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171A -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171A
KR20200130171A KR1020200054619A KR20200054619A KR20200130171A KR 20200130171 A KR20200130171 A KR 20200130171A KR 1020200054619 A KR1020200054619 A KR 1020200054619A KR 20200054619 A KR20200054619 A KR 20200054619A KR 20200130171 A KR20200130171 A KR 2020013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fixture
skin
attachment portio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980B1 (ko
Inventor
춘웨이 헝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20013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Abstract

(과제) 대략 박편형상이라는 심플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물품을 걸어 둔 사용상태에서 특히 상대측 물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큰 외력에 의해서도 파손될 우려가 없고, 참신한 의장성도 얻을 수 있는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백팩 등의 상대측 물품에 부착되는 부착부(11) 및 소품류를 밴드(6)나 끈류를 통해서 매달거나 걸어 두는 훅부(13)를 가지고 있는 고정구(10)이다. 중요 부분은, 세로방향으로 긴 박편형상을 이루며, 상기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부착부(11)보다 두꺼운 강체부(12)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강체부(12)를 사이에 둔 좌측 및 우측에 부착부(11) 및 훅부(13)의 서로 다른 일방을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상대측 물품에 부착부(11)를 길이방향으로 부착한 부착상태에서 훅부(13)가 상대측 물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 전체가 상기 부착부가 부착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폭방향으로 회전 내지는 요동하여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FASTENER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물품을 걸어 두는 간이한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고정구 및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구(홀더)(10)는 대략 박편(薄片)형상을 이루며, 길이방향의 상하 단부인 부착부와, 양 부착부 사이에 형성된 걸이용 훅부(14a, 14b)를 가지고 있다. 또, 고정구(10)는 백팩(1)의 배면 좌우에 봉제(縫製)에 의해서 부착된다. 즉, 이 부착구조는 각 고정구(10)가 백팩 배면에 있어서 좌우 대상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하 단부의 부착부가 백팩 배면을 구획하고 있는 표피부와 표피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각 고정구(10)에는 헬멧(20) 측의 밴드(24a, 24b)를 걸이용 훅부(14a, 14b)의 홈에 걸어 둠으로써 헬멧(20)이 유지된다.
특허문헌 1 : 독일 실용신안 제202015103624호 명세서
상기한 고정구에서는, 도 9(a)의 사용상태에서 밴드를 통해서 백팩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큰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훅부가 휘어지거나 봉제된 상하 단부의 부착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대책으로서,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하면, 밴드 착탈성이 나빠지거나 의장성이 손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여, 대략 박편형상이라는 심플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물품을 걸어 둔 사용상태에서 특히 상대측 물품의 피부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큰 외력에 의해서도 파손되기 어렵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설명 중에서 명확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발명은, 백팩 등의 상대측 물품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소품류를 밴드나 끈류를 통해서 매달거나 걸어 두는 훅부를 가지고 있는 고정구로서, 세로방향으로 긴 박편(薄片)형상을 이루며, 상기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부착부보다 두꺼운 강체부(剛體部)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강체부를 사이에 둔 좌측 및 우측에 상기 부착부 및 상기 훅부의 서로 다른 일방을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대측 물품에 상기 부착부를 길이방향으로 부착한 부착상태에서 상기 훅부가 상기 상대측 물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 전체가 상기 부착부가 부착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폭방향으로 회전 내지는 요동하여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청구항 1 발명은 청구항 2 발명 내지 청구항 7 발명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가) 상기 강체부는 상기 부착부 및 상기 훅부보다 길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부는 상기 강체부 및 상기 훅부보다도 얇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발명).
(나) 상기 훅부는 상기 강체부와의 사이에 걸이용 홈을 구획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발명).
(다) 청구항 1 발명 내지 청구항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고정구의 부착구조로서, 상기 상대측 물품의 외면부를 구획하고 있는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상기 고정구를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대해서 상기 부착부를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부착하는 구성이다(청구항 4 발명).
(라) 상기 표피재의 피부착부인 제 1 표피부와 상기 제 1 표피부에 대해서 중합(重合)상태로 배치되는 제 2 표피부 사이에 상기 부착부를 끼워넣은 구성이다(청구항 5 발명).
(마) 상기 제 2 표피부가 내측으로 접혀진 접힘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부착부를 상기 제 1 표피부와 상기 접힘부 사이에 끼워넣은 구성이다(청구항 6 발명).
