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026A - 점안 보조구 - Google Patents

점안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026A
KR20200127026A KR1020207028694A KR20207028694A KR20200127026A KR 20200127026 A KR20200127026 A KR 20200127026A KR 1020207028694 A KR1020207028694 A KR 1020207028694A KR 20207028694 A KR20207028694 A KR 20207028694A KR 20200127026 A KR20200127026 A KR 20200127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eye drop
aid
container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마코 야마가타
요시히로 오시타
다이키 구사오케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심플한 구조로, 점안 대상자의 눈에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는 점안 보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안 보조구(1)는, 접안 가이드(20)가,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접안 가이드(20)를 눈 주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점안 용기(30)의 점안액의 액적이, 상기 눈의 표면의 중심 위치(X)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측으로 어긋난 위치(A)에 적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점안 보조구
본 발명은 점안의 보조를 행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점안은, 환자의 얼굴을 상향으로 한 상태로, 환자의 눈에 점안액을 적하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환자의 눈에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눈꺼풀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위치 조정부를 마련함으로써, 환자의 눈에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점안약 용기병용 유도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표 제2016-508054호 공보(2016년 3월 17일 공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점안약 용기병용 유도 기구에서는, 위치 조정부를, 사용 위치(점안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힌지를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사용 빈도가 많으면, 힌지 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워져, 유도 기구로서의 신뢰성이 저하한다. 더구나, 유도 기구 자체가 복잡한 구조가 되기 때문에, 유도 기구의 제조에 드는 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점안액을 정확하게 점안할 수 없으면, 약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안질환의 치유 기간이 장기간에 걸쳐, 치유되지 않는다고 하는 상황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환자의 정신적인 부담의 증가나 의료비의 대폭적인 증가라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심플한 구조로, 점안 대상자의 눈에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는 점안 보조구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는, 점안액을 수용한 점안 용기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점안 대상자의 눈 주위에 접촉하여 그 눈에의 점안액의 적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 점안 보조구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점안 용기의 점안액의 액적이, 상기 눈의 표면의 중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적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가,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점안 용기의 점안액의 액적이, 상기 눈의 표면의 중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적하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에서는, 점안액의 적하 위치는 눈의 중심보다 상검측이 되지만,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부터 서서히 일어나면, 점안액의 적하 위치도 눈의 하검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따라서, 점안 자세가 앉은 또는 선 자세여도, 점안액을 눈에 적절하게 적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위치 결정부를,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점안 용기의 점안액의 액적이, 상기 눈의 표면의 중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적하되도록 형성한다고 하는 심플한 구조로, 점안 대상자의 눈에 적절하게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점안액을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그 결과, 안질환의 치유 기간의 단축, 환자의 정신적인 부담의 경감이나 의료비의 대폭적인 억제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눈 주위에 접촉하였을 때의 하검에 대향하는 위치가 절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의, 눈 주위에 접촉하였을 때의 하검에 대향하는 위치가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절결된 부분에 손가락을 넣어 하검을 하측으로 잡아 당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더욱,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손가락을 절결 부분에 넣음으로써, 위치 결정부가 부주의하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를 원하는 위치에 접촉시키기 쉽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눈의 눈초리에 접촉하는 부분과, 눈구석에 접촉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상기 점안 대상자의 안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눈의 눈초리에 접촉하는 부분과, 눈구석에 접촉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상기 점안 대상자의 안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눈 주위에서 다른 부분보다 움패어 있는 눈초리, 눈구석에 맞추어 위치 결정부를 용이하게 접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를 적절한 위치에 접촉시키기 쉽다.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속되어, 상기 점안 용기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점안 용기의 용기 본체를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된 상기 점안 용기의 용기 본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와 일체화한 장착부에 점안 용기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장착부의 2개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점안 용기 본체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심플한 구조로, 점안 대상자의 눈에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점안액을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그 결과, 안질환의 치유 기간의 단축, 환자의 정신적인 부담의 경감이나 의료비의 대폭적인 억제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점안 보조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점안 보조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점안 보조구를 이용한 점안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점안 보조구에 장착한 점안 용기의 점안용의 노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점안 보조구를 이용한 점안 실험을 행할 때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점안 보조구를 이용한 점안 실험을 행할 때의, 점안 거리, 점안 각도에 따른 점안의 성공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점안 실험의 1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점안 실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점안 실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투약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점안 보조구의 개요>
점안 보조구의 개요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1)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점안 보조구(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100)(사용자, 점안 대상자, 피투여자)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구이다. 점안 보조구(1)는, 보조구 본체(장착부)(10) 및 접안 가이드(위치 결정부)(2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자(100) 자신이 점안 보조구(1)를 사용하여 점안 용기(용기 본체)(30)로부터 점안하는 예를 설명한다. 즉, 환자(100)는, 점안 보조구(1)의 사용자이며, 또한, 점안액의 피투여자이다. 한편, 점안 보조구(1)의 사용자와, 피투여자가 다른 사람이어도 좋다.
