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979Y1 -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 Google Patents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979Y1
KR200210979Y1 KR2020000024725U KR20000024725U KR200210979Y1 KR 200210979 Y1 KR200210979 Y1 KR 200210979Y1 KR 2020000024725 U KR2020000024725 U KR 2020000024725U KR 20000024725 U KR20000024725 U KR 20000024725U KR 200210979 Y1 KR200210979 Y1 KR 200210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nipple
sleeve
pressure hos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자
Original Assignee
강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자 filed Critical 강순자
Priority to KR2020000024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97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은 중공부를 갖는 슬리브의 내부에 내주면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체결링을 복수개 순차적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이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고, 고압호스가 니플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가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는 고압발생시 고압호스가 니플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부를 슬리브의 내측으로 절곡형성하며,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슬리브의 내측으로 절곡형성함으로써 고압발생시 니플에서 슬리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체결링이 슬리브의 내부에서 고압호스를 견고하게 잡아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Coupling of high pressure hose and nipple}
본 고안은 유공압장치에 연결되는 니플(NIPPLE)에 고압호스를 견고히 체결하기 위한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호스와 니플이 체결된 상태에서 고압발생시 고압호스가 니플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 또는 유공압장치에 사용되는 고압의 공압이나 유압 라인에는 고압호스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고압호스는 각종 유공압장치에 연결된 니플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고압호스와 니플의 연결부위를 커플링하기 위하여 다시 슬리브로 체결하여 공압이나 유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슬리브의 제조공정에서는 파이프상태 슬리브의 내주연에 걸림돌조 및 걸림턱을 절삭하는 가공작업이 공수가 많기 때문에 다량의 슬리브관을 제조하는데는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슬리브의 내부의 절삭 가공작업에 따른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되어 원가부담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198062호(명칭: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가 제안되어 있다.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 사출되어 체결부(100a)를 갖는 슬리브관(100)의 내부에 수개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을 슬리브(100)의 내주면에 삽입하고, 체결링을 슬리브(100)에 삽입한 후에 슬리브(100)의 단부를 180°코킹하여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슬리브(100)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플링에 의해 고압호스를 니플에 체결하는 순서는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삽입된 슬리브(100)의 체결부(100a)에 연결되도록 후단에 너트(410)가 체결된 니플(400)을 체결하여 니플(400)의 선단을 슬리브(100)의 내부에 위치시키며, 니플(400)의 체결방향과 반대측 방향으로 고압호스(500)를 삽입한 후에 슬리브(100)의 외경을 압착시키는데, 이때 체결링의 걸림돌조(111,121,131,141)가 고압호스의 외경을 압착함으로써 니플(400)과 고압호스(500)에서 공급되는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 상태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에 의하면, 슬리브의 내부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링을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커플링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제조 작업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되며, 슬리브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링의 개구된 부분을 상호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타입으로 삽입함으로서 누유방지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한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은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누유방지의 성능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는 탁월하다 할 것이나, 체결된 고압호스를 통해 발생되는 고압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조건에서는 도 2의 A부에서 체결상태가 취약하기 때문에 슬리브가 니플에서 탈거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압발생시 고압호스와 니플이 분리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압호스 체결용 슬리브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슬리브에 의하여 고압호스와 니플이 체결된 상태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고압호스 체결용 슬리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에 의하여 고압호스와 니플이 체결된 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리브 101 ; 보강부
102 ; 이탈방지턱 110,120,130,140 ; 체결링
111,121,131,141 ; 걸림돌조
400 ; 니플 500 ; 고압호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은 중공부를 갖는 슬리브의 내부에 내주면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체결링을 복수개 순차적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이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고, 고압호스가 니플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가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는 고압발생시 고압호스가 니플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부를 슬리브의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슬리브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고압호스 체결용 슬리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에 의하여 고압호스와 니플이 체결된 상태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금형 사출되어 체결부(100a)를 갖는 슬리브관(100)의 내부에 수개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을 슬리브(100)의 내주면에 삽입하고, 슬리브(100)의 하단부에 이탈방지턱(102)을 절곡형성함으로써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슬리브(100)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슬리브(100)의 상단부에는 고압발생시 고압호스가 니플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부(101)를 슬리브의 내측으로 절곡형성한다.
