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287B1 -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287B1
KR101533287B1 KR1020140038843A KR20140038843A KR101533287B1 KR 101533287 B1 KR101533287 B1 KR 101533287B1 KR 1020140038843 A KR1020140038843 A KR 1020140038843A KR 20140038843 A KR20140038843 A KR 20140038843A KR 101533287 B1 KR101533287 B1 KR 10153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elastic
ply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동
Original Assignee
(주)티엔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엔우드 filed Critical (주)티엔우드
Priority to KR102014003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가장 간편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한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학생들이 생활을 하는 목재 마루바닥인 교실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우선 뛰어 다니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시공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플로오링의 견고한 결합이 열변화에 따라서도 유지되고 강한 충격을 통해서 해체되지 않도록 하면서, 교실 바닥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class floor}
본 발명은 마루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가장 간편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한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학생들이 생활을 하는 목재 마루바닥인 교실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우선 뛰어 다니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시공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플로오링의 견고한 결합이 열변화에 따라서도 유지되고 강한 충격을 통해서 해체되지 않도록 하면서, 교실 바닥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바닥은 목재 패널인 플로오링의 결합을 통해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내장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건축물의 대표적인 곳이, 특수한 목적의 체육관, 가정집, 학생들의 교실 및 기타 다양한 건축물에서 마루 바닥을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마루 바닥, 교실바닥은 대다수의 자재를 목재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럼 종래의 이 건 발명과 유사한 마루바닥, 교실바닥의 시공방식을 유추할 수 있는 "탄성 흡음재를 이용한 목재 마루 구조" 등록 10-470327호의 종래기술 설명편을 살펴본다. 이 선행기술의 명세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상식적인 설명이 채워져 있다.
"사실상 인류는 오래 전부터 주거 공간의 바닥재로 목재를 사용하여 왔으며, 현대에 와서도 친 환경적이며, 고급스런 품격스러움, 때문에 주거 공간뿐 아니라, 체육시설, 교육시설, 각종 상업 시설 등 다양한 공간에 목재 마루를 설치하여 왔다. 이러한 목재 마루를 설치하는 기존의 마루 구조는 다음의 세 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첫째로는, 형성된 하부 바탕면에 접착제를 전면에 도포한 후 그 위에 마루널을 붙여가는 구조로, 이러한 구조는 바닥면과 마루와의 접착력은 좋으나 마루널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과 충격음이 여과 없이 그대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하부 구조가 멍에, 장선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명음까지 확대되는 현상이 있다.
현재 국내 마루 시공의 50% 정도가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도 40% 정도가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경질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치장목질마루(일명 합판마루)를 제외한 통원목 등의 마루에는 목재의 수축팽창을 접착제가 견디지 못하여 이 구조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또 장기간 사용 후 노후된 마루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바닥 전면에 도포된 경질 접착제로 인하여 철거가 힘들고, 기초 바닥면의 습기가 덜 제거된 상태에서 시공을 하였을 경우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을 뿐 아니라 즉각 마루널에 영향을 주어 팽창하고, 바닥면의 평활도가 좋지 않을 경우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므로 시공 전에 현장조건의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로는, 마루 하부면과 마루재 사이에 탄성을 지닌 발포 시트를 깔고 그 위에 마루널을 그냥 얹어서 설치하는 구조로, 바닥과 탄성 발포시트, 탄성 발포시트와 마루재 사이에 일체의 접착제나 결속용 못을 사용하지 않으며 단지 마루와 마루를 연결하는 마루널 측면의 홈(tongue)과 혀(groove)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마루널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다. 시공이 간편하고 철거가 용이하여 국내에서는 약 10% 정도 이 구조를 사용하고 있고, 유럽에서는 약 60%가 이 구조를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마루널과 바닥 사이에는 경제적 이유 때문에 주로 개방세포형 폴리에틸렌 발포시트(OPEN CELL TYPE XL PEFOAM SHEET)를 사용하나, 이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OPEN CELL TYPE XL PE FOAM LAYER)는 흡음 효과는 탁월하나 복원력(탄성)이 좋지 않아서, 거의 대부분이 밀폐세포형 무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CLOSED CELL TYPE NON-XL PE FOAM LAYER)를 사용한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거나 무거운 물건 등으로 계속해서 눌릴 경우 밀폐세포형 무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CLOSED CELL TYPE NON-XL PE FOAM LAYER)는 상부의 무게에 눌려서 탄성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마루 전체가 내려앉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는, 마루와 하부 바탕면 사이에 목질재의 하부 틀 구조를 형성하고 그 틀과 마루널을 결속하는 수단으로 무두못이나 스테이플 등을 사용하는 구조이다. 반드시 마루 밑에 목질재의 틀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간이 필요하고, 비어있는 공간의 위생문제, 장기간 사용 시 하부틀재 및 못의 부식에 의한 마루의 붕괴와 삐걱거림, 설치비용의 과다 등으로 현재 대부분의 유럽에서 이러한 구조는 극히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특수 용도의 체육관이나 학교 교실 등 제한된 곳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공보에서 발취)
종래 선 발명에서 설명된 목재 마루바닥, 또는 교실바닥은 상당 부분 일리가 있는 지적이다.
