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493B1 -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493B1
KR101043493B1 KR1020090033814A KR20090033814A KR101043493B1 KR 101043493 B1 KR101043493 B1 KR 101043493B1 KR 1020090033814 A KR1020090033814 A KR 1020090033814A KR 20090033814 A KR20090033814 A KR 20090033814A KR 101043493 B1 KR101043493 B1 KR 101043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terminal
grounding ring
fixed
body por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198A (ko
Inventor
전성원
최정욱
장재철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49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몸체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접지용 고리단자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리브가 상면에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고정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고정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돌출홈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2접지용 고리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2접지용 고리단자를 평행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제1고정 체결부가 상기 제2고정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 후 상기 제1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2전선 체결부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용 고리단자를 복수개로 분리하여 수직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이 증대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멀티 어스가 가능하다
접지용 고리단자, 고정 체결부, 정지부재, 가이드 리브

Description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Assembly of ring terminal for earthing}
본 발명은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에 사용되는 고리단자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다양한 목적의 전기장치가 설치된다. 차량의 주요 장치, 나아가 운전자나 정비사 등을 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전기부품을 접지해야 한다.
자동차 엔진룸 등에는 다수의 어스(Earth)가 설치된다. 어스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단독 어스와, 다수개의 어스 단자를 구비하여 다수의 접지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어스(Multi-Earth)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멀티 어스(2)는 볼트(14)가 끼워지는 중앙홀(8)이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몸체(4)가 있고, 몸체(4)의 일측에는 차체 패널(12)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부(6)를 가진다. 삽입고정부(6)의 반대측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와이어(16)가 압착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어스단자(10)를 가진다.
이와 같은 멀티 어스(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어스(2)의 어스단 자(10)에 와이어(16)를 각각 압착하여 고정하고, 멀티 어스(2)의 중앙홀(8)을 차체 패널(12)의 나사공과 일치하도록 볼트(14)를 체결하여 멀티 어스(2)를 차체 패널(16)에 고정한다. 그리고, 각 와이어(16)를 메인 와이어(18)에 연결하여 어스단자(10)의 개수 만큼 멀티 접지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 어스(2)는, 어스단자(10)가 하나의 몸체(4)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어스단자(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16)들이 구부려진 상태로 메인 와이어(18)와 연결되므로 와이어(16)에 외측으로 벌려지려고 하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사용시 와이어(16)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어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접지용 고리단자를 복수개로 분리하여 수직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이 증대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멀티 어스가 가능한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몸체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접지용 고리단자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리브가 상면에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고정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고정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돌출홈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2접지용 고리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2접지용 고리단자를 평행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제1고정 체결부가 상기 제2고정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 후 상기 제1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2전선 체결부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제1 고정 체결부는,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와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가 회전할 때 회전을 가이드하며, 결합한 후에는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리브(Guide ri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고정 체결부는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 체결부는, 상기 제1 고정 체결부의 개수와 동일한 수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몸체부는, 서로 접히는 구조를 가지는 상면부 및 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 체결부는 상기 하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2 고정 체결부와 동일한 형상의 보조 고정 체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구조를 가지는 중간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는 상기 중간면부에 의하여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는, 외주에 상기 중간면부가 접힌 후에 복원되지 않도록 상기 중간면부를 잡아주는 정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 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 고정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3 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3 접지용 고리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몸체부는 상기 상면부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지용 고리단자를 평행하게 회전하면, 상기 보조 고정 체결부와 상기 제3 고정 체결부가 결합하되, 상기 결합 후 상기 제1 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3 전선 체결부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전선 체결부는 상기 하면부의 후방에 좌측 또는 우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 전선 체결부는 상기 제1 전선 체 결부와 반대쪽 접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3 전선 체결부는 상기 제1 전선 체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는 시계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되고,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지용 고리단자는 시계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는, 상기 하면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는,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걸림홀을 더 포함하여, 회전시 상기 제1 걸림홀에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 체결홀이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전방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정용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에 의하면,
첫째, 접지용 고리단자를 복수개로 분리하여 수직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멀티 어스가 가능하다.
둘째, 제1 접지용 고리단자, 제2 접지용 고리단자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를 조합하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셋째, 가이드 리브, 걸림돌기 및 걸림홀, 유동방지 리브, 고정 체결부 및 보조 고정 체결부 등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접지용 고리단자들의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된 접지용 고리단자들의 체결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를 전개한 평면도 및 저면도(L형),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L형)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는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 및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를 포함한다.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는 필요에 따라 L형 제1 접지용 고 리단자(100L)와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의 두 종류가 사용된다.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는 도면에 그 부호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았으나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와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는 제1 전선 체결부(120)가 평면도 상에서 하면부(112)의 후방에 좌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는 그 형상에 의해 복층단자로 불릴 수도 있다.
