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372A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372A
KR20200129372A KR1020190053677A KR20190053677A KR20200129372A KR 20200129372 A KR20200129372 A KR 20200129372A KR 1020190053677 A KR1020190053677 A KR 1020190053677A KR 20190053677 A KR20190053677 A KR 20190053677A KR 20200129372 A KR20200129372 A KR 2020012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film
stretching
flexibl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471B1 (ko
Inventor
김건욱
허영민
이세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30448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12937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471B1/ko
Priority to TW109114372A priority patent/TWI726704B/zh
Priority to US16/863,602 priority patent/US11745470B2/en
Priority to JP2020081790A priority patent/JP7341944B2/ja
Priority to CN202010381808.4A priority patent/CN111909403B/zh
Publication of KR2020012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65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the hydroxy and carboxylic ester groups being bound to aromatic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을 인장하고 이완하는 사이클에서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를 조절하고, 특히 면내 수직한 두 방향에 대한 변형 치수 간의 비율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반복 폴딩에도 원래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되어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POLYESTER FILM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구현예는 인장 사이클 특성이 제어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IT 기기의 발달에 따른 수요에 힘입어 거듭 발전하고 있고,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벤디드(bended) 디스플레이 등의 기술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최근 대화면과 휴대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모바일 기기 분야에서, 외력에 따라 유연성 있게 휘어지거나 폴딩(folding)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장치가 선호되고 있다. 특히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작게 만들어 휴대성을 높이고, 사용할 때는 넓게 펼쳐서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이와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폴딩되는 방향의 안쪽에 화면이 위치하는 인폴딩(in-folding) 타입(1)과, 폴딩되는 방향의 바깥쪽에 화면이 위치하는 아웃폴딩(out-folding) 타입(2)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로 적용되는 투명 기재(200)로는, 예를 들어 인폴딩 타입에서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아웃폴딩 타입에서는 초박형 글래스(UTG)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투명 기재(200)의 표면에는 충격 완화, 비산 방지, 스크래치 방지 등을 위해 보호 필름(100)이 적용되고 있는데, 최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 필름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09746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소재에서 유연성 못지 않게 중요한 특성은, 잦은 휘어짐이나 폴딩에도 본래의 특성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일반적인 소재는 완전히 폴딩했다가 펼치면 자국이 생겨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소재의 개발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여, 인폴딩 타입(1)의 경우 안쪽으로 작게 폴딩되는 지점(a)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으로 인한 변형에 의해, 또한 도 5b를 참조하여, 아웃폴딩 타입(2)의 경우 바깥으로 크게 폴딩되는 지점(b)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으로 인한 변형에 의해, 보호 필름(100) 등에 백화나 크랙이 발생하여 특성이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백화 및 크랙은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보호 필름의 모듈러스가 낮을 경우 해결될 수 있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대체로 상온에서 모듈러스가 커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때 백화 및 크랙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필름을 인장 및 이완하는 사이클에서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를 조절하고, 특히 면내 수직한 두 방향에 대한 변형 치수 간의 비율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반복 폴딩에도 원래의 특성이 유지되는 필름을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구현예의 과제는 필름을 인장 및 이완하는 사이클에 따른 변형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커버에 요구되는 특성을 구현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현예의 다른 과제는 다수의 반복 폴딩 시에도 원래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투명 커버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공된다:
V2 / V1 ≤ 1.2 ... (1)
상기 식에서 V1 및 V2는, 각각 면내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면내 제 2 방향에 대해, 초기 대비 2 mm 인장하고 10초간 유지 후 이완하여 10초간 유지하는 과정을 10회 반복한 후에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mm)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트상으로 형성하고 이축 연신하여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투명 커버; 및 상기 투명 커버 상에 배치되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커버에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을 인장 및 이완하는 사이클에서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를 조절하고, 특히 면내 수직한 두 방향에 대한 변형 치수 간의 비율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되어 다수의 반복 폴딩에도 원래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되어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필름을 인장 및 이완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초기 대비 변형되는 치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 1의 필름의 각 방향(MD 및 TD)에 대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3b는 비교예 1의 필름의 각 방향(MD 및 TD)에 대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4b는 필름의 각 방향(MD 및 TD)에 대해 사이클에 따른 초기 대비 변형 치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5b는 각각 인폴딩(in-folding) 및 아웃폴딩(out-folding) 타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구현예에서 설명되는 각 필름, 시트, 또는 층 등이 각 필름, 시트, 또는 층 등의 "상(on)"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물성 값, 치수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수치 범위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아래 식 (1)을 만족한다:
V2 / V1 ≤ 1.2 ... (1)
상기 식에서 V1 및 V2는, 각각 면내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면내 제 2 방향에 대해, 초기 대비 2 mm 인장하고 10초간 유지 후 이완하여 10초간 유지하는 과정을 10회 반복한 후에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mm)이다.
