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450Y1 -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 Google Patents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450Y1
KR200408450Y1 KR2020050031892U KR20050031892U KR200408450Y1 KR 200408450 Y1 KR200408450 Y1 KR 200408450Y1 KR 2020050031892 U KR2020050031892 U KR 2020050031892U KR 20050031892 U KR20050031892 U KR 20050031892U KR 200408450 Y1 KR200408450 Y1 KR 200408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or
pad
joist
air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곤
임준석
Original Assignee
김용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곤 filed Critical 김용곤
Priority to KR2020050031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음 및 방진 기능을 하면서도 마루 하부 공간에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과 마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원목 마루의 하부 구조물로 설치되며 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힘의 작용에 의해 부피가 변형되면서 다수의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에어 패드와, 이를 이용한 마루 구조물 및 장선 구조물과, 이 장선 구조물을 이용한 마루 구조물을 개시한다.
에어 패드, 공기 통로, 에어 펌프, 습기 배출, 장선 구조물, 마루 구조물

Description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AIR PAD AND LONG LINE STRUCTURE AND FLOO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패드의 에어 통로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패드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 패드를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가 적용된 교실용 마루 구조물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마루 구조물을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를 에어 패드가 적용된 장선 구조물과 그 장선 구조물이 적용된 체육관용 마루 구조물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루 구조물을 D-D'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30, 40, 50, 76 : 에어 패드 12 : 상판 부재
14 : 하판 부재 15A, 15B : 날개부
16, 36A, 36B : 격벽 부재
18, 34A, 34B, 38A, 38B, 51, 75 : 공기 통로
32 : 댐퍼 52, 74, 78 : 장선목
54, 80 : 합판 56, 82 : 원목 마루판
60 : 받침목 62 : 쐐기
64 : 상부 쐐기 66 : 하부 쐐기
68 : 방진 패드 70 : 돌출부
72 : 장선 구조물
본 고안은 마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음 및 방진 기능 뿐만 아니라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과 마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마루 뿐만 아니라 교실, 체육관, 강당 등과 같은 공공 시설용 마루로 원목 마루가 널리 이용되는데, 공공 시설용 원목 마루는 사용자가 많고 사용자의 활동량이 많은 편이므로 보행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보행성은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키는 방진 고무를 마루 하부 구조물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원목 마루는 습기에 약한 나무 자체의 성질로 인해 마루 구조물의 부식, 뒤틀림이나 갈라짐 등과 같은 변형으로 내구성이 떨어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원목 마루의 내구성을 위해서는 수축팽창율이 적은 단단한 수종을 선택해야 하고 시공시에는 마루 구조물의 밑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1차적으로 차단해야 하며 시공 후에는 마루 구조물에 습기 침투하지 않도록 통풍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 목판재를 직접 펼치는 기존의 현가식 공법을 지양하고 원목 마루 하부에 일정 간격을 갖는 낮은 구조물을 구축하여 콘크리트 바닥과 원목 마루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체육관용이나 교실용 마루 구조물로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 일정 간격으로 장선목을 깔고 그 장선목 위에 합판과 원목 마루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부 구조물을 채택한 원목 마루도 하부의 좁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이 없이 정체된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습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하부 구조 물의 나무가 부식되고 내구성이 떨어져 하자 보수 사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원목 마루 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 및 방진 기능을 하면서도 마루 하부 공간에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과 마루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는 원목 마루의 하부 구조물로 설치되며 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힘의 작용에 의해 부피가 변형되면서 상기 다수의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는 서로 마주하는 상판 부재 및 하판 부재와; 상기 상하판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판 부재 및 격벽 부재는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는 상기 상하판 부재 사이에 상기 격벽 부재와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공기 통로 각각을 제1 및 제2 공기 통로로 분리하는 댐퍼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댐퍼의 양측면은 역 테이퍼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기 통로 각각은 상기 댐퍼로부터 외곽으로 갈 수록 부피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상기 다수의 격벽 부재 각각은 상기 댐퍼로부터 외곽으로 갈 수록 부피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를 이용한 마루 구조물은 바닥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장선목과; 상기 다수의 장선목 위에 설치된 합판과: 상기 합판 위에 설치된 원목 마루판과; 상기 장선목과 상기 바닥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상기 에어 패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 각각은 인접한 장선목 아래의 에어 패드와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장선목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거나 직교하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은 원목 마루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장선목과: 상기 제1 및 제2 장선목 사이에 샌드위치 구조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상기 에어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장선 구조물을 이용한 마루 구조물은 바닥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받침목과; 상기 받침목 위에 설치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쐐기와; 상기 쐐기 위에 설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방진 패드와; 상기 방진 패드의 돌출부 사이에 삽입 고정된 상기 장선 구조물과; 상기 장선 구조물 위에 설치된 합판과; 상기 합판 위에 설치된 원목 마루판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받침목 각각은 인접한 장선 구조물 아래의 받침목과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장선 구조물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거나 직교하게 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에어 패드(10)는 다수의 공기 통로(18)를 구비한다.