상기 설명에서 첫번째로, 기술된 하부 바탕면에 접착제를 전면에 도포한 후 그 위에 마루널을 붙여가는 구조의 마루바닥은, 지적에서처럼 바닥면의 평활도가 좋지 않고,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의 판단에 의하면, 소음의 제거도가 낮아 학생들이 뛰어 다니며 놀 수 있는 교실바닥에는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두번째로, 마루 하부면과 마루재 사이에 탄성을 지닌 발포 시트를 깔고 그 위에 마루널을 그냥 얹어서 설치하는 구조의 마루바닥은, 흡음의 효과는 있지만 마루바닥이 내려 앉은 소지가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의 판단에 의하면 사실상 이 문제점은 심각하다. 개방세포형 폴리에틸렌 발포시트나 밀폐세포형 폴리에틸렌 발포시트를 사용하는 마루바닥은 일측만 내려앉을 경우에 마루바닥의 모양이 흉하고, 일측만이 돌출되어 올라 온 상태에서는 보행자가 상해를 입을 소지도 있어, 사실상 이러한 마루바닥은 국내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세번째로, 마루와 하부 바탕면 사이에 목질재의 하부 틀 구조를 형성하고 그 틀과 마루널을 결속하는 수단으로 무두못이나 스테이플 등을 사용하는 구조의 마루바닥은, 마루붕괴와 삐걱거림이 있어, 일부 체육관과 학교 교실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의 판단에서도 이러한 마루바닥의 경우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특히 학교 교실의 경우 아이들이 뛰어놀기에 하중을 크게 받을 경우에는 마루의 붕괴 위험이 크고, 삐걱거림은 심각하여, 아이들이 상해를 입을 정도의 문제점을 낳는다.
결국 종래 선행기술이었던 "탄성 흡음재를 이용한 목재 마루 구조", 10-470327호는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탄성흡음제를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를 깔고 탄성보강용 접착제(22)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은 다수의 목재 교실 바닥을 시공하면서 이러한 제안된 기술적 효과들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실무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종래 선행기술의 경우, 고비용의 설치비용이 발생된다.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의 경우 고가이며, 그 두께가 상당하여 충격의 흡수는 물론 흡음의 효과가 높지만 시공을 어렵게 한다.
또한, 두께가 약 2-5cm 두께로 이루어진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의 경우 탄성보강용 접착제(22)를 투입하기 위한 접착구멍(24)을 일정영역 형성해야 하는데, 이 시공 과정이 사실상 어렵다. 번거로운 수작업을 통해서만 달성해야 하고, 그 간격을 멀리하면, 그 사이에 존재하는 탄성흡음제(20)인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는 가압되어 가라앉고, 마루널(40)과의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기에 문제점을 동반한다. 그 간격에 벌레나 불순물 먼지가 끼이게 되면, 오랜 사용시 아이들의 아토피 피부병이 발생될 소지가 높았던 것이다. 사실상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종래의 시공 방식은 내구성이 떨어지면서, 그 시공 단가를 상승시켜 더 큰 문제점을 낳은 것이다.
특히 아이들이 뛰어다니며, 강한 충격을 발생시키는 마루바닥인 학교의 교실바닥을 시공하기에는 역부족이고, 무리가 많은 시공방식이었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은 이 건 발명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제거하였다.
