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766A - 관 갱생 공법 - Google Patents

관 갱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766A
KR20170009766A KR1020160088623A KR20160088623A KR20170009766A KR 20170009766 A KR20170009766 A KR 20170009766A KR 1020160088623 A KR1020160088623 A KR 1020160088623A KR 20160088623 A KR20160088623 A KR 20160088623A KR 20170009766 A KR20170009766 A KR 2017000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tube
pipe
holding member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371B1 (ko
Inventor
카미야마 타카오
하세가와 타케시
이시다 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0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lengths of rigid pipe being ins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made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fluid being introduced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가 낙하하거나 혹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게 한다.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하기 전, 혹은 그 후에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50)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를 사용하여 세그먼트의 내부판(107)에 장착한다. 스페이서에 의해 갱생관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한다. 스페이서는 유지 부재(60)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갱생 공사 중에 스페이서가 낙하하거나 혹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는 없다.

Description

관 갱생 공법{PIPE REHABILITATION METHOD}
본 발명은,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측판 및 단판을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 및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는 관 갱생 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 등의 대구경 기설관이 노후화된 경우, 기설관을 지중으로부터 파내지 않고, 그 내주면에 라이닝을 설치하여 관로를 보수하는 보수 공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공법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하고, 그 관 유닛을 연결 부재를 통해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고 관로 내에 갱생관을 조립하고 있다.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한 후,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고 경화시켜 복합관이 구축된다.
이와 같은 공법으로,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할 때, 갱생관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비중이 충전재보다 작아, 충전재 상에 떠올라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갱생관을 소정 길이(예를 들어 1 m 정도) 조립할 때마다,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스페이서를 삽입하고, 갱생관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갱생관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고 충전재를 주입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65070호
스페이서는,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밀어넣어 떠받친 상태로 하여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면, 스페이서가 낙하하거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여, 갱생관의 위치 조정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스페이서를 각처에 적정하게 설치하는 것은 작업 공정수를 증가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가 낙하하거나 혹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기설관의 갱생을 실시할 수 있는 관 갱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과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하고 기설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하는 공정과,
상기 관 유닛을 조립하기 전, 혹은 관 유닛을 조립한 후에,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삽입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세그먼트에 장착하는 공정과,
관 유닛을 소정 길이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때마다, 상기 스페이서를 장착한 세그먼트의 관 유닛을 연결이 완료된 관 유닛에 연결하는 공정과,
상기 각 스페이서에 의해 갱생관을 기설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공정과,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부설한 후,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통해 세그먼트에 장착되기 때문에, 갱생 공사 중에 스페이서가 낙하하거나 혹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어, 갱생관이 기설관에 대하여 적절히 위치 결정되고,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충전재를 확실하게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갱생관의 조립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기설관 내에 조립된 갱생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갱생관의 외주와 기설관의 내벽면의 간극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1 쐐기 형상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2 쐐기 형상 부재의 하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갱생관의 외주와 기설관의 내벽면의 간극을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사시도, (b)는 그 상면도, (c)는 그 정면도, (d)는 그 저면도, (e)는 그 측면도이다.
도 10은 스페이서를 세그먼트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세그먼트에 장착된 스페이서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세그먼트에 장착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스페이서에 의해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 상수관, 터널, 혹은 농업용 수로 등의 대구경의 기설관을 갱생 혹은 수복하는 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갱생관은, 관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서 설명되지만, 사각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의 갱생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단면 형상이 관으로서 폐쇄된 형상이 아니라, 예를 들어 편자형이나 반원형, 凹 자형 등 한쪽이 개방된 형상인 경우에도 관으로 간주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도 1에는, 갱생관용 세그먼트(1)(이하, 간단히 세그먼트라고 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세그먼트(1)는, 갱생관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101)과, 그 내면판(10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동일 형상의 측판(102, 103)과, 내면판(101)의 관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동일 형상의 단판(104, 105)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된 일체 성형의 블록형 부재이다.
