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648A - 점안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점안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648A
KR20180019648A KR1020187000546A KR20187000546A KR20180019648A KR 20180019648 A KR20180019648 A KR 20180019648A KR 1020187000546 A KR1020187000546 A KR 1020187000546A KR 20187000546 A KR20187000546 A KR 20187000546A KR 20180019648 A KR20180019648 A KR 2018001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lever
eye drop
contain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8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by squeezing, e.g. using a flexible bottle or a bul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안액의 잔량이 적어져도, 잔량이 많은 상태와 마찬가지로 점안액을 앞을 향한 상태에서 마지막까지 점안할 수 있는 점안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안 보조 기구(100)는, 일단에서 컵(40)에 의해 점안액의 투여해야 할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노즐부 (14)가 용기 본체(11)보다 아래로 되도록, 점안 용기(10)를 고정하고, 타단에서 점안액 토출용의 레버(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기구 본체(20)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점안 보조 기구
본 발명은, 점안의 보조를 행하기 위한 점안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눈에 점안액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점안액을 눈에 적하(適下)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 방법의 경우, 환자는,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환자가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에는, 점안액을 환자의 눈에 적절하게 투여할 수 없어, 이와 같은 환자에 대하여 적절하게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뒤로 젖혀 눕게 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적하하게 된다.
그래서, 환자가 앞을 향한 상태에서 눈에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안구 유체용 어플리케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표 제2002-502289호 공보(2002년 1월 22일 공표)」
그러나, 환자가 앞을 향한 상태에서 눈에 점안액을 투여할 경우, 용기의 형상에 따라서는,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공개된 안구 유체용 어플리케이터에서는, 사용하는 점안 용기의 노즐 부분의 개구 홀과 용기 본체의 바닥면의 중심은 동일 축(유체 송달축)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점안액의 잔량이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그만큼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환자의 요망에 응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점안액의 잔량이 많은 상태와 마찬가지로 앞을 향한 상태에서는 투여할 수 없어,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점안액의 잔량이 적어져도, 잔량이 많은 상태와 마찬가지로 앞을 향한 상태에서 투여할 수 있고,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 위를 향할 수 없는 환자의 요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점안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점안 보조 기구는, 사람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에만 한정되지 않고, 안질을 앓고 있는 동물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점안 보조 기구는, 점안액을 수용한 용기 본체와, 레버를 피투여자가 누름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토출공으로부터 토출시키는 압하부(押下部)를 가지는 점안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피투여자가 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한 점안 보조 기구로서,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보조 기구 본체 측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압하부를 누르고, 상기 보조 기구 본체는, 위치 결정부에 의해 상기 피투여자의 눈에 대하여 상기 토출공의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토출공이 상기 용기 본체보다 아래로 되도록,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점안 용기가 보조 기구 본체에,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점안액의 투여해야 할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점안액의 토출 위치가 용기 본체보다 아래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환자 얼굴의 방향이 다소 변동되어도,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하기 위한 용기 구조의 일종인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 구조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일반적인 용기를 사용하여 얼굴을 위로 향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구 본체에는, 점안액 토출부를 눌러 점안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를 이용하면,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점안액 토출부를 누르는 경우보다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점안 용기로부터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기구 본체는, 일단(一端) 측에서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고, 타단 (他端) 측에서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적은 힘으로 점안 용기로부터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기구 본체는, 일단 측에서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타단 측에 상기 피투여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일단과 상기 파지부 사이에서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점안 용기의 지지 위치가 레버의 지점(支點) 위치에 가까워지므로, 레버에 걸리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적은 힘으로 점안 용기로부터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컵으로 형성된 컵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 부재는,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상기 점안 용기의 점안액이 토출되는 토출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보조 기구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컵 부재를 눈 주위에 대는 것만으로, 눈에 대하여 상기 압하부의 토출공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보조 기구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토출공을 노출시키도록 개구된 개구부의 개구 에지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의 개구 에지부를 눈 주위에 대는 것만으로, 눈에 대하여 상기 압하부의 토출공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압하부에 상기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하부의 압하 방향과, 상기 토출공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되는 토출 방향이 평행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하 방향과 상기 토출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압하 방향과 상기 토출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 이하이면, 환자의 눈에 점안액을 확실하게 투여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가 90°를 넘으면, 환자는 아래를 향하여 무리한 한 자세를 취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각도는 9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환자(피투여자) 얼굴의 방향이 어느 정도 변동되어도 문제없이 점안할 수 있고, 또한, 점안액의 잔량이 적어져도, 잔량이 많은 상태와 마찬가지로 앞을 향한 채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고,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점안 보조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에서 사용되는 점안 용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의 보조 기구 본체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에 나타내는 보조 기구 본체의 상면도, 도 4의 (b)는, 도 3에 나타내는 보조 기구 본체의 일부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의 레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에 나타내는 레버의 상면도, 도 6의 (b)는 도 5에 나타내는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의 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에 나타내는 컵의 우측면도, 도 8의 (b)는, 도 7에 나타내는 컵의 정면도, 도 8의 (c)는, 도 7에 나타내는 컵의 좌측면도, 도 8의 (d)는, 도 7에 나타내는 컵의 상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7에 나타내는 컵을 보조 기구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9의 (b)는, 도 7에 나타내는 컵을 보조 기구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점안 보조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점안 보조 기구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투약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의 점안 보조 기구에 사용되는 점안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안 용기>
도 2는, 점안 용기(용기)(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안 용기(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안액을 수용하는 대략 원통형의 용기 본체(11), 용기 본체(11)에 형성된 플랜지(12), 용기 본체(11)에 대하여 화살표 X·Y방향으로 가동하는, 메카니컬 펌프를 내장한 가동 부재(13), 용기 본체(11)로부터 가동 부재(13)의 펌프에 의해 퍼낸 점안액을 토출하는 토출공(14a)이 형성된 노즐부(압하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12)를, 화살표 X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가동 부재(13)가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하여, 용기 본체(11)에 수용된 점안액을 퍼올리고,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된다.
