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183B1 - 탄성마루바닥재 - Google Patents

탄성마루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183B1
KR100959183B1 KR1020080103680A KR20080103680A KR100959183B1 KR 100959183 B1 KR100959183 B1 KR 100959183B1 KR 1020080103680 A KR1020080103680 A KR 1020080103680A KR 20080103680 A KR20080103680 A KR 20080103680A KR 100959183 B1 KR100959183 B1 KR 10095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lywood
elastic body
floo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516A (ko
Inventor
허남성
Original Assignee
허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성 filed Critical 허남성
Priority to KR102008010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1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마루를 형성하는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장선을 대체하여 기초바닥층에 바로 설치될 수 있도록, 경질의 제1탄성체 사이에 연질의 제2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 위에는 적층되는 합판과, 상기 합판의 상부에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촉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촉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다수가 서로 이음결합되는 후로링부재가 적층되는 탄성마루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후로링부재와 상기 합판의 결합은 상기 후로링부재의 촉이 형성된 측면에서 비스듬하게 합판에까지 박히는 못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판(12)과 상기 탄성부재(11)의 결합은 접착제가 개재되어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 합판 및 후로링부재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합판의 각 모서리(121)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마루바닥재를 제시한다.
바닥, 마루, 판재

Description

탄성마루바닥재{Elasticity floor board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물의 마루를 형성하는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장선을 대체하여 기초바닥층에 바로 설치될 수 있는 탄성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체육관, 강당 등의 마루바닥은 상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에 견디도록 견고성을 가져야 하면서도, 농구 등 실내 스포츠를 위한 체육관에서는 특히 적당한 반발력도 가져야 하는 것이다. 특히, 상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면서도, 필요한 반발력을 가지기 위해서 종래에는 장선을 이용하여 마루바닥을 시공해왔다.
이러한 장선을 이용한 마루바닥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장선(100)은 콘트리트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초바닥층(200)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놓이는 각목(110)과, 이 각목의 하부에 끼워지는 방진고무블록(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방진고무블록(120)은 각목(110)의 길이방향에 따라 다수개가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또한, 장선(100) 위에는 마루바닥층(30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이 장선(100)에 전달되어, 방진고무블록(120)이 충격을 흡수하며 일부는 상부로 반향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마루바닥에 장선이 사용되어 다수의 장선 사이에는 공기층(A)이 형성되는데, 이 공기층은 마루바닥층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공명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공명에 의한 소음은 건축물이 강단인 경우 매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공기층에는 습기가 차며, 이로 인하여 목재로 이루어진 마루바닥층이 썩거나, 부패가 일어나 인체에 유해한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장선이 사용되는 공간이 좁은 실내인 경우에는 장선의 높이만큼 마루바닥층이 기초바닥층에서 높게 형성됨에 따라 실내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닛화한 마루바닥재로 이루어진 마루바닥에서, 편중 하중이 있더라도 마루바닥이 경사지지 아니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경질의 제1탄성체 사이에 연질의 제2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 위에는 합판과, 상기 합판의 상부에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촉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촉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다수가 서로 이음결합되는 후로링부재가 차례로 적층되는 탄성마루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후로링부재, 합판 및 탄성부재의 결합은 상기 후로링부재의 촉이 형성된 측면에서 비스듬하게 상기 탄성부재에까지 박히는 못과, 상기 합판과 상기 탄성부재의 접촉면에 개재되는 접착제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 합판 및 후로링부재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탄성체는 클로로프렌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탄성체는 EVA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의 면적의 80% 내지 90%을 차지하며,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합판의 각 모서리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마루바닥재를 제시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루바닥재에 따르면, 유닛화된 탄성마루바닥재를 이용하여 마루바닥을 시공할 때, 각 모서리가 겹쳐지는 부분의 한판 하부에 제1탄성체가 위치되므로, 탄성마루바닥재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집중하중이 있는 경우에도 제1탄성체가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되어 탄성마루바닥재가 꺼지거나 들리지 아니하는 효과를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탄성마루바닥재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루바닥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루바닥재(10)는 탄성부재(1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합판(12) 및 후로링부재(13)가 차례로 적층되어 하나의 물품을 이룬다. 이러한 탄성마루바닥재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바닥층(20) 위에 바로 설치되거나, 기초바닥층(20) 위에 방수시트(21)를 적층한 후 이 위에 설치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는 경질의 제1탄성체(111) 사이에 연질의 제2탄성체(1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제2탄성체는 주로 상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제1탄성체는 제2탄성체가 오랜 기간 눌려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탄성체(112)는 제1탄성체보다 연질로, 상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적당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탄성마루바닥재가 설 치된 체육관 등에서 마루바닥의 반발력을 좋게 한다.