이하에, 점안 보조구(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 점안 보조구(1)의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점안 보조구(1)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점안 보조구(1)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점안 용기(30)는, 점안액을 토출시키는 점안 토출부(30a), 점안액을 수용하는 점안액 수용부(30b)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보조구 본체(10)>
보조구 본체(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이며, 점안액을 수용한 점안 용기(30)를 착탈이 자유롭게 하는 장착부이다. 보조구 본체(10) 주위에는, 점안 용기(30)를 출납하기 위한 제1 개구부(10a)와, 제1 개구부(10a)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개구부(10a)보다 작은 제2 개구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보조구 본체(10)에,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를 접안 가이드(20)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점안 용기(30)의 점안액 수용부(30b)를 장착하면, 상기 점안액 수용부(30b)의 일부가 제1 개구부(10a)와 제2 개구부(10b)로부터 노출된다. 사용자는, 보조구 본체(10)로부터 노출된 점안 용기(30)의 점안액 수용부(30b)를 손가락으로 직접 누름으로써, 상기 점안액 수용부(30b)에 수용된 점안액을 점안 토출부(30a)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구 본체(10)의 제1 개구부(10a)와 제2 개구부(10b)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이 절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조구 본체(10)에 장착된 점안 용기(30)의 점안액 수용부(30b)의 노출 부분이 많아져, 상기 점안액 수용부(30b)를 더욱 누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조구 본체(10)의 내면에는, 점안 용기(30)를 장착하였을 때에, 점안액 수용부(30b)를 저면에 접촉하는 제1 리브(11), 상기 점안액 수용부(30b)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2 리브(12), 상기 점안액 수용부(30b)의 상면 측부에 접촉하는 제3 리브(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리브(11), 제2 리브(12), 제3 리브(13)에 의해, 보조구 본체(10)에 장착된 점안 용기(30)의 점안액 수용부(30b)를 확실하게 홀드하도록 되어 있다. 단, 점안액 수용부(30b) 및 보조구 본체(10)는,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즉, 점안액 수용부(30b)와 보조구 본체(10)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점안액 수용부(30b)를 보조구 본체(10)에 홀드하고 있다.
또한, 보조구 본체(10)는, 접안 가이드(20)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평면을 아래로 하여 책상 등의 평면에 배치함으로써, 점안 보조구(1)를 자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접안 가이드(20)>
접안 가이드(20)는, 보조구 본체(10)에 연접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 1의 눈(101) 주위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안 가이드(20)와 보조구 본체(10)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따로따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안 가이드(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 1의 눈(101) 주위에 직접 접촉하는 제1 개구부(20a), 보조구 본체(10)의 제1 개구부(10a)에 연통한 제2 개구부(20b), 상기 보조구 본체(10)의 제2 개구부(10b)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3 개구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접안 가이드(20)의 제2 개구부(20b)와 제3 개구부(20c)는, 보조구 본체(10)에 점안 용기(30)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보조구 본체(10)에 점안 용기(30)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에 끼워진 캡(도시하지 않음)을 제2 개구부(20b)와 제3 개구부(20c)에 손가락을 넣어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안 보조구(1)를 사용할 때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가이드(20)의 제1 개구부(20a)에 있어서의 제2 개구부(20b) 형성측의 상단(20d)을 환자(100)의 눈(101)의 상검(101a)측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부(20a)에 있어서의 제3 개구부(20c) 형성측의 하단(20e)을 환자(100)의 눈(101)의 하검(101b)측에 접촉시킨다.
제1 개구부(20a)의 하단(20e)은, 제3 개구부(20c)측을 향하여 만곡한 만곡부(20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20f)는, 환자(100)가 오른손(102)으로 점안 보조구(1)를 조작할 때에, 그 환자(100)의 왼손(103)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안 가이드(20)를 눈(101) 주위에 접촉시킨 상태로, 만곡부(20f)로부터 손가락을 넣어, 하검(101b)을 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은 오른손(102)으로 점안 보조구(1)를 조작하고, 왼손(103)의 손가락을 접안 가이드(20)의 만곡부(20f)에 넣어 그 점안 보조구(1)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왼손(103)으로 점안 보조구(1)를 조작하고, 오른손(102)의 손가락을 접안 가이드(20)의 만곡부(20f)에 넣어 그 점안 보조구(1)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점안 보조구(1)는 좌우 대칭 구조여도 좋다. 또한, 하검(101b)을 내리는 손과, 점안액 수용부(30b)를 누르는 손이, 좌우의 손의 각각으로 결정된, 좌우 비대칭 구조, 즉, 오른손잡이용 또는 왼손잡이용의 구조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접안 가이드(20)에 있어서 만곡부(20f)를 마련하면, 상기 접안 가이드(20)의 눈(101) 주위에 접촉하였을 때에, 만곡부(20f)에 손가락을 넣음으로써,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접안 가이드(20)의 위치 결정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치 결정을 적절하게 행하기 위해, 접안 가이드(20)의 눈(101) 주위에의 접촉 부분 중, 눈(101)의 눈초리, 눈구석이 대응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돌출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접안 가이드(20)를 눈(101) 주위에 접촉할 때에, 돌출한 부분이 가이드가 되어, 접안 가이드(20)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점안 보조구(1)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서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보조구 본체(10) 및 접안 가이드(20)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점안 보조구(1)의 소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수성·내약성을 가지고, 또한 탄성을 갖는 소재이면, 어떠한 소재여도 좋다.