노즐부(14)는, 가동 부재(13)에 의해 퍼올려진 점안액을, 상기 가동 부재(13)의 가동 방향(압하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진 방향(토출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토출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45°의 토출 방향은 일례이며,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토출 방향의 경사는 점안 보조 기구(100)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점안 용기(10)에서는, 용기 본체(11)를 노즐부(14) 측으로 누름으로써, 용기 본체(11)의 점안액이 가동 부재(13)에 의해 퍼올려지고,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점안 용기(10)에서는, 가동 부재(13)를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5∼30μL의 점안액을 토출공(14a)으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점안액의 토출량은 토출공(14a)의 크기나, 보조 기구 본체(20)의 형상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점안 용기(10)를 사용하는 점안 보조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안 보조 기구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점안 보조 기구(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안 보조 기구(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점안 대상)(200)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 기구로서, 보조 기구 본체(본체)(20), 레버(30), 컵(40)을 포함하고 있다.
보조 기구 본체(20)는, 일단에서 점안 용기(10)를 고정하고, 타단에서 상기 점안 용기(10)의 점안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레버(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보조 기구 본체(20)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레버(30)는, 일단부(30a)에 있어서 점안 용기(10)를 보조 기구 본체(20)에 의해 끼워넣고, 타단부(30b)에 있어서 축(50)에 의해 보조 기구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단부(30a)는, 레버(30)가 보조 기구 본체(20) 측으로 회동했을 때, 보조 기구 본체(20)에 고정된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에 형성된 플랜지(12)가 위쪽으로부터 맞닿도록 되어 있다. 레버(30)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컵(40)은, 보조 기구 본체(20)에 장착되고, 환자(200)의 눈(201)에 대하여 상기 노즐부(14)의 토출공(14a)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컵 부재다. 컵(40)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보조 기구 본체>
도 3은 보조 기구 본체(20)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보조 기구 본체(20)의 상면도, 도 4의 (b)는 보조 기구 본체(20)의 측면도이다.
보조 기구 본체(20)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홈부(20a)가 형성되고, 홈부(20a)의 일단 측에 오목부(20b), 홈부(20a)의 타단 측에 지지공(20c)이 형성되어 있다.
홈부(20a)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h1이 전술한 레버(30)의 폭과 같지만 조금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버(30)가 보조 기구 본체(20) 측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레버(30)가 홈부(20a)에 꼭 끼이게 된다.
오목부(20b)는, 노즐부(14) 측을 삽입하여 용기 본체(11)를 고정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20b)에는, 도 3 및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부(14)를 고정했을 때 토출공(14a)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도 5는 레버(30)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레버(30)의 상면도, 도 6의 (b)는 레버(30)의 측면도이다.
레버(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30a)가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점안 용기(10)를 외주면으로부터 끼워넣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30a)의 끼워넣음 폭 h2는,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의 직경보다 조금 크고, 또한 플랜지(12)를 포함한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버(30)가 회동하여, 용기 본체(11)의 상부로부터 이동한 일단부(30a)는 플랜지(12)의 상면에서 멈춘다.
레버(30)의 타단부(30b)에는 지지공(30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공(30c)과 보조 기구 본체(20)의 지지공(20c)을 겹쳐 축(50)을 통과시키게 되어 있다. 이로써, 레버(30)는 보조 기구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컵>
도 7은, 컵(40)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도 8의 (d)는, 컵(40)의 4면도이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컵(40)을 보조 기구 본체(2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컵(40)은 실리콘 등의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접촉하는 개구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0a)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관통공(40b)(도 8 참조)으로부터 토출된 점안액을, 환자(200)의 눈(201)으로 안내하기 위한 부재다. 개구부(40a)의 주위는,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밀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컵(40)은, 관통공(40b)이 상기 점안 용기(10)의 점안액이 토출되는 노즐부(14)의 토출공(14a)에 연통하도록 상기 보조 기구 본체(20)에 장착된다. 상기 컵(40)의 관통공(40b)을 통하여 토출되는 점안액의 토출 방향은, 상기 점안 용기(10)의 점안액 토출부인 플랜지(12)가 눌리는 방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방향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점안 용기(10)의 점안액의 토출 방향을 규정한 45°에 맞추어 45°로 되어 있지만, 환자의 요청 등을 고려하여, 20∼70°의 각도로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컵(40)은, 도 8의 (a)∼도 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40a)와는 반대 측에 보조 기구 본체(20)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부재(41)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41)의 일단에는 지지공(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공(41a)을 이용하여 보조 기구 본체(20)에 장착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40)의 장착 부재(41)의 지지공(41a)에, 보조 기구 본체(20)의 오목부(20b) 측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60)가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컵(40)을 보조 기구 본체(20)에 지지하고 있다.