(바) 상기 표피재가 피륙계 소재(직물, 편성물, 레이스, 펠트, 부직포 등을 포함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대해서 상기 부착부를 봉제에 의해서 부착한 구성이다(청구항 7 발명).
청구항 1 발명에서는 박편형상의 고정구로서 다음과 같은 점에서 우수하다.
첫째로, 본 발명에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부착부가 박편형상의 상하 단부인 구성에 비해서, 부착부를 상대측 물품에 부착한 부착상태에서 훅부가 상대측 물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 전체가 상기 부착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내지는 요동함으로써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파손의 우려를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박편형상의 길이는, 부착부가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단부를 걸어매는 구성에 비해서 짧게 할 수 있어 디자인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둘째로, 특허문헌 1의 고정구에서는 부착부가 박편형상의 상하 단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단부 사이의 중간부와 상대측 물품 사이에 생기는 틈새에 이물질 등이 쌓이거나, 예를 들면 혼잡한 지하철 내에서 타인의 끈이나 단추 등이 상기 틈새에 불필요하게 걸리는 우려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대측 물품에 대해서 부착부를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부착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을 일소하여 청결감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발명에서는, 도 1(a) 및 도 5(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구를 상대측 물품에 부착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고 또한 부착부보다 두꺼운 강체부에 의해서 제 1 표피부와 제 2 표피부 사이를 보기 어렵게 함으로써 외관이나 디자인의 참신성을 발휘하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부착부가 강체부 및 훅부보다도 얇게 형성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제에 의해서 부착하기 쉽게 되고, 게다가 부착부를 표피재의 피부착부(제 1 표피부)와 제 2 표피부 사이에 끼워넣었다 하더라도 너무 두껍게 되어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기능한다.
청구항 3 발명에서는, 훅부가 강체부와의 사이에 걸이용 홈를 구획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강도를 부여하거나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4 발명에서는, 상대측 물품의 외면부를 구획하고 있는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대해서 부착부를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봉제 등에 의해서 부착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박편형상의 상측과 하측의 2개소를 봉제하는 구성에 비해서 부착 조작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5 발명에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부가 제 1 표피부와 제 2 표피부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봉제 등에 의해서 부착되는 관계로부터, 고정구 중 편측 대략 절반이 보이지 않게 되어 참신한 의장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 발명에서는, 제 2 표피부가 내측으로 접혀진 접힘부를 가지고 있고, 부착부가 제 1 표피부와 접힘부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제 등의 봉제라인도 보이지 않게 되어 의장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 발명에서는, 표피재가 유연성이 있는 피륙계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대해서 부착부를 봉제에 의해서 효율좋게 부착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구의 부착상태에서는 참신한 외관이 되기 때문에 백팩이나 숄더백 등의 신변 물품에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정구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b)는 상기 고정구 단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고정구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좌측면도, (b)는 상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하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구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도 2(b)의 A방향에서 본 확대도, (b)와 (c)는 도 2(b)의 B-B선 확대 단면도와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고정구의 피부착부로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외관도, 도 4(b)는 도 4(a)를 상하 역전한 모식 외관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5(b)는 도 5(a)의 D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5(a)의 E방향에서 본 도면, 도 6(b)는 도 5(a)의 F-F선 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고정구의 제 1 변형례를 나타내며, (a)는 고정구의 사시도, (b)는 피부착부에 고정구의 부착부를 봉제 이외의 방법으로 부착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고정구의 제 2 변형례를 나타내며, (a)는 고정구의 사시도, (b)는 피부착부에 고정구의 부착부를 봉제 이외의 방법으로 부착하는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특허문헌 1의 도 2와 도 3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고정구의 구조, 상대측 물품으로의 부착구조, 사용례, 변형례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구의 구조)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정구(10)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박편형상을 이루는 수지의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진다. 또, 고정구(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강체부(12)와, 강체부(1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일체화된 부착부(11)와, 강체부(12)의 우측 또는 좌측에 일체화된 훅부(13)를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이 고정구(10)는 부착부(11)와 훅부(13)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강체부(12)의 좌측과 우측으로 나누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단면(14a) 및 하단면(14b)이 안전성 및 외관의 면에서 모두 둥그런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부착부(11)는 강체부(12)에 단차(16)를 두고서 접합된 얇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차(16)는 판폭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으로 상단면(14a)에서부터 하단면(14b)까지 직선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부착부(11)의 판두께의 설정은, 고정구(10)를 백팩 등의 상대측 물품에 부착하는 구성으로서 이물감(異物感)을 주지 않는 봉제에 의해서 부착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강체부(12)는 상측의 측면에서부터 하향으로 세로방향의 긴 홈(걸이용 홈)(15)을 형성함으로써 걸이용 훅부(13)를 구획 형성하고 있다.