또한, 점안 보조구(1)에 있어서 사용하는 점안 용기(30)에 있어서도, 점안 보조구(1)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지고, 또한 내수성·내약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안 가이드(20)에 의한 위치 결정>
점안 보조구(1)의 접안 가이드(20)에 의한 위치 결정에 대해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점안 보조구(1)의 보조구 본체(10)에 점안 용기(30)를 장착한 상태로, 또한, 점안 대상자의 눈 주위에 접촉된 상태일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가이드(20)가 눈 주위에 접촉하는 부분을 보조구 본체(10)측으로부터 바닥면에 수평인 면에 투영하여, 각 접촉 부분을 연결시켜 얻어진 가상 영역(제1 영역)[도면 중의 점선의 원: 이하, 가상원(Z)으로 칭함]의 중심을 X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원(Z)에 있어서, 접안 가이드(20)의 상단(20d)이 투영된 점을 Y로 한다. 여기서, 중심(X)으로부터 점(Y)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상원(Z)의 반경에 상당한다. 즉, 중심(X)으로부터 점(Y)까지의 거리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가이드(20)를 환자의 눈(101) 주위에 접촉한 경우의 상기 접안 가이드(20)의 중심으로부터 상검(101a)측의 상단(20d)까지의 거리에 상당한다. 상기 가상원(Z)의 중심(X)으로부터 점(Y)까지의 거리는, 10 ㎜∼30 ㎜가 바람직하고, 12.5 ㎜∼25 ㎜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20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의 토출 구멍(30c)을 직선 상에 가상원(Z)을 향하여 연장시켜, 상기 가상원(Z)에 도달하였을 때의 도달점을 A로 한다. 이때, 접안 가이드(20)는, 도달점(A)이 중심(X)보다 접안 가이드(20)의 상단(20d)측[눈(101)의 상검(101a)측]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는, 접안 가이드(20)의 상단(20d)으로부터, 상기 토출 구멍(30c)으로부터 상기 가상원(Z)을 향하는 수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선이 교차한 점까지의 거리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안 가이드(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100)의 눈(101) 주위에 접촉할 때에, 적어도 눈초리, 눈구석의 외측 근방에 접촉한다. 이때, 접안 가이드(20)를 점안액의 토출 방향을 향하여 투영한 투영면에 형성되는 가상원(Z)에는, 눈(101)의 눈초리 및 눈구석의 외측 근방에서 접착한 부분이 포함된다. 이 투영면에 형성되는 가상원(Z)의 중심(X)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101a)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보조구 본체(10)에 장착된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에 형성된 점안액의 토출 구멍(30c)이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안 가이드(20)는,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접안 가이드(20)를 눈(101) 주위에 접촉한 상태로, 점안 용기(30)의 점안액의 액적이, 눈(101)의 표면[눈동자(101c)]의 중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101a)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적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가상원(Z)에 있어서의 도달점(A)과 중심(X)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하여도 정의할 수 있다. 즉, 환자(100)가 누운 자세로 접안 가이드(20)를 눈(101) 주위에 접촉한 상태일 때, 상검에 접촉하는, 상기 접안 가이드(20)의 위치를 상측(도 1의 Y 방향)으로 하였을 때, 접안 가이드(20)를 바닥면에 투영한 가상원(Z) 내의 도달점(A)을, 상기 보조 본체(10)의 저면(10c)에 투영한 투영점(제1 점)(A')이, 가상원(Z)의 중심(X)을 저면(10c)에 투영한 투영점(제2 점)(X')으로부터 상기 상측에 미리 정해진 거리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점안 보조구(1)를 설계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거리는, 2 ㎜∼4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미리 정해진 거리가 3 ㎜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정해진 거리가 2 ㎜보다 짧은 경우나 미리 정해진 거리가 4 ㎜보다 긴 경우에는, 점안 성공의 확률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하여 점안할 때, 점안 용기(30)로부터 토출되는 점안액을 눈의 중심보다 상검(101a)측에 적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환자(100)가 앉은 자세 또는 선 자세로 위를 향한 상태에서는, 점안액의 적하 위치가 하검(101b)측으로 어긋난다. 그러나, 점안 용기(30)로부터 토출되는 점안액을 눈의 중심보다 상검(101a)측에 적하하도록 접안 가이드(20)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점안액은 눈(101)으로부터 하검(101b)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고 적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점안액의 적하 위치를 눈(101)의 중심에 중첩되도록 점안 가이드를 설계한 경우에 비해서, 점안 대상면이 기울어도 점안액을 정확하게 적하할 수 있다.
더구나, 접안 가이드(20)를,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점안 용기(30)의 점안액의 액적이, 상기 눈(101)의 표면의 중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101a)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적하되도록 형성한다고 하는 심플한 구조로, 환자의 눈에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점안액의 토출 구멍(30c)은, 가상원(Z)의 중심(X)으로부터 접안 가이드(20)의 상단(20d)측의 점(Y)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어긋난 위치에 오도록 하면 좋다. 이 때문에, 접안 가이드(20)의 외형에 관계없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긴 타원 형상이어도 좋고,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타원 형상이어도 좋고,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가상원(Z)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외주의 일부가 이지러져 있는 접안 가이드(20)여도 좋다. 또한, 가상원(Z)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접안 가이드(20)의 투영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접안 가이드(20)는, 보조구 본체(10)와 별개로 마련되어, 상기 보조구 본체(10)에 장착된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에 직접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접속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에 끼워진 캡을 벗기고, 이 캡 대신에 접안 가이드(20)를 끼워 넣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점안 보조구(1)는, 접안 가이드(20)만으로 되어, 보조구 본체(10)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구성이 더욱 심플해진다.