본 발명은 마루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가장 간편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한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학생들이 생활을 하는 목재 마루바닥인 교실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우선 뛰어 다니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시공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플로오링의 견고한 결합이 열변화에 따라서도 유지되고 강한 충격을 통해서 해체되지 않도록 하면서, 교실 바닥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바닥면이 되는 슬라이브(1)의 상면에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를 교번적으로 깔아 층을 형성한 후; 상기 장선이 되는 지지기능의 플라이(11) 상면에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고 플라이(11)가 배열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플로오링(13)의 암수 끼움구조(20)를 통해서 체결하여 교실바닥(100)을 시공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따른, 슬라이브(1)의 상면과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의 결합은, 콘크리트 슬라이브(1)의 상면에 도포한 탄성접착제(12)를 통해서 견고히 결합되고 : 상기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는 그 두께가 5-7mm이며; 상기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는, 탄성흡음제(10)의 폭이 50-100cm가 되도록 배열하고, 그 측방에 폭이 7-13cm인 플라이(11)를 깔아 교번적으로 콘크리트 슬라이브(1)에 전체적으로 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따른, 장선인 플라이(11)는, 목재로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안착될 마루 바닥 플로오링(13)과 열팽창률이 동일하도록 하고 : 상기 탄성흡음제(10)는,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이거나 또는 밀폐세포형 무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이며 : 플로오링(13)의 암수 끼움구조(20)는 요철구조를 통해서 끼워 결합하도록 하되, 별도의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얇은 형태의 플라이를 이용하여 슬라이브의 상면에 탄성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라이는 물론 최 상단의 플로오링을 접착하여 결합하기에 목재와 목재를 서로 접착 체결하는 방식을 통해서 발생되는 지지력의 향상과 내구성의 향상을 큰 장점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탄성본드를 통해서 발생되는 부드럽고 유연한 탄성에 의해서 플로오링의 온도, 습도 변화에 따른 부피의 변화에도 동일한 거리 연동을 달성하여 플로오링의 암수 끼움구조가 해체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탄성본드에 의해서 층이 생기고, 이 층은 쿠션과 탄성을 가져와 내구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목재 마루 구조를 일부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목재 마루 구조에서 사용하는 흡음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 목재 마루 구조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도로써,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마루구조를 변형하여 시공한 종래의 마루 구조 사시도,
도 5는 종래도로써, 도 4의 시공방식을 따른 마루구조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이 건 발명의 마루 구조를 사시도록 도시한 일부 요부도,
도 7은 이 건 발명의 마루 구조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이 건 발명의 마루 구조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이 건 발명의 마루 구조가 일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0은 이 건 발명의 마루 구조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도시된 도 4 내지 10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면이 되는 슬라이브(1)의 상면에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를 교번적으로 깔아 층을 형성한 후; 상기 장선이 되는 지지기능의 플라이(11) 상면에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고 플라이(11)가 배열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플로오링(13)의 암수 끼움구조(20)를 통해서 체결하여 교실바닥(100)을 시공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은 우선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특징을 가진다. 이 건 발명은 종래 다양한 방식으로 시공되던 마루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에 타 기술에 비하여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종래의 마루 바닥 시공방식에 비하여 낮은 시공단가를 가진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은 시공된 마루 바닥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종래 시공방식으로 시공된 마루바닥과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견고하고 변형율이 적다.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은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 시간이 적고, 종래의 시공기술을 접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이 건 발명은 도시된 도 6과 10을 통해서 살펴보면, 콘크리트 바닥이 되는 슬라이브(1)에 탄성흡음제(10)와 플라이(11)를 교번적으로 깔아 탄성층을 형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탄성층과 지지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방식이다.
"종래기술의 명세서(10-47032호)에서는 콘크리트면에 흡음재(20)를 깔고, 접착구멍(24)에 접착제(22)를 도포한 상태에서 마루널(40)을 안착시켜 마루바닥, 교실바닥을 시공하였다. 이러한 마루바닥, 교실바닥은 흡음재(20)로 개방세포형 가교풀리에틸렌발포시트를 사용하기에 그 명세서의 설명에서와는 달리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흡음재(20)인 개방세포형 가교풀리에틸렌발포시트는 고가이고, 그 두께가 두툼하여 탄성과 흡음의 효과가 있었으나, 복원성이 없다. 일단 푹 꺼진 마루 바닥은 다시 복원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특히 일측만이 꺼진 마루 바닥은 전체를 들어내고, 다시 장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개방세포형 가교풀리에틸렌발포시트에 형성되야 하는 접착구멍(24)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서 형성해야 하는데, 마루 바닥의 경우 마루널(40; 도 1에 도시된 정사각형 형태의 패널)이 아닌, 좁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한 플로오링(41; 도 4에 도시)의 형상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마루널(40)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양자의 사용에 대응하기란 어렵다.