각각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은 내주면의 원주상으로 걸림돌조(111,121,131,141)가 형성되고,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일부분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체결링들(110,120,130,140)의 걸림돌조(111,121,131,141) 중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걸림돌조(141)의 높이를 가장 낮게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체결링 140 의 내경이 체결링 110,120,130들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는 고압호스의 압착시 최외측은 일정정도 여유상태에서 고압호스를 압착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해 고압호스를 니플에 체결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삽입된 슬리브(100)의 체결부(100a)에 니플(400)을 체결하여 니플(400)의 선단이 슬리브(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니플(400)의 후단에는 너트(410)가 체결되어 있다.
니플(400)의 체결방향과 반대측 방향으로 고압호스(500)를 삽입한 후에 슬리브(100)의 외경을 압착시킨다. 이때 체결링의 걸림돌조(111,121,131,141)가 고압호스의 외경을 압착함으로써 니플(400)과 고압호스(500)에서 공급되는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 상태로 체결되는 것이다.
슬리브(100)의 외경을 압착시키는 상태에서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외경도 압착되는 바, 이때 각각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부(미도시)는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부삽입홈(미도시)으로 삽입되면서 체결링들(110,120,130,140)은 원주가 동일한 크기로 압착되며, 체결링들(110,120,130,140)의 개구된 부분이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 체결링들(110,120,130,140)의 걸림돌조(111,121,131,141)가 고압호스(500)를 압착시키는 힘이 고압호스의 외경에 각각 다른 방향에서 작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착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며, 고압호스에서 누유를 방지하는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압호스가 니플과 체결된 상태에서 고압호스를 통해 고압의 공압이나 유압이 통과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의한 커플링는 슬리브의 보강부(101)가 니플(400)의 고정홈(400a)의 내부에 압입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슬리브(100)가 니플(400)과 분리되어 고압호스(500)과 니플(400)에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은 커플링인 슬리브의 상단에 보강부를 절곡형성하여 고압발생시 니플에서 슬리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압호스와 니플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슬리브의 하단에는 체결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체결링이 슬리브의 내부에서 고압호스를 견고하게 잡아주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은 슬리브관 내부에 걸림돌조를 가공하는 공정을 배제하고 간소한 구조의 체결링을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안착함으로써 전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체결링을 슬리브관의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체결링의 개구된 부분을 서로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방향으로 삽입하여 안착시킴으로써 고압호스와 니플의 체결시 고압호스에 외경에서 동시에 압착력이 가해짐으로써 고압호스가 니플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누유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중공부를 갖는 슬리브의 내부에 내주면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체결링을 복수개 순차적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이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고, 고압호스가 니플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가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 고압발생시 고압호스가 니플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부를 슬리브의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슬리브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20000024725U 2000-08-31 2000-08-31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0210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25U KR200210979Y1 (ko) 2000-08-31 2000-08-31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25U KR200210979Y1 (ko) 2000-08-31 2000-08-31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979Y1 true KR200210979Y1 (ko) 2001-01-15

Family

ID=7308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725U KR200210979Y1 (ko) 2000-08-31 2000-08-31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9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730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tube joint
US5022687A (en) Pipe coupling
US4437691A (en) Connector for corrugated tubing
US2544108A (en) Pipe connecting
KR910008238B1 (ko) 호오스 연결구
CA2618331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s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KR200210979Y1 (ko)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US4238132A (en) Connector
CA2199882A1 (en) Barbed tubular connectors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EP0638752A1 (en) Pipe connector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357044B1 (ko)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US5074026A (en) Fluid connector
JPS6238594B2 (ko)
US2852841A (en) Methods for making hose couplings
KR200315763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251654Y1 (ko) 호스 조임장치
KR200144104Y1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
KR200198062Y1 (ko)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0210909Y1 (ko) 호스 연결구
KR200179786Y1 (ko) 호스 연결구
EP0933578A2 (en) A connection for high pressure fluid flexible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