이하에,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한 점안의 성공률에 대해서, 도 5∼도 9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점안 실험>
도 5는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한 점안 실험을 행할 때의 각종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한 점안 실험을 행할 때의, 점안 거리, 점안 각도에 따른 점안의 성공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점안 실험을 행할 때에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안 대상이 되는 사람의 눈의 높이(d1),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안액의 액적 직경(d2),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안 거리(d3)가 필요하다.
사람의 눈의 높이(d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101)의 상검(101a)과 하검(101b) 사이에 존재하는 눈동자(검은자위)(101c)의 폭으로 한다. 여기서, d1은 약 10 ㎜로 한다. 이 약 10 ㎜는, 일반적인 일본인의 눈(101)의 눈동자(101c)의 직경은 약 12 ㎜이고, 상검(101a)과 하검(101b)에 의해 덮여 있는 부분을 각각 1 ㎜로 하였다고 가정한 경우의 값이다.
액적 직경(d2)은,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안 토출부(30a)로부터 적하된 액이 완전히 구체가 되었을 때의 직경으로 한다. 여기서, d2는 약 4 ㎜로 한다. 이 약 4 ㎜는, 1적의 액량이 0.040 ㎖일 때에, 그 액이 완전한 구체가 되었을 때의 직경이다.
점안 거리(d3)는,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안 토출부(30a)의 토출 구멍(30c)으로부터 눈(101)의 눈동자(101c) 표면까지의 거리로 한다.
도 6의 (a)는 투약 대상자가 누운 상태[경사각(θ)=0]를 상정하였을 때의 점안액의 적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투약 대상자가 앉은 자세 또는 선 자세로 위를 향한 상태[경사각(θ)>0]를 상정하였을 때의 점안액의 적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눈동자(101c)를 도 1에 나타낸 가상원(Z)으로 상정하고, 상기 눈동자(101c)의 중심을 X, 점안 토출부(30a)의 토출 구멍(30c)을 직선 상으로 연장시켜 눈동자(101c)의 표면에 도달하였을 때의 도달점 A로 한다. 따라서,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θ)=0의 경우에는, 눈동자(101c)의 도달점(A)은 액적이 적하되는 적하 위치(B)와 중첩된다. 그러나,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θ)>0의 경우에는, 눈동자(101c)의 도달점(A)과, 액적이 적하되는 적하 위치(B)가 어긋나 있다. 즉, 액적이 적하되는 적하 위치(B)는, 눈동자(101c)에 있어서의 하검(101b)측으로 어긋난다. 경사각(θ)은, 눈동자(101c)의 표면이 연직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하는 각도로 한다.
여기서, 도 6의 (b)에 있어서, 점안 거리 d3, 어긋남량 h, 상기 경사각을 θ로 하였을 때,
벡터 OX=d1/2(cosθ, sinθ)
벡터 XQ=d3(cos(θ+π/2), sin(θ+π/2))
벡터 QR=h(cosθ, sinθ)
가 되고, 눈동자(101c)에 있어서의 하안검으로부터 액적단의 거리(H1)는 (1)로 나타낼 수 있다.
H1=((d1/2)+h)cosθ-d3sinθ-d2/2···(1)
즉, H1은, 벡터 OR의 X 성분으로부터 액적 반경의 d2/2를 뺀 값이 된다.
또한, 점안 거리 d3, 어긋남량 h, 상기 경사각을 θ로 하였을 때, 눈동자(101c)에 있어서의 상안검으로부터 액적단의 거리(H2)는 (2)로 나타낼 수 있다.
H2=((d1/2)-h)cosθ+d3sinθ-d2/2···(2)
즉, H2는, 벡터 OR의 X 성분과 액적 반경의 d2/2를, d1cosθ로부터 뺀 값이 된다.
식 (1), (2)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값으로부터 점안이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이하, 사람의 눈의 높이(d1)를 약 10 ㎜, 액적 직경(d2)을 약 4 ㎜로 하였을 때에, 도달점(A)과 중심(X)의 어긋남량(h)마다, 점안 거리(d3)와 경사각(θ)의 값을 바꾸어 (1), (2)의 값을 구한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7∼도 9에 나타낸다.
<실험 결과>
도 7은 어긋남량(h)을 2 ㎜로 하였을 때에, 식 (1), (2)를 이용하여 경사각(θ), 점안 거리(d3)를 바꾸어 구한 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면 중의 (1), (2)는, 각각 식 (1), (2)에 대응한다.
도 8은 어긋남량(h)을 3 ㎜로 하였을 때에, 식 (1), (2)를 이용하여 경사각(θ), 점안 거리(d3)를 바꾸어 구한 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면 중의 (1), (2)는, 각각 식 (1), (2)에 대응한다.
도 9는 어긋남량(h)을 4 ㎜로 하였을 때에, 식 (1), (2)를 이용하여 경사각(θ), 점안 거리(d3)를 바꾸어 구한 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면 중의 (1), (2)는, 각각 식 (1), (2)에 대응한다.
어긋남량(h)이 2 ㎜인 경우, 즉, 점안 토출부(30a)의 토출 구멍을 상검(101a)측으로, 눈동자(101c)의 중심으로부터 2 ㎜ 올렸을 때, 도 7에 나타내는 표 중의 특정 경사각(θ)에 있어서의 (1), (2)의 값이 서로 정인 것이 점안 성공을 나타낸다. 표 중의 사선 부분을 제외한 부위가 점안 성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앙와 자세[경사각(θ)=0°]로 점안하여도 액적은 상검(101a)이나 속눈썹(101d)에 접촉하는 일없이 점안이 성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점안 거리(d3)가 5 ㎜이면, 경사각(θ)이 0°∼40°까지 성공하고 있다.