장착 부재(41)를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컵(40)을 보조 기구 본체(20)에 장착할 때, 장착 부재(41)를 외측으로 넓어지게 하여, 지지공(41a)을 보조 기구 본체(20)의 돌기(60)에 끼워맞추어지게 한다. 즉, 컵(40)은, 장착 부재(41)를 사용하여 보조 기구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컵(40)은, 보조 기구 본체(2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컵(40)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40a)가 타원 형상을 하고 있고,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딱 맞게 되어 있다. 그리고, 환자(200)로서는 어른, 어린이, 남성, 여성 등의 차이를 고려하여, 컵(40)을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딱 맞게 하기 위해서는, 컵(40)의 크기나 형상, 즉 개구부(40a)의 크기나 형상을 변경한 컵(40)을 복수 종류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 교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40a)의 길이 방향의 직경 h3, 폭 방향의 직경 h4를 변경한 컵(40)을 복수 종류 준비해 놓고, 환자(200)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서 적절하게 교체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환자(200)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서, 컵(40)을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딱 맞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컵(40)의 관통공(40b)으로부터 눈(201)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면 보다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지만, 눈(201)과 접촉하여 상처를 내거나, 속눈썹과 접촉하여 선단 부분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거리를 너무 길게 하면, 점안액의 튀는 힘이 약할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포물선을 그려서 튄 점안액이 표적을 벗어날 가능성도 생긴다. 이들 이유를 고려하여 컵(40)의 관통공(40b)으로부터 눈(201)까지의 거리를 설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안액을 적절하게 눈(201)에 투여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40)을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딱 맞게 했을 때, 컵(40)의 관통공(40b)으로부터 눈(201)까지의 거리를 1∼25㎜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로 설정한다.
<점안 보조 기구의 동작 설명>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점안 보조 기구(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기구 본체(20)에 장착된 레버(30)를 개방 상태로 하고, 점안 용기(10)를 보조 기구 본체(2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다. 이 때, 점안 용기(10)는, 노즐부(14)를 아래로 하여 보조 기구 본체(20)의 오목부(20b)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노즐부(14)의 토출공(14a)을, 컵(40)의 관통공(40b)[도 8의 (b)]에 맞추도록 하여 점안 용기(10)를 고정한다.
다음에,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0)를 보조 기구 본체(20) 측, 즉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레버(30)의 일단부(30a)를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의 상면과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레버(30)를 화살표 X방향으로 더 회동시킴으로써, 플랜지(12)가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13)가 용기 본체(11)에 압입되어 펌프 기능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1)의 점안액을 퍼올리고,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컵(40)의 관통공(40b)[도 8의 (b)]을 통하여 토출한다. 이에 의해, 컵(40) 앞의 환자(200)의 눈(201)에 점안액이 투여된다.
이와 같이, 레버(30)를 보조 기구 본체(20) 측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앞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악력이 약한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를 향하지 않고도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으므로, 얼굴을 위쪽을 향하게 하여 점안액을 투여할 수 없는 사람이라도, 점안액의 투여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안 용기(10)에 있어서, 가동 부재(13)의 압하 방향과 점안액의 토출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로 되는 위치에, 노즐부(14)의 토출공(14a)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컵(40)은,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50)과 축(60)을 통과하는 직선과, 이 직선에 직교하는 직선과의 사이에 둘러싸인 범위(도면부호 A와 B 사이의 90°의 범위)의 중간 각도, 즉 도면부호 A 측으로부터 45°, 도면부호 B 측으로부터 45°로 되도록, 보조 기구 본체(20)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환자(200)는 앞을 향하여 눈(201)에 점안할 수 있다. 그리고, 컵(40)으로부터의 점안액의 토출 방향은, 예를 들면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부호 A와 B 사이의 90°의 범위이면 바람직하지만, 컵(40)으로부터의 점안액의 토출 방향이 B 측에 가까워지면, 환자는 아래를 향한 방향으로 목을 굽히지 않으면 안되고, 힘든 자세로 눈(201)에 점안하게 된다. 한편, 컵(40)으로부터의 점안액의 토출 방향이 A 측에 가까워지면, 환자는 위를 향하고 눈(201)에 점안하게 되어, 본 발명의 본래의 목적[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눈(201)에 점안하는 것]을 달성할 수 없다.
