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688B1 - 관 갱생 공법 - Google Patents

관 갱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688B1
KR101799688B1 KR1020160093551A KR20160093551A KR101799688B1 KR 101799688 B1 KR101799688 B1 KR 101799688B1 KR 1020160093551 A KR1020160093551 A KR 1020160093551A KR 20160093551 A KR20160093551 A KR 20160093551A KR 101799688 B1 KR101799688 B1 KR 10179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nnecting bolt
segment
pi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미야마 타카오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주식회사 씨스 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주식회사 씨스 이엔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lengths of rigid pipe being ins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 F16B9/0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과제] 세그먼트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세그먼트(1)가, 둘레 방향으로 연결되어 관 유닛(10)이 조립되고, 관 유닛의 세그먼트가 연결 볼트(11)를 사용하여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기설관 내에 갱생관이 조립된다. 연결 볼트에, 노치부(50d)가 있는 원통 형상의 공동부(50e)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클립(11)이 장착된다. 클립은 탄성 변형에 의해 확대된 공동부에 의해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고, 연결 볼트가 삽입통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둔 클립이 내부판(106)에 닿아 연결 볼트의 역방향 이동이 제한되어, 연결 볼트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관 갱생 공법{METHOD FOR REHABILITATING A PIPE}
본 발명은,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가장자리에 세워져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을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 및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는 관 갱생 공법에 관한 것이다.
땅속에 매설된 하수관 등의 관로가 노후화된 경우, 그 관로를 땅속으로부터 파내지 않고, 그 내주면에 라이닝을 실시해 관로를 보수하는 관라이닝 공법이 제안되어, 이미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대구경의 관로를 갱생하는 경우에는,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내면판의 둘레가장자리에 세워져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을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세그먼트가 사용된다. 세그먼트는 둘레 방향으로 연결되어 관 유닛이 조립되고, 그 관 유닛이 연결 볼트를 개재하여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기설관 내에 갱생관이 조립된다.
관 유닛의 관 길이 방향으로의 연결은, 연결 볼트를 세그먼트의 측판에 형성된 삽입통과 구멍을 통해 다른 세그먼트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경우,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 볼트를 세그먼트에 가고정하는 것이 하기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4-16971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가고정 부재는, 중앙부에 연결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시트 부재이고, 개구부와 연결 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에 의해 연결 볼트가 가고정되므로,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없어, 세그먼트의 관 길이 방향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그먼트의 관 길이 방향으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 갱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양측에 세워져 설치된 측판과, 내면판의 양 끝에 세워져 설치된 끝판과, 측판의 내측에서 내면판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된 내부판을 복수 갖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해 기설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세그먼트의 내부판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너트를 고정하는 공정과,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볼트를 세그먼트의 측판 및 내부판에 형성된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시키는 공정과,
상기 연결 볼트에, 노치부가 있는 원통 형상의 공동부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클립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너트가 고정된 세그먼트와 연결 볼트가 삽입통과된 세그먼트를 위치 맞춤해 연결 볼트를 너트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양 세그먼트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클립은 탄성 변형에 의해 확대된 공동부에서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고, 연결 볼트가 삽입통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둔 클립이 내부판에 닿아 연결 볼트의 역방향 이동이 제한되어,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공동부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클립으로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고, 클립을 연결 볼트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클립과 연결 볼트 사이에는, 클립의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는 힘이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작용해, 클립을 확실하게 연결 볼트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연결 볼트가 중력에 의해 삽입통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클립과 연결 볼트 사이에는, 클립의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는 강한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연결 볼트는 클립이 내부판에 닿은 단계에서 그 이동이 제한되어, 연결 볼트가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갱생관의 조립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해 관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연결 볼트를 사용하여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클립의 상면, 정면,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클립을 연결 볼트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클립을 연결 볼트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클립을 연결 볼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클립을 2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클립의 상면도, 그 상면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및 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클립을 연결 볼트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에 나타내는 클립을 연결 볼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1은 관 유닛을 조립해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부설하는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 상수관, 터널, 혹은 농업용 수로 등의 대구경의 기설관을 갱생 혹은 수복하는 데에 적합하다. 실시예에서는, 갱생관은 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斷面) 형상이 원형으로서 설명되지만, 사각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의 갱생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단면 형상이 관으로서 폐쇄된 형상이 아니고, 예를 들어 편자형이나 반원형, 오목형 등 편측이 개방된 형상인 경우에도 관이라고 간주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관 길이 방향이란 도 2에서 관 유닛(10)의 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을, 둘레 방향이란 관 유닛(10)의 원의 둘레 방향을 말한다.
