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709B1 - 점안 보조구 - Google Patents

점안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709B1
KR102513709B1 KR1020197019423A KR20197019423A KR102513709B1 KR 102513709 B1 KR102513709 B1 KR 102513709B1 KR 1020197019423 A KR1020197019423 A KR 1020197019423A KR 20197019423 A KR20197019423 A KR 20197019423A KR 102513709 B1 KR102513709 B1 KR 10251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rop
aid
eye
instilla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501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다
후미타카 다사카
교헤이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4493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10652A1/ja
Publication of KR2019009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심플한 구조로 편리성이 높은 점안 보조구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점안 보조구(100)는, 노즐부(14)의 이동에 의해 점안액이 토출되는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에 조립 부착되는 보조구 본체(20)를 포함하고, 보조구 본체(20)는, 점안 보조구(100)의 지지를 위해서 보조구 본체(20)를 사이에 끼워 넣는, 환자(200)의 두 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오목부(21a, 21b)를 갖는다.

Description

점안 보조구
본 발명은 점안을 보조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점안은 환자의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환자의 눈에 점안액을 적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환자의 눈에 적량으로 또한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환자의 눈에 적량으로 또한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한 점안의 점안 보조구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안유체용(眼流體用) 애플리케이터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 2002-502289호 공보(2002년 1월 22일 공표)」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안유체용 애플리케이터에는, 점안의 보조를 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펌프 기구와, 액체류(液體流) 또는 소적(小滴)에 의한 매체 전송, 보다 요구가 높은 용도에서는 스프레이 송달 등의 점안액의 투여 경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안유체용 애플리케이터는, 핸드 그립과 송달 오리피스의 각도, 안용(眼用) 컵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눈에 대하여 소량으로 또한 정확하게 점안액을 송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환자가 앞으로 향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것을 상정하여, 점안액을 수평 방향으로 날림으로써 점안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또한 편한 자세로 점안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다. 더구나, 상기 안유체용 애플리케이터는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심플한 구조로 점안 정밀도를 높이면서 또한 편한 자세로 점안할 수 있는 점안 보조구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는, 점안액을 수용한 용기 본체와, 점안액을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는 토출부와,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 본체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피투여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 본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토출부에 점안액을 보내는 점안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투여자가 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조립 부착되는 보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구 본체는, 상기 점안 보조구의 지지를 위해서 상기 보조구 본체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피투여자의 두 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가락걸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구 본체는 피투여자의 두 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가락걸이부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피투여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토출부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토출이 용기 본체 측으로 이동하여 점안액이 토출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구 본체에 손가락걸이부를 마련한다고 하는 심플한 구조로, 피투여자가 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는 편리성 높은 점안 보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심플한 구조로 점안 정밀도를 높이면서 또한 편한 자세로 점안할 수 있는 점안 보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두 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한다」란, 사용자의 두 손가락과 보조구 본체의 위치 관계가 변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점안 보조구는, 상기 토출부에 조립 부착되는 지지 보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보조부는,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하도록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점안 보조구를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피투여자의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엄지손가락걸이부를 갖더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하도록 개구된 개구부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점안 보조구는 지지 보조구를 접속한 상태라도 피투여자의 눈에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보조부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가락걸이부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점안 보조구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한다」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지지 보조구의 위치 관계가 변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점안 보조구는, 상기 지지 보조부의 상기 개구부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점안 보조구에 접속되는 스탠드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점안 보조구를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스탠드는 개구부를 막기 때문에, 사용자는 점안 보조구의 비사용 시에 있어서 토출 구멍 및 점안액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위생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는 상기 피투여자의 눈의 주위에 접촉하는 형상이며, 상기 지지 보조부는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보조부가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투여자의 눈의 주위에 개구 가장자리부를 접촉시키더라도 지지 보조부의 내부는 밝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특히 피투여자 자신이 점안 보조구를 이용하여 점안액을 투여하는 경우, 피투여자는 토출 구멍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엄지손가락걸이부는, 상기 점안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토출부가 이동하는 축선 상에 있더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엄지손가락걸이부는, 점안 용기에 있어서의 토출부가 이동하는 축선 상에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 손가락에 의해서 점안 보조구에 가해진 힘을 엄지손가락으로 받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점안 보조구에 대하여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는, 피투여자의 눈의 주위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안 보조구는, 점안액을 투여할 때마다 피투여자가 눈의 주위에 아픔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지지 보조부는, 상기 보조구 본체에서 떼어내어 물로 씻을 수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투여자와 접촉하는 지지 보조부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는, 점안액을 수용한 용기 본체와, 점안액을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는 토출부와,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 본체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피투여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토출부를 상기 지지부를 따라 상기 용기 본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토출부에 점안액을 보내는 점안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투여자가 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조립 부착되는 보조구 본체와, 상기 토출부에 조립 부착되는 지지 보조부(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구 본체는, 상기 점안 보조구의 지지를 위해서 상기 보조구 본체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피투여자의 두 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가락걸이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 보조부는,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하도록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점안 보조구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피투여자의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곡면 형상의 엄지손가락걸이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이동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이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시키는 토출 가능 위치와,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시키지 않는 토출 불가능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보조부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고, 보조구 본체의 손가락걸이부에 손가락을 걸고, 엄지손가락을 광대뼈로 고정하여, 보조구 본체와 지지 보조부를 가깝게 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한 작동으로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보조부에 있어서의 엄지손가락걸이부가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투여자의 엄지손가락을 대기 쉽다.
또한, 지지 보조부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고, 엄지손가락을 광대뼈로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손가락걸이부에 걸침으로써 보조구 본체와 지지 보조부를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면서 또한 작은 힘으로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점안 정밀도를 높이면서 또한 편한 자세로 점안할 수 있는 점안 보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지지 보조부는, 상기 이동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이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시키는 토출 가능 위치와,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시키지 않는 토출 불가능 위치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상기 점안액 토출의 가능 및 불가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보조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보조부를 토출 가능 위치나 토출 불가능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위생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 보조부를 회전시킨다고 하는 심플한 구조로 점안액 토출의 가능 및 불가능을 설정하여, 잘못해서 점안 조작을 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지지 보조부가 상기 토출 불가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보조구 본체의 상기 지지 보조부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억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보조부가 토출 불가능 위치에 있을 때, 보조구 본체를 지지 보조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잘못해서 점안액을 토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피투여자에 대한 상기 토출 구멍의 위치 및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투여자와 토출 구멍의 위치 관계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실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피투여자에게 점안액을 점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표시는, 상기 토출 구멍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한 상태에 있어서, 피투여자가 봤을 때, 상기 토출 구멍과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투여자가 봤을 때, 위치 결정 표시가 토출 구멍과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왔을 때, 토출 구멍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하게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토출 구멍의 위치 및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토출 구멍의 주위가 다른 부위와 구별 가능하게 착색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토출 구멍의 위치를 피투여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표시는, 상기 토출 구멍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한 상태에 있어서, 피투여자의 시계에 들어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결정 표시가 피투여자의 시계에 들어갔을 때에 토출 구멍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하게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토출 구멍의 위치 및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보조구 본체는 원통 형상이며, 측면에 정보 표시가 가능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점안액의 정보 등을 보조구 본체에 표시할 수 있어, 이들 정보를 피투여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보조구 본체에, 상기 용기 본체를 시인할 수 있는 확인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투여자에게 점안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지지 보조부는 다른 부위와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보조부의 색을 바꿈으로써 복수의 점안 보조구를 구별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점안액의 종류가 다른 복수의 점안 보조구가 있는 경우에, 피투여자가 각각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다른 점안 보조구와 접속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다른 점안 보조구와 일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다른 점안 보조구와 접속하여 일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예컨대 팔을 올리기 어려운 피투여자 등, 다양한 피투여자에게 대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에서는, 상기 다른 점안 보조구는, 상기 점안 보조구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점안 보조구의 토출부의 토출 구멍의, 피투여자의 눈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점안 보조구의 지지 보조부를 용기 본체 측으로 압하(押下)하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피투여자가 압하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상기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는, 점안액을 수용한 용기 본체와, 레버를 피투여자가 압하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점안액을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는 압하부를 갖는 점안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투여자가 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로서,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레버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보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보조구 본체 측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압하부를 압하하고, 상기 보조구 본체는, 위치 결정부에 의해 상기 피투여자의 눈에 대하여 상기 토출 구멍의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토출 구멍이 상기 용기 본체보다도 아래가 되도록 상기 점안 용기를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레버가 상기 점안 용기의 압하부를 압하할 때에, 상기 레버에 대하여 상기 보조구 본체 측으로 밀어 내리는 회동 속도를 가속시키는 회동 속도 가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버가 상기 점안 용기의 압하부를 압하할 때에, 상기 레버에 대하여 보조구 본체 측으로 밀어 내리는 회동 속도를 가속시키는 회동 속도 가속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레버의 회동 속도가 가속되기 때문에, 점안 용기의 압하부를 압하하는 속도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안액을 기운좋게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의 토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점안액을 환자의 눈에 적절하게 투여할 수 있다.
