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034A -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 - Google Patents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034A
KR20200128034A KR1020207025889A KR20207025889A KR20200128034A KR 20200128034 A KR20200128034 A KR 20200128034A KR 1020207025889 A KR1020207025889 A KR 1020207025889A KR 20207025889 A KR20207025889 A KR 20207025889A KR 20200128034 A KR20200128034 A KR 2020012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haped member
pipe
spacer
rehabil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오 카미야마
타케시 하세가와
후미타카 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12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중합한 스페이서(50, 70)가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에 전체 둘레에 설쳐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의 간극에 따른 두께로 복수 배치된다.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페이서(7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는 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갱생관의 세그먼트(1)에 부착된 유지 부재에 유지된다. 제 1 쐐기형상 부재는 관 길이 방향과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유지 부재에 유지되고, 세그먼트로부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
본 발명은 기설관과, 상기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 및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서 조립되는 갱생관의 간극에 삽입되어 갱생관의 기설관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 스페이서를 사용한 관 갱생 공법에 관한 것이다.
땅속에 매설된 하수관 등의 대구경 기설관이 노후화되었을 경우 기설관을 땅속으로부터 파내는 일 없이 그 내주면에 라이닝을 실시해서 관로를 보수하는 보수 공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법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해서 관 유닛을 조립하고, 상기 관 유닛을 연결 부재를 통해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서 관로 내에 갱생관을 조립하고 있다.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한 후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고, 경화시켜서 복합관이 구축된다.
이와 같은 공법으로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할 때 갱생관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비중이 충전재보다 작아 충전재 위로 들떠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갱생관을 소정 길이(예를 들면, 1m 정도) 조립할 때마다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스페이서를 삽입하고, 갱생관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갱생관의 위치 조정을 행하여 충전재를 주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주입되는 충전재는 갱생관의 상부에서는 다량이며, 갱생관이 상술한 스페이서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므로 갱생관의 저부에서는 충전재가 주입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충전재의 층 두께는 갱생관의 둘레 방향으로 상이해져 버리고, 갱생관은 충전재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상이한 외압을 받아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갱생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갱생관의 내부에 지보공을 조립하고 있다.
또한,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가 세그먼트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세그먼트에 유지 부재를 고정하고, 이 유지 부재에 의해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것이 행해져 있다(하기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05-26507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7-2688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5-2456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7-25976호 공보
그러나 작업자가 갱생관 내로 들어가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많아 갱생관 내에 지보공을 조립하는 것은 난작업이 된다. 또한, 충전재가 경화된 후 지보공을 해체해서 갱생관 내로부터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설관의 하방부에도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해서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하고, 거기에 충전재를 주입함으로써 갱생관의 강도를 높여서 갱생관 내에 지보공을 조립하는 작업을 생략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기설관과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스페이서를 삽입해서 소정 두께의 간극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기설관과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도 스페이서를 삽입해서 전체 둘레에 걸쳐 충전재를 주입할 수 있고, 갱생관 내에 지보공을 조립하는 일 없이 갱생관의 변형을 방지하여 기설관의 갱생을 행할 수 있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은,
기설관과, 상기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 및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서 조립되는 갱생관의 간극에 삽입되어 갱생관의 기설관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로서,
세그먼트에 고정된 유지 부재의 가이드 홈에 감합해서 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는 측벽이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록킹 티스가 형성된 제 1 쐐기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경사 각도와 동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대해서 삽입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며,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록킹 티스와 결합하는 록킹 티스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갖고,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는 각각의 록킹 티스가 결합하도록 경사면을 맞춰 겹쳐지고,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면에는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면에 대향하는 유지 부재의 가이드 홈면에는 측벽면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감합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감합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관 길이 방향과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5)은,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 및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서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록킹 티스가 형성된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세그먼트에 고정된 유지 부재에 유지하는 공정과,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경사 각도와 동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대해서 삽입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며,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록킹 티스와 결합하는 록킹 티스가 경사면에 형성된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각각의 록킹 티스가 결합하도록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중합해서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삽입하는 공정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대해서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중합한 스페이서 전체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조절하는 공정과,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중합한 스페이서는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이 발생하도록 복수 위치에 삽입되고,
