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386A -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386A
KR20200126386A KR1020207025882A KR20207025882A KR20200126386A KR 20200126386 A KR20200126386 A KR 20200126386A KR 1020207025882 A KR1020207025882 A KR 1020207025882A KR 20207025882 A KR20207025882 A KR 20207025882A KR 20200126386 A KR20200126386 A KR 20200126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hard coat
layer
coat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마사 오가와
게이스케 에비스
요오스케 고오사카
준 사토
다카히토 가와카미
아츠히로 고바야시
히로키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표면(10A) 및 표면(10A)과는 반대측의 이면(10B)을 갖는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10)이며,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및 가식층(14)을 구비하고, 하드 코트층(12)이, 수지층(13) 및 가식층(14)보다도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측에 배치되고, 수지층(13)의 막 두께가, 10㎛ 이상이며, 수지층(13)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인, 광학 필름(1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관련 출원의 참조]
본원은, 선행하는 일본 출원인 특허 출원 제2018-34675호(출원일: 2018년 2월 28일)의 우선권의 이익을 향수하는 것이며, 그 개시 내용 전체는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로 된다.
본 발명은,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등의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현재, 절첩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은 커버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화상 표시 장치에 커버 유리를 사용한 경우, 경도는 우수하지만,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절첩하려고 하면 균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절첩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는, 커버 유리 대신에 어느 정도의 경도를 유지하면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한, 광 투과성 기재 및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25063호 공보
이와 같은 절첩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에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내충격성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광학 필름의 표면측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는, 광학 필름의 표면이 움푹 들어감으로써, 광학 필름의 일부의 부재(예를 들어 가식층)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보다도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예를 들어 편광판)가 손상을 받는 경우가 있다.
광학 필름의 표면의 오목부에 관해서는, 광학 필름 자체에 기인하는 오목부와, 광학 필름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점착층에 기인하는 오목부가 있다. 「광학 필름 자체에 기인하는 오목부」란,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충격에 의해 광학 필름 자체가 변형됨으로써 발생하는 오목부를 의미하고, 「점착층에 기인하는 오목부」란, 점착층이 유연하기 때문에,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광학 필름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점착층이 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광학 필름이 점착층의 소성 변형에 추종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목부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광학 필름 자체에 기인하는 오목부 및 점착층에 기인하는 오목부가 억제되고, 또한 광학 필름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가 손상을 받지 않는 우수한 내충격성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와 같은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광학 필름이 얻어지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또한, 현재, 광학 필름에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표면측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 이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측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표면 및 상기 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이며, 하드 코트층, 수지층, 및 가식층을 구비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이, 상기 수지층 및 상기 가식층보다도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이며, 상기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인, 광학 필름.
[2] 상기 수지층이, 상기 가식층보다도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광학 필름.
[3] 광 투과성 기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필름.
[4] 상기 광 투과성 기재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기재인, 상기 [3]에 기재된 광학 필름.
[5]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이면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광 투과성 기재, 상기 수지층, 및 상기 가식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광학 필름.
[6]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이면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수지층, 상기 광 투과성 기재, 및 상기 가식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광학 필름.
[7] 상기 가식층이, 상기 광 투과성 기재와 상기 수지층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광학 필름.
[8]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
[9] 상기 광학 필름의 대향하는 변부의 간격이 30㎜가 되도록 상기 광학 필름을 180° 절첩하는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
[10]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보다도 관찰자측에 배치된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이,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이면보다도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1]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인, 상기 [10]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12] 관찰자측을 향하여, 표시 패널, 편광판, 및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필름이, 하드 코트층 및 상기 하드 코트층보다도 상기 편광판측에 배치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이며, 상기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인, 화상 표시 장치.
[13] 상기 광학 필름이, 광 투과성 기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14] 상기 광 투과성 기재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인, 상기 [13]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15] 상기 편광판측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광 투과성 기재, 및 상기 수지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16] 상기 편광판측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수지층, 및 상기 광 투과성 기재를 이 순으로 구비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17]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인, 상기 [12]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18] 상기 편광판보다도 관찰자측에 배치된 면내 위상차가 3000㎚ 이상인 광 투과성 필름을 더 구비하는, 상기 [12]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19] 상기 광학 필름의 대향하는 변부의 간격이 30㎜가 되도록 상기 광학 필름을 180° 절첩하는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상기 [12]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20]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인, 상기 [12]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우수한 절첩성을 갖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광학 필름, 및 이와 같은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표면측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연속 절첩 시험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되는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되는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 「시트」 등의 용어는, 호칭의 차이에만 기초하여, 서로로부터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필름」은 시트라고도 불리는 부재도 포함하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연속 절첩 시험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광학 필름>>>
도 1에 도시된 광학 필름(10)은, 절첩 가능하며, 또한 광 투과성을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 투과성」이란, 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가식층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광 투과성이란,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고, 반투명해도 된다.
광학 필름(10)은, 표면(10A) 및 표면(10A)과는 반대측의 이면(10B)을 갖고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은, 광 투과성 기재(11),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및 가식층(14)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 필름(10)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층(12)은, 광 투과성 기재(11), 수지층(13), 및 가식층(14)보다도 광학 필름(10)의 표면(10A) 측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수지층(13)은 가식층(14)보다도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10)은, 표면(10A)으로부터 이면(10B)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광 투과성 기재(11), 수지층(13) 및 가식층(14)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단, 하드 코트층이, 광 투과성 기재, 수지층 및 가식층보다도 광학 필름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광 투과성 기재, 수지층 및 가식층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은, 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고, 광학 필름(10)의 이면(10B)은, 가식층(14)의 표면 및 수지층(13)의 일부의 표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은, 광 투과성 기재(11)를 구비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학 필름은, 광 투과성 기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광학 필름(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온도 23±5℃ 및 상대 습도 30% 이상 70% 이하의 환경 하에서, 광학 필름(10)에 대해 다음에 설명하는 절첩 시험(연속 절첩 시험)을 10만회, 20만회, 50만회 또는 10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도, 광학 필름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에 대해 연속 절첩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광학 필름(10)에 균열이나 파단 등이 발생하면, 광학 필름(10)의 절첩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상기 연속 절첩 시험의 절첩 횟수를 적어도 10만회로 평가하고 있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서이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을 절첩 가능한 스마트폰에 내장하는 것을 상정하면, 절첩을 행하는 빈도(개폐하는 빈도)가 매우 많아진다. 이 때문에, 상기 연속 절첩 시험의 절첩 횟수를 예를 들어 1만회나 5만회로 하는 평가에서는, 실용적인 레벨에서의 평가를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항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을 상정하면, 아침의 통근시만으로도 5회 내지 10회는 스마트폰을 개폐하는 것이 상정되므로, 1일만으로도 적어도 30회는 스마트폰을 개폐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1일 30회 개폐하는 것을 상정하면, 절첩 횟수가 1만회인 연속 절첩 시험은, 30회×365일=10950회가 되므로, 1년간의 사용을 상정한 시험이 된다. 즉, 절첩 횟수가 1만회인 연속 절첩 시험의 결과가 양호하였다고 해도, 1년 경과 후에는, 광학 필름에 균열이나 파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연속 절첩 시험에 있어서의 절첩 횟수가 1만회인 평가란,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레벨밖에 확인할 수 없는 것이며, 사용할 수 있지만 불충분한 것도 양호로 되어 버려, 평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실용적인 레벨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속 절첩 시험의 절첩 횟수는 적어도 10만회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연속 절첩 시험은,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이 내측으로 되도록 광학 필름(10)을 절첩하도록 행해져도 되고, 또한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이 외측으로 되도록 광학 필름(10)을 절첩하도록 행해져도 되지만, 어느 경우에도, 광학 필름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 절첩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절첩 시험에 있어서는, 먼저, 30㎜×10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10)의 변부(10C)와, 변부(10C)와 대향하는 변부(10D)를,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부(20)로 각각 고정한다. 또한, 30㎜×100㎜의 크기로 광학 필름을 잘라 낼 수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20㎜×75㎜의 크기로 광학 필름을 잘라내도 된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0)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0)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필름(10)이 절첩되도록 변형시키고,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0)의 고정부(20)로 고정된 대향하는 2개의 변부(10C, 10D)의 간격 φ가 30㎜가 되는 위치까지 고정부(20)를 이동시킨 후, 고정부(20)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광학 필름(10)의 변형을 해소시킨다.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0)를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필름(10)을 180° 절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굴곡부(10E)가 고정부(20)의 하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연속 절첩 시험을 행하고, 또한 고정부(20)가 최접근하였을 때의 간격을 30㎜로 제어함으로써, 광학 필름(10)의 대향하는 2개의 변부(10C, 10D)의 간격 φ를 30㎜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부(10E)의 외경을 30㎜로 간주한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두께는, 고정부(20)의 간격(30㎜)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은 값이기 때문에, 광학 필름(10)의 연속 절첩 시험의 결과는, 광학 필름(10)의 두께의 차이에 의한 영향은 받지 않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에 있어서는, 대향하는 2개의 변부(10C, 10D)의 간격을 20㎜, 10㎜, 6㎜, 또는 3㎜로 하여 연속 절첩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도, 광학 필름(10)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대향하는 2개의 변부(10C, 10D)의 간격 φ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의 표면(10A)(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은, 온도 23±5℃ 및 상대 습도 30% 이상 70% 이하의 환경 하에서, JIS K5600-5-4:1999에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으로 측정되었을 때의 경도(연필 경도)가, B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필 경도 시험은, 30㎜×10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10)을 유리판 상에 접힘이나 주름이 없도록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셀로판테이프(등록 상표)로 고정하고, 광학 필름의 표면에 대하여 연필 경도 시험기(제품명 「연필 긁기 도막 경도 시험기(전동식)」,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하여, 연필(제품명 「유니」, 미쓰비시 엔피츠 가부시키가이샤제)에 750g의 하중을 가하면서 연필을 1㎜/초의 이동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연필 경도는, 연필 경도 시험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은 가장 높은 경도로 한다. 또한, 연필 경도의 측정 시에는, 경도가 다른 연필을 복수개 사용하여 행하지만, 연필 1개에 대해 5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하고, 5회 중 4회 이상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이 경도의 연필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상기 흠집은,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한 광학 필름의 표면을 형광등 아래에서 투과 관찰하여 시인되는 것을 가리킨다.