더구나, 레버를 피투여자가 압하한다고 하는 심플한 구조로, 점안액의 토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점안액을 수평 방향으로 날릴 수 있기 때문에, 점안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또한 편한 자세로 점안할 수 있는 점안 보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상기 보조구 본체에 들어가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 속도 가속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보조구 본체에 들어가도록 회동하고,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력이 미리 설정된 작동력 이상으로 될 때까지 상기 레버의 회동를 정지시키고, 상기 작동력 이상으로 되면 상기 레버의 회동 정지를 해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력이 미리 설정된 작동력 이상으로 될 때까지 상기 레버의 회동를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 사이에 상기 레버에 여분으로 가해진 힘이, 상기 정지가 해제되면, 그 기세에 의해 레버의 회동 속도를 빠르게 한다. 이에 따라, 점안 용기의 압하부를 압하하는 속도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점안액을 기운좋게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의 토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점안액을 환자의 눈에 적절하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속도 가속부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동 속도 가속부는, 상기 보조구 본체의, 상기 레버가 상기 보조구 본체에 들어갔을 때의 상기 레버 표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면에 대하여 위아래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작동 저항판과, 상기 레버의, 상기 보조구 본체에 상기 레버가 들어갔을 때의 상기 보조구 본체 이면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상기 레버가 회동할 때 상기 작동 저항판에 맞닿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저항판의 상기 레버의 대향면에는, 상기 레버의 돌기부에 맞닿고,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력이 미리 설정된 작동력 이상이 되면 해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속도 가속부는, 상기 레버의, 상기 보조구 본체에 들어갔을 때의 상기 보조구 본체 표면에 대향하는 면에, 이 면에 대하여 위아래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작동 저항판과, 상기 보조구 본체의, 상기 레버가 상기 보조구 본체에 들어갔을 때의 상기 레버 표면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상기 레버가 회동할 때 상기 작동 저항판에 맞닿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저항판의 상기 보조구 본체의 대향면에는, 상기 보조구 본체의 돌기부에 맞닿고,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력이 미리 설정된 작동력 이상이 되면 해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구 본체에는, 상기 레버의 상기 보조구 본체 측으로의 회동으로 밀어붙이는 압박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점안 토출 후에, 레버가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회동 속도 가속부는, 상기 레버가, 작용점이 상기 압하부를 압하하는 제1 지레와, 작용점이 상기 제1 지레의 역점(力點)을 상기 압하부의 압하 방향으로 압하하고, 역점이 피투여자에 의해서 압하되는 제2 지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레의 작용점은, 상기 제1 지레의 역점에 작용하는 상기 제2 지레의 작용점의 압하력이 미리 설정된 압하력 이상이 되면 상기 압하부를 압하하도록 작용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지레(제1 지레, 제2 지레)를 이용한다고 하는 심플한 구조로, 레버를 빠른 회동 속도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재빠르게 점안 용기의 압하부를 압하할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을 기운좋게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 대상인 피투여자의 눈에 대하여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조구 본체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피투여자의 눈의 주위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피투여자의 아랫눈꺼풀을 아래쪽으로 여는 개안용(開眼用) 레버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투여자의 눈을 개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을 적절하게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위치 결정부의 경사 각도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피투여자의 눈의 주위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점안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점안액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피투여자의 눈이 오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적절한 각도로 점안액을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을 적절하게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피투여자의 눈의 주위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점안 용기의 점안액의 토출 구멍과, 이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되는 점안액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피투여자의 눈이 오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표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투여자는 안표를 봄으로써 점안액을 적절하게 투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구 본체는, 피투여자가 쥐는 파지 부분의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점안 보조구를 피투여자가 쥐기 쉽게 되기 때문에, 점안액을 적절하게 투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구 본체에는, 피투여자에의 점안에 의해서 얻어지는 점안 데이터를 투약 관리 정보로서 관리하는 투약 관리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투여자의 점안 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심플한 구조로 높은 편리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지지 보조부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고, 보조구 본체의 손가락걸이부에 손가락을 걸어, 보조구 본체와 지지 보조부를 가깝게 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한 작동으로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지지 보조부에 있어서의 엄지손가락걸이부가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투여자의 엄지손가락을 대기 쉽다.
또한, 지지 보조부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고, 다른 손가락을 손가락걸이부에 걺으로써 보조구 본체와 지지 보조부를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면서 또한 작은 힘으로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점안액을 기운좋게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의 토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점안액을 환자의 눈에 적절하게 투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에서 이용되는 점안 용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보조구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보조구 본체의 전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접안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기 접안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상기 접안 가이드의 전면도이다. 도 4(d)는 상기 접안 가이드의 후면도이다.
도 5(a)는 스탠드를 접속한 상태의, 도 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점안 조작 전의, 도 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b)는 점안 조작 후의 상기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점안 용기가 삽입된 상태의, 도 7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점안 용기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도 7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상기 점안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비사용 시의, 도 7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AA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접안 가이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접안 가이드를 설치한 노즐 지지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점안 보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점안 용기(용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점안 보조구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7(a)는 점안 보조구를 Z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17(b)는 점안 보조구를 Y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7(c)은 점안 보조구를 -Y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7(d)은 점안 보조구를 -Z 방향에서 본 후면도이다.
도 18은 점안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점안 보조구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점안 조작의 가부 전환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0(a)는 점안 조작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b)는 점안 조작 불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점안 보조구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점안 보조구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점안 보조구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에, 도 15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를 접속한 점안 장치의 개략 구성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점안 장치의 점안 시에 사용자가 점안 보조구를 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하는 점안 장치의 점안 시에 사용자가 점안 보조구를 눈에 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를 투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투시도이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각 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투약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점안 보조구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0(a)는 통상 상태의 점안 보조구, 도 30(b)는 점안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1(a)∼도 31(d)은 도 30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에 구비된 회동 속도 가속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a)∼도 32(d)는 도 30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에 구비된 회동 속도 가속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에 장착된 카트리지 본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점안 보조구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점안 용기>
처음에, 본 발명의 점안 보조구에 이용되는 점안 용기에 관해서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점안 용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점안 용기(10)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 플랜지(12), 지지 부재(13)(지지부) 및 노즐부(14)(토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용기 본체(11)는대략 원통형이며 점안액을 수용한다. 플랜지(12)는 용기 본체(11)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3)는 용기 본체(11)와 노즐부(14)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14)를 용기 본체(11)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3)는 곧바른 원통형의 부재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노즐부(14)는 지지 부재(13)를 따라 용기 본체(11)에 대하여 화살표 X·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환자(500)의 조작에 의해서 노즐부(14)를 지지 부재(13)를 따라 용기 본체(11) 방향(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노즐부(14)에 점안액을 보낸다. 즉, 노즐부(14), 지지 부재(13)에 의해서, 용기 본체(11)로부터 점안액을 송출하기 위한 메카니컬 펌프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노즐부(14)는 토출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 구멍(14a)은 용기 본체(11)로부터 메카니컬 펌프로 퍼낸 점안액을 토출한다. 또한 노즐부(14)는, 지지 부재(13)에 대하여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을 통해 지지되어 있고, 용기 본체(11) 측으로 이동할 때는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고, 반대로 이동할 때는 압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환자(500)(도 1 참조)가 플랜지(12)를 화살표 X 방향으로 압하하면, 노즐부(14)가 지지 부재(13)를 따라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메카니컬 펌프가 용기 본체(11)에 수용된 점안액을 퍼올린다. 이 결과,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된다. 또한, 용기 본체(11) 및 플랜지(12)와 지지 부재(13) 및 노즐부(14)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환자(500)가 압하를 멈추면, 용기 본체(11) 및 플랜지(12)와 지지 부재(13) 및 노즐부(14)의 위치 관계는 원래로 되돌아간다.
노즐부(14)는, 메카니컬 펌프에 의해서 퍼올려진 점안액을, 상기 노즐부(14)의 가동 방향에 대하여 45° 기운 방향(토출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토출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45°의 토출 방향은 일례이다. 단, 토출 방향은 90° 이하가 바람직하다. 토출 방향의 기울기는 점안 보조구(100)(도 1 참조)의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상기 구성의 점안 용기(10)에서는, 노즐부(14)를 가동시킴으로써, 5∼30 μL의 점안액을 상기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점안액의 토출량은 펌프 내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점안 보조구의 개요>
이어서, 점안 용기(10)를 이용하는 점안 보조구에 관해서 도 1, 도 3∼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100)의 개략 구성에 관해서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점안 보조구(100)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환자(500)(사용자, 피투여자)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구이다. 점안 보조구(100)는 보조구 본체(20) 및 접안 가이드(30)(지지 보조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100)는 비사용 시에 이용하는 스탠드(40)(도 5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자(500) 자신이 점안 보조구(100)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즉, 환자(500)는 점안 보조구(100)의 사용자이면서 또한 점안액의 피투여자이다. 한편, 점안 보조구(100)의 사용자와 피투여자가 다른 사람이라도 좋다. 또한, 피투여자는 동물이라도 좋다.
(보조구 본체(20))
이어서, 보조구 본체(20)에 관해서 도 1 및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보조구 본체(20)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보조구 본체(20)의 전면도이다.
보조구 본체(20)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보조구 본체(20)는 지지 부재(21) 및 볼록부(22)를 포함하고 있다. 보조구 본체(20)는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에 조립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보조구 본체(20)에는 지지 부재(21)에서부터 볼록부(22)에 걸쳐 삽입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3)는 보조구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멍이다. 바꿔 말하면, 보조구 본체(20)는, 일단(볼록부(22) 측)이 개구되어, 점안 용기(10)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보조구 본체(20)의 타단(보조구 본체(20)의 바닥면 측)은 닫혀 있다. 이에 따라, 보조구 본체(20)는 삽입된 점안 용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삽입부(23)에는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가 삽입된다. 삽입부(23)의 깊이는 점안 용기(1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면 된다. 예컨대 삽입부(23)의 깊이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용기(10)(용기 본체(11))의 바닥면에서부터 지지 부재(13)에 있어서의 노즐부(14) 측의 면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여도 좋다.
점안 용기(10)는 도 3(b)에 도시하는 삽입구(23a)로부터 삽입된다. 삽입부(23) 및 삽입구(23a)의 형상은 점안 용기(10)의 형상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컨대 도 2의 점안 용기(10)가 삽입되는 보조구 본체(20)에 있어서, 삽입부(23)는 원통 형상이다. 즉, 이 예에 있어서의 삽입구(23a)의 형상은 원형이다. 이 예의 경우, 삽입구(23a)의 직경은 용기 본체(11)의 외부 바닥면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21)는, 보조구 본체(20) 중, 환자(500)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분이다. 지지 부재(21)에는, 오목부(21a) 및 오목부(21b)(손가락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환자(500)는 오목부(21a) 및 오목부(21b)에 자신의 손가락을 걺으로써 보조구 본체(20)를 지지한다. 예컨대 환자(500)는, 오목부(21a)에 가운뎃손가락을 걸고, 오목부(21b)에 집게손가락을 건다. 이에 따라,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써, 환자(500)는 보조구 본체(20)를 두 손가락으로 사이에 끼운 상태에 있어서, 점안 보조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의 위치가 고정된다」란, 환자(500)의 손가락과, 이 손가락이 걸려 있는 부재(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의 경우는 지지 부재(21))와의 위치 관계가 변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지지 부재(21)는, 오목부(21a), 오목부(21b) 대신에, 손가락을 걸 수 있는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즉, 점안 보조구(100)에 있어서,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는 오목부라도 좋고, 볼록부라도 좋다.
(접안 가이드(30))
이어서, 접안 가이드(30)에 관해서 도 1 및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접안 가이드(3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접안 가이드(30)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접안 가이드(30)의 전면도이다. 도 4(d)는 접안 가이드(30)의 후면도이다.
접안 가이드(30)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100)에 있어서, 환자(500)의 눈(601)의 주위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안 가이드(30)는, 도 4(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는, 도 4(a) 및 도 4(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부(30b) 측에 노출 구멍(3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는, 도 4(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부(30b)의 반대쪽에 오목부(30f)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30f)의 바닥면에 삽입구(30e)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0f)는, 보조구 본체(20)에 형성된 볼록부(22)가 삽입되는 형상이면 된다.