그리고,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를 디라미네이션 구조로 한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점안 용기(10)의 점안액의 토출 방향을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점안액을 토출시킬 필요는 없고, 상기 각도는 특별히 고려할 필요는 없다. 이것은,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가 디라미네이션 구조인 경우, 점안 용기의 노즐 부분의 개구 홀과 용기 본체의 바닥면의 중심은 동일 축(유체 송달축) 상에 존재해도,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효과>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 기구(100)에 의하면, 점안 용기(10)가 보조 기구 본체(20)의 일단에, 위치 결정 부재인 컵(40)에 의해 점안액의 투여해야 할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점안액의 토출 위치를 규정하는 노즐부(14)가 용기 본체(11)보다 아래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계속적으로 앞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계속해서 투여하는 경우라도, 용기 본체(11)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1)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하기 위한 용기 구조의 일종인 디라미네이션 구조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일반적인 용기를 사용하여,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지 않는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구 본체(20)의 타단에는, 점안액 토출부인 플랜지(12)를 눌러서 점안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레버(3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30)를 이용하면, 레버(30)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플랜지(12)를 누르는 경우보다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점안 용기로부터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0)의 지지 위치는, 보조 기구 본체(20)의 형상으로부터, 하측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기구 본체(20)의 타단인 레버(30)의 지지 위치가 점안 용기(10)의 고정 위치보다 위쪽에 있어도 된다. 즉, 점안 용기(10)의 고정 위치가 하측으로 되고, 레버(30)의 지지 위치가 상측으로 되도록 보조 기구 본체(20)의 형상이 도 1의 형상과 상하 반대로 된 점안 보조 기구여도 된다. 상기 내용에 대하여, 이하의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1과 동일한 점안 용기(10)를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안 보조 기구의 개요>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점안 보조 기구(3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안 보조 기구(30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안액을 토출하는 점안 용기(10)를 탑재하고, 환자(점안 대상)(200)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 기구로서 레버(301), 보조 기구 본체(본체)(302)를 포함하고 있다.
보조 기구 본체(302)는,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302a)의 개구 에지부가 환자(200)의 눈(201)을 덮는 컵으로서 기능한다. 즉, 개구부(302a)가 도 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100)가 포함하는 컵(40) 대신으로 된다. 즉, 개구부(302a)는 컵(40)과 마찬가지로, 환자(200)의 눈(201)에 대하여 점안액을 적절하게 토출할 수 있도록,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의 토출공(14a)을 노출시키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토출공(14a)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개구부(302a)는,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접촉하고, 밀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302a)는 환자(200)에 대한 접촉 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자(200) 주위에 접촉하는 개구 에지부를 실리콘 등의 고분자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보조 기구 본체(302)는, 개구부(302a) 측에서 상기 레버(30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개구부(302a)에 근접한 위치에 점안 용기(1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302b)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302b)의 상기 개구부(302a)와는 반대 측에 상기 레버(301)의 일부[타단부(301b)]가 들어가기 위한 개구부(302c)가 형성되어 있다.
점안 용기(10)는, 점안 보조 기구(300)의 개구부(302a)를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점안액이 토출되는 노즐부(14)의 토출공(14a)이 환자(200)의 눈(201)에 대향하도록, 상기 점안 보조 기구(300)에 장전된다. 여기에서,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눈(201)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면 보다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지만, 눈(201)과 접촉하여 상처를 내거나, 속눈썹과 접촉하여 선단 부분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거리를 너무 길게 하면, 점안액이 튀는 힘이 약할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포물선을 그려서 튄 점안액이 표적을 벗어날 가능성도 생긴다. 이들 이유를 고려하여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눈(201)까지의 거리를 설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안액을 적절하게 눈(201)에 투여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기구 본체(302)의 개구부(302a)를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딱 맞게 했을 때,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눈(201)까지의 거리를 1∼25㎜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로 설정한다.
레버(301)는, 일단부(301a)가 보조 기구 본체(302) 내부의 개구부(302a)와 개구부(302b) 사이에 설치된 지지축(30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301b)가 보조 기구 본체(302)의 개구부(302c)로부터 노출되고, 화살표 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301)는, 보조 기구 본체(302)의 일단부(301a)에 있어서 점안 용기(10)를 보조 기구 본체(302)에 의해 끼워넣고, 타단부(301b)를 화살표 X·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일단부(301a)가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에 형성된 플랜지(12)가 위쪽으로부터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버(301)의 타단부(301b)의 표면(사용자가 잡는 측의 면)에는, 사용자가 등간격(等間隔)으로 오목부(301c)가 4군데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01c)는, 점안 보조 기구(300)의 레버(301)와 보조 기구 본체(302)를 끼워넣도록 사용자가 잡았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버(301)의 오목부(301c)와, 보조 기구 본체(302)의 개구부(302c)에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사용자가 잡는 파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301c)의 개수, 형상,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보조 기구 본체(302)는, 일단 측에서 상기 레버(30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타단 측에 상기 피투여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301)를 지지한 위치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서 상기 점안 용기(10)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301)와 보조 기구 본체(302)를 맞췄을 때의 상기 파지부의 단면 형상은,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레버(301)와 보조 기구 본체(302)가 대향하는 방향이 긴 변으로 되는 타원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점안 보조 기구(300)를 잡고 점안하는 자세로 되었을 때, 상기 점안 보조 기구(300)가 잡기 쉬워지므로, 점안이 용이해진다.