어긋남량(h)이 3 ㎜인 경우, 즉, 점안 토출부(30a)의 토출 구멍을 상검(101a)측으로, 눈동자(101c)의 중심으로부터 3 ㎜ 올렸을 때, 도 8에 나타내는 표 중의 특정 경사각(θ)에 있어서의 (1), (2)의 값이 서로 정인 것이 점안 성공을 나타낸다. 표 중의 사선 부분을 제외한 부위가 점안 성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앙와 자세[경사각(θ)=0°]로 점안하여도 액적은 상검(101a)이나 속눈썹(101d)에 접촉하는 일없이 점안이 성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점안 거리(d3)가 5 ㎜이면, 경사각(θ)이 0°∼45°까지 성공하고 있다.
어긋남량(h)이 4 ㎜인 경우, 즉, 점안 토출부(30a)의 토출 구멍을 상검(101a)측으로, 눈동자(101c)의 중심으로부터 4 ㎜ 올렸을 때, 도 9에 나타내는 표 중의 특정 경사각(θ)에 있어서의 (1), (2)의 값이 서로 정인 것이 점안 성공을 나타낸다. 표 중의 사선 부분을 제외한 부위가 점안 성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앙와 자세[경사각(θ)=0°]에서는, 액적이 상검(101a)이나 속눈썹(101d)에 접촉하기 때문에, 점안은 실패이다. 따라서, h=4 ㎜의 경우에는, 경사각(θ)=5°의 때에, 점안 거리(d3)를 12 ㎜ 이상으로 하면 점안이 성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사람의 눈의 높이(d1)를 약 10 ㎜, 액적 직경(d2)을 약 4 ㎜로 하였을 때에, 바람직한 어긋남량(h)은 2 ㎜, 3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어긋남량(h)이 4 ㎜인 경우, 투여 대상자가 누운 상태[경사각(θ)=0]에서는, 점안액이 상검(101a)이나 속눈썹(101c)에 부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어긋남량(h)은, 3 ㎜이다. 이것은, 어긋남량(h)인 2 ㎜인 경우보다, 큰 경사각(θ)으로 점안 성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한 어긋남량(h)은, 3 ㎜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사람의 눈의 높이(d1), 액적 직경(d2)이 변경되면, 바람직한 어긋남량(h)도 변하기 때문이다.
<효과>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구(1)에 따르면, 점안 대상자가 앉은 또는 선 자세여도, 적절하게 점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안액을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그 결과, 안질환의 치유 기간의 단축, 환자의 정신적인 부담의 경감이나 의료비의 대폭적인 억제 효과가 기대된다. 더구나, 점안 보조구(1)의 구조가 심플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하고, 더구나, 잘 파손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도 발휘한다.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구(1)를 사용한 투약 관리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투약 관리>
점안 보조구(1) 등의 점안 디바이스에, 카메라,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라이트나 센서를 삽입함으로써, 환자의 투약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점안 보조구(1)의 접안 가이드(20) 내에, LED 라이트, 카메라를 구비한 경우, 환자가 점안 보조구(1)를 쥐면, LED 라이트가 점등한다. 환자는, 그것을 보고 점안함으로써 눈을 닫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점안액을 토출할 때, 카메라에 의해 눈의 촬영을 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카메라에 의해 눈의 촬영을 행한다는 것은, 카메라에 의해, 점안액이 토출되었을 때의 눈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것이다. 예컨대 토출된 점안액이 눈에 점안된 직후의 상태나, 토출된 점안액이 눈에 점안되기까지의 상태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축적함으로써, 환자의 점안 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1)에 장착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점안의 성패를 객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Ocular Surface Thermographer(토메이) 등에 장착되어 있는 것 같은 적외선 센서를 점안 보조구(1)의 접안 가이드(20) 내측에 삽입하고, 점안 후 수초간의 안표면 온도 변화를 측정한다. 점안액은 통상 실온이며 안표면은 37℃ 부근이기 때문에, 점안의 순간은 안표면에서 급격한 온도 저하가 검출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점안의 성패를 적외선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초소형 사이즈의 센서와 앰프를 포함하는 비접촉 온도계를 이용하여 안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응답 속도가 30 msec로 빨라, 액적이 들어갔을 때의 안표면의 온도 변화를 순시에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점안의 성패를 보다 빠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안 보조구(1)에 의해 점안됨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 예컨대 점안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카메라에 의한 촬영 화상 데이터, 점안의 성패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점안한 날짜와 대응지어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투약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점안에 의해 얻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는, 점안 디바이스인 점안 보조구(200)에 보존되며 스마트 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와 동기된다. 또한 스마트 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와 동기된 데이터는, 전화 회선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적으로 보관된다. 이하에, 구체적인 투약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약 관리 시스템>
도 10은 점안 디바이스로서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한 환자의 점안 관리를 행하기 위한 투약 관리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한 투약 관리 시스템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하는 사용자(환자)의 점안 관리를 행하는 관리자(보호자)가 조작하는 스마트 폰(휴대 단말)(401), 상기 사용자(환자: 피투여자)의 점안 관리를 행하는 관리자(의사)가 조작하는 퍼스널 컴퓨터(402), 인터넷 접속된 라우터(403), 클라우드 컴퓨터(404), 관리 서버(405)를 포함하고 있다.
