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45Y1 - 접지용 단자 - Google Patents

접지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45Y1
KR200477645Y1 KR2020130008519U KR20130008519U KR200477645Y1 KR 200477645 Y1 KR200477645 Y1 KR 200477645Y1 KR 2020130008519 U KR2020130008519 U KR 2020130008519U KR 20130008519 U KR20130008519 U KR 20130008519U KR 200477645 Y1 KR200477645 Y1 KR 200477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terminal
fixing
terminal
ground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577U (ko
Inventor
이정희
김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30008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4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1Earthing arrangements, e.g. earthing rods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볼트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볼트체결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1 바렐부를 포함하는 제1 접지용 단자와, 상기 제1 접지용 단자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볼트체결홀과 대향되는 제2 볼트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볼트체결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2 바렐부를 포함하는 제2 접지용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용 단자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2 접지용 단자가 안착되는 방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2 접지용 단자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장착되도록 상기 제2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접지용 단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지용 단자{A terminal for earthing}
본 고안은 접지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다수개의 접지단자가 결합 가능한 접지용 단자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목적의 전기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주요장치는 운전자나 정비사 등을 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접지해야 한다.
특히 차량의 엔지룸에는 다수의 어스(earth)가 설치된다. 상기 어스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단독어스와 다수개의 바렐부를 구비하여 다수의 접지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는 멀티어스가 있다.
즉, 도 1를 참고하면, 종래의 멀티어스(10)는 볼트(미도시)가 끼워지는 중앙홀을 포함하는 몸체(12)가 있고, 몸체(12)의 일측에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부(11)를 가진다.
상기 삽입고정부(11)의 반대측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와이어가 압착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바렐부(13)를 가진다.
이와 같은 멀티어스(10)는, 멀티어스(10)의 바렐부(13)에 와이어를 각각 압착하여 고정하고, 멀티어스(10)의 중앙홀을 차체 패널의 나사공과 일치하도록 볼트를 체결하여 멀티어스(10)를 차체 패널에 고정한다. 그리고, 각 와이어를 메인 와이어에 연결하여 바렐부(13)의 개수만큼 멀티 접지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멀티어스(10)는, 바렐부(13)가 하나의 몸체(12)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바렐부(13)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들이 구부려진 상태로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므로 와이어에 외측으로 벌려지려고 하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렐부(13)에 테이핑을 하여 바렐부(13)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멀티어스(10)를 제작하는 작업 공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테이핑에 필요한 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멀티어스(10)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멀티어스(10)는 평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굴곡이 있는 좌면에 멀티어스(10)를 사용할 경우 차체 패널과 간섭이 발생하여 멀티어스(10)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 적층 조립이 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 있도록 접지가 가능한 접지용 단자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접지용 단자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볼트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볼트체결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1 바렐부를 포함하는 제1 접지용 단자와, 상기 제1 접지용 단자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볼트체결홀과 대향되는 제2 볼트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볼트체결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2 바렐부를 포함하는 제2 접지용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용 단자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2 접지용 단자가 안착되는 방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2 접지용 단자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장착되도록 상기 제2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제1 접지용 단자의 제1 고정부에 제2 접지용 단자의 제2 고정부를 장착하며 제1 접지용 단자 상에 제2 접지용 단자를 적층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수의 접지용 단자를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접지용 단자의 제2 몸체부와 제2 바렐부 사이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들의 바렐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지용 단자의 제2 고정부가 제1 접지용 단자의 제1 고정부의 장착홈에 장착되면서 제1 고정부의 최상단을 제2 고정부가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지용 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사용이나 공정 없이 접지용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지용 단자의 일 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돌기가 제1 고정부의 삽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일정한 형상의 복수의 접지용 단자를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접지용 단자가 적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제3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1 실시예의 접지용 