이때, 제2탄성체(112)의 재질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중합체 중 하나인 EVA(Ethylene- Vinyl Acetate)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EVA는 동탄성계수가 평균 10MN/m3으로 충격흡수성이 우수하고 성형도 용이한 것이고, 충격흡수 기능과 동시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반발력을 위한 적절한 동탄성계수로 제조되기 유리한 재질이다. 더불어 EVA로 이루어지는 제2탄성체는 복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에서 63㎐ 부근에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중량 충격음을 잘 흡수할 수 있어 방음 효과를 가진다.
한편 제1탄성체(111)는 제2탄성체(112)보다 경질로 상부에서 전해지는 반복 하중에 의하여 제2탄성체(112)가 눌려 탄성이 저감되는 고착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제1탄성체(111)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또는 부타디엔고무(BR) 또는 클로로프렌고무(CR)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 군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장기간 하중이 지속되는 환경에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는 가격이 저렴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이고, 부타디엔고무(BR)는 반발탄성이 우수하다.
특히, 클로로프렌고무(CR) 내약품성, 내노화성 및 인장강도가 스티렌-부타디 엔고무(SBR) 및 부타디엔고무(BR) 보다 평균적으로 높아, 습기가 차기 쉬운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탄성력이 더욱 오래 지속되는 최적의 재질이다.
이로써, 연질인 제2탄성체(112)는 상부의 충격과 바닥 충격음을 흡수하면서, 상부에 적당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경질인 제1탄성체(111)는 연질인 제2탄성체가 하중에 오랜 기간 짓눌려 고착되지 아니하도록 상부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2탄성체의 탄성이 오랜 시간 지속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2탄성체는 탄성부재의 대략 80 내지 90%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제2탄성체의 차지면적과 제1탄성체의 차지면적의 비율을 통하여 시공이 완료된 마루바닥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탄성체(111)는 이웃하는 제1탄성체(111)와 등간격을 이루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에서 전해지 하중과 충격이 고르게 지지되거나 흡수되기 위하여 이웃하는 제1탄성체들의 형성 간격은 등간격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제1탄성체의 등간격 배치는 횡렬과 종렬로 등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바둑판식 배열이 될 수 있고, 사선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마름모식 배열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탄성마루바닥재는, 기존의 장선을 대체하여 콘트리트층 위의 기초바닥층에 바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탄성마루바닥재는 별도의 공기층을 형성하지 아니하므로, 공명에 의한 바닥 충격음의 반향 문제가 없게 되어 정숙한 실내 환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마루바닥의 반발력을 일정하게 오랜 기간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오랜 사용 기간이 지난 후에도 구성 부재의 노화에 따른 삐걱거림이 없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11) 위에는 상부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하부의 탄성부재로 고르게 전달하기 위한 합판(12)과 마루바닥면을 이루는 후로링부재(13)가 일체로 적층 형성된다.
이때, 합판(12)은 상부에서 전해지는 하중과 충격을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지 아니하도록 고르게 분산시켜 하부에 위치한 탄성부재(11)로 전달한다.
또한, 합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후로링부재(13)는 길게 형성되는 판재로 일측에는 촉(1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촉(131)이 끼워지는 홈(132)이 형성되어 이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합판(12)과 각각의 후로링부재(13)의 결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로링부재(13)의 촉이 형성된 측면(133)에서 비스듬하게 합판(12)에까지 박히는 못(P)으로 이루어거나, 후로링부재(13)의 바닥과 합판(12)의 상부에 접착제(B)가 개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못은 탄성부재까지 관통하여 탄성부재, 합판 및 후로링부재가 일체로 하나의 유닛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못을 대체하여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탄성부재, 합판 및 후로링부재가 일체로 유닛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유닛화된 탄성마루바닥재를 시멘트 바닥에 바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닛화된 탄성마루바닥재는 서로 측면이 접하여 빈틈없는 면을 형성하는 사각형, 정육각형, 팔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탄성부재의 제1탄성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12) 저면의 각 모서리(121) 부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닛화된 탄성마루바닥재(10)를 이용하여 마루바닥을 시공할 때, 각 모서리(121)가 겹쳐지는 부분의 합판(12) 하부에 제1탄성체(111)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이웃하는 탄성마루바닥재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집중하중이 있는 경우에도 제1탄성체가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되어 편심된 하중이 가해지는 탄성마루바닥재의 모서리부분이 하부로 꺼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루바닥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성마루바닥재에 채용된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루바닥재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마루바닥재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탄성마루바닥재
11 : 탄성부재 111 : 제1탄성체 112 : 제2탄성체
12 : 합판 121 : 모서리
13 : 후로링부재 131 : 촉 132 : 홈 133 : 측면
P : 못 B : 접착제
20 : 기초바닥층 21 : 방수시트