<점안 보조구(1)의 기능>
점안 보조구(1)에는, 전용의 제제를 장착하여 투약 관리를 행하기 위해, 시계, 카운터, 카메라, 메모리, LED 라이트, 배터리, 배터리 인디케이터, 통신 기능[Bluetooth(등록 상표) 4.0, WiFi(등록 상표)], 바코드 판독 기능, IC 태그 판독 기능, 알람 명동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기본적인 투약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제제의 종류의 판정: 전용의 제제를 포함한 점안 용기(30)에 첨부된 바코드를, 카메라 및 바코드 판독 기능을 이용하여 판독하여, 전용의 제제의 종류를 판정하고, 제제의 종류를, 상기 점안 용기(30)의 점안 보조구(1)에 삽입 시에 자동 기록한다.
(2) 점안하는 시간의 통지(알람): 미리 설정된 투약 시간이 되면, 점안 보조구(1)의 알람 명동 기능을 이용하여, 알람을 울린다. 이 경우, 점안 보조구(1)를 관리하는 스마트 폰(401)으로부터 알람을 울리도록 하여도 좋다.
(3) 점안한 시간의 기록: 점안 보조구(1)를 이용하여 점안하였을 때에,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 센서에 의한 점안의 성패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점안한 날짜와 함께 기록한다.
(4) 점안할 때의 보조 라이트: 점안 보조구(1)에 마련된 스위치로 접안 가이드(20) 내에 마련된 LED 라이트를 점등시킨다. 환자는, LED 라이트의 빛을 보고 점안함으로써 눈을 뜨는 것을 의식한다.
(5) 디바이스의 ID 관리: 데이터 관리를 위한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취득한 데이터에 대응지어 메모리에 기록한다.
(6) 점안 캘린더: 이미 기록한 데이터로부터, 시계열의 점안의 기록을, 점안한 일시·제제의 종류·화상 데이터·메모 등을 적은 표로 한 데이터(점안 캘린더)를 작성한다.
(7) 투약 이력 데이터: 처방한 제제의 종류·이력(투여한 일시, 투여량 등)
(8) 잔적량 관리: 용기 내의 잔액량과 사용 가능한 기간을 나타냄으로써, 점안액의 잔적량 관리를 행한다.
(9) 점안 보조구(1)의 배터리 잔량 관리: 배터리 인디케이터에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예컨대 배터리가 1년 정도 간다고 생각되는 경우, 배터리 잔량이 없어지기 1개월 전에 경고한다.
(10)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401)이나 퍼스널 컴퓨터(402)와 데이터 통신[Bluetooth(등록 상표) 또는 WiFi(등록 상표)]을 행한다.
<스마트 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
스마트 폰(401)으로서 탑재하고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이하 나타내는 기본적인 투약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점안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Bluetooth(등록 상표) 또는 WiFi(등록 상표)]을 행한다.
(2) 클라우드 컴퓨터(404)로부터 클라우드 데이터(투약 관리 데이터)의 다운 로드와, 다운 로드한 투약 관리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3) 캘린더 상에서 투약 관리 데이터를 표시한다.
(4) 사용하고 있는 제제의 종류나 잔액량, 나머지 사용 가능한 일수 등을 표시한다.
(5) 복수 종류의 제제마다 투약 시간의 알람의 명동을 행한다.
(6) 점안 보조구(200)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의 클라우드에의 자동 업로드를 행한다.
<퍼스널 컴퓨터(402)의 기능>
기본적으로, 퍼스널 컴퓨터(402)에서는, 스마트 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402)에 있어서, 스마트 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 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적어도 이하와 같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1) 클라우드 컴퓨터(404)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환자의 정보 확인을 행한다.
(2) 점안 보조구(1)의 사용 환자의 제제별의 누적 처방량의 파악을 행한다.
<투약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투약 관리의 실례>
(점안 보조구(1)의 조작)
점안 보조구(1)에 의한 제제 인식의 방법으로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을 행하는 방법과, 하드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1)에는, 전원 스위치는 존재하지 않고, 전지를 장착하여, 전원이 있는 한 계속해서 구동하는 것으로 한다.
(1)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의 방법
점안 보조구(1)는, 탑재한 카메라를 제제의 바코드 표시 부분을 향하게 한다. 그리고, 바코드의 판독 완료하면 「피핏」하고 울린다. 이것으로 제제의 종류의 등록이 완료한다. 등록 완료한 제제의 노즐의 방향을 맞추어 점안 보조구(1)에 셋트한다.
(2) 하드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의 방법
제제에는, 제제의 종류에 따라 제제를 넣은 점안 용기(30)의 점안 토출부(30a)에 돌기가 있고, 각각의 제제에 의해 돌기의 위치가 다르다. 이 제제를 점안 토출부(30a)의 노즐의 방향을 맞추어 점안 보조구(1)에 셋트한다. 이에 의해, 점안 토출부(30a)에 형성된 돌기의 위치에 의해 점안 보조구(1)에 셋트된 제제의 종류가 인식되어, 상기 점안 보조구(1)에 등록된다.