에어 패드(10)는 탄성 부재, 예를 들면 네오 플랜계 고무를 이용하여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 통로(18)가 에어 패드(10)의 네 측면 중 마주하는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에어 패드(10)는 마주보는 상하판 부재(12, 14)와, 상하판 부재(12, 14)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상하판 부재(12, 14)를 지지하면서 다수의 공기 통로(18)를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 부재(16)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하판 부재(12, 14)와 격벽 부재(16)는 일체화된 구조를 갖으며 이러한 에어 패드(1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 또는 충격에 의해 쉽게 압축 변형, 즉 부피가 변형되어 에어 펌프 역할을 함으로써 다수의 공기 통로(18)를 통해 공기 흐름을 유발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10)는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상판 부재(12) 및 격벽 부재(16)의 부피가 변형되고, 그에 대응하여 공기 통로(18)의 부피가 변형되면서 공기 흐름을 유발하는 에어 펌프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에어 패드(10)는 원목 마루의 하부 구조물인 장선목 아래 또는 장선목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마루 위의 사용자가 움직일 때 가해지는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눌려지면서 부피가 변형됨으로써 다수의 공기 통로(18)를 통해 공기 흐름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10)는 마루에 하중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에어 펌프 역할을 하게 되므로 원목 마루와 콘크리트 바닥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이 결과, 마루 하부 공간의 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습기로 인한 마루 구조물의 변형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10)는 탄성 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원목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음 기능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10)는 상판(12)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된 날개부(15A, 15B)를 추가로 구비하기도 한다. 날개부(15A, 15B)는 에어 패드(10) 위에 설치되어질 장선목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장선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10)를 관통하는 공기 통로(18)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통로(18)는 도 1에 도시된 사각형 단면을 갖거나, 도 2a에 도시된 원형, 또는 도 2b에 도시된 삼각형, 도 2c에 도시된 오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18)는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찌그러진 타원 형상이나 물방울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공기 통로(18)를 갖는 에어 패드(10)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방법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공기 통로(18)의 형상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패드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어 패드(30)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패드(10)와 대비하여 제1 및 제2 공기 통로(34A, 34B) 사이의 중간에 형성된 댐퍼(3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에어 패드(10)와 중복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어 패드(30)의 상하판 부재(12, 14) 사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공기 통로(34A, 34B)는 격벽 부재(16)와 함께 그 격벽(16)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댐퍼(32)에 의해 분리된다. 댐퍼(32)는 에어 패드(30)와 일체화된 고무 재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 즉 댐퍼(32)의 양측면이 역 테이퍼(Reverse Taper)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댐퍼(32)는 에어 패드(30)의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눌려져서 쉽게 부피 가 변형됨으로써 분리된 공기 통로(34A, 34B) 쪽으로 공기 흐름이 유발되게 하는 에어 펌프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댐퍼(32)는 전술한 상판 부재(12) 및 격벽 부재(32)와 함께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부피가 변형되어 다수의 공기 통로(34A, 34B)를 통해 공기 흐름이 유발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30)를 마루 하부 구조물에 적용한 경우 마루에 하중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에어 패드(30)가 에어 펌프 역할을 하게 되므로 마루 하부 공간에서의 통풍성을 확보하여 습기가 배출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30)는 탄성 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원목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음 기능도 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패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 패드를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에어 패드(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어 패드(30)와 대비하여 제1 및 제2 공기 통로(38A, 38B) 각각이 외곽으로 갈 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어 패드(30)와 중복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에어 패드(40)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공기 통로(38A, 38B) 각각은 에어 패드(40)의 중앙부, 즉 댐퍼(32)에서 외곽부로 갈 수록 좁 아지도록, 즉 부피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제1 공기 통로들(38A) 사이의 제1 격벽(36A)과, 제2 공기 통로들(38B) 사이의 제2 격벽(36B) 각각은 댐퍼(32)에서 외곽 쪽으로 갈 수록 부피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격벽(36A, 36B) 각각의 폭 및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댐퍼(32)에서 외곽 쪽으로 갈 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공기 통로(38A, 38B)의 폭 