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654Y1 - 호스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654Y1
KR200251654Y1 KR2020010022392U KR20010022392U KR200251654Y1 KR 200251654 Y1 KR200251654 Y1 KR 200251654Y1 KR 2020010022392 U KR2020010022392 U KR 2020010022392U KR 20010022392 U KR20010022392 U KR 20010022392U KR 200251654 Y1 KR200251654 Y1 KR 200251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tube
tightening
crimping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건수
Original Assignee
우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건수 filed Critical 우건수
Priority to KR2020010022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6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654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호스의 연결부위를 조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원 출원인의 선 등록(실용신안등록 제127322호)고안의 조임 구조를 현저하게 개선한 호스 조임장치에 관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스 연결구(2)의 니플(2a)에 대하여 공지의 유연성 호스(1)의 연결단부(1a)를 상호 연결 조임함에 있어서: 상기 호스(1)가 삽설되는 호스 삽입관부(14)와, 분할 형성된 압착관부(16)가 밀림 방지턱(12)을 중심으로 양 단부로 일체 형성된 압착관체(10)와; 상기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가 살설되게 일방이 개방 형성되고, 타방의 밀폐단부(22)로는 니플 삽입공(24)이 형성되고, 개방단부의 외주면으로 밀림 방지턱(26)이 일체로 형성된 홀더(20) 및; 상기 압착관체(10)에 관통 삽설된 호스(1)의 연결단부(1a)에 끼움되고,분할 형성된 다수개의 조임편(32)이 상기 홀더(20)와 압착관체(10)의 상호 끼움 조작시 상기 압착관부(16)내로 삽설되되 이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강제로 압착 조임되어 해당 부위의 유연성 호스(1)를 니플(2a)에 대하여 강제 조임하는 조임구(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호스 조임장치{Hose fast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각종 호스의 연결부위를 조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원 출원인의 선 등록(실용신안등록 제127322호)고안의 조임 구조를 현저하게 개선한 호스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 등록 고안의 경우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임하거나 풀어야 하는 밴드나 클램프 타입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호스를 커버관체와 돌출편이 구비된 조임구 및 이 조임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링구로 구성하여 이들의 상호 끼워 맞춤에 의해 호스를 간편하게 조임하거나 분해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 등록고안은 종래 밴드 및 클램프 타입의 경우에 비하여 조립성이 매우 양호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호스의 분해시 커버관체의 구멍에 삽설된 조임구의 돌출편을 일일이 내 측으로 밀어준 다음 커버관체를 분리해 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돌출편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링구가 커버관체 외측에 위치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착링구가 이탈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호스의 조임 및 분해가 간편 용이하면서도 외력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안정된 조임 외관을 갖도록 한 호스 조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조임장치 구조를 보인 일부 절단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호스 조임장치에 의해 호스가 조임 되기전의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호스 조임장치에 의해 호스가 완전히 조임된 상태의 결합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유연성 호스 1a: 연결단부
2: 호스 연결구 2a: 니플
10: 압착관체 12, 26: 밀림방지턱
14: 호스 삽입관부 16: 압착관부
16a: 확개단부 18: 걸림돌조
20: 홀더 22: 밀폐단부
24: 니플용 구멍 28: 걸림요구
30: 조임구 32: 조임편
32a: 고정단부 32b: 자유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호스 조임 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호스 연결구의 니플에 대하여 공지의 유연성 호스의 연결단부를 상호 연결 조임함에 있어서: 상기 호스가 삽설되는 호스 삽입관부와, 분할 형성된 압착관부가 밀림방지턱을 중심으로 양 단부로 일체 형성된 압착관체와; 상기 압착관체의 압착관부가 살설되게 일방이 개방 형성되고, 타방의 밀폐단부로는 니플 삽입공이 형성되고, 개방단부의 외주면으로 밀림 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된 홀더 및; 상기 압착관체에 관통 삽설된 호스의 연결단부에 끼움되고, 분할 형성된 다수개의 조임편이 상기 홀더와 압착관체의 상호 끼움 조작시 상기 압착관부내로 삽설되되 이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강제로 압착 조임되어 해당 부위의 유연성 호스 니플에 대하여 강제 조임하는 조임구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조임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호스 조임 장치는 크게 공지의 호스(1)가 관통 살설되는 압착관체(10)와, 이 압착관체(10)가 살설 받침되는 홀더(20) 및 상기 호스(1)의 연결단부(1a)에 삽설 지지되고 상기 압착관체(10)와 홀더(20)의 상호 조립에 의해 강제눌림 조작되어 호스(1)를 호스 연결구(2)의 니플(2a)에 강제 조임하는 조임구(30)로 구성된 것이다.