특히 플로오링(41)을 까는 마루 바닥의 경우, 좁은 플로오링(41)에 적응하기 위해서 아주 조밀한 접착구멍(24)을 형성해야만 하는 종래 목재 마루 구조는 번거로운 작업이 계속된다. 접착구멍(24)은 일일이 작업자가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펀칭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시공이 완성되고 난 후에도 그 흡음제의 내구성이 떨어져 복원력이 없어지고, 견고한 지지력이 없어 학생들이 뛰어 노는 학교 교실 바닥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적인 변형이 있었다. 즉, 도시된 도 4와 5는 전술된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탄성 흡음재를 이용한 목재 마루 구조", 10-470327호를 약간 변형하여 현재 시공되고 있던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접착제(22)가 충진되는 접착구멍(24)을 듬성듬성 형성하고, 플로오링(41)의 형태가 아닌 넓은 판재의 형태인 마루널(40; 도 1에 도시)을 사용하거나, 흡음재(20)의 상부에 지지판(30)을 더 안착하여 접착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넓은 판재의 형태인 목재 지지판(30)이 전면적으로 흡음재(20)를 가압하여 흡음재(20)가 가라앉는 현상을 방지한다. 변형 전의 기술에서는 일부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되지만 이 기술의 경우 일부가 가라앉는 현상이 없으면서도 흡음의 효과가 뛰어나고 탄성을 유지하기 용이하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도 문제점이 발생된다.
개방세포형 가교풀리에틸렌발포시트의 비용이 고가이면서, 그 위에 깔이는 지지판(30)의 자재비는 더 고비용이기에 실질적으로 시공 단가를 높인다. 또한 그 상부에 깔이는 마루널(40)과의 결합을 위해서 접착제(24)를 도포하고 있는데, 이 접착제(24)가 듬성듬성 도포되어 마루널(40)과 지지판(30)과의 쿵쾅거리는 소음이 발생된다는 점이다."(종래기술의 설명)
결국 이 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지기능을 위한 플라이(11)와 탄성흡음제(10)를 교번적으로 깔아 지지와 탄성흡음의 기능을 향상시켰다. 즉, 상기 탄성흡음제(20)는 흡음과 복원 및 탄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깔아주는 것이다. 이후, 상기 플라이(11) 상면에 탄성접착제(22)를 도포하여 이 플라이(11)와 수직방향으로 깔이는 플로오링(13)을 접착 끼움 결합시킨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인 플로오링(13)의 깔리는 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열된 지지기능의 플라이(11)는 도시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오링(13)의 상부에서 가압되는 하중을 견고히 지지한다. 즉, 탄성흡음제(10)가 눌리어 복원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차단된다. 플로오링(13)은 장형이고, 그 하단에서 플로오링(13)을 지지하는 플라이(11)는 플로오링(13)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한 상태이며, 그 사이에 안착된 탄성흡음제(10)에 의해서 플로오링(13)은 항상 탄성을 받아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플라이(11)의 상면에 도포되는 탄성접착제(12)는 쿠션이 우수하고, 탄성이 높다. 마치 고무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기도 하면서, 접착제로 작용하여 양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유도한다.
결국 이 건 발명은 플라이(11)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탄성을 주어 플로오링(13)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하면서도, 탄성흡음제(10)를 통해서 흡음과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내구성이 높고,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 단가를 낮춘다. 또한 흡음 및 탄성이 높아, 학교 교실 바닥이나 큰 하중이 가해지는 마루 바닥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의 시공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슬라이브(1)의 상면과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의 결합은, 콘크리트 슬라이브(1)의 상면에 도포한 탄성접착제(12)를 통해서 견고히 결합된다.