광학 필름(10)은, 옐로우 인덱스(YI)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의 YI가 15 이하이면, 광학 필름의 황색기를 억제할 수 있어,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의 옐로우 인덱스(YI)의 상한은, 10 이하, 5 이하 또는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옐로우 인덱스(YI)는, 온도 23±5℃ 및 상대 습도 30% 이상 70% 이하의 환경 하에서, 분광 광도계(제품명 「UV-245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제, 광원: 텅스텐 램프 및 중수소 램프) 내에 50㎜×10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의 이면측이 광원측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측정한 광학 필름의 파장 300㎚ 내지 780㎚의 투과율로부터 JIS Z8722:2009에 기재된 연산식에 따라서 색도 3자극값 X, Y, Z를 계산하고, 3자극값 X, Y, Z로부터 ASTM D1925:1962에 기재된 연산식에 따라서 산출된 값이다. 광학 필름(10)의 옐로우 인덱스(YI)의 상한은,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옐로우 인덱스(YI)는, 광학 필름 1매에 대하여 3회 측정하고, 3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UV-2450에 있어서는, 옐로우 인덱스는, UV-2450에 접속된 모니터 상에서, 상기 투과율의 측정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계산 항목에서 「YI」의 항목에 체크를 함으로써 산출된다. 파장 300㎚ 내지 780㎚의 투과율의 측정은, 이하의 조건에서, 파장 300㎚ 내지 780㎚에 있어서 각각 전후 1㎚의 사이에서 최저 5포인트분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분광 투과율의 스펙트럼에 기복이 생기면, 델타 5.0㎚로 스무싱 처리를 행해도 된다.
(측정 조건)
·파장 영역: 300㎚ 내지 780㎚
·스캔 속도: 고속
·슬릿 폭: 2.0
·샘플링 간격: 오토(0.5㎚ 간격)
·조명: C
·광원: D2 및 WI
·시야: 2°
·광원 전환 파장: 360㎚
·S/R 전환: 표준
·검출기: PM
·오토 제로: 베이스 라인의 스캔 후 550㎚에서 실시
광학 필름(10)의 옐로우 인덱스(YI)를 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광 투과성 기재(11)에, 황색의 보색이 되는 청색의 색소를 함유시켜도 된다. 광 투과성 기재로서, 폴리이미드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황색기가 문제가 되는 경우였다고 해도, 광 투과성 기재(11)에 청색의 색소를 포함시킴으로써, 광학 필름의 옐로우 인덱스(YI)를 저하시킬 수 있다.
광학 필름(10)의 헤이즈값(전체 헤이즈값)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의 상기 헤이즈값이 3.0% 이하이면, 광학 필름(10)을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한 경우에, 화상 표시면의 백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값은,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헤이즈값은, 온도 23±5℃ 및 상대 습도 30% 이상 70% 이하의 환경 하에서, 헤이즈 미터(제품명 「HM-15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주쓰 겐큐쇼제)를 사용하여 JIS K7136:2000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값은, 광학 필름을 50㎜×100㎜의 크기로 잘라낸 후, 컬이나 주름이 없고, 또한 지문이나 먼지 등이 없는 상태에서 설치하고, 광학 필름 1매에 대하여 3회 측정하고, 3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3회 측정한다」란, 동일한 장소를 3회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3개소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광학 필름(10)에 있어서는, 눈으로 본 표면(10A)은 평탄하고, 또한 하드 코트층(12) 등의 적층하는 층도 평탄하며, 또한 막 두께의 변동도 ±10%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잘라낸 광학 필름의 다른 3개소에서 헤이즈값을 측정함으로써, 대략의 광학 필름의 면내 전체의 헤이즈값의 평균값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헤이즈값의 변동은, 측정 대상이 1m×3000m로 길어도, 5인치의 스마트폰 정도의 크기여도, ±10% 이내이다. 또한, 광학 필름을 상기 크기로 잘라낼 수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HM-150은 측정할 때의 입구 개구가 20㎜φ이므로, 직경 21㎜ 이상이 되는 샘플 크기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22㎜×22㎜ 이상의 크기로 광학 필름을 적절히 잘라내도 된다. 광학 필름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광원 스폿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조금씩 어긋나게 하거나, 또는 각도를 변화시키거나 하여 측정점을 3개소로 한다.
광학 필름(10)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면, 우수한 광 투과성을 얻을 수 있다. 광학 필름(10)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8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온도 23±5℃ 및 상대 습도 30% 이상 70% 이하의 환경 하에서, 헤이즈 미터(제품명 「HM-15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주쓰 겐큐쇼제)를 사용하여 JIS K7361-1:1997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광선 투과율은, 헤이즈값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또한, 광학 필름의 이면측에 점착층이나 접착층을 개재시켜 편광판 등의 다른 필름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착층이나 접착층과 함께 다른 필름을 박리하고 나서, 연속 절첩 시험, 옐로우 인덱스 측정, 헤이즈값 측정, 전체 광선 투과율 측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다른 필름의 박리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먼저, 광학 필름에 점착층이나 접착층을 통해 다른 필름이 부착된 적층체를 드라이어로 가열하고, 광학 필름과 다른 필름의 계면이라 생각되는 부위에 커터의 칼끝을 넣어, 천천히 박리해 간다. 이와 같은 가열과 박리를 반복함으로써, 점착층이나 접착층 및 다른 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박리 공정이 있었다고 해도, 이들 시험이나 이들 측정에는 큰 영향은 없다. 헤이즈값의 측정은, 점착층이나 접착층의 박리 후, 또한 점착층 또는 접착층의 오염을 알코올로 잘 닦아내고 나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광학 필름(10)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학 필름(10)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PC), 웨어러블 단말기, 디지털 사이니지, 텔레비전, 카 내비게이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은, 차량 탑재 용도에도 적합하다. 상기 각 화상 표시 장치의 형태로서는, 폴더블, 롤러블과 같은 플렉시블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도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은, 원하는 크기로 커트되어 있어도 되지만, 롤상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10)이 원하는 크기로 커트되어 있는 경우, 광학 필름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10)의 크기는, 예를 들어 2.8인치 이상 500인치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인치」란, 광학 필름이 사각 형상인 경우에는 대각선의 길이를 의미하고, 원 형상인 경우에는 직경을 의미하고, 타원 형상인 경우에는, 짧은 직경과 긴 직경의 합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광학 필름이 사각 형상인 경우, 상기 인치를 구할 때의 광학 필름의 종횡비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으로서 문제가 없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로:가로=1:1, 4:3, 16:10, 16:9, 2:1 등을 들 수 있다. 단, 특히 디자인성이 풍부한 차량 탑재 용도나 디지털 사이니지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종횡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임의의 위치로부터 A5 사이즈(148㎜×210㎜)로 잘라낸 후, 각 측정 항목의 크기로 잘라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광학 필름(10)이 롤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의 롤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조출하여, 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양단부를 포함하는 비유효 영역이 아니라, 품질이 안정되어 있는 중심부 부근의 유효 영역으로부터 원하는 크기로 잘라내는 것으로 한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10)의 배치 개소는,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여도 되지만,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 부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 부근에 사용되는 경우, 광학 필름(10)은, 커버 유리 대신에 사용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기능한다.
<<광 투과성 기재>>
광 투과성 기재(11)는, 광 투과성을 갖는 기재이다. 광 투과성 기재(11)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기재(11)의 두께가 10㎛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컬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광학 필름을 Roll to Roll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외관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없다. 한편, 광 투과성 기재(11)의 두께가 100㎛ 이하이면, 광학 필름(10)의 절첩 성능이 양호하여, 연속 절첩 시험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고, 또한, 광학 필름(10)의 경량화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기재(11)의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광 투과성 기재(11)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광 투과성 기재(11)의 막 두께를 10개소 측정하고, 그 1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광 투과성 기재(11)의 하한은 20㎛ 이상, 30㎛ 이상, 또는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광 투과성 기재(11)의 상한은 80㎛ 이하, 70㎛ 이하, 또는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기재(11)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수지,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절첩 시험에 있어서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우수한 경도 및 투명성도 갖고, 또한, 내열성도 우수하고, 소성함으로써, 더 우수한 경도 및 투명성을 부여할 수도 있는 관점에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아민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폴리이미드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우수한 광 투과성 및 우수한 강성을 갖는 점에서, 하기 일반식 (1) 및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R1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인 4가의 기, R2는, trans-시클로헥산디아민 잔기, trans-1,4-비스메틸렌시클로헥산디아민 잔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및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2가의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를 나타낸다. n은 반복 단위수를 나타내고, 1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란, 테트라카르복실산으로부터, 4개의 카르복실기를 제외한 잔기를 말하고,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부터 산 이무수물 구조를 제외한 잔기와 동일한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디아민 잔기」란, 디아민으로부터 2개의 아미노기를 제외한 잔기를 말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 R5는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디시클로헥산-3,4,3',4'-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4가의 기, R6은, 디아민 잔기인 2가의 기를 나타낸다. n'는 반복 단위수를 나타내고, 1 이상이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1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이며, 상기 예시된 바와 같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부터 산 이무수물 구조를 제외한 잔기로 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1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피로멜리트산 잔기,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4,4'-옥시디프탈산 잔기, 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4,4'-옥시디프탈산 잔기, 및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에 있어서, 이들의 적합한 잔기를 합계로, 5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R1로서,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피로멜리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A)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4,4'-옥시디프탈산 잔기,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B)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A)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B)의 함유 비율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B) 1몰에 대하여,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A)이 0.05몰 이상 9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몰 이상 5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3몰 이상 4몰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2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및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2가의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그리고, R3 및 R4가 퍼플루오로알킬기인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2가의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의 R5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옥시디프탈산 잔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5에 있어서, 이들의 적합한 잔기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의 R6은 디아민 잔기이며, 상기 예시된 바와 같은 디아민으로부터 2개의 아미노기를 제외한 잔기로 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의 R6으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 잔기,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1,4-비스[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벤젠 잔기, 2,2-비스[4-(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4,4'-디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잔기,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 잔기, 및 9,9-비스(4-아미노페닐)플루오렌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 잔기,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및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6에 있어서, 이들의 적합한 잔기를 합계로, 5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R6으로서,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잔기,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 잔기, 파라페닐렌디아민 잔기, 메타페닐렌디아민 잔기, 및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C)과,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 잔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1,4-비스[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벤젠 잔기, 2,2-비스[4-(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4,4'-디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및 9,9-비스(4-아미노페닐)플루오렌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D)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C)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D)의 함유 비율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D) 1몰에 대하여,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C)이 0.05몰 이상 9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1몰 이상 5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몰 이상 4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및 상기 일반식 (3)로 표시되는 구조에 있어서, n 및 n'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 단위수를 나타내고, 1 이상이다. 