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186A -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186A
KR20200129186A KR1020207032223A KR20207032223A KR20200129186A KR 20200129186 A KR20200129186 A KR 20200129186A KR 1020207032223 A KR1020207032223 A KR 1020207032223A KR 20207032223 A KR20207032223 A KR 20207032223A KR 20200129186 A KR20200129186 A KR 2020012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ption tower
exhaust gas
ship
desulfurization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조 사사키
데츠 우시쿠
사토루 스기타
다츠토 나가야스
세이지 가가와
나오유키 가미야마
유스케 와타나베
사토시 미야자키
히로무네 아베
지로 요네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2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04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Abstract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길이 방향을 갖는 내부 공간을 획정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단부에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탑과, 상기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상기 흡수탑 본체부에 유도하기 위한 배기 가스 도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의 최대 길이를 L,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폭 방향의 최대 폭을 W 로 한 경우에, 상기 최대 폭 (W) 과 상기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이다.

Description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SHIP DESULFURIZATION DEVICE AND SHIP}
본 개시는, 선박용 탈황 장치, 그 선박용 탈황 장치를 탑재한 선박,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그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에 의해 선각 구조의 일부가 형성된 선박, 및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선박에 대한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선박에 대한 배기 가스 규제의 강화에 수반하여, 배출 규제 해역 (ECA 해역) 에서는, 황분이 0.1 % 이하인 연료유의 사용, 또는 이것과 동등한 효과를 갖는 대체 조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또한, 2020 년에는, 일반 해역에 있어서도, 황분이 0.5 % 이하인 연료유의 사용, 또는 이것과 동등한 효과를 갖는 대체 조치가 의무화된다. 종래, 예를 들어 ULCS (Ultra Large Container Ship) 등의 초대형 선박에 있어서는, 황분이 적은 저황 연료유를 사용함으로써 대응하고 있었지만, 향후에는 이들 초대형 선박에 있어서도 탈황 장치의 설치 수요가 높아질 것이 예상된다.
초대형 선박의 주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량 (100 % 부하시의 배기 가스량) 은, 예를 들어 20 만 N㎥/h 이상에 달한다. 또한, 초대형 선박에는, 선내의 다양한 전력 수요 등에 응하기 위해서, 복수의 발전 기관·보일러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초대형 선박에 탑재되는 탈황 장치에는, 이들 주기관이나 복수의 발전 기관·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대량의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해서, 큰 통과 면적을 갖는 흡수탑이 필요하다. 이것을 예를 들어 벌크 캐리어 등 비교적 작은 선박에 탑재된 주기관용의 종래의 탈황 장치로 대응하고자 하면, 복수의 흡수탑을 배치할 필요가 생겨, 선내에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 적하의 감소, 혹은 선체 치수 확대 등의 설계 상의 제약이나 변경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비교적 작은 주기관용의 탈황 장치는, 환형 (원형) 의 흡수탑을 사용하고 있고, 이 환형의 흡수탑을 초대형 선박용으로 대형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환형의 흡수탑은, 방형의 흡수탑 등에 비하여 선내에 배치했을 때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선내에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 배치 효율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초대형 선박용의 탈황 장치의 흡수탑으로서, 플랜트 설비나 공장 등의 육상용의 탈황 장치에 있어서 실적이 있는 방형의 흡수탑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제조 프로세스, 공업 프로세스, 및 상업 프로세스 등에 있어서 발생하는 입자상 물질, 유해 가스, 산성 화합물, 및 악취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세정 장치로서, 방형의 세정 탱크 (흡수탑) 를 갖는 세정 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563198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39233호
그런데, 육상용의 탈황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방형의 흡수탑의 상당수는, 흡수탑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의 길이를 L, 배기 가스 도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W 로 한 경우에, 그 W 와 L 의 비 (W : L) 가 1 : 0.2 ∼ 1 : 1.0 의 범위에 있다. 즉, 흡수탑의 평면 형상은,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폭 방향을 갖고, 배기 가스 도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길이 방향의 전방쪽 (배기 가스 도입구측) 과 안쪽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 에서 가스 유속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 흡수탑 내에 있어서 균일하게 배기 가스를 흘리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흡수탑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이 불균일해지면, 흡수탑 내에 있어서의 탈황 처리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등, 탈황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 의 세정 장치에서는, 흡수탑의 상단부에 배기 가스 도입구를 형성하고, 이 배기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배기 가스를, 흡수탑 내를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기 가스 덕트를 통하여, 흡수탑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 분배실에 도입함으로써, 흡수탑 내에 있어서 균일하게 배기 가스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흡수탑을 초대형 선박용의 흡수탑에 전용하고자 한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몇 가지의 배치 제약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제 1 로,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흡수탑의 평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 (W : L = 1 : 1) 인 것으로 확인되지만, 예를 들어 ULCS 등의 어느 종류의 초대형 선박에 있어서는,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평면 형상을 갖는 흡수탑이 배치성이 우수한 경우가 있다.
제 2 로,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세정 탱크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탑 내를 수직으로 연장하는 배기 가스 덕트와, 세정 탱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스 분배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배기 가스 덕트나 가스 분배실을 형성하는 분만큼, 흡수탑의 용적이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제 3 으로, 선박용의 흡수탑은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 한편으로, 주된 배기 가스 배출원인 주기관은, 선체 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기관실에 배치된다. 요컨대 흡수탑은, 선내에 있어서 주기관의 상방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의 흡수탑이면, 주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의 측단부가 아니라, 측단부를 넘어 상단부까지 일부러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 도입 라인의 연장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선박에 탑재된 방형의 흡수탑을 갖는 탈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그러나, 이 특허문헌 2 의 흡수탑은, 탱커 (본선) 가 아니라, 본선에 예항되는 바지선에 탑재되어 있고, 탈황 장치를 선박 (본선) 에 배치할 때에 있어서의 배치 제약 상의 과제, 및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배경 기술하에 있어서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초대형 선박 등의 선박에 배치할 때의 배치성이 우수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길이 방향을 갖는 내부 공간을 획정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측단부에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탑과,
상기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상기 흡수탑 본체부에 유도하기 위한 배기 가스 도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의 최대 길이를 L,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폭 방향의 최대 폭을 W 로 한 경우에,
상기 최대 폭 (W) 과 상기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이다.
상기 (1)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길이 방향을 갖는 내부 공간을 획정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측단부에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탑을 구비하고 있다. 요컨대,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은,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환형 (원형) 의 흡수탑에 비하여 데드 스페이스가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에 배치할 때의 배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예를 들어 ULCS 등의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평면 형상을 갖는 흡수탑이 배치성이 우수한) 어느 종류의 초대형 선박에 대하여, 배치성이 우수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배기 가스 도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리스크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부 공간의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는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이, 내부 공간의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의 상한을 1 : 6.0 으로 설정한 것에 의해, 흡수탑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불균일성을, 본 발명자가 검토한 바의 실용상의 허용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가 1 : 1.5 초과, 그리고, 1 : 2.0 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자가 검토한 바에 따르면, 흡수탑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균일성을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의 상한은, 1 : 2.0 이다. 한편, 선내에 있어서의 탈황 장치의 배치성을 고려하면,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는 어느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의 하한은 1 : 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2)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치성 및 탈류성의 양방에 있어서 우수한, 밸런스가 양호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은,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이 선박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선박에 탑재된다.
예를 들어 ULCS 등의 어느 종류의 초대형 선박에 있어서는, 선박의 선수-선미 방향이 아니라,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인 선박의 우현-좌현 방향 (폭 방향) 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흡수탑이 배치성이 우수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ULCS 에 있어서는, 그 선체가 선수-선미 방향에 있어서, 40 피트 컨테이너를 그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 가능한 길이를 기본 단위로 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그 1 영역 내에 흡수탑을 배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3)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선박에 대한 배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3)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부를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의 선수-선미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흡수탑에 비하여, 선박의 가로 흔들림 (롤링) 시에 흡수탑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롤링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갖는 흡수탑으로 할 수 있다.
(4)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강판 구조물로서, 상기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긴 통상으로 형성되는 강판 구조물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탑은, 상기 강판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4)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긴 통상의 강판 구조물의 내측에 흡수탑을 배치함으로써, 선박에 탑재되는 그 밖의 제설비 등의 배치 계획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선박에 대한 레트로피트가 용이해진다. 또한, 흡수탑을 강판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기관실 내 등의 선박의 내부에 흡수탑을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치 작업성이나 메인터넌스성도 우수하다.
(5)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 구조물의 내측에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로부터 열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배열 회수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탑은, 배열 회수 장치와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5)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강판 구조물의 내측에 흡수탑과 배열 회수 장치를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배열 회수 장치와 흡수탑을 서로 떨어진 장소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 가스 도입 장치를 심플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6)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5)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은, 일단부가 흡수탑 본체부의 배기 가스 도입구에 접속됨과 함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상향으로 연장되는 배기 가스 도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6)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이, 흡수탑 본체부의 배기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배기 가스 도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배기 가스 도입부의 타단부에 배기 가스 도입 라인을 접속시킴으로써, 강판 구조물의 내측의 협소한 스페이스에 배치된 흡수탑에 대하여 배기 가스를 도입시킬 수 있다.
(7)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6)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발생 장치는, 주기관 및 보조 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도입 장치는, 배열 회수 장치측으로부터 배기 가스 도입부의 타단부를 향하여,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기 가스 도입관과, 배기 가스 도입관에 접속되고, 보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도입관을 통하여, 흡수탑 본체부에 유도하기 위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7)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강판 구조물의 내측의 협소한 스페이스에 배치된 흡수탑에 대하여, 주기관 및 보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도입시킬 수 있다.
(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7) 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본체부는,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긴 쪽 벽면과, 내부 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짧은 쪽 벽면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8)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은, 1 쌍의 긴 쪽 벽면과, 1 쌍의 짧은 쪽 벽면에 의해 획정되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장방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 흡수탑 본체부는, 선내에 배치했을 때에 데드 스페이스가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선내에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의 배치 효율이 우수하다.
(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8)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본체부에는, 내부 공간에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산포된 산포가 완료된 세정액이 저류되는 저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수탑 본체부는, 1 쌍의 긴 쪽 벽면을 접속함과 함께, 저류 공간을 내부 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횡단하는 횡단 부재를 갖는다.
상기 (9)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박의 가로 흔들림 등에 의해, 저류 공간에 저류되어 있는 세정액의 표면이 크게 기복이 있는 슬로싱이 발생한 경우에, 횡단 부재에 의해, 그 액면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1 쌍의 긴 쪽 벽면을 접속하는 횡단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장방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 흡수탑 본체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10)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단 부재가, 장척 형상을 갖는 대들보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10)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척 형상을 갖는 대들보 부재에 의해, 상기 서술한 슬로싱의 억제 효과, 및 흡수탑 본체부의 보강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11)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단 부재가, 평판 형상을 갖는 언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11)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평판 형상을 갖는 언판 부재에 의해, 상기 서술한 슬로싱의 억제 효과, 및 흡수탑 본체부의 보강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1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8) 내지 (11) 의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탈황 장치는,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세정액을 산포하기 위한 산포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산포 장치는,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1 쌍의 긴 쪽 벽면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 방향 산수관(散水管)과, 길이 방향 산수관에 형성된 복수의 산수 노즐을 갖는다.
상기 (12)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길이 방향 산수관에 형성된 복수의 산수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긴 쪽 벽면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에 있어서 세정액을 균일하게 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의 동요 (롤링, 피칭, 요잉 등) 에서 기인하여 세정액의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1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8) 내지 (11) 의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탈황 장치는,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유도된 상기 배기 가스에 대하여 상기 세정액을 산포하기 위한 산포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산포 장치는,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1 쌍의 짧은 쪽 벽면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됨과 함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과,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산수 노즐을 갖는다.
상기 (13) 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의 각각에 형성된 산수 노즐의 산포 에어리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에 있어서 세정액을 균일하게 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의 동요 (롤링, 피칭, 요잉 등) 에서 기인하여 세정액의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14)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3) 의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발생 장치는, 주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주기관의 배기 가스량 (100 % 부하시의 배기 가스량) 이 20 만 N㎥/h 이상이다.
상기 (1) 내지 (13)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주기관의 배기 가스량이 20 만 N㎥/h 이상과 같은 초대형 선박용의 탈황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주기관의 배기 가스량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용상, 50 만 N㎥/h 이하이다.
(15)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4) 의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10,000 TEU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용적을 갖는 컨테이너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1) 내지 (14)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는, 10,000 TEU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용적을 갖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ULCS) 용의 탈황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컨테이너 적재 용적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용상, 20,000 TEU 이하이다.
(16)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은, 상기 (1) 내지 (15) 의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17)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흡수탑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탑과,
상기 내부 공간을 흐르는 상기 배기 가스에 세정액을 산포 가능한 산포 장치와,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충전층에 충전되는 충전물로서, 상기 충전층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상기 세정액을 기액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물을 구비한다.
상기 (17)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배기 가스가 충전층에 충전된 충전물 사이를 흐를 때에, 충전물의 표면에 있어서 접촉 면적이 커진 세정액과, 충전물에 의해 흐름이 흐트러진 배기 가스를 기액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박용 탈황 장치에 의하면, 충전물에 의해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충전물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7)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벽면 중의, 상기 충전층을 구획하는 벽면 이외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방식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충전층을 구획하는 벽면에는 방식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선박용 탈황 장치는,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를 고온의 배기 가스가 흐르기 때문에,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벽면 (내벽면) 등이,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분 등에 의해 부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정액으로서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수에 의해 상기 서술한 벽면 등이 부식할 우려가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서술한 벽면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술한 벽면의 전체면에 걸쳐 방식층을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충전물이 움직여, 충전층을 구획하는 벽면을 보호하는 방식층에 충돌하여, 그 방식층을 박리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방식층의 박리나 손상은, 방식층으로 보호된 벽면의 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18)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벽면 (내벽면) 중, 충전층을 구획하는 벽면 이외의 벽면에 방식층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층을 구획하는 벽면에 방식층을 형성하면,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충전물이 움직여, 방식층에 충돌하여, 그 방식층을 박리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충전층을 구획하는 벽면에 방식층을 형성하지 않고, 그 대신에, 흡수탑 본체부 중, 충전층을 둘러싸는 층상 부분을,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내식성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벽면의 부식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선박용 탈황 장치는, 충전물에 의한 방식층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벽면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1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7) 또는 (18)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은, 규칙 충전물이다.
상기 (19)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충전물이 규칙 충전물이기 때문에, 충전물이 불규칙 충전물인 경우에 비하여, 배기 가스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배기 가스의 처리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규칙 충전물을 충전물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는, 불규칙 충전물을 충전물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에 비하여, 흡수탑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규칙 충전물은, 불규칙 충전물에 비하여,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잘 이동하지 않아,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불균일한 배치가 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규칙 충전물을 충전물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는, 불규칙 충전물을 충전물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에 비하여,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리스크를 낮게 할 수 있다.
(20)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7) 내지 (19) 의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본체부는, 상기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산포 장치는, 상기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20)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포 장치는,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향으로 분사된 세정액은, 상단 (정점부) 에서 분산된 후에 미세화하여 낙하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예를 들어 충전물의 표면에 분산되어 존재한다. 배기 가스는, 내부 공간을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를 때에, 충전물의 표면에 부착된 세정액이나 낙하하는 세정액과 기액 접촉함으로써,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분이 제거된다.
(2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획정함과 함께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수탑 본체부, 및,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시인 가능한 광 투과성의 시인창을 포함하는 흡수탑을 구비한다.
상기 (21)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탑은, 배기 가스가 내부 공간을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수탑 본체부와, 흡수탑 본체부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시인 가능한 광 투과성의 시인창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흡수탑을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 등은 시인창을 통하여, 예를 들어 내부 공간을 흐르는 배기 가스의 흐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2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1)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길이 방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탑 본체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단부에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시인창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형성된다.
내부 공간이 길이 방향을 가지고 있으면, 배기 가스 도입구측과,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에서 가스 유속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 흡수탑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22)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부는,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단부에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를 갖는다. 그리고, 시인창은,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형성된다. 작업자 등은 시인창을 통하여, 만일 배기 가스 도입구측에 형성되는 시인창에서는 확인이 곤란한,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2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1) 또는 (22)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탈황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을 흐르는 상기 배기 가스에 세정액을 산포 가능한 산포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그 산포 장치는, 상기 세정액을 상기 내부 공간에 분사 가능한 산수 노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인창은, 상기 산수 노즐로부터의 상기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시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23)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인창은, 산수 노즐로부터의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시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 등은 시인창을 통하여, 산수 노즐에 의한 세정액의 분사 상황 등의, 산포 장치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산포 장치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산수 노즐의 세정 등을 실시함으로써, 산포 장치에 의한 산포 상황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24)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3)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본체부는, 상기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산수 노즐보다 상방에 형성되는 미스트 엘리미네이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인창은, 상기 산수 노즐보다 상방, 그리고, 상기 미스트 엘리미네이터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24)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부는,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인창은, 산수 노즐보다 상방, 그리고, 미스트 엘리미네이터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가스는, 미스트 엘리미네이터보다 하방에 있어서, 세정액에 기액 접촉하기 때문에, 미스트 엘리미네이터보다 상방에 시인창을 형성해도, 산포 장치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시인창을 상기 서술한 배치로 함으로써, 작업자는, 시인창을 통하여, 산포 장치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산수 노즐이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서술한 시인창을 통하여, 산포 장치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을 확인함으로써, 세정액의 산포 상황이 적절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25)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흡수탑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탑과,
상기 내부 공간을 흐르는 상기 배기 가스에 세정액을 산포 가능한 산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산포 장치는, 상기 흡수탑 본체부의 상기 내부 공간에 연장되는 산수관과, 상기 산수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산수 노즐을 갖는다.