상기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에는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과 감합해서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면에는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면에 대향하는 가이드 홈면에는 측벽면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요철 감합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감합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관 길이 방향과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는 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므로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갱생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유지하여 내부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돌출된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안표로 제 1 쐐기형상 부재가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오도록 갱생관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1 쐐기형상 부재는 관 길이 방향과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제 1 쐐기형상 부재가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와도 자중(自重)에 의해 세그먼트로부터 낙하할 우려가 없어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스페이서를 설치해서 기설관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충전재를 주입해서 기설관의 갱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갱생관의 조립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해서 관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사용해서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갱생관의 외주와 기설관의 내벽면의 간극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갱생관의 상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갱생관의 상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제 2 쐐기형상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갱생관의 상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이동시켜서 스페이서 전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갱생관의 상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세그먼트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갱생관의 상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갱생관의 상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제 2 쐐기형상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이동시켜서 스페이서 전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a는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세그먼트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유지 부재에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갱생관의 저부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갱생관의 최상부와 저부에 스페이서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a는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면과 유지 부재의 가이드 홈면의 요철 감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b는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면과 유지 부재의 가이드 홈면의 요철 감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 상수관, 터널 또는 농업용수로 등의 대구경의 기설관을 갱생 또는 수복하는 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갱생관은 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원형으로서 설명되지만 원형 이외의 형상의 갱생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도 1에는 갱생관용 세그먼트(1)(이하, 간단히 세그먼트라고 한다)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세그먼트(1)는 갱생관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101)과, 상기 내면판(10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된 동 형상의 측판(102, 103)과, 내면판(101)의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된 동 형상의 단판(104, 105), 및 등간격으로 복수 세워서 설치된 동 형상의 내부판(106, 107)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일체 성형의 블록형상의 부재이다.
세그먼트(1)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를 복수 등분하는 소정 각도, 예를 들면 6등분하는 60°의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세그먼트는 원호형 또는 부채형에 한정되지 않고, 기설관의 단면형상 또는 그 크기, 또는 기설관의 보수 개소에 따라 직방체 또는 직각을 둥글게 해서 절곡한 형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측판(102, 103), 내부판(106)에는 세그먼트(1)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볼트로서 구성된 연결 부재(11) 및 너트(12)(도 3)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 통과 구멍(102a, 103a, 106a)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내부판(107)에도 연결 부재(11)를 삽입할 수 있는 노치(107a)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단판(104, 105)에는 세그먼트(1)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볼트 등의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 통과 구멍(104a, 105a)이 복수 형성된다. 세그먼트는 그 단판(105)과 다른 세그먼트의 단판(104)을 접촉시키고, 볼트(6)와 너트(7)를 측판(102와 103)에 형성된 작업 구멍(102b, 103b)을 통해서 삽입하고, 볼트(6), 너트(7)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둘레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도 3).
또한, 측판(102, 103)과 내부판(106)의 상부 가장자리에 후술하는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102c, 103c, 106b)가 복수 형성되고, 내부판(106)에 형성한 노치(106b)의 둘레 방향의 위치는 측판(102, 103)에 형성한 노치(102c, 103c)의 둘레 방향의 위치와 상이하다.