폴리이미드에 있어서의 반복 단위수 n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도록, 구조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평균 반복 단위수는, 통상 10 내지 2000이며, 또한 15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그 일부에 폴리아미드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폴리아미드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과 같은 트리카르복실산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구조나, 테레프탈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구조를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내열성의 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신의 용이함이나 베이크 온도 저감의 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n은, 반복 단위이며,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 중에서도,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점에서, 분자 내 또는 분자간의 전하 이동이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 (4) 내지 (11) 등의 불소화 폴리이미드계 수지, 상기 식 (13) 내지 (15) 등의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4) 내지 (11) 등의 불소화 폴리이미드계 수지에서는, 불소화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고,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시의 열에 의해 착색되는 일도 없으므로,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뿐만 아니라,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2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중, n은, 반복 단위이며,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상기 식 (4) 내지 (20) 및 (23)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는, 시판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쓰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네오풀림(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미크트론(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4) 내지 (20) 및 (23)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 (4)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합성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2091호에 기재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24)로 표시되는 4,4'-헥사플루오로프로필리덴비스프탈산 이무수물(FPA)과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TFDB)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24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 이상 50만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내지 30만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만 이상 20만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만을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하여, 용해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표면이 평활하며 막 두께가 균일한 기재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광 투과성 기재(11)는, 경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관점에서, 상기 식 (4) 내지 (11) 등으로 표시되는 불소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상기 식 (23) 등의 할로겐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경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식 (4)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1종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12)은, 광 투과성 기재(11)의 제1 면(11A)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이란, 광 투과성을 갖고, 또한 마르텐스 경도가, 375㎫ 이상인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르텐스 경도」란,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한 경도 측정에 의해, 압자를 500㎚ 압입하였을 때의 경도이다. 상기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한 마르텐스 경도의 측정은, 측정 샘플에 대하여 HYSITRON(하이지트론)사제의 「TI950 TriboIndenter」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1㎜×1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을 포매 수지에 의해 포매한 블록을 제작하고, 이 블록으로부터 일반적인 절편 제작 방법에 의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두께 70㎚ 이상 100㎚ 이하의 절편을 잘라낸다. 절편의 제작에는, 예를 들어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의 울트라마이크로톰 EM UC7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절편이 잘라내어진 나머지 블록을 측정 샘플로 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측정 샘플에 있어서의 상기 절편이 잘라내어짐으로써 얻어진 단면에 있어서,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상기 압자로서 베르코비치(Berkovich) 압자(삼각추, BRUKER사제의 TI-0039)를 하드 코트층의 단면 중앙에 500㎚ 압입한다. 여기서, 베르코비치 압자는, 하드 코트층 중, 광 투과성 기재나 하드 코트층의 측면 에지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광 투과성 기재와 하드 코트층의 계면으로부터 하드 코트층의 중앙측으로 500㎚ 이격되고, 또한 하드 코트층의 양측단으부로부터 각각 하드 코트층의 중앙측으로 500㎚ 이격된 부분에 압입하는 것으로 한다. 그 후, 일정 시간 유지하여 잔류 응력의 완화를 행한 후, 제하시켜, 완화 후의 최대 하중을 계측하고, 해당 최대 하중 Pmax(μN)와 깊이 500㎚의 오목부 면적 A(nm2)를 사용하여, Pmax/A에 의해, 마르텐스 경도를 산출한다. 마르텐스 경도는, 10개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측정값 중에 산술 평균값으로부터 ±20% 이상 벗어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측정값을 제외하고 재측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측정값 중에 산술 평균값으로부터 ±20% 이상 벗어나 있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측정값을 A라 하고, 산술 평균값을 B라 하였을 때, (A-B)/B×100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 ±20% 이상인지에 따라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측정 조건)
·하중 속도: 10㎚/초
·유지 시간: 5초
·하중 제하 속도: 10㎚/초
·측정 온도: 23℃ 내지 28℃
·상대 습도: 30% 내지 70%
하드 코트층(12)의 마르텐스 경도는, 375㎫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12)의 마르텐스 경도가 375㎫ 이상이면, 하드 코트층(12)으로서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2000㎫ 이하이면, 절첩 시의 하드 코트층(12)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각 하드 코트층의 마르텐스 경도의 평균값으로 한다. 하드 코트층(12)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은, 600㎫ 이상 또는 800㎫ 이상의 순으로 더욱 바람직하고, 하드 코트층(12)의 마르텐스 경도의 상한은, 1500㎫ 이하, 1300㎫ 이하, 또는 1000㎫ 이하의 순으로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12)의 막 두께는, 1㎛ 이상 2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12)의 막 두께가, 1㎛ 이상이면, 하드 코트층으로서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20㎛ 이하이면, 가공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란, 하드 코트층이 다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를 합계한 막 두께(총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하드 코트층(12)의 상한은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12)의 막 두께는,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 또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12)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12)의 막 두께를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구체적인 단면 사진의 촬영 방법을 이하에 기재한다. 먼저, 1㎜×1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을 포매 수지에 의해 포매한 블록을 제작하고, 이 블록으로부터 일반적인 절편 제작 방법에 의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두께 70㎚ 이상 100㎚ 이하의 절편을 잘라낸다. 절편의 제작에는, 예를 들어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의 울트라마이크로톰 EM UC7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절편을 측정 샘플로 한다. 그 후,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제품명 「S-480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제)을 사용하여, 측정 샘플의 단면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 S-4800을 사용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할 때는, 검출기를 「TE」, 가속 전압을 「30㎸」, 에미션 전류를 「10μA」로 하여 단면 관찰을 행한다. 배율에 대해서는, 포커스를 조절하여 콘트라스트 및 밝기를 각 층이 분별되는지 관찰하면서 5000배 내지 20만배로 적절히 조절한다. 바람직한 배율은, 1만배 내지 10만배, 더욱 바람직한 배율은 1만배 내지 5만배이며, 가장 바람직한 배율은 2.5만배 내지 5만배이다. 또한, 상기 S-4800을 사용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할 때는, 또한, 빔 모니터 조리개를 「3」으로 하고, 대물 렌즈 조리개를 「3」으로 하고, 또한 W. D.를 「8㎜」로 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를 측정할 때는, 단면 관찰하였을 때, 하드 코트층과 다른 층(예를 들어, 광 투과성 기재)의 계면 콘트라스트를 가능한 한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해진다. 만약, 콘트라스트 부족으로 이 계면을 보기 어려운 경우에는, 사산화오스뮴, 사산화루테늄, 인텅스텐산 등 염색 처리를 실시하면, 유기 층간의 계면을 보기 쉬워지므로, 염색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계면의 콘트라스트는 고배율인 쪽이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저배율도 동시에 관찰한다. 예를 들어, 2.5만배와 5만배나, 5만배와 10만배 등, 고저의 2개의 배율로 관찰하고, 양쪽 배율에서 상기한 산술 평균값을 구하고, 또한 그 평균값을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의 값으로 한다.
하드 코트층은 단층 구조여도 되지만, 절첩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하드 코트층(12)이, 제1 하드 코트층(15)과, 제1 하드 코트층(15) 상에 적층된 제2 하드 코트층(16)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하드 코트층>
제1 하드 코트층(15)은, 주로 광학 필름(10)에 경도를 부여하기 위한 층이다. 제1 하드 코트층(15)은, 제1 하드 코트층(15)의 마르텐스 경도가 500㎫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드 코트층(15)의 단면 중앙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가 500㎫ 이상이면, 하드 코트층(12)의 경도가 불충분해지는 일이 없고, 또한 2000㎫ 이하이면, 보다 우수한 절첩성을 얻을 수 있다. 제1 하드 코트층(15)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은 6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1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드 코트층(15)의 마르텐스 경도는, 제2 하드 코트층(16)의 마르텐스 경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마르텐스 경도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10)은, 연필 경도가 특히 양호해진다. 이것은, 광학 필름(10)에 연필 경도 시험을 실시하여 연필에 하중을 가하여 압입하였을 때, 광학 필름(10)의 변형이 억제되어, 흠집이나 오목부 변형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제1 하드 코트층(15)의 마르텐스 경도를 제2 하드 코트층(16)의 마르텐스 경도보다도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무기 입자의 함유량을 제1 하드 코트층(15)측에 보다 많이 함유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이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에 무기 입자가 기재 필름측에 편재되도록, 즉, 상기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존재 비율이, 광 투과성 기재측에서 보다 크고, 광학 필름의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드 코트층(15)은,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하드 코트층(15)은, 수지 중에 분산된 무기 입자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수지는, 중합성 화합물(경화성 화합물)의 중합체(경화물)를 포함한다. 중합성 화합물은, 분자 내에 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이다. 중합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펜타에리트리톨데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나, 이들을 PO, EO, 카프로락톤 등으로 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술한 마르텐스 경도를 적합하게 충족할 수 있는 점에서, 3 내지 6관능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T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PPA),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펜타에리트리톨 데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경도나 조성물의 점도 조정, 밀착성의 개선 등을 위해, 또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이미드,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수지층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00 미만이 바람직하고, 200 이상 8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성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2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 1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상 7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
무기 입자로서는,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우수한 경도를 얻는 관점에서,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실리카 입자 중에서도, 반응성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는,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사이에서 가교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실리카 입자이며, 이 반응성 실리카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제1 하드 코트층(15)의 경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는, 그 표면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중합성 관능기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65040호 공보에 기재된 반응성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MIBK-SD, MIBK-SDMS, MIBK-SDL, MIBK-SDZL,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의 V8802, V880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입자는, 구형 실리카 입자여도 되지만, 이형 실리카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 실리카 입자와 이형 실리카 입자를 혼합시켜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구형 실리카 입자」란, 예를 들어 진구상, 타원구상 등의 실리카 입자를 의미하고, 또한, 「이형 실리카 입자」란, 감자상(단면 관찰 시의 애스펙트비가 1.2 이상 40 이하)의 랜덤한 요철을 표면에 갖는 형상의 실리카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이형 실리카 입자는, 그 표면적이 구형 실리카 입자와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형 실리카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의 접촉 면적이 커져, 상기 하드 코트층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 코트층에 포함되어 있는 실리카 입자가 이형 실리카 입자인지 여부는, 하드 코트층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또는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구형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구형 실리카 입자의 입자경이 작을수록, 하드 코트층의 경도가 높아진다. 이에 반해, 이형 실리카 입자는, 시판되고 있는 가장 작은 입자경의 구형 실리카 입자만큼 작지 않더라도, 이 구형 실리카와 동등한 경도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5㎚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5㎚ 미만이면, 입자 자신의 제조가 곤란해져, 입자끼리가 응집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이형으로 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상기 도공 전의 잉크의 단계에서 이형 실리카 입자의 분산성이 나빠 응집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이형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200㎚를 초과하면, 하드 코트층에 큰 요철이 형성되거나, 헤이즈의 상승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실리카 입자가 구형 실리카 입자인 경우에는,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또는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을 사용하여 촬영한 입자의 단면의 화상으로부터 20개의 입자의 입자경을 측정하고, 20개의 입자의 입자경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실리카 입자가 이형 실리카 입자인 경우에는,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또는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을 사용하여 촬영한 하드 코트층의 단면의 화상으로부터 입자의 외주의 2점간 거리의 최댓값(긴 직경)과 최솟값(짧은 직경)을 측정하고, 평균하여 입자경을 구하고, 20개의 입자의 입자경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예를 들어, 제품명 「S-4800(TYPE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제)을 사용하여, 단면 사진의 촬영을 행할 때는, 검출기(선택 신호)를 「TE」, 가속 전압을 「30㎸」, 에미션을 「10μA」로 하여 관찰을 행한다.
