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253A -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253A
KR20200129253A KR1020190053386A KR20190053386A KR20200129253A KR 20200129253 A KR20200129253 A KR 20200129253A KR 1020190053386 A KR1020190053386 A KR 1020190053386A KR 20190053386 A KR20190053386 A KR 20190053386A KR 20200129253 A KR20200129253 A KR 2020012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tube
bobbin
accumulators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543B1 (ko
Inventor
이현락
Original Assignee
라이프 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 산업(주) filed Critical 라이프 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5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5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 B65H2701/331Hollow or hose-like material leaving an extru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튜브에 대한 압출공정의 멈춤 없이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보빈에 권취되는 정수기용 튜브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면서 보빈에 촘촘히 자동 정렬권취되게 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는,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를 권취기 측으로 안내하되, 선택적으로 승강 휠을 고정 휠에서 멀어지게 하강시켜 정수기용 튜브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려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 및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포스트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DEVICE FOR AUTOMATIC ALIGNMENT OF WATER PURIFIER EXTRUSION TUBE}
본 발명은 정수기용 튜브에 대한 압출공정의 멈춤 없이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보빈에 권취되는 정수기용 튜브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면서 보빈에 촘촘히 자동 정렬권취되게 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등에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튜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수기용 튜브는 피팅 부재를 매개로 정수기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정수기용 튜브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정수기용 튜브는 통상의 압출성형(壓出成形)을 통해 제조된다.
다시 말해, 정수기용 튜브는 압출기를 이용해 펠릿(pellet) 또는 컴파운드(compound) 형태로 제공되는 수지 재료를 용융시킨 후, 용융된 수지를 다이(die) 측으로 압출시켜 제조되는데, 다이(die)에서는 연속적으로 정수기용 튜브가 압출되어 나오게 된다.
그리고 다이(die)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는 권취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보빈에 소정의 길이로 권취된다.
한편, 정수기용 튜브가 보빈에 소정의 길이로 권취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정수기용 튜브를 커팅한 후 새로운 보빈을 권취기에 장착시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를 다시 소정의 길이로 권취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정수기용 튜브 압출공정에서는 보빈 교체시간 동안 압출공정을 멈춰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107790호(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74312 호(선행문헌 2)"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0020016 호(선행문헌 3)"에는 압출공정의 멈춤 없이 보빈 교체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장치(지연장치 또는 축적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즉, 전술한 등록특허들 및 공개특허에는 권취기의 전단 측에 배치되어 권취를 위해 이송(압출)되는 자재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려 자재를 축적할 수 있게 하여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등록특허들 및 공개특허의 자재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기용 튜브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행문헌 1에서의 자재로는 리드프레임이, 선행문헌 2의 자재로는 원단이, 그리고 선행문헌 3의 자재로는 평판형태로 된 판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특허들 및 공개특허에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기용 튜브 적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기용 튜브는 선행문헌 1 내지 선행문헌 3에 개시된 자재들과 달리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릴 시 인장력에 의해 정수기용 튜브가 신장(伸長)되면서 형상이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림에 따라 이동 구간 내에서의 이송속도, 즉 정수기용 튜브의 이송속도가 보빈의 권취속도(회전속도) 보다 늘려지게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기용 튜브는 사양(직경, 재질 및 규격(내/외경 사이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굽힘저항을 가지는 특성을 보인다.