세그먼트(1)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를 복수 등분하는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 등분하는 60 도의 원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세그먼트는 원호형 내지 부채꼴에 한정되지 않고, 기설관의 단면 형상, 혹은 그 크기, 혹은 기설관의 보수 지점에 따라, 직육면체 혹은 직각으로 둥그스름하게 접어 구부린 형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내면판(101)의 상면에는 세그먼트(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측판(102, 103)의 내측에, 측판과 동일한 형상의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내부판(106, 107)이 측판(102, 103)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세워 설치된다. 측판(102, 103), 내부판(106, 107)의 관길이 방향 판두께는 각각 동일하게 되어 있다.
측판(102, 103)에는, 세그먼트(1)를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볼트로서 구성된 연결 부재(11) 및 너트(12)(도 3)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 통과 구멍(102a, 103a)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내부판(106)에도, 연결 부재(11)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 통과 구멍(106a)이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내부판(107)에는, 연결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절결(107a)이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이들 삽입 통과 구멍(102a), 삽입 통과 구멍(103a), 삽입 통과 구멍(106a), 및 절결(107a)은, 각각 둘레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단판(104, 105)은, 측판(102)과 측판(103)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 단판(104, 105)에는, 세그먼트(1)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볼트 등의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 통과 구멍(104a, 105a)이 복수 형성된다.
내면판(101), 측판(102, 103), 단판(104, 105), 내부판(106, 107)은, 모두 투명,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공지된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세그먼트는 그 단판(105)과 다른 세그먼트의 단판(104)을 맞닿게 하고, 볼트(6)와 너트(7)를 측판(102와 103)에 형성된 작업 구멍(102b, 103b)을 통해 삽입하고, 볼트(6), 너트(7)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둘레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도 3).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1 주분 연결시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링 형상의 관 유닛(10)을 조립할 수 있다. 관 유닛(10)은, 원관을 관길이 방향(X)으로 수직으로 소정 폭(D)으로 동그랗게 절단했을 때에 얻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경이 갱생해야 할 기설관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세그먼트는, 이 관 유닛(10)을, 직경 방향(R)을 따른 절단면으로 둘레 방향(C)으로 복수개로 분할(바람직하게는 등분)했을 때에 얻어지는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세그먼트(1)의 주요한 구조 부재인 내면판(101), 측판(102, 103), 단판(104, 105)이 도시되어 있고, 내부판(106, 107) 등의 보강 구조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 유닛(10)의 각 세그먼트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11)와 너트(12)를 사용하여 다른 관 유닛의 세그먼트와 연결되어, 관 유닛(10)이 순차적으로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세그먼트를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때에는, 세그먼트의 일방측의 측판에 복수의 금속제 너트(12)가 볼트(13)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너트(12)의 관길이 방향의 길이는, 측판(102)과 내부판(106)의 간격보다 길고, 측판(102)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다른 세그먼트의 측판(103)의 두께와 동등 혹은 그 이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부재(11)는, 일단에 너트(1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11a)가 형성되고, 타단에 플랜지(14a)를 갖는 헤드부(14)가 고정된 금속제의 볼트로서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그먼트(1b)에 세그먼트(1a)를 연결하는 경우, 세그먼트(1b)의 측판(102)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는 너트(12)를, 세그먼트(1a)의 측판(103)의 구멍(103a)에 통과시키고, 양세그먼트(1a, 1b)의 측판(103, 102)을 맞댄다. 계속해서, 연결 부재(11)를, 세그먼트(1a)의 측판(102)의 삽입 통과 구멍(102a), 내부판(106)의 삽입 통과 구멍(106a), 내부판(107)의 절결(107a)에 통과시키고, 나사부(11a)를 세그먼트(1b)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12)에 비틀어 넣는다. 이로써, 연결 부재(11)와 너트(12)가 연결된다. 그 후, 헤드부(14)의 플랜지(14a)가 세그먼트(1a)의 최좌단의 내부판(106)에 압접할 때까지 연결 부재(11)를 너트(12)에 비틀어 넣어, 양세그먼트(1a, 1b)를 볼트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다른 관 유닛의 세그먼트와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관 유닛을 관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그먼트(1)를 사용하여 기설관을 갱생하기 위해,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맨홀(20)을 통해 기설관(21) 내에 세그먼트(1)를 반입하고,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10)을 조립한다. 계속해서, 관 유닛(10)을,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연결 부재(11)와 너트(12)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21) 내에 갱생관(40)을 부설한다. 기설관(21)과 갱생관(40) 사이에는,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30)가 주입되고, 충전재(30)가 경화된 후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설관(21), 충전재(30), 갱생관(40)으로 이루어지는 복합관이 구축된다.