접안 가이드(30)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에 조립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안 가이드(30)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가 삽입구(30e)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은 노출 구멍(30c)으로부터 노출된다. 노출 구멍(30c) 및 삽입구(30e)는, 노즐부(14)가 삽입구(30e)에 삽입되었을 때, 개구부(30b) 측에서 본 토출 구멍(14a)이 개구부(30b)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점안액을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는 보조구 본체(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떼내어진 접안 가이드(30)는 물로 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500)와 접촉하는 접안 가이드(30)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개구 가장자리부(30d)는 눈(601)의 주위에 밀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는, 실리콘 등의 고분자 재료 중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안 가이드(30) 안이 밝아지기 때문에, 환자(500)는 눈(601)으로 토출 구멍(14a)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환자(500)는,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된 점안액이 확실하게 눈(601)에 투여되는 각도로 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100)의 각도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는, 노출 구멍(30c)에서부터 개구부(30b)까지의 거리가, 토출된 점안액이 눈(601)에 도달하는 거리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리는, 바꿔 말하면, 개구 가장자리부(30d)를 눈(601)의 주위에 접촉시켰을 때의, 토출 구멍(14a)에서부터 눈(601)까지의 거리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를 짧게 하면, 보다 정확하게 점안액을 점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거리를 짧게 하면, 토출 구멍(14a)이 눈(601)에 접촉함으로 인해 눈(601)을 상처 입힐 우려가 있다. 또한, 속눈썹이 토출 구멍(14a)에 접촉함으로 인해 토출 구멍(14a)이 오염될 우려도 있다. 반대로 상기 거리를 길게 하면, 점안액이 눈(601)까지 도달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접안 가이드(30)의 제작자는 이들 이유를 고려하여 상기 거리를 설정한다. 상기 거리는 예컨대 1 mm∼2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20 mm로 설정된다.
또한, 접안 가이드(30)에는 오목부(30a)(엄지손가락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환자(500)는 오목부(30a)에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걺으로써 점안 보조구(100)를 지지한다. 즉 환자(500)는, 지지 부재(21)의 오목부(21a) 및 오목부(21b) 각각에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걸고, 또한 오목부(30a)에 엄지손가락을 건다. 이에 따라, 세 손가락의 위치가 고정되어, 환자(500)는 점안 보조구(100)를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는, 오목부(30a) 대신에, 손가락을 걸 수 있는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즉, 점안 보조구(100)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는 오목부라도 좋고, 볼록부라도 좋다.
(스탠드(40))
이어서, 스탠드(40)에 관해서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스탠드(40)를 접속한 상태의 점안 보조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 및 도 5(c)는 스탠드(40)의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탠드(40)는 접안 가이드(30)에 접속된다.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탠드(40)의 접지면(40a)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100)를 세운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탠드(40)의 접지면(40a)과 그 반대쪽의 면은 관통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탠드(40)는 점안 보조구(100)의 덮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점안 보조구(100)의 비사용 시에 있어서, 토출 구멍(14a) 및 점안액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스탠드(40)와 접안 가이드(30)를 접속하기 위한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탠드(40)의 접안 가이드(30)와 접속되는 측의 면에는 감합 볼록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볼록부(40b)는, 접안 가이드(30)의 개구부(30b)에 감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30b)에 감합 볼록부(40b)가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감합 볼록부(40b)가 점안 보조구(100)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점안 보조구(100)의 조작 설명>
이어서, 점안 보조구(100)의 조작에 관해서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점안 조작 전의 점안 보조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점안 조작 후의 점안 보조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점안 보조구(100)의 보조구 본체(21)가 용기 본체(11)에 조립 부착되며 또한 접안 가이드(30)가 노즐부(14)에 조립 부착되면, 접안 가이드(30)와 보조구 본체(21)는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안 가이드(30)의 오목부(30f)의 바닥면과 보조구 본체(21)의 볼록부(22)의 정상면 사이에, 볼록부(2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폭의 간극이 형성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환자(500)는 오목부(21a), 오목부(21b) 및 오목부(30a)에 각각 가운뎃손가락, 집게손가락 및 엄지손가락을 걸어 점안 보조구(100)를 지지한다. 그리고, 환자(500)는 개구 가장자리부(30d)를 눈(601)의 주위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환자(500)는 자신이 손을 쥐는 식으로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움직인다. 즉, 환자(500)는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화살표의 X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이후 이 조작을 「점안 조작」이라고 부른다.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점안 조작에 의해, 지지 부재(21)에 화살표의 X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볼록부(22)가 오목부(30f)에 삽입됨과 더불어,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에 X 방향의 힘이 가해져, 노즐부(14)가 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토출 구멍(14a)이 점안액을 토출한다. 이상으로부터, 환자(500)는 앞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눈(601)에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으로 쥐는 식으로 조작하는 것은 인간공학적으로도 가장 힘이 전해지기 쉬운 조작 방법이며, 고령이고 손이 부자유스러운 경우도 취급하기 쉬운 것이다.
또한 환자(500)는, 상기 점안 조작에 있어서,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재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점안 용기(10)에 순간적으로 큰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된 점안액의 비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점안액을 눈(601)에 확실하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의 오목부(30a)는, 도 6(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용기(10)에 있어서의, 노즐부(14)가 이동하는 축선 A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화살표의 X 방향의 힘을 엄지손가락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점안 조작에 의해서 지지 부재(21)를 화살표의 X 방향으로 밀어 넣기 쉽게 된다.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100)에 의하면, 지지 부재(21)에는, 환자(500)의 가운뎃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21a) 및 오목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점안 보조구(100)는 심플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환자(500)가 접안 가이드(30)를 눈(601)의 주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오목부(21a) 및 오목부(21b)에 건 두 손가락을 접안 가이드(30)의 방향으로 움직이면(점안 조작을 하면), 지지 부재(21)에 의해서 용기 본체(11)가 눌려, 점안액이 토출된다.
이상과 같이 점안 보조구(100)는, 상기한 것과 같이 심플한 구조라도, 환자(500)가 앞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눈(601)에 투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얼굴을 위로 향할 수 없는 사람이라도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이로써, 심플한 구조로 편리성 높은 점안 보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점안 용기(10)는 노즐부(14)가 용기 본체(11)보다 아래가 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도 1 참조). 이에 따라, 환자(500)는 용기 본체(11)에 수용된 점안액을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에는 환자(500)가 엄지손가락을 거는 오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점안 보조구(10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오목부(30a)는, 점안 용기(10)에 있어서의, 노즐부(14)의 가동 방향과 평행한 축 A(도 6(a) 참조)을 접안 가이드(30) 방향으로 연장했을 때, 오목부(30a)와 교차하는 정도의 깊이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점안 조작에 의해서 점안 보조구(100)에 가해진 힘을 엄지손가락으로 받을 수 있다. 이로써, 환자(500)는 점안 조작에 의해서 점안 보조구(100)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100)는 눈(601)의 주위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안 보조구(100)는, 점안액을 투여할 때마다 환자(500)가 눈의 주위에 아픔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30)는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자(500)가 개구 가장자리부(30d)를 눈(601)의 주위에 밀착시켰을 때, 접안 가이드(30)의 내부를 밝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환자(500)는 눈(601)으로 토출 구멍(14a)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환자(500)는, 개구부(30b)에 스탠드(40)의 감합 볼록부(40b)를 끼워 넣음으로써, 점안 보조구(100)를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40)는 개구부(30b)를 막기 때문에, 환자(500)는 점안 보조구(100)의 비사용 시에 있어서 토출 구멍(14a) 및 점안액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500)는 접안 가이드(30)의 오목부(30a)를 상측(환자(500)의 머리 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점안 보조구(100)를 지지하여도 좋다. 단, 환자(500)가 이와 같이 점안 보조구(100)를 지지한 경우, 점안 용기(10)는, 용기 본체(11)가 노즐부(14)보다 아래가 되는 상태(직립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예에 따른 점안 용기(10)는, 직립 상태라도 점안액을 빨아올릴 수 있도록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7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점안 용기(10)를 이용한 점안 보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환자(500) 자신이 점안 보조구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점안 보조구(300)>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300)의 개략 구성에 관해서 도 7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점안 용기(10)가 삽입된 점안 보조구(3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점안 용기(10)가 삽입된 점안 보조구(300)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점안 용기(1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점안 보조구(300)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점안 용기(1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점안 보조구(300)의 사시도이다.
점안 보조구(300)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점안 보조구(100)와 마찬가지로, 환자(500)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구이다. 점안 보조구(300)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점안 보조구(30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닫혀 있는 원통이다. 또한 점안 보조구(300)에는, 개구단 측에, 외주(원주)를 따른 손가락걸이 볼록부(30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점안 보조구(300)는 챙이 있는 모자와 같은 형상이다. 또한 이후, 점안 보조구(300) 내의 공간을 삽입부(300b)라고 부른다. 또한, 점안 보조구(300)의 개구단을 삽입구(300c)라고 부른다.
점안 보조구(30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삽입구(300c)로부터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가 삽입된다. 삽입부(300b)의 깊이는, 삽입된 점안 용기(1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면 된다. 예컨대 삽입부(300b)의 깊이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여도 좋다. 단, 삽입부(300b)의 깊이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의 단부(14b)(도 8 참조)에서부터 플랜지(12)의 용기 본체(11) 측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삽입구(300c)의 직경은, 용기 본체(11)의 외부 바닥면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조금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점안 보조구(300)의 조작 설명>
이어서, 점안 보조구의 조작에 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환자(500)는,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용기(10)를 삽입한 점안 보조구(300)의 원통 부분을, 두 손가락(예컨대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으로 사이에 끼우는 식으로 지지한다. 이 때, 환자(500)는 이 두 손가락을 손가락걸이 볼록부(300a)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환자(500)는 노즐부(14)의 단부(14b)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엄지손가락의 위치가 고정되어, 환자(500)는 점안 보조구(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환자(500)는 토출 구멍(14a)을 눈(601)에 가까이 한다. 그리고, 환자(500)는 자신의 손을 쥐는 식으로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움직인다. 즉, 환자(500)는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화살표의 X 방향으로 움직인다. 바꿔 말하면, 환자(500)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점안 조작을 행한다.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의 위치는 손가락걸이 볼록부(300a)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14)의 단부(14b)가 엄지손가락에 의해서 눌린다. 이 때문에, 상기 점안 조작에 의해, 점안 보조구(300)에 화살표의 X 방향(도 7 참조)의 힘이 가해져,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에 X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노즐부(14)가 Y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 구멍(14a)이 점안액을 토출한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앞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눈(601)에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환자(500)는, 상기 점안 조작에 있어서,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재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점안 용기(10)에 순간적으로 큰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된 점안액의 비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점안액을 눈(601)에 확실하게 투여할 수 있다.
<점안 용기(10)의 보관>
이어서, 점안 보조구(300)를 이용한 점안 용기(10)의 보관에 관해서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비사용 시의 점안 보조구(3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300)의 삽입부(300b)의 깊이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의 단부(14b)에서부터 플랜지(12)의 용기 본체(11) 측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자(500)가 노즐부(14) 측에서 점안 용기(10)를 점안 보조구(300)에 삽입했을 때, 용기 본체(11)의 일부가 삽입부(300b)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점안 용기(10)는 토출 구멍(14a)이 점안 보조구(300)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로써, 환자(500)는 점안 보조구(100)의 비사용 시에 있어서 토출 구멍(14a) 및 점안액의 위생을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다.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300)에 의하면, 환자(500)의 가운뎃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손가락걸이 볼록부(30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점안 보조구(300)는 점안 보조구(100)와 비교하여 보다 심플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환자(500)가 노즐부(14)의 단부(14b)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걸이 볼록부(300a)에 접촉시킨 두 손가락을 노즐부(14) 방향으로 움직이면(점안 조작을 한다), 점안 보조구(300)에 의해서 용기 본체(11)가 눌리어, 점안액이 토출된다.