상기 각 사이클 중에 필름을 인장하는 치수 및 사이클 이후의 변형된 치수는, 모두 상기 사이클이 한번도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초기 치수를 기준으로 한다.
도 1a는 필름을 인장 및 이완하는 사이클에서 인장 치수에 따른 응력의 곡선을 나타내며, 도 1b는 사이클 반복 시에 초기 대비 변형되는 치수를 나타낸다.
도 1a에서 보듯이, 먼저 필름에 인장력을 가하여 초기 대비 2 mm 인장하고(1), 상기 가해진 인장력에 변화를 주지 않은 상태로 10초간 유지한다(2). 이후 상기 필름에 가하던 인장력을 제거하여 이완하고(3), 인장력이 모두 제거된 상태로 10초간 유지한다(4). 이상의 과정을 1회 사이클로 하여 총 10회 반복한다.
도 2a에서 보듯이, 1번째 사이클이 종료된 필름은 초기 치수로 완전히 복귀되지 않고 약간 증가된 치수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2번째 사이클은 초기 치수 대비 필름이 약간 치수가 증가된 상태에서 시작하게 되고, 2번째 사이클이 종료된 필름은 1번째 사이클이 종료된 시점의 치수보다 좀 더 증가된 치수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사이클이 반복될수록 각 사이클의 종료 시점에 필름이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인장 및 이완하는 사이클에서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를 조절하고, 특히 면내 수직한 두 방향에 대한 변형 치수 간의 비율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되어 다수의 반복 폴딩에도 원래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V1은 1.0 mm 이하, 0.7 mm 이하, 0.6 mm 이하, 0.5 mm 이하, 또는 0.45 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V1은 0.3 mm 내지 1.0 mm, 0.3 mm 내지 0.7 mm, 또는 0.4 mm 내지 0.6 mm일 수 있다.
상기 V2는 1.0 mm 이하, 0.8 mm 이하, 0.7 mm 이하, 0.6 mm 이하, 또는 0.55 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V1은 0.3 mm 내지 1.0 mm, 0.35 mm 내지 0.7 mm, 또는 0.45 mm 내지 0.6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V2/V1 비율은 1.2 이하, 1.15 이하, 또는 1.1 이하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V2/V1 비율은 0.8 내지 1.2, 0.85 내지 1.15, 0.9 내지 1.1, 1 내지 1.2, 1 내지 1.15, 또는 1 내지 1.1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V2/V1 비율은 1.05 내지 1.2, 1.05 내지 1.15, 또는 1.05 내지 1.1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V2가 0.7 mm 이하이고, 이때 상기 V2/V1 비율이 1.1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V2가 0.7 mm 이하이고, 이때 상기 V1이 0.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면내 임의의 방향일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면내 수직한 방향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조 과정에서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으로 연신될 경우, 인장 응력이 이들 연신 방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방향은 필름의 길이 방향(MD) 또는 폭 방향(TD)일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이에 수직한 폭 방향(TD) 또는 길이 방향(M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이 필름의 길이 방향(MD)이고, 상기 제 2 방향이 필름의 폭 방향(TD)일 수 있다.