상기 무기 입자의 크기 및 배합량을 제어함으로써 제1 하드 코트층(15)의 경도(마르텐스 경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 코트층(15)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실리카 입자는 평균 입자경이 5㎚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중합성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6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드 코트층>
제2 하드 코트층(16)은, 상술한 연속 절첩 시험을 충족시키기 위한 층이다. 제2 하드 코트층(16)은, 제2 하드 코트층(16)의 마르텐스 경도가 375㎫ 이상 1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드 코트층(16)의 단면 중앙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가 375㎫ 이상이면, 하드 코트층(12)의 내찰상성이 불충분해지는 일이 없고, 또한 1500㎫ 이하이면, 보다 우수한 절첩성을 얻을 수 있다. 제2 하드 코트층(16)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은 4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5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하드 코트층(16)은,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하드 코트층(16)은, 수지 중에 분산된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수지는, 중합성 화합물(경화성 화합물)의 중합체(경화물)를 포함한다.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제1 하드 코트층(15)의 란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 하드 코트층(16)은,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에다가,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다관능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무기 입자)
무기 입자로서는, 제1 하드 코트층(15)의 란의 무기 입자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제2 하드 코트층(16)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2 하드 코트층(16)에 대해 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드 코트층(15) 및 제2 하드 코트층(16)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상술한 마르텐스 경도를 충족하는 범위에서, 상술한 재료 이외의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수지 성분의 재료로서,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물을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합성 모노머 또는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성 모노머 또는 중합성 올리고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다관능(6관능 이상)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만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12)(제1 하드 코트층(15) 및 제2 하드 코트층(16)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및/또는 방오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층>>
수지층(13)은,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충격 흡수성을 갖는 층이다. 수지층은, 2 이상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13)의 마르텐스 경도는,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13)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광학 필름의 표면의 오목부 및 광학 필름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의 손상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13)의 마르텐스 경도가 100㎫ 이하이면, 절첩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수지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각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의 평균값으로 한다. 수지층(13)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은, 5㎫ 이상, 15㎫ 이상 또는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지층(13)의 마르텐스 경도의 상한은, 90㎫ 이하, 80㎫ 이하 또는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13)의 막 두께는, 10㎛ 이상으로 되어 있다. 수지층의 막 두께는,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수지층(13)의 하한은, 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을 얻는 관점에서, 30㎛ 이상, 50㎛ 이상, 100㎛ 이상, 또는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13)의 상한은, 박형화에 적합함과 함께, 가공성이 양호한 관점에서, 500㎛ 이하 또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13)을 구성하는 수지는,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로 되는 Hz와 같은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수지로서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겔, 우레탄계 겔, 실리콘계 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 겔이 바람직하다. 「겔」이란, 일반적으로, 고점도로 유동성을 상실한 분산계를 말한다. 또한, 수지층(13)은, 아크릴계 겔이나 우레탄계 수지 등 외에,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우레탄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수지이다.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나 열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고경도가 얻어지며, 경화 속도도 빨라 양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열경화성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모노머, 올리고머, 및 프리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관능기수)는, 2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가, 2 미만이면, 연필 경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고, 또한 4를 초과하면, 경화 수축이 커져, 광학 필름이 컬링되어 버리고, 또한 절곡 시에 수지층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의 상한은,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20000을 초과하면,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도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은 2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15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25), (26), (27) 또는 (28)로 표시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5
상기 일반식 (25)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m은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6
상기 일반식 (26)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7
상기 일반식 (27)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m은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상기 일반식 (28)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수지층(13)을 구성하는 수지가, 어떤 구조의 고분자쇄(반복 단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지는, 예를 들어 열분해 GC-MS 및 FT-IR에 의해 수지층(13)을 분석함으로써 판단 가능하다. 특히, 열분해 GC-MS는, 수지층(13)에 포함되는 단량체 단위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수지층(13)은,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인 Hz 층이면 Hz, 수지 외에,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방오제,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 등은, 하드 코트층(12)의 란에서 설명한 자외선 흡수제 등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아크릴계 겔)
아크릴계 겔로서는, 점착제 등에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머이면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겔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i-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i-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i-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i-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i-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i-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할 때 사용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2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가식층>>
가식층(14)은,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식층(14)을 마련함으로써, 배선 등을 숨겨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식층(1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프레임상 등을 들 수 있다. 가식층(14)이 나타내는 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흑색, 백색 등을 들 수 있다.
가식층(14)의 막 두께는, 1㎛ 이상 2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식층(14)의 막 두께가, 1㎛ 이상이면, 안정적으로 충분한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20㎛ 이하이면, 광학 필름(10)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지 않는다. 가식층의 막 두께는,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가식층(14)의 하한은 2㎛ 이상, 또는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가식층(14)의 상한은 15㎛ 이하, 12㎛ 이하, 또는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식층(14)은, 색재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가식층은, 색재 및 바인더 수지 외에,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색재>
색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흑색 안료, 백색 안료, 적색 안료, 황색 안료, 청색 안료, 녹색 안료, 자색 안료 등의 착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착색 안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동종류의 색 또는 다른 색의 착색 안료를 복수 종류 사용해도 된다. 흑색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티타늄 블랙, 티타늄 카본, 산화철, 산화티타늄, 흑연 등을 들 수 있다. 백색 안료로서는,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리토폰, 경질 탄산칼슘, 화이트 카본,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
바인더 수지로서는, 가식층(14)의 형성 방법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가식층(14)이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바인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열중합성 화합물(열경화성 화합물)의 중합물(경화물), 또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 화합물(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의 중합물(경화물)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α선, β선 및 γ선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성 화합물)
열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중합성 화합물)
전리 방사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하드 코트층의 란에서 설명한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10)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먼저, 광 투과성 기재(11)의 제1 면(11A) 상에, 바 코터 등의 도포 장치에 의해,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다.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제1 하드 코트층(15)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방오제, 무기 입자, 레벨링제, 용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매)
상기 용매로서는,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 벤질알코올, PGME, 에틸렌글리콜, 디아세톤알코올),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헵타논, 디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아세톤알코올), 에스테르(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포름산메틸, PGMEA),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시클로헥산),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미드(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테르(예,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테르알코올(예, 1-메톡시-2-프로판올), 카르보네이트(탄산디메틸, 탄산디에틸, 탄산에틸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용매로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성분, 및, 다른 첨가제를 용해 혹은 분산시켜,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적합하게 도공할 수 있는 점에서,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
중합 개시제는, 전리 방사선 조사로부터 분해되어, 라디칼을 발생하여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가교)을 개시 또는 진행시키는 성분이다.
중합 개시제는,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해 라디칼 중합을 개시시키는 물질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예에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아실포스핀 옥시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 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 후, 각종 공지의 방법으로 도막을, 예를 들어 30℃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10초간 내지 120초간 가열함으로써 건조시켜, 용제를 증발시킨다.
도막을 건조시킨 후, 도막에 자외선 등의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반경화(하프 큐어)시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반경화」란, 전리 방사선을 더 조사하면 경화가 실질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 이 단계에서,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켜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완전 경화」란, 이 이상 전리 방사선을 조사해도 경화가 실질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막을 반경화시킨 후, 도막 상에, 바 코터 등의 도포 장치에 의해, 제2 하드 코트층(16)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다.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제2 하드 코트층(16)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용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총 고형분이 2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 및 중합 개시제는,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에서 설명한 용제 및 중합 개시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 후, 각종 공지의 방법으로 도막을 예를 들어 30℃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10초간 내지 120초간 가열함으로써 건조시켜, 용제를 증발시킨다.
도막을 건조시킨 후,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에 자외선 등의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 및 제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켜, 제1 하드 코트층(15) 및 제2 하드 코트층(16)을 형성하여, 하드 코트층(12)을 얻는다.
하드 코트층(12)을 형성한 후, 광 투과성 기재(11)에 있어서의 제2 면(11B)에, 바 코터 등의 도포 장치에 의해, 수지층(13)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수지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 후,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수지층(13)을 형성한다.
<수지층용 조성물>
수지층(13)이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수지층용 조성물은, 상기 우레탄 수지의 란에서 설명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13)을 형성한 후, 수지층(13)의 표면에 가식층용 조성물을 인쇄법 등에 의해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도막을 가열하거나, 또는 도막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식층(14)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광학 필름(10)이 얻어진다.
