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62Y1 -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 Google Patents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62Y1
KR200198062Y1 KR2020000011700U KR20000011700U KR200198062Y1 KR 200198062 Y1 KR200198062 Y1 KR 200198062Y1 KR 2020000011700 U KR2020000011700 U KR 2020000011700U KR 20000011700 U KR20000011700 U KR 20000011700U KR 200198062 Y1 KR200198062 Y1 KR 200198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astening
high pressure
nipple
pressur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자
Original Assignee
강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16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57044B1/ko
Application filed by 강순자 filed Critical 강순자
Priority to KR2020000011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16L33/2071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부를 갖는 슬리브의 내부에 내주면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체결링을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복수개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고압호스와 니플이 체결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체결링은 일부분이 개구되어 체결링의 일단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돌부삽입홈이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니플과 결합되는 슬리브의 내부에 고압호스를 압착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링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착시킴으로써 고압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누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슬리브 내부에 걸림돌조를 가공하는 공정을 배제하여 롤링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간편하게 체결링을 제조할 수 있어 전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Coupling of high pressure horse and nipple}
본 고안은 유공압장치에 연결되는 니플(NIPPLE)에 고압호스를 견고히 체결하기 위한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니플과 고압호스를 체결하는 슬리브의 내부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체결링을 복수개 삽입함과 아울러 체결링의 삽입시 개구된 부분이 상호 어긋나도록 지그재그타입으로 삽입함으로써 가공작업이 간편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누유방지효과를 극대화한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 또는 유공압장치에 사용되는 고압의 공압이나 유압라인에는 고압호스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고압호스는 각종 유공압장치에 연결된 니플을 통하여 연결되고 있고, 고압호스와 니플의 연결부위는 다시 슬리브로 체결하여 공압이나 유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슬리브관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중심이 채워진 철봉(300)을 소정 길이로 절단한 다음 중심부를 절삭하여 중공부를 형성시키고, 다시 중심부의 내주면을 선반가공하여 상부의 걸림턱(310)과 걸림돌조(320)를 형성한 후에 상부의 걸림턱(310)의 외주연을 선반가공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체결부(330)를 형성하는 방법이 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슬리브관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가공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요구하고, 고가의 원자재가 필요하여 생산비가 상승되며, 모든 작업이 선반가공으로 이루어져 정확한 수치가공이 어려워 불량품이 양산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개선된 슬리브관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관(200) 자체를 파이프상태로 미리 가공한 상태에서 동일한 연삭 등의 가공방법에 의하여 슬리브관(200) 내주연에 동일한 돌출상태로 걸림턱(210)과 걸림돌조(220)를 형성시키고, 걸림턱(210)과 걸림돌조(220)가 형성된 슬리브의 상연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걸림턱의 절곡작업과 체결부(230)의 형성 작업을 일시에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슬리브의 성형작업이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실시되고, 슬리브 자체를 파이프상으로 선가공한 상태에서 내주벽의 체결돌조나 걸림턱을 가공하게 됨으로써 고가의 원자재를 절감하게 되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개선된 슬리브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파이프상태에서 내주연에 걸림돌조 및 걸림턱을 절삭하는 가공작업은 공수가 많기 때문에 다량의 슬리브관을 제조하는데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리브의 내부의 절삭 가공작업에 따른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되어 원가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브의 내부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링을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커플링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 작업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리브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링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슬리브의 외경 압착시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돌출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리브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링의 개구된 부분을 상호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타입으로 삽입함으로서 누유방지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압호스 체결용 슬리브의 성형공정도.
도 2는 종래 개선된 고압호스 체결용 슬리브의 성형공정도.
도 3은 도 2에 의한 슬리브를 이용한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플링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커플링에 의하여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슬리브의 외경이 압착된 상태도.
도 9는 종래 기술에서 슬리브의 외경이 압착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리브 110,120,130,140 ; 체결링
111,121,131,141 ; 걸림돌조 112,122,132,142 ; 걸림돌부
113,123,133,143 ; 걸림돌부삽입홈
400 ; 니플 500 ; 고압호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은 중공부를 갖는 슬리브가 구비되어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내주면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체결링을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복수개 순차적으로 삽입하되, 상기 체결링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체결링의 일단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돌부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경 압착시 걸림돌부가 걸림돌부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링들은 개구된 부분이 서로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타입으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플링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커플링에 의하여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금형 사출되어 체결부(100a)를 갖는 슬리브관(100)의 내부에 수개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을 슬리브(100)의 내주면에 삽입하고, 체결링을 슬리브(100)에 삽입한 후에 슬리브(100)의 단부를 180°코킹하여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슬리브(100)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각각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은 내주면의 원주상으로 걸림돌조(111,121,131,141)가 형성되고,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일부분은 개구되어 있다. 개구된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일단은 걸림돌조 이외의 부분은 절삭된 걸림돌부(112,122,132,14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걸림돌조 부분이 절삭되어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돌부삽입홈(113,123,133,143)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돌부와 걸림돌부삽입홈은 체결링이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압착되는 상태에서 걸림돌부(112,122,132,142)가 걸림돌부삽입홈(113,123,133,14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링들(110,120,130,140)은 중심부에서 일정한 크기로 압착된다.