그런데, 전술한 등록특허들 및 공개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단일 사양의 자재만을 이송시키면서 텐션(tension)을 조절할 수 있게 제작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굽힘저항을 가지는 정수기용 튜브에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양에 맞추어 텐션(tension)을 조절하기 어렵고, 그로 인해 정수기용 튜브가 보빈에 촘촘하게 정렬권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선행문헌에 개시된 장치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려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되, 정수기용 튜브의 축적량의 변화에 맞춰 보빈의 권취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정수기용 튜브의 사양(직경, 재질 및 규격(내/외경 사이의 두께))에 관계없이 권취기 측으로 이송되는 정수기용 튜브의 텐션(tension)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기용 튜브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와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를 보빈에 권취되게 하는 권취기 사이에 배치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에 있어서,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는,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를 권취기 측으로 안내하되, 보빈 교환 시 승강 휠을 고정 휠에서 멀어지게 하강시켜 정수기용 튜브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려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 및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포스트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또는 제 2 포스트에는 권취기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의 승강 휠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가 구비되되, 레이저 센서는 승강 휠의 위치를 감지해 신호로 출력하고, 권취기의 컨트롤러는 레이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보빈의 권취속도 및 권취기의 트레버스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는, 정수기용 튜브의 사양에 관계없이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를 지나는 정수기용 튜브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지는 다수의 웨이트블록;을 더 포함하되, 웨이트블록은, 승강 휠의 보스에 형성된 연결 바에 끼워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연결 바는 승강 휠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승강 휠의 보스에서 승강 휠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연결 바의 직경은 승강 휠에서 승강 휠의 외측으로 그 직경이 점층적으로 넓어지며, 웨이트블록들에는 연결 바에 끼워지는 절개홈이 형성되되, 절개홈의 내측면은 연결 바에 밀착되게 경사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려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에 축적되는 정수기용 튜브의 축적량의 변화에 맞춰 보빈의 권취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권취기 측으로 이송되는 정수기용 튜브의 변형(신장 및 형상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정수기용 튜브의 사양(직경, 재질 및 규격(내/외경 사이의 두께))에 관계없이 권취기 측으로 이송되는 정수기용 튜브의 텐션(tension)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기용 튜브를 보빈에 촘촘히 자동 정렬권취 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의 배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웨이트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의 (a)는 웨이트블록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정수기용 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의 (b)는 웨이트블록이 장착 상태의 정수기용 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10)와 권취기(20) 사이에 배치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압출기(10)는 연속적으로 정수기용 튜브(T)를 압출하며, 권취기(20)는 보빈(B)을 회전시켜 압출기(10)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T)를 보빈(B)에 권취시킨다.
여기서, 압출기(10)로부터 정수기용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압출 방법은,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압출기(10)의 다이(die)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 사이에는 사이징수단, 냉각수단, 및 인취기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권취기(20)는 보빈(B)을 회전시켜 보빈(B)에 정수기용 튜브(T)를 권취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며, 권취기(20)에는 보빈(B)에 정수기용 튜브(T)가 보빈(B)의 폭 방향으로 정렬권취되도록 정수기용 튜브(T)을 유도하는 트레버스(G; traverse)가 장착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와,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를 지지하는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1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의 전체적인 뼈대를 형성한다.
프레임(110)은 압출기(10)와 권취기(20) 사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평판 형상의 바닥패널(112)과,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는 서로 간섭되지 않게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단이 바닥패널(112)의 상부면 상에 고정 장착되고, 상단은 바닥패널(112)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포스트(114a)에는 제 1 어큐뮬레이터(130a)가 지지되며, 제 2 포스트(114b)에는 제 2 어큐뮬레이터(130b)가 지지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의 전면 상에는 가이드 레일(118)이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가이드 레일(118)에는 슬라이더(120)가 가이드 레일(118)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각각의 가이드 레일(118)에는 슬라이더(1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렇게 각각의 가이드 레일(118)에 끼워진 슬라이더(120)는 가이드 레일(118)을 따라 승강 작동된다.
한편, 압출기(10)와 제 1 포스트(114a) 사이에는 압출기(10)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T)를 제 1 어큐뮬레이터(130a) 측으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휠(122a)이 배치된다. 그리고 권취기(20)와 제 2 포스트(114b) 사이에는 제 2 어큐뮬레이터(130b) 측에서 안내되는 정수기용 튜브(T)를 권취기(20) 측으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휠(122b)이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제 1 가이드 휠(12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10)와 마주하는 제 1 포스트(114a)의 일측면에서 압출기(10)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아암(124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 2 가이드 휠(12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기(20)와 마주하는 제 2 포스트(114b)의 일측면에서 권취기(20)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아암(124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제 1 가이드 휠(122a)의 림(rim) 및 제 2 가이드 휠(122b)의 림(rim)에는 정수기용 튜브(T)를 안내하면서 정수기용 튜브(T)가 이탈되지 않게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가이드 휠(122a) 및 제 2 가이드 휠(122b)은 별도의 회전 구동원이 없이 압출기(10)에서 권취기(20) 측으로 안내되는 정수기용 튜브(T)의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는 압출기(10)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T)를 형상 변형없이 촘촘하게 보빈(B)에 권취되도록 권취기(20) 측으로 안내하며, 동시에 정수기용 튜브(T)에 대한 압출공정이 멈추지 않게 하면서 보빈(B)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는 각각 고정 휠(132a, 132b)과 승강 휠(134a, 134b)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의 고정 휠(132a, 13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의 승강 휠(134a, 13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제 1 어큐뮬레이터(130a)의 고정 휠(132a)과 승강 휠(134a)은 제 1 포스트(114a)의 전면 측에 상하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제 2 어큐뮬레이터(130b)의 고정 휠(132b)과 승강 휠(134b)은 제 2 포스트(114b)의 전면 측에 상하로 마주하게 배치되는데, 승강 휠(134a, 134b)들은 각각 슬라이더(120)를 따라 승강 작동된다.