상기 (25)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산수관을 흐르는 세정액을, 산수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산수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분사시킴으로써, 내부 공간에 세정액을 균일하게 산포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의 동요 (롤링, 피칭, 요잉 등) 에서 기인하여 세정액의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26)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획정함과 함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 및, 상기 배기 가스 도입구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도입부를 포함하는 흡수탑과,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에 도입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도입되기 전의 상기 배기 가스에 대하여 냉각수를 산포 가능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가스 냉각 장치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여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각수 노즐을 갖는다.
상기 (26)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배기 가스 도입부에 도입되고, 내부 공간에 도입되기 전의 배기 가스에 대하여, 배기 가스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수를 산포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배기 가스 도입부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 가능하다. 또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수를 산포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의 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탑 내에서 다량의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의 냉각수 노즐은, 냉각수를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여 분출하기 때문에, 냉각수 노즐에 도달하기 전에 배기 가스 도입부에 도입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배기 가스의 열에 의해 냉각수 노즐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27)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6)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도입된 해수이다.
상기 (27)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냉각수로서 선박의 내부에 도입된 해수를 사용함으로써, 선박의 항행 중에 필요한 공업용수 등의 물의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2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6) 또는 (27)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도입부는,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노즐은, 냉각수를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 가스 도입부에 도입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배기 가스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수를 산포하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면 아황산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냉각수로서 해수를 사용한 경우에는, 온도 상승에 의해 해수로부터 염이 석출되는 경우가 있다. 냉각수 노즐에 아황산이나 염이 부착되면 산포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 (28)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각수 노즐은,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향으로 분사된 냉각수는, 냉각수 노즐보다 상방에 있어서 배기 가스에 접촉하고,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킨 후에, 냉각수 노즐 위 등으로 낙하한다. 냉각수 노즐 위에 낙하한 세정액은, 냉각수 노즐에 부착된 아황산이나 염을 씻어낼 수 있다. 또한, 냉각수 노즐 위에 낙하한 세정액에 의해 냉각수 노즐이 젖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냉각수 노즐에 아황산이나 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고, 또한, 냉각수 노즐의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하다.
(2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6) ∼ (28) 의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냉각 장치는, 상기 냉각수를 산포하는 냉각수 노즐과, 그 냉각수 노즐에 대하여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관로와, 그 냉각수 관로에 형성되는 냉각수 제어 밸브로서, 상기 냉각수 노즐로부터 산포되는 상기 냉각수의 산포량을 제어 가능한 냉각수 제어 밸브를 가지고 있다.
냉각수 관로의, 냉각수 제어 밸브보다 상류측인 1 차측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압력은, 펌프의 운전 대수 등의 변동 요인에 의해 크게 변동하는 것으로, 만일 냉각수 제어 밸브를 형성하지 않으면 상기 서술한 변동 요인에 의해, 냉각수 노즐로부터 산포되는 냉각수의 산포량이 크게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 도입부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의 냉각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29)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냉각 장치는, 냉각수 제어 밸브에 의해 냉각수 노즐로부터 산포되는 냉각수의 산포량을 제어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다.
(30)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9) 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관로의 상기 냉각수 제어 밸브의 후류측에 형성되는 압력계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제어 밸브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압력이 일정해지도록 개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각수 제어 밸브에 의해 냉각수 제어 밸브보다 후류측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냉각수 노즐로부터 분출될 때의 냉각수의 압력도 일정해지기 때문에, 냉각수 노즐로부터 항상 일정량 이상의 냉각수가 일정한 높이로 산포되게 된다. 상기 (30)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냉각 장치는, 냉각수 노즐로부터 항상 일정량 이상의 냉각수를 산포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 도입부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를 계속적으로 차갑게 할 수 있다.
(3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흡수탑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탑과,
상기 내부 공간을 흐르는 상기 배기 가스에 세정액을 산포 가능한 산포 장치와,
상기 산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세정액을 공급 가능한 세정액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공급 장치는,
상기 산포 장치에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 라인과,
상기 세정액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하는 바이패스 라인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에 유도된 상기 배기 가스에 대하여 산포된 산포가 완료된 세정액이 저류되는 저류 공간에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로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흐르는 상기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 가능한 제어 밸브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배출 규제 해역과 일반 해역에서는 요구되는 탈황 성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산포 장치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필요량도 상이하다. 산포 장치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이 필요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필요한 탈황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산포 장치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이 필요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배기 가스의 압력 손실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산포 장치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적당량으로 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산포 장치에 대하여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 라인에 제어 밸브를 형성하고, 그 제어 밸브에 의해 세정액 공급 라인을 흐르는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세정액 공급 라인을 구성하는 관로는 직경이 크기 때문에, 세정액 공급 라인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의 대형화, 고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관로의 직경이 큰 세정액 공급 라인에 있어서,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 (31) 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세정액 공급 장치는, 바이패스 라인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에 의해, 바이패스 라인을 흐르는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세정액 공급 라인을 흐르는 세정액의 공급량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바이패스 라인을 구성하는 관로는, 세정액 공급 라인을 구성하는 관로보다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패스 라인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는, 만일 세정액 공급 라인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에 비하여, 소형화, 저액화가 도모된다. 또한, 바이패스 라인은 세정액 공급 라인에 비하여, 세정액의 공급량의 제어가 용이하다.
(3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은, 상기 (1), (17) 내지 (31)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33)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는, 선박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흡수탑을 구비한다.
「선각 구조」 란, 의장, 기관 등을 제외한, 배의 골격과 외곽을 형성하는 구조 주체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엔진 케이싱도 「선각 구조」 에 해당한다.
종래의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머시너리의 1 개로서, 선각 구조로부터 독립된 것이었다.
상기 (33) 의 구성을 갖는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는, 선박으로의 탑재 전에 있어서,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에 흡수탑이 이미 지지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는, 선상에서 케이싱이 선박의 다른 선각 구조와 접속된다.
상기 (33)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을 지지하는 케이싱이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흡수탑의 주위에 여분의 클리어런스나 흡수탑의 방진, 동요 정지를 목적으로 한 보강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수탑의 장착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음과 함께, 선각 구조의 중량도 경감시킬 수 있다.
(34)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3)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은, 그 흡수탑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기 케이싱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34)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은, 흡수탑의 외주를 둘러싸는 케이싱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흡수탑으로부터 그 케이싱에 가해지는 힘은 케이싱의 주위로 분산된다. 이에 의해, 본래 흡수탑의 기부에 집중되는 흡수탑의 하중이 케이싱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흡수탑의 지지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35)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3) 또는 (34)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가 상기 선박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선박의 엔진 케이싱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흡수탑은 상기 케이싱에 의해 주위로부터 지지된다.
상기 (35)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은 케이싱에 의해 주위로부터 지지되어, 흡수탑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하방에 위치하는 엔진 케이싱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수액이 흐르는 액 배관 (해수 공급관, 해수 배출관), 주기관 등의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에 도입하는 배기 가스 배관 등의 배관류를 그 간극에 배치할 수 있다.
(36)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3) ∼ (35) 의 어느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선박의 폭 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36)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이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케이싱에 의해 지지된 흡수탑은 그 길이 방향이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선박의 선수-선미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흡수탑에 비하여, 선박의 가로 흔들림 (롤링) 시에 흡수탑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롤링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갖는 흡수탑으로 할 수 있다.
(37)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3) ∼ (36) 의 어느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가 상기 선박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은, 상기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배기 가스 배관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37)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은,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배기 가스 배관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흡수탑에 도입하는 배기 가스 배관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기 가스 배관의 상방 위치」 란, 「평면에서 보아, 배기 가스 배관과 흡수탑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위치」 인 것을 의미한다.
(38)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3) ∼ (37) 의 어느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배기 가스 배관과 상기 흡수탑의 배기 가스 도입구를 접속하는 가스 배관, 또는, 상기 흡수탑에서 사용되는 흡수액이 흐르는 액 배관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배관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38)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관류를 선박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으로 지지함으로써, 이들 배관을 포함한 흡수탑의 지지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39)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은, 상기 (33) ∼ (38) 의 어느 구성을 갖는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에 의해 선각 구조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39)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가 선각 구조의 일부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탑의 주위에 여분의 클리어런스나 흡수탑의 방진, 동요 정지를 목적으로 한 보강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수탑의 장착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40)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9)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선각 구조는,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상기 케이싱의 하방에 위치하는 엔진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각벽의 하단은, 상기 엔진 케이싱에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40) 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은, 선박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그 케이싱은 동일한 선각 구조인 엔진 케이싱의 상방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이 지지되는 상기 케이싱과 엔진 케이싱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엔진 케이싱에 수용되는 주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에 도입하는 배기 가스 배관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41)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0)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외각벽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 또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외각벽 사이에 가설되는 스티프너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보강 부재와, 상기 엔진 케이싱에 형성된 리브 또는 스티프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보강 부재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상기 (41) 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보강 부재와 상기 제 2 보강 부재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탑을 지지하는 케이싱을 지지하는 엔진 케이싱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어, 그 케이싱은 엔진 케이싱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42)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9) ∼ (41) 의 어느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상기 선각 구조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선박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싱에 용접되는 다른 선각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42) 의 구성에 의하면, 선박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선각 구조가 흡수탑을 지지하는 케이싱과 다른 선각 구조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중량이 과대해져, 크레인 능력이 부족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43)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선박에 대한 설치 방법은, 선박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흡수탑을 구비하는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형성하는 형성 스텝과,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상기 선박에 장착하는 장착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스텝에서는,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상기 케이싱과, 상기 선박의 상기 케이싱 이외의 상기 선각 구조를 접합한다.
상기 (43) 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 형성 스텝에 있어서, 육상 등에서 사전에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형성해 두고, 선박이 입거 후, 그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선박에 탑재한다. 이에 의해, 선박에 대한 흡수탑 탑재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탑과 선각 구조물은, 일체화하기 전에, 동시에 평행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4)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3)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형성 스텝에서는,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하방 섹션으로부터 상방 섹션의 순서로, 상기 흡수탑 및 상기 케이싱을 함께 조립한다.
상기 (44) 의 방법에 의하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하방 섹션으로부터 상방 섹션의 순서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해지고, 흡수탑 및 케이싱을 동시에 평행하게 조립함으로써,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5)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3) 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성 스텝에서는,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 섹션의 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 스텝에서는, 상기 선박에 상기 분할 섹션을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상기 선박에 장착한다.
상기 (45) 의 방법에 의하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 섹션의 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장착 스텝에 있어서, 분할 섹션 별로 크레인으로 선내에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의 반송 능력이 부족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1 개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초대형 선박 등의 선박에 배치할 때의 배치성이 우수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a) 는 40 피트 컨테이너의 치수를 나타낸 도면이고, (b) 는 도 1 에 나타낸 선박에 있어서의 강판 구조물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도 3 과는 다른 각도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에 대한 검토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흡수탑의 저류 공간에 형성되는 횡단 부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형상 (애스펙트비) 과 탈황 성능 파라미터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형상 (애스펙트비) 과 탈황 성능 파라미터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 은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산수 노즐의 배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과 형상 (애스펙트비 L/W) 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5 에 나타내는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충전층을 구비하지 않는 흡수탑 (액주탑, 스프레이탑 및 트레이식의 흡수탑 등) 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전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개념도) 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식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벽면 보강 부재와 칸막이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배기 가스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배기 가스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액 공급 라인과 바이패스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강판 구조물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강판 구조물의 선박 상에 대한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배기 가스 도입관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배기 가스 도입관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 는 개략 상면도이고, (b) 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선각 구조에 조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선각 구조에 조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2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선각 구조에 조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선각 구조에 조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선각 구조에 조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A), (B) 및 (C) 는 몇 가지의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3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선각 구조에 대한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등한」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각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1 의 구성 요소를 「마련한다」, 「갖춘다」, 「구비한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 (1) 은, 예를 들어, 주기관의 배기 가스량 (100 % 부하시의 배기 가스량) 이, 20 만 N㎥/h 를 초과하는 초대형 선박이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선박 (1) 은, ULCS (Ultra Large Container Ship) 라고 불리는 10,000 TEU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용적을 갖는 초대형의 컨테이너선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 (1) 은, 선박 본체 (2) 와, 선수-선미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전방 근처의 위치에 있어서 상갑판 (3) 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거주구 (4) 와, 거주구 (4) 보다 선미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갑판 (3) 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강판 구조물 (6) 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강판 구조물 (6) 은, 굴뚝 또는 엔진 케이싱이라고 호칭되는 것이다. 또한, 선박 본체 (2) 의 선창 내에는, 선수-선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우현-좌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격벽 (8) 이,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박 본체 (2) 는, 선수-선미 방향에 있어서, 40 피트 컨테이너 (9) 를 그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 가능한 길이를 기본 단위로 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2 (a) 는, 40 피트 컨테이너 (9) 의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b) 는, 도 1 에 나타낸 선박에 있어서의 강판 구조물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 구조물 (6) 은, 인접하는 1 쌍의 횡격벽 (8A, 8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강판 구조물 (6) 의 연직 하방에 닿는 선박 본체 (2) 의 내부에는, 기관실 (10) 이 형성되어 있다. 기관실 (10) 에는, 선박 (1) 에 대하여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한 선박용 디젤 엔진이나 주기용 터빈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기용 보일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기관 (12) 과, 선박 (1) 내의 다양한 온열 수요 등에 응하기 위한 보조 보일러나 전력 수요 등에 응하기 위한 보조기용 엔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조 기관 (14) 이 설치된다. 이들, 주기관 (12) 및 보조 기관 (1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 (1) 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다.
강판 구조물 (6) 은, 상기 서술한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선박 (1) 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조물로, 선박 (1) 의 우현-좌현 방향 (폭 방향) 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긴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에는, 선박 (1) 에 탑재되는 주기관 (12) 및 보조 기관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가 배치되어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의 폭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은, 대체로 3 m ∼ 8 m 의 범위이다. 한편, 강판 구조물 (6) 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는 비교적 제약이 적고, 예를 들어 5 m ∼ 20 m 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도 3 과는 다른 각도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흡수탑 본체부 (32)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 본체부 (32) 에 유도하기 위한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30) 은, 흡수탑 본체부 (32) 와, 배기 가스 도입부 (34) 와, 배기 가스 도출부 (36) 를 포함하고 있다. 흡수탑 본체부 (32) 는, 그 내부에 길이 방향을 갖는 내부 공간 (31) 을 획정하고 있다. 또한, 흡수탑 본체부 (3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측단부 (39a) 에는, 내부 공간 (31) (하방측 내부 공간 (31b)) 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 (33) 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 가스 도입구 (33) 로부터 내부 공간 (31) 에 도입된 배기 가스는, 하방측 내부 공간 (31b) 을 일방측의 측단부 (39a) 로부터 타방측의 측단부 (39b) 를 향하여 흐른 후, 내부 공간 (31) 을 상승하면서 흘러간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공간 (31) 에는, 하방측 내부 공간 (31b) 의 상방의 위치에, 하방측 내부 공간 (31b) 과 상방측 내부 공간 (31c) 을 떨어트리는 충전층 (35) 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층 (35) 에서는, 예를 들어 다수의 규칙 충전물이 몇층으로 적층되게 되어 있다. 또한, 충전층 (35) 의 상방의 위치에는, 내부 공간 (31) 에 세정액 (예를 들어 해수나 청수) 을 산포하기 위한 산포 장치 (38)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층 (35) 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대하여 세정액을 산포하고, 배기 가스와 세정액을 기액 접촉시킴으로써,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공간 (31) 에는, 상방측 내부 공간 (31c) 의 상방의 위치에, 상방측 내부 공간 (31c) 과 출구측 내부 공간 (31d) 을 떨어트리는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가 배치되어 있다.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는,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를 통과한 배기 가스는, 출구측 내부 공간 (31d) 을 통하여, 흡수탑 본체부 (32) 의 최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배기 가스 도출부 (36) 로부터 선박 (1) 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흡수탑 본체부 (32) 에는, 내부 공간 (31) 에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산포된 산포가 완료된 세정액이 저류되는 저류 공간 (31a) 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저류 공간 (31a) 은, 하방측 내부 공간 (31b) 의 하방, 또한, 배기 가스 도입구 (33) 의 하면보다 하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에 대하여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 장치 (5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해수 공급 장치 (50) 는, 배수 희석 펌프 (52a) 와, 해수 공급 펌프 (54a) 와, 배수관 (56) 과, 해수 공급관 (58) 과, 해수 배출관 (59) 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해수 공급 펌프 (54a) 에 의해 선박 본체 (2) 의 내부에 도입된 해수를, 해수 공급관 (58) 을 통하여 산포 장치 (38) 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탑 (30) 으로부터 배출된 스크러버 배수를 배수 희석 펌프 (52a) 에 의해 희석하고, 배수관 (56) 을 통하여 선박 (1) 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배수 희석 펌프 (52a) 의 각각은, 공통의 제 1 해수 흡입 상자 (52) 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하게, 복수의 해수 공급 펌프 (54a) 의 각각은, 공통의 제 2 해수 흡입 상자 (54) 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은, 배기 가스의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것과 같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의 평면 형상에 대하여, 도 6 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6 에 있어서, 부호 L 은 내부 공간 (31) 의 길이 (길이 방향의 길이) 를 가리키고, 부호 W 는 내부 공간 (31) 의 폭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을 가리킨다. 또한, 부호 D 는, 길이 (L), 폭 (W) 의 단면적을 갖는 장방형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원형 단면의 환산 직경이다.