이상과 같이, 점안 보조구(300)는, 상기한 것과 같이 더욱 심플한 구조라도, 환자(500)가 앞으로 향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눈(601)에 투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얼굴을 위로 향할 수 없는 사람이라도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다. 이로써, 심플한 구조로 편리성 높은 점안 보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1, 2와 동일한 점안 용기(10)를 이용한 점안 보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에 기재한 점안 보조구(100)를 배치하는 스탠드(40)와 다른 스탠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점안 보조구의 개요>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4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점안 보조구(400)는, 환자(사용자, 피투여자)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구이다. 점안 보조구(400)는,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보조구 본체(420) 및 접안 가이드(430)(지지 보조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400)는 비사용 시에 이용하는 스탠드(4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자 자신이 점안 보조구(400)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즉, 환자는 점안 보조구(400)의 사용자이면서 또한 점안액의 피투여자이다. 한편, 점안 보조구(400)의 사용자와 피투여자가 다른 사람이라도 좋다. 또한, 피투여자는 동물이라도 좋다.
(보조구 본체(420))
이어서, 보조구 본체(420)에 관해서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400)의 AA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보조구 본체(420)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구 본체(420)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닫혀 있는 원통이다. 또한, 보조구 본체(420)에는, 개구단 측에, 외주(원주)를 따른 손가락걸이 볼록부(42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구 본체(400)는, 상기 실시형태 2의 점안 보조구(300)와 마찬가지로 챙이 있는 모자와 같은 형상이다. 또한 이후, 보조구 본체(420) 안의 공간을 삽입부(420b)라고 부른다. 또한, 보조구 본체(420)의 개구단을 삽입구(420c)라고 부른다.
보조구 본체(420)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삽입구(420c)로부터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가 삽입된다. 삽입부(420b)의 깊이는, 삽입된 점안 용기(1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면 된다. 예컨대 삽입부(420b)의 깊이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여도 좋다. 또한 삽입구(420c)의 직경은, 용기 본체(11)의 외부 바닥면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조금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안 가이드(430))
이어서, 접안 가이드(430)에 관해서 도 13 및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접안 가이드(430)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점안 보조구(100)의 접안 가이드(30)와 마찬가지로, 환자 눈의 주위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안 가이드(430)는,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부(43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430)는 개구부(430b) 측에 노출 구멍(43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430)는,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부(430b)의 반대쪽에 삽입구(430e)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430e)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가 삽입되는 형상이면 된다.
접안 가이드(430)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에 조립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안 가이드(430)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가 삽입구(430e)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은 노출 구멍(430c)으로부터 노출된다. 노출 구멍(430c) 및 삽입구(430e)는, 노즐부(14)가 삽입구(430e)에 삽입되었을 때, 개구부(430b) 측에서 본 토출 구멍(14a)이 개구부(430b)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는 점안액을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430)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떼어낸 접안 가이드(430)는 물로 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와 접촉하는 접안 가이드(430)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개구 가장자리부(430d)는 환자의 눈의 주위에 밀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430)는 실리콘 등의 고분자 재료 중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안 가이드(30) 안이 밝아지기 때문에, 환자는 눈으로 토출 구멍(14a)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환자는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된 점안액이 확실하게 눈에 투여되는 각도로 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400)의 각도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430)는 노출 구멍(430c)에서부터 개구부(430b)까지의 거리가, 토출된 점안액이 눈(201)에 도달하는 거리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리는, 바꿔 말하면, 개구 가장자리부(430d)를 환자의 눈의 주위에 접촉시켰을 때의, 토출 구멍(14a)에서부터 눈까지의 거리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를 짧게 하면, 보다 정확하게 점안액을 점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거리를 짧게 하면, 토출 구멍(14a)이 눈에 접촉함으로 인해 눈을 상처 입힐 우려가 있다. 또한, 속눈썹이 토출 구멍(14a)에 접촉함으로 인해 토출 구멍(14a)이 오염될 우려도 있다. 반대로 상기 거리를 길게 하면, 점안액이 눈까지 도달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접안 가이드(430)의 제작자는 이들 이유를 고려하여 상기 거리를 설정한다. 상기 거리는 예컨대 1 mm∼2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20 mm로 설정된다.
또한, 접안 가이드(430)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 가장자리부(430d)의 반대쪽에 오목부(430a)(엄지손가락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환자는, 도 6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목부(430a)에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걺으로써 점안 보조구(400)를 지지한다. 즉 환자는, 보조구 본체(420)의 손가락걸이 볼록부(420a)에 가운뎃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을 걸고, 또한 접안 가이드(430)의 오목부(430a)에 엄지손가락을 건다. 이에 따라, 세 손가락의 위치가 고정되어, 환자는 점안 보조구(40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접안 가이드(430)는, 오목부(430a) 대신에, 손가락을 걸 수 있는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즉, 점안 보조구(400)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는 오목부라도 좋고 볼록부라도 좋다.
점안 보조구(400)의 조작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점안 보조구(100)와 같다.
(스탠드(440))
이어서, 스탠드(440)에 관해서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스탠드(440)를 접속한 상태의 점안 보조구(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탠드(440)는 접안 가이드(430)에 접속된다. 스탠드(440)의 접지면(440a)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400)를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탠드(440)의 접지면(440a)과 그 반대쪽의 면은 관통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탠드(440)는 점안 보조구(400)의 덮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환자는 점안 보조구(400)의 비사용 시에 있어서 토출 구멍(14a) 및 점안액의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스탠드(440)와 접안 가이드(430)를 접속하기 위한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탠드(440)의 접안 가이드(430)와 접속되는 측의 면에는 감합 볼록부(440b)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볼록부(440b)는 접안 가이드(430)의 개구부(430b)에 감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30b)에 감합 볼록부(440b)가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감합 볼록부(440b)가 점안 보조구(400)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스탠드(440)의 감합 볼록부(440b)와 반대쪽의 후단에는, 접안 가이드(430)에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부(440d)가 마련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점안 보조구(400)를 스탠드(440)에 셋트했을 때에 안정적으로 상기 점안 보조구(4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440)의 앞면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각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440c)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스탠드 가이드(440)에 알람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미리 설정한 시각이 되면 표시 패널(440c)을 빨갛게 점멸시켜 알람음을 출력하여, 점안을 환자에게 재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1에서는 표시 패널(440c)에 시각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표시하는 정보는 시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점안의 횟수 등의 정보도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스탠드(440)에 통신 기능을 갖게 하여, 통신 회선을 통해 취득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 패널(440c)에 표시하게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의 점안 보조구에 이용되는 점안 용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1∼3과 동일한 점안 용기(10)를 이용한 점안 보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점안 용기>
도 16은 점안 용기(용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안 용기(10)의 길이 방향을 X 방향,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사영(射影)한 방향을 Z 방향,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Z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점안 용기(10)는,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 플랜지(12), 지지 부재(13) 및 노즐부(14)(토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용기 본체(11)는 대략 원통형이며 점안액을 수용한다. 플랜지(12)는 용기 본체(11)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3)는, 용기 본체(11)와 노즐부(14)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14)를 용기 본체(11)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3)는 곧바른 원통형의 부재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노즐부(14)는 지지 부재(13)를 따라 용기 본체(11)에 대하여 화살표 X·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환자(500)의 조작에 의해서 노즐부(14)를 지지 부재(13)를 따라 용기 본체(11)의 방향(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노즐부(14)에 점안액을 보낸다. 즉, 노즐부(14), 지지 부재(13)에 의해서, 용기 본체(11)로부터 점안액을 송출하기 위한 메카니컬 펌프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노즐부(14)는 토출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 구멍(14a)은 용기 본체(11)로부터 메카니컬 펌프로 퍼낸 점안액을 토출한다. 또한 노즐부(14)는, 지지 부재(13)에 대하여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을 통해 지지되어 있고, 용기 본체(11) 측으로 이동할 때는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고, 반대로 이동할 때는 압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 플랜지(12)를 X축을 따라 X 방향(노즐부(14)의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노즐부(14)가 지지 부재(13)를 따라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메카니컬 펌프가 용기 본체(11)에 수용된 점안액을 퍼올린다. 이 결과,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된다. 또한, 용기 본체(11) 및 플랜지(12)와 지지 부재(13) 및 노즐부(14)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환자(500)가 압하를 멈추면, 용기 본체(11) 및 플랜지(12)와 지지 부재(13) 및 노즐부(14)의 위치 관계는 원래로 돌아간다.
노즐부(14)는, 메카니컬 펌프에 의해 퍼올려진 점안액을, 상기 노즐부(14)의 가동 방향(압하 방향)에 대하여 45° 기운 방향(토출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토출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45°의 토출 방향은 일례이며,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토출 방향의 기울기는 점안 보조구(100)의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점안 용기(10)에서는, 용기 본체(11)를 노즐부(14) 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용기 본체(11)의 점안액이 메카니컬 펌프에 의해 퍼올려져,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점안 용기(10)에서는, 노즐부(14)를 가동시킴으로써 5∼30 μL의 점안액을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점안액의 토출량은 펌프 내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점안 보조구의 개요>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의 점안 용기(10)를 이용하는 점안 보조구(1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보조구(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안 보조구(100)의 길이 방향을 X 방향,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에 대응하는 칼집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Z 방향,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Z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점안 보조구(100)는, 점안 용기(10)를 이용하여 점안액을 수평으로 토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점안 용기(10)를 내부에 저장한다. 또한, 점안 용기(10)가 점안 보조구(100)에 저장되었을 때의, 점안 용기(10)의 XYZ 방향과, 점안 보조구(100)의 XYZ 방향은 일치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100)는 환자(점안 대상, 피투여자)(200)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구이다. 점안 보조구(100)는 커버부(보조구 본체)(101), 캡부(102) 및 바닥부(103)를 포함한다. 커버부(101)에는 훅부(손가락걸이부)(105) 및 잔액 확인창(확인창)(106)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3개 파트로 이루어지는 점은 필수는 아니며, 점안 보조구(100)는 3보다도 많은 파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3보다도 적은 파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점안 보조구(100)는 상술한 점안 용기(10)가 내부에 저장된다. 캡부(102)를 누른 상태에서 훅부(105)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부(101)가 X 방향으로 압하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가 X 방향으로 압하된다. 그리고, 노즐부(14)가 용기 본체(11)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된다.
<점안 보조구의 외관>
이어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점안 보조구(100)의 외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점안 보조구(100)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점안 보조구(100)를 Z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7(b)는 점안 보조구(100)를 Y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7(c)은 점안 보조구(100)를 -Y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7(d)은 점안 보조구(100)를 -Z 방향에서 본 후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점안 보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100)에는, 커버부(101), 캡부(지지 보조부)(102), 바닥부(103)로 이루어지고, 커버부(101)에는 훅부(105), 잔액 확인창(106) 및 절취부(개구부)(10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01)의 절취부(108)의 주위에는 화살표 마크(위치 결정 표시)(1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캡부(102)에는, 절취부(108)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절 각도 마크(위치 결정 표시)(112)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부(101)는 점안 용기(10)를 내부에 저장한다. 커버부(101)는 원통 형상이며, 내측면이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와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101)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랜지(12)가 X 방향으로 압하된다.