그리고 고정 휠(132a, 132b)들의 림(rim) 및 승강 휠(134a, 134b)에는 정수기용 튜브(T)를 안내하면서 정수기용 튜브(T)가 이탈되지 않게 오목한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고정 휠(132a, 132b) 및 승강 휠(134a, 134b)은 제 1 및 제 2 가이드 휠(122a, 122b)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회전 구동원이 없이 압출기(10)에서 권취기(20) 측으로 안내되는 정수기용 튜브(T)의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를 통과하는 정수기용 튜브(T)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압출기(10)에 압출되어 나오는 정수기용 튜브(T)는 제 1 가이드 휠(122a)을 통해 제 1 어큐뮬레이터(130a)의 고정 휠(132a) 측으로 안내되고, 제 1 어큐뮬레이터(130a)의 고정 휠(132a) 측으로 안내된 정수기용 튜브(T)는 제 1 어큐뮬레이터(130a)의 승강 휠(134a)을 거쳐 다시 고정 휠(132a) 측으로 안내된 후, 제 2 어큐뮬레이터(130b)의 고정 휠(132b) 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제 2 어큐뮬레이터(130b)의 고정 휠(132b) 측으로 안내된 정수기용 튜브(T)는 제 2 어큐뮬레이터(130b)의 승강 휠(134b)을 거쳐 다시 고정 휠(132b) 측으로 안내된 후, 제 2 가이드 휠(122b)을 통해 권취기(20) 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정수기용 튜브(T)를 안내하는 각각의 승강 휠(134a, 134b)은 보빈(B)에 정수기용 튜브(T) 권취 시 정수기용 튜브(T)를 잡아당기는 보빈(B)의 힘에 의해 쌍을 이루는 고정 휠(132a)의 인접위치로 상승되고, 보빈(B) 교환 시 정수기용 튜브(T)를 잡아당기는 보빈(B)의 힘이 소실되면 각각의 승강 휠(134a, 134b)은 슬라이더(120)를 따라 쌍을 이루는 고정 휠(132a, 132b)과 멀어지게 하강된다.
즉, 정수기용 튜브(T)를 안내하는 각각의 승강 휠(134a, 134b)이 슬라이더(120)를 따라 고정 휠(132a, 132b)에서 멀어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를 통과하는 정수기용 튜브(T)의 이동 구간의 거리는 증가하게 되고, 이렇게 정수기용 튜브(T)의 이동 구간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정수기용 튜브(T)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에 축적되기 때문에 정수기용 튜브(T)의 압출공정을 멈추지 않고도 보빈(B)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는 제 1 또는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의 승강 휠(134a, 134b)의 위치를 감지해 보빈(B)의 권취속도 및 트레버스(G)의 이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레이저센서(140)를 더 포함한다.
레이저센서(140)는 제 1 또는 제 2 포스트(114a, 114b)에 장착되어 제 1 또는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의 승강 휠(134a, 134b)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렇게 제 1 또는 제 2 포스트(114a, 114b)에 장착된 레이저센서(140)는 보빈(B)의 권취속도 및 트레버스(G)의 이송을 제어하는 권취기(20)의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권취기(20)의 컨트롤러는 레이서센서(140)에서 감지된 승강 휠(134a, 134b)의 위치에 따라 보빈(B)의 권취속도 및 트레버스(G)의 이송속도를 제어한다.
일례로, 보빈(B) 교환을 위해 승강 휠(134a, 134b)을 하강시키면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에는 정수기용 튜브(T)가 축적량이 증가되는데, 이때 보빈(B)의 권취속도 및 트레버스(G)의 이송속도는 레이저센서(140) 및 권취기(20)의 컨트롤러의 작동에 의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보빈(B)에 정수기용 튜브(T) 권취 시 승강 휠(134a, 134b)이 상승되면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에는 정수기용 튜브(T)의 축적량이 감소되는데, 이때 보빈(B)의 권취속도 및 트레버스(G)의 이송속도는 레이저센서(140) 및 권취기(20)의 컨트롤러의 작동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에 축적되는 정수기용 튜브(T)의 축적량의 변화에 맞춰 보빈(B)의 권취속도 및 트레버스(G)의 이송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가 정수기용 튜브(T)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리더라도 정수기용 튜브(T)가 변형(신장 및 형상의 찌그러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 상에서는 제 1 포스트(114a)에 장착된 레이저센서(14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를 지나는 정수기용 튜브(T)의 사양(직경, 재질 및 규격(내/외경 사이의 두께))에 관계없이 정수기용 튜브(T)의 텐션(tension)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블록(150)들을 더 포함한다.