도 1에는, 갱생관용 세그먼트(1)(이하, 간단히 세그먼트라고 한다)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세그먼트(1)는, 갱생관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101)과, 그 내면판(10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동일한 판두께의 측판(102, 103)과, 내면판(101)의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끝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끝판(104, 105)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된 일체 성형의 블록 형상 부재이다.
내면판(101)의 상면에는 세그먼트(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측판(102, 103)의 내측에, 측판(102, 103)과 동일한 판두께 및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내부판(106, 107)이 측판(102, 103)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세그먼트(1)는, 원둘레를 복수 등분하는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등분하는 60도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기설관의 단면 형상, 혹은 그 크기, 혹은 기설관의 보수 지점에 따라 직방체 혹은 직각으로 둥글게 절곡시킨 형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측판(102, 103)에는, 세그먼트(1)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 볼트(11) 및 너트(12)(도 3, 도 4)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통과 구멍(102a, 103a)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내부판(106)에도, 연결 볼트(11)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통과 구멍(106a)이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내부판(107)에는, 연결 볼트를 삽입할 수 있어 삽입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노치(107a)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이들 삽입통과 구멍(102a, 103a, 106a), 및 노치(107a)는, 각각 둘레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끝판(104, 105)은, 측판(102)과 측판(103)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고, 끝판(104, 105)에는, 세그먼트(1)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볼트 등의 연결 볼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통과 구멍(104a, 105a)이 복수 형성된다.
세그먼트(1)는 그 끝판(105)과 다른 세그먼트의 끝판(104)을 접촉시키고, 볼트(6)와 너트(7)(도 3)를 측판(102와 103)에 형성된 작업 구멍(102b, 103b)(도 1)을 통하여 삽입하고, 볼트(6)와 너트(7)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둘레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세그먼트를 순차 둘레 방향으로 1둘레분 연결시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관 길이 방향(X)에 수직으로 소정 폭(D)을 갖는 링 형상의 관 유닛(10)을 조립할 수 있다. 관 유닛(10)은, 그 외경이 갱생해야 하는 기설관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세그먼트(1)의 주요한 구조 부재인 내면판(101), 측판(102, 103), 끝판(104, 105)이 도시되어 있고, 내부판(106, 107) 등의 보강 구조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 유닛(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도 3에 있어서, 관 유닛의 세그먼트(1a, 1b, 1c) 의 내부판(106)에는, 복수의 금속제 너트(12)가 볼트(13)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너트(12)의 관 길이 방향의 길이는, 측판(102)과 내부판(106)의 간격보다 길고, 측판(102)으로부터 돌출되어 세그먼트 타방의 측판(103)의 두께와 동등 혹은 그 이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볼트(11)는, 일단에 너트(1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11a)가 형성되고, 타단에 플랜지(14a)를 갖는 머리부(14)가 고정된 원기둥 형상의 가늘고 긴 볼트이다.
도 3에는, 세그먼트(1c와 1b)는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세그먼트(1b)에 세그먼트(1a)를 연결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세그먼트(1a)를 세그먼트(1b)에 연결하는 경우, 세그먼트(1b)의 측판(10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너트(12)를, 세그먼트(1a)의 측판(103)의 구멍(103a)에 통과시켜, 양 세그먼트(1a, 1b)의 측판(103, 102)을 맞댄다.