압착관체(10)는 밀림 방지턱(12)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으로 소정 직경의 호스(1)가 끼워지는 호스 삽입관부(14)와 탄성을 갖도록 분할 형성된 압착관부(16)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압착관부(16)의 단부 내 측 주면은 외향으로 경사진 확개단부(16a)를 갖는다. 여기서 압착관부(16)의 내측 주면을 확개단부(16a)로 형성한 이유는 이후 설명될 조임구(30)와의 끼움 조작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호스 삽입관부(14)와 압착관부(16)의 내부 직경은 호스(1)가 약간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이들의 외부 직경은 압착관체(16)가 호스 삽입관부(1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두껍게)하여 호스의 조임시 강한 탄성 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가 삽설되는 홀더(20)는 일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타방의 밀폐단부(22)로는 공지의 호스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구(2)의 니플(2a)이 끼워지는 니플 끼움공(2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방단부의 외주면으로는 밀림 방지턱(2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홀더(30)는 호스(1)의 연결단부(1a) 외주면에 끼워져 해당 부위를 조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호스(1)를 탄성적으로 조임하기 위하여 분할 형성된 조임편(32)을 포함하며, 각 조임편(32)은 그 내 측 고정단부(32a)에 비하여 자유단부(32b)의 외주면을 향해 두꺼워지도록 만곡 형성하여 타 부위보다 더욱 강한 압착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와 홀더(20)의 내부 벽면으로는 걸림돌조(18)와 걸림요구(28)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들은 홀더(20)에 대하여 압착관체(10)의 조립시 상호 탄성 결합되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호스 조임 상태를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압착관체(10)가 최종 조립되기 전의 측 단면도로서, 먼저 압착관체(10)의 호스 삽입관부(14)를 통해 호스(1)를 끼움한 다음 호스(1)의 연결단부(1a)로 조임구(30)를 끼우되 조임편(32)의 고정단부(32a)가 연결단부(1a)와 일치되게 자유단부(32b)쪽으로부터 끼운다.
그런 다음 호스(1)의 연결단부(1a)를 홀더(20)의 밀폐단부(22)로 형성된 니플 끼움공(24)으로 끼워진 연결구(2)의 니플(2a)에 강제로 억지 끼움하면, 도2와 같이 조임구(30)는 호스(1)의 연결단부(1a)와 니플(2a)의 조립에 의해 홀더(20)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한손으로 홀더(20)의 밀림 방지턱(26)을 잡은 상태에서 호스(1)에 끼워진 압착관체(10)의 밀림 방지턱(12)을 다른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일방으로 형성된 압착관부(14)가 홀더(20)와 조임구(30) 사이의 틈새로 삽설되게 강제로 밀어 끼움 한다. 그러면 이 때 조임구(30)는 조임편(32)의 자유단부(32b)가 분할 형성된 압착관부(16)의 확개단부(16a)에 의해 해당 부분을 약간 외방으로 확관시키면서 삽설 되어진다.