<<다른 광학 필름>>
도 1에 도시된 광학 필름(10)은, 하드 코트층(12), 광 투과성 기재(11), 수지층(13), 및 가식층(14)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지만, 광학 필름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부재는, 도 1에서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광학 필름(30, 40, 50, 60)은, 광학 필름(10)과 마찬가지로, 각각, 표면(30A, 40A, 50A, 60A) 및 표면(30A, 40A, 50A, 60A)과는 반대측의 이면(30B, 40B, 50B, 60B)을 갖고 있다. 광학 필름(30, 40, 50)은, 각각, 광 투과성 기재(11),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및 가식층(14)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하드 코트층(12)이, 광 투과성 기재(11), 수지층(13), 및 가식층(14)보다도 광학 필름(30, 40, 50)의 표면(30A, 40A, 50A)측에 마련되어 있다. 광학 필름(60)은,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및 가식층(14)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하드 코트층(12)이, 수지층(13) 및 가식층(14)보다도 광학 필름(60)의 표면(60A)측에 마련되어 있다. 광학 필름(30, 40, 50, 60)의 물성 등은, 광학 필름(10)의 물성 등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광학 필름(30)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과 마찬가지로, 수지층(13)이 가식층(14)보다도 표면(30A)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30)은, 표면(30A)으로부터 이면(30B)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광 투과성 기재(11) 및 가식층(14)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30)의 표면(30A)은, 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고, 광학 필름(30)의 이면(30B)은, 가식층(14)의 표면 및 광 투과성 기재(11)의 제2 면(11B)의 일부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광학 필름(40)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과 마찬가지로, 수지층(13)이 가식층(14)보다도 표면(40A)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40)은, 표면(40A)으로부터 이면(40B)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및 광 투과성 기재(11)를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고, 가식층(14)은 수지층(13)과 광 투과성 기재(11)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40)의 표면(40A)은, 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고, 광학 필름(40)의 이면(40B)은, 광 투과성 기재(11)의 제2 면(11B)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광학 필름(50)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과는 달리, 수지층(13)이 가식층(14)보다도 표면(50A)측에 마련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50)은, 표면(50A)으로부터 이면(50B)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광 투과성 기재(11) 및 수지층(13)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고, 가식층(14)은 광 투과성 기재(11)와 수지층(1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50)의 표면(50A)은, 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고, 광학 필름(50)의 이면(50B)은, 수지층(13)의 표면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광학 필름(60)은, 광학 필름(10)과는 달리, 광 투과성 기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광학 필름(60)은, 표면(60A)으로부터 이면(60B)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및 가식층(14)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은,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가식층(14) 및 수지층(13)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화상 표시 장치>>>
광학 필름(10)은, 절첩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70)는, 관찰자측을 향하여, 주로, 전지 등이 수납된 하우징(71), 보호 필름(72), 표시 패널(73), 편광판(74), 터치 센서(75), 및 광학 필름(1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표시 패널(73)과 편광판(74) 사이, 편광판(74)과 터치 센서(75) 사이, 터치 센서(75)와 광학 필름(10) 사이에는, 광 투과성을 갖는 점착층(76)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부재는 점착층(76)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점착층(76)은, 표시 패널(73)과 편광판(74) 사이, 편광판(74)과 터치 센서(75) 사이, 터치 센서(75)와 광학 필름(10)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점착층의 배치 개소는, 광학 필름과 표시 패널 사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 필름(10)은, 하드 코트층(12)이 광 투과성 기재(11)보다도 관찰자측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70)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의 표면(10A)(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이, 화상 표시 장치(70)의 표면(70A)을 구성하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70)에 있어서는, 표시 패널(73)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되어 있다. 표시 패널(73)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되어 있으므로, 편광판(74)은 원 편광판으로 되어 있다. 터치 센서(75)는, 편광판(74)과 광학 필름(10)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표시 패널(73)과 편광판(74)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터치 센서(75)는, 온 셀 방식이나 인 셀 방식이어도 된다.
점착층(76)으로서는,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지만,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표시 패널(73)의 손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겔은 점착성이 있으므로, 수지층(13)이 상기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터치 센서(75)와 광학 필름(10) 사이에 점착층(76)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터치 센서(75)에 직접 수지층(13)을 첩부함으로써, 터치 센서(75)와 광학 필름(10)을 고정할 수 있다.
충격 흡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종래부터 전단 손실 정접 tanδ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을 전단 손실 정접 tanδ로 나타내는 것도 생각되지만, 전단 손실 정접 tanδ에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였을 때, 광학 필름의 표면의 오목부 및 점착층에 기인하는 광학 필름의 표면의 오목부와, 광학 필름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는 없었다. 이것은, 전단 손실 정접 tanδ가, 전단 손실 탄성률 G''와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비(G''/G')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바, 하드 코트층을 광학 필름의 표면측에 마련하고, 또한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이며, 또한 막 두께가 10㎛ 이상인 수지층을 마련하면,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을 가한 경우에, 광학 필름 자체에 기인하는 표면의 오목부 및 점착층에 기인하는 광학 필름의 표면의 오목부와, 광학 필름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드 코트층(12)을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측에 마련하고, 또한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이며, 또한 막 두께가 10㎛ 이상인 수지층(13)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광학 필름(10) 자체에 기인하는 표면(10A)의 오목부 및 점착층에 기인하는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의 오목부와, 광학 필름(10)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은, 가식층(1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30, 40, 50, 60)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에 있어서는, 가식층(14)보다도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측에 수지층(13)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10A)측으로부터 광학 필름(1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수지층(13)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지층(13)보다도 이면(10B)측에 위치하는 가식층(14)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광학 필름(30, 40, 60)에 있어서도, 표면(30A, 40A, 60A)측으로부터 광학 필름(30, 40, 6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도, 가식층(14)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에 있어서는, 가식층(14)이, 광학 필름(50)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광 투과성 기재(11)와 수지층(13) 사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 필름(50)의 표면(50A)이 내측이 되도록 광학 필름(50)을 절첩한 경우에는, 광학 필름(10) 등과 같이 가식층이 광학 필름의 이면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가식층(14)의 연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절첩 시의 가식층(14)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70)에 있어서는, 편광판(74)보다도 관찰자측에 수지층(13)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표면(70A)측으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7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수지층(13)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지층(13)보다도 내부에 위치하는 편광판(74)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광학 필름(30, 40, 50, 60)에 있어서도,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측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도, 편광판(74)에 크랙, 변형 또는 파열에 의한 광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되는 다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화상 표시 장치>>>
도 8에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80)는, 관찰자측을 향하여, 주로, 전지 등이 수납된 하우징(71), 보호 필름(72), 표시 패널(73), 편광판(74), 터치 센서(75), 및 광학 필름(90)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표시 패널(73)과 편광판(74) 사이, 편광판(74)과 터치 센서(75) 사이, 터치 센서(75)와 광학 필름(90) 사이에는, 광 투과성을 갖는 점착층(76)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부재는 점착층(76)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점착층(76)은, 표시 패널(73)과 편광판(74) 사이, 편광판(74)과 터치 센서(75) 사이, 터치 센서(75)와 광학 필름(90)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점착층의 배치 개소는, 광학 필름과 표시 패널 사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7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부재는, 도 7에서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광학 필름>>
도 8에 도시된 광학 필름(90)은, 가식층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광학 필름(10)과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90)은, 광 투과성 기재(11), 하드 코트층(12), 및 수지층(13)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 필름(90)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층(12)은, 광 투과성 기재(11) 및 수지층(13)보다도 관찰자측에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90)은, 편광판(74)측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광 투과성 기재(11) 및 수지층(13)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단, 하드 코트층이, 광 투과성 기재 및 수지층보다도 관찰자측에 배치되면, 광 투과성 기재 및 수지층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90)의 표면(90A)은, 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고, 광학 필름(90)의 이면(90B)은, 수지층(13)의 표면으로 되어 있다.
<<다른 광학 필름>>
도 8에 도시된 광학 필름(90)은, 하드 코트층(12), 광 투과성 기재(11) 및 수지층(13)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지만, 광학 필름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부재는, 도 1에서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광학 필름(100, 110)은, 광학 필름(10)과 마찬가지로, 각각, 표면(100A, 110A) 및 표면(100A, 110A)과는 반대측의 이면(100B, 110B)을 갖고 있다. 광학 필름(100)은, 광 투과성 기재(11), 하드 코트층(12), 및 수지층(13)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하드 코트층(12)이, 광 투과성 기재(11) 및 수지층(13)보다도 광학 필름(100)의 표면(100A)측에 마련되어 있다. 광학 필름(110)은, 하드 코트층(12) 및 수지층(13)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하드 코트층(12)이 수지층(13)보다도 광학 필름(110)의 표면(110A)측에 마련되어 있다. 광학 필름(100, 110)의 물성 등은, 광학 필름(10)의 물성 등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100)은, 표면(100A)으로부터 이면(100B)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광 투과성 기재(11)를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즉, 광학 필름(90) 대신에 광학 필름(100)을 도 8에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80)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100)은, 편광판(74)측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수지층(13), 광 투과성 기재(11)를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0)의 표면(100A)은, 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고, 광학 필름(100)의 이면(100B)은, 광 투과성 기재(11)의 제2 면(11B)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광학 필름(110)은, 광학 필름(90)과는 달리, 광 투과성 기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광학 필름(110)은, 표면(110A)으로부터 이면(110B)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및 수지층(13)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즉, 광학 필름(90) 대신에 광학 필름(110)을 도 8에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80)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110)은, 편광판(74)측을 향하여, 하드 코트층(12) 및 수지층(13)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10)의 표면(110A)은, 하드 코트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고, 광학 필름(110)의 이면(110B)은, 수지층(13)의 표면으로 되어 있다.
<<다른 화상 표시 장치>>
도 8에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80)는, 편광판(74)보다도 관찰자측에 면내 위상차가 3000㎚ 이상인 광 투과성 필름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도 11에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120)와 같이 편광판(74)보다도 관찰자측에 면내 위상차(Re: 리타데이션)가 3000㎚ 이상인 광 투과성 필름(12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광 투과성 필름>
광 투과성 필름(121)의 배치 개소는, 편광판(74)보다도 관찰자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우수한 내충격성을 얻는 관점에서는, 수지층(13)과 편광판(7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120)에 있어서는, 광 투과성 필름(121)은, 편광판(74)과 터치 센서(7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층(76)을 통해, 편광판(74) 및 터치 센서(75)에 각각 첩부되어 있다.
광 투과성 필름(1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3000㎚ 이상의 면내 위상차를 갖는 것이다. 광 투과성 필름(121)의 면내 위상차의 하한은, 후술하는 무지개 얼룩을 보다 억제하는 관점에서, 6000㎚ 이상 또는 8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한은, 광 투과성 필름(121)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25000㎚ 이하 또는 2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필름(121)의 면내 위상차(Re, 단위: ㎚)는, 광 투과성 필름(121)의 면내에 있어서 가장 굴절률이 큰 방향(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과, 광 투과성 필름의 두께 d(단위: ㎚)를 사용하여, 하기 수식 (1)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29
광 투과성 필름(121)의 면내 위상차는, 예를 들어 온도 23±5℃ 및 상대 습도 30% 이상 70% 이하의 환경 하에서, 오지 게이소쿠 기키 가부시키가이샤제 KOBRA-WR을 사용하여, 측정각 0° 또한 측정 파장 548.2㎚로 설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면내 위상차는, 다음 방법으로도 구할 수 있다. 먼저, 2매의 편광판을 사용하여, 광 투과성 기재의 배향축 방향을 구하고, 배향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2개의 축의 굴절률(nx, ny)을, 아베 굴절률계(제품명 「NAT-4T」, 아타고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을 지상축으로 정의한다. 또한, 광 투과성 필름의 두께를 예를 들어 전기 마이크로미터(안리쓰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리고, 얻어진 굴절률을 사용하여, 굴절률차(nx-ny)(이하, nx-ny를 Δn이라 칭함)를 산출하고, 이 굴절률차 Δn과 광 투과성 필름의 두께 d(㎚)의 곱에 의해, 면내 위상차를 구할 수 있다.