Claims (4)

  1. 경질의 제1탄성체(111) 사이에 연질의 제2탄성체(112)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부재(11)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1) 위에는 합판(12)과, 상기 합판(12)의 상부에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촉(1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촉(131)이 끼워지는 홈(132)이 형성되어 다수가 서로 이음결합되는 후로링부재(13)가 차례로 적층되는 탄성마루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후로링부재(13), 합판(12) 및 탄성부재(11)의 결합은 상기 후로링부재(13)의 촉(131)이 형성된 측면(133)에서 비스듬하게 상기 탄성부재(11)에까지 박히는 못(P)과, 상기 합판(12)과 상기 탄성부재(11)의 접촉면에 개재되는 접착제(B)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11), 합판(12) 및 후로링부재(13)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탄성체(111)는 클로로프렌고무(CR)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탄성체(112)는 EVA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의 면적의 80% 내지 90%을 차지하며,
    상기 제1탄성체(111)는 상기 합판(12)의 각 모서리(121)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마루바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03680A 2008-10-22 2008-10-22 탄성마루바닥재 KR10095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680A KR100959183B1 (ko) 2008-10-22 2008-10-22 탄성마루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680A KR100959183B1 (ko) 2008-10-22 2008-10-22 탄성마루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516A KR20100044516A (ko) 2010-04-30
KR100959183B1 true KR100959183B1 (ko) 2010-05-25

Family

ID=4221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680A KR100959183B1 (ko) 2008-10-22 2008-10-22 탄성마루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3412B1 (en) * 2018-11-30 2020-02-18 Cary Paik Acoustic flooring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78Y1 (ko) * 2006-09-29 2006-12-12 (주)창일 조립식 바닥재
KR100863295B1 (ko) * 2008-06-13 2008-10-15 이왕호 탄성 목재 마루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78Y1 (ko) * 2006-09-29 2006-12-12 (주)창일 조립식 바닥재
KR100863295B1 (ko) * 2008-06-13 2008-10-15 이왕호 탄성 목재 마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516A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096B2 (en) Sound insulating floor structure
CA2808903C (en)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CN201292643Y (zh) 可调节架空式地板龙骨
CA3031898C (en) Acoustic sleeper
JP6005038B2 (ja) 基礎床及び床システム
JPH0332673Y2 (ko)
KR100959183B1 (ko) 탄성마루바닥재
JPH0458545B2 (ko)
GB2412930A (en) Sound absorbent insulation for flooring
KR200408450Y1 (ko)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KR100852201B1 (ko) 마루판 받침구 및 이를 이용한 마루구조
JP2006118177A (ja) 防音床構造、防音床材及び防音床構造の施工方法
JPH11100976A (ja) 断熱二重床の施工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断熱二重床ユニット及び断熱材付き床パネル
JPH08199780A (ja) 防音二重床構造
RU2311516C2 (ru) Упруги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двесного пол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001191B1 (ko) 차음 방진용 체육관 마루바닥
JP2895015B2 (ja) きわ根太集成体
JPH0612121Y2 (ja) 床下用緩衝材
JP2727399B2 (ja) 直貼り床材の施工方法
JP2000064580A (ja) 防音床下地材
JP2004132055A (ja) 防音床構造
JPH0642041Y2 (ja) 壁際の床下地構造
JP2024039762A (ja) 床構造
KR101533287B1 (ko)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