또한, 도 6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의 평면 형상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긴 쪽 벽면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짧은 쪽 벽면으로 획정되는 장방형상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내부 공간 (31) 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상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한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갖는 사각형상, 타원 형상, 장원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에 대한 검토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의 (a) ∼ (c) 에 나타낸 표에서는, 각 평면 형상에 대하여, 선박 (1) 에 대하여 흡수탑 (30) 을 배치할 때의 레이아웃 상의 용이성을 의미하는 「배치성」 과, 흡수탑 (30) 의 내부 공간 (31) 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균일성을 의미하는 「탈류성」 의 2 항목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배치성」 에 관한 평가에서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그 배치성을 높은 쪽부터 순서대로 ◎, ○, △, × 의 4 단계로 평가하였다. 이것은, 폭 방향의 최대 폭 (W) 이 환산 직경 (D) 에 대하여 작을 수록, 예를 들어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과 같은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부지 내에 흡수탑 (30) 을 배치하고자 한 경우에, 그 배치성이 우수하다는 생각에 기초하는 것이다.
(평가 기준)
◎… (W/D) < 0.50
○… 0.50 ≤ (W/D) < 0.75
△… 0.75 ≤ (W/D) <0.90
× … 0.90 ≤ (W/D)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탑 내부 공간의 형상 (애스펙트비 L/W) 과 탈황 성능 파라미터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데이터의 변화를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서, 양 대수로 나타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형상 (애스펙트비) 과 탈황 성능 파라미터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 은,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산수 노즐의 배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의 형상과 탈류성의 관계에 대하여, 이하에 정의하는 탈황 성능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탈황 성능 파라미터 = 둘레 길이 비율 α × 간섭 노즐 개수 비율 β
α : 둘레 길이에 대하여 기준 조건 (L/W = 1) 과의 역비
= 기준 조건에서의 둘레 길이/검토 대상의 애스펙트비에서의 둘레 길이
β : 간섭 노즐의 개수에 대하여 기준 조건과의 비
= 검토 대상의 애스펙트비에서의 간섭 노즐 개수/기준 조건에서의 간섭 노즐 개수
둘레 길이란, 흡수탑 본체부 (32) 의 수평 단면에 있어서의 외주 길이를 나타낸다. 세정액이 벽면에 부착되면 탈황에 기여하지 않는 로스가 되기 때문에, 동일한 단면적인 경우에 둘레 길이가 길면 탈황 성능을 악화시키는 저해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저해 요인이기 때문에, 기준 조건 (L/W = 1) 과의 역비에 의해 둘레 길이 비율 α 를 정의하였다.
간섭 노즐이란, 사방에 인접하는 산수 노즐이 있는 산수 노즐을 가리킨다. 즉,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열의 산수 노즐 (71) 이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격자상으로 복수의 산수 노즐 (71) 이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가장 외주측에 배치되는 산수 노즐 (71a) 을 제외한, 범위 71A 의 내측에 위치하는 산수 노즐 (71b) 이, 상기 서술한 간섭 노즐이 된다.
동일한 단면적인 경우에 간섭 노즐이 많아지면, 인접하는 산수 노즐과의 사이에서 분출되는 탈황액이 간섭하는 (서로 겹치는) 장소가 많아져, 탈황 성능을 향상시키는 촉진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촉진 요인이기 때문에, 기준 조건 (L/W = 1) 과의 비에 의해 간섭 노즐 개수 비율 β 를 정의하였다. 또한, 노즐 개수는 소정의 노즐 피치 (본 실시예에서는 0.5 m) 를 사용하여 격자상으로 배치한 경우를 가정하여, 끝수가 나온 경우에는 정수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단면적의 조건으로, 애스펙트비 L/W 가 1 보다 커질 수록, 둘레 길이가 증가하고, 또한 간섭 노즐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탈황 성능 파라미터는 저하한다. 도 9 로부터, 탈황 성능 파라미터는 L/W 가 2.0 이하에서는 대략 일정, 동 2.0 ∼ 6.0 의 범위에서는 저하, 동 6.0 이상은 대폭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곡점은 L/W = 2.0, 6.0 의 2 개 지점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탈황성」 에 관한 평가에서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그 탈황성이 높은 쪽부터 순서대로 ◎, ○, △, × 의 4 단계로 평가하였다. 이것은, 흡수탑 (30)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균일성이 높을 수록, 탈황 성능이 우수하다는 생각에 기초하는 것이다. 또한, 흡수탑 (30)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균일성은, 하기의 검토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서술한 검토 결과로부터 평가하였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스펙트비가 2 이하이면, 탈황 성능 파라미터를 대략 일정한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고, 흡수탑 (30)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균일성을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2 초과 또한 3 이하인 경우에는, 애스펙트비가 커짐에 따라 탈황 성능 파라미터는 완만하게 감소해 가지만, 탈황 성능 파라미터를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3 초과 또한 6 이하인 경우에도, 애스펙트비가 커짐에 따라 탈황 성능 파라미터는 완만하게 감소해 가지만, 여전히 탈황 성능 파라미터를 비교적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스펙트비가 6 을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탈황 성능 파라미터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어, 흡수탑 (30)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균일성이, 요구되는 탈황 성능을 발휘하는 데에 있어서의 허용 범위를 초과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애스펙트비의 상한은 6 으로 설정하였다.
(평가 기준)
◎… W : L = 1 : 1.1 초과, 그리고, 1 : 2.0 이하
○… W : L = 1 : 2.0 초과, 그리고, 1 : 3.0 이하
△… W : L = 1 : 3.0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
×… W : L = 1 : 6.0 초과
(검토 조건)
입구 가스 유속 = 2 ∼ 20 m/s
흡수탑 내 유속 = 1 ∼ 5 m/s
산수량 = 30 ∼ 200 ㎥/㎡·h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배치성」 및 「탈류성」 의 2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종합 평가」 를 실시하였다. 「종합 평가」 에서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그 종합 평가가 높은 쪽부터 순서대로 「우수」, 「양호」, 「가능」 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우수… ◎ 가 1 항목 이상, 또한, △ 및 × 가 없는 것
양호… ○ 가 2 항목인 것
가능… △ 가 1 항목 이상인 것, 또한, × 가 없는 것
불가… × 가 1 항목 이상인 것
도 6 (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 (31) 의 평면 형상은, W : L = 1 : 1.5 초과, 그리고, 1 : 2.0 이하의 범위의 것이 종합 평가에서 「우수」 로 평가되었다. 「배치성」 및 「탈황성」 의 평가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를 갖는 것이지만, W : L 을 이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배치성 및 탈류성의 양방에 있어서 우수한, 밸런스가 양호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W : L = 1 : 2.0 초과, 그리고, 1 : 3.0 이하의 범위의 것이 종합 평가에서 「양호」 라고 평가되었다. 거기에 이어서, W : L = 1 : 3.0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의 것이 종합 평가에서 「가능」 이라고 평가되었다. 또한, W : L = 1 : 1.1 이하의 것은, 「탈황성」 은 우수하지만, 「배치성」 이 열등하기 때문에, 「불가」 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W : L = 1 : 6.0 초과의 것은, 흡수탑 (30)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균일성을 담보할 수 없어, 「탈황성」 이 열등하기 때문에, 「불가」 라고 평가하였다.
이상,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길이 방향을 갖는 내부 공간 (31) 을 획정함과 함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측단부 (39a) 에 내부 공간 (31) (하방측 내부 공간 (31b)) 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 (33) 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 (32)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을 구비하고 있다. 요컨대,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은,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환형 (원형) 의 흡수탑에 비하여 데드 스페이스가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 (1) 에 배치할 때의 배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평면 형상을 갖는 흡수탑 (30) 이, 상기 서술한 초대형의 컨테이너선 등의 선박 (1) 에 대하여, 배치성이 우수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배기 가스 도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리스크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의하면, 내부 공간 (31) 의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는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이, 내부 공간 (31) 의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의 상한을 1 : 6.0 으로 설정한 것에 의해, 흡수탑 (30)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불균일성을, 본 발명자가 검토한 바의 실용상의 허용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그 내부 공간 (31) 의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는 1 : 1.5 초과, 그리고, 1 : 2.0 이하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배치성 및 탈류성이 특히 우수한, 밸런스가 양호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를 제공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1 ∼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30) 은,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이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선박 (1) 에 탑재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흡수탑 (30) 이, 상기 서술한 초대형의 컨테이너선 등의 선박 (1) 에 대하여, 배치성이 우수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부 (32) 를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선수-선미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흡수탑에 비하여, 선박 (1) 의 가로 흔들림 (롤링) 시에 흡수탑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롤링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갖는 흡수탑 (30) 으로 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1 ∼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선박 (1) 은, 배기 가스 발생 장치 (주기관 (12), 보조 기관 (14))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선박 (1) 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강판 구조물 (6) 로서,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긴 통상으로 형성되는 강판 구조물 (6)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탑 (30) 은,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강판 구조물 (6) 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강판 구조물 (6) 의 평면 형상은, 길이 방향을 갖는 사각형상, 타원 형상, 장원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긴 통상의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에 흡수탑 (30) 을 배치함으로써, 선박 (1) 에 탑재되는 그 밖의 제설비 등의 배치 계획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선박 (1) 에 대한 레트로피트가 용이해진다. 또한, 흡수탑 (30) 을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기관실 (10) 내 등의 선박 (1) 의 내부에 흡수탑 (30) 을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치 작업성이나 메인터넌스성도 우수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에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 (주기관 (12))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로부터 열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배열 회수 장치 (60)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탑 (30) 은, 배열 회수 장치 (60) 와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열 회수 장치 (60) 는,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한 열 에너지에 의해 증기를 생성하는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로 이루어진다. 배열 회수 장치 (60) 에는, 그 하부에 주기관 (12)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배기 가스 유입관 (45) 이 접속됨과 함께, 그 상부에 배기 가스 배출관 (43) 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기 가스 배출관 (43) 으로부터, 후술하는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이 분기함으로써, 흡수탑 (30) 에 대하여 배기 가스를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배기 가스 유입관 (45), 배기 가스 배출관 (43), 및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은, 상기 서술한,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 본체부 (32) 에 유도하기 위한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열 회수 장치 (60) 는, 흡수탑 본체부 (32) 와 동일하게,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내부 공간은, 수평 단면에 있어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에 흡수탑 (30) 과 배열 회수 장치 (60) 를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배열 회수 장치 (60) 와 흡수탑 (30) 을 서로 떨어진 장소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를 심플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배열 회수 장치 (60) 가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강판 구조물 (6) 의 내부에 배치할 때에 데드 스페이스가 잘 발생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3 ∼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30) 은, 일단부 (34a) 가 흡수탑 본체부 (32) 의 배기 가스 도입구 (33) 에 접속됨과 함께, 일단부 (34a) 로부터 타단부 (34b) 를 향하여 상향으로 연장되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배기 가스 도입구 (33) 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도입부 (34) 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배기 가스 도입구 (33) 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34A) 와, 경사부 (34A) 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34B)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수직부 (34B) 의 단부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타단부 (34b)) 에, 후술하는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이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타단부 (34b) 에 배기 가스 도입 라인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을 접속시킴으로써,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의 협소한 스페이스에 배치된 흡수탑 (30) 에 대하여 배기 가스를 도입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3 ∼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는, 배열 회수 장치 (60) 측으로부터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타단부 (34b) 를 향하여,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기 가스 도입관 (42) 과, 이 배기 가스 도입관 (42) 에 접속되고, 보조 기관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을 통하여, 흡수탑 본체부 (32) 에 유도하기 위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의 일단측은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배출관 (43) 에 접속하고, 그 타단측이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타단부 (34b) 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은,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을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배출관 (43) 의 하류측에는, 배기 가스 댐퍼 (47) 를 통하여,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을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기 가스 굴뚝부 (46) 와, 배기 가스 도입관 (42) 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등의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정지시에는, 배기 가스 댐퍼 (47) 에 의해, 배기 가스 배출관 (43) 으로부터 배기 가스 굴뚝부 (46) 로 통하는 유로가 개방되는 한편으로, 배기 가스 배출관 (43) 으로부터 배기 가스 도입관 (42) 으로 통하는 유로는 폐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등의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운전시에는, 배기 가스 댐퍼 (47) 에 의해, 배기 가스 배출관 (43) 으로부터 배기 가스 도입관 (42) 으로 통하는 유로가 개방되는 한편으로, 배기 가스 배출관 (43) 으로부터 배기 가스 굴뚝부 (46) 로 통하는 유로가 폐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도입관 (42) 에는, 보조 기관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흐르는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각각에는, 도시 생략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댐퍼를 통하여,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배출관 (48a ∼ 48d) 이 각각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보조 기관 (14) 의 정지시에는, 도시 생략의 배기 가스 댐퍼에 의해,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배출관 (48a ∼ 48d) 으로 각각 통하는 유로가 개방되는 한편으로,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각각으로부터 배기 가스 도입관 (42) 으로 통하는 유로는 폐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 기관 (14) 의 운전시에는, 도시 생략의 배기 가스 댐퍼에 의해,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각각으로부터 배기 가스 도입관 (42) 으로 통하는 유로가 개방되는 한편으로,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보조기용 배기 가스 배출관 (48a ∼ 48d) 으로 각각 통하는 유로가 폐지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강판 구조물 (6) 의 내측의 협소한 스페이스에 배치된 흡수탑 (30) 에 대하여, 주기관 (12) 및 보조 기관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도입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부 (32) 는,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과, 내부 공간 (31) 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짧은 쪽 벽면 (32c, 32d) 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의 평면 형상은,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과, 1 쌍의 짧은 쪽 벽면 (32c, 32d) 에 의해 획정되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장방형의 모서리부에 R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나, 한치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방형상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장방형상의 내부 공간 (31) 을 갖는 흡수탑 본체부 (32) 는, 선내에 배치했을 때에 데드 스페이스가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선내에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의 배치 효율이 우수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 흡수탑의 저류 공간에 형성되는 횡단 부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부 (32) 에는, 내부 공간 (31) 으로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산포된 산포가 완료된 세정액이 저류되는 저류 공간 (31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부 (32) 는,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도 11 을 참조) 을 접속함과 함께, 저류 공간 (31a) 을 내부 공간 (31) 의 폭 방향을 따라 횡단하는 횡단 부재 (70) 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박 (1) 의 가로 흔들림 등에 의해, 저류 공간 (31a) 에 저류되어 있는 세정액의 표면이 크게 기복이 있는 슬로싱이 발생한 경우에, 횡단 부재 (70) 에 의해, 그 액면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을 접속하는 횡단 부재 (70) 를 형성함으로써, 장방형상의 내부 공간 (31) 을 갖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7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횡단 부재 (70) 가, 장척 형상을 갖는 대들보 부재 (70A) 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대들보 부재 (70A) 는, 예를 들어 H 형상의 단면을 갖는 H 형 강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단 (3 단)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대들보 부재 (70A) 는, I 형상, L 형상, T 형상, 및 통상의 단면을 갖는 대들보 부재여도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척 형상을 갖는 대들보 부재 (70A) 에 의해, 상기 서술한 슬로싱의 억제 효과, 및 흡수탑 본체부 (32) 의 보강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부 (32) 에 대한 보강 효과에 특히 우수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7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횡단 부재 (70) 가, 평판 형상을 갖는 언판 부재 (70B) 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언판 부재 (70B) 는, 그 판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공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언판 부재 (70B) 는, 그 판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판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평판 형상을 갖는 언판 부재 (70B) 에 의해, 상기 서술한 슬로싱의 억제 효과, 및 흡수탑 본체부 (32) 의 보강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로싱의 억제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또한, 특별히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서술한 횡단 부재 (70) 는, 대들보 부재 (70A) 와 언판 부재 (70B) 의 양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것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에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세정액을 산포하기 위한 산포 장치 (38 (38A)) 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산포 장치 (38A) 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에 있어서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도 11 을 참조) 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과,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에 형성된 복수의 산수 노즐 (38a2) 을 갖는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은, 내부 공간 (31) 의 폭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에 1 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은, 내부 공간 (31) 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일한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에 형성된 복수의 산수 노즐 (38a2) 의 각각으로부터 긴 쪽 벽면 (32a, 32b) 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 (31) 에 있어서 세정액을 균일하게 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동요 (롤링, 피칭, 요잉 등) 에서 기인하여 세정액의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에 나타낸 흡수탑 (30) 은, 상기 서술한 도 5 에 나타낸 흡수탑 (30) 에 대하여, 그 산포 장치 (38) 의 구성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에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세정액을 산포하기 위한 산포 장치 (38 (38B)) 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산포 장치 (38B) 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에 있어서 1 쌍의 짧은 쪽 벽면 (32c, 32d) (도 11 