30) 둘레면 전체에 걸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게 되고, 상기 접지브라켓(15)이 흔들릴 경우 안착홈(30) 둘레면 전체에 걸쳐 충격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플레이트(22)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가 몰딩패킹(13)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몰딩패킹(13)은 둘레면에 끼움홈(14)을 함몰 형성한다.
상기 끼움홈(14)은 안착구(23)의 둘레에 해당하는 플레이트(22)를 끼움에 따라 플레이트(22)를 위치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에 의하면, 다수 가닥 배열되는 고전압 케이블 각각에 구비되어 접지하기 위한 접지브라켓을 플레이트의 안착홈 각각에 안착됨으로써 견고하게 접지브라켓을 고정함과 아울러 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두 가닥 이상의 고전압 케이블 각각에 끼워지며 설치홀을 구비한 접지브라켓과 내·외측으로 연통되는 설치돌기를 돌출한 플레이트를 서로 볼트로 결합함으로써 고전압 케이블을 고정 설치하는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동일 방향성을 갖는 안착홈을 함몰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접지브라켓을 안착함으로써 상기 접지브라켓의 둘레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접지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돌기는 상기 안착홈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브라켓을 상기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접지브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20060002795U 2006-01-31 2006-01-31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0413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795U KR200413715Y1 (ko) 2006-01-31 2006-01-31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795U KR200413715Y1 (ko) 2006-01-31 2006-01-31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715Y1 true KR200413715Y1 (ko) 2006-04-12

Family

ID=4176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795U KR200413715Y1 (ko) 2006-01-31 2006-01-31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7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964B1 (ko) 2003-12-02 2010-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엘보우 조인트 고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964B1 (ko) 2003-12-02 2010-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엘보우 조인트 고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852B2 (en) Conductive plate and joint connector
KR20038081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US20120132465A1 (en) Wire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US20090057005A1 (en) Cable Conduit and Method of Mounting a Cable Relative to a Wall Opening
CN102130316A (zh) 端子台及其组装方法
CN105552798A (zh) 护线管
JP200426880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策構造
US9694763B2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JP2015509651A (ja) 保護導体ブリッジ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0413715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US91303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700048B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JP2003118506A5 (ja) 車体内の電気接続構造
KR200430826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 고정구조
WO2016117366A1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101412322B1 (ko) 커넥터
JP2004192991A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591374B2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100622778B1 (ko) 차량의 와이어하네스용 프로텍터
JP5553001B2 (ja) 導電路
KR20170089566A (ko)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200477645Y1 (ko) 접지용 단자
KR200473364Y1 (ko) 그로멧
KR100376848B1 (ko)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