단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2 실시예에 따른 접지용 단자가 적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제2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접지용 단자가 적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제3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접지용 단자(100)는 고정을 위한 볼트(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볼트체결홀(121)이 중앙에 형성된 제1 몸체부(122)와, 제1 몸체부(122)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W)이 체결되는 제1 바렐부(123)를 포함하는 제1 접지용 단자(120)와,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안착되고, 제1 볼트체결홀(121)과 대향되는 제2 볼트체결홀(141)이 중앙에 형성된 제2 몸체부(142)와, 제2 몸체부(142)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W)이 체결되는 제2 바렐부(143)를 포함하는 제2 접지용 단자(14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접지용 단자(120)는 제1 몸체부(122)의 측면에서 제2 접지용 단자(140)가 안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125)를 포함하고, 제2 접지용 단자(140)는 제2 몸체부(142)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제1 고정부(125)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지용 단자(120)는 제1 몸체부(122)의 전방에 배치되고, 차체 패널(미도시)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12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29)는 차체 패널에 삽입되어 접지용 단자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1 고정부(125)는 예를 들어 제1 몸체부(122)의 좌, 우 측면에 형성되며, 이하 본 고안에서는 제1 고정부(125)가 제1 몸체부(122)의 좌, 우 측면에 형성된 예를 들지만, 제1 고정부(125)가 형성된 위치는 고안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25)는 복수의 바(bar)(126a, 126b)가 마주하고, 상기 복수의 바(126a, 126b)는 소정 간격 이격된다. 즉, 제1 고정부(125)는 ㄷ-자 형상의 (-)90도 회전하여 개구된 부분이 제2 접지용 단자(140)가 제1 접지용 단자(120)에 안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고정부(125)는 바(126)에 형성되며, 제2 고정부(145)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1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홈(127)은 제1 접지용 단자(120)의 제1 몸체부(122)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몸체부(142)의 제2 고정부(145)는 제2 몸체부(142)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고정부(145)가 제1 고정부(125)의 장착홈(127)에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해서 상기 장착홈(127)은 제2 고정부(145)를 향하도록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장착홈(127)은 상기 복수의 바(126a, 126b)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복수의 바(126a, 126b)의 최상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제2 접지용 단자(140)가 복수 개 안착될 경우 제2 접지용 단자(140)에 형성된 제2 고정부(145)가 제1 고정부(125)에 장착되기 위해서 상기 장착홈(127)은 복수의 바(126a, 126b)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2 몸체부(142)와 제2 바렐부(143)는 1차 경사부(14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용 단자(140)는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안착되기 때문에 제1 접지용 단자(120)의 제1 바렐부(123)와 제2 접지용 단자(140)의 제2 바렐부(143) 또한 적층된다. 이와 같이 바렐부가 적층되기 때문에 높이 간섭이 일어나게 되므로,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140)의 제2 몸체부(142)와 제2 바렐부(143) 사이에 1차 경사부(144)를 형성하여 높이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 접지용 단자(120)의 제1 몸체부(122)와 제1 바렐부(123) 사이는 경사 없이 일정한 높이의 연결부(124)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안착되는 제2 접지용 단자(140)의 제2 몸체부(142)와 제2 바렐부(143)는 1차 경사부(144)로 연결되어 제2 바렐부(143)가 제1 바렐부(123)보다 더 높은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1차 경사부(144)의 경사진 높이는 접지용 단자(100)의 제1 몸체부(122)와 제1 바렐부(123)를 연결하는 연결부(124)보다 60°이상 70°미만의 각도 내에서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경사부(144)는 60°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왜냐하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바렐부의 경사부가 60°미만일 경우 적층되는 바렐부가 겹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적층되는 바렐부가 겹치지 않는 최소의 각도가 60°이기 때문이다. 또한, 적층되는 접지용 단자(100)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접지용 단자(100)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적층되는 바렐부의 경사부를 최소로 형성할수록 적층되는 접지용 단자(100)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접지용 단자(100)의 높이를 최소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지용 단자(100)의 경사부를 60°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는 제2 접지용 단자(140)가 복수 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2 접지용 단자(140)를 설명의 편의상 순차적으로 1차 제2 접지용 단자, 2차 제2 접지용 단자 등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2 접지용 단자(140)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수직으로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140)의 1차 경사부(144)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첫째로 안착되는 제2 접지용 단자의 1차 경사부는 이후 안착되는 두번째 제2 접지용 단자의 2차 경사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1차 경사부의 경사 각도는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다. 왜냐하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의 경사부의 각도가 다 경우 각각의 경사부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만,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 중 두번째 제2 접지용 단자의 경사부의 길이를 길게 하여 두번째 제2 접지용 단자의 바렐부가 첫번째 제2 접지용 단자의 바렐부보다 충분히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 접지용 단자(120)와 제2 접지용 단자(140) 사이에는 제3 접지용 단자(160)가 개시된다.
상기 제3 접지용 단자(160)는 제1 볼트체결홀(121)과 대향되는 제3 볼트체결홀(161)이 중앙에 형성된 제3 몸체부(162)와, 제3 몸체부(162)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3 바렐부(163)를 포함한다.