상기 서술한 갱생 공사에 있어서, 갱생관(40)이 기설관(21) 내에 부설된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그먼트(1)에 주입 구멍(41a)이 천공되고, 이 주입 구멍(41a)을 통해 주입 호스(41)를 사용하여 충전재(30)가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에 주입된다. 이 때, 갱생관(40)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에 스페이서(50)가 설치된다.
스페이서(50)는, 도 7의 (a)에 상면측을 나타내는 제1 쐐기 형상 부재(51)와 도 7의 (b)에 하면측을 나타내는 제2 쐐기 형상 부재(52)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겹쳐 구성된다. 또한, 스페이서(50)의 높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스페이서(50) 전체의 높이를 높게 하기 위해, 높이 상승 부재(53)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50)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고, 제1 쐐기 형상 부재(51)에는, 중앙부에 홈(51a)이 형성되고, 그 바닥부에는 다수의 이(51b)가 경사선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수 mm 정도의 짧은 소정 피치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홈(51a)과 양측의 측벽(51e, 51f) 사이에는 6개의 긴 구멍(51c)이 형성된다.
제2 쐐기 형상 부재(52)에는, 홈(51a)과 끼워 맞추는 볼록부(52a)와 그것에 계속되는 탄성 변형편(52b)이 형성된다. 탄성 변형편(52b)의 하면에는 복수(도 7의 (b)의 예에서는 2개)의 이(52c)가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이(51b)의 피치의 정수배의 큰 피치(예를 들어 10∼20 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51b와 52c)는, 각각 경사면과 수직면을 갖는 톱니 형상이며, 경사면끼리가 걸어 맞춰지면 이동할 수 있지만, 수직면이 걸어 맞춰지면 이동할 수 없게 되는, 이른바 일방향 클러치가 되는 치면(齒面)으로 되어 있다. 또, 볼록부(52a)와 양측의 측벽 사이에는, 긴 구멍(51c)과 위치가 맞는 6개의 긴 구멍(52d)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쐐기 형상 부재(51, 52)는 역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쐐기 형상 부재의 홈(51a)에 제2 쐐기 형상 부재(52)의 볼록부(52a)를 끼워 맞춰 겹치면, 도 8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저면(51d)과 상면(52e)은 평행이 된다.