계속해서, 연결 볼트(11)를, 세그먼트(1a)의 측판(102)의 삽입통과 구멍(102a), 내부판(106)의 삽입통과 구멍(106a), 내부판(107)의 노치(107a)에 통과시키고, 나사부(11a)를 세그먼트(1b)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12)에 비틀어 박는다. 이것에 의해, 연결 볼트(11)와 너트(12)가 연결된다. 그 후, 머리부(14)의 플랜지(14a)가 세그먼트(1a)의 가장 좌측 끝의 내부판(106)에 압접할 때까지 연결 볼트(11)를 너트(12)에 비틀어 박아, 양 세그먼트(1a, 1b)를 볼트 체결해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이미 연결되어 있는 다른 관 유닛의 세그먼트와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관 유닛을 관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다.
관 유닛을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때,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관 유닛을 구성하는 세그먼트에 미리 연결 볼트를 삽입통과시켜 두고, 이 연결 볼트가 삽입통과된 관 유닛을, 이미 연결되어 있는 관 유닛에 연결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 경우 삽입통과된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볼트의 삽입통과 방향과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해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빠짐 방지 부재로서의 클립이 도 4에 부호 50으로 도시되어 있다. 클립(50)은, 관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폭 t1을 갖는 아암부(50a, 50b)를, 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폭 t1을 갖거나 혹은 단차 또는 경사가 있는 원호 형상의 브리지부(50c)에 의해 일체로 결합한 것이다. 아암부(50a, 50b)의 하방부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아암부(50a, 50b), 브리지부(50c)의 내측면은 노치부(50d)가 있는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공동부(50e)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공동부(50e)의 내경(d1)은, 연결 볼트(11)의 외경과 동일 직경이거나 그것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 클립(50) 일방의 아암부(50b)는 상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0f)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50f)의 둘레 방향의 폭 t4는 아암부(50a, 50b)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 즉 클립(50)의 둘레 방향의 폭 t2보다 작고, 절곡부(50f)와 아암부(50a)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된다. 이 절곡부에 의해 아암부 상부의 내측으로의 이동량이 공극에 따른 길이로 제한된다. 클립(50)의 높이 t3은, 세그먼트의 측판(102, 103), 내부판(106, 107)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절곡부는, 일방의 아암부(50b)뿐만 아니라, 타방의 아암부(50a)에도 형성할 수 있다.
아암부(50a, 50b), 브리지부(50c)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혹은 일부의 열경화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고, 클립(50)은, 관 길이 방향의 안길이가 t1, 둘레 방향의 폭이 t2, 높이가 t3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t1은 공동부(50e)의 내경(d1)과 거의 동일하게, t2는 t1의 2∼3배로, 또 t3은 t1의 약 3배의 값으로 설정된다.
클립(50)은 브리지부(50c)가 아암부(50a, 50b)보다 두께가 동등하거나 혹은 얇고, 예를 들어 아암부(50a, 50b)의 상부에 손 혹은 공구로 외력을 내측을 향해 가하면, 도 5의 중앙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리지부(50c)는 노치부(50d), 공동부(50e)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해, 연결 볼트(11)를 확대된 공동부(50e) 내로 압입할 수 있게 된다.
아암부(50a, 50b)의 상부에 외력을 가하면서, 추가로 클립(50)을 하방으로 눌러 내리면, 도 5의 하방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볼트(11)가 클립(50)의 노치부(50d)를 통하여 공동부(50e)에 압입된다. 이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브리지부(50c)는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고 하므로, 클립(50)은 그 공동부(50e)에서 연결 볼트(11)를 소정의 힘으로 사이에 두어, 클립(50)이 연결 볼트(11)에 장착된다.
클립(50)의 연결 볼트(11)를 사이에 두는 협지력은, 연결 볼트(11)에 중력이 작용해 연결 볼트(11)가 그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해, 연결 볼트(11)에 장착된 클립(50)이 어느 내부판에 닿은 경우에는, 클립(50)은 연결 볼트(11)에 대해서는 이동하지 않고, 한편 너트(12)와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서 연결 볼트(11)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해 클립(50)이 내부판에 닿은 경우에는, 연결 볼트(11)가 클립(50)에 대해 이동하도록 정해진다.