<점안 보조 기구의 동작 설명>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안 용기(10)를 점안 보조 기구(300)에 장전한 상태에서, 보조 기구 본체(302)의 개구부(302a)를 환자(200)의 눈(201) 주위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레버(301)를 보조 기구 본체(302) 측, 즉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레버(301)의 일단부(301a) 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일단부(301a)를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의 상면과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레버(301)를 화살표 X방향으로 더 회동시킴으로써, 플랜지(12)가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13)가 용기 본체(11)에 압입되어 펌프 기능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1)의 점안액을 퍼올리고,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토출한다. 이에 의해, 노즐부(14)의 토출공(14a)으로부터 토출된 점안액이 환자(200)의 눈(201)에 투여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 기구(300)를 사용하면, 상기 점안 보조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레버(301)를 보조 기구 본체(302) 측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피투여자는 앞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악력이 약한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를 향하지 않고도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으므로,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점안액을 투여할 수 없는 사람이라도, 점안액의 투여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 기구(300)는, 보조 기구 본체(302)에 장전된 점안 용기(10)에 가까운 측, 즉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를 누르는 위치에 가까운 측에, 레버(301)의 회동 지점이 있기 때문에, 이 회동 지점이 점안 용기(10)의 플랜지를 누르는 위치보다 먼 쪽에 있는 상기 점안 보조 기구(100)보다 작은 힘으로 레버(301)를 보조 기구 본체(302) 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점안 보조 기구(100, 300)를 사용한 투약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투약 관리>
점안 보조 기구(100, 300) 등의 점안 디바이스에 카메라,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라이트나 센서를 내장함으로써, 환자의 투약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100)의 컵(40) 내에 LED 라이트, 카메라를 구비한 경우, 환자(200)가 점안 보조 기구(100)를 잡으면, LED 라이트가 점등되고, 그것을 보고 점안함으로써 눈(201)을 감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고, 또한, 점안액을 토출할 때, 카메라에 의해 눈(201)의 촬영을 행한다. 이 카메라 화상을 축적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점안 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300)의 보조 기구 본체(302)의 개구부(302a)에 있어서도, 상기 컵(40)과 마찬가지로 LED 라이트,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점안 보조 기구(100, 300)에 장착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온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점안의 성공 여부를 객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Ocular Surface Thermographer(도메이 제조) 등에 장착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를 점안 보조 기구(100, 300)의 컵(40) 내나 개구부(302a)의 내측에 내장하고, 점안 후 몇초간 눈 표면 온도 변화를 측정한다. 점안액은 통상 실온이고 눈 표면은 37℃ 부근이므로, 점안의 순간은 눈 표면에서 급격한 온도 저하가 검출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점안의 성공 여부를 적외선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초소형 사이즈의 센서와 앰프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온도계를 이용하여 눈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응답 속도가 30msec로 빨라, 액적이 들어갔을 때의 눈 표면의 온도 변화를 순시에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점안의 성공 여부를 보다 빠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안 보조 기구(100, 300)에 의해 점안된 것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 예를 들면 점안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카메라에 의한 촬영 화상 데이터, 점안의 성공 여부를 나타낸 데이터 등을, 점안한 날짜와 대응시켜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투약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안에 의해 얻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는, 점안 디바이스인 점안 보조 기구(100, 300)에 보존되고, 또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동기된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동기된 데이터는, 전화 회선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적으로 보관된다. 이하에, 구체적인 투약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약 관리 시스템>
도 12는, 점안 디바이스로서 점안 보조 기구(100)를 사용한 환자의 점안 관리를 행하기 위한 투약 관리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투약 관리 시스템에서는, 점안 디바이스로서, 도 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100)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점안 보조 기구(300)를 사용해도 된다.
점안 보조 기구(100)를 사용한 투약 관리 시스템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안 보조 기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환자)의 점안 관리를 하는 관리자(보호자)가 조작하는 스마트폰(휴대 단말기)(401), 상기 사용자(환자:피투여자)의 점안 관리를 하는 관리자(의사)가 조작하는 퍼스널컴퓨터(402), 인터넷 접속된 라우터(403), 클라우드 컴퓨터(404), 관리 서버(405)를 포함하고 있다.
<점안 보조 기구(100)의 기능>
점안 보조 기구(100)에는, 전용 제제를 장착하여 투약 관리를 행하기 위하여, 시계, 카운터, 카메라, 메모리, LED 라이트, 배터리, 배터리 인디케이터, 통신 기능[블루투스(등록상표) 4.0, WiFi(등록상표)], 바코드 판독 기능, 알람 명동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점안 보조 기구(100)를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기본적인 투약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제제의 종류의 판정: 전용 제제를 포함한 점안 용기(10)에 첨부된 바코드를, 카메라 및 바코드 판독 기능을 이용하여 판독하고, 전용 제제의 종류를 판정하여, 제제의 종류를 상기 점안 용기(10)의 점안 보조 기구(100)에 삽입 시에 자동기록한다.
(2) 점안하는 시간의 알림(알람): 미리 설정된 투약 시간이 되면, 점안 보조 기구(100)의 알람 명동 기능을 이용하여, 알람을 울린다. 이 경우, 점안 보조 기구(100)를 관리하는 스마트폰(401)으로부터 알람을 울리도록 해도 된다.
