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495B1 -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495B1
KR102400495B1 KR1020200090208A KR20200090208A KR102400495B1 KR 102400495 B1 KR102400495 B1 KR 102400495B1 KR 1020200090208 A KR1020200090208 A KR 1020200090208A KR 20200090208 A KR20200090208 A KR 20200090208A KR 102400495 B1 KR102400495 B1 KR 10240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nsor
guide
support block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379A (ko
Inventor
문상호
Original Assignee
문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호 filed Critical 문상호
Priority to KR102020009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4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coating
    • G01B11/06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coating with measurement of absorption or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9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6Investigating moving shee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센서 프레임은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웹 형상 제품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상,하측 지지블록부와 상,하측 지지블록부의 인접한 한쪽 단들끼리 연결하는 연결블록부를 구비하여 통로를 형성하며, 통로에 제품을 통과시키면서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의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상측 센서는 상측 지지블록부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의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하측 센서는 하측 지지블록부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의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주행기구는 센서 프레임을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시킨다. 가이드 롤들은 제품의 이송 방향에 따른 센서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Contactless type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 시트 등과 같은 웹 형상의 제품 두께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 시트 등과 같은 웹 형상의 제품은 압출 성형이나 카렌더링 등의 방식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압축 성형의 경우, 필름 제조 장치는 용융된 수지를 필름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부와, 압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필름이 굴곡 밀착되어 통과되는 냉각드럼, 및 압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필름이 자화를 통해 냉각드럼에 부착되게 하는 방전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전수단은 냉각드럼에 마이너스 전류를 흐르게 하고 와이어에 플러스 전류를 흐르게 하여, 필름이 냉각드럼에 밀착된 상태로 통과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필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는 두께의 균일성이다. 이를 위해, 냉각드럼을 통과한 필름의 두께를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필름 두께를 기초로 압출부의 자동 다이를 제어함으로써, 허용편차 내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필름이 얻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필름 등과 같은 웹 형상의 제품을 허용편차 내의 균일한 두께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품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두께 측정 방식에서 기존에 방사선을 이용한 투과식은 측정 제품의 내부조성이 균일한 경우 정밀한 두께측정이 가능하지만, 내부조성이 다른 다층구조인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측정 제품의 내부조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측정 제품의 전체 두께를 측정하는데 측정 제품의 상면 반사와 하면 반사를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일 예로, 두께 측정장치는 상,하측 센서가 측정 제품의 상,하측에서 상,하측 프레임의 각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수평으로 주행하면서 측정 제품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하측 센서는 개별적으로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주행 안내되므로, 상,하측 센서의 주행 중 상,하측 프레임의 진동 등으로 인해 상,하측 센서간 거리 값에 편차가 발생하여, 두께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6063호(2001.03.15.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웹 형상의 제품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는 이송되는 웹 형상의 제품을 통과시키면서 제품 두께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장치로서, 베이스 프레임과, 센서 프레임과, 상측 센서와, 하측 센서와, 주행기구, 및 가이드 롤(guide roll)들을 포함한다. 센서 프레임은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제품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상,하측 지지블록부와 상,하측 지지블록부의 인접한 한쪽 단들끼리 연결하는 연결블록부를 구비하여 통로를 형성하며, 통로에 제품을 통과시키면서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의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상측 센서는 상측 지지블록부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의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하측 센서는 하측 지지블록부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의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주행기구는 센서 프레임을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시킨다. 가이드 롤들은 제품의 이송 방향에 따른 센서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다.
추가 양상으로,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는, 상,하측 센서에 의한 제품의 측정 영역 주변에 제품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수평 배열되어 제품을 얹어서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한 쌍의 백업 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는, 백업 롤들에 대한 제품의 진출입 각도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롤들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롤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측 센서가 센서 프레임에 함께 고정되어 상호 간에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주행하므로, 제품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품의 재질에 따라 백업 롤을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가이드 롤들의 상하 위치가 조정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롤들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품의 재질에 따라 백업 롤을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가이드 롤들의 상하 위치가 조정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롤들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100)는 이송되는 웹 형상의 제품(10)을 통과시키면서 제품(10) 두께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장치로서, 베이스 프레임(110)과, 센서 프레임(120)과, 상측 센서(130)와, 하측 센서(140)와, 주행기구(150), 및 가이드 롤(guide rolls, 161, 162)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웹 형상의 제품(10)은 필름, 시트 등과 같은 제품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하측 프레임(111, 112)과 수직 기둥(113)들이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트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으로 트인 공간에 센서 프레임(120)을 수용해서 센서 프레임(120)의 통로(121)를 거쳐 제품(10)을 통과시킬 수 있다.
