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874B1 -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 Google Patents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874B1
KR101360874B1 KR1020130115181A KR20130115181A KR101360874B1 KR 101360874 B1 KR101360874 B1 KR 101360874B1 KR 1020130115181 A KR1020130115181 A KR 1020130115181A KR 20130115181 A KR20130115181 A KR 20130115181A KR 101360874 B1 KR101360874 B1 KR 10136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joist
support member
fix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호
Original Assignee
김순호
주식회사더블유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호, 주식회사더블유티씨 filed Critical 김순호
Priority to KR102013011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과 이격된 플로어링층의 높이를 맞추는 장선용 쐐기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와 받침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부재 및 장선목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이동된 고정부재의 최종위치는 플로어링층과 바닥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WEDGE FOR BRIDGING JOIST TO ADJUST DISTANACE BETWEEN THE BOTTOM AND THE FLOORING LAYER.}
본 발명은 바닥과 이격된 플로어링층의 수평을 맞추는 장선용 쐐기에 대한 것이다.
건물 시공시, 바닥공사는 건축물의 바닥을 마감하는 작업의 총칭을 의미한다. 바닥공사의 일례로는 모르타르칠, 콘크리트 고르기, 돌, 타일, 비닐 바닥 시트, 플로어링 보드 붙임, 융단 깔기 등이 있다.
여기서 플로어링은 일반적으로 마루 마감재료를 총칭하는 것으로, 플로어링보드, 플로어링블록 등으로 분류되고, 바닥면은 더러움을 많이 타고 손상받기 쉬우므로 경질(硬質)의 재료가 사용되며, 목재로는 느티나무, 편백, 벚나무, 참나무, 나왕 등이 많이 쓰인다.
이때, 플로어링보드는 두께 1.4~2.7cm, 너비 5~13cm, 길이 0.9~3.7m로 표면은 대패질을 한 상태이거나 표면에 락카로 도장된 상태를 말한다. 플로어링블록은 두께 1.4~2.7cm인 판 2~8매를 철물 또는 본드,이중장부 맞춤으로 뒷면과 목재의 끝 면을 틈이나 겹침이 없이 마감하는 장식용 판재로, 뒷면은 방부 또는 방수처리를 하고, 본드 등으로 바닥에 붙인다.
또한, 장선은 마루 밑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로 대어 마루청을 받치게 된 나무를 의미한다. 이러한 장선은 실내 경기장이나 다목적 강당 등의 플로어링 시스템에 합판 또는 가공합판으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플로어링으로 사용되는 원목이나 합판은 바닥에 바로 설치하지만, 실내 경기장이나 다목적 강당등은 바닥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플로어링층이 위치된다.
이러한 실내 경기장 등은 하중을 잘 견디고 탄성이 있어서 발과 무릎에 영향을 덜 줘야 한다. 특히 장선을 받치기 위해 0.4~1m 간격으로 배열하는 횡목인 멍에를 사용해 시공할 수도 있고, 멍에가 없이 외줄장선으로 시공하기도 한다.
한편, 장선을 이용하여 바닥층과 일정한 간격이 있는 플로어링층을 시공시, 장선목 상부에 장선을 연결하고, 그 위에 플로어링보드를 연결하며, 방진고무가 추가되기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장선목은 멍에, 바닥보, 장선받이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늘어놓는 수평부재를 말하는데, 바닥과 마루널을 받치기 위해 좁은 간격으로 배열하는 부재이다. 장선목을 방부할 경우 해충 침해나 습기로 인한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링층은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야 하며, 이를 위해 쐐기를 이용한다.
여기서 쐐기는 나무 또는 돌을 가르거나 무거운 물체를 들리게 하거나 단단히 결합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역학적으로는 빗면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물체의 틈새에 쐐기를 밀어넣고 쐐기방향으로 P라는 힘을 가하면 쐐기의 빗면에 수직인 방향의 분력 R, 쐐기 끝의 꼭지각을 ψ라 할 때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13087794115-pat00001
이러한 쐐기는 건축물 기초 시공 시 또는 내부 공사 시에는 통상 판재나 지주 및 문틀 체 등을 먼저 설정된 높이로 수평을 맞추어 고정하고 난 후 다음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바, 설정된 높이나 설정 폭으로 맞추기 위하여는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쐐기는 좌우가 대향되는 받침부재와 고정부재가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톱니치형들과 고정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톱니치형들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된다.
종래의 쐐기에는 나무를 삼각으로 뾰족하게 조각을 형성하여 끼워 조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최근에 이러한 쐐기는 목재 외에도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쐐기 등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 중이다.