(3) 점안한 시간의 기록: 점안 보조 기구(100)를 사용하여 점안했을 때,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 센서에 의한 점안의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점안한 날짜와 함께 기록한다.
(4) 점안할 때의 보조 라이트: 점안 보조 기구(100)의 레버(30)의 반(半)누름 상태에서 컵(40) 내에 설치한 LED 라이트를 점등시킨다. 환자는, LED 라이트의 광을 보고 점안함으로써 눈을 뜨는 것을 의식한다.
(5) 디바이스의 ID 관리: 데이터 관리를 위한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취득한 데이터에 대응시켜 메모리에 기록한다.
(6) 점안 캘린더: 이미 기록한 데이터로부터, 시계열의 점안 기록을, 점안한 일시·제제 종류·화상 데이터·메모 등을 기록한 표로 만든 데이터(점안 캘린더)를 작성한다.
(7) 투약 이력 데이터: 처방한 제제의 종류·이력(투여한 일시, 투여량 등)
(8) 잔류 액적량 관리: 용기 내의 잔액량과 사용 가능한 기간을 나타냄으로써, 점안액의 잔류 액적량 관리를 행한다.
(9) 점안 보조 기구(100)의 배터리 잔량 관리: 배터리 인디케이터에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배터리가 1년 정도 지속되는 것을 고려한 경우, 배터리 잔량이 없어지기 1개월 전에 경고한다.
(10)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401)이나 퍼스널컴퓨터(402)와 데이터 통신(블루투스 또는 WiFi)을 행한다.
<스마트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
스마트폰(401)으로서 탑재하고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기본적인 투약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점안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블루투스 또는 WiFi)을 행한다.
(2) 클라우드 컴퓨터(404)로부터 클라우드 데이터(투약 관리 데이터)의 다운로드와, 다운로드한 투약 관리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3) 캘린더 상에서 투약 관리 데이터를 표시한다.
(4) 사용하고 있는 제제의 종류나 잔액량, 사용 가능한 남은 일수 등을 표시한다.
(5) 복수 종류의 제제마다 투약 시간의 알람 명동을 한다.
(6) 점안 보조 기구(100)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의 클라우드로의 자동 업로드를 행한다.
<퍼스널컴퓨터(402)의 기능>
기본적으로, 퍼스널컴퓨터(402)에서는, 스마트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퍼스널컴퓨터(402)에 있어서, 스마트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 가능한 기능으로서, 적어도 이하와 같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1) 클라우드 컴퓨터(404)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환자의 정보 확인을 행한다.
(2) 점안 보조 기구(100)의 사용 환자의 제제별 누적 처방량의 파악을 행한다.
<투약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투약 관리의 실례>
[점안 보조 기구(100)의 조작]
점안 보조 기구(100)에 의한 제제 인식의 방법으로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을 하는 방법과, 하드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점안 보조 기구(100)에는 전원 스위치는 존재하지 않고, 전지가 장착되어 전원이 있는 한 계속해서 구동하는 것으로 한다.
(1)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의 방법
점안 보조 기구(100)는, 탑재된 카메라를 제제의 바코드 표시 부분에 향하게 하여 레버(30)를 잡는다. 그리고, 바코드의 판독이 완료되면 「피핏」하고 울린다. 이것으로 제제 종류의 등록이 완료된다. 등록 완료된 제제의 노즐 방향을 맞추어 점안 보조 기구(100)에 세팅한다.
(2) 하드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의 방법
제제에는, 제제의 종류에 따라 제제를 넣은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에 돌기가 있고, 각각의 제제에 의해 돌기의 위치가 다르다. 상기 제제를 노즐부(14)의 노즐 방향을 맞추어 점안 보조 기구(100)에 세팅한다. 이에 의해, 노즐부(14)에 형성된 돌기의 위치에 따라 점안 보조 기구(100)에 세팅된 제제의 종류가 인식되고, 상기 점안 보조 기구(100)에 등록된다.
사용자는, 상기 (1) 또는 (2)의 방법에 의해, 제제의 종류가 인식된 점안 용기(10)가 세팅된 점안 보조 기구(100)를 가볍게 잡고, 컵(40)으로 눈의 위치에 댄다. 컵(40)에는 눈꺼풀을 강제적으로 열기 위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돌기는, 컵을 눌러 대어 조금 레버를 잡으면 눈꺼풀을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점안 보조 기구(100)를 가볍게 더 잡으면 컵(40)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LED 라이트가 빛난다. 환자는 그 광을 보면서 점안 보조 기구(100)를 더 강하게 잡으면, 노즐부(14)의 노즐 선단부로부터 점안제 1방울이 발사된다.
여기에서, 점안 보조 기구(100)를 강하게 잡는 순간에 액적이 발사되는 동시에, 컵(40)의 바닥면에 설치된 카메라의 셔터가 터져 사진이 촬영된다. 이 때, 순간적으로 복수회 셔터가 터지고, 복수장의 사진이 촬영된다. 또는, 컵(40)에 설치된 센서가 액적의 통과를 검지하거나, 액적이 눈 속에 들어갔을 때의 눈 표면 온도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점안의 성공 여부를 관찰할 수 있다.