먼저,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는 제1 몸체부(110)와, 제1 몸체부(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전선 체결부(120)와, 제1 몸체부(110)에 배치되는 제1 고정 체결부(130)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몸체부(110)는 상면부(111), 하면부(112), 중간면부(113)를 구비한다. 상면부(111) 및 하면부(112)는 서로 접히는 구조이고, 중간면부(113)는 상면부(111)와 상기 하면부(1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중간면부(113)가 없으면, 상면부(111)와 하면부(112)는 임의로 이격되도록 접어야 하지만, 중간면부(113)가 구비된 경우는 접기만 해도 중간면부(113)의 두께에 의해 상면부(111)와 하면부(11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H)이 중앙에 형성된다. 제1 몸체부(110)가 상면부(111), 하면부(112), 중간면부(11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면부(111), 하면부(112), 중간면부(113)에도 각각 볼트 체결홀(H)이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하면부(112)의 외주에는, 중간면부(113)가 접힌 후에 복원되지 않도록 절곡되어 중간면부(113)를 잡아주는 정지부재(ST)가 위치한다.
제1 고정 체결부(130)는 하면부(112)에 형성되며, 도시된 것처럼 제1 몸체부(110)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된 형상을 한다. 이때, 후술할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와의 체결을 위해 상면부(111)는 후술할 제2 고정 체결부(230)와 동일한 형상의 보조 고정 체결부(140)를 더 구비한다. 보조 고정 체결부(140)는 도 3 및 도 4의 전개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펼쳐진 형태였다가 절곡되어 내부에 돌출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전선 체결부(120) 역시 도 3 및 도 4에서처럼 완전히 펼쳐진 형태였다가 단면이 U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되어 생산된 후, 실제로 제품에 사용될 때에는 전선을 끼운 후에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절곡시켜 전선을 고정시킨다.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와 후술할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가 회전 결합할 때 회전을 가이드 하며,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와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가 회전 결한 후에는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가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제1 고정 체결부(130)에는 가이드 리브(guide rib; GR)가 더 구비된다.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는 상면부(111)의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홀(111a)과, 하면부(112)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 돌기(112a)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는 제1 걸림홀(111a), 제1 걸림 돌기(112a)가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R형)를 나타낸 전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는 구성면에서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와 유사하다. 다만,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는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와 달리 제1 전선 체결부(120)가 하면부(112)의 후방에 우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는 접었을 때 중간면부(113)가 상면부(111)와 하면부(1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개도에서 상면부(111)와 중간면부(113)의 사이에 하면부(112)가 위치하지만,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는 접었을 때 중간면부(113)가 상면부(111)와 하면부(1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개도에서 하면부(112)와 중간면부(113)의 사이에 상면부(111)가 위치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R형)를 전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의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는 중간면부(113)가 상면부(111)와 하면부(1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개도에서 상면부(111)와 중간면부(113)의 사이에 하면부(112)가 위치한다. 하지만, 이렇게 중간면부(113)가 별도로 위치하게 되면 재료비 측면에서 불리한 면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서는 중간면부(113)가 하면부(112)의 볼트 체결홀(H)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이렇게 되면 먼저 중간면부(113)를 절곡시키고, 상면부(111)와 하면부(112)가 중간면부(113)를 감싸도록 접으면 상면부(111)와 하면부(112)가 이격된다. 물론, 도시되진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중간면부(113)는 상면부(111)의 볼트 체결홀(H)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재료비 절감 차원에서 더 효과적인 측면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지용 고리단자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이다.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는 그 형상에 의해 고정용 단자로 불릴 수도 있다.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 역시 필요에 따라 L형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L)와 R형 제2 접지용 고리단자(미도시)의 두 종류가 사용된다.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는 도면에 그 부호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았으나 L형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L)와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는 제2 몸체부(210)와, 제2 몸체부(2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전선 체결부(220)와, 제1 고정 체결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고정 체결부(230)를 구비한다. L형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L)는 제1 전선 체결부(220)가 평면도 상에서 제2 몸체부(210)의 후방에 좌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R형 제2 접지용 고리단자(미도시)는 제2 전선 체결부(220)가 평면도 상에서 제2 몸체부(210)의 후방에 우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제2 몸체부(210)는 제2 몸체부(210)의 전방으로 연장된 고정용 스토퍼(FS)를 구비한다. 고정용 스토퍼(FS)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홀에 삽입되어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제2 고정 체결부(230)는 제1 고정 체결부(130)와 회전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앞선 제1 고정 체결부(130)에 대응되어 형성된 돌출홈을 구비한다. 