다만, 종래의 재래적인 방법으로는 나무를 만들어 끼우는 방식으로 조정 및 사용하였지만 수차례 다시 만들어 끼우면서 맞추게 되므로 작업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건축현장에 있어서의 공기 지연의 원인이 되고 쐐기의 표면이 평면으로 되어 미끄러져 빠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쐐기는 받침부재의 상측 표면 전체가 톱니치형으로 구성되어있었고 그로 인해 상하 측 미끄러짐을 방지를 할 수 있었지만 측면 미끄러짐을 방지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쐐기는 받침부재의 길이를 넘어서는 고정부재 부분을 잘라내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기존의 쐐기는 바닥층과 쐐기 자체의 크기만으로 필요한 높이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받침부재 밑에 다른 물체를 고이거나, 새로운 쐐기를 만들어야 해서 안정적인 지지가 되지 않거나, 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인 필요로 하였다.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공기의 지연 방지 및 플로어링층의 수평맞춤을 보다 신속 및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쐐기를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한편, 물건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레일 또는 가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은 물체가 움직이기 위해서 깔아놓은 가늘고 긴 물체를 의미하고, 가이드는 물체가 특정하게 움직이고 이탈되지 않도록 도움을 주는 물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레일이나 가이드는 홈과 결합하여 존재하기도 하며, 물체가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레일 또는 가이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만, 레일 또는 가이드를 결합한 장선용 쐐기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를 이용한 효율적인 방식의 쐐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KR101115065 B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KR200166461 Y1
본 발명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된 플로어링층을 수평 되게 하는 장선용 쐐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의 좌우이탈을 방지하고, 고정부재를 절단하는 추가작업 없으며, 바닥과 플로어링층의 이격거리와 무관한 높이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바닥에 고정되고, 상부가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경사면에 위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며, 제 1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되고, 장선목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장선목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플로어링층과 상기 바닥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톱니치형 쐐기를 포함하는 쐐기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쐐기레일과 결합되는 쐐기레일홈 및 상기 톱니치형 쐐기와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원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가 개방된 지지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측면이 개방된 지지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선목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장선목이 고정부의 일정위치로 유도되기 위한 유도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선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장선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정면에서 본 길이는,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임부재는 높이는,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와 상기 고정부재의 높이의 차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 된 플로어링층을 수평되게 하는 장선용 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의 좌우이탈을 방지하고, 고정부재를 절단하는 추가작업 없으며, 바닥과 플로어링층의 이격거리와 무관한 높이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선용 쐐기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의 사시도, 분리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받침부재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임부재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를 이용한 플로어링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순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의 사용상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선용 쐐기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닥(200)으로부터 이격된 플로어링층(30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 바닥(200)위에 쐐기(10)가 위치되고, 쐐기 위에 장선목(310) 및 플로어링층(300)이 위치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바닥 전면에 바닥 상측으로의 방습을 위해 방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장선용 쐐기(10)는 좌우가 대향되어 설치되는 받침부재(11)와 고정부재(12) 및 지지부재(1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쐐기(10)는 평면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어 외줄장선 수단이 설치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받침부재(11)는 바닥면의 상부에 위치되고, 고정부재(12)는 받침부재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받침부재(11)와 고정부재(12)는 좌우가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받침부재(11) 상부에 형성된 톱니 치형들과 고정부재(12)의 하부에 형성된 톱니 치형들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12)에 무거운 물체가 놓이는 경우 서로 분리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밀착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지지부재(13)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고, 장선목(310)은 지지부재(13)에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쿠션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링층(300)은 일정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외줄장선층, 플로어링 전면상에 형성되는 합판층 및 합판층 전면에 형성되는 마루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재래적인 방법으로는 나무를 삼각으로 뾰족하게 조각을 형성하여 쐐기를 만들어 끼워 조정하여 사용하였으나 단번에 맞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러 차례 쐐기를 다시 만들어 끼우면서 맞추게 되므로 작업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건축현장에 있어서의 공기 지연의 원인이 되고, 쐐기의 표면이 평면으로 되어 미끄러져 빠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쐐기는 받침부의 상측 표면 전체가 톱니치형으로 구성되어있었고 그로 인해 상하 측 미끄러짐을 방지를 할 수 있었지만 측면 미끄러짐을 방지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쐐기는 받침부의 길이를 넘어서는 고정부 부분을 잘라내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기존의 쐐기는 바닥층과 쐐기 자체의 크기만으로 필요한 높이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받침부재 밑에 다른 물체를 고이거나, 새로운 쐐기를 만들어야 하므로 안정적인 지지가 되지 않거나, 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인 필요로 하였다.