필름의 위상차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면내 위상차(Ro)가 1,200 nm 이하, 1,000 nm 이하, 600 nm 이하, 500 nm 이하, 400 nm 이하, 300 nm 이하, 또는 2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일 때,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면내 위상차의 하한값은 0 nm일 수 있고, 또는 광학 특성과 기계적 물성의 균형을 위해 상기 면내 위상차(Ro)의 하한값을 10 nm 이상, 30 nm 이상, 또는 50 n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5,000 nm 이상 또는 6,000 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두께 40 ㎛ 내지 50 ㎛ 기준으로 한 측정값일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일 때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결정화를 최소화하여 기계적 물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클수록 면내 위상차(Ro)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비(Rth/Ro)가 커지기 때문에 무지개 얼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무지개 얼룩을 없애기 위한 두께 한계 및 비용을 고려하여,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상한값을 16,000 nm 이하, 15,000 nm 이하, 또는 14,000 nm 이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내 위상차(in-plane retardation, Ro)는, 필름의 평면 내의 직교하는 2개의 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nx-ny|)과 필름 두께(d)의 곱(△nxy×d)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로서, 광학적 등방성 또는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란, 필름 두께 방향의 단면에서 봤을 때의 2개의 복굴절인 △nxz(=|nx-nz|) 및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d)를 곱하여 얻어지는 위상차의 평균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면내 위상차(Ro)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비(Rth/Ro)가 10 이상, 15 이상 또는 20 이상일 수 있다. 면내 위상차(Ro)는 작을수록,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클수록 무지개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므로 양 수치의 비(Rth/Ro)는 크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조성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이 중축합된 단일중합체 수지 또는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단일중합체 수지 또는 공중합체 수지가 혼합된 블렌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설폰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산, 헥사하이드로이소프탈산, 말론산, 디메틸말론산, 석신산, 3,3-디에틸석신산, 글루타르산, 2,2-디메틸글루타르산, 아디프산, 2-메틸아디프산트리메틸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수베르산, 도데카디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디올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데카메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결정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구체적으로 PET 수지를 약 8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90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또는 99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PET 수지 이외에 다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약 15 중량% 이하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약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PEN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가열, 연신 등을 거치는 제조 과정에서 결정화도가 상승하고,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필름의 특성 및 용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0 ㎛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80 ㎛, 20 ㎛ 내지 60 ㎛ 또는 40 ㎛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연신된 필름인 것이 결정성이 높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면내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면내 제 2 방향에 대해 이축 연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 연신비는 2.0 내지 5.0이며, 구체적으로 2.8 내지 3.5, 또는 3.3 내지 3.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 연신비는 2.0 내지 5.0이며, 구체적으로 2.9 내지 3.7, 또는 3.5 내지 3.8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3.3 내지 3.5의 길이 방향 연신비, 및 3.5 내지 3.8의 폭 방향 연신비로 이축 연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 연신비(d1)에 대한 상기 제 2 방향 연신비(d2)의 비율(d2/d1)은 1.2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 내지 1.2, 1.0 내지 1.1, 1.0 내지 1.15, 또는 1.05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135°각도의 반복 폴딩 횟수가 100회 이상, 1000회 이상, 1만회 이상, 5만회 이상, 10만회 이상, 15만회 이상 또는 20만회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135°각도의 반복 폴딩 횟수가 10만회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일 때, 잦은 폴딩에도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이 유리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기 보호 필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인폴딩 타입에서 안쪽으로 작게 폴딩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변형 뿐만 아니라, 아웃폴딩 타입에서 바깥으로 크게 폴딩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서도, 원래의 특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트상으로 형성하고 이축 연신하여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V2 / V1 ≤ 1.2 ... (1)
상기 식에서 V1 및 V2는, 각각 면내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면내 제 2 방향에 대해, 초기 대비 2 mm 인장하고 10초간 유지 후 이완하여 10초간 유지하는 과정을 10회 반복한 후에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mm)이다.