마루 바닥의 경우, 제 위치를 갖추고 강한 충격에도 이리 저리 연동하면 안된다. 그를 위해서 장선이 되는 플라이(11)의 저면과 슬라이브(1)의 상면은 고 탄력을 가진 탄성접착제(12)를 통해서 견고히 결합되야 한다. 시공시에는 짜는 형태로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게 되는데, 도 6의 확대도에서처럼, 2개의 라인이 길게 형성되는 형태로 짜서, 플라이(11)를 접착한다. 물론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넓게 펼쳐서 도포시켜 접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성접착제(12)의 물성과 특성을 설명하자면, 이 탄성접착제(11)는 뛰어난 접착성능을 가져야 하고, 경화되면 고무와 같은 물성을 영구적으로 지녀야 하는 특성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시공성을 위하여 초기에는 액상 형태를 지녀야 하나, 액상일지라도 일정한 점도가 내재하여 스스로 흘러내리거나 주입 후 곧 바로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것이라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효과, 방진고무의 효과, 탄성흡음재(10)의 보호효과 등 여러 가지 역할을 담당하는 탄성접착제(12)는 석유 화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현재 세계 유수의 화학 업체들에 의해 개발이 되어 있으므로 구입이 손쉽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폴리우레탄을 주원료로 하는 'Sika Australia Pty. Limited'의 'sikaflex-292'의 경우, 충격 흡수율과 접착성이 뛰어나며 복원력(탄성) 또한 탁월하다. 또 보존 시에는 기밀한 팩에 일정한 점도를 내재하고 있는 액체상태로 보존되다, 충진 시에 바로 경화되기 시작하여 고체와 같은 물성을 가지며 탄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sikaflex-292'는 상부의 하중이 있을 경우 이를 지탱하거나 감당할 수 있는 복원력(탄성)이 뛰어나며, 시공 부위의 세균성장을 억제하며 부식작용도 없어 접착력 또한 탁월하여 본 발명의 탄성 보강용 접착제(12)로 적합하다. 물론 이와 대동소이한 특성을 가진 타 종류의 접착제도 사용된다.
나아가 이 건 발명의 탄성흡음제(10)의 저면에도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여 완벽하게 밀착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흡음제(10)의 경우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은박지가 도포된 흡음제, 흔히 보온제로 사용하던 탄성흡음제(10)도 사용될 수 있고, 패드 형태의 탄성흡음제(10)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 건 발명의 경우, 플라이(11)의 기능이 탄성흡음제(10)가 무리하게 눌리고 깔리는 현상을 방지하기에 탄성흡음제(10)의 탄성이 아주 높을 필요도 없고, 또 복원력이 우수할 필요도 없다. 단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어느 정도의 복원성능을 가지면 무방하다.
또한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는 그 두께(t)가 5-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흡음제(10)는 합성수지 재질이고, 플라이(11)는 목재이다. 정확하게는 베니어합판과 같은 가공목재를 사용함이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져다 준다. 플라이(11)는 얇지만, 슬라이브(1)에 깔린상태에서는 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의 역할을 하면서, 좌우 양방향에 위치하는 탄성흡음제(10)가 지나치게 가압되어 눌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비록 탄성흡음제(10)에 비하여 고 탄력을 가지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탄성과 지지력을 갖추고 있고, 흡음성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플라이(11)는 다수의 목재층이 본딩되어 결합된 상태이기에 흡음능도 뛰어난 편이다. 이러한 탄성흡음제(10)나 플라이(11)는 이 건 발명의 경우 도시된 도 6에서처럼, 그 두께가 약 5-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플라이(11)의 경우 5mm가 기본적인다. 가격도 그러하고, 설치를 위해서 절단하는 과정에서 용이함을 제공하기에 그러하다. 이에 반하여 탄성흡음제(10)의 경우 동일한 두께인 5mm가 사용되도 무방하며, 이보다 더 두꺼운 7mm가 사용되도 된다. 탄성흡음제(10)가 플라이(11)에 비하여 높은 두께로 깔리고, 플로오링(13)이 안착되어 지그시 누르고 있게 되면, 플로오링(13)은 일정한 항력을 받아 상방향으로 항상 힘을 부여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라이(11)와 플로오링(13)이 탄성접착제(12)를 통해서 견고히 결합된다. 이 힘의 작용은 플로오링(13) 저면과 플라이(11)의 상면간의 마찰과 충격을 해소하고,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플라이(11)의 상면에 도포되는 탄성접착제(12)의 탄성력도 무시할 수 없기에 이 건 발명의 마루 바닥, 교실 바닥은 고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와 학생이 뛰어 놀면서 발생시키는 하중에도 저항력과 탄성을 발휘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물론 아이들은 미세하게 작용하는 탄성력을 통해서 다치거나 상해를 입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시공방식의 경우, 흡음재가 대체적으로 약 3cm 내지 5cm의 두께이기에 단가가 높고, 견고함이 떨어진다는 점도 해결하였다.