센서 프레임(120)은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제품(1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와,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의 인접한 한쪽 단들끼리 연결하는 연결블록부(120c)를 구비하여 통로(121)를 형성한다.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는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의 간격은 제품(10)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게 설정된다.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는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장된 형상, 예컨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는 쌍을 이룰 수 있다.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는 인접한 한쪽 단들끼리 연결블록부(120c)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 고정단을 이루고, 인접한 다른 쪽 단들은 각각 자유단을 이룬다. 연결블록부(120c)는 상하로 일정 단면적으로 연장된 형상, 예컨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 프레임(120)은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와 연결블록부(120c)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프레임(120)은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 프레임(120)은 정면에서 바라보는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 프레임(120)은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 사이의 중앙 부위와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의 자유단들 사이의 측방 부위가 함께 개구된 형태로 통로(121)를 형성할 수 있다. 센서 프레임(120)은 상측 지지블록부(120a)의 자유단에 상측 센서(130)를 장착해서 고정하고, 하측 지지블록부(120b)의 자유단에 하측 센서(140)를 장착해서 고정한다.
센서 프레임(120)은 통로(121)에 제품(10)을 통과시키면서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리니어 가이드(116)에 의해 안내된다. 센서 프레임(120)은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품(10)을 측방 개구를 통해 통로(121)에 삽입시킨 상태로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함으로써, 상,하측 지지블록부(120a, 120b)의 자유단들에 각각 고정된 상,하측 센서(130, 140)가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하면서 제품(1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센서 프레임(120)은 상,하측 센서(130, 140)를 함께 고정해서 주행하므로, 주행 중 상,하측 센서(130, 140)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하측 센서(130, 140)는 주행 중 제품(10)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116)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레일과, 센서 프레임(120)에 고정된 상태로 레일에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116)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116)는 통상적인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센서(130)는 상측 지지블록부(120a)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10)의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하측 센서(140)는 하측 지지블록부(120b)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10)의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상,하측 센서(130, 140)는 센서 프레임(120)의 주행에 따라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제품(10)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때, 상,하측 센서(130, 140)는 센서 프레임(120)에 의해 상호 간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주행하므로, 제품(10)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하측 센서(130, 140)는 레이저 거리센서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거리센서는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레이저를 출사한 후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레이저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레이저 거리센서는 레이저가 출사된 후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하측 센서(130, 140)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는 제어기(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는 상,하측 센서(130, 140) 간의 거리 값(L0)을 미리 제공받아서 저장해둘 수 있다. 제어기는 센서 프레임(120)의 주행 중, 상측 센서(130)에 의해 제품(10)의 상면까지 측정된 거리 값(A)과, 하측 센서(140)에 의해 제품(10)의 하면까지 측정된 거리 값(B)을 동시에 제공받는다. 그러면, 제어기는 T = L0 - (A + B)의 계산식에 의해 제품(10)의 두께인 T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주행기구(150)는 센서 프레임(120)을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시킨다. 일 예로, 주행기구(150)는 회전 모터(151)와, 스크류(152), 및 이동 블록(15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51)는 구동축이 정,역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류(152)는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크류(152)는 양단이 베어링들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스크류(152)는 회전 모터(151)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스크류(152)는 회전 모터(151)의 구동축에 동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동 블록(153)은 센서 프레임(120)에 고정된 상태로 스크류(152)에 나사 결합된다. 이동 블록(153)은 스크류(152)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15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센서 프레임(120)을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로, 주행기구(150)는 회전모터와 풀리들 및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롤들(161, 162)은 제품(10)의 이송 방향에 따른 센서 프레임(12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제품(1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가이드 롤들(161, 162)은 각각 제품(10)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 롤들(161, 162)은 센서 프레임(120)의 전,후방에 각각 복수 개씩 제품(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 롤들(161, 162)은 센서 프레임(120)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배열되어 제품(10)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100)는 한 쌍의 백업 롤(17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백업 롤(170)들은 상,하측 센서(130, 140)에 의한 제품(10)의 측정 영역 주변에 제품(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수평 배열되어 제품(10)을 얹어서 제품(1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제품(10)은 이송시 상,하측 센서(130, 140)의 유효 측정 범위 안에 있어야 하는데, 이송 중인 제품(10)에 장력 제어가 미비하거나 진동이 있는 경우, 제품(10)이 유효 측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생긴다. 특히, 상,하측 센서(130, 140)의 유효 측정 범위가 비교적 짧은 고정밀 센서인 경우, 제품(10)이 유효 측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생기기 쉽다.