이때 상기 방법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식 (1)을 만족하도록 조성 및 공정 조건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최종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식 (1)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압출 및 캐스팅 온도를 조절하고, 연신 시의 예열 온도, 각 방향별 연신비, 연신온도, 이동 속도 등을 조절하거나, 연신 이후에 열고정 및 이완을 수행하면서 열고정 온도 및 이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미연신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 필름의 원료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조성은 앞서 예시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압출은 230℃ 내지 300℃, 또는 250℃ 내지 28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연신하기 전 일정 온도에서 예열될 수 있다. 상기 예열 온도의 범위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를 기준으로 Tg+5℃ 내지 Tg+50℃ 범위를 만족하고, 이와 동시에, 70℃ 내지 90℃의 범위를 만족하는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상기 필름이 연신되기에 용이한 유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연신 중에 파단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신은 이축 연신으로 수행되며, 예를 들어 동시 이축연신법 또는 축차 이축연신법을 통해 길이 방향(또는 기계 방향)(MD) 및 폭 방향(또는 텐터 방향)(TD)의 2축으로 연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먼저 한 방향으로 연신한 다음 그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이축연신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신의 속도는 6.5 m/min 내지 8.5 m/min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길이 방향 연신비는 2.0 내지 5.0이며, 구체적으로 2.8 내지 3.5, 또는 3.3 내지 3.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방향 연신비는 2.0 내지 5.0이며, 구체적으로 2.9 내지 3.7, 또는 3.5 내지 3.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 연신비(d1)에 대한 폭 방향 연신비(d2)의 비율(d2/d1)은 1.2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 내지 1.2, 1.0 내지 1.1, 1.0 내지 1.15, 또는 1.05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d1, d2)는 연신 전의 길이를 1.0으로 했을 때, 연신 후의 길이를 나타내는 비이다.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연신 이후에, 연신된 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고정은 200℃ 이하의 온도, 구체적으로 180℃ 내지 19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고정은 5초 내지 1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0초 내지 4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고정을 시작한 후에 필름은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온도 범위는 150℃ 내지 250℃일 수 있다. 상기 이완은 1% 내지 10%, 2% 내지 7%, 또는 3% 내지 5%의 이완율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완은 1초 내지 1분, 2초 내지 30초, 또는 3초 내지 1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고정 이후에 필름을 냉각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은 상기 열고정 온도 대비 50℃ 내지 150℃ 더 낮은 온도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적층체]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투명 커버; 및 상기 투명 커버 상에 배치되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적층체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앞서 설명한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특성을 갖는다.
상기 투명 커버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는 고분자 필름 또는 글래스 기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커버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또는 초박형 글래스(UTG)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투명 커버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는 HB 이상의 표면경도 및 파장 550 nm에서 80% 이상의 광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커버는 두께 50 ㎛를 기준으로 황색도가 5 이하이고 헤이즈가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는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135°각도의 반복 폴딩 횟수가 100회 이상, 1000회 이상, 1만회 이상, 5만회 이상, 10만회 이상, 15만회 이상 또는 20만회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잦은 폴딩에도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커버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일 수 있고,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이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135°각도의 반복 폴딩 횟수가 10만회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기 적층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인폴딩 타입에서 안쪽으로 작게 폴딩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변형 뿐만 아니라, 아웃폴딩 타입에서 바깥으로 크게 폴딩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서도, 특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일 구현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커버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적층체(투명 커버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되는 방향에 따라 인폴딩(in-folding) 타입 또는 아웃폴딩(out-folding) 타입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상기 적층체는, 앞서 설명한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상기 적층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인장 및 이완하는 사이클에 따른 변형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커버에 요구되는 특성을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상기 적층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되어 다수의 반복 폴딩 시에도 원래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압출기에서 약 250~280℃에서 압출 및 캐스팅하여 미연신 시트(sheet)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약 70~90℃에서 예열하고, 길이 방향(MD)에 대해 약 3~3.5배 및 폭 방향(TD)에 대해 약 3.5~4배로 연신하였다. 이후, 연신된 시트를 약 185~240℃에서 열고정하고, 3~5%의 이완율로 3~10초간 이완하고 냉각하였다. 상기 연신 시의 예열 온도, 각 방향별 연신비, 연신 온도, 연신 속도, 열고정 온도 및 이완율을 조절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다양한 인장 사이클 특성을 갖는 두께 4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들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인장 사이클 특성은, 초기 대비 2 mm 인장하고 10초간 유지 후 이완하여 10초간 유지하는 사이클(도 1a 참조)을, 각 방향(MD 및 TD) 별로 반복한 후에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도 1b 참조)이며, 이때 필름 폭 15 mm, 초점 거리 50 mm, 인장 속도 10 mm/min, 및 사이클 반복 횟수 10회를 기준으로 하였다.