또한 이 건 발명은 도시된 도 6에서처럼, 상기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는, 탄성흡음제(10)의 폭(B)이 50-100cm가 되도록 배열하고, 그 측방에 폭(A)이 7-13cm인 플라이(11)를 깔아 교번적으로 콘크리트 슬라이브(1)에 전체적으로 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전술된 설명에서 탄성흡음제(10)와 플라이(11)는 교번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깔아 하나의 층을 형성한다고 설명하였다. 탄성흡음제(10)는 그 폭(B)이 약 50cm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플라이(11)는 약 10cm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앞선 설명에서처럼, 탄성흡음제(10)는 약 100cm 정도까지 그 폭을 키워서 배열할 수도 있고, 그 측방에 배열되는 플라이(11)는 7-13cm의 폭(A) 중 선택할 수 있다. 이 폭(A)의 수치한정의 이유는 설치가 가장 간편하기 때문이다. 탄성흡음제(10)의 경우 시중에 판매되는 흡음제의 폭(B)이 100cm의 것도 있고, 50cm의 것도 있다.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이 50-100cm 안의 탄성흡음제(10)가 가장 바람직한 흡음의 기능과 탄성능을 발휘한다. 물론 이는 같이 배열되는 플라이(11)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기술적 효과이다.
또한 장선인 플라이(11)는, 목재로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안착될 마루 바닥 플로오링(13)과 열팽창률이 동일하도록 한다. 플라이(11)와 목재 바닥 플로오링(13)의 경우 모두 목재로 마련된다. 목재의 경우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따라 부피, 길이 변화를 한다. 이 변화에 적응되지 못하면 플로오링(13)은 그 끼움구조(20)의 해체가 이루어진다.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끼움구조(20)는 일측이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인데, 부피변화에 따라 플로오링(13)의 하단과 플로오링(13) 자체의 부피변화에 차이가 발생되면 끼움구조(20)가 빠지는 경우가 많다. 타 시공방식에서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지만, 이 건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없다. 플로오링(13)의 바닥면과 플라이(11)의 상면은 탄성접착제(12)를 통해서 강하게 결합되어 있기에 서로간의 분리는 어렵다. 또한 부피변화와 하중과 압력에 따른 뒤틀림은 탄성접착제(12)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이 이를 해결한다. 일정한 임시적인 폭의 연동은 고무성질을 가진 탄성접착제(12)의 부피변화와 복원력을 통해서 해결될 수 있으며, 일정기간의 폭의 이동 즉, 부피변화는 동일한 변화률을 가진 플라이(11)와 플로오링(13)의 접착제 연결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이는 끼움구조(20)의 항시적인 견고한 체결을 달성하여, 마루 바닥의 해체가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흡음제(10)는,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이거나 또는 밀폐세포형 무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는, 흡음의 효과가 뛰어나고 난연성이 높으며, 단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인체에 위해하지 않고, 내구성이 길며 내유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탄성흡음제(10)는 목재 플로오링(13)에 항상 밀착된 상태이기에 플로오링(13)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진동에너지가 발생되면, 이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변화시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에 반하여, 밀폐세포형 무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더 높다는 성질이 있다. 이 건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든 종류의 발포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플라이(11)가 지지기능을 동일한 평면상에서 수행하기 때문이다. 특히나 이 건 발명은 5mm 정도의 얇은 탄성흡음재(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플라이(11)의 지지력에 의해서 얇은 탄성흡음재(10)를 사용하여도 눌리는 일이 없으면서도, 탄성이 살아나기에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 건 발명은 플로오링(13)의 암수 끼움구조(20)는 요철구조를 통해서 끼워 결합하도록 하되, 별도의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시된 도 8의 도면에서처럼, 이 건 발명의 끼움구조(20)는 돌부가 요부에 끼워져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는 구조이다. 이 끼움구조(20)에 이 건 발명에서 사용하는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여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면 온도나 습도에 따른 부피변화에 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강한 충격에 의해서 발생되는 뒤틀림과 압력에도 잘 적응하여 끼움구조(20)의 해체가 차단된다.