세그먼트를 순차 둘레 방향으로 1둘레분 연결시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링형상의 관 유닛(10)을 조립할 수 있다. 관 유닛(10)은 원관(円管)을 관 길이 방향(X)에 수직으로 소정 폭(D)으로 동그랗게 절단했을 때에 얻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경이 갱생해야 할 기설관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세그먼트는 이 관 유닛(10)을 지름 방향(R)을 따른 절단면에서 둘레 방향(C)으로 복수개로 분할(바람직하게는 등분)했을 때에 얻어지는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세그먼트(1)의 주요한 구조 부재인 내면판(101), 측판(102, 103), 단판(104, 105)이 도시되어 있고, 내부판(106, 107) 등의 보강 구조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 유닛(10)의 각 세그먼트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3)를 사용해서 너트(12)가 복수 고정된다. 예를 들면, 세그먼트(1b)에 세그먼트(1a)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경우 일단에 너트(1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11a)가 형성되고, 타단에 플랜지(14a)를 갖는 두부(14)가 고정된 연결 부재(11)가 사용된다. 양 세그먼트(1a, 1b)의 측판(103, 102)을 맞대고, 연결 부재(11)를 세그먼트(1a)의 측판(102)의 삽입 통과 구멍(102a), 내부판(106)의 삽입 통과 구멍(106a), 내부판(107)의 노치(107a)에 통과시키고, 나사부(11a)를 세그먼트(1b)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12)에 나사 삽입하면 연결 부재(11)와 너트(12)가 연결된다. 두부(14)의 플랜지(14a)가 세그먼트(1a)의 최좌측단의 내부판(106)에 압접할 때까지 연결 부재(11)를 너트(12)에 나사 삽입하면 양 세그먼트(1a, 1b)가 볼트 체결되어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그먼트(1)를 사용해서 기설관을 갱생하기 위해,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맨홀(20)을 통해서 기설관(21) 내에 세그먼트(1)를 반입하고,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순차 연결해서 관 유닛(10)을 조립한다. 계속해서, 관 유닛(10)을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연결 부재(11)와 너트(12)를 사용해서 순차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고, 기설관(21) 내에 갱생관(40)을 부설한다. 기설관(21)과 갱생관(40) 사이에는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30)가 주입된다.
관 갱생 공사에 있어서 갱생관(40)이 기설관(21) 내에 부설된 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그먼트(1)에 주입 구멍(41a)이 천공되고, 이 주입 구멍(41a)을 통해서 주입 호스(41)를 사용하여 충전재(30)가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에 주입된다. 이때 충전재(30)가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층 두께로 주입되도록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에 스페이서(50, 70)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스페이서(50)는 갱생관(40)의 상방부에 배치되는 것이며, 도 6a에 상면측을 나타내는 제 1 쐐기형상 부재(51)와, 도 6b에 하면측을 나타내는 제 2 쐐기형상 부재(52)를 상하로 겹쳐서 구성된다. 또한, 스페이서(50)의 두께가 부족할 경우에는 스페이서(50)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도 7에 나타낸 부피 상승 부재(53)가 사용된다.
스페이서(5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51)에는 중앙부에 홈(51a)이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다수의 록킹 티스(51b)가 경사면을 따라 소정 피치로 형성된다. 또한, 홈(51a)과 양측의 측벽(51d, 51e) 사이에는 충전재(30)를 통과시키기 위한 긴 구멍(51c)이 복수 형성되고, 삽입 바로 앞측에는 돌기(51g)가 형성된다.
스페이서(50)의 제 2 쐐기형상 부재(52)에는 제 1 쐐기형상 부재(51)의 경사 각도와 동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홈(51a)과 감합하는 볼록부(52a)와 그것에 계속되는 탄성 변형편(52g)이 형성된다. 탄성 변형편(52g)의 하면에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록킹 티스(52b)가 록킹 티스(51b)의 피치의 정수배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록킹 티스(51b와 52b)는 각각 경사면과 수직면을 갖는 톱니형상이며, 수직면이 결합하면 일방향만으로 밖에 이동할 수 없는 티스면(齒面)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52a)와 양측의 측벽(52d, 52e) 사이에는 제 1 쐐기형상 부재(51)의 긴 구멍(51c)과 위치가 맞는 긴 구멍(52c)이 형성된다.
제 1 쐐기형상 부재(51)는 삽입 방향의 안측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약 10°)로 경사지고, 제 2 쐐기형상 부재(52)는 제 1 쐐기형상 부재(51)의 경사 각도와 동 각도로 경사진 역쐐기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동 각도로 서로 경사진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홈(51a)에 제 2 쐐기형상 부재(52)의 볼록부(52a)를 감합시켜서 겹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티스(51b, 52b)는 서로 결합하고, 제 1 쐐기형상 부재(51)의 하면(51f)과 제 2 쐐기형상 부재의 상면(52f)은 평행해진다.