을 참조) 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됨과 함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 (38b1) 과,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 (38b1) 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산수 노즐 (38b2) 을 갖는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 (38b1) 의 각각에는, 복수의 산수 노즐 (38b2) 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폭 방향 산수관 (38b1) 의 각각에 배치되는 산수 노즐 (38b2) 의 설치 위치는, 폭 방향에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되어도 된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 (38b1) 에 배치되는 복수의 산수 노즐 (38b2) 은,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 (38b1) 의 각각에 형성된 산수 노즐 (38b2) 의 산포 에어리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 (31) 에 있어서 세정액을 균일하게 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동요 (롤링, 피칭, 요잉 등) 에서 기인하여 세정액의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종횡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 (31) 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상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한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갖는 사각형상, 타원 형상, 장원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과 형상 (애스펙트비 L/W) 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a) ∼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은, 평면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원호상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짧은 쪽 벽면과, 1 쌍의 짧은 쪽 벽면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1 쌍의 원호상 벽면으로 획정되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존재하는 1 쌍의 긴 쪽 벽면과, 1 쌍의 긴 쪽 벽면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1 쌍의 원호상 벽면으로 획정되는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종래의 환형 (원형) 의 흡수탑에 비하여 데드 스페이스가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에 배치할 때의 배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예를 들어 ULCS 등의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평면 형상을 갖는 흡수탑이 배치성이 우수한) 어느 종류의 초대형 선박에 대하여, 배치성이 우수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배기 가스 도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리스크를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의 최대 폭 (W) 과 최대 길이 (L) 의 비 (W : L) 의 상한을 1 : 6.0 으로 설정한 것에 의해, 흡수탑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흐름의 불균일성을, 본 발명자가 검토한 바의 실용상의 허용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은, 평면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원호상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흡수탑 본체부 (32) 는, 내부 공간 (31) 의 원호상을 포함하는 부분의 외측에 상당하는 부분에 배관을 통과시키는 등의 이용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질)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옥외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바닷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해 외벽면이 녹슬거나 부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세정액으로서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수탑 (30) 의 내부 공간 (31) 등을 획정하는 내벽면이나 산포 장치 (38) 가 녹슬거나, 부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선박 (1) 에 장착되기 때문에, 중량, 가공성, 내구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흡수탑 본체부 (32), 배기 가스 도입부 (34) 및 배기 가스 도출부 (36) 를 포함한다) 의 벽면 (긴 쪽 벽면 (32a, 32b), 짧은 쪽 벽면 (32c, 32d) 을 포함한다), 그리고,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38c1)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폭 방향 산수관 (38b1) 을 포함한다) 및 산수 노즐 (38c2) (산수 노즐 (38a2, 38b2) 을 포함한다) 의 재질은, 예를 들어 SS400 등의 탄소강 (보통 강) 이다. 그리고, 흡수탑 (30) 의 벽면,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및 산수 노즐의 내외면에는, 방식성 도료에 의한 방식 피막이 실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및 산포 장치 (38) 는, 탄소강이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방식성 도료에 의한 방식 피막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내식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의 벽면,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및 산수 노즐의 내외면에는, 수지 라이닝 또는 플레이크 글래스 라이닝 등의 방식 라이닝이 실시되어 있다. 여기서, 수지 라이닝에 사용되는 수지에는 예를 들어 FRP 가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및 산포 장치 (38) 는, 방식 라이닝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내식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의 벽면, 그리고,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및 산수 노즐의 재질은, 예를 들어 SUS316L 등의 고내식성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 이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및 산포 장치 (38) 는, 고내식성 스테인리스강이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고, 또한, 방식성 도료에 의한 방식 피막이나 방식 라이닝이 실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내구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의 상방에 위치하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적어도 일부 및 배기 가스 도출부 (36) 의 재질은, FRP (섬유 강화 플라스틱) 이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의 상방에 위치하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적어도 일부 및 배기 가스 도출부 (36) 는, FRP 가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고, 또한, 방식성 도료에 의한 방식 피막이나 방식 라이닝이 실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내구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탄소강이나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30) 의 상방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작은 부분을 경량으로 함으로써, 흡수탑 (30) 의 무게 중심을 낮은 위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롤링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갖는 흡수탑 (30) 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탑 상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탑의 평면 형상이, 배기 가스 도입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길이 방향의 전방쪽 (배기 가스 도입구측) 과 안쪽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 에서 가스 유속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 흡수탑 내에 있어서 균일하게 배기 가스를 흘리는 것이 어려워져, 흡수탑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5 에 나타내는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이나 내부 공간 (31) 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 등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30) (흡수탑 본체부 (32)) 의 외측으로부터 내부 공간 (31) 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광 투과성의 시인창 (80A) 을 포함하고 있다. 시인창 (80A) 은, 예를 들어 유리면 등의 광 투과성이 있는 광 투과성 부재를 갖고, 산포 장치 (38) 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이 확인 가능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창 (80A) 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방측의 측단부 (39b) 에 있어서의,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보다 하방 또한 산포 장치 (38) 보다 상방의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방측의 측단부 (39b) 의 폭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에 1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은, 타방측의 측단부 (39b) 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산포 장치 (38) 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은, 상기 서술한 충전층 (35) 을 구비하는 흡수탑 (30) 에서는, 산포 장치 (38) 의 산수 노즐 (38c2) (산수 노즐 (38a2, 38b2) 을 포함한다) 로부터 1 m 정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충전층 (35) 을 구비하지 않는 흡수탑 (30) 에서는, 산포 장치 (38) 의 산수 노즐 (38c2) 로부터 최대 10 m 정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충전층 (35) 을 구비하지 않는 흡수탑에는, 산수 노즐 (38c2) 이 하향으로 설치되고, 스프레이하는 것이나 트레이를 사용하여 기액의 분산을 실시하는 것도 있다. 이들 충전층 (35) 을 구비하지 않는 흡수탑에 대해서도,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 및 후술하는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은,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은,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본체부 (32)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측단부 (39c) 의 안쪽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30) 은,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시인창 (80A)) 를 포함함으로써,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이나 내부 공간 (31) 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산포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산포 장치 (38) 의 산수 노즐 (38c2) 의 세정 등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산포 상황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시인창 (80A)) 를 길이 방향 타방측의 측단부 (39b) 나 폭 방향의 측단부 (39c) 의 안쪽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 근처의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구측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시인창 (80A)) 에서는 확인이 곤란한,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30) 은,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시인창 (80A)) 를 포함함으로써, 산포 장치 (38) 의 산수 노즐 (38c2) 로부터 산포되는 세정액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고, 세정액의 각도로부터 슬로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의 광 투과성 부재에 연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등의 표지를 형성함으로써, 세정액의 각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표지를 금속선 등으로 함으로써, 시인창 (80A) 을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시인창 (80A)) 는, 산포 장치 (38) 의 산포 상황의 확인 이외의 다른 용도에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배기 가스 도입구측에 시인창 (80A) 을 형성하여 배기 가스 도입구측의 배기 가스의 흐름을 확인하는데 사용하거나, 세정액이 저류되는 저류 공간 (31a) 의 액면 근방의 높이 위치에 시인창 (80A) 을 형성하여 저류 공간 (31a) 을 확인하는데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충전층을 구비하지 않는 흡수탑 (액주탑, 스프레이탑 및 트레이식의 흡수탑 등) 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도 13,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및 상기 서술한 시인창 (80A) 을 포함하는 흡수탑 (30) 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은, 배기 가스가 내부 공간 (31) 을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수탑 본체부 (32) 와, 흡수탑 본체부 (32) 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 (31) 을 시인 가능한 광 투과성의 시인창 (80A) 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흡수탑 (30) 을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작업자 등은 시인창 (80A) 을 통하여, 내부 공간 (31) 을 흐르는 배기 가스의 흐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및 시인창 (80A) 을 포함하는 흡수탑 (30) 을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은 길이 방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는,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단부에 내부 공간 (31) 과 연통하는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도입구 (33)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시인창 (80A) 은,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타방측」 이란,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일방측으로부터 떨어진 측을 말한다.
도 13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은, 타방측의 측단부 (39b) 의 폭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에 1 개 형성되어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은, 타방측의 측단부 (39b) 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14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시인창 (80A) 은, 흡수탑 본체부 (32)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측단부 (39c) 의 안쪽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 공간 (31) 이 길이 방향을 가지고 있으면, 배기 가스 도입구 (33) 측과, 배기 가스 도입구 (33) 와 반대측에서 가스 유속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 흡수탑 (30) 내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본체부 (32) 는,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단부에 내부 공간 (31) 과 연통하는 배기 가스 도입구 (33) 를 갖는다. 그리고, 시인창 (80A) 은,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예를 들어 길이 방향 타방측의 측단부 (39b) 나 폭 방향의 측단부 (39c) 의 안쪽 (배기 가스 도입구와 반대측) 근처의 위치에 형성된다. 작업자 등은 시인창 (80A) 을 통하여, 만일 배기 가스 도입구 (33) 측에 형성되는 시인창에서는 확인이 곤란한, 배기 가스 도입구 (33) 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및 시인창 (80A) 을 포함하는 흡수탑 (30) 을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를 구비하고 있다. 그 산포 장치 (38) 는, 세정액을 내부 공간 (31) 에 분사 가능한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 (38c2) (산수 노즐 (38a2, 38b2) 을 포함한다) 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시인창 (80A) 은, 산수 노즐 (38c2) 을 시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시인창 (80A) 은, 산수 노즐 (38c2) 을 시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 등은 시인창 (80A) 을 통하여, 산수 노즐 (38c2) 에 의한 세정액의 분사 상황 등의,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산수 노즐 (38c2) 의 세정 등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산포 상황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및 시인창 (80A) 을 포함하는 흡수탑 (30) 을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를 구비하고 있다. 그 산포 장치 (38) 는, 세정액을 내부 공간 (31) 에 분사 가능한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 (38c2) (산수 노즐 (38a2, 38b2) 을 포함한다) 을 가지고 있다. 산수 노즐 (38c2) 은,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산수 노즐 (38c2) 로부터 상향으로 분사된 세정액은, 내부 공간 (31) 에 있어서 상단 (정점끝) 까지 상승한 후에 자연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시인창 (80A) 은, 산포 장치 (38) 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이 확인 가능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창 (80A) 은, 설계 상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시인창 (80A) 은, 산포 장치 (38) 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을 확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 등은 시인창 (80A) 을 통하여,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이 적절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충전층 (35) 을 구비하는 흡수탑 (30) 에 있어서, 시인창 (80A) 은, 산포 장치 (38) 의 산수 노즐 (38c2) 보다 상방으로 0.5 m 이상 1.5 m 이하, 바람직하게는 0.7 m 이상 1.3 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m 이상 1.2 m 이하만큼 떨어진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는 시인창 (80A) 을 통하여, 산포 장치 (38) 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이 확인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충전층 (35) 을 구비하지 않는 흡수탑 (30) 에 있어서, 시인창 (80A) 은, 산포 장치 (38) 의 산수 노즐 (38c2) 보다 상방으로 5 m 이상 15 m 이하, 바람직하게는 7 m 이상 13 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m 이상 12 m 이하만큼 떨어진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는 시인창 (80A) 을 통하여, 산포 장치 (38) 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이 확인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및 시인창 (80A) 을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산수 노즐 (38c2) 을 갖는 산포 장치 (38) 를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는,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내부 공간 (31) 에 있어서 산수 노즐 (38c2) 보다 상방에 형성되는 상기 서술한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시인창 (80A) 은, 도 13,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수 노즐 (38c2) 보다 상방, 그리고, 상기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보다 하방에 배치되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본체부 (32) 는,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인창 (80A) 은, 산수 노즐 (38c2) 보다 상방, 그리고,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가스는,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보다 하방에 있어서, 세정액에 기액 접촉하기 때문에, 만일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7) 보다 상방에 시인창 (80A) 을 형성해도,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시인창 (80A) 을 상기 서술한 배치로 함으로써, 작업자는, 시인창 (80A) 을 통하여,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세정액의 산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산수 노즐 (38c2) 이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서술한 시인창 (80A) 을 통하여, 산포 장치 (38) 에 의해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을 확인함으로써, 세정액의 산포 상황이 적절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충전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충전층 (35) 에서는, 예를 들어 다수의 규칙 충전물이 몇층으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충전층 (35) 에 있어서의 충전물 (충전재) 은, 흡수탑 (30) 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와 세정액의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흡수탑 (30) 은, 선박 (1) 의 동요 (롤링, 피칭, 요잉 등) 에서 기인하여, 충전층 (35) 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충전물이 이동하여 불균일한 배치가 되면,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의 외부로 배출되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전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개념도) 이다.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충전층 (35) 에 있어서의 충전물 (35A) 은, 종횡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충전물 (35A) 은,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이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충전물 (35A) 은, 예를 들어, 500 ㎜, 500 ㎜ 및 100 ㎜ 의 외경 치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충전물 (35A) 은, 내부 공간 (31) 의 충전층 (35) 을 형성하는 위치에 있어서, 각각이 종횡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충전층 (35) 에서는, 충전물 (35A) 이 적층되지 않고 1 층의 충전물 (35A) 이 횡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충전층 (35) 에 있어서의 충전물 (35A) 은, 서로 적어도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동요에 의한 이동이 제한되어, 불균일한 배치가 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리스크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충전물 (35A) 은, 적어도 일부에 규칙 충전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충전물 (35A) 은, 적어도 일부에 불규칙 충전물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규칙 충전물」 이란, 규칙적으로 겹쳐 쌓는 데에 적합한 충전물을 나타내고, 「불규칙 충전물」 이란, 충전할 때에, 불규칙하게 쌓이는 충전물을 나타낸다. 불규칙 충전물은, 규칙 충전물보다 필요 압손이 크지만, 세정액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충전물 (35A) 은, 필요 압손과 세정액에 의한 처리 성능에 따라, 규칙 충전물 및 불규칙 충전물의 어느 것으로 하거나, 또는, 규칙 충전물 및 불규칙 충전물의 비율을 어떻게 할 지가 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와, 상기 서술한 내부 공간 (31) 에 형성되는 충전층 (35) 에 충전되는 충전물 (35A) 로서, 충전층 (35) 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세정액을 기액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물 (35A) 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배기 가스가 충전층 (35) 에 충전된 충전물 (35A) 사이 (간극) 를 흐를 때에, 충전물 (35A) 의 표면에 있어서 접촉 면적이 커진 세정액과, 충전물 (35A) 에 의해 흐름이 흐트러진 배기 가스를 기액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의하면, 충전물 (35A) 에 의해 세정액과 배기 가스의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충전물 (35A) 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식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을 획정하는 벽면 (긴 쪽 벽면 (32a, 32b), 짧은 쪽 벽면 (32c, 32d) 을 포함한다) 중의, 충전층 (35) 을 구획하는 벽면 이외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방식층 (84)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탑 본체부 (32) 의 충전층을 구획하는 벽면에는 방식층 (84) 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방식층 (84) 은, 상기 서술한 방식성 도료에 의한 방식 피막과, 상기 서술한 방식 라이닝을 포함한다.
흡수탑 (30) (흡수탑 본체부 (32)) 은, 블록 공법에 의해 조립된다. 즉, 흡수탑 (30) (흡수탑 본체부 (32)) 은, 둥글게 자르기 등 몇 가지의 층상의 부분별로 제조되어, 각각의 층상의 부분을 겹쳐 쌓아 부분끼리를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완성한다.
흡수탑 본체부 (32) 는, 도 16 중 2 점 쇄선으로 각 부분을 구분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층 (35) 을 구획하는 벽면을 갖는 제 1 층상 부분 (32A) 과, 흡수탑 본체부 (32) 에 있어서의 제 1 층상 부분 (32A) 보다 하방의 부분인 제 2 층상 부분 (32B) 으로서, 저류 공간 (31a) 이나 하방측 내부 공간 (31b) 을 구획하는 벽면을 갖는 제 2 층상 부분 (32B) 과, 흡수탑 본체부 (32) 에 있어서의 제 1 층상 부분 (32A) 보다 상방의 부분인 제 3 층상 부분 (32C) 으로서, 상방측 내부 공간 (31c) 을 구획하는 벽면을 갖는 제 3 층상 부분 (32C) 을 겹쳐 쌓아 부분끼리를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완성한다.