10; 탄성흡음제 11; 플라이
12; 탄성접착제 13; 플로오링

Claims (7)

  1. 교실바닥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면이 되는 슬라이브(1)의 상면에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를 교번적으로 깔아 층을 형성한 후; 상기 장선이 되는 지지기능의 플라이(11) 상면에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고 플라이(11)가 배열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플로오링(13)의 암수 끼움구조(20)를 통해서 체결하여 교실바닥(100)을 시공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되;
    상기 슬라이브(1)의 상면과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의 결합은,
    콘크리트 슬라이브(1)의 상면에 도포한 탄성접착제(12)를 통해서 견고히 결합하고;
    상기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는 그 두께(t)가 5-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흡음제(10)와 장선인 플라이(11)는, 탄성흡음제(10)의 폭(B)이 50-100cm가 되도록 배열하고, 그 측방에 폭(A)이 7-13cm인 플라이(11)를 깔아 교번적으로 콘크리트 슬라이브(1)에 전체적으로 층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장선인 플라이(11)는, 목재로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안착될 마루 바닥 플로오링(13)과 열팽창률이 동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흡음제(10)는, 개방세포형 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이거나 또는 밀폐세포형 무가교폴리에틸렌발포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플로오링(13)의 암수 끼움구조(20)는 요철구조를 통해서 끼워 결합하도록 하되, 별도의 탄성접착제(12)를 도포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KR1020140038843A 2014-04-01 2014-04-01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KR10153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43A KR101533287B1 (ko) 2014-04-01 2014-04-01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43A KR101533287B1 (ko) 2014-04-01 2014-04-01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287B1 true KR101533287B1 (ko) 2015-07-02

Family

ID=5378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43A KR101533287B1 (ko) 2014-04-01 2014-04-01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2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27B1 (ko) * 2001-10-12 2005-02-21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탄성 흡음재를 이용한 목재 마루 구조
KR200443146Y1 (ko) * 2008-05-16 2009-01-15 (주)이엔지우드 마루 구조
KR20100131200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경동우드테크 탄성흡음재를 이용한 목재마루 구조
JP2011122330A (ja) * 2009-12-09 2011-06-23 Daiken Corp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27B1 (ko) * 2001-10-12 2005-02-21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탄성 흡음재를 이용한 목재 마루 구조
KR200443146Y1 (ko) * 2008-05-16 2009-01-15 (주)이엔지우드 마루 구조
KR20100131200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경동우드테크 탄성흡음재를 이용한 목재마루 구조
JP2011122330A (ja) * 2009-12-09 2011-06-23 Daiken Corp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8903C (en)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MX2011002873A (es) Tapete y sistema acustico bituminoso multifuncional.
EP1001111B1 (de) Trittschallisolierte Fussbodendiele
KR100863295B1 (ko) 탄성 목재 마루구조
JP4662865B2 (ja) リフォーム用床材
KR101533287B1 (ko) 흡음 목재 교실바닥 시공방법
KR100867181B1 (ko) 흡착식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구조
KR100470327B1 (ko) 탄성 흡음재를 이용한 목재 마루 구조
JPS6378961A (ja) 制振複合床材
JPH055356A (ja) 防音緩衝材およびこれを有する木質系防音床材
JPH0333884Y2 (ko)
KR20090089722A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JPH0425481Y2 (ko)
JPH0355705Y2 (ko)
KR20100131200A (ko) 탄성흡음재를 이용한 목재마루 구조
KR20200001081U (ko) 마루장판
JPH0425482Y2 (ko)
KR100959183B1 (ko) 탄성마루바닥재
JP2501199Y2 (ja) 木質系直貼用拘束型制振床部材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JP2012092548A (ja) リフォーム用の木質床材構造
JP6531192B1 (ja) 界床材
JPH0528276Y2 (ko)
JPH038429Y2 (ko)
JPH05464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