이때, 제3 몸체부(162)는 제1 고정부(125)와 대향되며, 제1 고정부(125)가 관통하는 관통홈(1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홈(166)은 제1 고정부(125)가 끼움되면서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제3 접지용 단자(160)가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3 몸체부(162)는, 제3 몸체부(162)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165)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부(165)에는 상기 관통홈(16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홈(166)은 제1 고정부(125)의 복수의 바(126a, 126b)가 삽입되고, 관통홈(166)에 삽입된 복수의 바(126a, 126b)는 제3 고정부(165)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적층되는 제3 접지용 단자(160)의 적층 위치를 한정할 수 있고, 제3 접지용 단자(16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적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접지용 단자(160)의 제3 몸체부(162)와 제3 바렐부(163)는 2차 경사부(164)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차 경사부(164)는 앞서 설명한 1차 경사부(144)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제2 접지용 단자(140)의 1차 경사부(14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2 접지용 단자(14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3 접지용 단자(160)는 복수 개 적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3 접지용 단자(160)을 복수 개 적층할 경우 상부에 적층되는 2차 경사부(164)의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지용 단자(120)와 제2 접지용 단자(140) 사이에 제3 접지용 단자(160)가 안착될 경우, 제2 접지용 단자(140)는 조립된 접지용 단자(100)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지용 단자(140)는, 제2 접지용 단자(140)에 형성된 제2 고정부(145)가 제1 접지용 단자(120)의 장착홈(127)에 장착되면서 제2 접지용 단자(140)의 상태가 고정되기 때문에 접지용 단자(1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 접지용 단자(140)는 제3 접지용 단자(160)의 상부를 차단하기 때문에 제1 고정부(125)에서 제3 접지용 단자(1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1 실시예의 접지용 단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 부호를 가진 구성은 동일 구성 및 효과를 가지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접지용 단자(100)의 결합과정은, 우선 제1 몸체부(122)의 측면에 제1 고정부(125)가 형성된 제1 접지용 단자(120a)를 마련한다(도 6의 (a)). 이때, 상기 제1 접지용 단자(120a)에는 하나의 제1 바렐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하나의 제1 접지용 단자(120b)를 제1 접지용 단자(120b) 상에 적층할 수 있다(도 6의 (b)).
상기와 같이 하나의 제1 접지용 단자(120a) 상에 다른 하나의 제1 접지용 단자(120b)를 적층하기 위해서 다른 하나의 제1 접지용 단자(120b)는 상기 제3 접지용 단자(160)와 같이 관통홈(미도시)가 형성된 고정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복수의 제3 접지용 단자(160)를 적층하게 된다(도 6의 (c)). 이때, 제3 접지용 단자(160)는 제1 접지용 단자(120)와 같이 하나의 제3 접지용 단자(160a)에 하나의 제3 바렐부(16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제3 접지용 단자(160b)가 한 쌍을 이루어 적층될 수 있다(도 6의 (d)).
이때, 제3 접지용 단자(160)를 적층할 때, 제3 몸체부(162)와 제3 바렐부(163)를 연결하는 2차 경사부(164)가 동일 길이로 형성된 제3 접지용 단자(160)가 한 쌍이 이루도록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제3 접지용 단자(160)를 적층할 때, 제3 고정부(165)의 관통홈(166)에 제1 고정부(125)를 관통하며 적층함에 따라 제3 접지용 단자(160)가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서 비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접지용 단자(160)를 제1 접지용 단자(120) 상에 적층한 뒤, 한 쌍의 제2 접지용 단자(140a, 140b)를 제3 접지용 단자(160) 상에 적층할 수 있다(도 6의 (e)). 여기서, 제2 접지용 단자(140)의 제2 고정부(145)가 제1 고정부(125)의 장착홈(127)에 장착되면서, 제1 고정부(125)의 상단을 폐쇄하여, 적층된 접지용 단자 이외의 접지용 단자가 적층되는 것을 막고, 제3 접지용 단자(1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지용 단자(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2 실시예에 따른 접지용 단자가 적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제2 접지용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도면의 부호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의 부호와 동일 부호는 동일 구성이라 가정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2 실시예에 따른 접지용 단자(200)는 제1 접지용 단자(220) 상에 복수의 제2 접지용 단자(240)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용 단자(240)의 제2 고정부(245)는 제1 접지용 단자(220)의 제1 고정부(225)의 바(226)의 마주하는 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247)를 더 포함한다. 즉, 제2 접지용 단자(240)의 제2 고정부(245)는 제2 몸체부(242)의 좌, 우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247)는 제2 고정부(245)의 전, 후 방향을 향하는 일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225)의 바(226)가 마주하는 면에는 돌기(247)가 삽입되는 삽입홈(227)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 고정부(245)의 일 면에 돌기(247)를 형성하고, 제1 고정부(225)의 바(226)에는 돌기(247)가 삽입되는 삽입홈(227)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접지용 단자(240)의 형상을 변화하지 않고도 제1 접지용 단자(220) 상에 적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2 실시예에서는 돌기(247)가 제2 고정부(245)의 전, 후 방향을 향하는 일 면에 형성된 예를 들지만, 상기 돌기(247)는 제2 접지용 단자(240)과 제1 접지용 단자(220)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제2 고정부(245)의 전, 후 방향을 향하는 양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제2 접지용 단자(240)가 적층될 때, 제2 바렐부(243)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몸체부(242)와 제2 바렐부(243) 사이에는 경사부(2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244)는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되, 상부로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240)의 경사부(244)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240) 사이의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접지용 단자는 제1 접지용 단자의 제1 고정부에 제2 접지용 단자의 제2 고정부를 장착하며 제1 접지용 단자 상에 제2 접지용 단자를 적층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수의 접지용 단자를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접지용 단자의 제2 몸체부와 제2 바렐부 사이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적층되는 제2 접지용 단자들의 바렐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지용 단자의 제2 고정부가 제1 접지용 단자의 제1 고정부의 장착홈에 장착되면서 제1 고정부의 최상단을 제2 고정부가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지용 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사용이나 공정 없이 접지용 단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200: 접지용 단자 120: 제1 접지용 단자