도 6, 도 7(a), (b)에는, 연결 볼트(11)를 클립(50)으로 사이에 두고, 클립(50)을 연결 볼트(11)에 장착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연결 볼트(11)가 모든 내부판(106, 107)에 삽입통과되었을 때, 예를 들어 최초의 내부판(106과 107) 사이에 있어서 클립(50)을 연결 볼트(11)에 장착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50)의 상부에 손 혹은 공구로 외력을 내측을 향해 가해, 탄성 변형에 의해 노치부(50d), 공동부(50e)를 확대해 연결 볼트(11)를 공동부(50e)에 압입한다. 이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클립(50)은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고 하므로, 클립(50)은 공동부(50e)에서 연결 볼트(11)를 소정의 힘으로 사이에 두고, 클립(50)이 연결 볼트(11)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1)를 기울여 연결 볼트(11)에 도 7(a), (b)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면, 연결 볼트(11)가 삽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해 클립(50)이 내부판(106)에 닿는다. 이때, 클립(50)은 그 연결 볼트(11)를 사이에 두는 힘에 의해 연결 볼트(11)에 대해서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연결 볼트(11)의 역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 볼트(11)에 중력이 작용해도 연결 볼트(11)는 세그먼트(1)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한편, 연결 볼트(11)를 너트(12)에 나사 결합시켜 세그먼트(1)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 볼트(11)에 점선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작용해 연결 볼트(11)는 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해 클립(50)이 내부판(107)에 닿는다. 그러나, 클립(50)이 내부판(107)에 닿아 정지해도, 연결 볼트(11)는 클립(50)의 연결 볼트(11)를 사이에 두는 힘에 저항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연결 볼트(11)를 소정의 힘으로 계속 누름으로써 연결 볼트(11)를 내부판(106)에 고정된 너트(12)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맨홀(20)을 통하여 세그먼트(1)를 반입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맨홀(20) 내에서 세그먼트(1)를 둘레 방향으로 순차 연결해 관 유닛(10)을 조립한다. 또한, 세그먼트(1)를 맨홀(20)에 반입하기 전, 혹은 그 후에 세그먼트(1)의 내부판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너트(12)를 고정해 둔다.
계속해서, 관 유닛(10)을 연결 볼트(11)를 사용하여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 연결 시에, 도 7(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볼트(11)를 세그먼트의 측판(102), 내부판(106)의 삽입통과 구멍(102a, 106a), 및 내부판(107)의 노치(107a)에 삽입통과시켜 두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50)의 공동부(50e)에서 내부판(106, 107) 사이의 연결 볼트(11)를 사이에 두고, 클립(50)을 연결 볼트(11)에 장착하여, 연결 볼트(11)가 세그먼트(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연결 볼트(11)의 세그먼트로의 삽입통과 및 클립(50)의 연결 볼트(11)에의 장착은, 세그먼트(1)가 맨홀에 반입되기 전, 혹은 맨홀(20) 내에서 관 유닛(10)을 조립하기 전에 행한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1)를 제조한 후, 연결 볼트(11)를 세그먼트(1)의 삽입통과 구멍(102a, 106a) 등에 삽입통과시키고, 클립(50)을 장착하여 세그먼트(1)를 수납 상자에 수납해 두고, 현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때, 세그먼트(1)를 수납 상자에 수납하는 작업 중, 혹은 현장으로의 반송 중에 연결 볼트(11)가 세그먼트(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그먼트의 연결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볼트(11)가 삽입통과된 세그먼트와 너트(12)가 고정된 세그먼트의 위치 맞춤을 행하고 연결 볼트(11)를 너트(1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양 세그먼트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다. 연결 볼트(11)를 너트(12)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서 연결 볼트(11)를 관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클립(50)이 내부판(107)에 닿았다고 해도 연결 볼트(11)는 클립(50)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연결 볼트(11)의 너트(12)에의 나사 결합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관 유닛(11)을 순차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 기설관(21) 내에 갱생관(40)을 부설한 후,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에 그라우트재 등의 충전재(도시 생략)를 충전하고, 충전재를 고화시킨다. 이 고화에 의해 기설관, 충전재 및 갱생관으로 이루어지는 복합관을 구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공동부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입체 형상의 클립으로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고, 클립을 연결 볼트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클립과 연결 볼트 사이에는, 클립의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는 힘이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작용해, 클립을 확실하게 연결 볼트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연결 볼트가 세그먼트로부터 빠지려고 하는 경우, 클립과 연결 볼트 사이에는, 클립의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는 강한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연결 볼트는 클립이 내부판에 닿은 단계에서 그 이동이 제한되어, 연결 볼트가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50)은, 관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최초의 내부판(106, 107) 사이에서 연결 볼트(11)에 장착되어 있지만, 내부판(107, 107) 사이 혹은 후의 내부판(107, 106) 사이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클립을 더블로 해 연결 볼트에 장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가 도 8∼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클립(61)은 클립(50)과 동일 형상, 동일 재질이고, 그 아암부(61a, 61b), 브리지부(61c), 노치부(61d), 공동부(61e), 절곡부(61f)는, 클립(50)의 것과 동일 형상이다. 