캡부(102)는, 커버부(101)의 X 방향으로 마련되어,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를 덮고 있다. 캡부(102)의 상부면(-X 방향의 면, 엄지손가락걸이부)은, 환자(500)의 엄지손가락을 따르도록 움푹 파인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캡부(102)의 상부면은, 환자(500)의 엄지손가락이 맞닿는 부위이며, 곡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환자(500)의 엄지손가락을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캡부(102)는 X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캡부(102)를 회전시킴으로써, 점안 조작의 가부를 전환할 수 있다. 점안 조작의 가부 전환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바닥부(103)는 커버부(101)의 -X 방향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바닥부(103)의 색을 변경함으로써 점안 용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점안액을 구별할 수 있다.
훅부(105)는, 커버부(101)의 ±Z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돌기이고, 환자(500)가 상기 훅부(105)에 손가락을 걺으로써 점안 보조구(1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500)는 훅부(105)에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을 걸어, 캡부(102)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훅부(105)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Z 방향으로 각각 하나(합계 2개)의 훅부(105)를 마련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훅부(105)는 돌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커버부(101)의 해당 부분을, 환자(500)의 손가락이 끼워질 정도로 움푹 들어가게 한 형상이라도 좋다.
잔액 확인창(106)은, 커버부(101)의 측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용기 본체(11)의 외관을 눈으로 확인(시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환자(500)가 점안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절취부(108)는, 커버부(101)의 X 방향 측의 측면에 마련되며,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 및 토출 구멍(14a)에 대응하는 것이다. 점안액이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될 때, 절취부(108)에 의해 절취된 공간을 지나 환자(500)의 눈(601)에 토출된다.
화살표 마크(111) 및 적절 각도 마크(112)는, 환자(500)가 점안 보조구(100)를 적절한 각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체적인 사용 방법은 후술한다.
<점안 보조구와 점안 용기의 관계>
이어서, 도 19를 참조하여 점안 보조구(100)와 점안 용기(10)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19는 점안 보조구(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100)의 내부에는 점안 용기(10)가 저장된다.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에 캡부(102)가 배치되고, 점안 용기(10)의 용기 본체(11) 측에 바닥부(103)가 배치된다. 또한, 점안 보조구(100)의 내측면에는 스토퍼(억제부)(110)가 배치된다. 스토퍼(110)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점안 조작의 가부 전환>
이어서, 도 20을 참조하여 점안 조작의 가부 전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점안 조작의 가부 전환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0(a)는 점안 조작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b)는 점안 조작 불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캡부(102)는, 원통 형상의 한쪽이 막힌 형상이며, 막힌 면(상부면)이 움푹 파인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캡부(102)는, 상술한 것과 같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측면의 일부가 절취되어 있고, 점안 조작 가능한 상태(토출 가능 위치)에서는, 상기 절취 부분을 지나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된 점안액이 환자(500)에게 점안된다.
한편, 점안 조작 가능한 상태에서 캡부(102)가 180도 회전한, 점안 조작 불가능한 상태(토출 불가능 위치)에서는, 토출 구멍(14a)이 캡부(102)의 측면에 의해서 막혀 있다.
즉, 점안 조작 가능한 상태에서는, 캡부(102)의 측면 중, 절취된 부분이 토출 구멍(14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 토출 구멍(14a)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점안 조작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토출 구멍(14a)은 캡부(102)에 덮여, 노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점안 조작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캡부(102)의 측면과 스토퍼(110)가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101)를 캡부(10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바꿔 말하면 커버부(101)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110)는 없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부(102)의 위치에 의해 점안 가능 상태와 점안 불가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점안 보조구의 작동 설명>
이어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점안 보조구(100)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점안 보조구(100)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토출 구멍(14a)은 X축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점안액을 토출한다. 또한, 환자(500)의 얼굴(600)과 점안 보조구(10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 점안액이 날라가는 거리도 달라진다. 이로써, 환자(500)의 눈(601)에 적절하게 점안하기 위해서는, 환자(500)의 얼굴(600)과 점안 보조구(100)가 이루는 각도(α)(도 21)가 중요하게 된다.
환자(500)는, 엄지손가락으로 캡부(102)를 누름과 더불어,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훅부(105)에 거는 식으로 하여 점안 보조구(100)를 파지한다. 그리고, 정면을 향한 채로 엄지손가락 밑동아리 부근의 접촉점(S)을 얼굴(600)의 눈(601)의 아래쪽(광대뼈 근변)에 접촉시킨다. 바꿔 말하면, 환자(500)는,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을 보면서 토출 구멍(14a)이 눈앞에 오도록 엄지손가락을 광대뼈에 맞혀 고정한다.
그리고, 토출 구멍(14a)과 화살표 마크(111)가 일직선으로 늘어서도록 점안 보조구(100)를 -Z 방향으로 기울여, 그 위치에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각도(α)를 적절한 각도로 할 수 있다.
그 후,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이용하여, 커버부(101)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점안 보조구(100)를 사용한다. 즉, 엄지손가락으로 캡부(102)를 누르고, 훅부(105)에 건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에 힘을 줘, 쥐는 동작을 함으로써 점안액이 토출된다. 여기서,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으로 쥐는 식으로 조작하는 것은 인간공학적으로도 가장 힘이 전해지기 쉬운 조작 방법이며, 고령으로 손이 부자유스러운 경우도 취급하기 쉬운 것이다.
또한, 토출 구멍(14a)과 화살표 마크(111)가 일직선으로 늘어서도록 점안 보조구(100)를 기울일 때, 적절 각도 마크(112)가 시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도 좋다. 또한, 토출 구멍(14a)과 화살표 마크(111)가 일직선으로 늘어서 있는지 여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토출 구멍(14a)의 주위를 착색하여도 좋다. 예컨대 노즐부(14)나 커버부(101) 등이 백색이라면, 토출 구멍(14a)의 주위를 청색으로 착색하면 토출 구멍(14a)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살표 마크(111) 또는 적절 각도 마크(112)를 이용함으로써, 토출 구멍(14a)과 눈(601)과의 거리 및 위치 관계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을 고정함으로써 정확한 점안을 실현할 수 있다.
<효과>
상기 점안 보조구(100)에 의하면, 캡부(102)의 상부면이 엄지손가락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더불어, 훅부(105)에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을 걸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간이한 동작으로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특히 엄지손가락을 고정하고,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을 엄지손가락 방향에 가까이 하는(손을 쥐는) 식으로 하여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힘이 없는 고령자, 여성, 아이 등이라도 용이하게 점안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캡부(102)를 회전시킴으로써, 점안 조작 가능 상태와 점안 조작 불가능 상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해서 점안 조작을 해 버리는 것을 용이하게 조작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점안 조작 불가능 상태에서는, 커버부(101)를 캡부(10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잘 못해서 점안 조작을 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캡부(102)를 회전시킨다고 하는 심플한 구조로 점안액 토출의 가능 및 불가능을 설정하여, 잘못해서 점안 조작을 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화살표 마크(111)를 마련해 놓음으로써, 점안 보조구(100)의 사용 시의 각도를 적절하게 할 수 있어, 토출 구멍(14a)과 환자(500)의 눈(601)과의 거리 및 위치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환자(500)의 눈(601)에 대하여 점안할 수 있다. 또한, 적절 각도 마크(112)를 형성해 놓음으로써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캡부(102) 또는 바닥부(103)를 색 구분함으로써 점안액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1)의 측면 등, 점안액 등의 제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 넓기 때문에, 식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잔액 확인창(106)에 의해 환자(500)는 잔액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점안 보조구(100)는 별도 보조구에 부착할 수 있는(접속 가능한)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보다 파지 및 점안이 용이한 보조구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보조구에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이들 보조구를 일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환자(500)에게 대응할 수 있다.
즉, 점안 보조구(100)에 별도 보조구를 부착함으로써, 팔을 올리거나 위를 보기가 어려운 환자(500)라도 용이하게 점안 동작을 할 수 있다.
이하에, 점안 보조구(100)를 다른 점안 보조구에 부착한 점안 장치의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5〕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4의 점안 보조구(100)를 제1 점안 보조구로 하고, 다른 점안 보조구를 제2 점안 보조구로 했을 때, 제1 점안 보조구를 제2 점안 보조구에 접속한 점안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2 점안 보조구의 개요>
도 2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점안 보조구인 점안 보조구(2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4는 제1 점안 보조구인 카트리지(100)를 도 23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200)에 접속한 상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카트리지(100)를 점안 보조구(200)에 접속함으로써 점안 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점안 보조구(200)는,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환자(피투여자)(500)에 대한 점안액의 투여를 보조하는 보조구이며, 보조구 본체(본체)(201), 토출용 레버(202), 개안용 레버(203), 위치 결정부(204)를 포함하고 있다.
보조구 본체(201)는, 측면에 형성되어 개구부(201a)에 상술한 카트리지(100)를 삽입 고정하고, 토출용 레버(202) 및 개안용 레버(203)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도 25는 환자(500)가 도 15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200)를 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환자(500)가 도 15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200)를 조작함으로써 점안을 실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환자(500)는,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보조구 본체(201)에 마련된, 점안 보조구(200)의 개안용 레버(203)를 엄지손가락(501)의 밑동아리로 밀어 넣는 식으로 하여, 토출용 레버(202)를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502)으로 쥔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보조구 본체(201)를 쥔 환자(500)는,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환자(500)의 얼굴(600)의 눈(601) 주위에 상기 보조구 본체(201)의 위치 결정부(204) 측을 눌러서 댄다. 이 상태에서, 환자(500)에 의한 쥐는 세기를 강하게 하면, 우선 엄지손가락(501) 측에 힘을 줘 개안용 레버(203)를 회동시켜, 눈(601)의 아랫눈꺼풀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개안시킨다. 그 후, 엄지손가락(501) 이외의 손가락(502) 측에 힘을 줘 토출용 레버(202)를 회동시켜, 카트리지(100) 내의 점안 용기의 점안액을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시킨다.
<보조구 본체>
도 27은 점안 보조구(200)에 카트리지(100)를 장착하여 얼굴(600)의 눈(601)에 위치 결정부(204)를 눌러서 댄 상태의 상기 점안 보조구(200)의 개략 투시도이다.
도 28은 각 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조구 본체(201)에는, 도 2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위치 결정부(204) 측에 형성된 지지축(205)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토출용 레버(202)를 갖고 있다. 토출용 레버(202)는, 지지축(205)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보조구 본체(201)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A 방향)과, 보조구 본체(201)로부터 나오는 방향(B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조구 본체(201)에는, 토출용 레버(202)의 상기 보조구 본체(201) 측으로의 회동으로 밀어붙이는 압박 부재로서의 스프링(206)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자(500)는 토출용 레버(202)를 쥐는 것을 멈추면, 상기 토출용 레버(202)는 스프링(206)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토출용 레버(202)에는, 카트리지(100)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202a)와, 카트리지(100)가 보조구 본체(201)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100)의 측면에 마련된 탄성판(107)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부(107a)가 감합하는 감합 구멍(20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용 레버(202)의 감합 구멍(202b)에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가 감합하여, 상기 카트리지(100)가 보조구 본체(20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용 레버(20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카트리지(100) 전체가 캡부(102) 측으로 눌린다. 즉, 카트리지(100) 내의 점안 용기(10)의 점안액이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에서 눈(601)으로 향하여 토출된다.
