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280A - 접지용 고리단자 - Google Patents

접지용 고리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280A
KR20060010280A KR1020040058911A KR20040058911A KR20060010280A KR 20060010280 A KR20060010280 A KR 20060010280A KR 1020040058911 A KR1020040058911 A KR 1020040058911A KR 20040058911 A KR20040058911 A KR 20040058911A KR 20060010280 A KR20060010280 A KR 20060010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erminal
wire
bolt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934B1 (ko
Inventor
송원석
김영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9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용 고리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개의 접지용 고리단자를 적층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접지용 고리단자는 몸체부(32, 60, 90, 120)와 전선체결부(34, 102, 1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2, 60, 90, 120)에는 접지프레임에 전선을 접지시키고, 접지를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홀(42, 61, 92, 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2, 60, 90, 120)는 상면부(52, 84, 112)와 하면부(54, 86, 114)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체결홀(42, 61, 92, 122)의 양측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44, 62, 94, 12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2, 60, 90, 120)의 하면부(54, 86, 114)에 형성된 볼트체결홀(61, 92, 122)의 양측면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62, 94, 124)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2, 60, 120)와 상기 몸체부(32, 60, 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체결부(34, 102, 132)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9, 104, 134)에 의해 연결된다.
접지용 고리단자, 몸체부, 전선체결부, 체결부

Description

접지용 고리단자{ring terminal for earthing}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가 적층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좌측스토퍼형 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중간판형 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6a 및 6b 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우측형 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7a 및 7b 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좌측형 단자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접지용 고리단자 30: 좌측스토퍼형 단자
32: 몸체부 34: 전선체결부
36: 와이어고정부 38: 전선고정부
40: 스토퍼 42: 볼트체결홀
50: 중간판형 단자 52: 상면부
54: 하면부 56: 연결부
58: 체결돌기 59: 체결홈
60: 몸체부 61: 볼트체결홀
80: 우측형 단자 82: 연결부
84: 상면부 86: 하면부
90: 몸체부 92: 볼트체결홀
102: 전선체결부 104: 경사부
110: 좌측형 단자 112: 상면부
114: 하면부 120: 몸체부
122: 볼트체결홀 132: 전선체결부
134: 경사부
본 발명은 접지용 고리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접지점에 다수개의 접지단자가 결합될 때 각각의 접지단자가 최소한의 공간에 최대로 적층되어 접지를 수행할 수 있는 접지용 고리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포함하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곳에는 전원의 전위와 동일한 전위를 최단거리에서 얻기 위하여 전선을 통하여 접지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전선을 접지시키기 위해서 접지용 고리단자를 이용하게 된다.
도 1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2)는 체결볼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접지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체결홀(8)이 내측에 형성된 몸체부(4)와, 상기 몸체부(4)의 일단에 형성되어 전선을 감아서 연결고정하기 위한 전선체결부(6)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가 다수개가 적층되기 위해 상기 고리단자 몸체부(4) 양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부(12)가 삽입안내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채널(10)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에서 상기 몸체부(4)가 구비된 쪽을 전방으로 하고 전선체결부(6)가 구비된 쪽을 후방으로 하고 상기 도면이 도시된 방향으로 보게 되면, 상기 몸체부(4)의 우측에 위치한 가이드채널(10)의 후단과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채널(10)의 전단에 가이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의 가이드채널(10)에 똑같은 형상의 별개의 접지용 고리단자(2)의 가이드부(12)가 시계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계속적으로 적층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중 하측에서 세번째로 위치하고 있는 접지용 고리단자(2)의 전방에는 하단으로 연장되어 벤딩된 스토퍼(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4)는 체결될 접지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가 좌우측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 수개를 적층하는 경우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가 좌우측 방향으로 적층되게 되어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 수개가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의 전선체결부(4)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몸체부(4)와 전선체결부(6)의 연결부가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좁은공간에서 수개의 접지용 고리단자가 적층될 수 있는 접지용 고리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전선체결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몸체부와 전선체결부 사이의 연결부가 휘어질 염려가 없는 접지용 고리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 은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부와 하면부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의 양측면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면부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의 양측면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후방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는 전선과의 체결을 위한 전선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선체결부와 상기 몸체부는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와 하면부의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좌우측 중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치우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형성된 체결부와 삽입부가 서로 같은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와 하면부의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좌우측 중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반대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형성된 체결부와 삽입부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형성된 체결부와 삽입부 중 어느 일측에는 내부에 구멍형상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와 삽입부 중 상기 볼트체결홀과 마주하는 측면은 볼트가 체결하기 위해 오목하게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체결부는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하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의 양측면은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체결부가 몸체부 후방에서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선체결부와 상기 몸체부는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좌 