점안이 종료되면 제제를 포함한 점안 용기(10)를 점안 보조 기구(100)로부터 떼어내고, 다음 제제를 장착할 수 있도록 다음 제제의 바코드를 판독하고, 전술한 요령으로 점안한다. 그리고, 모든 제제의 점안이 종료되면, 점안 조작은 완료한다.
다음에, 점안 보조 기구(100)는 블루투스 또는 WiFi에 의해, 보호자 또는 환자 본인이 조작하는 스마트폰(401)과 데이터의 동기를 행한다.
[스마트폰(401)의 조작]
스마트폰(401)에는, 투약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점안 보조 기구(100)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401)과 점안 보조 기구(100)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신할 때에는, 점안 보조 기구(100)에 배정된 ID 번호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취득하고, 점안 보조 기구(100)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점안 보조 기구(100)에 배정된 ID 번호와 비밀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전화 회선에 의해, 투약 관리 시스템 내의 관리 서버(405)와 클라우드 컴퓨터(404)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캘린더 기능이 설정되어 있어, 처방된 제제의 등록과 점안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점안 보조 기구(100)와 동기시킴으로써 점안 타이밍을 상기 점안 보조 기구(100)에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점안 보조 기구(100)와 통신하고, 점안을 실시한 시간이나 제제의 종류, 카메라나 센서로 포착한 화상 등의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받아들인 데이터는, 점안 보조 기구(100)에도 스마트폰(401)에도 약 3개월분 이상을 보존할 수 있고, 만일 통신할 수 없어도 각각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가도록 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의 스마트폰(401)의 표시 화면에는, 캘린더 상에서 각각의 제제를 점안할 수 있는지가 마크로 표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메라나 센서로 포착한 화상이나 기록을 확인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클라우드 컴퓨터(404)와 관리 서버(405)로 구축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 기능과 해석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는, 스마트폰(401)을 통하여 매일 또는 일정 기간의 데이터가 로딩된다. 로딩은, 스마트폰(401) 상에 축적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보존」을 클릭함으로써 실행된다.
클라우드 서버로의 액세스는, 스마트폰(401) 또는 퍼스널컴퓨터(402)로부터 점안 보조 기구(100)의 ID 번호와 비밀번호로 액세스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 스마트폰(401)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등록되어 있는 ID 번호로부터 그 개인의 데이터에만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의사가 복수의 환자의 데이터를 열람하고 싶은 경우에는, 별도의 액세스권을 설정하고 각각 개인의 정보를 열람만 가능한 상황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의사는 퍼스널컴퓨터(402)에서 클라우드 데이터의 열람으로서, 개인의 점안 이력을 알 수 있는 캘린더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퍼스널컴퓨터(402)에서 부가 정보로서, 각 제제의 점안 회수나 잔액량을 확인할 수 있고, 제제의 잔량이 적어지면 처방을 촉구하는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 기구(100, 300)는, 점안 대상으로서 환자(200)뿐만 아니라, 안질을 앓고 있는 개나 고양이 등의 동물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위를 향하지 않고도 점안액을 투여하는 점안 보조 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10 : 점안 용기
11 : 용기 본체
12 : 플랜지(압하부)
13 : 가동 부재(압하부)
14 : 노즐부(압하부)
14a : 토출공
20 : 보조 기구 본체
20a : 홈부
20b : 오목부
20c : 지지공
20d : 개구부
30 : 레버
30a : 일단부
30b : 타단부
30c : 지지공
40 : 컵(위치 결정부)
40a : 개구부
40b : 관통공
41 : 장착 부재
41a : 지지공
60 : 돌기
100 : 점안 보조 기구
200 : 환자(피투여자)
201 : 눈
300 : 점안 보조 기구
301 : 레버
301a : 일단부
301b : 타단부
301c : 오목부(파지부)
302 : 보조 기구 본체(파지부)
302a : 개구부
302b : 개구부(위치 결정부)
302c : 개구부
303 : 지지축
401 : 스마트폰
402 : 퍼스널컴퓨터
403 : 라우터
404 : 클라우드 컴퓨터(클라우드 서버)
405 : 관리 서버(클라우드 서버)

Claims (7)

  1. 점안액을 수용한 용기 본체, 및 레버를 피투여자가 누름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토출공으로부터 토출시키는 압하부(押下部)를 포함하는 점안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피투여자가 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한 점안 보조 기구로서,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보조 기구 본체 측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압하부를 누르고,
    상기 보조 기구 본체는, 위치 결정부에 의해 상기 피투여자의 눈에 대하여 상기 토출공의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토출공이 상기 용기 본체보다 아래로 되도록,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는,
    점안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구 본체는,
    일단(一端) 측에서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고, 타단(他端) 측에서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점안 보조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구 본체는,
    일단 측에서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타단 측에 상기 피투여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를 지지한 위치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서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하는, 점안 보조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컵으로 형성된 컵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은,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상기 토출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보조 기구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점안 보조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보조 기구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토출공을 노출시키도록 개구된 개구부의 개구 에지부인, 점안 보조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부에 상기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하부의 압하 방향과, 상기 토출공이 점안액을 토출하는 토출 방향이 평행하지 않은, 점안 보조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 방향과 상기 토출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 이하인, 점안 보조 기구.