구 분 각 방향별 10회 인장
사이클 후 변형 치수(mm)
변형 치수 비율
MD TD TD/MD
실시예 1 0.49 0.55 1.12
실시예 2 0.47 0.51 1.08
실시예 3 0.44 0.51 1.16
비교예 1 0.47 0.81 1.72
비교예 2 0.47 0.71 1.51
비교예 3 0.43 0.74 1.72
비교예 4 0.46 0.76 1.65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에 대한 각 방향별 인장 사이클 특성을 도 2a 내지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 1의 필름의 각 방향(MD 및 TD)에 대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3b는 비교예 1의 필름의 각 방향(MD 및 TD)에 대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4b는 필름의 각 방향(MD 및 TD)에 대해 사이클 반복 횟수에 따른 초기 대비 변형 치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및 도면에서 보듯이, 실시예와 비교예의 필름들은 MD에 대한 변형 치수는 유사하나 TD에 대한 변형 치수가 다르게 제조되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의 필름들은 MD에 대한 변형 치수가 0.5 mm 이하이면서 TD에 대한 변형 치수가 0.6 mm 이하로 조절되었으나, 비교예의 필름들은 MD에 대한 변형 치수가 0.5 mm 이하이면서 TD에 대한 변형 치수가 0.7mm 이상으로 조절되었다.
시험예 1: 폴딩 평가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샘플에 대해서 ASTM D 2176 및 TAPPI T 511에 의거한 MIT 폴딩 테스트(MIT folding test)를 폴딩내구성시험기(folding endurance tester, MIT-DA, Toyoseiki사)에 의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MIT 폴딩 테스트는 135°의 폴딩 각도, 폭 10 mm의 샘플 사이즈, 500 gf의 하중, 0.38R의 곡률반경, 및 175회/분의 폴딩 속도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크랙이나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반복 폴딩 횟수를 측정하였다.
구 분 135˚ 폴딩 횟수
실시예 1 234,000
실시예 2 187,000
실시예 3 253,000
비교예 1 67,000
비교예 2 89,000
비교예 3 76,000
비교예 4 91,000
상기 표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필름은 각 방향별 10회 인장 사이클 후 변형 치수 간의 비율(TD/MD)이 1.2 이하인 특성을 가짐으로써, 10만회 이상의 반복 폴딩 시에도 크랙이나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4의 필름은 각 방향별 10회 인장 사이클 후 변형 치수 간의 비율(TD/MD)이 1.2 초과인 특성을 가짐으로써, 크랙이나 파단이 발생하기까지의 반복 폴딩 횟수가 10만회 미만이었다.
1: 인폴딩 타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아웃폴딩 타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0: 보호 필름, 200: 투명 커버,
3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몸체,
a, b: 폴딩되는 지점.

Claims (12)

  1.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V2 / V1 ≤ 1.2 ... (1)
    상기 식에서 V1 및 V2는, 각각 면내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면내 제 2 방향에 대해, 초기 대비 2 mm 인장하고 10초간 유지 후 이완하여 10초간 유지하는 과정을 10회 반복한 후에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mm)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2가 0.7 mm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2/V1 비율이 1.1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1이 0.5 mm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이 필름의 길이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이 필름의 폭 방향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3.3 내지 3.5의 길이 방향 연신비, 및
    3.5 내지 3.8의 폭 방향 연신비로 이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135°각도의 반복 폴딩 횟수가 10만회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에 적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트상으로 형성하고 이축 연신하여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V2 / V1 ≤ 1.2 ... (1)
    상기 식에서 V1 및 V2는, 각각 면내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면내 제 2 방향에 대해, 초기 대비 2 mm 인장하고 10초간 유지 후 이완하여 10초간 유지하는 과정을 10회 반복한 후에 초기 대비 변형된 치수(mm)이다.
  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투명 커버; 및 상기 투명 커버 상에 배치되는 제 1 항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가 폴리이미드계 필름이고,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이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의 135°각도의 반복 폴딩 횟수가 10만회 이상인, 적층체.