도 7에 있어서 제 2 쐐기형상 부재(52)를 A 방향으로 누르면 록킹 티스(51b, 52b)는 경사면이 결합해서 A 방향으로는 이동하지만 역방향으로는 수직면이 결합해서 이동이 저지된다. 그것에 따라 제 2 쐐기형상 부재(52)를 A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스페이서(50) 전체의 두께(H)를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51, 52)의 경사 각도에 따른 작은 피치로 단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편(52g)은 탄성 변형하므로 그것을 들어 올리면 록킹 티스(51b와 52b)의 결합이 분리되므로 제 2 쐐기형상 부재(52)를 A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페이서(5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쐐기형상 부재(5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유닛(10)을 조립하기 전 또는 관 유닛(10)을 조립한 후에 하기에 설명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를 사용해서 세그먼트에 부착하도록 해 둔다.
스페이서(5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51)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는 도 8,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평면(60a, 60b)을 갖고, 그 하방에서 중앙부에 폭(t1)의 홈(60c)이 둘레 방향(좌우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홈(60c)의 폭(t1)은 세그먼트(1)의 측판(102, 103), 내부판(106, 107)의 각 판두께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c)에, 예를 들면 내부판(107)을 압입함으로써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를 내부판(107)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는 폭(t2)의 홈(60d, 60e)이 형성된다. 홈(60d, 60e)의 폭(t2)은 제 1 쐐기형상 부재(51)의 측벽(51d, 51e)의 벽 두께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고,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d, 60e)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t3)는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51, 52)의 횡폭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51)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d, 60e) 내에 압입함으로써 제 1 쐐기형상 부재(51)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고정해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스페이서(50),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는 갱생관(40)의 상방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 사용되는 것이며, 갱생관(40)의 하방부, 특히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페이서(70)와, 도 12a,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페이서 유지 부재(80)가 사용된다.
스페이서(70)는 도 10a에 상면측을 나타내는 제 1 쐐기형상 부재(71)와, 도 10b에 하면측을 나타내는 제 2 쐐기형상 부재(72)를 상하로 겹쳐서 구성된다. 제 1 쐐기형상 부재(71)에는 중앙부에 홈(71a)이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다수의 록킹 티스(71b)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소정 피치로 형성된다. 또한, 홈(71a)과 양측의 측벽(71d, 71e) 사이에는 충전재(30)를 통과시키기 위한 긴 구멍(71c)이 복수 형성되고, 삽입 방향(관 길이 방향) 바로 앞측에는 세그먼트(1)의 측판(102)과 접촉해서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71g)가 형성된다. 또한, 측벽(71d, 71e)의 외측 벽면에는 둘레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71h, 71i)가 길이 방향(관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
스페이서(70)의 제 2 쐐기형상 부재(72)에는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홈(71a)과 감함하는 볼록부(72a)가 형성되고, 볼록부(72a)의 경사면에는 록킹 티스(72b)가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록킹 티스(71b)의 피치의 정수배의 피치로 형성된다. 록킹 티스(71b와 72b)는 각각 경사면과 수직면을 갖는 톱니형상이며, 수직면이 결합하면 일방향만으로 밖에 이동할 수 없는 티스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72a)와 양측의 측벽(72d, 72e) 사이에는 충전재(30)를 통과시키기 위한 긴 구멍(72c)이 복수 형성된다.
제 1 쐐기형상 부재(71)는 삽입 방향의 안측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약 2~5°)로 경사지고, 제 2 쐐기형상 부재(72)는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경사 각도와 동 각도로 경사진 역쐐기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홈(71a)과 제 2 쐐기형상 부재(72)의 볼록부(72a)를 감합시켜서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71, 72)를 중합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 각도로 경사진 홈(71a)과 볼록부(72a)로 형성된 록킹 티스(71b, 72b)는 서로 결합하고,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하면(71f)과 제 2 쐐기형상 부재(72)의 상면(72f)은 평행해진다. 또한, 스페이서(70)의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71, 72)의 둘레 방향을 따른 폭은 각각 스페이서(50)의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51, 52)의 폭(t3)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다.