제 2 층상 부분 (32B), 제 3 층상 부분 (32C) 및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재질은, 예를 들어 SS400 등의 탄소강 (보통 강) 이다. 그리고,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층상 부분 (32B), 제 3 층상 부분 (32C) 및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벽면 (내벽면) 에는, 방식층 (84) 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층상 부분 (32A) 의 재질은, 예를 들어 SUS316L 등의 고내식성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 이다. 그리고,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층상 부분 (32A) 의 벽면 (내벽면) 에는, 방식층 (84) 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를 고온의 배기 가스가 흐르기 때문에,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을 획정하는 벽면 (내벽면) 등이,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분 등에 의해 부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정액으로서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수에 의해 상기 서술한 벽면 등이 부식할 우려가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서술한 벽면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술한 벽면의 전체면에 걸쳐서 방식층 (84) 을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충전물 (35A) 이 움직여, 충전층 (35) 을 구획하는 벽면을 보호하는 방식층 (84) 에 충돌하여, 그 방식층 (84) 을 박리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방식층 (84) 의 박리나 손상은, 방식층 (84) 으로 보호된 벽면의 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을 획정하는 벽면 (내벽면) 중, 충전층 (35) 을 구획하는 벽면 이외의 벽면에 방식층 (84) 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층 (35) 을 구획하는 벽면에 방식층 (84) 을 형성하면,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충전물 (35A) 이 움직여, 방식층 (84) 에 충돌하여, 그 방식층 (84) 을 박리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충전층 (35) 을 구획하는 벽면에 방식층 (84) 을 형성하지 않고, 그 대신에, 흡수탑 본체부 (32) 중, 충전층 (35) 을 둘러싸는 층상 부분 (상기 제 1 층상 부분 (32A)) 을,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내식성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벽면의 부식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충전물 (35A) 에 의한 방식층 (84) 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내부 공간 (31) 을 획정하는 벽면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와, 상기 서술한 충전물 (35A) 을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충전물 (35A) 은, 규칙 충전물이다. 이 경우에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충전물 (35A) 이 규칙 충전물이기 때문에, 충전물 (35A) 이 불규칙 충전물인 경우에 비하여, 배기 가스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배기 가스의 처리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규칙 충전물을 충전물 (35A) 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불규칙 충전물을 충전물 (35A) 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비하여, 흡수탑 (30)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규칙 충전물은, 불규칙 충전물에 비하여, 선박 (1) 의 흔들림에 의해 잘 이동하지 않아, 선박 (1) 의 흔들림에 의해 불균일한 배치가 잘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규칙 충전물을 충전물 (35A) 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불규칙 충전물을 충전물 (35A) 로 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비하여,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 (30) 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리스크를 낮게 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와, 상기 서술한 충전물 (35A) 을 구비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 흡수탑 본체부 (32) 는,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산포 장치 (38) 는,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산포 장치 (38) 는,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향으로 분사된 세정액은, 상단 (정점부) 에서 분산된 후에 미세화하여 낙하함으로써, 내부 공간 (31) 의 예를 들어 충전물 (35A) 의 표면에 분산되어 존재한다. 배기 가스는, 내부 공간 (31) 을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를 때에, 충전물 (35A) 의 표면에 부착된 세정액이나 낙하하는 세정액과 기액 접촉함으로써,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분이 제거된다.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충전물 (35A) 은, 적어도 상면이 사람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내부 공간 (31) 내에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나 메인터넌스 작업시에 있어서의 족장 (足場) 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에 나타낸 충전층 (35) 과 산포 장치 (38) 사이의 간격 (Hn) 이 2 m 이상이다. 이 경우에는, 작업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산포 장치 (38) 의 설치나 교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 작업 공간의 확대에 따라 내부 공간 (31) 과 외부를 연결하는 맨홀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산포 장치 (38) 의 설치나 교환 작업의 효율화가 더욱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류 공간 (31a) 내의 적어도 일부에 pH 조정제 (81) 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pH 조정제 (81) 는,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의 내부에 고르게 깔림과 함께, 저류 공간 (31a) 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에 고르게 깔리는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는, 저류 공간 (31a) 의 바닥 1 면에 고르게 깔려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저류 공간 (31a) 내의 적어도 일부에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와, 아황산을 포함하는 저 pH 탈황 후의 해수 (세정액) 를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 pH 탈황 후의 해수를 중화하여 pH 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저류 공간 (31a) 의 바닥 1 면에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를 고르게 까는 것에 의해, 슬로싱시의 물결침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슬로싱시에 흡수탑 본체부 (32) 에 가해지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슬로싱시의 물결침을 경감시키는 것은,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흡수탑 (30) 이 저류 공간 (31a) 내에 저류되는 산포가 완료된 세정액이 일정량을 초과했을 때에, 하류측에 위치하는 해수 배출관 (59) 으로 흐르는 것과 같은 칸막이 (82) 를 구비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고, 슬로싱시의 물결침에 의해 산포가 완료된 세정액이 일정량에 미치지 못하는데 하류측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30) 은, 저류 공간 (31a) 과 해수 배출관 (59) 의 내부 공간 (59a) 사이에, 상기 서술한 칸막이 (82) 와, 길이 방향 타방측의 측단부 (39b) 의 하단부와, 저류 공간 (31a) 의 저면과, 측단부 (39b) 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해수 배출관 (59) 측으로 연장되는 천정부 (83) 에 의해 획정되는 해수 통수 공간 (82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해수 통수 공간 (82a) 의 바닥 1 면에 상기 서술한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가 고르게 깔려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해수 통수 공간 (82a) 내의 적어도 일부에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와, 아황산을 포함하는 저 pH 탈황 후의 해수 (세정액) 를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 pH 탈황 후의 해수를 중화하여 pH 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해수 통수 공간 (82a) 의 상방에 위치하는 천정부 (83) 에 개폐 가능한 해치 (8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해치 (83a) 를 여는 것에 의해, 해수 통수 공간 (82a) 내의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를 망째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로크상의 알칼리제 (81A) 의 교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하방측 내부 공간 (31b) 과 상방측 내부 공간 (31c) 을 떨어트리는 충전층 (35) 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4 에서는, 산포 장치 (38) 보다 하방을 하방측 내부 공간 (31b) 으로 하고, 산포 장치 (38) 보다 상방을 상방측 내부 공간 (31c) 으로 하고 있다. 산포 장치 (38) 는, 충전층 (35) 이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흡수탑 본체부 (32) 의 하방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방측 내부 공간 (31c) 은, 연직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방측 내부 공간 (31c) 은, 연직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포 장치 (38) 로부터 산포되는 세정액의 상단 (정점끝) 을 높은 위치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수탑 (30) 은, 충전층 (35) 을 구비하지 않아도 배기 가스가 미탈황인 채로 흡수탑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리스크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벽면 보강 부재와 칸막이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에 벽면 보강 부재 (92) 가 형성되어 있다. 벽면 보강 부재 (92) 는,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및 1 쌍의 짧은 쪽 벽면 (32c, 32d) 중 1 개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된 벽면으로부터 내부 공간 (31)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벽면을 따르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벽면 보강 부재 (92) 에 의해 흡수탑 (30) 의 구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 (31) 내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 공간 (31) 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1 개의 칸막이벽 (93) 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칸막이벽 (93) 에 의해 흡수탑 (30) 의 구조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칸막이벽 (93) 에 의해 배기 가스를 정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이 1 쌍의 짧은 쪽 벽면 (32c, 32d) 보다 후육 (厚肉)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1 쌍의 긴 쪽 벽면 (32a, 32b) 을 후육으로 함으로써, 흡수탑 (30) 의 구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스프레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5, 8,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산포 장치 (38) 는, 내부 공간 (31) 에 연장되는 산수관 (38c1)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폭 방향 산수관 (38b1) 을 포함한다) 과, 산수관 (38c1) 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산수 노즐 (38c2) (산수 노즐 (38a2, 38b2) 을 포함한다) 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산수관 (38c1) 을 흐르는 세정액을, 산수관 (38c1) 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산수 노즐 (38c2) 의 각각으로부터 분사시킴으로써, 내부 공간 (31) 에 세정액을 균일하게 산포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선박 (1) 의 동요 (롤링, 피칭, 요잉 등) 에서 기인하여 세정액의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길이 방향을 갖는 장척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38c1) 을 하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적어도 1 개의 서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서포트는, 환봉이나 각봉이어도 되고, 평판상, L 자형 등이어도 된다. 그리고, 서포트는, 길이 방향이 산수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흡수탑 본체부 (32) 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서포트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서포트는, 서로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서로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산수관 (38c1) 은, 서포트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38c1) 은, 서포트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산수관 (38c1) 자체가 구조 강도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어, 산수관 (38c1) 의 소형화나 경량화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산수관 (38c1) 의 설치시 및 교환시에는 서포트 위에 실은 상태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나 교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 서포트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서포트끼리의 사이에 산수 노즐 (38c2) 을 형성함으로써 산수 노즐 (38c2) 을 용이하게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복수의 상기 서술한 서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서포트는, 흡수탑 (30) 의 높이 방향의 일정 간격 마다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서포트는, 흡수탑 (30) 의 높이 방향의 일정 간격 마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산수관 (38c1) 의 높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포트는, 예를 들어 라이닝의 메인터넌스시에 작업 족장의 설치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족장의 수고를 생략하고, 설치 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포트는, 작업 족장의 설치 이외의 용도에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탑 (30) 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박 (1) 은, 정박 비용 등의 문제로부터 독에서의 작업 기간, 혹은 안벽에 정박할 수 있는 기간이 한정되기 때문에, 선박 (1) 에 구비되는 흡수탑 (30) 의 메인터넌스성, 메인터넌스 기간 단축은 특히 중요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38c1) 은, 서포트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이 불필요할 정도의 구조 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에 서포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38c1) 은, 사람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산수관 (38c1) 을 내부 공간 (31) 내에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나 메인터넌스 작업시에 있어서의 족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38c1) 은, 흡수탑 본체부 (32) 에 예를 들어 볼트 고정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산수관 (38c1) 은 흡수탑 본체부 (32) 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산수관 (38c1) 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수탑 (30) 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에 관련된 발명은, 서포트를 포함하는 흡수탑, 및, 서포트를 포함하지 않는 흡수탑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산포 장치 (38) 의 산수 노즐 (38c2) 은, 산수관 (38c1) 에 예를 들어 볼트 고정이나 나사 고정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산수 노즐 (38c2) 은 산수관 (38c1) 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산수 노즐 (38c2) 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수탑 (30) 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에 관련된 발명은, 서포트를 포함하는 흡수탑, 및, 서포트를 포함하지 않는 흡수탑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탈황 탑 전단)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배기 가스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수직부 (34B) 내에 배치되어,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냉각수를 산포하기 위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1 쌍의 벽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는 수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산수관 (85a) 과, 산수관 (85a) 에 형성된 복수의 냉각수 노즐 (85b) 을 갖는다. 여기서, 산수관 (85a) 및 냉각수 노즐 (85b) 의 각각은, 상기 서술한 산수관 (38c1)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폭 방향 산수관 (38b1) 을 포함한다) 및 산수 노즐 (38c2) (산수 노즐 (38a2, 38b2) 을 포함한다) 의 각각과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공통되는 사항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각수를 산포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용의 흡수탑 (30) 은, 상류측에 배기 가스의 열 교환을 실시하는 열 교환기가 배치되는 육상용의 흡수탑에 비하여,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가 높은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용의 흡수탑은,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되기 전에 170 ℃ 정도까지 냉각되어 있지만, 선박용의 흡수탑은,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300 ℃ 정도의 배기 가스가 직접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박용의 흡수탑 (30) 의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방식 라이닝 (방식층 (84)) 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기 가스의 열에 의해 방식 라이닝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흡수탑 본체부 (32) 의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산포에서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입구측의 냉각을 실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는, 선박용의 흡수탑 (30) 에 구비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냉각수를 산포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의 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탑 (30) 내에서 다량의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는,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수 공급 장치 (50) 의 해수 공급관 (58) 으로부터 분기점 (TP1) 에 있어서 분기한 냉각수 공급관 (58a) (냉각수 관로) 을 통하여, 해수 공급 펌프 (54a) 에 의해 선박 본체 (2) 의 내부에 도입된 해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해수 공급 장치 (50) 를 산포 장치 (38) 와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용 탈황 장치 (20) 의 대형화나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상시에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에 비상용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냉각 장치 (87) 를 추가로 구비한다. 여기서, 비상시란, 예를 들어 급수탑 (30) 내에서 산포 장치 (38) 에 의한 산포가 실시되지 않아 배기 가스가 고온이 되는 등의 경우를 말한다. 비상용 냉각 장치 (87) 는, 비상용 냉각수를 저류하는 비상용 탱크 (86) 와,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의 산수관 (85a) 과 비상용 탱크 (86) 에 접속되어 산수관 (85a) 에 비상용 탱크 (86) 로부터의 비상용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냉각수 관로 (88) 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비상용 냉각 장치 (87) 는, 전원이 불필요하여, 전원 상실시에 있어서도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상용 냉각 장치 (87) 는, 비상용 탱크 (86) 로서 가압 탱크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비상용 탱크 (86) 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높낮이차에 의해 산수관 (85a) 에 비상용 냉각수가 공급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상용 냉각수 관로 (88) 에 비상용 개폐 밸브 (90)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비상용 개폐 밸브 (90) 는, 전원으로부터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는 폐지하고, 전원 상실시에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 상실시에 있어서도 동작 가능한 비상용 냉각 장치 (87) 는, 비상시에 냉각수를 산포함으로써, 흡수탑 (30)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수탑 (30)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에 의해 흡수탑 (30) 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상시에 배기 가스에 흡수탑 (30) 을 우회시키기 위한 비상용 바이패스 장치 (89) 를 추가로 구비한다. 비상용 바이패스 장치 (89) 는, 주기관 (12) 과 흡수탑 (30) 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의 관로의 도중에 형성되는 전환 댐퍼 (89a) 와, 보조 기관 (14) 과 흡수탑 (30) 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의 관로의 도중에 형성되는 전환 댐퍼 (89b) 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시에 있어서, 전환 댐퍼 (89a) 및 전환 댐퍼 (89b) 는, 우회용의 유로가 폐지되는 한편으로, 흡수탑 (30) 으로 통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비상시에 있어서, 전환 댐퍼 (89a) 및 전환 댐퍼 (89b) 는, 우회용의 유로가 개방되는 한편으로, 흡수탑 (30) 으로 통하는 유로가 폐지된다. 이 경우에는, 비상용 바이패스 장치 (89) 는, 비상시에 배기 가스를 우회시켜 흡수탑 (30) 에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상시에 흡수탑 (30)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에 의해 흡수탑 (30) 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배기 가스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도입구 (33) 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 (32) 및 배기 가스 도입구 (33) 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도입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냉각수를 산포 가능한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는, 냉각수를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여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각수 노즐 (85b) 을 갖는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도입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에 의해 냉각수를 산포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 가능하다.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는, 발전소에 형성되는 육상용의 탈황 장치보다 고온의 배기 가스가 도입되기 때문에, 탈황 장치에 대한 영향 완화나 탈황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에 의해 냉각수를 산포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의 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탑 (30) 내에서 다량의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의 냉각수 노즐 (85b) 은, 냉각수를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여 분출하기 때문에, 냉각수 노즐 (85b) 에 도달하기 전에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도입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배기 가스의 열에 의해 냉각수 노즐 (85b) 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는, 해수 공급 펌프 (54a) 로부터 냉각수로서 해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C) 와, 비상용 냉각 장치 (87) 로부터 비상용 냉각수로서 예를 들어 공업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D) 를 포함하고 있다. 요컨대,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비상용 냉각수를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분사시키기 위한 전용의 장치나 배관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냉각수는, 선박 (1) 의 내부에 도입된 해수이다. 이 경우에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냉각수로서 선박 (1) 의 내부에 도입된 해수를 사용함으로써, 선박 (1) 의 항행 중에 필요한 공업용수 등의 물의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도입구 (33) 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 (32) 및 배기 가스 도입구 (33) 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상기 서술한 냉각수 노즐 (85b) 을 갖는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도입부 (34) 는,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 노즐 (85b) 은, 냉각수를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도입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에 의해 냉각수를 산포하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면 아황산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냉각수로서 해수를 사용한 경우에는, 온도 상승에 의해 해수로부터 염이 석출되는 경우가 있다. 냉각수 노즐 (85b) 에 아황산이나 염이 부착되면 산포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각수 노즐 (85b) 은, 냉각수를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향으로 분사된 냉각수는, 냉각수 노즐 (85b) 보다 상방에 있어서 배기 가스에 접촉하고,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킨 후에, 냉각수 노즐 (85b) 위 등에 낙하한다. 냉각수 노즐 (85b) 위에 낙하한 세정액은, 냉각수 노즐 (85b) 에 부착된 아황산이나 염을 씻어낼 수 있다. 또한, 냉각수 노즐 (85b) 위에 낙하한 세정액에 의해 냉각수 노즐 (85b) 이 젖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냉각수 노즐 (85b) 에 아황산이나 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고, 또한, 냉각수 노즐 (85b) 의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도입구 (33) 가 형성된 흡수탑 본체부 (32) 및 배기 가스 도입구 (33) 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는, 상기 서술한 냉각수 노즐 (85b) 과, 냉각수 노즐 (85b) 에 대하여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서술한 냉각수 공급관 (58a) (냉각수 관로) 과, 냉각수 공급관 (58a) (냉각수 관로) 에 형성되는 냉각수 제어 밸브 (94) 로서,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산포되는 냉각수의 산포량을 제어 가능한 냉각수 제어 밸브 (94) 를 가지고 있다.
냉각수 관로의, 냉각수 제어 밸브 (94) 보다 상류측 (해수 공급 펌프 (54a) 측) 인 1 차측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압력은, 흘수선의 높이나 해수 공급 펌프 (54a) (펌프) 의 운전 대수 등의 변동 요인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것으로, 만일 냉각수 제어 밸브 (94) 를 형성하지 않으면 상기 서술한 변동 요인에 의해,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산포되는 냉각수의 산포량이 크게 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의 냉각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는, 냉각수 제어 밸브 (94) 에 의해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산포되는 냉각수의 산포량을 제어함으로써,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냉각수 제어 밸브 (94) 는, 냉각수 제어 밸브 (94) 보다 하류측 (냉각수 노즐 (85b) 측) 인 2 차측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압력이 일정해지도록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산포되는 냉각수의 산포량을 제어한다.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수 공급관 (58a) 에 있어서의 냉각수 제어 밸브 (94) 보다 하류측 (후류측) 을 하류측 냉각수 공급관 (58b) 으로 하면, 그 하류측 냉각수 공급관 (58b) 에 압력계 (95) (유체 압력 검출 장치) 가 형성된다. 압력계 (95) 는, 하류측 냉각수 공급관 (58b) 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압력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냉각수 제어 밸브 (94) 는, 압력계 (95) 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이 일정해지도록 개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각수 제어 밸브 (94) 에 의해 냉각수 제어 밸브 (94) 보다 하류측 (후류측) 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분출될 때의 냉각수의 압력도 일정해지기 때문에,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항상 일정량 이상의 냉각수가 일정한 높이로 산포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항상 일정량 이상의 냉각수를 산포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유도된 배기 가스를 계속적으로 차갑게 할 수 있다.