우측 중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치우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와 삽입부는 일측의 체결부에는 구멍형상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반대측의 삽입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와 삽입부 중 상기 볼트체결홀과 마주하는 측면은 볼트가 체결하기 위해 오목하게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체결부는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부와 하면부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과의 체결을 위한 전선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지 용 고리단자의 각각의 전선체결부가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전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적층가능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에 의하면 접지용 고리단자에서는 접지용고리단자 수개를 적층하는 경우 접지용 고리단자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좌우 측면으로 넓은 공간이 필요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를 2 단이상 적층하여 체결하는 경우 각각의 접지용 고리단자 사이에 중간판이 위치하고 각각의 몸체부와 전선체결부가 소정의 각도로 단차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체결부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연결부가 휘어지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4b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좌측스토퍼형 단자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및 5b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중간판형 단자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6b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우측형 단자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7b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좌측형 단자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적층되어 있는 접지용 고리단자(20) 중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좌측스토퍼형 단자(30)이다. 좌측스토퍼형 단자(30)의 상측에는 중간판형 단자(50)가 위치하고 있다. 중간판형 단자(50)의 상측에는 우측형 단자(80)가 위치하고 있다. 우측형 단자(80) 위에는 좌측형 단자(110)가 위치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에서 상기 몸체부(32)가 구비된 쪽을 전방으로 하고 상기 전선체결부(34)가 구비된 쪽을 후방으로 하고 전면에서 보게 되면, 좌측스토퍼형 단자(30)의 전방에는 접지프레임에 전선의 접지를 위한 몸체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2)의 좌측 후방에는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고정하기 위한 전선체결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전선체결부(34)에는 두개의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 중 상대적으로 전방에 형성된 것은 와이어고정부(36)이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형성된 것은 전선고정부(38)이다. 상기 몸체부(32)와 상기 전선체결부(34)는 경사부(39)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결된다. 상기 경사부(39)의 각도는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20)가 적층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선체결부(34) 사이에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부(32)의 전면에는 하측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스토퍼(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체결될 접지프레임 등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2)의 중앙에는 볼트체결홀(42)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홀(42)의 양측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44a, 44b)가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4a, 44b)는 상기 몸체부(32)에서 상대적으로 좌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4a, 44b)에서 상기 체결부(44a, 44b)의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46a, 46b)가 각각 형성된다.
좌측체결부(44a)에는 통공형상의 걸림홀(47)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삽입부(46b)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삽입부(46a)에서 상기 볼트체결홀(42)과 마주하는 부분은 오목하도록 오목부(49a)를 형성하고, 상기 우측체결부(44b)는 상기 볼트체결홀(42)과 마주하는 부분은 오목하도록 오목부(49b)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49a, 49b)는 상기 볼트체결홀(42)의 측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체결부(34)에는 전선이 체결되고 그 외측에 열수축튜브를 적용하여 상기 전선체결부(34)가 보호된다.
도 5a 및 5b 에는 중간판형 단자(5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중간판형 단자(50)는 최초에 도 5a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 에서 상기 중간판형 단자(50)에서 상기 연결부(56)가 형성된 쪽을 전방으로 하고 상기 체결홈(59)가 형성된 쪽을 후방으로 하여 전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상기 중간형 단자(50)는 중앙에 형성된 연결부(56)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쪽에 상면부(52)가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뒤쪽에 하면부(54)가 위치한다. 상기 상면부(52)의 좌측상단에는 체결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52)가 상기 연결부(56)를 중심으로 상기 하면부(54)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58)가 상기 하면부(54)의 체결홈(59)에 벤딩되어 압착함으로써 결합되어 몸체부(60)를 형성한다.
이하 도 5b 에 도시된 대로 설명하고, 다만 도 5b 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 호는 도 5a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중간판형 단자(50)의 중앙에 볼트체결홀(61)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홀(61)의 양측에는 돌출된 형상으로 체결부(62a, 62b, 62c, 6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52)의 체결부(62a, 62b)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면부(54)의 체결부(62c, 62d)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상면부(52)의 체결부(62a, 62b)는 상기 몸체부(60)에서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부(54)의 체결부(62c, 62d)는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52)에 형성된 체결부(62a, 62b)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64a, 6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면부(54)의 체결부(62c, 62d)에는 좌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64c, 64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52)의 좌측체결부(62a)와 상기 하면부(54)의 우측체결부(62d)의 중앙에 통공형상의 걸림홀(66a, 66d)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52)의 우측삽입부(64b)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면부(54)의 좌측삽입부(64c)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8b, 68d)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52)와 하면부(54)가 대칭되지 않고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은 하측에 좌측형 단자(30)가 결합되고 상측에 우측형 단자(8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면부(52)의 우측에 있는 우측체결부(62b)와 상기 하면부(54)의 좌측에 있는 좌측체결부(62c)는 상기 볼트체결홀(61)과 마주하는 부분이 오목하도록 오 목부(70b, 70c)를 형성한다. 상기 상면부(52)의 좌측에 있는 좌측삽입부(64a)와 하면부(54)의 우측에 있는 우측삽입부(64d)는 상기 볼트체결홀(61)과 마주하는 부분이 오목하도록 오목부(70a, 70d)를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70a, 70b, 70c, 70d)는 상기 볼트체결홀(61)의 측벽을 형성한다.
