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562Y1 -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562Y1
KR200201562Y1 KR2020000015952U KR20000015952U KR200201562Y1 KR 200201562 Y1 KR200201562 Y1 KR 200201562Y1 KR 2020000015952 U KR2020000015952 U KR 2020000015952U KR 20000015952 U KR20000015952 U KR 20000015952U KR 200201562 Y1 KR200201562 Y1 KR 200201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joint assembly
assembly
eye join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성화
Original Assignee
한일튜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튜브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튜브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5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5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71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engaging the bolt laterally, i.e. without the need to engage the end of the bolt
    • F16B37/087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engaging the bolt laterally, i.e. without the need to engage the end of the bolt in one piece, e.g. C-shaped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엔진의 연료파이프 및 오일파이프 연결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를 임시로 고정해 주기위한 수단인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엔진의 연료파이프 및 오일파이프를 각종 펌프 및 필터와 연결할 때에는 한쌍의 와셔와 아이조인트 및 아이볼트를 구비한 아이조인트 어셈블리를 사용한다. 그런데, 엔진의 조립라인이나 정비시에 4개의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부품을 각 각 조립하는 과정에서 와셔 등을 자주 떨어 뜨리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작업시간이 늘어 나게 되었고 작업공수도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이조인트 어셈블리를 임시로 고정해 주기위한 수단으로, 다리부와 이음부 및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을 개시함으로써, 엔진조립라인이나 정비시에 조립공수를 줄이고 작업능률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수 있는 효과를 가져왔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Clip for eye-joint sub assembly}
본 고안은 아이조인트 어셈블리의 임시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차량 엔진의 연료파이프 및 오일파이프 연결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를 임시로 고정해 주기위한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는 연료 및 오일과 냉각수 등의 순환계통이 있는데, 특히 연료와 오일은 높은 압력을 가지고 순환하므로 주로 동 등의 금속으로 된 파이프를 통해 유체를 수송하게 된다. 연료파이프나 오일파이프는 필터 및 펌프 등을 거쳐 순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이프와 필터 및 펌프를 연결해주는 수단으로는 대부분 아이조인트 어셈블리(Eye-joint assembly)가 사용된다.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 상부와셔(3a)와 하부와셔(3b)로 된 한 쌍의 와셔(3)와 아이조인트(2) 및 아이볼트(1)로 이루어지는데, 아이볼트(1)는 수나사부(1′)가 유체가 통과 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되어있고 아이조인트(2)의 파이프 구멍이 있는 부분과 대응하는 높이의 수나사부(1′) 부위에 구멍이 뚫려있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유체는 아이조인트(2) 및 아이볼트(1)를 거쳐 직각으로 유로를 변경하여 필터(4) 및 펌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 엔진의 연료파이프 및 오일파이프 연결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를 엔진에 조립하는 경우 사용되는 한쌍의 와셔(3)와 아이조인트(2) 및 아이볼트(1)를 엔진조립라인에서 하나 하나 삽입하여 엔진에 조립함으로써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작업중 와셔(3) 등을 떨어뜨리게 되는 등 작업능률이 상당히 저하되었다. 또한 엔진의 조립과정 뿐만아니라 차량의 고장으로 인한 엔진의 정비시에도 따로 따로 생산된 각 부품을 납품받아 일일이 조립해야만 했으며, 차량의 정비시에는 특히 엔진의 부품과 부품사이가 비좁아서 손으로 하나씩 일일이 조립할 시에는 차량의 엔진룸에 부품을 자주 떨어뜨리게 되어 능률이 저하됨은 물론이요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쌍의 와셔와 아이볼트 및 아이조인트로 구성된 아이조인트 어셈블리를 임시로 고정해 주는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은 아이볼트의 수나사부에 결합지지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가 결합홈 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결합홈 일측에 이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인입부가 연결 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인입부 반대측의 다리부에 연장형성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은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4개의 부품을 모두 조립한 후 하부 와셔의 바로 밑의 아이볼트 수나사부 나사골에 삽입함으로써 아이볼트 어셈블리를 고정시켜주게되며, 이렇게 고정된 아이볼트 어셈블리를 엔진조립라인이나 정비소에 통째로 공급해 주게 되면 엔진조립라인이나 정비시에는 별도의 조립없이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만을 해제한 후 아이볼트를 조여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공수를 줄이고 작업능률 향상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아이조인트 어셈블리와 연료필터의 연결 모습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의 생산 모재 컷팅라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과 아이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과 아이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다리부의 탄성변형 모습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립 20 : 다리부
21 : 인입부 22 : 걸림턱
23 : 결합홈 30 : 이음부
40 : 파지부 50 : 생산모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의 생산 모재 컷팅라인 평면도이며, 도 4및 도 5는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과 아이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다리부의 탄성변형 모습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서 크게 인입부(21) 및 결합홈(23)이 형성된 다리부(20)와 상기 인입부(21) 반대측의 다리부(20)에 연장형성되는 파지부(40)로 구성된다.
결합홈(23)은 아이볼트(1) 수나사부(1′)에 지지결합되는 원형의 홈으로 인입부(21)와 만나는 일측의 두 점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인입부(21)는 아이볼트(1) 수나사부(1′)를 결합홈(23)에 쉽게 인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홈(23)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입구쪽이 넓게 경사져 있다.