또한, 압력계 (95) 에 의한 하류측 냉각수 공급관 (58b) 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압력을 계속적으로 검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온도계에 의해 하류측 냉각수 공급관 (58b) 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검출하는 등의 다른 검출 장치에 비하여, 검출이 용이하다. 또한, 1 차측에 있어서의 압력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냉각수 제어 밸브 (94) 의 개도 조정의 지표에는 부적합하다. 이 때문에, 냉각수 제어 밸브 (94) 의 개도 조정의 지표로서, 압력계 (95) 에 의해 검출되는 2 차측에 있어서의 압력을 사용함으로써, 냉각수 제어 밸브 (94) 에 의한 냉각수 노즐 (85b) 로부터 산포되는 냉각수의 산포량의 제어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비상용 냉각 장치 (87) 와, 상기 서술한 비상용 바이패스 장치 (89) 와, 흡수탑 (30) 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감시하기 위한 배기 가스 온도 감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배기 가스 온도 감시 장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온도 감시 장치가 고온을 검출한 경우에는, 비상용 냉각 장치 (87) 가 동작하여 냉각수를 산포함과 함께, 비상용 바이패스 장치 (89) 가 동작하여 흡수탑 (30) 내로의 배기 가스의 유입이 방지된다. 또한, 배기 가스 온도 감시 장치는, 흡수탑 (30) 의 내부의 배기 가스의 온도를 감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에 의해 흡수탑 (30) 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서 사용되는 세정액이나 냉각수 등의 물은, 차아염이 첨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차아염을 첨가함으로써 생물 부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육상용의 탈황 장치에 있어서는, 보일러 콘덴서 등에 해수를 사용하고 있고, 탈황 장치 전용의 생물 부식 대책은 실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는 외벽이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내에서 최초로 배기 가스에 접촉하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나 냉각수 노즐 (85b) 은 부식하기 쉽고,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나 냉각수 노즐 (85b) 이 부식에 의해 손상된 경우에도, 배기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박 (1) 은 흡수탑 (30) 이 폐쇄 공간인 강판 구조물 (6)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누출은 위험하고, 이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는, 예를 들어 라이닝 등의 부식에 의한 가스 누출이나 액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누출 감지 장치를 구비하고, 부식에 의한 가스 누출이나 액 누출을 흡수탑 (30) 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있어서의 부식에 의한 가스 누출이나 액 누출을 감지할 수 있음과 함께, 부식에 의한 가스 누출이나 액 누출을 흡수탑 (30) 의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흡수탑 (30) 의 전 공정으로서 냉각탑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의 전 공정으로서 냉각탑을 구비하기 때문에, 냉각탑에 있어서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냉각탑에는 물 순환식의 것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선박 (1) 의 항행 중에 필요한 물의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물 순환식의 냉각탑에, 해수가 아니라 냉각용의 공업용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불특정한 불순물이 포함될 우려가 있는 해수에 비하여, 중금속 등의 특정한 불순물만을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배수 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탈황 시스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탈황 처리 후의 배기 가스를 가열하는 열 교환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열 교환기는 예를 들어 융스트롬식 등의 회전식의 열 교환기나 고정식의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열 교환기는, 가스 가스 히터 (GGH) 를 포함하고 있다. 즉, 열 교환기는,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열 회수기와, 열 회수기로부터 보내지는 열에 의해 배기 가스를 가열하는 재가열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열 교환기에 의해 탈황 처리 후의 배기 가스를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백연화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배기 가스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 (1) 은, 열매 순환식의 논리크 가스 가스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논리크 가스 가스 히터로 기관실 (10) 내의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로부터 열 회수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회수 열을 선박 (1) 내에서 사용되는 증기를 가열하는 데에 사용하거나, 난방 등의 열원 설비에 사용함으로써, 선박 (1) 에서 사용되는 연료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배관 접합부의 플랜지 취합이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배관의 접합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예를 들어 배관 등의 기구나 부품 중, 흡수탑 (30) 이나 배열 회수 장치 (60) 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선박 (1) 에 대한 양중기 등에 의한 반송 작업의 전 공정인, 후술하는 프리패브시에 미리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선박 (1) 에 반송할 때에 기구나 부품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박 (1) 에 있어서의 조립 작업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용 탈황 장치 (20) 의 선박 (1) 에 대한 장착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의 배관은, 수지제 배관이고 단부가 소켓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에 있어서의 배관 및 배관끼리를 접속하는 소켓은, 수지재가 감겨 있다. 이들 경우에는, 배관이나 소켓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배관끼리의 접속이 현합 배관이 되는 것과 같은 지점에는, 배관끼리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지도록 고무제 배관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배관끼리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기 때문에, 배관의 설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저부에 기포를 발생시켜 해수 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기포에 의해 선박 (1) 의 항행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기포를 선저 배수부 근방에 발생시킴으로써, 선박용 탈황 장치 (20) 로부터 선외로 배출되는 배수의 pH 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로부터 선외로 배출되는 배수는, 선외의 해수에 혼합됨으로써 희석되어 있어, 선박용 탈황 장치 (20) 로부터 배출된 직후의 배수에 비하여, pH 치가 어느 정도 상승되어 있다. 그리고, pH 치가 어느 정도 상승한 배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로부터 배출된 직후의 배수에 비하여, 기포에 의한 탈탄산 처리가 촉진되기 때문에, pH 치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탈황 탑 조립법)
예를 들어, 발전소에 형성되는 육상용의 탈황 장치는, 블록 공법 또는 패널 공법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선박용의 탈황 장치는, 급수탑의 종횡비가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선박용의 탈황 장치를 설치되는 선박 상에 있어서 조립하는 것은, 선박 상에서의 작업 공간이나 작업 시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선박용의 탈황 장치의 조립은, 육상에서의 조립 작업, 선박에 대한 매달기 작업, 선박에서의 설치 작업의 3 가지의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선박 상에서의 작업 시간을 적게 하기 위해서, 선박에서의 설치 작업을 삭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박용의 탈황 장치는, 선박에 양중기 등으로 매달리기 때문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구조가 필요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근처의 공장, 또는, 공터 등의 조립하는 장소에 있어서 프리패브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술한 프리패브상의 흡수탑 (30) 을 양중기 등으로 매달아 반송함으로써, 선박 (1) 상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은, 선박 (1) 상에 설치되기 전에 프리패브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선박 (1) 상에서의 설치 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선박 (1) 상의 작업 시간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흡수탑 (30) 을 구성하는 벽면과, 흡수탑 (30) 의 주위에 배치되는 배관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의 벽면과 배관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은 수평도를 유지하기 쉬워져 있다. 또한, 흡수탑 (30) 은, 벽면과 배관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하여, 설치 작업에 걸리는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블록 공법에 의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즉, 흡수탑 (30) 은, 둥글게 자르기 등 몇 가지의 층상의 부분별로 제조되어, 각각의 층상의 부분을 겹쳐 쌓아 부분끼리를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은, 각각의 층상의 부분을 겹쳐 쌓아 부분끼리를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완성되기 때문에, 조립 장소에 있어서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 공법은, 패널 공법에 비하여 수송에 수고나 시간이 걸린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패널 공법에 의해 조립되게 되어 있다. 즉, 흡수탑 (30) 은, 벽면이나 저면 등이 판상 부재 (패널)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둥이나 대들보 등에 상기 서술한 판상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완성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은 판상 부재, 기둥이나 대들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판상 부재, 기둥이나 대들보 등을 조립하는 장소에 수송하면 되기 때문에, 흡수탑 (30) 을 구성하는 부재의 수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공법은, 블록 공법에 비하여 조립하는 장소에서의 작업이 많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적어도 1 개의 주요 파츠가 모듈화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1 개의 주요 파츠가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조립 장소에 있어서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자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산수관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폭 방향 산수관 (38b1), 산수관 (85a) 을 포함한다) 은, 자립한 흡수탑 (30) 에 삽입되어 흡수탑 (30) 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충전물 (35A) 도 또한, 자립한 흡수탑 (30) 에 삽입되어 흡수탑 (30) 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은 자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탑 (30) 의 내부에 상기 서술한 산수관이나 충전물 (35A) 을 삽입하여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탑 (30) 은 조립 장소에 있어서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은, 내부 공간 (31) 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의 각각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과 서로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폭 방향 산수관 (38b1) 은, 내부 공간 (31) 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폭 방향 산수관 (38b1) 의 각각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폭 방향 산수관 (38b1) 과 서로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산수관 (85a) 은, 배기 가스 도입부 (34) 내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산수관 (85a) 의 각각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산수관 (85a) 과 서로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경우에는, 세정액이나 냉각수를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산포 능력의 국소적인 편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산수 노즐 (38a2) 은, 볼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길이 방향 산수관 (38a1) 과 일체화 구조가 되어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산수 노즐 (38b2) 은, 볼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폭 방향 산수관 (38b1) 과 일체화 구조가 되어 있다.
다른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수 노즐 (85b) 은, 볼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산수관 (85a) 과 일체화 구조가 되어 있다.
이들의 경우에는, 산수 노즐을 산수관과 일체화 구조로 함으로써, 고강도화가 도모된다. 또한, 해수 탈황은 막힘의 걱정이 없기 때문에, 산수 노즐을 산수관과 일체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선상 설치 방법)
예를 들어, 발전소에 형성되는 육상용의 탈황 장치는, 설치 장소에 있어서, 블록 공법 또는 패널 공법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선박용의 탈황 장치는, 급수탑의 종횡비가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선박용의 탈황 장치를 설치되는 선박 상에 있어서 조립하는 것은, 선상에서의 작업 공간이나 작업 시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육상에 있어서 탈황 장치를 조립한 후에, 선박에 양중기 등으로 매다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선박용의 탈황 장치는, 선박에 양중기 등으로 매다는 작업에 견딜 수 있는 강도나 매달기시에 있어서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 또한, 선박용의 탈황 장치는, 선박에 양중기 등으로 매다는 작업시에 급수탑의 변형이나 급수탑 내부의 라이닝의 박리 등의 우려가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은 내부품을 미리 고정시킨 일체적인 상태로 납입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수탑 (30) 은, 상기 서술한 일체적인 상태인 채로 조선소에 있어서 선박 (1) 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탑 (30) 은, 메인터넌스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일체적인 상태인 채로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강판 구조물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강판 구조물의 선박 상에 대한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는 육상에서 조립되어,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의 주위를 둘러싸는 강판 구조물 (6) 에,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를 강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는, 강판 구조물 (6) 과 함께 양중기 등에 매달려 선박 (1) 상에 실려, 강판 구조물 (6) 과 함께 선박 (1) 에 설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강판 구조물 (6) 은 흡수탑 (30) 만을 덮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강판 구조물 (6) 은, 배열 회수 장치 (60) 나 상기 서술한 열 교환기 등의 배기 가스의 탈황 처리에 관련하는 장치나 배관, 배선 등이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는 강판 구조물 (6) 과 함께 양중기 등에 매달리기 때문에, 매달기시나 선박 (1) 상에 대한 재치시에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흡수탑 (30) 내부의 라이닝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 구조물 (6) 은, 강판 구조물 (6) 내에 배치되고,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와 강판 구조물 (6) 의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91) 를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 (91) 는,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 구조물 (6) 의 폭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1 쌍의 긴 쪽 벽면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각주 형상의 길이 방향 고정 부재 (91A) 와, 강판 구조물 (6)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1 쌍의 짧은 쪽 벽면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각주 형상의 폭 방향 고정 부재 (91B) 를 포함하고 있다. 길이 방향 고정 부재 (91A) 및 폭 방향 고정 부재 (91B) 의 각각은, 양단부가 강판 구조물 (6) 에 고정되고, 길이 도중부가 흡수탑 (30) 또는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 고정 부재 (91A) 및 폭 방향 고정 부재 (91B) 의 어느 것은, 흡수탑 (30) 또는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에 접속되는 배관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강판 구조물 (6) 은, 흡수탑 (30) 및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0) 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흡수탑 (30) 은 조립되어 선박 (1) 에 설치된다. 즉, 육상에서 흡수탑 (30) 을 블록 공법 또는 패널 공법에 의해 조립한다. 흡수탑 (30) 은 자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흡수탑 (30) 을 조립한 후에, 흡수탑 (30) 내에 상기 서술한 산수관이나 상기 서술한 충전물 (35A) 등의 부속물이 설치된다. 부속물을 설치 후에, 상기 서술한 강판 구조물 (6) 을 씌워, 흡수탑 (30) 과 강판 구조물 (6) 을 강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강판 구조물 (6) 내에 흡수탑 (30) 등에 접속되는 배관이 설치된다. 강판 구조물 (6) 내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판 구조물 (6) 을 선박 (1) 의 선횡으로 이동하여, 강판 구조물 (6) 을 양중기 등에 매달아 선박 (1) 에 실어 설치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육상에 있어서, 흡수탑 (30) 이 조립되어, 흡수탑 (30) 에 흡수탑 (30) 내의 부속물, 강판 구조물 (6) 내의 배관이 장착된다. 강판 구조물 (6) 을 씌우기 전에 부속물, 배관의 장착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 에어리어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탑 (30) 의 외측으로부터 스프레이 배관을 넣는 작업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육상에서 흡수탑 (30) 과 강판 구조물 (6) 이 강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선상에서 실시하는 작업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30) 은, 강판 구조물 (6) 내에 고정된 상태로 강판 구조물 (6) 과 함께 양중기 등에 매달리기 때문에, 매달기시나 선박 (1) 상에 대한 재치시에 강판 구조물 (6) 을 보강재로서 활용할 수 있고, 흡수탑 (30) 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30) 내부의 라이닝의 박리나 강판 구조물 (6) 내의 배관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흡수탑 (30) 은 조립되어 선박 (1) 에 설치된다. 즉, 육상의 조립 장소에 있어서, 강판 구조물 (6) 을 먼저 설치하여, 강판 구조물 (6) 내에서 흡수탑 (30) 을 조립한다. 또한, 강판 구조물 (6) 내에는 내우풍용의 메인터넌스 스테이지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육상에 있어서, 강판 구조물 (6) 내에서 흡수탑 (30) 이 조립되기 때문에, 흡수탑 (30) 을 강판 구조물 (6) 내에 수납할 수 없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강판 구조물 (6) 에 흡수탑 (30) 을 고정시킴으로써, 흡수탑 (30) 을 자립할 수 없는 구조에서도 흡수탑 (30) 에 흡수탑 (30) 내의 부속물을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흡수탑 (30) 은 조립되어 선박 (1) 에 설치된다. 즉, 흡수탑 (30) 과 강판 구조물 (6) 을 일체로 하여, 흡수탑 (30) 및 강판 구조물 (6) 이 둥글게 자르기 등의 몇 가지의 층상의 부분별로 제조되어, 각각의 층상의 부분을 겹쳐 쌓아 부분끼리를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육상에 있어서, 흡수탑 (30) 및 강판 구조물 (6) 이 블록 공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 장소에 있어서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탑 (30) 을 자립할 수 없는 구조에서도 흡수탑 (30) 에 흡수탑 (30) 내의 부속물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육상에서 흡수탑 (30) 과 강판 구조물 (6) 이 일체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선상에서 실시하는 작업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어, 운전 방법, 해수 조정)