하지만 조임편(32)의 자유단부(32b)는 그 외부 직경이 압착관부(16)의 내부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압착관체(10)를 계속적으로 밀어 끼우면 자연적으로 분할 형성된 압착관부(16)를 외방으로 더 확관시키면서 삽설되지만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 역시 홀더(20)에 의해 그 확관정도가 강제되는 것이어서 결국 조임구(30)의 조임편(32)은 홀더(20)에 의해 확관이 저지되는 압착관부(1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유연성 재질의 호스(1)를 더욱 압착 조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호스(1)는 도3과 같이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에 의해 강제 압착되는 조임구(30)의 조임편(32)에 의해 연결단부(1a)가 호스 연결구(2)의 니플(2a)에 강제 조임되는 것이며, 압착관체(10)는 압착관부(16)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걸림돌조(18)가 홀더(20)의 걸림요구(28)에 상호 탄성 결합되어 임의적인 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조임의 경우 압착관체(10)와 홀더(20)의 결합시 이들에 각각 형성된 밀림 방지턱(12)(26)을 별도의 집게로 집어 조임함으로써 더욱 강한 조임력의 발휘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호스(1)의 교체나 수리시 홀더(20)로부터 압착관체(10)를 분리해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압착관부(16)를 내 측으로 가압하여 걸림요구(28)에 대하여 탄성결함된 걸림돌조(18)를 분리시킨 다음 강제로 잡아당기면 간단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호스의 조임 조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호스를 조임하는 조임구가 홀더 내부에 위치되어 외력의 작용을 전혀 받지 않고 항상 호스를 견고하게 조임하게 되고, 특히 압착관체와 홀더가 상호 탄성 결합되어 강제로이들을 분리시키지 않는 이상 분리가 방지되어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4)

  1. 호스 연결구(2)의 니플(2a)에 대하여 공지의 유연성 호스(1)의 연결단부(1a)를 상호 연결 조임함에 있어서:
    상기 호스(1)가 삽설되는 호스 삽입관부(14)와, 분할 형성된 압착관부(16)가 밀림방지턱(12)을 중심으로 양 단부로 일체 형성된 압착관체(10)와;
    상기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가 살설되게 일방이 개방 형성되고, 타방의 밀폐단부(22)로는 니플 삽입공(24)이 형성되고, 개방단부의 외주면으로 밀림 방지턱(26)이 일체로 형성된 홀더(20) 및;
    상기 압착관체(10)에 관통 삽설된 호스(1)의 연결단부(1a)에 끼움되고, 분할 형성된 다수개의 조임편(32)이 상기 홀더(20)와 압착관체(10)의 상호 끼움 조작시 상기 압착관부(16)내로 삽설되되 이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강제로 압착 조임되어 해당 부위의 유연성 호스(1)를 니플(2a)에 대하여 강제 조임하는 조임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30)의 조임편(32)은 고정단부(32a)에 비하여 자유단부(32b)의 외주면을 더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압착관부(16)에 의한 더욱 강한 압착력이 발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로는 그 단부 내주면을확개단부(16a)로 하여 상기 조임구(30)의 삽설시 이의 조임편(32)이 용이하게 끼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관체(10)의 압착관부(16)와, 홀더(20)의 내 벽면으로는 걸림돌조(18)와 걸림요구(28)를 상호 대응되게 더 형성하여 호스(1) 조임시 상호 탄성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임장치.
KR2020010022392U 2001-07-24 2001-07-24 호스 조임장치 KR200251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92U KR200251654Y1 (ko) 2001-07-24 2001-07-24 호스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92U KR200251654Y1 (ko) 2001-07-24 2001-07-24 호스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654Y1 true KR200251654Y1 (ko) 2001-11-22

Family

ID=7308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92U KR200251654Y1 (ko) 2001-07-24 2001-07-24 호스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6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2620A (zh) * 2019-05-22 2019-08-09 江阴创博机械制造有限公司 汽车排气混合管成型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2620A (zh) * 2019-05-22 2019-08-09 江阴创博机械制造有限公司 汽车排气混合管成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730B1 (ko) 주름 파이프용 연결 장치
GB2212235A (en) Compression coupling for plastic pipe
US6832791B2 (en) Connection means for interconnecting two duct elements
CA2440286A1 (en) Quick connect coupling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KR200251654Y1 (ko) 호스 조임장치
KR200242197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764946B1 (ko) 주름관 연결 구조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23929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15763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439127Y1 (ko) 배관 조인트용 체결 압착 홀더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200177938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100003950U (ko) 스테인리스 주름관의 연결구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CN218063795U (zh) 一种防松卡箍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2215624B1 (ko)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KR200174776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275028Y1 (ko)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KR960000436Y1 (ko) 관 연결구
KR200242174Y1 (ko) 배관용 조인트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