제2 고정 체결부(230)는 앞선 보조 고정 체결부(140)처럼 펼쳐진 형태였다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되어 내부에 돌출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전선 체결부(220) 역시 제1 전선 체결부(120)처럼 완전히 펼쳐진 형태였다가 단면이 U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되어 생산된 후, 실제로 제품에 사용될 때에는 전선을 끼운 후에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절곡시켜 전선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앞선 제1 몸체부(110)를 제2 몸체부(210)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를 평행하게 회전시키면, 제1 고정 체결부(130)와 제2 고정 체결부(230)가 결합된다. 또한, 결합 후 제1 전선 체결부(120)와 제2 전선 체결부(220)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제1 고정 체결부(130)는 2개가 배치되고, 제2 고정 체결부(230) 역시 제1 고정 체결부(130)의 개수와 동일한 2개가 배치된다. 물론,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는 앞서 설명한 제1 걸림 돌기(112a)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걸림홀(210a)을 더 포함하여, 회전시 제1 걸림홀(111a)에 제1 걸림 돌기(112a)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의 하면부(112) 외주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GR)는 제1 전선 체결부(120)와 제2 전선 체결부(200)가 나란히 배치되도록 회전을 가이드하고,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를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210)의 상면에는 제1 몸체부(110)와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방지 리브(R; rib)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 몸체부(210)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H)이 중앙에 각각 형성된다.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는 앞선 제1, 제2 접지용 고리단자(100,200) 이외에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는 그 형상에 의해 평단자로 불릴 수도 있다.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접지용 고리단자(L형)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접지용 고리단자(R형)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 역시 필요에 따라 L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L)와 R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R)의 두 종류가 사용된다.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는 도면에 그 부호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았으나 L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L)와 R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R)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는 제3 몸체부(310)와, 제3 몸체부(3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 전선 체결부(320)와, 제1 고정 체결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3 고정 체결부(330)를 구비한다. L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L)는 제3 전선 체결부(320)가 평면도 상에서 제3 몸체부(310)의 후방에 좌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R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R)는 제3 전선 체결부(320)가 평면도 상에서 제3 몸체부(310)의 후방에 우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제3 몸체부(310)는 상면부(111)의 상부에 안착된 후,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를 평행하게 회전하면, 보조 고정 체결부(140)와 제3 고정 체결부(330)가 결합하되, 결합 후 제1 전선 체결부(120)와 제3 전선 체결부(320)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전선 체결부(120)는 하면부(112)의 후방에 좌측 또는 우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제2 전선 체결부(220)는 제1 전선 체결부(120)와 반대쪽 접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며, 제3 전선 체결부(320)는 제1 전선 체결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전선 체결부들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는 앞서 설명한 제1 걸림 홀(111a)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3 몸체부(3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걸림 돌기(310a)를 더 포함하여, 회전시 제1 걸림홀(111a)에 제3 걸림돌기(310a)가 맞물리게 된다. 또한, 제3 몸체부(310)에도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 체결홀(H)이 중앙에 형성된다. 제3 몸체부(310)의 상면에는 유동방지 리브(rib; R)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100, 300)를 서로 제1, 제3 고정 체결부(130, 330)에 의해 결합시켜서 2층의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가 되므로 2개의 전선을 동시에 접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제2, 제3 접지용 고리단자(100, 200, 300)가 서로 고정 체결부(130, 140, 230, 330)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면 3층의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가 되므로 3개의 전선을 동시에 접지시키는 것 이 가능해진다.
도 19 내지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는 5층의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를 형성하여 5개의 전선을 동시에 접지시킬 수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가장 아랫쪽에 위치한 L형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L) 위에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를 회전시켜 결합시킨다. 또한,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 위에는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를 회전시켜 결합시킨다. 또한,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 위에는 다른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를 회전시켜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다른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 위에 L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L)를 회전시켜 결합한다.