또한 제2 쐐기 형상 부재(52)를 A 방향으로 밀면, 이(51b, 52c)는 경사면이 걸어 맞춰져 A 방향으로는 이동하지만, 역방향으로는 수직면이 걸어 맞춰져 이동이 저지된다. 그에 따라, 제2 쐐기 형상 부재(52)를 A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양부재의 높이를 H1∼H2와 같이 작은 피치로 단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편(52b)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그것을 들어 올리면, 이(51b와 52c)의 걸어맞춤이 빠지기 때문에, 제2 쐐기 형상 부재(52)를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50)의 설치 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면, 스페이서(50)가 낙하하거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여, 갱생관의 위치 조정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페이서 유지 부재(60)가 설치된다. 도 9에 있어서, (a)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사시도, (b)는 그 상면도, (c)는 그 정면도, (d)는 그 저면도, (e)는 그 측면도이다.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는 직육면체 형상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부재로, 관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평면(60a, 60b)을 갖고, 그 하방에서 중앙부에 폭 t1의 홈(60c)이 둘레 방향(좌우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홈(60c)의 폭(t1)은, 세그먼트(1)의 측판(102, 103), 내부판(106, 107)의 각 판두께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c)에, 예를 들어 내부판(107)을 압입함으로써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를 내부판(107)에 장착할 수 있다. 압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압입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는, 폭 t2의 홈(60d, 60e)이 형성된다. 홈(60d, 60e)의 폭(t2)은, 제1 쐐기 형상 부재의 측벽(51e, 51f)의 벽두께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고,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d, 60e)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t3)는, 스페이서(50)의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가로폭에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 제1 쐐기 형상 부재(51)는, 도 12,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d, 60e) 내에 압입할 수 있다. 압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홈(60d, 60e)의 압입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관 유닛(10)을 조립할 때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를, 예를 들어 세그먼트의 내부판(107)에 장착한다. 이 장착은,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c)에 세그먼트의 내부판(107)을 압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내부판(107)은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했을 때 그 만곡면(107b)은 홈(60c)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는, 스페이서(50)의 설치수에 따라 내부판(107)에 복수개 장착한다. 또한,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는, 다른쪽의 내부판(107), 내부판(106) 혹은 측판(102)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를 내부판(107)에 장착한 후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0)의 제1 쐐기 형상 부재(51)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유지한다. 이 유지는,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측벽(51e, 51f)을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의 홈(60d, 60e) 내에 압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세그먼트에 대한 장착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51g)가 내부판(106)의 외측면과 걸어 맞춰지도록 실시된다.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대한 유지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하기 전에, 혹은 관 유닛을 조립한 후에 실시된다. 관 유닛을 소정 길이(예를 들어 1 m 정도) 연결할 때마다, 상기 서술한 제1 쐐기 형상 부재(51)와 스페이서 유지 부재(60)를 장착한 관 유닛(10)을, 제1 쐐기 형상 부재(51)가 상방의 위치에 오도록 연결한다. 이 상태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쐐기 형상 부재(52)의 볼록부(52a)를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홈(51a)에 끼워 맞추고, 제2 쐐기 형상 부재(52)를 A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스페이서(50)의 높이가 증대되고, 제2 쐐기 형상 부재(52)의 상면(52e)이 기설관(21)의 내면에 가압되고, 그 반력에 의해 갱생관(40)이 하방으로 가압되어 기설관(21)의 바닥부에 맞닿아 갱생관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갱생관의 위치 조정은, 관 유닛을 소정 길이(예를 들어 1 m 정도) 연결할 때마다 실시되고, 갱생관(40)이 기설관(21)의 갱생해야 할 전체 길이에 걸쳐 부설된 후에는, 모든 관 유닛(10)이 기설관(21)의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직접 유지되는 것은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이지만, 제2 쐐기 형상 부재(52)가 제1 쐐기 형상 부재(51)로부터 벗어나 낙하하지 않도록, 제2 쐐기 형상 부재(52)의 볼록부(52a)를 제1 쐐기 형상 부재(51)의 홈(51a)에 끼워 맞출 수 있는 경우에는, 제1 쐐기 형상 부재(51)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장착한 후, 양부재(51, 52)를 끼워 맞춰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60)에 유지되는 스페이서는 스페이서의 일부(제1 쐐기 형상 부재(51)) 혹은 전체(제1 쐐기 형상 부재(51)와 제2 쐐기 형상 부재(52))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모든 관 유닛(10)을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갱생관(40)이 기설관(21)의 갱생해야 할 전체 길이에 걸쳐 부설된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그먼트(1)에 주입 구멍(41a)이 천공되고, 이 주입 