도 6a 및 6b 에는 우측형 단자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우측형 단자는 최초에 도 6a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 에서 상기 우측형 단자(80)에서 상기 몸체부(90)가 구비된 쪽을 전방으로 하고 상기 전선체결부(102)가 구비된 쪽을 후방으로 하고 전방에서 보게 되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82)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앞쪽에 상면부(84)가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뒤쪽에 하면부(86)가 위치한다. 상기 상면부(84)와 상기 하면부(86)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84)가 상기 연결부(82)를 중심으로 상기 하면부(86)와 결합된다. 상기 상면부(84)의 좌측상단에는 체결돌기(8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88)는 상기 상면부(84)와 상기 하면부(86)가 상기 하면부(86)의 체결홈(89)에 벤딩하여 압착함으로써 결합되어 몸체부(9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따르면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형 단자(80)가 형성된다.
이하 도 6b 에 도시된 대로 설명하고, 다만 도 6b 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도 6a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우측형 단자(80)의 중앙에는 볼트체결홀(92)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 결홀(92)의 양측에는 돌출된 형상의 체결부(94a, 94b, 94c, 94d)가 형성된다. 상면부(84)의 체결부(94a, 94b)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면부(86)의 체결부(94c, 94d)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체결부(94a, 94b, 94c, 94d)는 몸체부(90)에서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94a, 94b, 94c, 94d)의 좌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96a, 96b, 96c, 96d)가 형성된다.
우측체결부(94b, 94d)에는 통공형상의 걸림홀(97b. 97d)이 형성된다. 좌측삽입부(96a, 96c)에서 상면부(84)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하면부(86)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98a, 98c)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84)의 좌측에 있는 좌측체결부(94a)와 하면부(86)의 좌측에 있는 좌측체결부(94c)는 상기 볼트체결홀(92)과 마주하는 부분이 오목하도록 오목부(100a, 100c)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84)의 우측에 있는 우측삽입부(96b)와 하면부(86)의 우측에 있는 우측삽입부(96d)는 상기 볼트체결홀(92)과 마주하는 부분이 오목하도록 오목부(100b, 100d)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100a, 100b, 100c, 100d)가 상기 볼트체결홀(92)의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전선체결부(102)는 상기 몸체부(90)의 우측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전선체결부(102)의 구조는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와 동일하게 와이어고정부와 전선고정부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몸체부(90)와 전선체결부(102)를 연결하는 경사부(104)는 상기 우측형단자(80)의 상하측에 적층될 각각의 단자의 전선체결부(34, 132)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경사부(104)의 경사진 각도가 다르게 설정된다.
도 7a 및 7b 에는 좌측형 단자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좌측형 단자는 최초 도 7a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a 및 7b 에서 상기 좌측형 단자(110)에서 상기 몸체부(120)가 구비된 쪽을 전방으로 하고 상기 전선체결부(132)가 구비된 쪽을 후방으로 하고 전면에서 보게 되면, 상기 좌측형 단자(110)는 중앙에 위치한 연결부(116)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앞쪽에 상면부(112)가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뒤쪽에 하면부(114)가 위치한다. 상기 상면부(112)의 우측상단에는 체결돌기(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부(112)가 상기 연결부(116)를 중심으로 상기 하면부(114)의 체결홈(119)에 삽입되어 압착됨으로써 몸체부(1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따르면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형 단자(110)가 형성된다.