이렇게, L형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L),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 L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L), R형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 L형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L)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5층의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가 완성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에는 3층의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의 조립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는 제1, 제2 및 제2 접지용 고리단자(100, 200, 300)의 회전방향은 고려하지 않았다. 하지만, 만약 접지용 고리단자(100, 200, 300)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이 병존하거나 반시계방향 만 존재하는 경우에, 볼트 체결홀(H)에 볼트를 가결합시키고 볼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게 되면, 접지용 고리단자(100, 200, 300) 간의 체결이 풀릴 수가 있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접지용 고리단자(200L)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를 시계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도 22의 (a))시켜 서로를 고정시키고(도 22의 (b)), 제1 접지용 고리단자(100R)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3 접지용 고리단자(300L)를 시계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도 22의 (c))시켜 서로를 고정시킨다(도 22의 (d)). 이렇게 제1, 제2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100R, 200L, 300L)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되었기 때문에, 볼트 체결홀(H)에 볼트를 가결합시키고 볼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게 되더라도, 접지용 고리단자(100, 200, 300) 간의 체결이 풀리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용 고리단자(100, 200, 300)들의 결합 후에는 각각의 전선 체결부(120, 220, 320) 들이 엇갈려서 수평적으로 배치되므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어스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접지용 고리단자, 제2 접지용 고리단자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100, 200, 300)를 조합하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GR), 걸림돌기(111a, 210a) 및 걸림홀(112a, 310a), 유동방지 리브(R), 고정 체결부(130, 230) 및 보조 고정 체결부(140, 240) 등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접지용 고리단자들의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된 접지용 고리단자들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L형)를 전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L형)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R형)를 나타낸 전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용 고리단자를 전개한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지용 고리단자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접지용 고리단자(L형)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접지용 고리단자(R형)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접지용 고리단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제1, 제2, 제3 접지용 고리단자
110,210,310...제1, 제2, 제3 몸체부
120,220,320...제1, 제2, 제3 전선 체결부
130,230,330...제1, 제2, 제3 고정 체결부

Claims (14)

  1.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몸체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접지용 고리단자;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리브가 상면에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고정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고정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돌출홈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2접지용 고리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2접지용 고리단자를 평행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제1고정 체결부가 상기 제2고정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 후 상기 제1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2전선 체결부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체결부는,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와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가 회전할 때 회전을 가이드하며, 결합한 후에는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리브(Guide rib)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체결부는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 체결부는, 상기 제1 고정 체결부의 개수와 동일한 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서로 접히는 구조를 가지는 상면부 및 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 체결부는 상기 하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2 고정 체결부와 동일한 형상의 보조 고정 체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구조를 가지는 중간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는 상기 중간면부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외주에 상기 중간면부가 접힌 후에 복원되지 않도록 상기 중간면부를 잡아주는 정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제3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 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1 고정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3 고정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3 접지용 고리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몸체부는 상기 상면부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지용 고리단자를 평행하게 회전하면, 상기 보조 고정 체결부와 상기 제3 고정 체결부가 결합하되, 상기 결합 후 상기 제1 전선 체결부와 상기 제3 전선 체결부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체결부는 상기 하면부의 후방에 좌측 또는 우측 접선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 전선 체결부는 상기 제1 전선 체결부와 반대쪽 접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3 전선 체결부는 상기 제1 전선 체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는 시계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되고,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지용 고리단자는 시계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용 고리단자는, 상기 하면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는,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걸림홀을 더 포함하여,
    회전시 상기 제1 걸림홀에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 체결홀이 중앙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지용 고리단자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전방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정용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14. 삭제
KR1020090033814A 2009-04-17 2009-04-17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KR101043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14A KR101043493B1 (ko) 2009-04-17 2009-04-17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14A KR101043493B1 (ko) 2009-04-17 2009-04-17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198A KR20100115198A (ko) 2010-10-27
KR101043493B1 true KR101043493B1 (ko) 2011-06-23

Family

ID=4313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14A KR101043493B1 (ko) 2009-04-17 2009-04-17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7277B2 (en) 2017-12-22 2019-07-30 Hyundia Motor Company Multi-earth terminal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275A (ja) * 2002-07-29 2004-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組合せ端子金具
KR20060010282A (ko) * 2004-07-27 2006-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고리 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275A (ja) * 2002-07-29 2004-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組合せ端子金具
KR20060010282A (ko) * 2004-07-27 2006-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고리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7277B2 (en) 2017-12-22 2019-07-30 Hyundia Motor Company Multi-earth termin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198A (ko)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34732Y2 (ja) 部品取付構造
US20110303456A1 (en) Modular conduit retention system
JP2009117151A (ja) アース用端子金具およびアース用端子金具の固定構造
JPH0736371U (ja) 端子金具
KR20140073437A (ko) 체결 클립 및 체결 조립체
EP2599177B1 (en) Terminal pair
KR101089834B1 (ko) 적층형 접지용 고리단자 및 그 조립체
KR101043493B1 (ko) 접지용 고리단자 조립체
JPH07245135A (ja) 端子金具
KR200477645Y1 (ko) 접지용 단자
KR102033546B1 (ko) 멀티 어스 터미널
US6250864B1 (en) Fastener with single-layered head
US10150431B2 (en) Holding part and method for fastening electrical wires and a wiring arrangement in a vehicle
JP4433926B2 (ja) アース用組合せ端子部材
KR200431331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JPH08250165A (ja) アース構造
JP5772738B2 (ja) アース端子の取付構造
JP3003499B2 (ja) 端子連結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端子ユニット
JP4316430B2 (ja) 積み重ね型アース端子
JP6237723B2 (ja) ボルト締め端子の積層連結具および積層固定構造
KR100809011B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KR101980107B1 (ko) 멀티 어스 터미널
JP2001237007A (ja) 端子金具の組付け構造
JP2009283375A (ja) アース端子の車体固定構造
KR102350763B1 (ko) 배터리용 단자커버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