구멍(41a)을 통해 주입 호스(41)를 사용하여 충전재(30)가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갱생관(40)은 스페이서(5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기설관(21)의 바닥부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갱생관(40)은, 주입된 충전재(30) 상에 떠오르지 않고, 기설관(21) 내에 적절히 위치 결정되어 있고, 충전재(30)가 경화된 후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설관(21), 충전재(30), 갱생관(40)으로 이루어지는 견고한 복합관이 구축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세그먼트에 장착하고 나서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에 장착했지만,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에 장착한 후, 스페이서를 장착한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세그먼트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는,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통해 세그먼트에 장착되기 때문에, 갱생 공사 중에 스페이서가 낙하하거나 혹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어, 갱생관이 기설관에 대하여 적절히 위치 결정되고,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충전재를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1 : 세그먼트
10 : 관 유닛
21 : 기설관
30 : 충전재
40 : 갱생관
50 : 스페이서
51 : 제1 쐐기 형상 부재
52 : 제2 쐐기 형상 부재
60 : 스페이서 유지 부재

Claims (6)

  1.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과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하고 기설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하는 공정과,
    상기 관 유닛을 조립하기 전, 혹은 관 유닛을 조립한 후에,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에 삽입되는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세그먼트에 장착하는 공정과,
    관 유닛을 소정 길이 관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때마다, 상기 스페이서를 장착한 세그먼트의 관 유닛을 연결 완료된 관 유닛에 연결하는 공정과,
    상기 각 스페이서에 의해 갱생관을 기설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공정과,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부설한 후, 갱생관과 기설관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세그먼트에 장착하고 나서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스페이서 유지 부재에 유지한 후, 스페이서를 유지한 스페이서 유지 부재를 세그먼트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세워 설치된 측판과, 측판의 내측에서 내면판의 상면에 세워 설치된 내부판을 복수 갖고, 상기 스페이서 유지 부재는 내부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유지 부재는, 내부판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부판의 판두께와 동일한 폭의 홈을 갖고, 그 홈 내에 내부판을 압입함으로써 세그먼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관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양측에 갖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 유지 부재는, 그 측벽과 동일한 두께의 홈을 양측에 갖고, 그 양측의 홈 내에 스페이서의 측벽을 압입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스페이서 유지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KR1020160088623A 2015-07-17 2016-07-13 관 갱생 공법 KR101721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3259A JP6555957B2 (ja) 2015-07-17 2015-07-17 管更生工法
JPJP-P-2015-143259 2015-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766A true KR20170009766A (ko) 2017-01-25
KR101721371B1 KR101721371B1 (ko) 2017-03-29

Family

ID=5657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623A KR101721371B1 (ko) 2015-07-17 2016-07-13 관 갱생 공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90892B2 (ko)
EP (1) EP3118506B1 (ko)
JP (1) JP6555957B2 (ko)
KR (1) KR101721371B1 (ko)
CN (1) CN106352196A (ko)
SG (1) SG10201605645RA (ko)
TW (1) TWI6767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433A (ja) * 2017-01-05 2018-07-1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管更生工法
KR101876773B1 (ko) * 2017-07-31 2018-07-11 주식회사 씨스 이엔지 관 갱생 공법
JP7260185B2 (ja) * 2018-03-05 2023-04-18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管更生工法
KR101963701B1 (ko) 2018-04-02 2019-03-29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관 갱생 공법
JP6858386B1 (ja) * 2020-08-12 2021-04-14 日本ノーディッグ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更生管の変形防止装置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US11808003B2 (en) * 2021-02-01 2023-11-07 Hydro-Klean, Llc Method of rehabilitating a manho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742A (ja) * 1994-03-28 1995-10-20 Toa Gurauto Kogyo Kk 既設管渠の更生工法及びこの更生工法に使用する更生管支保材
US5928447A (en) * 1997-04-03 1999-07-27 Gianfrancisco; Thomas Conduit repair and interior reconstruction
JP2003286742A (ja) * 2002-01-23 2003-10-10 Shonan Plastic Mfg Co Ltd 流路施設修復用ブロック体及び流路施設修復工法
KR20050093711A (ko) * 2004-03-19 2005-09-23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갱생관의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이 스페이서를 사용한갱생관의 위치 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842A (en) * 1912-11-18 1913-10-14 George W Mccutchen Pipe-plug.