  12. 제 1 항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커버에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53677A 2019-05-08 2019-05-08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77A KR102308471B1 (ko) 2019-05-08 2019-05-08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109114372A TWI726704B (zh) 2019-05-08 2020-04-29 聚酯膜及包含其之可撓性顯示裝置
US16/863,602 US11745470B2 (en) 2019-05-08 2020-04-30 Polyester fil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20081790A JP7341944B2 (ja) 2019-05-08 2020-05-07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CN202010381808.4A CN111909403B (zh) 2019-05-08 2020-05-08 聚酯膜及包含其的柔性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77A KR102308471B1 (ko) 2019-05-08 2019-05-08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72A true KR20200129372A (ko) 2020-11-18
KR102308471B1 KR102308471B1 (ko) 2021-10-05

Family

ID=7304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677A KR102308471B1 (ko) 2019-05-08 2019-05-08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45470B2 (ko)
JP (1) JP7341944B2 (ko)
KR (1) KR102308471B1 (ko)
CN (1) CN111909403B (ko)
TW (1) TWI7267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29A1 (ko) * 2021-01-26 2022-08-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2231B (zh) 2020-12-07 2022-07-21 南韓商Skc股份有限公司 聚酯薄膜、其製備方法及包含其之保護薄膜
KR102305521B1 (ko) * 2021-03-04 2021-09-30 주식회사 오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플레이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2974A (ko) * 1999-04-19 2001-06-25 히라이 가쯔히꼬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자기기록 매체
KR100550081B1 (ko) * 1997-12-18 2006-10-24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KR20170072885A (ko) * 2014-10-17 2017-06-27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필름 및 적층체
KR20170109746A (ko)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KR20180046836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WO2018159285A1 (ja) * 2017-03-02 2018-09-07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の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KR20180102306A (ko) * 2017-03-07 2018-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421B2 (ja) * 1989-03-30 1997-05-21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303338B2 (ja) * 1992-07-14 2002-07-22 東レ株式会社 改質ポリエステルおよびフィルム
JP3880182B2 (ja) * 1997-12-24 2007-02-14 帝人株式会社 金属板貼合せ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57700B2 (ja) * 2003-04-25 2007-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7888405B2 (en) * 2004-01-30 2011-02-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liphatic-aromatic polyester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7114258A1 (ja) * 2006-03-31 2007-10-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光拡散性フィルム
JP5962648B2 (ja) * 2012-01-24 2016-08-03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30474A1 (ja) * 2012-08-21 2014-02-27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683286B (zh) * 2013-10-28 2017-07-21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阻燃性双轴取向聚酯膜、由其形成的阻燃性聚酯膜层合体和柔性电路基板
KR20230143619A (ko) 2015-09-02 2023-10-12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푸란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672819B2 (ja) 2016-01-18 2020-03-25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3411228A1 (en) * 2016-02-05 2018-12-1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oldable cover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e, and device comprising the foldable cover assembly
CN108367560B (zh) * 2016-02-18 2021-02-19 富士胶片株式会社 装饰膜、图像显示装置、触摸面板以及装饰膜的制造方法
KR101973163B1 (ko) * 2016-03-22 2019-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649591B (zh) 2016-05-31 2019-02-01 南韓商Skc股份有限公司 偏光件用保護膜、包含該膜之偏光板及具有該偏光板之顯示裝置
JP6932523B2 (ja) * 2017-03-09 2021-09-08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6912287B2 (ja) * 2017-06-27 2021-08-04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7144744B2 (ja) * 2017-10-24 2022-09-30 東洋紡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の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081B1 (ko) * 1997-12-18 2006-10-24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KR20010052974A (ko) * 1999-04-19 2001-06-25 히라이 가쯔히꼬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자기기록 매체
KR20170072885A (ko) * 2014-10-17 2017-06-27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필름 및 적층체
KR20170109746A (ko)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KR20180046836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WO2018159285A1 (ja) * 2017-03-02 2018-09-07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の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KR20180102306A (ko) * 2017-03-07 2018-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29A1 (ko) * 2021-01-26 2022-08-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83527A (ja) 2020-11-12
KR102308471B1 (ko) 2021-10-05
US20200353734A1 (en) 2020-11-12
US11745470B2 (en) 2023-09-05
TW202045601A (zh) 2020-12-16
CN111909403B (zh) 2024-04-09
TWI726704B (zh) 2021-05-01
JP7341944B2 (ja) 2023-09-11
CN111909403A (zh)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083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7397813B2 (ja) 偏光子用保護フィルム、そ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それらを用いて提供される表示
KR10236395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폴리에스테르 보호 필름
KR102308471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7133601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088921B1 (ko) 광학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품
JPWO2016158635A1 (ja) 積層ガラス板
KR102540897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730268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315905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1683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9520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024492A1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含む偏光板
WO2022024493A1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含む偏光板
KR20230173342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136922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915095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