광 투과성 필름(121)의 면내 위상차를 3000㎚ 이상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굴절률차 Δn은, 0.05 이상 0.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차 Δn이 0.05 이상이면, 두께가 그다지 두꺼워지지 않고 상술한 면내 위상차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굴절률차 Δn이 0.20 이하이면, 연신 배율을 과도하게 높게 할 필요가 없어, 갈라짐, 파열 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굴절률차 Δn의 하한은 0.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절률차 Δn이 0.15를 초과하는 경우, 광 투과성 필름(121)의 종류에 따라서는, 내습 열성 시험에서의 광 투과성 필름(121)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내습 열성 시험에서의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굴절률차 Δn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12 이하이다.
또한, 광 투과성 필름(121)의 지상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 nx는, 1.60 이상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nx가 1.60 이상이면, 무지개 얼룩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굴절률 nx가 1.80 이하이면, 간섭 줄무늬를 억제할 수 있다. 굴절률 nx의 하한은 1.65 이상, 상한은 1.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 투과성 필름(121)의 진상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 ny는, 1.50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ny는, 1.50 이상이면, 무지개 얼룩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굴절률 ny가 1.70 이하이면, 간섭 줄무늬를 억제할 수 있다. 굴절률 ny의 하한은 1.55 이상, 상한은 1.6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필름(12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이상 100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 투과성 필름(121)의 두께의 하한은 핸들링성 등의 관점에서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필름(121)의 두께의 상한은 박막화의 관점에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필름(121)으로서는, 3000㎚ 이상의 면내 위상차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용 및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 투과성 필름이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필름(121)으로서, 폴리에스테르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두께는, 15㎛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두께가 15㎛ 이상이면,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면내 위상차를 3000㎚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역학 특성의 이방성이 현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갈라짐, 파열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두께가 500㎛ 이하이면, 고분자 필름 특유의 유연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두께의 하한은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400㎛ 이하 또는 3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주체(예를 들어 80몰% 이상의 성분)로 하고, 소비율(예를 들어 20몰% 이하)의 다른 종류의 수지와 블렌드한 것이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가 역학적 물성이나 광학 물성 등의 밸런스가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범용성이 높고,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투명성, 열 또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연신 가공에 의해 면내 위상차의 제어가 가능하며, 고유 복굴절이 크고, 막 두께가 얇아도 비교적 용이하게 큰 면내 위상차가 얻어진다.
3000㎚ 이상의 면내 위상차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 투과성 필름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용융하고, 시트상으로 압출 성형된 미연신 폴리에스테르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텐터 등을 사용하여 횡연신 후,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횡연신 온도로서는, 80℃ 이상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연신 온도의 하한은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1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횡연신 배율은 2.5배 이상 6.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연신 배율이 2.5배 이상이면, 연신 장력이 커지기 때문에,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복굴절이 커져, 원하는 면내 위상차를 얻기 위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연신 배율이 6.0배 이하이면, 얻어지는 광 투과성 필름의 투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횡연신 배율의 하한은 3.0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5.5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시트상으로 압출 성형할 때, 흐름 방향(기계 방향)으로의 연신, 즉, 종방향 연신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굴절률차 Δn의 값을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에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관점에서, 상기 종연신은, 연신 배율이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 성형 시에 종연신시키는 것 대신에, 상기 미연신 폴리에스테르의 횡연신을 상기 조건에서 행한 후에, 종연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열처리 시의 처리 온도로서는, 10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처리 시의 온도의 하한은 1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2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 투과성 필름의 면내 위상차를 3000㎚ 이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연신 배율이나 연신 온도, 제작하는 광 투과성 필름의 막 두께를 적절히 설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연신 배율이 높을수록, 연신 온도가 낮을수록, 또한 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면내 위상차를 얻기 쉬워지고, 연신 배율이 낮을수록, 연신 온도가 높을수록, 또한 막 두께가 얇을수록, 낮은 면내 위상차를 얻기 쉬워진다.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폴리(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등)를 베이스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및 단환 시클로올레핀 모노머 등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광 투과성 필름(121)의 굴절률은, 1.40 이상 1.8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의 「광 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란, 평균 굴절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광 투과성 필름(121)은, 광 투과성 필름(121)의 지상축과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어떤 각도여도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지만, 0°±30° 또는 90°±30°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광 투과성 필름(121)을 배치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에 무지개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매우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광 투과성 필름(121)은, 광 투과성 필름(121)의 지상축과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45°±15°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 투과성 필름(121)을 배치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 화상 표시 장치를 관찰한 경우에도,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드 코트층(12)을 광학 필름(90)의 표면(90A)측에 마련하고, 또한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 이하이며, 또한 막 두께가 10㎛ 이상인 수지층(13)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화상 표시 장치(80)의 표면(80A)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광학 필름(90)의 표면(90A)의 오목부 및 광학 필름(90)보다도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특히 편광판(74))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8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0, 110)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12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다.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광 투과성 기재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복굴절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복굴절성을 갖는 재료를 광 투과성 기재로서 사용한 광학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하면, 복굴절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발생한 위상차에 기인하여 색이 다른 얼룩(무지개 얼룩)이 시인될 우려가 있다. 무지개 얼룩은,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 표시 화상을 관찰하였을 때, 눈으로 봄에 의해 표시 화면을 관찰하였을 때보다도 시인되기 쉽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굴절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 투과성 필름이어도, 면내 위상차가 3000㎚ 이상인 광 투과성 필름(121)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고위상차로 될수록 다양한 파장의 광이 간섭하게 되고, 혼색됨으로써 무지개 얼룩이 시인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으로 봄뿐만 아니라,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 표시 화상을 관찰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의 「고형분 100% 환산값」이란, 용제 희석품 중의 고형분을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이다.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조제>
먼저,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을 배합하여,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M403」, 도아 고세 가부시키가이샤제): 25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 EO 변성 헥사아크릴레이트(제품명 「A-DPH-6E」, 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5질량부
·이형 실리카 입자(평균 입자경 25㎚,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50질량부(고형분 100% 환산값)
·광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 재팬사제): 4질량부
·불소계 레벨링제(제품명 「F568」, DIC 가부시키가이샤제): 0.2질량부(고형분 100% 환산값)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150질량부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2)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X5000」, 니혼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25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M403」, 도아 고세 가부시키가이샤제): 50질량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폴리머(제품명 「아크리트 8KX-014」, 다이세이 파인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25질량부(고형분 100% 환산값)
·방오제(제품명 「BYKUV3500」, 빅 케미사제): 1.5질량부(고형분 100% 환산값)
·광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 재팬사제): 4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150질량부
<수지층용 조성물의 조제>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을 배합하여, 수지층용 조성물을 얻었다.
(수지층용 조성물1)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V3310B」, 닛폰 고세이 가가쿠사제, 2관능): 85질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제품명 「비스코트 #192」,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사제): 5질량부
·트리펜타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 모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 그리고 폴리메탄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비스코트 #802」,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사제): 10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 재팬사제):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수지층용 조성물2)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V3310B」, 닛폰 고세이 가가쿠사제, 2관능): 85질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제품명 「비스코트 #192」,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사제): 15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 재팬사제):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수지층용 조성물3)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V3310B」, 닛폰 고세이 가가쿠사제, 2관능): 80질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제품명 「비스코트 #192」,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사제): 5질량부
·트리펜타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 모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 그리고 폴리메탄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비스코트 #802」,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사제): 10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KAYARAD DPHA」, 니혼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5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 재팬사제):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수지층용 조성물4)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V3310B」, 닛폰 고세이 가가쿠사제, 2관능): 95질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제품명 「비스코트 #192」,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사제): 5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 재팬사제):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V3310B」, 닛폰 고세이 가가쿠사제, 2관능): 85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KAYARAD DPHA」, 니혼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15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 재팬사제):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실시예 1>
광 투과성 기재로서, 크기 210㎜×297㎜(A4 사이즈) 및 두께 50㎛의 폴리이미드 기재(제품명 「네오풀림(등록 상표)」, 미쓰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준비하였다. 또한, 실시예나 비교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기 네오풀림(등록 상표)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이었다. 폴리이미드 기재의 제1 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반경화(하프 큐어)시켰다. 다음에, 반경화시킨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의 도막의 표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2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산소 농도가 200ppm 이하인 조건 하에서 적산 광량이 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켰다. 이에 의해,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막 두께가 10㎛인 제1 하드 코트층과, 제1 하드 코트층 상에 적층된 막 두께가 5㎛인 제2 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후, 폴리이미드 기재의 제2 면에 바 코터로 수지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막 두께가 200㎛인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수지층을 형성한 후, 수지층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가식층용 조성물로서 MRX-HF 스크린 잉크(데이코쿠 잉크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80℃, 30분간 가열하여, 프레임상의 막 두께가 10㎛인 가식층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광학 필름을 얻었다.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기재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를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단면 사진의 촬영 방법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먼저, 1㎜×10㎜로 잘라낸 광학 필름을 포매 수지에 의해 포매한 블록을 제작하고, 이 블록으로부터 일반적인 절편 제작 방법에 의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두께 70㎚ 이상 100㎚ 이하의 절편을 잘라냈다. 절편의 제작에는, 레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울트라마이크로톰 EM UC7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절편이 잘라내어진 나머지 블록을 측정 샘플로 하였다. 그 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제품명 「S-480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제)을 사용하여, 측정 샘플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상기 S-4800을 사용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할 때는, 검출기를 「SE」, 가속 전압을 「5㎸」, 에미션 전류를 「10μA」로 하여 단면 관찰을 행하였다. 배율에 대해서는, 포커스를 조절하여 콘트라스트 및 밝기를 각 층이 분별되는지 관찰하면서 100 내지 10만배로 적절히 조절하였다. 또한, 빔 모니터 조리개를 「3」으로 하고, 대물 렌즈 조리개를 「3」으로 하고, 또한 W. D.를 「8㎜」로 하였다. 수지층의 막 두께도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 및 수지층의 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는,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제품명 「S-480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제)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하였다. 하드 코트층의 단면 사진은, 이하와 같이 하여 촬영하였다. 먼저, 상기에서 제작한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절편을 측정 샘플로 하였다. 그 후,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을 사용하여, 측정 샘플의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이 단면 사진의 촬영 시에는, 검출기를 「TE」, 가속 전압을 「30㎸」, 에미션 전류를 「10μA」로 하여 STEM 관찰을 행하였다. 배율에 대해서는, 포커스를 조절하여 콘트라스트 및 밝기를 각 층이 분별되는지 관찰하면서 5000배 내지 20만배로 적절히 조절하였다. 또한, 단면 사진의 촬영 시에는, 또한 빔 모니터 조리개를 「3」으로 하고, 대물 렌즈 조리개를 「3」으로 하고, 또한 W. D.를 「8㎜」로 하였다. 또한, 수지층 및 가식층의 막 두께도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하드 코트층, 수지층 및 가식층의 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2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3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15㎛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10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광 투과성 기재로서, 크기 210㎜×297㎜(A4 사이즈) 및 두께 50㎛의 폴리이미드 기재(제품명 「네오풀림(등록 상표)」, 미쓰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준비하고, 폴리이미드 기재의 제1 면에, 바 코터로 수지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막 두께가 200㎛인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수지층을 형성한 후, 수지층의 표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반경화(하프 큐어)시켰다. 다음에, 반경화시킨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의 도막의 표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2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산소 농도가 200ppm 이하인 조건 하에서 적산 광량이 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켰다. 이에 의해,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막 두께가 10㎛인 제1 하드 코트층과, 제1 하드 코트층 상에 적층된 막 두께가 5㎛인 제2 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후, 폴리이미드 기재의 제2 면에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가식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80℃, 30분간 가열하여, 프레임상의 막 두께가 10㎛인 가식층을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광 투과성 기재로서, 크기 210㎜×297㎜(A4 사이즈) 및 두께 50㎛의 폴리이미드 기재(제품명 「네오풀림(등록 상표)」, 미쓰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준비하고, 폴리이미드 기재의 제1 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반경화(하프 큐어)시켰다. 다음에, 반경화시킨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의 도막의 표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2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산소 농도가 200ppm 이하인 조건 하에서 적산 광량이 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켰다. 이에 의해,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막 두께가 10㎛인 제1 하드 코트층과, 제1 하드 코트층 상에 적층된 막 두께가 5㎛인 제2 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후, 폴리이미드 기재의 제2 면에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가식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80℃, 30분간 가열하여, 프레임상의 막 두께가 10㎛인 가식층을 형성하였다.