특히, 현재 공기의 지연 방지 및 플로어링층의 수평맞춤을 보다 신속 및 정확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쐐기를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닥(200)과 일정거리 이격된 플로어링층(300)의 수평맞춤을 신속 및 정확하게 하는 장선용 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좌우이탈을 방지하고, 고정부재를 절단하는 추가작업이 없으며, 바닥과 플로어링층의 이격거리와 무관한 높이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의 사시도, 분리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부재(110)는 상부에 경사면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 고정부재(120)가 위치될 수 있고, 받침부재(110) 하부에 고임부재(14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110) 또는 고임부재(140)는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20) 상부에 장선목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부재(13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임부재(140)는 받침부재(110)외에도 다른 고임부재(140)와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장선용 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받침부재(110)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부재(110)는 경사면 상부에 고정부재(120)의 측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톱니치형 쐐기(113)를 포함하는 쐐기레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톱니치형 쐐기(113)는 본 발명의 물품 명칭인 장선용 쐐기(100)와는 달리, 고정을 위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여기서, 톱니치형 쐐기(113)는 쐐기레일(112)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존재 할 수 있다.
또한, 톱니치형 쐐기(113)는 고정부재(120)의 하측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고정부재(120)의 고정을 위해 경사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쐐기레일(112)은 경사면 상부에 위치하며, 경사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포함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쐐기레일(112)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0)이 경사면 상부에서 경사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움직이게 하고, 고정부재(120)의 측면 이탈방지를 위한 가이드레일(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111)은 경사면 상부에 위치하고, 경사면 양측단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11)은 경사면 양 측단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재(110)은 고임부재(14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20)는 받침부재(110)의 경사면에 구성되고, 받침부재 경사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동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20)는 하부가 받침부재(110)의 경사면과 대향되게 경사를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0)는 하부에 쐐기레일(112)와 결합되는 쐐기레일홈(1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톱니치형 쐐기(113)와 결합을 위한 걸림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22)는 쐐기레일홈(121)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22)는 톱니치형 쐐기(113)와 결합하여 고정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경사면 하측방향으로 구성된다.
고정부재(120)는 양측면에 가이드레일(111)과 결합되는 가이드(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123)는 가이드레일(111)의 위치 및 모양에 따라 고정부재(120)상 위치 및 모양이 특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23)은 경사면 양 측단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은 고정부재(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장선목(310)을 고정하고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재(130)는 장선목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13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0)은 장선목 결합시 지지부재(130)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장선목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수단(132)는 삼각형, 사각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131)은 돌기, 홈, 톱니치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30)은 측면이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측면을 통해 장선목(31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20)는 정면에서 본 길이는, 받침부재(110)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지지부재(130)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30)는 상부 개방형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30)는 내주면 사방에 고정수단(133)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133)은 돌기, 톱니치형돌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0)는 내주면 사방에 장선목(310)의 위치를 고정부재 중앙으로 유도하는 유도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도부재(134)는 지지부재(130)의 내주면 사방에 복수개 존재 될 수 있고, 내주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임부재(140)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임부재(140)은 결합수단(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1 을 참조하면, 고임부재(140)은 받침부재(11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임부재(140)은 다른 고임부재(140)과 결합될 수 있음은 당해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고임부재(140)의 높이는 상기 받침부재(110)의 높이와 상기 고정부재(120)의 높이의 차이와 같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를 갖는 경우, 단일크기의 고임부재(140)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을 통해서 바닥(200)과 플로어링층(300)의 이격거리 무관하게 플로어링층(300)을 수평맞춤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를 이용한 플로어링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순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6, 도 19를 참조하면, 바닥(200)에 받침부재(110) 또는 고임부재(140)가 결합된 받침부재(110)을 위치될 수 있다(S10).
이때, 고임부재(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후 받침부재(110)의 경사면에 고정부재(120)이 결합될 수 있다(S20).
이때, 결합하는 방식은 쐐기레일(112) 및 가이드레일(111)에 쐐기레일홈(121) 및 가이드(123)를 맞춘후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후 고정부재(120)에 플로어링층(300)을 결합될 수 있다(S30).
이때, 결합하는 방식은 플로어링층(300)에 포함된 장선목(310)이 고정부재(120) 및 지지부재(13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측면 개방형 지지부재로서, 장선목(310)이 개방된 지지부재 측면을 통해서 암수결합 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130)는 상부 개방형 지지부재로서, 장선목(310)이 개방된 지지부재 상부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고, 쿠션 및 접착수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200)과 플로어링층(300)의 이격거리 따라서 고정부재(120)를 받침부재(110)의 경사면을 따라 위치를 이동시켜 플로어링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S40).