웨이트블록(15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승강 휠(134a, 134b)에 끼워져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를 지나는 정수기용 튜브(T)의 텐션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서 제 1 및 제 2 포스트(114a, 114b)의 전면 외측으로 노출된 승강 휠(134a, 134b)의 보스(boss)에는 승강 휠(134a, 134b)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웨이트블록(150)이 끼워지는 연결 바(1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 바(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휠(134a, 134b)에서 승강 휠(134a, 134b)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연결 바(152)의 직경은 승강 휠(134a, 134b)에서 승강 휠(134a, 134b)의 외측으로 그 직경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웨이트블록(150)에는 신속하게 연결 바(15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홈(154)이 형성되는데, 절개홈(154)의 내측면은 연결 바(152)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제공된다.
일례로 이전의 정수기용 튜브(T)에 대한 권취공정에서 보다 굽힘저항력이 높은 또 다른 정수기용 튜브(T)에 대한 권취공정 시 또 다른 정수기용 튜브(T)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의 고정 휠(132a, 132b) 및 승강 휠(134a, 134b)에 접하지 못하고 고정 휠(132a, 132b) 및 승강 휠(134a, 134b) 외측으로 만곡된 곡률을 그리는데, 이렇게 정수기용 튜브(T)가 만곡된 곡률을 그리게 되면 텐션(tension) 조절이 어렵게 되고, 그 결과 정수기용 튜브(T)가 보빈(B)에 촘촘하게 정렬권취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도 3의 (a)와 같이 정수기용 튜브(T)가 만곡된 곡률을 그리는 상태 하에서 웨이트블록(150)을 승강 휠(134a, 134b)의 연결 바(152)에 끼우면, 웨이트블록(150)의 무게에 의해 승강 휠(134a, 134b)은 하강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정수기용 튜브(T)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의 고정 휠(132a, 132b) 및 승강 휠(134a, 134b) 사이에서 직선을 유지하면서 동시 고정 휠(132a, 132b) 및 승강 휠(134a, 134b)에 최대한 접하면서 정수기용 튜브(T)의 텐션(tension)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정수기용 튜브(T)가 보빈(B)에 촘촘하게 정렬권취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웨이트블록(150)이 다양한 무게로 제공되기 때문에 정수기용 튜브(T)의 사양에 관계없이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의 작동에 의해 정수기용 튜브(T)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려 정수기용 튜브(T)를 축적하기 때문에 보빈(B)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130a, 130b)에 축적되는 정수기용 튜브(T)의 축적량의 변화에 맞춰 보빈(B)의 권취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권취기(20) 측으로 이송되는 정수기용 튜브(T)의 변형(신장 및 형상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는 정수기용 튜브(T)의 사양(직경, 재질 및 규격(내/외경 사이의 두께))에 관계없이 권취기(20) 측으로 이송되는 정수기용 튜브(T)의 텐션(tension)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기용 튜브(T)를 보빈(B)에 촘촘히 자동 정렬권취 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110 : 프레임 114a : 제 1 포스트
114b : 제 2 포스트 118 : 가이드 레일
120 : 슬라이더 122a : 제 1 가이드 휠
122b : 제 2 가이드 휠 130a : 제 1 어큐뮬레이터
130b : 제 2 어큐뮬레이터 132a, 132b : 고정 휠
134a, 134b : 승강 휠 140 : 레이저센서
150 : 웨이트블록 152 : 연결 바

Claims (4)

  1. 정수기용 튜브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상기 정수기용 튜브를 보빈에 권취되게 하는 권취기 사이에 배치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는,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상기 정수기용 튜브를 상기 권취기 측으로 안내하되, 상기 보빈 교환 시 승강 휠을 고정 휠에서 멀어지게 하강시켜 상기 정수기용 튜브의 이동 구간의 거리를 늘려 상기 보빈 교환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포스트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포스트에는 상기 권취기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의 상기 승강 휠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승강 휠의 위치를 감지해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권취기의 컨트롤러는 상기 레이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빈의 권취속도 및 상기 권취기의 트레버스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는,
    상기 정수기용 튜브의 사양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를 지나는 상기 정수기용 튜브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지는 다수의 웨이트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웨이트블록은,