US3585270A (en) * 1968-07-31 1971-06-15 John George Trump Gas-insulated transmission line
US4295501A (en) * 1979-07-11 1981-10-20 Tolliver Wilbur E Spacer bar and related method for concrete pipe manufacture
CA2435831A1 (en) * 2002-07-24 2004-01-24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JP2005299711A (ja) * 2004-04-07 2005-10-27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及びその敷設方法
JP2005308100A (ja) * 2004-04-22 2005-11-04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の敷設方法
US7451783B2 (en) * 2004-04-23 2008-11-18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US7278613B2 (en) * 2004-12-20 2007-10-09 Roy David E Pipeline skid and a skid system for use in pipeline construction
CN101742871B (zh) * 2008-11-06 2012-05-0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框架结构、脚座及应用该框架结构与该脚座的显示装置
JP6116848B2 (ja) * 2012-10-04 2017-04-19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用セグメントおよび管更生工法
CN202769212U (zh) * 2012-06-26 2013-03-06 张进德 一种电子产品安放底座
CN104514949A (zh) * 2013-09-30 2015-04-15 西安思能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器底座
JP6497957B2 (ja) * 2015-02-12 2019-04-10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742A (ja) * 1994-03-28 1995-10-20 Toa Gurauto Kogyo Kk 既設管渠の更生工法及びこの更生工法に使用する更生管支保材
US5928447A (en) * 1997-04-03 1999-07-27 Gianfrancisco; Thomas Conduit repair and interior reconstruction
JP2003286742A (ja) * 2002-01-23 2003-10-10 Shonan Plastic Mfg Co Ltd 流路施設修復用ブロック体及び流路施設修復工法
KR20050093711A (ko) * 2004-03-19 2005-09-23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갱생관의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이 스페이서를 사용한갱생관의 위치 조정 방법
JP2005265070A (ja) 2004-03-19 2005-09-29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8506B1 (en) 2018-11-28
JP6555957B2 (ja) 2019-08-07
US20170016568A1 (en) 2017-01-19
KR101721371B1 (ko) 2017-03-29
US9890892B2 (en) 2018-02-13
JP2017025976A (ja) 2017-02-02
EP3118506A1 (en) 2017-01-18
SG10201605645RA (en) 2017-02-27
TW201704672A (zh) 2017-02-01
CN106352196A (zh) 2017-01-25
TWI676760B (zh)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371B1 (ko) 관 갱생 공법
KR101799688B1 (ko) 관 갱생 공법
JP6529298B2 (ja)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US20050238437A1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existing pipe
US9746121B2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KR101876773B1 (ko) 관 갱생 공법
US11226060B2 (en) Pipe rehabilitation method
KR101963701B1 (ko) 관 갱생 공법
KR102156384B1 (ko) 무용접 조립식 앙카베이스 시스템
US20220268388A1 (en) Spac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on pipe and position adjusting method using such
KR102673457B1 (ko)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KR20140109268A (ko) 관 갱생공법
JP2018109433A (ja) 管更生工法
KR20200128034A (ko) 갱생관의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관 갱생 공법
US20240035608A1 (en) Pipe rehabilitation construction method
EP2886752B1 (en) Wind turbine comprising a tower fitted with a plurality of voussoirs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id wind turbine
KR101336872B1 (ko) 파일압입틀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공법
JP2018048448A (ja) 標識等の修繕方法及び接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