한편, 보조구 본체(201)에는, 도 2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보조구 본체(201)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된 지지축(207)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개안용 레버(203)를 갖고 있다. 개안용 레버(203)는, 지지축(207)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눈(601) 쪽과 반대쪽에서 역방향, 즉 눈(601) 쪽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면, 반대쪽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안용 레버(203)의 눈(601) 측에는 실리콘 등의 탄성 부재(203a)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204)는 실리콘 등의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204)는,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환자(500)의 눈(601)의 주위에 접촉하는 개구부(204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04a)에 의해서 노출되어 있는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토출되는 점안액을, 상기 환자(500)의 눈(601)으로 유도하기 위한 부재이다. 개구부(204a)의 주위는 환자(500)의 눈(601) 주위에 밀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 결정부(204)의 개구부(204a)에 의해서 노출된 토출 구멍(14a)에서부터 눈(601)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면, 보다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다. 그러나, 토출 구멍(14a)이 눈(601)과 접촉하여 상쳐를 내거나, 속눈썹과 접촉하여 토출 구멍(14a)의 선단 부분이 오염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거리를 너무 길게 하면, 점안액이 날아가는 힘이 약한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포물선을 그려 날아간 점안액 빗나갈 가능성도 생긴다. 이들 이유를 고려하여 토출 구멍(14a)에서부터 눈(601)까지의 거리를 설정한 위치 결정부(204)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안액을 적절하게 눈(601)에 투여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위치 결정부(204)의 개구부(204a)를 환자(500)의 눈(601) 주위에 피트시킨다. 이 때, 토출 구멍(14a)에서부터 눈(601)까지의 거리를 1∼25 mm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 mm로 설정한다.
<점안 보조구에 의한 점안 작동>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구(200)의 작동을 도 25, 도 2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환자(500)는,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200)의 보조구 본체(201)의 하부 측(토출용 레버(202) 및 개안용 레버(203))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서 쥔다.
이어서 환자(500)는,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위치 결정부(204)의 개구부(204a)를 얼굴(600)의 눈(601)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적어도 아랫눈꺼풀을 포함하는 범위)에 맞닿게 한다.
이어서 환자(500)는, 도 2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501)에 의해서 파지된 개안용 레버(203)를 파지 탄성 부재(203a)에 의해서 아랫눈꺼풀을 아래쪽으로 내려, 점안에 적합한 개안 상태로 한다. 그 후, 나머지 손가락(502)에 의해서 파지된 토출용 레버(202)를 쥐고서 점안액을 토출시킨다. 이에 따라, 환자(500)의 눈(601)에 점안액이 투여된다.
이와 같이, 점안 보조구(200)의 토출용 레버(202) 및 개안용 레버(203)를 보조구 본체(201) 측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앞을 향하여 개안한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악력이 약한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를 향하지 않고서 점안액을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얼굴(600)을 위로 하여 점안액을 투여할 수 없는 사람이라도 점안액의 투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치 결정부(204)의 얼굴(600)에 맞닿는 면은,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환자(500)가 가볍게 팔꿈치를 구부려 점안 보조구(200)를 얼굴(600)에 고정했을 때에, 카트리지(100) 내의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이 돌출하여 얼굴(600)의 눈(601)에 적절하게 닿는 각도가 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의 커버부(101)의 절취부(108)의 주위에 형성된 화살표 마크(111)와, 캡부(102)에 형성된 적절 각도 마크(112)를 이용함으로써, 토출 구멍(14a)과 눈(601)과의 거리 및 위치 관계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을 고정함으로써 정확한 점안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5에서 설명한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한 투약 관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투약 관리>
점안 보조구(200) 등의 점안 디바이스에, 카메라,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라이트나 센서를 조립해 넣음으로써, 환자의 투약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4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200)의 위치 결정부(204) 내에 LED 라이트, 카메라를 갖춘 경우, 환자(500)가 점안 보조구(200)를 쥐면 LED 라이트가 점등된다. 환자는 그것을 보고서 점안함으로써 눈(601)을 감지 않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점안액을 토출할 때, 카메라에 의해 눈(601)을 촬영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카메라에 의해 눈(601)을 촬영한다는 것은, 카메라에 의해, 점안액이 토출되었을 때의 눈(601)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것이다. 예컨대 토출된 점안액이 눈(601)에 점안된 직후의 상태나, 토출된 점안액이 눈(601)에 점안되기까지의 상태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을 축적함으로써 환자의 점안 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200)에 장착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점안의 성공 여부를 객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Ocular Surface Thermographer(토메이 제조) 등에 장착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를 점안 보조구(200)의 위치 결정부(204) 내측에 조립해 넣고, 점안 후 수초 동안의 눈 표면 온도 변화를 측정한다. 점안액은 통상 실온이며 눈 표면은 37℃ 부근이므로, 점안 순간은 눈 표면에서 급격한 온도 저하가 검출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점안의 성공 여부를 적외선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초소형 사이즈의 센서와 앰프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온도계를 이용하여 눈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응답 속도가 30 msec로 빨라, 액적이 들어갔을 때의 눈 표면의 온도 변화를 순간적으로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점안의 성공 여부를 보다 빠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점안 보조구(200)에 의해서 점안됨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 예컨대 점안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카메라에 의한 촬영 화상 데이터, 점안의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점안한 날짜와 대응시켜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투약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점안에 의해서 얻어지는 상술한 것과 같은 데이터는, 점안 디바이스인 점안 보조구(200)에 보존됨과 더불어 스마트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와 동기된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와 동기된 데이터는, 전화 회선이나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적으로 보관된다. 이하에 구체적인 투약 관리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투약 관리 시스템>
도 29는 점안 디바이스로서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한 환자의 점안 관리를 행하기 위한 투약 관리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투약 관리 시스템에서는, 점안 디바이스로서, 도 24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한 투약 관리 시스템은, 도 2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하는 사용자(환자)의 점안 관리를 행하는 관리자(보호자)가 조작하는 스마트폰(휴대단말)(401), 상기 사용자(환자: 피투여자)의 점안 관리를 행하는 관리자(의사)가 조작하는 퍼스널 컴퓨터(402), 인터넷 접속된 라우터(403), 클라우드 컴퓨터(404), 관리 서버(405)를 포함하고 있다.
<점안 보조구(200)의 기능>
점안 보조구(200)에는, 전용 제제를 장착하여 투약 관리를 행하기 위해서, 시계, 카운터, 카메라, 메모리, LED 라이트, 배터리, 배터리 인디케이터, 통신 기능(Bluetooth(등록상표) 4.0, WiFi(등록상표)), 바코드 판독 기능, IC 태그 판독 기능, 알람 명동(鳴動)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기본적인 투약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제제 종류의 판정: 전용 제제를 포함한 점안 용기(10)에 첨부된 바코드를, 카메라 및 바코드 판독 기능을 이용하여 읽어들여, 전용 제제의 종류를 판정하고, 제제의 종류를, 그 점안 용기(10)의 점안 보조구(200)에 삽입할 때 자동 기록한다.
(2) 점안하는 시간의 통지(알람): 미리 설정된 투약 시간이 되면, 점안 보조구(200)의 알람 명동 기능을 이용하여 알람을 울린다. 이 경우, 점안 보조구(200)를 관리하는 스마트폰(401)으로부터 알람을 울리도록 하여도 좋다.
(3) 점안한 시간의 기록: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하여 점안했을 때에,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 센서에 의한 점안의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점안한 날짜와 함께 기록한다.
(4) 점안할 때의 보조 라이트: 점안 보조구(200)의 토출용 레버(202)의 반누름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204) 내에 설치한 LED 라이트를 점등시킨다. 환자는 LED 라이트의 빛을 보고서 점안함으로써 눈을 뜨는 것을 의식한다.
(5) 디바이스의 ID 관리: 데이터 관리를 위한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취득한 데이터에 대응시켜 메모리에 기록한다.
(6) 점안 카렌더: 이미 기록한 데이터로부터, 시계열의 점안의 기록을, 점안한 일시·제제의 종류·화상 데이터·메모 등을 적은 표로 한 데이터(점안 카렌더)를 작성한다.
(7) 투약 이력 데이터: 처방한 제제의 종류·이력(투여한 일시, 투여량 등)
(8) 잔적량(殘滴量) 관리: 용기 내의 잔액량과 사용 가능한 기간을 나타냄으로써, 점안액의 잔적량 관리를 행한다.
(9) 점안 보조구(200)의 배터리 잔량 관리: 배터리 인디케이터에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예컨대 배터리가 1년 정도 간다고 생각한 경우, 배터리 잔량이 없어지기 1개월 전에 경고한다.
(10)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401)이나 퍼스널 컴퓨터(402)와 데이터 통신(Bluetooth(등록상표) 또는 WiFi(등록상표))을 행한다.
<스마트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
스마트폰(401)으로서 탑재하고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기본적인 투약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점안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Bluetooth 또는 WiFi)을 행한다.
(2) 클라우드 컴퓨터(404)로부터 클라우드 데이터(투약 관리 데이터)의 다운 로드와, 다운로드한 투약 관리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3) 카렌더 상에서 투약 관리 데이터를 표시한다.
(4) 사용하고 있는 제제의 종류나 잔액량, 나머지 사용 가능한 일수 등을 표시한다.
(5) 복수 종류의 제제마다 투약 시간의 알람 명동을 행한다.
(6) 점안 보조구(200)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의 클라우드로의 자동 업로드를 행한다.
<퍼스널 컴퓨터(402)의 기능>
기본적으로 퍼스널 컴퓨터(402)에서는 스마트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402)에 있어서, 스마트폰(401)이 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 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적어도 다음과 같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1) 클라우드 컴퓨터(404)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환자의 정보를 확인한다.
(2) 점안 보조구(200)의 사용 환자의 제제별 누적 처방량을 파악한다.
<투약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투약 관리의 실례>
(점안 보조구(200)의 조작)
점안 보조구(200)에 의한 제제 인식 방법으로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을 행하는 방법과, 하드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200)에는 전원 스위치는 존재하지 않고, 전지가 장착되어 전원이 있는 한 계속해서 구동하는 것으로 한다.
(1)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 방법
점안 보조구(200)는, 탑재한 카메라를 제제의 바코드 표시 부분으로 향하게 하여 토출용 레버(202)를 쥔다. 그리고, 바코드의 판독이 완료되면 「삐빅」이라고 울린다. 이것으로 제제 종류의 등록이 완료된다. 등록 완료된 제제의 노즐의 방향을 맞춰 점안 보조구(200)에 셋트한다.