    상기 승강 휠의 보스에 형성된 연결 바에 끼워지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상기 승강 휠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승강 휠의 보스에서 상기 승강 휠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상기 연결 바의 직경은 상기 승강 휠에서 상기 승강 휠의 외측으로 그 직경이 점층적으로 넓어지며,
    상기 웨이트블록들에는 상기 연결 바에 끼워지는 절개홈이 형성되되, 상기 절개홈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 바에 밀착되게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KR1020190053386A 2019-05-08 2019-05-08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KR102205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86A KR102205543B1 (ko) 2019-05-08 2019-05-08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86A KR102205543B1 (ko) 2019-05-08 2019-05-08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53A true KR20200129253A (ko) 2020-11-18
KR102205543B1 KR102205543B1 (ko) 2021-01-20

Family

ID=7369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386A KR102205543B1 (ko) 2019-05-08 2019-05-08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5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327B1 (ko) * 1994-09-12 1997-12-03 홍영철 신,연선기의 권취조절장치
KR100825063B1 (ko) * 2006-08-25 2008-04-24 주식회사 효성 권선기
KR100890221B1 (ko) * 2008-04-22 2009-03-25 타포스주식회사 전자가속기를 이용한 시트가공용 시트의 연속 공급 및권취장치
KR101045532B1 (ko) * 2011-02-21 2011-06-30 (주)선우엔지니어링 자동 정렬 권취기
KR101356991B1 (ko) * 2013-01-04 2014-02-12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전선 풀림 장치
KR101758888B1 (ko) * 2015-03-31 2017-07-18 원평산업 주식회사 벨트 공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327B1 (ko) * 1994-09-12 1997-12-03 홍영철 신,연선기의 권취조절장치
KR100825063B1 (ko) * 2006-08-25 2008-04-24 주식회사 효성 권선기
KR100890221B1 (ko) * 2008-04-22 2009-03-25 타포스주식회사 전자가속기를 이용한 시트가공용 시트의 연속 공급 및권취장치
KR101045532B1 (ko) * 2011-02-21 2011-06-30 (주)선우엔지니어링 자동 정렬 권취기
KR101356991B1 (ko) * 2013-01-04 2014-02-12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전선 풀림 장치
KR101758888B1 (ko) * 2015-03-31 2017-07-18 원평산업 주식회사 벨트 공급 조절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소성가공, VOL 24, NO.5, 317p ~ 322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543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185B1 (en) Automatic steel cord winders
CN1902358B (zh) 挠性牵引构件
JP6448642B2 (ja) マイクロダクトチューブ巻取り機、ダブルステーション巻取り機、空のマイクロダクト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用の処理システム、並びにこのようなチューブを巻き取る方法
CN108861850B (zh) 扁线自动收线机
JP4996949B2 (ja) 光ファイバ担持用スロット貯線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担持用スロット貯線方法
KR102314304B1 (ko) 웨브 재료의 릴을 감고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CA2527189A1 (en) Combined roll for a pipe extrusion installation
KR102205543B1 (ko) 정수기용 압출 튜브 자동 정렬장치
CN111644543B (zh) 全自动网片生产流水线
KR101612937B1 (ko) 마이크로튜브용 자동 고속 정렬 권취기
CN211056317U (zh) 用于输送切割的黏性的细薄的切带的输送装置及用于切割和拼接黏性细薄材料的切带的装置
WO201114481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fibre coating line
CN110650909A (zh) 模块化储线系统
CN211338102U (zh) 一种薄膜收卷缓冲装置
CN111547456A (zh) 一种皮带机自适应拉紧系统
US6499688B1 (en) Optical fiber ribbo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CN212402459U (zh) 一种皮带机自适应拉紧系统
CN212668692U (zh) 一种涂布储料装置
JP2010188553A (ja) カレンダ設備
JP2005219853A (ja) 線条体の線掛け方法及び線掛け装置並びに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KR102400495B1 (ko)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CN1833973A (zh) 用于生产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的卷绕机构的纱线横动装置
CN107399637B (zh) 一种收线机精密排线装置
CN113242773A (zh) 工具传送装置
JP2016108685A (ja) 不織布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