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748B1 -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 Google Patents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748B1
KR100213748B1 KR1019960072248A KR19960072248A KR100213748B1 KR 100213748 B1 KR100213748 B1 KR 100213748B1 KR 1019960072248 A KR1019960072248 A KR 1019960072248A KR 19960072248 A KR19960072248 A KR 19960072248A KR 100213748 B1 KR100213748 B1 KR 10021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lock
construction
level
cush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185A (ko
Inventor
오준규
Original Assignee
오준규
한남목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규, 한남목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준규
Priority to KR101996007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74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2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 E04F2203/023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having triangular 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체육관, 교실 및 거실 등의 마루시공시 사용되며 마루의 레벨 조정 기능과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마루시공용 레벨큐숀 블록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체육관 등의 마루시공시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목재와 (4 및 5)와 충격흡수 패드층(3)의 고정을 위해 못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레벨조정 기능과 충격흡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빗변에 작은 톱니들이 형성된 직삼각형 모양인 경질 러버의 하부 블록(1) 및 상부 블록(2)과 목재파지부(6)를 갖는 연질 러버의 충격흡수 패드층(3)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격흡수 패드층(3)이 상부 블록(2) 위에 일체로 제작된 레벨쿠숀 블록을 제조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의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은 교실, 거실 및 체육관 등의 마루 시공시 레벨조정 및 충격흡수 기능 증진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Description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
본 발명은 마루시공시 마루의 레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마루에 우수한 충격흡수 기능을 부여하는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거실, 교실 및 체육관용 마루 등을 시공할 때 마루의 레벨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제1도와 같은 레벨 블록을 사용해 오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레벨 블록은 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빗변에 작은 톱니들이 형성된 직삼각형 모양의 하부 블록(1)과 상부 블록(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 레벨 블록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 레벨 블록을 사용하여 마루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마루 시공시 이들의 상용방법을 제1도 및 제2도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하부 블록(1)을 지면 또는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하고, 하부 블록(1)의 빗변에 상부 블록(2)의 빗변이 맞닿도록 상부 블록을 올려놓은 후 마루의 레벨을 조절한다.
이들 블록의 빗변에는 작은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2개의 블록들이 접촉된 빗변 부분에서는 이들 작은 톱니들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상부 블록(2)을 상하로 밀어가면서 마루의 블록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루시공용 레벨 블록은 마루의 레벨 조정기능은 있으나, 충격흡수 기능은 없다. 따라서 마루에 충격흡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질 러버인 충격흡수용 패드층(3)을 레벨 블록위에 적층시켜야 하므로 시공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벨 블록과는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연질 러버의 충격흡수용 패드층(3)을 플라스틱의 상부 블록(2) 바로 위에 설치하는 것이 마루의 충격흡수 기능측면에서는 유리하나 플라스틱인 상부 블록(2)과 연질 러버인 충격흡수용 패드층(3)을 접착제 또는 못 등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접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기인하여 부득이 상부 블록(2)위에 목재(4)를 먼저 올려놓고, 그 위에 충격흡수용 패드층(3)을 적층시키고, 다시 그 위에 목재(5)를 적층한 후, 못을 이용하여 패드층(3)과 목재(4) 또는 패드층(3)과 목재(5)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시공 공정이 복잡해지고 못질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로 발생한다. 또한, 레벨 블록(1)(2)과 충격흡수용 패드층(3)이 목재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어서 시공 후 심한 충격 또는 목재의 수축, 팽창에 의해 레벨 블록이 이탈하여 마루바닥이 침몰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종적으로 목재(5)위에 마루바닥지(7)을 적층시키므로서 마루시공이 종료된다. 지금까지 사용한 종래의 레벨 블록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공 공정이 복잡하고, 시공이 어려워 시공 작업성이 저하되는 반면 시공된 마루의 충격흡수 기능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서 체육관용 마루등을 시공시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목재와 충격흡수 패드층의 고정을 위해 못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레벨 조정기능과 충격흡수 기능을 동시에 부여하는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종래 레벨 블록의 정면도.
제2도는 종래 레벨 블록을 사용하여 마루를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을 사용하여 마루를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블록 2 : 상부 블록
3 : 충격흡수용 패드층 4, 5 : 목재
6 : 목재파지부 7 : 마루바닥재
본 발명은 마루시공시 마루의 레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마루에 우수한 충격흡수 기능을 부여하는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은 빗변에 작은 톱니들이 형성된 직삼각형 모양인 경질 러버의 하부 블록(1), 빗변에 작은 톱니들이 형성된 직삼각형 모양인 경질 러버의 상부 블록(2) 및 목재파지부(6) 형상을 갖는 연질 러버의 충격흡수용 패드층(3)으로 구성되며, 충격흡수용 패드층(3)이 상부 블록(2)위에 일체로 제작된 것이다.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은 교실, 거실 및 체육관 등의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의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을 사용하여 마루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을 구성하는 하부 블록(1) 및 상부 블록(2)은 경질 러버(Hard Rubber)로서 빗변에 작은 톱니들이 형성된 직삼각형 모양을 갖는다. 하부 블록(1) 및 상부 블록(2)의 빗변에 형성된 작은 톱니들은 마루시공시 레벨 조절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을 구성하는 충격흡수용 패드층(3)은 연질 러버(Soft Rubber)로서 상단에 목재파지부(6)를 갖고 있으며 상부 블록(2)위에 일체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상부 블록(2)과 충격흡수용 패드층(3)을 접착제 등으로 하나의 몸체로 접착시키므로서 마루의 시공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경질 러버의 상부 블록(2)과 연질 러버의 충격흡수용 패드층(3)은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 제조시 한 개의 몸체로 제작된다. 따라서 종래 충격흡수 패드층의 고정을 위해 실시하던 못질 등이 생략되어 마루시공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을 사용하여 마루를 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부 블록(1)을 지면 또는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하고 하부 블록(1)의 빗변에 상부 블록(2)의 빗변이 맞닿도록 충격흡수용 패드층(3)이 접착되어 있는 상부 블록(2)을 올려 놓은 후 상부 블록(2)을 상하로 밀면서 마루의 레벨을 조정한다. 이들 블록의 빗변에는 작은톱니 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2개의 블록들이 접촉된 면에서 이들 작은톱니들이 상호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상부 블록(2)을 상하로 밀면서 마루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상부 블록과 일체로 접착되어 있는 충격흡수용 패드층(3)의 목재파지부(6)에 목재(4)을 올려놓고, 그 위에 다시 목재(5)을 설치한다. 이때 목재(4)와 목재(5)는 서로 교차(Cross)하는 배열로 위치하게 한다. 목재(5)위에 마루바닥재(7)을 적층시키므로서 마루시공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레벨쿠숀 블록은 하부 블록(1)과 상부 블록(2)의 빗변에 형성된 작은 톱니들에 의해 마루의 레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블록(2)에 충격흡수용 패드층(3)이 일체로 접착되어 있어서 충격흡수용 패드층을 별도로 적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충격흡수용 패드층(3) 상단에는 목재파지부(6)가 형성되어 있어서, 목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으로 교실, 거실 및 체육관 등의 마루를시하는 경우 시공 공정이 간소화되고 시공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마루의 레벨 조절이 용이함과 동시에 마루의 충격완화 기능도 향상된다.