또, 훅부(13)는 밴드(6)나 끈류 등을 용이하게 걸어 둘 수 있는 형상이며, 강체부(12)에 연결된 하단면(14b)에 가까운 개소인 기단부(13a)와, 기단부(13a)에서부터 상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암부(13b)와, 암부(13b)의 선단 내측으로 돌출된 작은 돌기(13c)를 가지고 있다.
긴 홈(15)은 그 입구(15a)가 밴드나 끈 등을 끼우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홈폭이 가장 넓게 형성되어 있고, 입구(15a)에 연속하는 개소가 밴드 등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비직선인 사행(蛇行) 홈(15b)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행 홈(15b)에 연속하는 하측이 밴드나 끈 등을 안정하게 끼워 둘 수 있도록 수직 홈(15c)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중 사행 홈(15b)은 암부(13b)의 선단 내측의 작은 돌기(13c)와, 강체부(12)의 단면에 형성되되 작은 돌기(13c)보다 약간 하측에 돌출되어 있는 작은 돌기(12a)의 존재에 의해서 비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착부(11)의 두께(T1)는 강체부(12)의 두께(T2) 및 훅부(13)의 두께(T3)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도 2(c) 참조}. 상기 부착부(11)의 두께(T1)는 후술하는 제 1 표피부(2) 및 제 2 표피부(3)에 대한 봉제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로 가능한 한 얇게 설정되고, 또한 훅부(13) 내지는 전체가 봉제라인(4)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구비하도록 설정된다. 부착부(11)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고정구(10)를 부착한 부분의 요철을 작게 하여 외관을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강체부(12)의 두께(T2)는 부착부(11)의 두께(T1)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훅부(13)에 헬멧 등의 물품을 걸어 두었을 때, 그 하중을 견뎌내어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한다. 강체부(12)의 상하 단부는 고정구(10)의 상단면(14a) 및 하단면(14b)을 대략 구획 형성하고 있다. 또, 고정구(10)의 길이는 통상 10c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많으나, 10cm보다 길어도 상관없다.
(부착구조)
이상의 고정구(10)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상대측 물품인 백팩의 배면 측에 있어서의 좌우에 각각 부착된다. 도 1(a)는 백팩(1) 등의 상대측 물품의 외면부를 구획하고 있는 표피재의 피부착부(제 1 표피부)(2)에 2개의 고정구(10)를 좌우 대칭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 내지 도 6은 고정구(10)를 부착하는 제 1 표피부(2)와, 제 1 표피부(2)에 겹쳐지는 제 2 표피부(3)와, 고정구(10)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상의 고정구(10)는 그 부착부(11)가 제 1 표피부(2)와 제 2 표피부(3)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고, 각 표피부(2, 3)에 대해서 예를 들면 제 2 표피부(3) 측에서 부착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봉제 가공함으로써 직선상으로 부착된다. 또, 이 구성에서는,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표피부(3)가 내측으로 접혀진 접힘부(3a)를 가지고 있으며, 부착부(11)가 제 1 표피부(2)와 상기 접힘부(3a)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봉제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구조에서는, 고정구(10)를 부착한 상대측 물품인 백팩(1)을 밖에서 보았을 때, 부착부(11)는 물론 봉제라인(4)이나 바늘땀(4a)이 일절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보기에 좋은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구(10)를 상대측 물품에 부착한 상태에서 강체부(1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또한 부착부(11)보다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표피부(2)와 제 2 표피부(3) 사이를 보기 어렵게 하여 외관이나 디자인의 참신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구조에서는, 부착부(11)가 강체부(12) 및 훅부(13)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제에 의해서 부착하기 쉽게 되고, 게다가 부착부(11)를 표피재의 피부착부(제 1 표피부)(2)와 제 2 표피부(3) 사이에 끼워넣었다 하더라도 너무 두껍게 되어 외관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우려도 없게 된다.