사용자는, 상기 (1) 또는 (2)의 방법에 따라, 제제의 종류가 인식된 점안 용기(30)가 셋트된 점안 보조구(1)를 가볍게 쥐고, 접안 가이드(20)로 눈의 위치에 꼭 댄다. 점안 보조구(1)에는, 눈꺼풀을 손가락으로 밀어 내리기 위해 해당 손가락을 넣은 만곡부(20f)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만곡부(20f)로부터 넣은 손가락에 의해 눈꺼풀을 하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 상태로, 점안 보조구(1)의 보조구 본체(10)를 쥐면 LED 라이트가 빛난다. 환자는 그 빛을 보면서 상기 보조구 본체(10)에 장착된 점안 용기(30)를 누름으로써, 점안 토출부(30a)의 노즐의 선단부로부터 점안제의 1적이 토출된다.
여기서, 액적이 발사되는 동시에, 접안 가이드(20) 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셔터가 눌려 사진이 찍힌다. 이때, 순간적으로 복수회 셔터가 눌려, 복수매의 사진이 찍힌다. 또는, 센서가 액적의 통과를 검지하거나, 액적이 눈 속에 들어 갔을 때의 안표면 온도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점안의 성패를 관찰할 수 있다.
점안이 끝나면 제제를 포함한 점안 용기(30)를 점안 보조구(1)로부터 제거하여, 다음 제제를 장착할 수 있도록 다음 제제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전술한 요령으로, 점안한다. 그리고, 모든 제제의 점안이 종료하면, 점안 조작은 완료한다.
다음에, 점안 보조구(1)는, Bluetooth(등록 상표) 또는 WiFi(등록 상표)에 의해, 보호자 또는 환자 본인이 조작하는 스마트 폰(401)과 데이터의 동기를 행한다.
(스마트 폰(401)의 조작)
스마트 폰(401)에는, 투약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1)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스마트 폰(401)과 점안 보조구(200)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신 시에는, 점안 보조구(1)에 할당된 ID 번호를 스마트 폰의 애플리케이션이 취득하여, 점안 보조구(1)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점안 보조구(1)에 할당된 ID 번호와 패스워드를 사용함으로써 전화 회선에 의해, 투약 관리 시스템 내의 관리 서버(405)와 클라우드 컴퓨터(404)를 통해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에는, 캘린더 기능이 설정되어 있어 처방된 제제의 등록과 점안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1)와 동기시킴으로써 점안 타이밍을 상기 점안 보조구(1)에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점안 보조구(1)와 통신하여, 점안을 실시한 시간이나 제제의 종류, 카메라나 센서로 파악한 화상 등의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받아들인 데이터는, 점안 보조구(1)도 스마트 폰(401)에도 약 3개월분 이상을 보존할 수 있어, 만일 통신할 수 없어도 각각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가게 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의 스마트 폰(401)의 표시 화면에는, 캘린더 상에서 각각의 제제가 점안되어 있는지가 마크로 표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메라나 센서로 파악한 화상이나 기록을 확인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서버는, 인터넷 상에서 클라우드 컴퓨터(404)와 관리 서버(405)로 구축되어 있고, 데이터 베이스 기능과 해석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는, 스마트 폰(401)을 통하여, 그날그날 또는 일정한 기간의 데이터가 로드된다. 로드는, 스마트 폰(401) 상에 축적된 데이터를 그 스마트 폰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보존」을 클릭함으로써 실행된다.
클라우드 서버에의 액세스는, 스마트 폰(401) 또는 퍼스널 컴퓨터(402)로부터 점안 보조구(200)의 ID 번호와 패스워드로 액세스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 스마트 폰(401)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는, 등록되어 있는 ID 번호로부터 그 개인의 데이터에만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의사가 복수의 환자의 데이터를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 액세스권을 설정하여 각각 개인의 정보를 열람만 가능한 상황으로 한다. 예컨대, 의사는, 퍼스널 컴퓨터(402)에 있어서, 클라우드 데이터의 열람으로 하여, 개인의 점안 이력을 알 수 있는 캘린더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퍼스널 컴퓨터(402)에 있어서, 부가 정보로서, 각 제제의 점안 횟수나 잔액량을 확인할 수 있어, 제제의 잔량이 적어지면 처방을 재촉하는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점안 보조구 10 : 보조구 본체
10a : 제1 개구부 10b : 제2 개구부
11 : 제1 리브 12 : 제2 리브
13 : 제3 리브 20 : 접안 가이드
20a : 제1 개구부 20b : 제2 개구부
20c : 제3 개구부 20d : 상단
20e : 하단 20f : 만곡부
30 : 점안 용기(용기 본체) 30a : 점안 토출부
30b : 점안액 수용부 100 : 환자(점안 대상자)
101 : 눈 101a : 상검
101b : 하검 101c : 눈동자
101d : 속눈썹 102 : 오른손
103 : 왼손 200 : 점안 보조구
401 : 스마트 폰 402 : 퍼스널 컴퓨터
403 : 라우터 404 : 클라우드 컴퓨터
405 : 관리 서버

Claims (6)

  1. 점안액을 수용한 점안 용기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점안 대상자의 눈 주위에 접촉하여 그 눈에의 점안액의 적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 점안 보조구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점안 용기의 점안액의 액적이, 상기 눈의 표면의 중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검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적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눈 주위에 접촉하였을 때의 하검에 대향하는 위치가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눈의 눈초리에 접촉하는 부분과, 눈구석에 접촉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상기 점안 대상자의 안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속되어, 상기 점안 용기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점안 용기의 용기 본체를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된 상기 점안 용기의 용기 본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5. 점안액을 수용한 점안 용기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점안 대상자의 눈 주위에 접촉하여 그 눈에의 점안액의 적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 점안 보조구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속되어, 상기 점안 용기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점안 대상자가 누운 자세로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눈 주위에 접촉한 상태일 때, 상검에 접촉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위치를 상측으로 하였을 때,