가식층을 형성한 후, 가식층의 표면 및 폴리이미드 기재의 제2 면에 바 코터로 수지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막 두께가 200㎛인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 있어서는, 먼저, 폴리이미드 기재 대신에 이형 필름으로서 두께 100㎛의 편면 접착 용이화 처리가 이루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제품명 「코스모샤인(등록 상표) A410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준비하고, PET 필름의 미처리면에, 바 코터로 수지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막 두께가 200㎛인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PET 필름 상에 수지층을 형성한 후, 수지층의 표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반경화(하프 큐어)시켰다. 다음에, 반경화시킨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1의 도막의 표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2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70℃, 1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 재팬사제, 광원 H 밸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산소 농도가 200ppm 이하인 조건 하에서 적산 광량이 2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켰다. 이에 의해, 수지층 상에, 막 두께가 10㎛인 제1 하드 코트층과, 제1 하드 코트층 상에 적층된 막 두께가 5㎛인 제2 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후, PET 필름을 박리하여, 수지층의 표면을 노출시켰다. 그리고, 이 노출된 수지층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가식층용 조성물1을 도포하여, 형성한 도막에 대하여, 80℃, 30분간 가열하여, 프레임상의 막 두께가 10㎛인 가식층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 있어서는, 먼저, 가식층을 마련하지 않은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스마트폰(제품명 「Galaxy S7 edge」, Samsung Electronics Co., Ltd.제)을 분해하여, 원 편광판 및 OLED 패널을 취출하였다. 그리고, 광학 필름을 50㎜×50㎜의 크기로 잘라내고, OLED 패널, 원 편광판, 및 잘라낸 광학 필름을 이 순으로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또한, 광학 필름은, 하드 코트층이 상측이 되도록 적층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2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3을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의 막 두께를 15㎛로 한 것 이외에,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의 막 두께를 100㎛로 한 것 이외에,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4에 있어서는, 먼저, 가식층을 마련하지 않은 것 이외에,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5에 있어서는, 먼저, 가식층을 마련하지 않은 것 이외에,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6에 있어서는, 원 편광판과 광학 필름 사이에 50㎜×50㎜의 크기로 잘라낸 광 투과성 필름으로서의 초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초연신 PET 필름)을 배치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또한, 초연신 PET 필름은, 초연신 PET 필름의 지상축과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배치되었다.
초연신 PET 필름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되었다. 먼저, PET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수랭 냉각한 회전 급랭 드럼 상에 밀착시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에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상기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을 행하여, nx가 1.70, ny가 1.60, 두께가 80㎛ 및 면내 위상차가 8000㎚인 초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초연신 PET 필름의 면내 위상차는, 위상차 측정 장치(제품명 「KOBRA-WR」, 오지 게이소쿠 기키 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30㎜×40㎜의 크기로 잘라낸 초연신 PET 필름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면내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
·측정각: 0°
·측정 파장: 548.2㎚
·측정 온도: 25℃
·상대 습도: 50%
<실시예 17>
실시예 17에 있어서는, 초연신 PET 필름 형성 시의 압출량 및 연신 배율을 조정하여, nx가 1.69, ny가 1.61, 두께가 44㎛, 면내 위상차가 3500㎚인 초연신 PET 필름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8에 있어서는, 초연신 PET 필름 형성 시의 압출량 및 연신 배율을 조정하여, nx가 1.70, ny가 1.60, 두께가 190㎛, 면내 위상차가 19000㎚인 초연신 PET 필름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4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5㎛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4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비교예 5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비교예 6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4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비교예 7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비교예 8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4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9>
비교예 9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0>
비교예 10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4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1>
비교예 11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2>
비교예 12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의 막 두께를 5㎛로 한 것 이외에,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3>
비교예 13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4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4>
비교예 14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5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5>
비교예 15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4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6>
비교예 16에 있어서는, 먼저, 수지층용 조성물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5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마르텐스 경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마르텐스 경도는, HYSITRON(하이지트론)사제의 「TI950 TriboInden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1㎜×10㎜로 잘라낸 광학 필름을 포매 수지에 의해 포매한 블록을 제작하고, 이 블록으로부터 일반적인 절편 제작 방법에 의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두께 70㎚ 이상 100㎚ 이하의 절편을 잘라냈다. 절편의 제작에는, 레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울트라마이크로톰 EM UC7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절편이 잘라내어진 나머지 블록을 측정 샘플로 하였다. 다음에, 이와 같은 측정 샘플에 있어서의 상기 절편이 잘라내어짐으로써 얻어진 단면에 있어서, 압자로서 베르코비치(Berkovich) 압자(삼각추, BRUKER사제의 TI-0039)를 수지층의 단면 중앙에 500㎚ 압입하였다. 여기서, 베르코비치 압자는, 수지층 중, 폴리이미드 기재나 수지층의 측면 에지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폴리이미드 기재와 수지층의 계면으로부터 수지층의 중앙측으로 500㎚ 이격되고, 또한 수지층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수지층의 중앙측으로 500㎚ 이격된 부분에 압입하였다. 그 후, 일정 시간 유지하여 잔류 응력의 완화를 행한 후, 제하하고, 완화 후의 최대 하중을 계측하고, 해당 최대 하중Pmax(μN)와 깊이 500㎚의 오목부 면적 A(nm2)를 사용하여, Pmax/A에 의해 마르텐스 경도를 산출하였다. 마르텐스 경도는, 10개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으로 하였다. 또한, 측정값 중에 산술 평균값으로부터 ±20% 이상 벗어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측정값을 제외하고 재측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측정값 중에 산술 평균값으로부터 ±20% 이상 벗어나 있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측정값을 A라 하고, 산술 평균값을 B라 하였을 때, (A-B)/B×100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 ±20% 이상인지에 의해 판단하였다.
(측정 조건)
·하중 속도: 10㎚/초
·유지 시간: 5초
·하중 제하 속도: 10㎚/초
·측정 온도: 25℃
·상대 습도: 50%
<내충격성 시험1>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9에 관한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온도 25℃ 및 상대 습도 50% 이하의 환경 하에서, 내충격성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0.7㎜의 소다 유리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측이 상측이 되도록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9에 관한 광학 필름을 직접 두고, 높이 30㎝의 위치로부터 무게 100g, 직경 30㎜의 철구를 광학 필름의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낙하시키는 내충격성 시험(1)을 각 3회 행하였다. 또한, 두께 0.7㎜의 소다 유리 상에, 하드 코트층이 상측이 되도록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9에 관한 광학 필름을, 두께 200㎛의 점착 시트(제품명 「고투명성 양면 테이프 8146-2」, 쓰리엠사제)를 개재시켜 두고, 높이 30㎝의 위치로부터 무게 100g, 직경 30㎜의 철구를 광학 필름의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낙하시키는 내충격성 시험(2)을 각 3회 행하였다. 단, 철구는, 가식층이 존재하는 위치에 낙하시켰다. 또한, 내충격성 시험(1), (2)에 있어서, 철구를 낙하시키는 위치는 그때마다 변화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내충격성 시험(1) 후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눈으로 봄에 의해 하드 코트층의 표면이 움푹 들어가 있는지, 소다 유리가 균열되었는지, 가식층에 크랙이 발생하였는지 평가하였다. 또한, 내충격성 시험(2) 후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눈으로 봄에 의해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이하와 같이 하였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오목부 평가)
◎: 하드 코트층을 정면 및 경사로부터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 하드 코트층을 정면 및 경사로부터 관찰한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확인되었지만, 실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 하드 코트층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경사 관찰한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확인되었다.
×: 하드 코트층을 정면 및 경사로부터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명확한 오목부가 관찰되었다.
(소다 유리의 균열 평가)
◎: 소다 유리가 균열되지 않았다.
○: 소다 유리에 흠집이 생겼지만 균열되지 않았다.
△: 1 내지 2회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 3회 모두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가식층의 크랙 평가)
◎: 가식층에 크랙이 확인되지 않았다.
○: 가식층에 약간 크랙이 확인되었지만, 실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 가식층에 크랙이 확인되었다.