또, 클립(62)도 클립(50)과 동일 형상, 동일 재질이고, 그 아암부(62a, 62b), 브리지부(62c), 노치부(62d), 공동부(62e), 절곡부(62f)도 클립(50)의 것과 동일하다. 클립(61과 62)은, 내부판(107)의 판두께(d2)보다 두꺼운 두께 t5를 갖고 또한 내부판의 노치폭(d3)보다 작은 폭 t6을 갖는, 브리지부(61c, 62c) 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6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더블로 된 클립(61, 62)은, 도 9, 도 1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63)를 내부판(107)의 노치(107a)에 끼워맞춰 삽입하고, 공동부(61e, 62e)에서 연결 볼트(11)를 사이에 둠으로써 연결 볼트(1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클립을 더블로 하면, 클립의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는 힘이 거의 2배가 되면, 연결 볼트(11)의 이동량이 결합부(63)의 관 길이 방향의 판두께 t5와 내부판(107)의 판두께(d2)의 차의 대략 절반의 값으로 제한되어, 연결 볼트(11)를 내부판(107)에 가고정한 효과가 얻어지고, 연결 볼트(11)의 빠짐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를 갱생하는 공법뿐만 아니라, 실드 공법에 있어서 실드 후의 내부를 두르는 2차 복공을 실시하는 공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세그먼트
10 : 관 유닛
11 : 연결 볼트
12 : 너트
20 : 맨홀
21 : 기설관
40 : 갱생관
50, 61, 62 : 클립
101 : 내면판
102, 103 : 측판
104, 105 : 끝판
106, 107 : 내부판

Claims (6)

  1.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양측에 세워져 설치된 측판과, 내면판의 양 끝에 세워져 설치된 끝판과, 측판의 내측에서 내면판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된 내부판을 복수 갖는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해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해 기설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세그먼트의 내부판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너트를 고정하는 공정과,
    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볼트를 세그먼트의 측판 및 내부판에 형성된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시키는 공정과,
    상기 연결 볼트에, 노치부가 있는 원통 형상의 공동부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클립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너트가 고정된 세그먼트와 연결 볼트가 삽입통과된 세그먼트를 위치 맞춤해 연결 볼트를 너트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양 세그먼트를 관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클립은 탄성 변형에 의해 확대된 공동부에서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두고, 연결 볼트가 삽입통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연결 볼트를 사이에 둔 클립이 내부판에 닿아 연결 볼트의 역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내부판의 삽입통과 구멍은, 내부판에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립과 동일 형상의 클립의 2개의 클립을 내부판의 판두께보다 두꺼운 두께이고 내부판의 노치폭보다 작은 폭의 결합부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키고, 그 결합부를 내부판의 노치에 끼워맞춰 삽입함으로써, 클립이 연결 볼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2개의 아암부를 원호 형상의 브리지부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켜 구성되어 있고, 양 아암부의 하부가 내측으로 만곡되고, 양 아암부의 만곡된 내측면과 브리지부의 내측면에 의해 노치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공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형상의 브리지부는, 상기 2개의 아암부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아암부의 상부를 내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클립이 탄성 변형해 상기 공동부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일방 또는 타방의 아암부의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에 의해 아암부 상부의 내측으로의 이동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KR1020160093551A 2016-06-22 2016-07-22 관 갱생 공법 KR101799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3142A JP6755545B2 (ja) 2016-06-22 2016-06-22 管更生工法
JPJP-P-2016-123142 2016-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688B1 true KR101799688B1 (ko) 2017-11-20

Family

ID=6008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551A KR101799688B1 (ko) 2016-06-22 2016-07-22 관 갱생 공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7539B1 (ko)