    상기 위치 결정부를 투영한 제1 영역 내에,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점안 용기의 점안액을 토출하는 토출구를 투영한 점을, 상기 장착부의 저면에 투영한 제1 점이, 상기 제1 영역의 중심을 상기 저면에 투영한 제2 점으로부터 상기 상측에 미리 정해진 거리 어긋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가 2 ㎜∼4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KR1020207028694A 2018-03-13 2019-03-12 점안 보조구 KR202001270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5884 2018-03-13
JP2018045884 2018-03-13
PCT/JP2019/009883 WO2019176902A1 (ja) 2018-03-13 2019-03-12 点眼補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026A true KR20200127026A (ko) 2020-11-09

Family

ID=6790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694A KR20200127026A (ko) 2018-03-13 2019-03-12 점안 보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766472A4 (ko)
JP (2) JP7365331B2 (ko)
KR (1) KR20200127026A (ko)
CN (1) CN111836611A (ko)
TW (1) TW201938219A (ko)
WO (1) WO2019176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402A1 (es) * 2019-11-05 2021-05-14 Gamboa Burgos Alejandro Kit para soluciones oftálmicas en frascos de gotas con tapa rosca
CN113081471B (zh) * 2021-05-07 2023-05-23 程雪娟 一种定位精准的眼科用滴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8054A (ja) 2013-01-07 2016-03-17 クーパー,クリフォード 点眼薬自己投与のための点眼薬容器瓶用誘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710Y2 (ja) * 1976-10-29 1985-09-21 ドクトル・カ−ル・ト−メ−・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ク 目薬を1回使い捨て容器から眼球へ照準して滴下するための器具
US4733802A (en) * 1986-11-05 1988-03-29 Sheldon Gerald M Eye drop dispensing system
US5030214A (en) * 1990-11-01 1991-07-09 Larry Spector Ocular delivery system
JP3897848B2 (ja) * 1997-02-10 2007-03-28 雅亮 吉田 点眼補助具
JP3059199U (ja) * 1998-11-19 1999-07-02 敬子 後藤 目薬容器の点眼補助具
JP2002248157A (ja) 2001-02-26 2002-09-03 Santen Pharmaceut Co Ltd 点眼補助具
DE10149835B4 (de) * 2001-09-21 2004-02-12 Bernd Apel Abstandhalterung für Tropfflaschen zur Augenmedikation
JP2004329602A (ja) * 2003-05-08 2004-11-25 Garu:Kk 点眼容器
JP4599918B2 (ja) * 2004-07-09 2010-12-15 味の素株式会社 薬剤収納封止体及び薬剤収納封止体の形成方法
JP2006020908A (ja) 2004-07-09 2006-01-26 Taisei Sangyo Kk 点眼器
JP3124898U (ja) * 2006-06-21 2006-08-31 有限会社ピー・エム・シーサービス 目薬タレ防止具
JP3145394U (ja) 2008-07-07 2008-10-09 勇 田中 眼鏡型目薬差し補助具
KR101245651B1 (ko) * 2010-08-30 2013-03-21 김인환 점안 보조장치
CN203029627U (zh) * 2013-01-09 2013-07-03 李俊 一种带有眼睑撑开器的眼药瓶
CN104783955A (zh) * 2015-04-08 2015-07-22 王静 一种滴眼瓶
JP2017006656A (ja) * 2015-06-18 2017-01-12 参天製薬株式会社 点眼補助具
RU171754U1 (ru) * 2016-08-04 2017-06-14 Аркадий Вениаминович Дубровский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азных капел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8054A (ja) 2013-01-07 2016-03-17 クーパー,クリフォード 点眼薬自己投与のための点眼薬容器瓶用誘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6902A1 (ja) 2019-09-19
TW201938219A (zh) 2019-10-01
JP2023126542A (ja) 2023-09-07
CN111836611A (zh) 2020-10-27
EP3766472A1 (en) 2021-01-20
EP3766472A4 (en) 2021-12-22
JP7365331B2 (ja) 2023-10-19
JPWO2019176902A1 (ja)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0491A1 (en) Electronic drop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195604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ES2817328T3 (es) Sistemas y métodos mejorados para administración de medicina
CA2888830C (en) Performing and monitoring drug delivery
JP2023126542A (ja) 点眼補助具
ES2871787T3 (es) Sistema para el control del cumplimiento de la medicación
ES2255670T3 (es) Dispensador medico y procedimiento para dispensar dosis medicas.
CN102216782B (zh) 血液成分测定装置
KR20180019648A (ko) 점안 보조 기구
PT104086A (pt) Processo para monitorização do sucesso da aplicação de um fluido a um alvo biológico não estático e sistema para sua execução
TWI546073B (zh) 輔助服藥裝置
KR102513709B1 (ko) 점안 보조구
US11045349B2 (en) Device for measuring and improving adherence of eye drops
WO2018110652A1 (ja) 点眼補助具
JP5924024B2 (ja) 服薬確認装置および服薬確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