파지부(40)는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업자가 삽입 및 해제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절곡된 이음부(30)에 의해 상기 인입부(21) 반대측의 다리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10)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는, 다리부(20)에 효과적인 탄성변형·복원능력이 좋고 재활용의 가능하며 이음부(30)의 절곡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된 판재의 생산모재를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모습으로 연속가공함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10)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순서로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 4개의 부품을 모두 조립한 후 하부 와셔(3b)의 바로 밑에 있는 아이볼트(1) 수나사부(1′)의 나사골에 삽입함으로써 아이볼트 어셈블리(5)를 고정시켜주게 된다.
먼저, 작업자가 파지부(40)를 손가락으로 움켜쥐고 상기 다리부(20)의 일측면에 있는 인입부(21)를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 하부 와셔(3b) 바로 밑에 있는 아이볼트(1) 수나사부(1′)의 나사골에 대고 삽입하게 되면 아이볼트(1) 수나사부(1′)가 점점 좁아지는 인입부(21)를 따라 결합홈(23)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20)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아이볼트(1) 수나사부(1′)의 최대지름부가 상기 걸림턱(22)을 지날때를 정점으로 하여 벌어진 다리부(20)가 다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아이볼트 수나사부(1′)를 결합홈(23)으로 밀어넣게 되고, 아이볼트(1) 수나사부(1′)가 결합홈(23)에 완전히 수용된 후에는 걸림턱(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결합지지되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 전체가 하나의 고정된 조립체가 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해 하나의 고정된 조립체로된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는 엔진조립라인이나 정비소에 통째로 공급될 수 있으며, 엔진조립라인이나 정비소에서는 각 부품을 별도로 조립할 필요없이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만(10)을 해제하고 아이볼트(1)를 조여 체결하기만 하면 조립작업을 마칠 수가 있다.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에 삽입된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10)을 해제할때에는 조립해야할 위치의 암나사부에 아이볼트(1) 수나사부(1′)를 대향시킨후 아이볼트(1)를 약간만 조여 가체결한 다음, 작업자가 파지부(40)를 손에 움켜쥐고 잡아당기게 되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20)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서서히 해제되기 시작하고, 아이볼트(1) 수나사부(1′)의 최대지름부가 상기 걸림턱(22)을 지나게 되면 다리부(20)의 탄성복원력이 부가되어 빠른 속도로 인입부(21)를 지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게 된다. 이렇게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10)을 아이볼트(1) 수나사부(1′)로 부터 완전히 해제한 후 아이볼트(1)를 조여 체결하게 되면 모든 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상에서의 명백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아이조인트 어셈블리(5)를 임시로 고정시키고 엔진조립라인이나 정비시에는 별도의 조립없이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10)만을 해제한 후 아이볼트(1)를 조여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엔진조립라인이나 정비시에 조립공수를 줄이고 작업능률 향상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 엔진의 연료파이프 및 오일파이프 연결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를 임시로 고정해 주기위한 수단에 있어서,
    아이볼트(1)의 수나사부(1′)에 결합지지되는 결합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1′)가 결합홈(23)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결합홈(23) 일측에 이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인입부(21)가 연결 형성된 다리부(20)와, 상기 인입부(21) 반대측의 다리부(20)에 연장형성되는 파지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KR2020000015952U 2000-06-05 2000-06-05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KR200201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952U KR200201562Y1 (ko) 2000-06-05 2000-06-05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952U KR200201562Y1 (ko) 2000-06-05 2000-06-05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562Y1 true KR200201562Y1 (ko) 2000-11-01

Family

ID=1965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952U KR200201562Y1 (ko) 2000-06-05 2000-06-05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5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73B1 (ko) * 2005-12-26 2008-10-30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방진용 신축 이음구
KR101799688B1 (ko) * 2016-06-22 2017-11-20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 갱생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73B1 (ko) * 2005-12-26 2008-10-30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방진용 신축 이음구
KR101799688B1 (ko) * 2016-06-22 2017-11-20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 갱생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831A (en) Non threaded pipe connector system
CN101287942A (zh) 用于管连接件的止动组件
US20080277920A1 (en) Banjo Joint Gasket with Bolt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Assembly
RU2007107405A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GB2386657A (en) Means for locking a cap nut
KR200201562Y1 (ko) 차량용 아이조인트 어셈블리 임시 고정용 클립
CN101818839A (zh) 双半环连接器总成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US20030116965A1 (en) Pipe connection device
KR100191971B1 (ko)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CN218835713U (zh) 一种不锈钢管件及其拗弯夹具
JP6592757B2 (ja) 高圧用継手
KR100223111B1 (ko)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KR200280042Y1 (ko) 관접속용 커넥터
KR100686183B1 (ko) 원터치체결용 파이프연결모듈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KR200194963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TWI825611B (zh) 包含用於容納多種管尺寸之蝸輪的支撐管夾
CN210179106U (zh) 集成式接头连接卡箍
KR200210979Y1 (ko)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0318466Y1 (ko) 아치형 돌출헤드구조를 갖는 육각볼트
KR100518711B1 (ko) 파이프 클램프
KR19980048488U (ko) 클램프의 사용없이 연결 가능한 호스
US20020130518A1 (en) Sure-lock gasket coupling
KR200257855Y1 (ko) 체결밴드
KR0117942Y1 (ko) 유압배관용 분할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