슬리브(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링들(110,120,130,140)은 삽입시 개구된 위치를 상호 일치하지 않도록 삽입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4개조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체결링의 개구된 부분을 각각 90°만큼 어긋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링들(110,120,130,140)을 슬리브(100)에 삽입시킨다. 따라서 슬리브(100)에 삽입되어 고압호스를 압착시키는 체결링들(110,120,130,140)은 슬리브(100)의 외경압착시 360°전방향에 대하여 균일한 힘으로 고압호스를 압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링들(110,120,130,140)의 걸림돌조(111,121,131,141) 중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걸림돌조(141)의 높이를 가장 낮게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체결링(140)의 내경이 체결링들(110,120,13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는 고압호스의 압착시 최외측 부분은 일정정도 여유상태에서 고압호스를 압착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한편, 걸림돌조(111)의 형상은 내측방향을 향하는 면은 수직면(111a)으로 형성하고, 외측방향을 향하는 면은 경사면(111b)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공시 편리에 따라 내측방향을 향하는 면도 경사면으로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커플링은 슬리브(100)에 복수개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삽입되며, 이때 각각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은 개구부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각각의 체결링의 개구부가 엇갈리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삽입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개조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삽입되므로 체결링의 개구부를 각각 90°에 위치하도록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슬리브(100)에 삽입되는 것이며, 체결링들을 모두 삽입한 후에 슬리브(100)의 단부를 180°코킹하여 체결링들이 슬리브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해 고압호스를 니플에 체결하는 동작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체결링들(110,120,130,140)이 삽입된 슬리브(100)의 체결부(100a)에 니플(400)을 체결하여 니플(400)의 선단이 슬리브(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니플(400)의 후단에는 너트(410)가 체결되어 있다.
니플(400)의 체결방향과 반대측 방향으로 고압호스(500)를 삽입하여 도 7의 상태에서 슬리브(100)의 외경을 압착시켜 도 8에서와 같이 체결링의 걸림돌조(111,121,131,141)가 고압호스의 외경을 압착함으로써 니플(400)과 고압호스(500)에서 공급되는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 상태로 체결시킨다.
슬리브(100)의 외경을 압착시키는 상태에서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외경도 압착되는 바, 이때 각각의 체결링들(110,120,130,14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부(112,122,132,142)는 타단에 형성된 걸림돌부삽입홈(113,123,133,143)으로 삽입되면서 체결링들(110,120,130,140)은 원주가 동일한 크기로 압착된다.
본 고안에서는 체결링들(110,120,130,140)의 개구된 부분이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 체결링들(110,120,130,140)의 걸림돌조(111,121,131,141)가 고압호스(500)를 압착시키는 힘이 고압호스의 외경에 각각 다른 방향에서 작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착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며, 고압호스에서 누유를 방지하는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 체결링들(10,120,130,140)의 개구된 부분이 폐쇄되는 상태로 압착되기 때문에 슬리브(100)의 압착에 따라 체결링들과 슬리브 사이에서 힘의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체결링들은 고압호스를 압착시키는 상태로만 외경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조가 슬리브(200)와 일체로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슬리브(200) 외경의 압착에 따라 슬리브의 걸림돌조(220)가 불규칙하게 돌출됨으로써 장기간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압착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걸림돌조가 슬리브와 별도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은 슬리브관 내부에 걸림돌조를 가공하는 공정을 배제하고 간소한 구조의 체결링을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안착함으로써 전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리브관과 걸림돌조가 분리된 구성이기 때문에 슬리브의 외경 압착시에 걸림돌조가 불규칙하게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장기간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압호스의 누유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체결링을 슬리브관의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체결링의 개구된 부분을 서로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방향으로 삽입하여 안착시킴으로써 고압호스와 니플의 체결시 고압호스의 외경에서 동시에 압착력이 가해짐으로써 고압호스가 니플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압착력이 고압호스의 원주방향에서 균일하게 발생되어 누유방지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중공부를 갖는 슬리브가 구비되어 고압호스와 니플을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내주면에 걸림돌조가 형성된 체결링을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복수개 순차적으로 삽입하되,
    상기 체결링은 일부가 개구되어 체결링의 일단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돌부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경 압착시 걸림돌부가 걸림돌부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링들은 개구된 부분이 서로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타입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20000011700U 2000-04-24 2000-04-25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0198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00U KR200198062Y1 (ko) 2000-04-24 2000-04-25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612A KR100357044B1 (ko) 2000-04-24 2000-04-24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20000011700U KR200198062Y1 (ko) 2000-04-24 2000-04-25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612A Division KR100357044B1 (ko) 2000-04-24 2000-04-24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62Y1 true KR200198062Y1 (ko) 2000-10-02

Family

ID=2663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00U KR200198062Y1 (ko) 2000-04-24 2000-04-25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6446A (en) Hose coupling
US5267758A (en) Ferrule coupling having a C-shaped insert
EP1184613B1 (en) Compression fitting
US2798745A (en) Multiple-tube hose coupling
GB2097315A (en) Mandrel for bending hose
WO1995019520A1 (en) Hose assembly, hose coupling and a par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0720707B2 (en) swaging method and ferrule
KR100357044B1 (ko)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EP1090244A2 (en) Slotted crimping die for use in a crimping machine
CA1184751A (en) Method of making a hose coupling
KR200198062Y1 (ko)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US4357822A (en) Crimping collet
WO1994018487A1 (en) Improved hose fitting and method of making
US4395811A (en) Hose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applying same
US5768935A (en) Blade crimping device
US5755003A (en) End brush and method of making
US5293679A (en) Method of connecting two pipes
US2852841A (en) Methods for making hose couplings
US3115797A (en) Mandrel swage
EP083270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tal part having internal threads and machine therefor
US20020104433A1 (en) Fluid-actuated cylin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RU2282778C2 (ru) Кольцевой уплотняющий фитинг с плоск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KR200210979Y1 (ko)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CA1165343A (en) Hose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applying same
WO2003012329A1 (en) Insert for hydraulic connector and hydraulic connector comprising such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