(2) 하드웨어에 의한 제제 인식 방법
제제에는, 제제의 종류에 따라 제제를 넣은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에 돌기가 있고, 각각의 제제에 따라 돌기의 위치가 다르다. 이 제제를 노즐부(14)의 노즐 방향을 맞춰 점안 보조구(200)에 셋트한다. 이에 따라, 노즐부(14)에 형성된 돌기의 위치에 따라 점안 보조구(200)에 셋트된 제제의 종류가 인식되어, 상기 점안 보조구(200)에 등록된다.
사용자는, 상기 (1) 또는 (2)의 방법에 의해, 제제의 종류가 인식된 점안 용기(10)가 셋트된 점안 보조구(200)를 가볍게 쥐고서, 위치 결정부(204)로 눈의 위치에 댄다. 점안 보조구(200)에는, 눈꺼풀을 강제적으로 열기 위한 개안용 레버(20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안용 레버(203)를 쥐면, 눈꺼풀을 아래 방향에 잡아당기게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점안 보조구(200)를 더 가볍게 쥐면, LED 라이트가 빛난다. 환자는 그 빛을 보면서 점안 보조구(200)를 더 강하게 쥐면, 노즐부(14)의 노즐 선단부로부터 점안제 한 방울이 발사된다.
여기서, 점안 보조구(200)를 강하게 쥔 순간에 액적이 발사되는 동시에 카메라의 셔터가 눌려 사진이 찍힌다. 이때, 순간적으로 여러 번 셔터가 눌려 여러 장의 사진이 찍힌다. 혹은 센서가 액적의 통과를 검지하거나, 액적이 눈 속에 들어갔을 때의 눈 표면의 온도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점안의 성공 여부를 관찰할 수 있다.
점안이 끝나면, 제제를 포함한 점안 용기(10)를 점안 보조구(200)로부터 떼어내고, 다음 제제를 장착할 수 있도록 다음 제제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상술한 요령으로 점안한다. 그리고, 모든 제제의 점안이 종료되면 점안 조작은 완료된다.
이어서, 점안 보조구(200)는, Bluetooth 또는 WiFi에 의해서, 보호자 또는 환자 본인이 조작하는 스마트폰(401)과 데이터 동기를 행한다.
(스마트폰(401)의 조작)
스마트폰(401)에는, 투약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200)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스마트폰(401)과 점안 보조구(200)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신할 때는, 점안 보조구(200)에 할당된 ID 번호를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 취득하여, 점안 보조구(200)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점안 보조구(200)에 할당된 ID 번호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전화 회선에 의해 투약 관리 시스템 내의 관리 서버(405)와 클라우드 컴퓨터(404)를 통해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에는, 카렌더 기능이 설정되어 있어 처방된 제제의 등록과 점안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점안 보조구(200)와 동기시킴으로써 점안 타이밍을 상기 점안 보조구(200)에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점안 보조구(200)와 통신하여, 점안을 실시한 시간이나 제제의 종류, 카메라나 센서로 포착한 화상 등의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받아들인 데이터는, 점안 보조구(200)도 스마트폰(401)에도 약 3개월분 이상을 보존할 수 있어, 만일 통신할 수 없더라도 각각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가게 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의 스마트폰(401)의 표시 화면에는, 카렌더 상에서 각각의 제제가 점안되어 있는지가 마크로 표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메라나 센서로 포착한 화상이나 기록을 확인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서버는, 인터넷 상에서 클라우드 컴퓨터(404)와 관리 서버(405)로 구축되어 있고, 데이타베이스 기능과 해석 표시 기능을 갖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는, 스마트폰(401)을 통해서, 날마다 혹은 일정 기간의 데이터가 로드된다. 로드는, 스마트폰(401) 상에 축적된 데이터를 그 스마트폰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보존」을 클릭함으로써 실행된다.
클라우드 서버에의 액세스는, 스마트폰(401) 혹은 퍼스널 컴퓨터(402)로부터 점안 보조구(200)의 ID 번호와 패스워드로 액세스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 스마트폰(401)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는, 등록되어 있는 ID 번호로부터 그 개인의 데이터에만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의사가 여러 환자의 데이터를 열람하고 싶은 경우는, 별도로 액세스 권한을 설정하여 각각 개인의 정보를 열람만 가능한 상황으로 한다. 예컨대 의사는, 퍼스널 컴퓨터(402)에 있어서, 클라우드 데이터의 열람으로서, 개인의 점안 이력을 알 수 있는 카렌더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퍼스널 컴퓨터(402)에 있어서, 부가 정보로서, 각 제제의 점안 횟수나 잔액량을 확인할 수 있고, 제제의 잔량이 적어지면 처방을 재촉하는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구(200)는, 점안 대상으로서 환자(500)뿐만 아니라, 눈병을 앓고 있는 개나 고양이 등의 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1∼6과 동일한 점안 용기(10)를 이용한 점안 보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점안 용기(10)를 이용하는 점안 보조구의 하나인 카트리지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도 33은 카트리지(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카트리지(100)는, 도 3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점안 용기(10)를 수용하는 커버부(101)와, 수용한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를 덮는 캡부(102)를 포함하고, 커버부(101)에는, 점안 용기(10)의 노즐부(14)에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부(101a)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101a)를 통해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된다. 또한 커버부(101)에는 훅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부(102)를 누른 상태에서 훅부(105)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부(101)가 X 방향으로 압하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가 X 방향으로 압하된다. 그리고, 노즐부(14)가 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노즐부(14)의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이 토출된다.
또한, 커버부(101)와 캡부(102)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압하되지 않게 되면(환자가 훅부(105)에 건 손가락의 힘을 빼면), 커버부(101)와 캡부(102)의 위치 관계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더욱이, 커버부(101)의 절취부(108)의 주위에는, 화살표 마크(위치 결정 표시)(1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캡부(102)에는, 절취부(108)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절 각도 마크(위치 결정 표시)(1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카트리지(100)를 이용하는 점안 보조구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 5의 도 24에 도시하는 점안 보조구(2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하여 점안할 때, 환자(500)가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정확한 점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100)의 토출 구멍(14a)으로부터 점안액을 단숨에 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트리지(100)의 압하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토출용 레버(202)의 회동을 빠르게 하여 카트리지의 압하 속도를 빠르게 하는 점에 관해서 설명한다.
<토출용 레버(202)의 작동>
보조구 본체(201)에는, 토출용 레버(202)의 회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력이 미리 설정된 작동력 이상으로 될 때까지, 상기 토출용 레버(202)의 회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작동력 이상으로 되면, 상기 토출용 레버(202)의 회동의 정지를 해제함으로써, 토출용 레버(202)의 회동 속도를 가속시키는 회동 속도 가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회동 속도 가속부가 기능함으로써, 토출용 레버(202)에 대하여 회동력을 단숨에 부여하고, 토출용 레버(202)의 회동 속도를 가속시킨다.
도 30(a)는 회동 속도 가속부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점안 보조구(200)를 도시하고, 도 30(b)는 회동 속도 가속부가 기능한 후의 상태의 점안 보조구(200)를 도시하고 있다.
회동 속도 가속부는, 보조구 본체(201)의, 토출용 레버(202)가 상기 보조구 본체(201)에 들어갔을 때의 상기 토출용 레버(202) 표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면에 대하여 위아래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작동 저항판(208)과, 토출용 레버(202)의, 상기 보조구 본체(201)에 상기 토출용 레버(202)가 들어갔을 때의 상기 보조구 본체(201) 이면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상기 토출용 레버(202)가 회동할 때 상기 작동 저항판(208)에 맞닿는 돌기부(209)를 포함한다. 또한, 작동 저항판(208)의 상기 토출용 레버(202)의 대향면에는, 상기 토출용 레버의 돌기부(209)에 맞닿아, 상기 토출용 레버(202)의 회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력이 미리 설정된 작동력 이상으로 되면 해제되는 돌기부(208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0(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동 속도 가속부가 기능하고 있지 않을 때는, 작동 저항판(208)과 돌기부(209)는 이격된다. 그리고, 도 30(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동 속도 가속부가 기능한 후에는, 돌기부(209)가 작동 저항판(208)의 돌기부(208a)와 맞닿은 상태가 해제되어 내부로 진행한다.
도 31(a)∼도 31(d)은 회동 속도 가속부의 기능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a), 도 31(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토출용 레버(20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우선 도 7(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돌기부(209)의 선단부(209a)가 작동 저항판(208)의 선단 경사면(208a)에 맞닿는다. 이 맞닿는 상태는, 미리 설정한 작동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해제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이 상태가 계속되면, 토출용 레버(20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여분의 힘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미리 설정한 작동력 이상의 힘에 도달하면, 도 31(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동 저항판(208)의 선단 경사면(208a)과 돌기부(209)의 선단부(209a)가 맞닿는 상태가 단숨에 해제된다.
그 후, 토출용 레버(202)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회동이 정지(환자(500)에 의한 파지가 개방)되면, 스프링(206)의 압박력에 의해 토출용 레버(20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때, 돌기부(209)와 작동 저항판(208)은, 도 31(a), 도 31(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빠른 속도로 점안 용기(10)의 압하부(플랜지(12))를 압하할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을 기운좋게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 대상인 피투여자의 눈에 대하여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압하부는,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에 대응하며,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에 대응한다. 즉,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를 토출용 레버(202)에 의해서 압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를 압하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압하부를 압하한다는 것은,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를 토출용 레버(202)에 의해서 압하하는 것, 점안 용기(10)의 플랜지(12)를 압하하는 것 양쪽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속도 가속부를 실현하기 위해서, 보조구 본체(201) 측에 작동 저항판(208)을 형성하고, 토출용 레버(202) 측에 돌기부(209)를 형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도 32(a)∼도 32(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토출용 레버(202) 측에 작동 저항판(210)을 형성하고, 보조구 본체(201) 측에 돌기부(212)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보조구 본체(201) 측에 작동 저항판(208)을 형성하고, 토출용 레버(202) 측에 돌기부(209)를 형성한 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즉, 도 32(a), 도 32(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토출용 레버(20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우선 도 32(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돌기부(212)의 선단부(212a)가 작동 저항판(210)의 돌기부(211)의 선단 경사면(211a)에 맞닿는다. 이 맞닿는 상태는, 미리 설정한 작동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해제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이 상태가 계속되면, 토출용 레버(20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힘이 축적된다. 그리고, 상기한 미리 설정한 작동력 이상의 힘에 도달하면, 도 32(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동 저항판(210)의 돌기부(211)의 선단 경사면(211a)과 돌기부(212)의 선단부(212a)가 맞닿는 상태가 단숨에 해제된다.