선박 (1) 은, 항행 중에 기상 조건이나 항행하는 해역 등에 따라 운전 조건이 변화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선박 (1) 은 항행 중에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액 공급 라인과 바이패스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상기 서술한 흡수탑 본체부 (32) 를 포함하는 흡수탑 (30) 과, 상기 서술한 산포 장치 (38) 와, 산포 장치 (38) 에 대하여 세정액을 산포 가능한 세정액 공급 장치 (96)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액 공급 장치 (96) 는,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포 장치 (38) 에 대하여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 라인 (97A) 과,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으로부터 분기점 (TP2) 에 있어서 분기하는 바이패스 라인 (97B) 으로서, 내부 공간 (31) 에 유도된 배기 가스에 대하여 산포된 산포가 완료된 세정액이 저류되는 상기 서술한 저류 공간 (31a) 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라인 (97B) 과, 바이패스 라인 (97B) 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 (98) 로서, 바이패스 라인 (98B) 을 흐르는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 가능한 제어 밸브 (98) 를 가지고 있다.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액 공급 장치 (96) 는, 산포 장치 (38) 에 대하여 세정액으로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서술한 해수 공급 장치 (50) 로 이루어진다. 또한,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은 해수 공급관 (58) 으로 이루어지고, 바이패스 라인 (97B) 은, 분류관 (58c) 으로 이루어진다. 분류관 (58c) 은, 해수 공급 펌프 (54a) 와 산포 장치 (38) 의 산수관 (38c1) 을 연결하는 해수 공급관 (58) 에 형성된 분기점 (TP2) 에 있어서, 해수 공급관 (58) 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흡수탑 (30) 의 저류 공간 (31a) (내부 공간 (31)) 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해수 공급관 (58) 을 흐르는 세정액 (해수) 의 일부는, 분류관 (58c) 을 통과하여, 저류 공간 (31a) 에 흘러 들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액 공급 장치 (96) 는, 산포 장치 (38) 에 대하여 세정액으로서 해수 이외의 물을 공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배출 규제 해역 (ECA 해역) 과 일반 해역에서는 요구되는 탈황 성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산포 장치 (38) 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필요량도 상이하다. 산포 장치 (38) 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이 필요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필요한 탈황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산포 장치 (38) 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이 필요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배기 가스의 압력 손실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산포 장치 (38) 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적당량으로 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산포 장치 (38) 에 대하여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에 제어 밸브를 형성하고, 그 제어 밸브에 의해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을 흐르는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을 구성하는 관로는 직경이 크기 때문에,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의 대형화, 고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관로의 직경이 큰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에 있어서,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세정액 공급 장치 (96) 는, 바이패스 라인 (97B) 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 (98) 에 의해, 바이패스 라인 (97B) 을 흐르는 세정액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을 흐르는 세정액의 공급량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바이패스 라인 (97B) 을 구성하는 관로 (분류관 (58c)) 는,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을 구성하는 관로 (해수 공급관 (58)) 보다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패스 라인 (97B) 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 (98) 는, 만일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에 형성되는 제어 밸브에 비하여, 소형화, 저액화가 도모된다. 또한, 바이패스 라인 (97B) 은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에 비하여, 세정액의 공급량의 제어가 용이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의, 바이패스 라인 (97B) 이 분기하는 분기점 (TP2) 보다 하류측 (산포 장치 (38) 측) 에 유량계 (99) (유량 검출 장치) 가 형성된다. 유량계 (99) 는, 세정액 공급 라인 (97A) 의 분기점 (TP2) 보다 하류측을 흐르는 세정액의 유량 (체적 유량) 을 계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제어 밸브 (98) 는, 유량계 (99) 에 의해 검출되는 유량이 소정 범위에 들어가도록 개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원하는 양의 세정액이 산포 장치 (38) 에 공급되기 때문에, 필요한 탈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배기 가스의 압력 손실의 증대를 억제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유속계에 의해 검출한 유속에 단면적을 곱하여 유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해도 된다. 요컨대, 상기 서술한 유량 검출 장치는, 유속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분기점 (TP2) 은, 상기 서술한 분기점 (TP1) 보다 상류측에 위치해도 되고, 분기점 (TP1) 보다 하류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 (1) 은, 선박용 탈황 장치 (20) 의 흡수탑 (30) 등의 장치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선박 (1) 에 있어서의 장치나 기기를 컨트롤하는 전자 제어 유닛이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 (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리 메모리 (ROM), 및 I/O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의 가동 대수의 제어 혹은, 펌프 운전 대수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의 위치에 따라 가동 대상이 되는 산수 노즐을 선택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가동 날개식 펌프에 의한 개도 조정 혹은, 펌프 운전 대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에 대한 세정액이나 냉각수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흡수탑 (30) 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SO2 농도에 따라,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의 가동 대수의 제어, 펌프 운전 대수의 제어 및, 상기 서술한 개도 조정에 의한 산수 노즐에 대한 공급량을 조정하는 제어의 적어도 일방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에 의한 배기 가스의 처리 능력에 따른 제어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해수 공급 펌프 (54a) 에 의해 선박 본체 (2) 의 내부에 도입된 해수의 pH 치나 알칼리도 등의 성상에 따라,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의 가동 대수의 제어, 및, 상기 서술한 개도 조정에 의한 산수 노즐에 대한 공급량을 조정하는 제어의 적어도 일방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취수한 해수의 성상에 따른 제어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선박 (1) 의 출력, 흡수탑 (30) 에 의해 탈황 처리되기 전의 배기 가스의 SO2 농도, 연료 중의 S 성분, 흡수탑 (30) 에 의해 탈황 처리된 후의 배기 가스의 SO2 농도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흡수탑 (30) 의 운전 부하를 파악하고, 그 운전 부하에 따라,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의 가동 대수의 제어, 및, 상기 서술한 개도 조정에 의한 산수 노즐에 대한 공급량을 조정하는 제어의 적어도 일방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의 운전 부하에 따른 제어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산수 노즐의 폐색이나 해수 공급 펌프 (54a) 의 운전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압력계가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의 헤더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압력계에 의해 산수 노즐의 폐색이나 해수 공급 펌프 (54a) 의 운전 상황을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배수관 (56) 또는 해수 배출관 (59) 은, 탈황 배수 (스크러버 배수, 희석 후의 배수) 의 예를 들어 pH 치나 탈황률 등의 성상을 항상 관측하기 위한 분석계가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분석계에 의해 탈황 배수의 성상을 항상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배기 가스를 세정하는 흡수탑 (30) 의 대수, 각 흡수탑 (30) 의 부하, 및, 연료유의 S 성분이 변동해도, 탈황 배수의 pH 치 및 탈황률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필요한 최소 대수의 해수 펌프 (해수 공급 펌프 (54a), 배수 희석 펌프 (52a)) 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필요한 최소 대수의 해수 펌프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에 의해 이하의 선박용 탈황 장치 (20) 의 제어 방법이 실시된다. 즉, 연료유의 S 성분, 엔진의 부하, 지역별 해수 농도, 적하 중량으로 변화하는 흘수의 4 항목의 조합별로 필요한 해수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해 두고,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서술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로, 흡수탑 (30) 등의 선박 (1) 내의 장치나 기구에 적당량의 해수를 공급하는 제어 방법이 실시된다. 이 경우에는, 피드 포워드 제어로 적당량의 해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에 의해 이하의 선박용 탈황 장치 (20) 의 제어 방법이 실시된다. 즉, 선박 (1) 의 배수부에 있어서의 pH 치나 아황산 농도 혹은, 흡수탑 (30) 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SO2 농도를 검지하여,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서술한 pH 치나 아황산 농도에 기초하여 피드백 제어로, 흡수탑 (30) 등의 선박 (1) 내의 장치나 기구에 적당량의 해수를 공급하는 제어 방법이 실시된다. 이 경우에는, 피드백 제어로 적당량의 해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선박 (1) 의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탈황 배수 중의 아황산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분석 방법으로서, 탈황 배수의 일부를 교반기가 부착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연속 공급하면서, 그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산을 일정량 연속 첨가하여, 이 때에 아황산으로부터 기상으로 이동하는 이산화황 (SO2) 의 가스 농도를 적외 SO2 계 (적외선 가스 분석계) 로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탈황 배수 중의 아황산 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탈황 배수 중의 아황산 농도에 따른 제어를 상기 서술한 산수 노즐 등에 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는, 펌프 대수 제어, 동익 개도 제어 및 VVVF 인버터 회전수 제어의 적어도 1 개를 실시함으로써 해수량의 제어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탑 (30) 등에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적당량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메인터넌스 방법, 구조)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선박 (1) 상의 주기관 (12) 및 보조 기관 (14) 을 포함하는 전체 기관의 배기 가스 도입관을 집합시켜 흡수탑 (30) 에 투입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 댐퍼의 적어도 1 개는, 1 차측 (배기 가스 댐퍼의 상류측) 에 고온의 배기 가스가 흐르고 있다. 이 때문에, 흡수탑 (30) 의 점검시에 만일 배기 가스 댐퍼로부터 배기 가스가 누설되면, 점검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선박 (1) 은, 메인터넌스시에 있어서, 주기관 (12) 및 보조 기관 (14) 중, 적어도 1 대는 가동시켜 둘 필요가 있고, 주기관 (12) 및 보조 기관 (14) 모두를 정지시킬 수는 없어,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멈출 수 없다는 사정이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적어도 1 개 지점에 형성되는 배기 가스 댐퍼가 2 개 직렬로 배치되어 있고, 그들 배기 가스 댐퍼 사이에 압축 공기를 투입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배기 가스 댐퍼가 2 개 직렬로 배치되어, 그들 배기 가스 댐퍼 사이에 압축 공기를 투입하여 에어 시일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댐퍼 사이를 통과하여 타방으로 흐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적어도 1 개의 배기 가스 댐퍼가 전환식의 폐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배기 가스 댐퍼가 전환식의 폐지 플랜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댐퍼 사이를 통과하여 타방으로 흐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적어도 1 개의 배기 가스 댐퍼가 기요틴 댐퍼 (게이트 댐퍼) 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기요틴 댐퍼는, 개방하는 것은 전동으로 시간이 걸리지만, 폐지하는 것은 일순간이다. 또한, 복수의 배기 가스 댐퍼의 각각이 기요틴 댐퍼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환 덕트를 폐지하는 것과 같은 기요틴 댐퍼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배기 가스 댐퍼가 기요틴 댐퍼를 포함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댐퍼 사이를 통과하여 타방으로 흐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메인터넌스시에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댐퍼를 통과하지 않도록, 메인터넌스시에 배기 가스를 흘리는 바이패스 유로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메인터넌스시에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댐퍼가 아니라 바이패스 유로를 흐르기 때문에, 점검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자가 위험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 탈황 장치 (20) 는, 적어도 1 개의 배기 가스 댐퍼가 기요틴 댐퍼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메인터넌스시에는, 주기관 (12) 및 보조 기관 (14) 중, 적어도 1 대를 가동시키고, 가동시키는 주기관 (12), 보조 기관 (14) 에 대응하는 기요틴 댐퍼가 폐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가동시키는 주기관 (12), 보조 기관 (14) 에 대응하는 기요틴 댐퍼가 폐지되기 때문에, 점검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자가 위험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탈황 탑에 대한 배기 가스 유로 접속)
흡수탑 (30) 은 강판 구조물 (6) 내에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판 구조물 (6) 내에 있어서 배관의 처리 작업이 곤란하거나, 배관의 처리를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3,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기관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 본체부 (32) 로 유도하기 위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은, 배기 가스 도입관 (42) 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c, 44d) 은,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타단부 (34b) 측의 측벽 (34c) (후술하는 도 23 참조) 에 접속되어, 배기 가스 도입부 (34) 에 직접 배기 가스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44b) 이 배기 가스 도입부 (34) 의 타단부 (34b) 측의 측벽 (34c)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접속 위치의 자유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처리 작업이 용이한 위치에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길이 치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배기 가스 도입관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c, 44d) 은, 흡수탑 본체부 (32) 의 배기 가스 도입부 (34) 가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벽 (32e) 에 접속되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내부 공간 (31) 에 직접 배기 가스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44b) 이 측벽 (32e)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서술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이, 흡수탑 본체부 (32) 의 배기 가스 도입부 (34) 가 접속되는 측의 측벽에 인접하는 측벽 (32f)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접속 위치의 자유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처리 작업이 용이한 위치에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4a ∼ 44d) 의 길이 치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도입구 (33) 를 1 개 형성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배기 가스 도입구 (33) 를 복수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도 2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용 탈황 장치의 흡수탑과 배기 가스 도입관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4 (a) 는 개략 상면도이고, 도 24 (b) 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4 (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가스 도입구 (33) 를 흡수탑 (30) 의 양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애스펙트비가 1 : 1.1 이하인 방형의 흡수탑 (30) 에 있어서, 강판 구조물 (6) 의 폭 가득하게 흡수탑 (30) 을 설치할 때에, 흡수탑 (30) 의 옆을 배기 가스 도입관이 우회할 필요가 없고, 발전기용 배기 가스 입구의 처리가 불필요해진다.
도 25 및 도 2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 는,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선박 (1) 의 선각 구조에 삽입할 때에, 크레인 (108) 으로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26 은, 후술하는 엔진 케이싱 (106) 의 상부에 재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는, 선박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102) 과, 케이싱 (102) 에 의해 지지되는 흡수탑 (104) 을 구비한다. 흡수탑 (104) 은, 선박에 탑재되는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등의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한다.
종래의 선박용 탈황 장치는, 선박에 탑재되는 머시너리의 하나로서, 선각 구조로부터 독립된 것이었다.
이에 반하여,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는, 선박에 대한 탑재 전에 있어서,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102) 에 흡수탑 (104) 이 이미 지지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는, 선상에서 케이싱 (102) 이 선박의 다른 선각 구조와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104) 을 지지하는 케이싱 (102) 이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흡수탑 (104) 의 주위에 여분의 클리어런스나 흡수탑 (104) 의 방진, 동요 정지를 목적으로 한 보강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수탑 (104) 의 장착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탑 (104) 은, 흡수탑 (104) 의 외주를 둘러싸는 케이싱 (102) 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케이싱 (102) 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104) 은, 흡수탑 (104) 의 외주를 둘러싸는 케이싱 (102) 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흡수탑 (104) 으로부터 케이싱 (102) 에 가해지는 힘은 케이싱 (102) 의 주위로 분산된다. 이에 의해, 본래 흡수탑 (104) 의 기부에 집중되는 흡수탑 (104) 의 하중이 케이싱 (102) 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흡수탑 (104) 의 지지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가 선박에 탑재될 때, 엔진 케이싱 (106) 의 상부에 배치된다. 흡수탑 (104) 은 케이싱 (102) 에 의해 주위로부터 지지되어, 흡수탑 (104) 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흡수탑 (104) 과 흡수탑 (104) 의 하방에 위치하는 엔진 케이싱 (106) 사이에 간극 (s1) 이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104) 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가 불필요해지고, 간극 (s1) 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케이싱 (106) 의 내부에 수용되는 흡수액이 흐르는 액 배관 (해수 공급관, 해수 배출관), 주기관 등의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 (104) 에 도입하는 배기 가스 배관 등의 배관류를 간극 (s1) 에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 (102) 은 철강 등의 일반적인 선각 재료로 구성되고, 흡수탑 (104) 의 배기 가스 접촉부는 내부식성의 스테인리스강 또는 합금 등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일체형 탈황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진동 해석을 실시하여, 주기나 프로펠러의 고유 진동수와 공진하지 않는 것과 같은 설계 구조로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주기관 (12) 또는 추진용 프로펠러 (도시 생략) 의 고유 진동수와의 공진을 회피하기 위해서, 케이싱 (102) 의 상부 영역 (R1) 에 소진기 설치 스페이스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흡수탑 (104) 의 설치 스페이스의 이웃하는 영역 (R2) 이 비어 있을 때에는, 영역 (R2) 에 흡수탑 (104) 의 부속 기기 및 배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 (102) 은, 선박의 폭 방향 (도 25 중의 화살표 a 방향) 을 따른 길이가,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싱 (102) 의 길이 방향이 선박 (1) 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따라서, 케이싱 (102) 에 의해 지지된 흡수탑 (104) 은 그 길이 방향이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선박의 선수-선미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흡수탑에 비하여, 선박의 가로 흔들림 (롤링) 시에 흡수탑 (104) 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롤링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갖는 흡수탑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02) 은, 길이 방향이 선박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긴 통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축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흡수탑 (104) 은, 흡수탑 (104) 의 외주를 둘러싸는 케이싱 (102) 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흡수탑 (104) 으로부터 케이싱 (102) 에 가해지는 힘은 케이싱 (102) 의 주위로 분산된다. 따라서, 본래 흡수탑 (104) 의 기부에 집중되는 흡수탑 (104) 의 하중이 케이싱 (102) 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흡수탑 (104) 의 지지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도 25 및 도 26 에서는, 케이싱 (102) 의 가시화를 위하여, 케이싱 (102) 의 전방쪽의 벽을 삭제하여 표시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 은,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구비하고,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에 의해 선각 구조의 일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가 선각 구조의 일부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탑 (104) 의 주위에 여분의 클리어런스나 흡수탑 (104) 의 방진, 동요 정지를 목적으로 한 보강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수탑 (104) 의 장착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각 구조는,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케이싱 (102) 의 하방에 위치하는 엔진 케이싱 (106) 을 포함하고, 케이싱 (106) 의 외각벽 (110) 의 하단은, 엔진 케이싱 (106) 에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흡수탑 (104) 은, 선박 (1) 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102) 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케이싱 (102) 은 동일한 선각 구조인 엔진 케이싱 (106) 의 상방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104) 이 지지되는 케이싱 (102) 과 엔진 케이싱 (106) 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엔진 케이싱 (106) 에 수용되는 주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흡수탑 (104) 에 도입하는 배기 가스 배관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02) 의 외각벽 (110) 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 (112) 또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외각벽 (110) 에 가설되는 스티프너 (114) (도 27 참조) 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보강 부재와, 엔진 케이싱 (106) 에 형성된 리브 (118) 또는 스티프너 (120) 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보강 부재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즉, 리브 (112) 또는 스티프너 (114) 는 리브 (118) 또는 스티프너 (120) 상에 재치되고, 리브 (118) 또는 스티프너 (120) 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프너 (114) 는, 케이싱 (102) 의 서로 대향하는 외각벽 (110) 사이에 가설된다. 스티프너 (120) 는, 엔진 케이싱 (106) 의 서로 대향한 외각벽 (116) 의 예를 들어 상부 영역의 내측에서 외각벽 (110) 사이에 가설된다. 