KR1020187000546A 2015-06-18 2016-06-15 점안 보조 기구 KR20180019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3264 2015-06-18
JPJP-P-2015-123264 2015-06-18
JPJP-P-2016-117385 2016-06-13
JP2016117385A JP2017006656A (ja) 2015-06-18 2016-06-13 点眼補助具
PCT/JP2016/067806 WO2016204179A1 (ja) 2015-06-18 2016-06-15 点眼補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648A true KR20180019648A (ko) 2018-02-26

Family

ID=5776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546A KR20180019648A (ko) 2015-06-18 2016-06-15 점안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168862A1 (ko)
EP (1) EP3311788A4 (ko)
JP (1) JP2017006656A (ko)
KR (1) KR20180019648A (ko)
CN (1) CN107920952A (ko)
CA (1) CA2989285A1 (ko)
HK (2) HK1250909A1 (ko)
RU (1) RU2018101214A (ko)
TW (1) TW201703741A (ko)
WO (1) WO2016204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1966B1 (ja) * 2017-05-23 2018-02-21 株式会社京都マイクロシステムズ 点眼装置
TW201938219A (zh) * 2018-03-13 2019-10-01 日商參天製藥股份有限公司 點眼藥輔助具
JP7240575B2 (ja) * 2019-07-16 2023-03-16 草桶 大輝 液体吐出装置及び投薬装置
WO2022030301A1 (ja) * 2020-08-04 2022-02-10 参天製薬株式会社 液体噴射用駆動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US20220054311A1 (en) * 2020-08-12 2022-02-24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Eye Drop Dispensing Apparatus
JP7385797B1 (ja) * 2023-03-23 2023-11-24 賢司 大坂 噴霧式目薬容器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07728D0 (en) * 1988-03-31 1988-05-05 Dispomed Ltd Device for assisting dispensing
JPH0520738U (ja) * 1991-05-22 1993-03-19 西山 朝乃 目薬容器と目薬容器の点眼用キヤツプ体
JP2564025Y2 (ja) * 1991-07-11 1998-03-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ポンプ
JPH0889575A (ja) * 1994-09-21 1996-04-09 Izuru Nakamura 目薬容器
SE9702082D0 (sv) * 1997-06-02 1997-06-02 Pharmacia & Upjohn Ab Eye fluid applicator
US6033384A (en) * 1997-12-18 2000-03-07 Py; Daniel One-way actuation release mechanism for a system for applying medicament
SE0202800D0 (sv) * 2002-09-23 2002-09-23 Pharmacia Ab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products, particularly medicinal products
EP1556289A4 (en) * 2002-10-21 2009-01-21 Medical Instill Tech Inc FLUID DISPENSER HAVING A RIGID BOTTLE AND A FLEXIBLE INTERNAL BLISTER
US7757898B2 (en) * 2003-10-02 2010-07-20 The X Group Inc. Portable dispensing systems
US7374559B2 (en) * 2003-11-14 2008-05-20 Berger Steven T Hand-held device enabling accurate dispensing of a drop of a liquid into the eye of a subject
CN2750817Y (zh) * 2004-06-22 2006-01-11 王世海 护眼液喷雾瓶
WO2006082588A2 (en) * 2005-02-07 2006-08-10 Pharmalight Inc. Method and device for ophthalmic administration of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CA2606469A1 (en) * 2005-04-29 2006-11-09 Pfiz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ophthalmic solutions
JP2008295880A (ja) * 2007-06-01 2008-12-11 Kawamoto Sangyo Kk 点眼補助具
JP5631128B2 (ja) * 2010-09-07 2014-11-26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ノック式吐出容器
JP2016500323A (ja) * 2012-12-19 2016-01-12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Glaxo Group Limited 液体ディスペンサのための案内デバイス
DE102013000794B4 (de) * 2013-01-17 2019-10-02 WestRock Dispensing Systems Hemer GmbH Austragvorrichtung für ein fluides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179A1 (ja) 2016-12-22
RU2018101214A3 (ko) 2019-10-08
EP3311788A4 (en) 2019-02-20
US20180168862A1 (en) 2018-06-21
RU2018101214A (ru) 2019-07-19
CA2989285A1 (en) 2016-12-22
JP2017006656A (ja) 2017-01-12
HK1250909A1 (zh) 2019-01-18
CN107920952A (zh) 2018-04-17
HK1251448A1 (zh) 2019-02-01
TW201703741A (zh) 2017-02-01
EP3311788A1 (en)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9648A (ko) 점안 보조 기구
JP3213184U (ja) 点眼剤ディスペンサー
US20210330491A1 (en) Electronic drop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16502429A (ja) 薬物送達の実施およびモニタリング
JP2023126542A (ja) 点眼補助具
US112413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pill dispensers with various dispensing mechanisms
US20220257885A1 (en) Device for nasal delivery of fluid product
US20220273892A1 (en) Assembly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US20190183676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513709B1 (ko) 점안 보조구
WO2018044758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80008459A1 (en) Device for measuring and improving adherence of eye drops
WO2018110652A1 (ja) 点眼補助具
JP7179399B1 (ja) 点眼補助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