스페이서(70)는 실제로는 갱생관의 하방부에 배치되므로, 예를 들면 저부에 배치되면 제 1 쐐기형상 부재(71)는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쐐기형상 부재(72)의 상측에 배치되지만 스페이서(50)와 대비하기 위해서 도 11에서는 제 1 쐐기형상 부재(71)가 제 2 쐐기형상 부재(72)의 하측에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80)도 도 12a, 도 12b, 도 13~도 15에서는 실제로 배치되는 자세와 상하가 반대로 해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 제 2 쐐기형상 부재(72)를 A 방향으로 누르면 록킹 티스(71b, 72b)는 경사면이 결합해서 A 방향으로는 이동하지만 역방향으로는 수직면이 결합해서 이동이 저지된다. 그것에 따라 제 2 쐐기형상 부재(72)를 A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스페이서(70) 전체의 두께(h)를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71, 72)의 경사 각도에 따른 작은 피치로 단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쐐기형상 부재(71)는 스페이서(5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51)와 마찬가지로 관 유닛(10)을 조립하기 전 또는 관 유닛(10)을 조립한 후에 스페이서 유지 부재(80)를 사용해서 세그먼트에 부착하도록 해 둔다.
스페이서(7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80)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평면(80a, 80b)을 갖고, 그 하방에서 중앙부에 폭(t1)의 홈(80c)이 둘레 방향(좌우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홈(80c)의 폭(t1)은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c)과 마찬가지로 세그먼트(1)의 측판(102, 103), 내부판(106, 107)의 각 판두께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유지 부재(80)의 홈(80c)에, 예를 들면 내부판(107)을 압입함으로써 스페이서 유지 부재(80)를 내부판(107)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유지 부재(80)의 둘레 방향(좌우 방향)의 양측부에는 외벽(80f, 80g)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내벽(80h, 80i)이 형성되며, 각 외벽과 내벽 사이에 스페이서(7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측벽(71d, 71e)과 감합하여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가이드 홈(80j, 80k)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홈(80j, 80k)의 외측 홈면(외벽(80f, 80g)의 내측면)에는 돌기(80d, 80e)가 형성되고, 가이드 홈(80j)의 저면(80m)과 돌기(80d)에 의해 가이드 홈(80j)의 우측방 가이드 홈면에는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볼록부(71h)와 요철 감합하는 오목부(80p)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홈(80k)의 저면(80n)과 돌기(80e)에 의해 가이드 홈(80k)의 좌측방 가이드 홈면에는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볼록부(71i)와 요철 감합하는 오목부(80q)가 형성된다.
가이드 홈(80j, 80k)의 둘레 방향의 폭(w1)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7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측벽(71d, 71e)의 벽 두께(w3)와 측벽(71d, 71e)에 형성된 볼록부(71h, 71i)의 돌출량(w2)을 가산한 값(w2+w3)보다 약간 커져 있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측벽(71d, 71e)을 스페이서 유지 부재(80)의 가이드 홈(80j, 80k)에 감합시켜서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가이드 홈(80j, 80k)을 따라 관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쐐기형상 부재(71)는 그 볼록부(71h, 71i)가 스페이서 유지 부재(80)의 오목부(80p, 80q)에 감합하도록 유지 부재(80)에 감합되므로 그 요철 감합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71)는 도 15에서 상하 방향, 즉 관 길이 방향(X)과 둘레 방향(C)에 직교하는 방향(Y)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 1 쐐기형상 부재(71)가 도 15에서 상하를 반대로 해서 유지되어도 제 1 쐐기형상 부재(71)가 스페이서 유지 부재(80)로부터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이 발생하도록 스페이서를 복수 위치에 삽입하고,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구축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관 유닛(10)을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서 갱생관(40)의 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예를 들면 약 0.6m가 될 때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50, 70)를 기설관(21)과 갱생관(40) 사이에 삽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는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이 발생하도록 복수 위치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갱생관(40)의 상방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는 스페이서(50)가, 또한 갱생관(40)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의 하방부에서는 스페이서(70)가 사용된다. 관 유닛(10)을 조립하기 전 또는 관 유닛(10)을 조립한 후에 스페이서 삽입 위치의, 예를 들면 세그먼트의 내부판(107)에 스페이서 유지 부재(60 또는 80)를 고정하고, 거기에 스페이서(5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51) 또는 스페이서(7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유지하도록 한다.