(사용례)
도 1(a)는 상대측 물품인 백팩(1)에 부착된 2개의 고정구(10)에 대해서 도시하지 않은 헬멧 측의 밴드(6)를 훅부(13)에 걸어 둔 사용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걸어 두는 조작은, 1쌍의 밴드(6)를 대응하는 측의 고정구(10)의 긴 홈(15)에 삽입하여 훅부(13)에 걸어 두도록 한다. 또한, 각 밴드(6)는 긴 홈(15)에 대해서 고정구(10)의 배면측에서 표면측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훅부(13)에 걸어 두는 소품류로서는 헬멧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페트병류, 필기용구류, 도시락류, 각종 공구류 등을 담는 밴드나 끈을 가진 수용 주머니, 이것에 유사한 소품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고정구(10)에 헬멧 등의 소품을 걸어 둔 사용상태에서, 헬멧 측의 밴드(6)를 통해서 훅부(13)가 긴 홈(15)의 폭을 넓히는 방향 혹은 상대측 물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는, 도 6(b)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가 부착부(11)의 길이방향으로 봉제 가공된 봉제라인(4)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내지는 요동함으로써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이 고정구(10)는 특허문헌 1의 구성에 비해서 파손의 우려를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다. 또, 박편형상의 길이는, 부착부(11)가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상하 단부를 걸어매는 구성에 비해서 짧게 할 수 있어 디자인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정구(10)에서는 상대측 물품의 제 1 표피부(2)에 대해서 부착부(11)를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봉제 등에 의해서 부착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고정구와 같이 부착부가 박편형상의 상하 단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하 단부 사이의 중간부와 상대측 물품 사이에 생기는 틈새에 이물질 등이 쌓이거나 타인의 끈이나 단추 등이 이 틈새에 불필요하게 걸리게 된다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어 청결감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부(11)가 제 1 표피부(2)와 제 2 표피부(3)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봉제 등에 의해서 부착되는 관계로부터, 고정구(10) 중 길이방향의 편측 대략 절반이 보이지 않게 되어 참신한 의장감을 얻을 수 있다.
(제 1 변형례)
도 7(a)는 상기한 고정구(10)의 제 1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그 부착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는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된 기재를 극력 생략한다.
이 고정구(10)는 부착부(11)에 형성된 복수의 부착구멍(11a)을 가지고 있다. 각 부착구멍(11a)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수단으로서 코킹이나 호크 고정, 즉 축형상 고정부재(9A)에 대응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구조에서는, 고정구(10)는 상대측 물품의 표피재에 설정된 피부착부(제 1 표피부)(7)와 제 2 표피부(8) 사이에 부착부(11)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축형상 고정부재(9A)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표피부(7, 8)에는 관통구멍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적어도 상대측 물품을 구성하고 있는 표피재의 피부착부(제 1 표피부)(7)의 소재로서, 예를 들면 가죽제품 내지는 이것에 유사한 비교적 딱딱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예이다.
(제 2 변형례)
도 8(a)는 상기한 고정구(10)의 제 2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그 부착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설명에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는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변경점을 명확하게 한다.
이 고정구(10)는 부착부(11)에 형성된 긴 구멍(11b)을 가지고 있다. 이 긴 구멍(11b)은 곧은 홈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구멍폭이 부착부의 강성을 고려하여 부착부(11)의 판폭의 약 1/3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구조에서는, 고정구(10)는 상대측 물품의 표피재에 설정된 피부착부(제 1 표피부)(7)와 제 2 표피부(8) 사이에 부착부(11)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호치키스(9B)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각 표피부(7, 8)의 대응부가 긴 구멍(11b) 내로 약간 압입되어 있어 호치키스(9B)가 눈에 띄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도 상대측 물품을 구성하고 있는 표피재의 피부착부(제 1 표피부)(7)의 재질로서 두꺼운 천이나 부직포 내지는 이것에 유사한 재질에 있어서 매우 적합한 예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부는 제 1 변형례나 제 2 변형례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 고정구의 용도도 백팩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가죽류로서 란도셀, 숄더백, 보스톤백, 이것에 유사한 가방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1 - 백팩(상대측 물품) 2 - 표피재의 피부착부(제 1 표피부)
3 - 제 2 표피부 4 - 봉제라인
4a - 바늘땀 6 - 밴드(소품류 측의 밴드 내지는 벨트)
7 - 표피재의 피부착부(제 1 표피부)
8 - 제 2 표피부 9A - 코킹 등의 축형상 고정부재
9B - 호치키스 10 - 고정구
11 - 부착부 11a - 부착구멍
11b - 긴 구멍 12 - 강체부(剛體部)
13 - 훅부 14a - 상단면
14b - 하단면 15 - 긴 홈(걸이용 홈)
15a - 입구

Claims (7)

  1. 백팩 등의 상대측 물품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소품류를 밴드나 끈류를 통해서 매달거나 걸어 두는 훅부를 가지고 있는 고정구로서,
    세로방향으로 긴 박편형상을 이루며, 상기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부착부보다 두꺼운 강체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강체부를 사이에 둔 좌측 및 우측에 상기 부착부 및 상기 훅부의 서로 다른 일방을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대측 물품에 상기 부착부를 길이방향으로 부착한 부착상태에서 상기 훅부가 상기 상대측 물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 전체가 상기 부착부가 부착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폭방향으로 회전 내지는 요동하여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는 상기 부착부 및 상기 훅부보다 길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부는 상기 강체부 및 상기 훅부보다도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강체부와의 사이에 걸이용 홈을 구획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구의 부착구조로서,
    상기 상대측 물품의 외면부를 구획하고 있는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상기 고정구를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대해서 상기 부착부를 박편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의 부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피재의 피부착부인 제 1 표피부와 상기 제 1 표피부에 대해서 중합상태로 배치되는 제 2 표피부 사이에 상기 부착부를 끼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피부가 내측으로 접혀진 접힘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부착부를 상기 제 1 표피부와 상기 접힘부 사이에 끼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의 부착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피재가 피륙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피재의 피부착부에 대해서 상기 부착부를 봉제에 의해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의 부착구조.