및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댐퍼(32)에서 외곽 쪽으로 갈 수록 감소하면서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 패드(40) 내에서 제1 및 제2 공기 통로(38A, 38B)의 부피가 에어 펌프 역할을 하는 댐퍼(32)에서 외곽부로 갈 수록 감소하는 경우 공기의 유속이 가변, 즉 공기의 유속이 상승하여 공기 흐름은 보다 더 원할해지게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40)는 마루 하부 공간에서의 공기 흐름이 활발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풍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습기가 확실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40)는 탄성 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원목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음 기능도 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가 적용된 교실용 마루 구조물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마루 구조물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마루 구조물은 일정 간격으로 바닥 위에 배열된 에어 패드(50)와, 에어 패드(50) 위에 설치된 장선목(52)과, 장선목(52) 위에 적층된 합 판(54) 및 원목 마루판(56)을 구비한다. 이러한 마루 구조물은 교실용이나 강당용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전시관이나 상업용 매장 등과 같이 원목 마루를 이용하는 어느 장소에나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에어 패드(50)는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다양한 구조의 에어 패드(10, 30, 40)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어 마루 구조물에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에어 펌프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 패드(50)는 방습 필름 등이 설치된 바닥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그 위에 설치되어질 장선목(52)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면, 장선목(52)이 300mm 정도의 피치(Pitch)를 갖도록 배치될 경우 에어 패드들(50)은 장선목(52)과 나라한 방향으로는 500mm 정도의 피치를 갖고, 인접한 장선목(52) 아래에 배치될 에어 패드들(50)과는 마름모꼴의 배치 구조를 갖도록, 즉 지그 재그 구조로 배열된다. 이러한 에어 패드(50) 위에 장선목(52)이 설치되고, 이때 에어 패드(50)의 공기 통로(51)는 장선목(5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거나 직교할 수 있다. 그리고 장선목(52) 위에는 합판(54)이 설치되며, 합판(54) 위에는 원목 마루판(56)이 설치된다. 여기서 원목 마루판(56)은 그의 길이 방향이 장선목(5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마루 구조물은 못이나 나사 등의 결합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원목 마루판(56)에 사용자의 보행 또는 작은 충격 운동 등에 의해 하중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에어 패드(50)가 에어 펌프 역할을 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루 하부 공간에서 공기 흐름이 원활해지면서 통풍성을 확보하여 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에어 펌프 역할을 하는 에어 패드(50)에 의한 강제 배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됨으로써 습기로부터 원목 마루판(56)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에어 패드(50)가 탄성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원목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음 기능도 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가 적용된 장선 구조물과 그 장선 구조물을 이용한 체육관용 마루 구조물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루 구조물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마루 구조물은 제1 및 제2 장선목(74, 78) 사이에 다수의 에어 패드(76)가 샌드위치 구조로 설치된 장선 구조물(72)과, 장선 구조물(72)이 삽입 고정된 방진 패드(68)와, 방진 패드(68) 하부에 적층된 받침목(60) 및 쐐기(62)와, 장선 구조물(72) 위에 적층된 합판(80) 및 원목 마루판(82)을 구비한다. 이러한 마루 구조물은 사용자의 운동량이 큰 체육관용이나 스포츠 매장용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방습 필름과 아스팔트 펠트 등이 적층된 바닥 위에 설치되는 받침목(6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그 위에 설치되어질 장선 구조물(72)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면, 장선 구조물(72)이 300mm 정도의 피치(Pitch)를 갖도록 배치될 경우 받침목(60)은 장선 구조물(72)과 나란한 방향으로는 500mm 정도의 피치를 갖고, 인접한 장선 구조물(72) 아래에 배치될 받침목들(60)과는 마름모꼴의 배치 구조를 갖도록, 즉 지그 재그 구조로 배열된다. 이러한 받침 목(60) 위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쐐기(62)가 설치된다. 플라스틱 쐐기(62)는 평탄하지 않은 바닥 위에 받침목(60)이 설치된 경우 그 위에 설치되어질 합판(80) 및 원목 마루(82)의 평탄화를 위한 높이 조절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플라스틱 쐐기(62)는 상하부 쐐기(64, 66)가 마주하는 경사진 경계면 각각에 톱니 형태의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고, 이러한 톱니형 경계면을 통한 스텝 조절로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쐐기(62) 위에는 방진 패드(68)가 설치된다. 방진 패드(7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방진 및 방음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방진 패드(70)는 상측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부(70)를 더 구비하여 그 돌출부(70) 사이에 장선 구조물(72)이 삽입되어 고정되게 한다.
장선 구조물(72)은 제1 및 제2 장선목(74, 78) 사이에 다수의 에어 패드(76)가 고정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갖으며, 이러한 장선 구조물(72)은 샌드위치 공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에어 패드(76)는 받침목(60)과 중첩되게 배열되고, 도 1 내지 도 6에 전술한 다양한 구조의 에어 패드(10, 30, 40)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어 마루 구조물에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에어 펌프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에어 패드(76)의 공기 통로(75)는 장선 구조물(7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거나 직교할 수 있다.