이 경우, 백업 롤(170)들은 제품(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진동 발생시 진폭을 줄여줌으로써, 제품(10)이 상,하측 센서(130, 140)의 유효 측정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백업 롤(170)들의 간격은 전술한 기능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설정된다.
백업 롤(170)들은 각각 제품(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수직 기둥(113)들에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수평대(114)들과, 수평대(114)들에 각각 고정되어 백업 롤(170)들의 각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115)들를 포함할 수 있다. 백업 롤(170)들은 각 양단이 베어링들을 매개로 회전 지지대(1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100)는 롤 승강기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롤 승강기구(180)는 백업 롤(170)들에 대한 제품(10)의 진출입 각도(θ)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롤(161)들의 상하 위치를 조정한다. 여기서, 가이드 롤들(161, 162) 중 센서 프레임(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가이드 롤(161)들의 각 상하 위치가 롤 승강기구(180)에 의해 조정된다.
제품(10)은 재질에 따라 상대적으로 연질이거나 경질일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 제품(10')은 장력을 받으면 백업 롤(170)들 사이의 측정 영역을 쉽게 펴진 상태로 지나가게 된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 제품(10")은 장력을 받더라도 백업 롤(170)들 사이의 측정 영역을 굴곡져 변형된 상태로 지나가게 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161)들의 위치가 높아짐에 따라 제품(10)의 진출입 각도(θ)가 θ'로 작아질수록 백업 롤(170)들 사이를 지나는 제품(10)의 변형량이 줄어들게 된다. 다만, 제품(10)의 진출입 각도(θ)가 너무 작아지면, 백업 롤(170)들의 회전이 안되어 제품(10)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제품(10)의 진출입 각도(θ)는 제품(10)이 측정 허용 상태로 백업 롤(170)들 사이의 측정 영역을 지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롤 승강기구(180)는 가이드 롤(161)들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백업 롤(170)들에 대한 제품(10)의 진출입 각도(θ)를 조정함으로써, 제품(10)이 재질에 상관 없이 백업 롤(170)들 사이의 측정 영역을 측정 허용 상태로 지나갈 수 있게 한다.
롤 승강기구(180)는 승강 블록(181)들과, 잠금 볼트(18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블록(181)들은 가이드 롤(161)의 양단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 롤(161)의 양단은 베어링들을 매개로 승강 블록(181)들에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승강 블록(181)들은 끼움홀들을 통해 수직 기둥(113)들에 끼워져 승강 지지된다. 승강 블록(181)은 끼움홀 주변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볼트(182)들은 승강 블록(181)의 끼움홀 주변에 나사 결합된다. 잠금 볼트(182)들은 끼움홀들 주변으로부터 풀린 상태에서 수직 기둥(113)들에 대한 승강 블록(181)들의 승강을 허용하여 가이드 롤(161)의 상하 위치가 조정되게 한다. 잠금 볼트(182)들은 가이드 롤(161)의 상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끼움홀들 주변에 죄어져 승강 블록(181)들을 수직 기둥(113)들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롤 승강기구(180)는 실린더 등과 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가이드 롤(161)을 승강시킬 수도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 양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들(161, 162) 중 센서 프레임(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 가이드 롤(162)들의 전후 위치는 롤 수평 조정기구(190)에 의해 제품(10)의 이송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품(10)에 주름이 지는 등 장력이 고르지 않을 경우, 롤 수평 조정기구(190)는 제품(10)의 장력을 균일하게 맞추도록 제품(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가이드 롤(162)들을 수평 이동시켜 정렬할 수 있다.