우선, 갱생관(40)의 저부를 기설관(21)으로부터 들어 올리기 위해서 최초의 스페이서는 갱생관의 저부에 삽입된다. 갱생관의 저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7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71)는 도 16의 최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갱생관(40)의 세그먼트(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페이서 유지 부재(80)에 유지해 둔다. 이와 같이 유지해 둠으로써 세그먼트(1)로부터 돌출된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안표로 해서 제 1 쐐기형상 부재(71)가 갱생관(40)의 저부에 오도록 갱생관(40)을 기설관(21) 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세그먼트(1)의 외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유지해도 제 1 쐐기형상 부재(71)는 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도 16의 최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세그먼트(1)의 측판(102)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삽입한 제 1 쐐기형상 부재(71)가 이어서 연결되는 세그먼트에 충돌할 일이 없다.
또한, 도 16의 1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갱생관(40)의 저부에 오도록 이동시켜도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측벽의 볼록부(71h, 71i)와 스페이서 유지 부재(80)의 가이드 홈의 오목부(80p, 80q)의 요철 감합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71)가 관 길이 방향(X)과 둘레 방향(C)에 직교하는 방향(Y)(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제 1 쐐기형상 부재가 세그먼트(1)로부터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도 15 및 도 16의 1단째의 원형 가상선 내의 단면도를 참조).
계속해서, 도 16의 2단째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쐐기형상 부재(72)를 그 경사면을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경사면에 맞춰 제 1 쐐기형상 부재(71)와 기설관(21)의 간극에 바, 고무 해머 등을 사용해서 밀어 넣고, 도 16의 3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쐐기형상 부재(72)를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71, 72)를 중합한 스페이서(70) 전체의 두께가 소망의 두께(h1)가 될 때까지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계속해서, 도 16의 최하단,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 고무 해머 등을 사용해서 제 1 쐐기형상 부재(71)를 B 방향으로, 제 2 쐐기형상 부재(72)를 A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 이동은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돌기(71g)가 세그먼트(1)의 측판(102)에 형성된 오목부(102d)(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 내에 접촉할 때까지 행해진다. 돌기(71g)는 세그먼트(1)의 측판(102)에 형성된 오목부(102d)에 접촉하는 점에서 제 1 쐐기형상 부재(71)가 그 이상 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돌기(71g)는 다음에 연결되는 세그먼트의 측판(103)의 오목부(103d)에 들어가므로 다음에 연결되는 세그먼트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71, 72)의 관 길이 방향의 길이(L)는 세그먼트(1)의 관 길이 방향 길이(D)보다 길게 설정된다. 따라서, 스페이서(70)가 관 길이 방향으로 세그먼트의 저부 전체로 연장되어 세그먼트를 지지하므로 갱생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갱생관(40)의 저부에 스페이서(70)를 삽입했으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갱생관(40)의 저부 근방에도 스페이서(70)를 저부에 삽입한 것과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삽입한다. 그 경우 기설관(21)과의 간극은 상부일수록 커지므로 제 2 쐐기형상 부재(72)는 도 16의 최하단에 도시한 것 보다 더 내부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갱생관(40)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상방부로는 스페이서(50)를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삽입하여 그 두께를 조절한다.
갱생관의 상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50)는 제 2 쐐기형상 부재(52)를 제 1 쐐기형상 부재(51)에 중합해도 낙하할 우려가 적으므로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51, 52)를 중합해서 제 1 쐐기형상 부재(51)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유지하도록 해 둔다.
스페이서(50)의 제 2 쐐기형상 부재(52)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스페이서(50) 전체의 두께를 조절한다. 도 17에는 갱생관의 최상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50)가 저부에 삽입된 스페이서(7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서(50)의 제 2 쐐기형상 부재(52)에는 탄성 변형편(52g)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들어 올림으로써 록킹 티스의 결합을 분리하고, 제 2 쐐기형상 부재(52)를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페이서(5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50)의 두께를 증감시킴으로써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의 간극에 따른 두께로 복수의 스페이서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갱생관(40)이 소망의 길이(예를 들면, 약 5m)까지 조립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갱생관(40)의 일단의 세그먼트(1)에 주입 구멍(41a)이 천공되고, 이 주입 구멍(41a)을 통해서 주입 호스(41)를 사용하여 충전재(30)가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에 주입된다. 또한, 갱생관(40)을 연신시킬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갱생관(40)이 약 0.6m 조립될 때마다 스페이서(50, 70)를 기설관(21)과 갱생관(40) 사이에 삽입하고, 약 5m 조립되면 충전재(30)를 주입하는 공정을 반복한다.