JP (1) JP6755545B2 (ko)
KR (1) KR101799688B1 (ko)
CN (1) CN107524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069A (ko) * 2019-08-05 2021-02-17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 갱생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3861A (zh) * 2018-12-30 2019-03-08 江苏亚星波纹管有限公司 变形波纹管修复辅助工具
KR102088196B1 (ko) * 2019-07-24 2020-03-12 주식회사 씨스 이엔지 갱생관용 세그먼트의 연결 방법 및 연결구
CN110499807B (zh) * 2019-07-30 2021-05-25 陈先祥 水龙头组件的安装方法
JP7422064B2 (ja) 2020-12-23 2024-01-25 株式会社奥村組 六角形セグメント
WO2022219938A1 (ja) * 2021-04-13 2022-10-20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管更生工法
US11744412B2 (en) * 2021-10-07 2023-09-05 Deb Ip Limited Dispens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562Y1 (ko) * 2000-06-05 2000-11-01 한일튜브주식회사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JP3204790B2 (ja) * 1993-04-16 2001-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JP3204790U (ja) * 2016-04-05 2016-06-16 関西工業株式会社 留め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4172A (en) * 1947-11-26 1949-06-21 Tinnerman Products Inc Fastening device
JPH081088A (ja) 1994-06-20 1996-01-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防食鋼管
US5785456A (en) * 1996-09-11 1998-07-28 Danby Of North America Material and method for lining pipes
TWM360049U (en) * 2009-01-22 2009-07-01 zhuo-ying Chen Disposable safety syringe structure improvement
JP5457130B2 (ja) * 2009-06-03 2014-04-0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既設管の更生工法
JP5794845B2 (ja) * 2011-07-08 2015-10-14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更生工法
JP6017254B2 (ja) * 2012-10-10 2016-10-26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用セグメントおよび管更生工法
JP6144072B2 (ja) 2013-03-01 2017-06-07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管更生工法
CN103622459A (zh) * 2013-11-19 2014-03-12 毛立荣 一种整体式的简式夹子
CN204889961U (zh) * 2014-03-31 2015-12-23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将传感器装置保持在生物的身体部分处的一体成型夹子保持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4790B2 (ja) * 1993-04-16 2001-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KR200201562Y1 (ko) * 2000-06-05 2000-11-01 한일튜브주식회사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JP3204790U (ja) * 2016-04-05 2016-06-16 関西工業株式会社 留め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069A (ko) * 2019-08-05 2021-02-17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 갱생 공법
KR102632684B1 (ko) * 2019-08-05 2024-02-01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 갱생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27255A (ja) 2017-12-28
JP6755545B2 (ja) 2020-09-16
CN107524859A (zh) 2017-12-29
US9797539B1 (en)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688B1 (ko) 관 갱생 공법
RU2509253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уществующей трубы
KR101721371B1 (ko) 관 갱생 공법
KR102632684B1 (ko) 관 갱생 공법
KR101922945B1 (ko)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EP3056785B1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JP6576026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KR101879277B1 (ko) 지하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JP2005308010A (ja) 更生管用セグメント部材
JP5101937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JP2006233632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144072B2 (ja) 管更生工法
EP4137730A1 (en) Pipe rehabilitation construction method
WO2022107457A1 (ja) 管更生工法
JP2009108484A (ja) セグメントの連結方法
JP6747872B2 (ja) 既設管の止水方法および既設管の止水構造
JP6238154B2 (ja) 管路施設のケーブル敷設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耐震用固定具
TW202244415A (zh) 管的更生工法
JP5502433B2 (ja) コンクリート製の水路用材の止水用接合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の水路用材の接合方法
US11248733B2 (en) Method for linking segments for rehabilitation pipe and linking tool
CA2824492C (en) Tool and method for decoupling temporary pipes
JP2022083254A (ja) 剥離防止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管路の内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