이어서, 장선 구조물(72) 위에는 합판(80)이 설치되며, 합판(80) 위에는 원목 마루판(82)이 설치된다. 여기서 원목 마루판(82)은 그의 길이 방향이 장선 구조물(7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마루 구조물은 못이나 나사 등의 결합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원목 마루판(82)에 사용자의 운동 등에 의해 하중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에어 패드(76)가 에어 펌프 역할을 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루 하부 공간에서 공기 흐름이 원활해지면서 통풍성을 확보하여 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에어 펌프 역할을 하는 에어 패드(76)에 의한 강제 배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됨으로써 습기로부터 원목 마루판(82)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에어 패드(76)가 탄성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방진 패드(68)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원목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음 기능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패드와 이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은 사용자로부터 보행이나 운동 등으로 마루에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에어 패드가 에어 펌프 역할을 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루 하부 공간에서 공기 흐름이 원활해지면서 통풍성을 확보하여 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에어 펌프 역할을 하는 에어 패드에 의한 강제 배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됨으로써 습기로부터 원목 마루판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루 구조물은 에어 패드가 탄성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방진 패드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원목 마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음 기능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원목 마루의 하부 구조물로 설치되며 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힘의 작용에 의해 부피가 변형되면서 상기 다수의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상판 부재 및 하판 부재와;
    상기 상하판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판 부재 및 격벽 부재는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판 부재 사이에 상기 격벽 부재와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공기 통로 각각을 제1 및 제2 공기 통로로 분리하는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양측면은 역 테이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패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통로 각각은
    상기 댐퍼로부터 외곽으로 갈 수록 부피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패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 부재 각각은
    상기 댐퍼로부터 외곽으로 갈 수록 부피가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패드.
  7. 바닥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장선목과;
    상기 다수의 장선목 위에 설치된 합판과:
    상기 합판 위에 설치된 원목 마루판과;
    상기 장선목과 상기 바닥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수의 에어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 각각은 인접한 장선목 아래의 에어 패드와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장선목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거나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물.
  10. 원목 마루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장선목과:
    상기 제1 및 제2 장선목 사이에 샌드위치 구조로 삽입 고정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수의 에어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 구조물.
  11. 바닥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받침목과;
    상기 받침목 위에 설치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쐐기와;
    상기 쐐기 위에 설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방진 패드와;
    상기 방진 패드의 돌출부 사이에 삽입 고정된 상기 제 10 항에 기재된 장선 구조물과;
    상기 장선 구조물 위에 설치된 합판과;
    상기 합판 위에 설치된 원목 마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받침목 각각은 인접한 장선 구조물 아래의 받침목과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 패드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장선 구조물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거나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물.
KR2020050031892U 2005-11-10 2005-11-10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KR200408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92U KR200408450Y1 (ko) 2005-11-10 2005-11-10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92U KR200408450Y1 (ko) 2005-11-10 2005-11-10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450Y1 true KR200408450Y1 (ko) 2006-02-09

Family

ID=4175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892U KR200408450Y1 (ko) 2005-11-10 2005-11-10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4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46B1 (ko) * 2010-06-08 2011-07-25 진솔산업 주식회사 방진부재를 구비한 바닥 마루판재
KR20200121429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46B1 (ko) * 2010-06-08 2011-07-25 진솔산업 주식회사 방진부재를 구비한 바닥 마루판재
KR20200121429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KR102175189B1 (ko) 2019-04-15 2020-11-05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1916A (en) Uniformly resilient flooring systems
US5369927A (en) Resilient floor system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US4449342A (en) Flooring system
JP6005038B2 (ja) 基礎床及び床システム
EP1548209A1 (en) Corrugated shearwall
KR200408450Y1 (ko)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KR100623960B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JP5837921B2 (ja) 床を支持するための部分構造及び該部分構造を備える床システム
JPH0458545B2 (ko)
KR101318158B1 (ko) 방진 레벨링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마루시스템
JPH0336670Y2 (ko)
JP2001081891A (ja) 建物における遮音床構造
KR100959183B1 (ko) 탄성마루바닥재
KR102636757B1 (ko) 소음 및 진동저감을 위한 바닥 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RU2311516C2 (ru) Упруги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двесного пол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002262B1 (ko) 플로워보드 조립용 어셈블리
JP6088136B2 (ja) 移動式道場床
KR200359803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JPH0735006Y2 (ja) 居住用浮き床構造
KR200374089Y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200412973Y1 (ko) 마루 바닥재
KR200333955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JPS6383369A (ja) 床構造
JP2000303604A (ja) 木質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