이하 도 7b 에 도시된 대로 설명하고, 다만 도 7b 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도 7a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좌측형 단자(110)의 중앙에는 볼트체결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홀(122)의 양측에 상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124a, 124b, 124c, 124d)가 형성된다. 상면부(112)의 체결부(124a, 124b)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면부(114)의 체결부(124c, 124d)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체결부(124a, 124b, 124c, 124d)는 상기 몸체부(120)에서 상대적으로 좌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4a, 124b, 124c, 124d)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126a, 126b, 126c, 126d)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체결부(124a, 124c)에는 구멍형상의 걸림홀(128a, 128c)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112)의 우측에 있는 삽입부(126b)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면부(114)의 우측에 있는 삽입부(126d)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9b, 126d)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112)와 하면부(114)의 우측에 있는 우측체결부(124b, 124d)는 상기 볼트체결홀(122)과 마주하는 부분은 오목하도록 오목부(130b, 130d)를 형성한다. 상기 상면부(112)와 하면부(114)의 좌측에 있는 좌측삽입부(126a, 126c)는 상기 볼트체결홀(122)과 마주하는 부분은 오목하도록 오목부(130a, 130c)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130a, 130b, 130c, 130d)는 상기 볼트체결홀(122)의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전선체결부(132)는 상기 몸체부(120)의 좌측 후방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선체결부(132)는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110)와 동일하게 와이어고정부와 전선고정부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몸체부(120)와 상기 전선체결부(132)를 연결하는 경사부(134)의 경사각도가 다른 척층되는 접지단자의 전선체결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다르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의 결합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좌측스토퍼형 단자(30)의 체결부(44)와 삽입부(46)에 중간판형 단자(50)의 하면부(54)에 형성된 체결부(62)와 삽입부(64)를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삽입하여 체결한다. 상기 삽입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 (30) 좌측체결부(44a)의 하측에 상기 중간판형 단자(50)의 하면부(54)에 형성된 좌측삽입부(64c)가 삽입된다.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의 우측삽입부(46b)는 상기 중간판형 단자(50)의 하면부(54)에 형성된 우측체결부(62d)의 상측에 삽입된다.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의 몸체부(32)와 상기 중간판형 단자(50)의 몸체부(6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 체결부(44a, 44b, 62c, 62d) 및 삽입부(46a, 46b, 64c, 64d)와 함께 반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와 상기 중간판형 단자(50) 사이의 체결이 더욱 강화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의 좌측체결부(44a)와 우측삽입부(46b)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홀(47)과 걸림돌기(48)에 상기 중간판형 단자(50) 하면부(54)의 좌측삽입부(64c)와 우측체결부(62d)에 형성된 걸림돌기(68c)와 걸림홀(66d)이 각각 걸리게 되어, 상기 좌측스토퍼형 단자(30)와 상기 중간판형 단자(50)가 완전하게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판형 단자(50) 상면부(52)에 형성된 좌측체결부(62a)와 우측삽입부(64b)의 하부에 상기 우측형 단자(80) 하면부(86)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하여 체결한다. 상기 삽입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중간판형 단자(50) 상면부(52)에 형성된 상기 좌측체결부(62a)의 하측에 상기 우측형 단자(80) 하면부(86)에 형성된 좌측삽입부(96c)가 삽입되고, 상기 중간판형 단자(50) 상면부(52)에 형성된 우측삽입부(64b)의 하측에 상기 우측형 단자(80) 하면부(86)에 형성된 우측체결부(94d)가 삽입된다.
상기 중간판형 단자(50) 상면부(52)의 몸체부(60)와 상기 우측형 단자(80)의 하면부(86)의 몸체부(9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 체결부(62a, 62b, 94c, 94d) 및 삽입부(64a, 64b, 96c, 96d)와 함께 반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중간판형 단자(50)와 상기 우측형 단자(80) 사이의 체결이 더욱 강화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형 단자(50) 상면부(52)의 좌측체결부(62a)와 우측삽입부(64b)에 형성된 걸림홀(66a)과 걸림돌기(68b)에 상기 우측형 단자(80) 하면부(84)의 좌측삽입부(96c)와 우측체결부(94d)에 형성된 걸림돌기(98c)와 걸림홀(97d)이 각각 걸리게 되어, 상기 중간판형 단자(50)와 상기 우측형 단자(80)가 완전하게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측형 단자(80) 상면부(84)에 형성된 좌측삽입부(96a)와 우측체결부(94b)의 하부에 상기 좌측형 단자(110) 하면부(114)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하여 체결한다. 상기 삽입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우측형 단자(80) 상면부(84)에 형성되어 있는 좌측삽입부(96a)의 하측에 상기 좌측형 단자(110) 하면부(114)에 형성되어 있는 좌측체결부(124c)가 삽입되고, 상기 우측형 단자(80) 상면부(84)에 형성된 우측체결부(94b)의 하측에 상기 좌측형 단자(110) 하면부(114)에 형성된 우측삽입부(126d)가 삽입된다.