KR1020200054619A 2019-05-10 2020-05-07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 KR102298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9613A JP7071025B2 (ja) 2019-05-10 2019-05-10 留め具及びその取付構造
JPJP-P-2019-089613 2019-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171A true KR20200130171A (ko) 2020-11-18
KR102298980B1 KR102298980B1 (ko) 2021-09-06

Family

ID=7096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619A KR102298980B1 (ko) 2019-05-10 2020-05-07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71025B2 (ko)
KR (1) KR102298980B1 (ko)
DE (1) DE202020102604U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3624U1 (de) 2014-07-09 2015-07-16 Vaude Gmbh & Co. Kg Rucksack mit einer Halterung für einen Fahrradhelm
US20180343982A1 (en) * 2017-06-02 2018-12-06 Teng-Yao Chang Ban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301B2 (ja) * 1991-08-30 1996-08-21 株式会社ユタックス テ―プ付合成樹脂着脱具
JP2001078807A (ja) 1999-09-14 2001-03-27 Morito Co Ltd スナップファスナ
WO2013106296A1 (en) 2012-01-09 2013-07-18 Illinois Tool Works Inc. Over molded g-hook
JP6516816B1 (ja) 2017-11-13 2019-05-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液体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3624U1 (de) 2014-07-09 2015-07-16 Vaude Gmbh & Co. Kg Rucksack mit einer Halterung für einen Fahrradhelm
US20180343982A1 (en) * 2017-06-02 2018-12-06 Teng-Yao Chang B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980B1 (ko) 2021-09-06
JP2020185038A (ja) 2020-11-19
DE202020102604U1 (de) 2020-05-19
JP7071025B2 (ja)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024B1 (en) Covering
US9027808B2 (en) Holders for mobile devices
WO2015040526A1 (en) Suitcase with removable internal lining
USD613501S1 (en) Expandable pouches combined with belt
US8777076B1 (en) Multifunctional organizer and method of making
KR20200130171A (ko) 고정구 및 그 부착구조
JP6162243B2 (ja) バッグ
JP3219451U (ja) 吊下式収納部材
WO2021038719A1 (ja) 背負いカバン用ショルダーベルト及び背負いカバン
RU202821U1 (ru) Органайзер подвесной
JP7419694B2 (ja) 小物類収納ケース
CN220494489U (zh) 一种背包及应用于背包的附属包
CN216268840U (zh) 吊紧面料结构及包括该吊紧面料结构的座椅
JP7116876B2 (ja) ランドセル
WO2003003863A1 (en) Removable pocket structure
JP3045107U (ja) ベッド用小物入れ
USD969482S1 (en) Expandable pouches combined with a belt
KR200389617Y1 (ko) 쿠션
JP3186193U (ja) 携帯用小物入れ
JP3153663U (ja) 携帯品類の吊り下げ用腰ベルト
KR200469679Y1 (ko) 악기 수납용 가방
KR200185874Y1 (ko) 수납주머니가 달린 방석
JP3061342U (ja) 携帯電話器用ポケット付手提袋
JP2012090933A (ja) 枕元ポケット
JP3194540U (ja) ナプキン掛け具およびナプ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