한편, 도 17 및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장선용 쐐기의 사용상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바닥(200)위치된 장선용 쐐기(100)을 통해서 플로어링층(300)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을 참조하면 불균일한 바닥(200)의 상부에 위치한 장선용 쐐기(100)를 이용하여 플로어링층(3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장선목(310)과 결합된 플로어링층(300)의 높이를 신속하고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보다 신속 및 정확하게 플로어링층(300)의 수평맞춤을 통해 공기의 지연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보장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종래 사용되는 쐐기 11 : 받침목
12 : 고정목 13 : 지지목
100 : 본 발명의 장선용 쐐기 110 : 받침부재
111 : 가이드 레일 112 : 쐐기 레일
113 : 톱니치형 쐐기 120 : 고정부재
121 : 쐐기레일홈 122 : 걸림돌기
123 : 가이드 130 : 지지부재
130' : 지지부재의 제 2 실시예 130'' : 지지부재의 제 3 실시예
130''' : 지지부재의 제 4 실시예 131 : 고정수단
132 : 지지수단 133 : 고정수단
134 : 유도부재 140 : 고임부재
141 : 결합부재

Claims (10)

  1. 바닥에 고정되고, 상부가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경사면에 위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며, 제 1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되고, 장선목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장선목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플로어링층과 상기 바닥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정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톱니치형 쐐기를 포함하는 쐐기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쐐기레일과 결합되는 쐐기레일홈; 및 상기 톱니치형 쐐기와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원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가 개방된 지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측면이 개방된 지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선목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장선목이 고정부의 일정위치로 유도되기 위한 유도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선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장선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정면에서 본 길이는,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장선용 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부재의 높이는, 상기 받침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높이 차이와 동일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용 쐐기.
KR1020130115181A 2013-09-27 2013-09-27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KR10136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81A KR101360874B1 (ko) 2013-09-27 2013-09-27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81A KR101360874B1 (ko) 2013-09-27 2013-09-27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874B1 true KR101360874B1 (ko) 2014-02-11

Family

ID=5027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181A KR101360874B1 (ko) 2013-09-27 2013-09-27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51B1 (ko) 2014-11-07 2015-09-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액세스 플로어 패널의 지지다리 높이조절장치
US11542713B2 (en) * 2019-08-23 2023-01-03 Klevaklip Systems Pty Ltd Dec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748B1 (ko) * 1996-12-26 1999-08-02 오준규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JP3068197U (ja) * 1999-10-14 2000-04-28 城東化学工業株式会社 床下地材支持具
KR20060072631A (ko) *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건축물 바닥 지지대
KR20100078650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율림종합건업 체육관 마루판 지지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748B1 (ko) * 1996-12-26 1999-08-02 오준규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JP3068197U (ja) * 1999-10-14 2000-04-28 城東化学工業株式会社 床下地材支持具
KR20060072631A (ko) *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건축물 바닥 지지대
KR20100078650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율림종합건업 체육관 마루판 지지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51B1 (ko) 2014-11-07 2015-09-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액세스 플로어 패널의 지지다리 높이조절장치
US11542713B2 (en) * 2019-08-23 2023-01-03 Klevaklip Systems Pty Ltd Dec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596B2 (en) Natural rock panel, natural rock veneer panel and panel support apparatus
JP4464875B2 (ja) 床材連結金具および床材連結方法
US20160244979A1 (en) Fasteners for pedestal supported tiles or decking
PT2407608E (pt) Sistema de bloqueio para cobertura de pavimento
US20150096256A1 (en) System for installing and securing construction materials
KR101176363B1 (ko) 데크 체결용 연결구
KR101362809B1 (ko)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KR101360874B1 (ko)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CN104372914A (zh) 磁吸式地板组件
US20050115181A1 (en) Modular flooring system with framed tiles
US20210363766A1 (en) Spacer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system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5882267B2 (ja) 床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166849B1 (ko) 바닥재용 고정구
KR200468160Y1 (ko) 에스에프 기능성 마루틀
US11753833B2 (en) Modular floating tile, coping and skirting systems for decks and stairs
JP2001081891A (ja) 建物における遮音床構造
US20110005031A1 (en) Anchor and alignment device for carpet tiles
KR200388497Y1 (ko) 높이조절식 마루틀
JP7117523B2 (ja) 壁下地装置
US2231385A (en) Floor device
RU204707U1 (ru) Половое покрытие
US11859391B2 (en) Bracket for connecting wooden decks, and wooden deck coupling structure using same
KR101284778B1 (ko) 레일장선이 구비된 마루틀 및 마루널의 시공방법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