충전재(30)는 측판(102, 103)과 내부판(106, 107)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102a, 103a, 106a), 노치(107a), 및 측판(102, 103)과 내부판(106)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치(102c, 103c, 106b)를 통해서 유입하고, 또한 스페이서(50)에 형성된 긴 구멍(51c, 52c) 및 스페이서(70)에 형성된 긴 구멍(71c, 72c)에도 유입한다. 또한, 내부판(106)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치(106b)의 둘레 방향의 위치가 측판(102, 103)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한 노치(102c, 103c)의 둘레 방향의 위치와 상이하므로 충전재(30)는 세그먼트의 상부를 사행(蛇行)해서 흘러 충전재(30)의 주입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충전재(30)가 경화한 후에는 기설관(21), 충전재(30), 갱생관(40)으로 이루어지는 견고한 복합관이 구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는 갱생관이 변형되지 않도록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간격을 두고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의 간극에 따른 두께로 복수 배치된다. 따라서, 갱생관은 스페이서에 의해 전체 둘레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되며, 주입된 충전재에 의한 갱생관의 변형이 대응한 곳에 배치한 스페이서에 의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로 갱생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보공의 기능을 갖게 하고 있음으로써 갱생관 내에 지보공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져 관 갱생 공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페이서의 배치 위치, 사용하는 스페이서의 수, 그 종류 등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페이서의 수를 증감시킬 수도 있고, 스페이서를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거나, 소밀(粗密)을 바꾸어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70)의 제 1 쐐기형상 부재(71)의 측벽(71d, 71e)의 외측 벽면에 볼록부(71h, 71i)를 형성하고, 그것과 대향하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80)의 가이드 홈(80j, 80k)의 면에 오목부(80p, 80q)를 형성해서 요철 감합시키지만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71d, 71e)의 외측 벽면에 오목부(71r, 71s)를 형성하고, 그것과 대향하는 가이드 홈(80j, 80k)의 면에 볼록부(80r, 80s)를 형성해서 요철 감합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는,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71d, 71e)의 내측 벽면에 볼록부(71u, 71v)를 형성하고, 그것과 대향하는 가이드 홈(80j, 80k)의 면에 오목부(80u, 80v)를 형성해서 요철 감합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18b에 있어서 오목부를 내측 벽면에 형성하고, 그것과 대향하는 가이드 홈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1: 세그먼트 10: 관 유닛
21: 기설관 30: 충전재
40: 갱생관 50: 스페이서
51: 제 1 쐐기형상 부재 51b: 록킹 티스
52: 제 2 쐐기형상 부재 52b: 록킹 티스
52g: 탄성 변형편 53: 부피 상승 부재
60: 스페이서 유지 부재 70: 스페이서
71: 제 1 쐐기형상 부재 71b: 록킹 티스
71d, 71e: 측벽 71g: 돌기
71h, 71i: 볼록부 72: 제 2 쐐기형상 부재
72b: 록킹 티스 72d, 72e: 측벽
80: 스페이서 유지 부재 80d, 80e: 돌기
80f, 80g: 외벽 80h, 80i: 내벽
80j, 80k: 가이드 홈 80p, 80q: 오목부

Claims (10)

  1. 기설관과, 상기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 및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서 조립되는 갱생관의 간극에 삽입되고, 갱생관의 기설관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로서,
    세그먼트에 고정된 유지 부재의 가이드 홈에 감합해서 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는 측벽이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록킹 티스가 형성된 제 1 쐐기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경사 각도와 동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대해서 삽입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며,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록킹 티스와 결합하는 록킹 티스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갖고,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는 각각의 록킹 티스가 결합하도록 경사면을 맞춰 겹쳐지고,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면에는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면에 대향하는 유지 부재의 가이드 홈면에는 측벽면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감합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감합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관 길이 방향과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는 그 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세그먼트의 관 길이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관 길이 방향의 바로 앞측에는 세그먼트와 접촉해서 관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내면판과, 상기 내면판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과, 측판의 내측에서 내면판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내부판을 복수 갖고, 상기 유지 부재는 내부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5.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 및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서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록킹 티스가 형성된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세그먼트에 고정된 유지 부재에 유지하는 공정과,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경사 각도와 동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대해서 삽입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며,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록킹 티스와 결합하는 록킹 티스가 경사면에 형성된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각각의 록킹 티스가 결합하도록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중합해서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삽입하는 공정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제 1 쐐기형상 부재에 대해서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중합한 스페이서 전체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조절하는 공정과,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중합한 스페이서는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이 발생하도록 복수 위치에 삽입되고,