엔진 케이싱 (106) 에 형성되는 리브 (118) 는, 복수의 리브 (118) 가 병렬로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 1 보강 부재와 제 2 보강 부재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탑 (104) 을 지지하는 케이싱 (102) 에 대한 엔진 케이싱 (106) 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케이싱 (102) 을 안정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02) 의 최하부에 있어서, 외각벽 (110) 을 구성하는 리브 (112) 중 특정한 리브 (112a 및 112b) (도 25 참조) 를 경사시킴으로써, 엔진 케이싱 (106) 의 제 2 보강 부재를 구성하는 리브 (118) 또는 스티프너 (120) 의 위치에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엔진 케이싱 (106) 에 의한 케이싱 (102) 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7 에 나타내는 스티프너 (114) 를 경사시켜, 제 2 보강 부재를 구성하는 리브 (118) 또는 스티프너 (120) 의 위치에 일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엔진 케이싱 (106) 에 의한 케이싱 (102) 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가 선박 (1) 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흡수탑 (104) 은, 주기관 (12) 이나 보조 기관 (14) 등의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배기 가스 배관 (122) 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탑 (104) 은,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배기 가스 배관 (122) 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흡수탑 (104) 에 도입하는 배기 가스 배관 (122) 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124) 이 케이싱 (102) 에 의해 지지된다. 배관 (124) 은, 배기 가스 발생 장치의 배기 가스 배관 (122) 과 흡수탑 (104) 의 배기 가스 도입구를 접속하는 가스 배관, 또는, 흡수탑 (104) 에서 사용되는 흡수액이 흐르는 액 배관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배관류를 선박 (1) 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102) 으로 지지함으로써, 이들 배관을 포함한 흡수탑 (104) 의 부속 기기의 지지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흡수탑 (104) 의 위치와 주기관의 위치 관계가 선박에 의해 바뀌어도, 배관의 길이만이 바뀌면 되기 때문에, 모듈화로 대응할 수 있어, 비용 삭감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 의 상기 선각 구조는, 케이싱 (102) 과, 선박 (1) 의 폭 방향 (화살표 a 방향) 에 있어서, 케이싱 (102) 에 인접하여, 케이싱 (102) 에 용접되는 다른 선각 구조 (103) 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박 (1) 의 폭 방향에 배치되는 선각 구조가 흡수탑 (104) 을 지지하는 케이싱 (102) 과 다른 선각 구조 (103) 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 (108) 으로 각각 따로 따로 선내에 반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중량이 과대해져, 크레인 능력이 부족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31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02) 을 구성하는 프레임 (126) 사이에, 평면에서 보아 각형의 공간 (s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1 (A) 는, 각형의 공간 (s2) 에 외형이 평면에서 보아 각형인 흡수탑 (104 (104a)) 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도 31 (B) 는, 각형의 공간 (s2) 에 외형이 평면에서 보아 환형인 흡수탑 (104 (104b)) 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31 (C) 는, 도 31 (B) 에 나타내는 흡수탑 (104 (104b)) 의 외주를 복수의 용접 포인트 (p) 에서 프레임 (126) 에 고정시키고 있는 예이다. 이와 같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케이싱 (102) 에 흡수탑 (104 (104a, 104b)) 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선박에 대한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육상에서, 선박의 선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102), 및 흡수탑 (104) 을 구비하는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형성한다 (탈황 장치 형성 스텝 S10). 다음으로, 탈황 장치 형성 스텝 S10 에서 형성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선박에 장착한다 (선박 장착 스텝 S12). 탈황 장치 형성 스텝 S10 에서는,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케이싱 (102) 과, 선박 (1) 의 케이싱 (102) 이외의 선각 구조를 접합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탈황 장치 형성 스텝 S10 에 있어서, 육상의 공장 등에서 사전에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형성해 두고, 선박이 입거 후,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선박에 탑재한다. 이에 의해, 선박으로의 흡수탑 탑재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탑 (104) 과 케이싱 (102) 은, 일체화하기 전에, 동시에 평행하게 따로 따로 제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탈황 장치 형성 스텝 S10 에 있어서,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하방 섹션으로부터 상방 섹션의 순서로, 흡수탑 (104) 및 케이싱 (102) 및 흡수탑 (104) 을 함께 조립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의 하방 섹션으로부터 상방 섹션의 순서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해지고, 또한 흡수탑 (104) 및 케이싱 (102) 을 동시에 평행하게 조립함으로써,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형성 스텝에서는, 상기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 섹션 (100a, 100b 및 100c) 의 집합체를 형성한다. 선박 장착 스텝 S12 에서는, 선박 (1) 에 이들 분할 섹션 (100a ∼ 100c) 을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를 선박에 장착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0) 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 섹션 (100a ∼ 100c) 의 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선박 장착 스텝 S12 에 있어서, 분할 섹션 별로 크레인 (108) 으로 선내에 반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크레인 (108) 의 반송 능력이 부족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섹션 (100a ∼ 100c) 에는, 각각 흡수탑 (104) 의 분할 세션 (104a, 104b 및 104c) 이 조립된다. 각 분할 세션 (104a ∼ 104c) 은, 분할 섹션 (100a ∼ 100c) 이 선내에서 조립되었을 때, 흡수탑 (104) 에 일체로 조립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선박용 탈황 장치는, 예를 들어 10,000 TEU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용적을 갖는 것과 같은 초대형 컨테이너선 (ULCS) 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컨테이너 적재 용적이 10,000 TEU 를 초과하지 않는, 대형, 혹은 중소형이라고 불리는 컨테이너선용 및 컨테이너선 이외의 탱커나 벌크 캐리어 등 화물선용 혹은 여객선 등의 일반 상선용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흡수탑 (30) 은,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 및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5) 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 중에는,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에 적용할 수 있는 발명이 있고, 또한, 환형의 흡수탑에 적용할 수 있는 발명도 있다. 이들 발명을 애스펙트비가 1 : 1.1 초과, 그리고, 1 : 6.0 이하의 범위 외의 방형의 흡수탑이나, 환형의 흡수탑에 적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초대형 선박 등의 선박에 배치할 때의 배치성이 우수한 선박용 탈황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1 선박
2 선박 본체
3 상갑판
4 거주구
6 강판 구조물
8, 8A, 8B 횡격벽
9 컨테이너
10 기관실
12 주기관
14 보조 기관
20 선박용 탈황 장치
30 흡수탑
31 내부 공간
31a 저류 공간
31b 하방측 내부 공간
31c 상방측 내부 공간
31d 출구측 내부 공간
32 흡수탑 본체부
32a, 32b 긴 쪽 벽면
32c, 32d 짧은 쪽 벽면
33 배기 가스 도입구
34 배기 가스 도입부
34A 경사부
34B 수직부
34a 일단부
34b 타단부
35 충전층
35A 충전물
36 배기 가스 도출부
37 미스트 엘리미네이터
38, 38A, 38B 산포 장치
38a1 길이 방향 산수관
38a2 산수 노즐
38b1 폭 방향 산수관
38b2 산수 노즐
39a 일방측의 측단부
39b 타방측의 측단부
39c 일방측의 측단부
40 배기 가스 도입 장치
42 배기 가스 도입관
43 배기 가스 배출관
44a ∼ 44d 보조기용 배기 가스 도입관
45 배기 가스 유입관
46 배기 가스 굴뚝부
48a ∼ 48d 보조기용 배기 가스 배출관
50 해수 공급 장치
52 제 1 해수 흡입 상자
52a 배수 희석 펌프
54 제 2 해수 흡입 상자
54a 해수 공급 펌프
56 해수 도입관
58 해수 공급관
59 해수 배출관
60 배열 회수 장치
70 횡단 부재
70A 대들보 부재
70B 언판 부재
80 내부 공간 확인 장치
80A 시인창
81 pH 조정제
81A 로크상의 알칼리제
82 칸막이
83 천정부
84 방식층
85 배기 가스 냉각 장치
86 비상용 탱크
87 비상용 냉각 장치
88 비상용 냉각수 관로
89 비상용 바이패스 장치
90 비상용 개폐 밸브
91 고정 부재
92 벽면 보강 부재
93 칸막이벽
94 냉각수 제어 밸브
95 압력계
96 세정액 공급 장치
97A 세정액 공급 라인
97B 바이패스 라인
98 제어 밸브
99 유량계
100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102 케이싱
103 선각 구조
104 흡수탑
106 엔진 케이싱
108 크레인
110, 116 외각벽
112, 112a, 112b, 118 리브
114, 120 스티프너
122 배기 가스 배관
124 배관
126 프레임
p 용접 포인트

Claims (4)

  1. 선박에 탑재되는 배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탈황하기 위한 선박용 탈황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획정하는 흡수탑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탑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승하는 상기 배기 가스에 세정액을 산포 가능한 산포 장치와,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충전층에 충전됨과 함께 종 방향으로 적층되는 충전물로서, 상기 충전층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상기 세정액을 기액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물을 구비하고,
    상기 흡수탑 본체부는, 상기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이간함과 함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제 1 벽면과, 상기 선박의 폭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선박의 선수-선미 방향을 따라 이간함과 함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제 2 벽면을 갖고,
    상기 충전물은, 상기 1 쌍의 제 1 벽면 내의 일방측의 벽면으로부터 타방측의 벽면에 걸쳐서, 상기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됨과 함께, 상기 1 쌍의 제 2 벽면 내의 일방측의 벽면으로부터 타방측의 벽면에 걸쳐서, 상기 선박의 선수-선미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규칙 충전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규칙 충전물의 각각은, 상기 선박의 폭 방향 및 상기 선박의 선수-선미 방향의 양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규칙 충전물에 대하여 면과 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수탑은 복수의 층상의 부분을 겹쳐 쌓아 각 층상의 부분끼리를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완성되며,
    상기 충전물을 둘러싸는 층상의 부분에는 방식층이 형성되지 않고, 또한 내식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충전물을 둘러싸는 층상의 부분 이외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방식층이 형성되어 있는, 선박용 탈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본체부는, 상기 배기 가스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산포 장치는, 상기 세정액을 상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선박용 탈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층과 상기 산포 장치의 간격이 2 m 이상인 선박용 탈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박용 탈황 장치를 탑재한 선박.
KR1020207032223A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KR20200129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3973 2017-03-28
JPJP-P-2017-063973 2017-03-28
JPJP-P-2017-254444 2017-12-28
JP2017254444 2017-12-28
PCT/JP2018/012825 WO2018181504A1 (ja) 2017-03-28 2018-03-28 船舶用脱硫装置、船殻一体型脱硫装置、船舶および船殻一体型脱硫装置の船舶への組み付け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707A Division KR20190026978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86A true KR20200129186A (ko) 2020-11-17

Family

ID=6367708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707A KR20190026978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KR1020207032223A KR20200129186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KR1020197006708A KR20190027948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KR1020197006709A KR102187405B1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KR1020187027720A KR20180131548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선박 및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선박에 대한 설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707A KR20190026978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708A KR20190027948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KR1020197006709A KR102187405B1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KR1020187027720A KR20180131548A (ko) 2017-03-28 2018-03-28 선박용 탈황 장치,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 선박 및 선각 일체형 탈황 장치의 선박에 대한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5) JP6440918B1 (ko)
KR (5) KR20190026978A (ko)
CN (6) CN112373667A (ko)
SG (4) SG10202003926SA (ko)
WO (1) WO2018181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978A (ko) * 2017-03-28 2019-03-13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JP6559873B1 (ja) * 2018-12-11 2019-08-1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気液混合装置、および気液混合装置を備える排ガス脱硫装置
CN110006269A (zh) * 2019-01-21 2019-07-12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迷宫阻尼型深度消雾收水冷却塔
JP2020168596A (ja) * 2019-04-02 2020-10-1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海水脱硫装置
KR102027237B1 (ko) * 2019-07-19 2019-10-01 조규인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
KR102640379B1 (ko) * 2019-09-04 2024-0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KR102605036B1 (ko) * 2019-09-04 2023-1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KR102369699B1 (ko) * 2019-10-11 2022-03-02 신현경 스텍 매연 제거 장치
KR102421939B1 (ko) * 2019-11-22 2022-07-20 주식회사 파나시아 패키지화된 배기가스 정화장치
CN114829250B (zh) * 2020-01-29 2024-02-20 三菱造船株式会社 废气净化装置、船舶
CN111470021A (zh) * 2020-04-28 2020-07-31 广船国际有限公司 烟囱及船舶
JP7375929B2 (ja) * 2020-05-27 2023-11-08 富士電機株式会社 船舶用排ガス処理装置
JP2023152538A (ja) * 2022-04-04 2023-10-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用脱硫装置
CN117085504B (zh) * 2023-10-20 2023-12-29 中太海碳(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脱硫脱碳一体吸收反应塔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15A (zh) * 1988-04-28 1989-11-15 杨增祥 抗倾覆船体设计
JPH0663353A (ja) * 1992-08-12 1994-03-08 Babcock Hitachi Kk 湿式排煙脱硫装置および方法
JP3547465B2 (ja) * 1993-11-15 2004-07-28 新潟原動機株式会社 船舶用脱硝装置の反応器
JP2734371B2 (ja) * 1994-04-07 1998-03-30 株式会社新潟鉄工所 舶用脱硝反応器の支持構造
DE19505231A1 (de) * 1995-02-16 1996-08-22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m Reinigen von Gasen mit Wasser
JPH0960518A (ja) * 1995-08-25 1997-03-04 Niigata Eng Co Ltd 船舶用脱硝反応器
JPH09239233A (ja) * 1996-03-05 1997-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煙脱硫方法及び装置並びに該装置を搭載した船舶
JP3978813B2 (ja) * 1997-06-20 2007-09-19 株式会社Ihi 排煙脱硫装置のスプレ式角型吸収塔
JPH11104449A (ja) * 1997-10-03 1999-04-20 Babcock Hitachi Kk スプレ式吸収塔と該吸収塔を備えた湿式排煙脱硫装置
JP3048575U (ja) * 1997-10-31 1998-05-15 久保田工業株式会社 ダイオキシン発生防止燃焼炉
JP4381064B2 (ja) * 2003-08-26 2009-12-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05211792A (ja) * 2004-01-29 2005-08-11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処理塔
US20110017395A1 (en) * 2009-07-21 2011-01-27 Joseph Loyd Vandiver Composite resin tile system
DE102009059773A1 (de) * 2009-12-21 2011-06-22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51373 Anlage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Schiffsdieselabgasen
JP2011144766A (ja) * 2010-01-15 2011-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脱硝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ならびに排ガス脱硝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754892B2 (ja) * 2010-05-17 2015-07-29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JP2012047096A (ja) * 2010-08-26 201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舶用脱硝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ならびに舶用脱硝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773687B2 (ja) * 2011-02-28 2015-09-0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海水排煙脱硫システムおよび発電システム
JP2012200721A (ja) * 2011-03-28 2012-10-22 Mitsubishi Heavy Ind Ltd 脱硫排液からの脱水濾液の噴霧乾燥装置、脱水濾液の噴霧乾燥方法及び排ガス処理システム
US8715402B2 (en) * 2011-03-22 2014-05-0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and air pollution control method, spray drying device of dewatering filtration fluid from desulfurization discharged water, and method thereof
CA2854463A1 (en) * 2011-11-03 2013-05-10 Basf Se Method for removing sulfur-comprising compounds from a hydrocarbonaceous gas mixture
JP5499057B2 (ja) * 2012-01-19 2014-05-21 九電産業株式会社 ハニカム触媒の活性回復装置及び活性回復方法
JP2013154329A (ja) * 2012-01-31 2013-08-15 Mitsubishi Heavy Ind Ltd 海水排煙脱硫システムおよび発電システム
US20140072483A1 (en) * 2012-09-10 2014-03-1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Desulfurization device and particulate collection system
JP2014134154A (ja) * 2013-01-10 2014-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CN104703675A (zh) * 2013-04-17 2015-06-10 富士电机株式会社 废气处理装置、船舶以及废气处理方法
JP6230818B2 (ja) * 2013-06-06 2017-11-1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CN103894053B (zh) * 2014-03-27 2015-10-2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用于船舶的双回路脱硫装置
CN105004214A (zh) * 2014-04-26 2015-10-28 扬州银帆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塔芯填料
KR20160016093A (ko) * 2014-08-04 2016-0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구조
CN104265427A (zh) * 2014-08-07 2015-01-07 哈尔滨工程大学 船舶中速柴油机废气脱硫与废热回收联合循环系统
CN204193771U (zh) * 2014-10-17 2015-03-11 辽宁圣赫机械制造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带循环清洗装置的脱硫塔
CN104353357A (zh) * 2014-10-22 2015-02-18 哈尔滨工程大学 船舶动力装置集成式废气洗涤脱硫设备及控制方法
CN104324593B (zh) * 2014-10-22 2016-07-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水与淡水联合的船舶废气双回路洗涤脱硫装置
KR101590551B1 (ko) * 2014-11-04 2016-02-18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JP6133836B2 (ja) * 2014-12-12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触媒
KR20170011238A (ko) * 2015-07-22 2017-0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추가적재공간을 구비하는 선박
CN205084614U (zh) * 2015-10-09 2016-03-16 威海普益船舶环保科技有限公司 船用脱硫系统
CN205598944U (zh) * 2016-04-21 2016-09-2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用于核电厂废气的吸收装置
CN106315846A (zh) * 2016-11-14 2017-01-11 安徽华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周期性气升扰动反硝化脱氮装置及其处理方法
JP6104491B1 (ja) * 2017-01-20 2017-03-2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船舶用脱硫装置および該船舶用脱硫装置を搭載した船舶
KR20190026978A (ko) * 2017-03-28 2019-03-13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2003926SA (en) 2020-06-29
CN109925845A (zh) 2019-06-25
SG11201809091UA (en) 2018-11-29
KR102187405B1 (ko) 2020-12-07
JP2019104481A (ja) 2019-06-27
JP6440894B1 (ja) 2018-12-19
CN109925847A (zh) 2019-06-25
CN108934166A (zh) 2018-12-04
JP2019104482A (ja) 2019-06-27
JP6474935B1 (ja) 2019-02-27
JP2019104480A (ja) 2019-06-27
SG10202003890XA (en) 2020-05-28
KR20190027948A (ko) 2019-03-15
JP2019104479A (ja) 2019-06-27
KR20180131548A (ko) 2018-12-10
CN112373667A (zh) 2021-02-19
CN109985492A (zh) 2019-07-09
JP6467107B1 (ja) 2019-02-06
SG10202003942VA (en) 2020-05-28
KR20190026978A (ko) 2019-03-13
KR20190026979A (ko) 2019-03-13
CN109925846A (zh) 2019-06-25
JPWO2018181504A1 (ja) 2019-04-11
JP6440918B1 (ja) 2018-12-19
WO2018181504A1 (ja)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405B1 (ko) 선박용 탈황 장치 및 선박
US10926217B2 (en) Ship desulfurization device and ship equipped with ship desulfurization device
KR102055049B1 (ko)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KR102327407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WO2013091772A1 (de) Schwimmkörper, insbesondere containerschiff
KR20240032109A (ko) 암모니아 연료 운송 및 주입선
KR20170032709A (ko) 해상 부유물 내 기계실의 배치 구조 및 배치 방법
KR20210128528A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JP2018114961A (ja) 船舶用脱硫装置および該船舶用脱硫装置を搭載した船舶
CN105339257B (zh) 构造液货船的方法
KR101766263B1 (ko) 해양구조물용 인데크 탱크
Lapidaire et al. The effect of ship motions on FPSO topsides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