롤 수평 조정기구(190)는 조정 블록(191)들과, 조정 볼트(19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블록(191)들은 수직 기둥(113)들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정 블록(191)들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191a)들에 가이드 롤(162)의 양단을 끼워서 전후 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가이드 롤(162)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가이드 롤(162)의 양단은 베어링들을 매개로 조정 블록(191)들에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조정 볼트(192)는 장홀(191a)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블록(191)을 통과해서 가이드 롤(162)의 베어링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가이드 롤(162)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롤 수평 조정기구(190)는 실린더 등과 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가이드 롤(162)을 수평 이동시킬 수도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베이스 프레임
120..센서 프레임
130..상측 센서
140..하측 센서
150..주행기구
161, 162..가이드 롤
170..백업 롤
180..롤 승강기구
190..롤 수평 조정기구

Claims (3)

  1. 이송되는 웹 형상의 제품을 통과시키면서 제품 두께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장치로서,
    베이스 프레임;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제품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상,하측 지지블록부와 상기 상,하측 지지블록부의 인접한 한쪽 단들끼리 연결하는 연결블록부를 구비하여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에 제품을 통과시키면서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센서 프레임;
    상기 상측 지지블록부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의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상측 센서;
    상기 하측 지지블록부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제품의 하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하측 센서;
    상기 센서 프레임을 제품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주행시키는 주행기구;
    제품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센서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이드 롤들;
    상기 상,하측 센서에 의한 제품의 측정 영역 주변에 제품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수평 배열되어 제품을 얹어서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한 쌍의 백업 롤들; 및
    상기 백업 롤들에 대한 제품의 진출입 각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 롤들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롤 승강기구;
    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90208A 2020-07-21 2020-07-21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KR10240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08A KR102400495B1 (ko) 2020-07-21 2020-07-21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08A KR102400495B1 (ko) 2020-07-21 2020-07-21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79A KR20220011379A (ko) 2022-01-28
KR102400495B1 true KR102400495B1 (ko) 2022-05-19

Family

ID=8005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08A KR102400495B1 (ko) 2020-07-21 2020-07-21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5123A (zh) * 2022-04-19 2022-07-05 潍坊石花化工建材有限公司 一种防水卷材测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867B2 (ja) 1994-09-22 2003-11-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厚み測定用スキャンレール装置
JP2005127882A (ja) 2003-10-24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厚みまたは面密度測定方法、および厚みまたは面密度測定装置
CN102519372A (zh) 2011-12-23 2012-06-27 常州工学院 锂电池电极的激光测厚装置及其工作方法
JP6128036B2 (ja) * 2014-03-28 2017-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膜厚計測装置
KR101825081B1 (ko) * 2016-09-07 2018-02-02 문상호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63Y1 (ko) 2000-06-27 2001-03-15 도레이새한주식회사 폴리에스터 필름 성형 두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867B2 (ja) 1994-09-22 2003-11-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厚み測定用スキャンレール装置
JP2005127882A (ja) 2003-10-24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厚みまたは面密度測定方法、および厚みまたは面密度測定装置
CN102519372A (zh) 2011-12-23 2012-06-27 常州工学院 锂电池电极的激光测厚装置及其工作方法
JP6128036B2 (ja) * 2014-03-28 2017-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膜厚計測装置
KR101825081B1 (ko) * 2016-09-07 2018-02-02 문상호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79A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0210A1 (en) Fiber-reinforced resin material, molded article,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resin material, and fiber bundle group inspection device
KR920009923B1 (ko) 뱅크량모니터방법과 그 장치, 시트성형방법과 그 장치 및 시트온도측정방법과 그 장치
US7717254B2 (en) Glass sheet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glass sheets
KR102400495B1 (ko)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KR101575152B1 (ko) 이차전지의 전극필름 커팅장치
KR102432761B1 (ko)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NL9301717A (nl) Werkwijze voor het aanpassen van een zijde van een strook flexibel materiaal aan een referentiezijde en gordelstrooktoevoerinrichting voor het toevoeren van een gordelstrook op een ronddraaiende opbouwtrommel.
US71727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of controlling the gap between polymer sheet cooling rolls
US6863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of controlling the gap between polymer sheet cooling rolls
US8061958B2 (en) Method of adjusting the deviations of plate material of a rectangular shape and the equipment therefor
CN210047108U (zh) 一种轮胎部件供料装置
WO2020010925A1 (zh) 输送装置及具有该输送装置的成像检测设备
KR101825081B1 (ko)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CN218087870U (zh) 一种兼容硅片输送装置及检测装置
WO2023182440A1 (ja) 厚さ測定方法及び厚さ測定装置
KR20220148598A (ko) 정렬 상태 검출장치 및 정렬 상태 검출방법
KR101922723B1 (ko) 트레드 원단 하자 측정장치
KR10199126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스크라이빙 방법
JP7461858B2 (ja) 樹脂押出成形装置
CN218319803U (zh) 一种储料架机构
RU227747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материала в форме пластин или полотна с помощью теплопоглощающих или теплоотражающих пластин
KR102346092B1 (ko) 핸드레일 제조 장치
KR100909687B1 (ko)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CN218707797U (zh) 一种防皱收卷装置
CN214989091U (zh) 一种轮胎胶片收卷用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