125: 제1 고정부 140: 제2 접지용 단자
145: 제2 고정부 160: 제3 접지용 단자

Claims (9)

  1.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볼트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1 바렐부를 포함하는 제1 접지용 단자와,
    상기 제1 접지용 단자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볼트체결홀과 대향되는 제2 볼트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2 바렐부를 포함하는 제2 접지용 단자와, 상기 제1 접지용 단자와 상기 제2 접지용 단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볼트체결홀과 대향되는 제3 볼트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된 제3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선이 체결되는 제3 바렐부를 포함하는 제3 접지용 단자를 포함하는 접지용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용 단자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2 접지용 단자가 안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2 접지용 단자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고정부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최상단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장착되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바(bar)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몸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되며, 상기 제1 고정부가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2 접지용 단자가 상기 제1 접지용 단자의 최상단을 락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단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바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단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단자.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복수의 상기 바의 마주하는 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바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단자.
  8.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바렐부는 1차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단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바렐부는 1차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3 몸체부와 상기 제3 바렐부는 2차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1차 경사부는 상기 2차 경사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단자.
KR2020130008519U 2013-10-16 2013-10-16 접지용 단자 KR200477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519U KR200477645Y1 (ko) 2013-10-16 2013-10-16 접지용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519U KR200477645Y1 (ko) 2013-10-16 2013-10-16 접지용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77U KR20150001577U (ko) 2015-04-24
KR200477645Y1 true KR200477645Y1 (ko) 2015-07-07

Family

ID=5303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519U KR200477645Y1 (ko) 2013-10-16 2013-10-16 접지용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63Y1 (ko) * 2015-03-09 2015-07-17 조승자 전극 연결용 볼팅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614A (ja) * 1999-04-20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の固定装置
KR20010048430A (ko) * 1999-11-26 2001-06-15 이계안 접지 터미널
KR20060010280A (ko) * 2004-07-27 2006-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고리단자
JP2012084342A (ja) * 2010-10-08 201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614A (ja) * 1999-04-20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の固定装置
KR20010048430A (ko) * 1999-11-26 2001-06-15 이계안 접지 터미널
KR20060010280A (ko) * 2004-07-27 2006-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고리단자
JP2012084342A (ja) * 2010-10-08 201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77U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1521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5129880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US85740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740484B1 (en) Rotatable receptacle
JP2016540356A5 (ko)
US9960518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JP6174759B2 (ja) 保護導体ブリッジ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JP6365392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WO2015041329A1 (ja) ヒューズユニット取付構造
JP2013188055A (ja) 電気接続箱
JP2010251176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KR200477645Y1 (ko) 접지용 단자
KR20090073878A (ko) 조인트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3944070B2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9627869B2 (en) Block for vehicle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US9461372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KR200431331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JP5737153B2 (ja) アース接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WO2016056365A1 (ja) 組合せ端子部材
KR100809011B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WO2017110789A1 (ja) ワイヤハーネスの端子接続構造
JP6451996B2 (ja) コネクタ
KR102350763B1 (ko) 배터리용 단자커버의 결합구조
KR101043493B1 (ko)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