상기 우측형 단자(80) 상면부(82)의 몸체부(90)와 상기 좌측형 단자(110) 하면부(114)의 몸체부(1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 체결부(94a, 94b, 124c, 124d) 및 삽입부(96a, 96b, 126c, 126d)와 함께 반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우측형 단자(80)와 상기 좌측형 단자(110) 사이의 체결이 더욱 강화된 다.
그리고 상기 우측형 단자(80) 상면부(82)의 우측체결부(94b)와 좌측삽입부(96a)에 형성된 걸림홀(97b)과 걸림돌기(98a)에 상기 좌측형 단자(110) 하면부(114)의 우측삽입부(126d)와 좌측체결부(124c)에 형성된 걸림돌기(129d)와 걸림홀(128c)이 각각 걸리게 되어, 상기 우측형 단자(80)와 상기 좌측형 단자(110)가 완전하게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계속적으로 접지용 고리단자를 적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층된 구성을 갖는 접지용 고리단자(20)에 의하면, 체결볼트를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볼트체결홈에 끼운 상태에서, 접지 프레임의 나사부에 체결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적층된 접지용 고리단자(20)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접지용 고리단자(30) 전단부에 구비된 스토퍼(40)가 상기 접지프레임에 대응되게 설치된 홈에 걸리게 되어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접지용고리단자(2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접지용 고리단자에서는 접지용 고리단자를 수개를 적층하는 경우 열수축튜브를 이용하더라도 수직으로 적층 되어 넓은 공간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접지용 고리단자에서 각각의 접지용 고리단자가 2단이상 적층하여 체결되는 경우 각각의 접지용 고리단자 사이에 중간판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의 몸체부와 전선체결부는 연결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전선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부와 하면부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의 양측면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면부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의 양측면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는 전선과의 체결을 위한 전선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선체결부와 상기 몸체부는 경사부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와 하면부의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좌우측 중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치우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형성된 체결부와 삽입부가 서로 같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와 하면부의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좌우측 중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반대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형성된 체결부와 삽입부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형성된 체결부와 삽입부 중 어느 일측에는 내부에 구멍형상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삽입부 중 상기 볼트체결홀과 마주하는 측면은 볼트가 체결하기 위해 오목하게 오목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체결부는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8.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하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의 양측면은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체결부가 몸체부 후방에서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선체결부와 상기 몸체부는 경사부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좌 우측 중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치우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삽입부는 일측의 체결부에는 구멍형상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반대측의 삽입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삽입부 중 상기 볼트체결홀과 마주하는 측면은 볼트가 체결하기 위해 오목하게 오목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체결부는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14.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부와 하면 부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과의 체결을 위한 전선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지용 고리단자의 각각의 전선체결부가 상기 몸체부 후방의 좌우측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전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적층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고리단자.
KR1020040058911A 2004-07-27 2004-07-27 접지용 고리단자 KR10060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911A KR100608934B1 (ko) 2004-07-27 2004-07-27 접지용 고리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911A KR100608934B1 (ko) 2004-07-27 2004-07-27 접지용 고리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280A true KR20060010280A (ko) 2006-02-02
KR100608934B1 KR100608934B1 (ko) 2006-08-08

Family

ID=3712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911A KR100608934B1 (ko) 2004-07-27 2004-07-27 접지용 고리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45Y1 (ko) * 2013-10-16 2015-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접지용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45Y1 (ko) * 2013-10-16 2015-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접지용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934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8940A (en) Electrical junction device
JPS607012Y2 (ja) 電線相互接続用の端子ブロック
US8142234B2 (en) Terminal block and method of assembling it
US8337257B2 (en) Busbar circuit structure and terminal block
US7749031B2 (en) Lever lock battery clamp terminal
US1032574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5081549B2 (ja) 端子の接続部構造
US5082452A (en) Clamp-type electrical connectors
US8251756B2 (en) Nut holding means within a busbar housing
US5488337A (en) Circuit breaker with distribution lug terminal having trapped insulator
EP1675221A1 (en) Axially actuated battery terminal post clamp
US9247668B2 (en) Power converter designed to minimize mechanical vibration of converter component
WO2013005516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US6220874B1 (en) Wire harness assembly
US20050266725A1 (en) Clamping connector for flexible ribbon cables
KR100608934B1 (ko) 접지용 고리단자
US5580284A (en) Electrical wire connector
US6268996B1 (en) Capacitor connector, especially for an electrolytic power capacitor
US20040002252A1 (en) Modular plug
JP2011081990A (ja) 端子台
JPS6332026B2 (ko)
KR20060010282A (ko) 접지용 고리 단자
JPH049736Y2 (ko)
JP2019204596A (ja) 配線モジュール
US5767761A (en) Fusible link conne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