Claims (1)

  1. 빗변에 작은 톱니들이 형성된 직삼각형 모양인 경질 러버의 하부 블록(1), 빗변에 작은 톱니들이 형성된 직삼각형 모양인 경질 러버의상부 블록(2) 및 목재파지부(6) 형상을 갖는 연질 러버의 충격흡수용 패드층(3)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격흡수용 패드층(3)이 상부 블록(2) 위에 일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시공용 레벨쿠숀 블록.
KR1019960072248A 1996-12-26 1996-12-26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KR10021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248A KR100213748B1 (ko) 1996-12-26 1996-12-26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248A KR100213748B1 (ko) 1996-12-26 1996-12-26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185A KR19980053185A (ko) 1998-09-25
KR100213748B1 true KR100213748B1 (ko) 1999-08-02

Family

ID=1949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248A KR100213748B1 (ko) 1996-12-26 1996-12-26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74B1 (ko) * 2013-09-27 2014-02-11 김순호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KR101437659B1 (ko) * 2012-10-18 2014-09-04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이중 압축 탄화 목재를 이용한 데크 설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59B1 (ko) * 2012-10-18 2014-09-04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이중 압축 탄화 목재를 이용한 데크 설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1360874B1 (ko) * 2013-09-27 2014-02-11 김순호 바닥과 플로어링층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선용 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18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748B1 (ko) 마루시공용 래벨쿠숀 블록
KR100648453B1 (ko) 방음 ·방진 장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루구조
JPS6122109Y2 (ko)
JPS6225663A (ja) 直施工用木質床材
KR100659514B1 (ko) 층간 차음구조체
JPS6225664A (ja) 直施工用木質床材
JPH01315556A (ja) 根太パッド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遮音工法
KR101037657B1 (ko) 건축물용 조립식 바닥재
KR200408450Y1 (ko)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JP6088136B2 (ja) 移動式道場床
KR100435853B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
JP2606500Y2 (ja) 階段構造
KR200394173Y1 (ko) 방음·방진 장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루구조
JPS61146957A (ja) 床構造
JP2501199Y2 (ja) 木質系直貼用拘束型制振床部材
JPH0436346Y2 (ko)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JP4099082B2 (ja) フローリング材とそれを用いた遮音性床構造
JPH04127346U (ja) 木質防音床仕上材
KR200335078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마루 바닥재
JPH07292944A (ja) 床板材および床板材の敷設構造
JP2979410B2 (ja) 床構造
JPH0712538Y2 (ja) 遮音床材
JP2537870Y2 (ja) 木質複合遮音床板
JPH03321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90630

Effective date: 200001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113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90630

Effective date: 2000013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