그 후, 토출용 레버(202)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회동이 정지(환자(500)에 의한 파지가 개방)되면, 스프링(206)의 압박력에 의해 토출용 레버(20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때, 돌기부(212)와 작동 저항판(210)은, 도 32(a), 도 3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빠른 속도로 점안 용기의 압하부를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을 기운좋게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 대상인 피투여자의 눈에 대하여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1(a)∼도 31(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보조구 본체(201)에 형성된 작동 저항판(208), 토출용 레버(202)에 형성된 돌기부(209)에 의해서, 또한 도 32(a)∼도 32(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토출용 레버(202)에 형성된 작동 저항판(210), 보조구 본체(201)에 형성된 돌기부(212)에 의해서, 회동 속도 가속부를 실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회동 속도 가속부를 실현하는 다른 예에 관해서 하기의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8〕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7과 동일한 카트리지(100)를 이용한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회동 속도 가속부>
도 34(a), 도 34(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용 레버(31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토출용 레버(310)는, 도 3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용점이 압하부를 압하하는 제1 지레(301)와, 작용점이 제1 지레(301)의 역점을 압하부의 압하 방향으로 압하하고, 역점이 환자(500)에 의해서 압하되는 제2 지레(30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지레(301)는, 도 34(a), 도 3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카트리지(10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301c)가 형성되어, 지점이 되는 일단부(301a)가 지지축(303)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역점이 되는 타단부(301b)가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지레(301)에는, 개구부(301c)에 카트리지(100)를 삽입했을 때에, 그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가 감합하는 감합 구멍(301d)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지레(301)가 회동할 때,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가 감합하는 감합 구멍(301d)이 축점, 즉 작용점으로서 작용하여, 상기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를 캡부(102) 측으로 압하한다.
제2 지레(302)는, 도 34(a), 도 3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지지축(304)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삽입된 카트리지(100)의 캡부(102) 근방에서부터 상기 카트리지(100)를 따라 보조구 본체(201)의 내벽면 근방까지 연장 형성된 일단부(302a)와, 일단부(302a)에서부터 카트리지(100)의 삽입 위치와는 반대쪽으로 향하여 굴곡되어, 상기 보조구 본체(201)의 내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타단부(302b)로 구성된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2 지레(302)에 있어서, 일단부(302a)는 지점이 되고, 타단부(302b)는 역점이 된다.
제1 지레(301)의 일단부(301a)를 지지하는 지지축(303)과, 제2 지레(302)의 일단부(302a)를 지지하는 지지축(304)은,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지레(302)의 일단부(302a)에는, 상기 제1 지레(301)의 타단부(301b)의 굴곡부에 대하여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에서 계합하는 계합축(3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축(305)은 상기 지지축(303, 304)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지레(302)가 작동할 때에, 제1 지레(301)에 대한 작용점으로서 작용한다. 즉, 상기 제1 지레(301)의 작용점은, 상기 제1 지레(301)의 역점에 작용하는 상기 제2 지레(302)의 작용점의 압하력이, 미리 설정된 압하력 이상이 되면, 상기 압하부인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를 압하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토출용 레버(310)에서는, 제2 지레(302)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계합축(305)도 회동하여, 제1 지레(301)의 타단부(301b)의 굴곡부에 계합한다. 이에 따라, 제2 지레(302)의 작용점이 제1 지레(301)의 역점으로서 작용하여, 상기 제1 지레(301)를 회동시킨다. 제1 지레(30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지레(301)의 작용점이 축점에 작용하고, 상기 제1 지레의 역점에 작용하는 상기 제2 지레의 작용점의 압하력에 의해서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가 캡부(102) 측으로 압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토출용 레버(310)에서는, 제2 지레(302)의 회동하는 힘이, 계합축(305)이 제1 지레(301)의 타단부(301b)의 굴곡부에 있어서 제1 지레(301)의 역점으로서 작용하여, 상기 제1 지레(301)를 회동시킨다. 이 때문에, 제1 지레(301)만을 사용하여 카트리지(100)의 돌기부(107a)를 압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힘으로 제1 지레(301)를 재빠르게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빠른 회동 속도로 점안 용기의 압하부를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점안액을 기운좋게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점안 대상인 피투여자의 눈에 대하여 정확하게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7, 8에서 설명한 점안 보조구(200)를 이용한 투약 관리 및 투약 관리 시스템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 6에서 설명한 투약 관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점안 보조구(200)는, 점안 대상으로서 환자(500)뿐만 아니라, 눈병을 앓고 있는 개나 고양이 등의 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점안 용기, 11: 용기 본체, 12: 플랜지(압하부), 13: 지지 부재(지지부), 14: 노즐부(토출부), 14a: 토출 구멍, 14b: 단부, 20: 보조구 본체, 21: 지지 부재, 21a: 오목부(손가락걸이부), 21b: 오목부(손가락걸이부), 22: 볼록부, 23: 삽입부, 30: 접안 가이드(지지 보조부), 30a: 오목부(엄지손가락걸이부), 30b: 개구부, 30c: 노출 구멍, 30d: 개구 가장자리부, 30e: 삽입구, 30f: 오목부, 40: 스탠드, 40a: 접지면, 40b: 감합 볼록부, 100: 점안 보조구, 101: 커버부(지지 보조부), 101a: 개구부, 102: 캡부, 103: 바닥부, 105: 훅부(손가락걸이부), 106: 잔액 확인창(확인창), 107: 탄성판, 107a: 돌기부, 108: 절취부(개구부), 110: 스토퍼(억제부), 111: 화살표 마크(위치 결정 표시), 112: 적절 각도 마크(위치 결정 표시), 200: 점안 보조구, 201: 보조구 본체, 201a: 개구부, 202a: 개구부, 202: 토출용 레버, 202b: 감합 구멍, 203: 개안용 레버, 203a: 탄성 부재, 204: 위치 결정 부, 204a: 개구부, 205: 지지축, 206: 스프링, 207: 지지축, 208: 작동 저항판(회동 속도 가속부), 208a: 선단 경사면, 209: 돌기부(회동 속도 가속부), 209a: 선단부, 210: 작동 저항판(회동 속도 가속부), 211: 돌기부, 211a: 선단 경사면, 212a: 선단부, 300: 점안 보조구, 300a: 손가락걸이 볼록부(손가락걸이부), 300b: 삽입부, 300c: 삽입구, 301: 제1 지레(회동 속도 가속부), 302: 제2 지레(회동 속도 가속부), 310: 토출용 레버, 500: 환자(피투여자), 600: 얼굴, 601: 눈

Claims (28)

  1. 점안액을 수용한 용기 본체와,
    점안액을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는 토출부와,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 본체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
    를 가지고, 피투여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토출부에 점안액을 보내는 점안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투여자가 위를 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안액을 투여하기 위한 점안 보조구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조립 부착되는 보조구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구 본체는, 상기 점안 보조구의 지지를 위해서 상기 보조구 본체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피투여자의 두 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가락걸이부를 가지고,
    상기 토출부에 조립 부착되는 지지 보조부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보조부는,
    상기 토출 구멍을 노출하도록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점안 보조구를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피투여자의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는 엄지손가락걸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조부의 상기 개구부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점안 보조구에 접속되는 스탠드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는 상기 피투여자의 눈의 주위에 접촉하는 형상이고,
    상기 지지 보조부는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걸이부는, 상기 점안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토출부가 이동하는 축선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조부는, 상기 보조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물로 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보조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97019423A 2016-12-15 2017-12-14 점안 보조구 KR102513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3782 2016-12-15
JPJP-P-2016-243779 2016-12-15
JP2016243779 2016-12-15
JP2016243782 2016-12-15
JP2016243781 2016-12-15
JPJP-P-2016-243781 2016-12-15
JP2017239179A JP7042073B2 (ja) 2016-12-15 2017-12-14 点眼補助具
JPJP-P-2017-239179 2017-12-14
PCT/JP2017/044932 WO2018110652A1 (ja) 2016-12-15 2017-12-14 点眼補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501A KR20190092501A (ko) 2019-08-07
KR102513709B1 true KR102513709B1 (ko) 2023-03-23

Family

ID=6263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423A KR102513709B1 (ko) 2016-12-15 2017-12-14 점안 보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42073B2 (ko)
KR (1) KR102513709B1 (ko)
CN (1) CN110072502B (ko)
TW (1) TWI780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3426B1 (fr) 2019-03-05 2022-08-19 Nemer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e solution
US20220388737A1 (en) * 2019-11-05 2022-12-08 Alejandro GAMBOA BURGOS Kit for ophthalmic solutions in screw-cap dropper bott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584A (ja) * 1999-03-15 2000-09-26 Shinko Chemical Co Ltd 洗眼容器
WO2011113028A2 (en) * 2010-03-11 2011-09-15 Marx Alvin J Automated incremental eyedrop delivery system with eyelid retracting leg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702082D0 (sv) 1997-06-02 1997-06-02 Pharmacia & Upjohn Ab Eye fluid applicator
JP2000279517A (ja) 1999-03-29 2000-10-10 Santen Pharmaceut Co Ltd 点眼具
JP2003245352A (ja) 2002-02-26 2003-09-02 Kenji Tsukagami 目薬水平噴射装置
EP2347749A1 (en) 2010-01-22 2011-07-27 Innovaider ApS Handheld apparatus for eye-washing
US20150328044A1 (en) * 2012-12-19 2015-11-19 Glaxo Group Limited Guide Device For A Liquid Dispenser
CN203736380U (zh) * 2014-03-20 2014-07-30 中国人民解放军成都军区机关医院 滴眼药水辅助装置
CN205240346U (zh) * 2015-12-26 2016-05-18 浙江祥可铝塑包装有限公司 一种带有铝塑盖的喷雾瓶
TWI762539B (zh) * 2016-12-16 2022-05-01 德商百靈佳殷格翰維美迪加股份有限公司 容器系統及測定藥劑或混合物之生存力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584A (ja) * 1999-03-15 2000-09-26 Shinko Chemical Co Ltd 洗眼容器
WO2011113028A2 (en) * 2010-03-11 2011-09-15 Marx Alvin J Automated incremental eyedrop delivery system with eyelid retracting le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28912A (zh) 2018-08-16
CN110072502A (zh) 2019-07-30
JP2018094420A (ja) 2018-06-21
CN110072502B (zh) 2022-05-06
KR20190092501A (ko) 2019-08-07
JP7042073B2 (ja) 2022-03-25
TWI780092B (zh)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4179A1 (ja) 点眼補助具
CA2888830C (en) Performing and monitoring drug delivery
US20210330491A1 (en) Electronic drop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6637514B2 (ja) 使用モニタリングのある薬剤送達装置
CN105120929B (zh) 可手动操作的注射装置的辅助装置
JP6169460B2 (ja) 用量及び投与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351633B2 (en) Wireless control of laryngoscope system
JP2023126542A (ja) 点眼補助具
KR102513709B1 (ko) 점안 보조구
US20150328044A1 (en) Guide Device For A Liquid Dispenser
PT104086A (pt) Processo para monitorização do sucesso da aplicação de um fluido a um alvo biológico não estático e sistema para sua execução
WO2018110652A1 (ja) 点眼補助具
CA3034001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7179399B1 (ja) 点眼補助具
JP2019120754A (ja) 撮像装置
JP6838737B2 (ja) 点滴筒抱持型滴下検出部および点滴管理システム
KR20230125488A (ko) 캡슐형 손 소독제를 보관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소독 여부를 인증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