    상기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에는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과 감합해서 제 1 쐐기형상 부재를 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측벽면에는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면에 대향하는 가이드 홈면에는 측벽면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요철 감합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감합에 의해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관 길이 방향과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는 갱생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는 그 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세그먼트의 관 길이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갱생관의 저부 또는 저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관 길이 방향의 바로 앞측에는 세그먼트와 접촉해서 상기 제 1 쐐기형상 부재의 관 길이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관의 상방부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는 그 제 2 쐐기형상 부재에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의 록킹 티스의 결합을 분리하는 탄성 변형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편을 탄성 변형시켜서 제 1과 제 2 쐐기형상 부재의 록킹 티스의 결합을 분리함으로써 제 2 쐐기형상 부재를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내면판과, 상기 내면판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과, 측판의 내측에서 내면판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내부판을 복수 갖고, 상기 유지 부재는 내부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KR1020207025889A 2018-03-05 2019-01-23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 KR202001280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8207 2018-03-05
JPJP-P-2018-038207 2018-03-05
PCT/JP2019/002039 WO2019171801A1 (ja) 2018-03-05 2019-01-23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管更生工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034A true KR20200128034A (ko) 2020-11-11

Family

ID=6784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889A KR20200128034A (ko) 2018-03-05 2019-01-23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60185B2 (ko)
KR (1) KR20200128034A (ko)
TW (1) TW201942509A (ko)
WO (1) WO201917180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853A (ja) 1994-04-04 1995-10-17 Sekisui Chem Co Ltd 鞘管に対する内挿管の固定方法
JP2005265070A (ja) 2004-03-19 2005-09-29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JP2015024561A (ja)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支保工装置および支保工工法
JP2017025976A (ja) 2015-07-17 2017-02-0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管更生工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185599A (en) * 1999-02-17 2000-09-04 Thomas Gianfrancisco Method and material for repair of conduits and the like
JP6529298B2 (ja) * 2015-03-20 2019-06-1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JP2018109433A (ja) * 2017-01-05 2018-07-1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管更生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853A (ja) 1994-04-04 1995-10-17 Sekisui Chem Co Ltd 鞘管に対する内挿管の固定方法
JP2005265070A (ja) 2004-03-19 2005-09-29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JP2015024561A (ja)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支保工装置および支保工工法
JP2017025976A (ja) 2015-07-17 2017-02-0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管更生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42509A (zh) 2019-11-01
JP7260185B2 (ja) 2023-04-18
JPWO2019171801A1 (ja) 2021-03-04
WO2019171801A1 (ja)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81853A1 (en) Rebar connector having a pair of locking pieces and conne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rebar net using same
JP6555957B2 (ja) 管更生工法
US7083360B2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existing pipe
JP6755545B2 (ja) 管更生工法
TWI673452B (zh) 位置調整間隔件及使用此位置調整間隔件來調整修復管的位置之方法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102201999B1 (ko) 토류판, 토류판 설치 지그 및 토류판 시공 방법
KR20200128034A (ko)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
US20190032835A1 (en)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6791895B2 (ja) 壁高欄施工方法と壁高欄
JP6070118B2 (ja) 土留壁構造、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
JP5934033B2 (ja) 圧縮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1963701B1 (ko) 관 갱생 공법
KR101628049B1 (ko)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18109433A (ja) 管更生工法
KR102673457B1 (ko)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KR200436405Y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서포트 체결구조
JP5753553B2 (ja) 擁壁の補修又は補強工法
KR20220121700A (ko)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JP2019090220A (ja) ブロック組立式砂防ダム
JP620901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2128816B1 (ko) Pcm 충전형 조립식 합성 바닥의 구조
JP7123782B2 (ja) 地中連続壁の継手構造
JP6960116B2 (ja) コンクリート体の修復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体の連結構造
JP6460810B2 (ja) 鉄骨柱と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