<내충격성 시험2>
실시예 9 내지 18 및 비교예 10 내지 16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온도 25℃ 및 상대 습도 50% 이하의 환경 하에서, 내충격성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높이 30㎝의 위치로부터 무게 100g, 직경 30㎜의 철구를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광학 필름의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낙하시키는 내충격성 시험을 각 3회 행하였다. 단, 철구는, 가식층이 존재하는 위치에 낙하시켰다. 또한, 내충격성 시험에 있어서, 철구를 낙하시키는 위치는 그때마다 변화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내충격성 시험 후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눈으로 봄에 의해 하드 코트층의 표면이 움푹 들어가 있는지, 원 편광판에 크랙이 발생하였는지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이하와 같이 하였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오목부 평가)
◎: 하드 코트층을 정면 및 경사로부터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 하드 코트층을 정면 및 경사로부터 관찰한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확인되었지만, 실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 하드 코트층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경사 관찰한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확인되었다.
×: 하드 코트층을 정면 및 경사로부터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명확한 오목부가 관찰되었다.
(원 편광판의 크랙 평가)
◎: 원 편광판에 크랙, 변형, 및 파열 모두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광 누설도 발생하지 않았다.
○: 원 편광판에 약간 크랙, 변형, 및 파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확인되었지만, 광 누설은 발생하지 않았다.
×: 원 편광판에 크랙, 변형, 및 파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확인되어, 광 누설이 발생하였다.
<연속 절첩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광학 필름에 대하여 온도 25℃ 및 상대 습도 50% 이하의 환경 하에서 연속 절첩 시험을 행하여, 절첩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30㎜×10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을, 내구 시험기(제품명 「DLDMLH-FS」, 유아사 시스템 기기 가부시키가이샤제)에, 광학 필름의 짧은 변측을 고정부로 각각 고정하고,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2개의 변부의 최소의 간격 φ가 30㎜가 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광학 필름의 표면(하드 코트층의 표면)측을 180°가 되도록 10만회 절첩하는 연속 절첩 시험을 행하여,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마찬가지로, 30㎜×100㎜의 크기로 잘라낸 새로운 광학 필름을, 내구 시험기(제품명 「DLDMLH-FS」, 유아사 시스템 기기 가부시키가이샤제)에, 광학 필름의 짧은 변측을 고정부로 각각 고정하고, 대향하는 2개의 변부의 최소의 간격이 10㎜가 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광학 필름의 표면측을 180°가 되도록 10만회 절첩하는 연속 절첩 시험을 행하여,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조사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절첩성)
◎: 연속 절첩 시험에 있어서,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다.
○: 연속 절첩 시험에 있어서, 굴곡부에 균열이 약간 발생하였지만, 실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 연속 절첩 시험에 있어서,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명확하게 발생하였다.
<무지개 얼룩 평가>
실시예 9, 16 내지 18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무지개 얼룩 평가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의 OLED 패널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암소 및 명소(화상 표시 장치 주변 조도 400럭스)에서, 정면 및 경사 방향(약 50도)으로부터 눈으로 봄 및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 표시 화상의 관찰을 각각 행하여, 무지개 얼룩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편광 선글라스 너머의 관찰은, 눈으로 봄보다도 매우 엄격한 평가법이다. 관찰은 10사람이 행하며, 최다수의 평가를 관찰 결과로 하고 있다.
◎: 눈으로 봄뿐만 아니라,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도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지 않았다.
○: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었지만, 얇고, 눈으로 봄으로는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실사용상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고, 눈으로 봄으로는 무지개 얼룩이 매우 얇게 관찰되었다.
×: 편광 선글라스 너머로 무지개 얼룩이 강하게 관찰되고, 눈으로 봄으로도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었다.
이하,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이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 1, 2, 4 내지 9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외이며, 또한 비교예 3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미만이었으므로, 내충격성이 떨어졌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8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이며, 또한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이었으므로, 내충격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 기재를 갖고, 또한 수지층이 가식층보다도 광학 필름의 표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내충격성 시험을 행한 경우에도, 가식층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7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가식층이 폴리이미드 기재와 수지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었으므로, 폴리이미드 기재를 갖고, 또한 수지층의 막 두께가 동일한 실시예 1 내지 3, 6에 관한 광학 필름보다도 절첩성이 우수하였다.
비교예 10, 11, 13 내지 16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수지층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외이며, 또한 비교예 12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미만이었으므로, 내충격성이 떨어졌다. 이에 반해, 실시예 9 내지 18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수지층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이며, 또한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이었으므로, 내충격성이 우수하였다.
10, 30, 40, 50, 60, 90, 100, 110 : 광학 필름
10A, 30A, 40A, 50A, 60A, 90A, 100A, 110A : 표면
10B, 30B, 40B, 50B, 60B, 90B, 100B, 110B : 이면
11 : 광 투과성 기재
11A : 제1 면
11B : 제2 면
12 : 하드 코트층
13 : 수지층
14 : 가식층
15 : 제1 하드 코트층
16 : 제2 하드 코트층
70, 80, 120 : 화상 표시 장치
73 : 표시 패널
74 : 편광판
121 : 광 투과성 필름

Claims (20)

  1. 표면 및 상기 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이며,
    하드 코트층, 수지층 및 가식층을 구비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이, 상기 수지층 및 상기 가식층보다도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이며,
    상기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인,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상기 가식층보다도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광 투과성 기재를 더 구비하는, 광학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기재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기재인, 광학 필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이면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광 투과성 기재, 상기 수지층, 및 상기 가식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광학 필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이면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수지층, 상기 광 투과성 기재, 및 상기 가식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광학 필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이, 상기 광 투과성 기재와 상기 수지층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광학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인, 광학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대향하는 변부의 간격이 30㎜가 되도록 상기 광학 필름을 180° 절첩하는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광학 필름.
  10.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보다도 관찰자측에 배치된 제1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표면이,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이면보다도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인, 화상 표시 장치.
  12. 관찰자측을 향하여, 표시 패널, 편광판, 및 절첩 가능한 광학 필름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필름이, 하드 코트층 및 상기 하드 코트층보다도 상기 편광판측에 배치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이며,
    상기 수지층의 마르텐스 경도가, 1㎫ 이상 100㎫ 이하인, 화상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광 투과성 기재를 더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기재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기재인, 화상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측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광 투과성 기재, 및 상기 수지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측을 향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수지층, 및 상기 광 투과성 기재를 이 순으로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막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인, 화상 표시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보다도 관찰자측에 배치된 면내 위상차가 3000㎚ 이상인 광 투과성 필름을 더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대향하는 변부의 간격이 30㎜가 되도록 상기 광학 필름을 180° 절첩하는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화상 표시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인, 화상 표시 장치.
KR1020207025882A 2018-02-28 2019-02-27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00126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4675 2018-02-28
JPJP-P-2018-034675 2018-02-28
PCT/JP2019/007490 WO2019168005A1 (ja) 2018-02-28 2019-02-27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386A true KR20200126386A (ko) 2020-11-06

Family

ID=6780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882A KR20200126386A (ko) 2018-02-28 2019-02-27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50553A1 (ko)
JP (1) JP7331829B2 (ko)
KR (1) KR20200126386A (ko)
CN (1) CN111771145B (ko)
TW (1) TWI770365B (ko)
WO (1) WO2019168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7856B2 (en) * 2017-09-29 2022-06-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612459B1 (ko) 2017-10-27 2023-12-0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시블 커버 렌즈 막들
JP2019152686A (ja) * 2018-02-28 2019-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043240A (ko) 2018-05-10 2023-03-3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교체가능한 커버 렌즈
JP7404406B2 (ja) 2019-06-26 2023-12-25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り畳み式ディスプレイ用の可撓性多層カバーレンズ積層体
US20220367832A1 (en) * 2019-09-27 2022-11-17 Dai Nippon Printing Co., Ltd. Front panel for display device,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stacked body for display device, and stacked body
CN110673247A (zh) * 2019-10-11 2020-01-10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具有复合结构的柔性光栅、其制备方法及应用
JP6857771B1 (ja) * 2019-10-28 2021-04-1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6877525B1 (ja) * 2019-12-26 2021-05-26 日東電工株式会社 加飾付積層体、光学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JP2021121841A (ja) * 2020-01-31 2021-08-2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2625719B1 (ko) * 2020-03-10 2024-01-17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도모에가와 옵티컬 필름 편광판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CN111933676B (zh) * 2020-08-18 2023-09-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30050322A (ko) * 2020-08-19 2023-04-14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전사 매체 적층체, 편광 필름 및 제조 방법
KR20220078379A (ko) * 2020-12-03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374937B2 (ja) * 2021-01-13 2023-11-0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試験装置、試験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86190B2 (ja) 2021-01-21 2023-11-24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試験装置、試験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55773B2 (ja) 2021-02-26 2023-10-03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試験装置、試験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11344A (ja) * 2021-07-12 2023-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カバー及び撮像装置、並びにカメラカバー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5063A (ja) 2015-01-02 2016-07-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用ウィンド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4532A1 (fr) * 2001-03-15 2002-09-26 Mitsui Chemicals Inc. Corps lamine et dispositif d'affichage utilisant ce corps lamine
JP5012745B2 (ja) * 2008-09-18 2012-08-2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付積層体
US20120313884A1 (en) * 2011-06-10 2012-12-13 Ping-Wen Huang Cover glass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JP2014021675A (ja) * 2012-07-17 2014-02-03 Fujimori Kogyo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TW201447668A (zh) * 2013-06-14 2014-12-16 Wintek Corp 裝飾蓋板及其觸控面板
JP6290628B2 (ja) * 2014-01-09 2018-03-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06030479B (zh) * 2014-02-21 2019-04-19 株式会社Lg化学 电子板
US10487050B2 (en) * 2014-08-29 2019-11-26 Basf Se Oxime sulfonate derivatives
KR20180020938A (ko) * 2015-07-17 2018-02-2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부재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74616B1 (ko) * 2015-07-22 2018-07-0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필름, 적층체, 광학 부재, 가스 배리어재 및 터치 센서 기재
JP2017102443A (ja) * 2015-11-20 2017-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WO2017119391A1 (ja) * 2016-01-08 2017-07-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176409B2 (ja) * 2016-05-20 2022-11-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6857477B2 (ja) * 2016-09-30 2021-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CN110249376B (zh) * 2017-01-06 2021-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KR102587768B1 (ko) * 2017-02-24 2023-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8180746A1 (ja) * 2017-03-30 2018-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の前面板、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機能付きミラ-、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US20210109268A1 (en) * 2017-10-31 2021-04-15 Zeon Corporation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5063A (ja) 2015-01-02 2016-07-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用ウィンド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0553A1 (en) 2021-02-18
TW201938381A (zh) 2019-10-01
CN111771145A (zh) 2020-10-13
CN111771145B (zh) 2022-04-29
WO2019168005A1 (ja) 2019-09-06
TWI770365B (zh) 2022-07-11
JPWO2019168005A1 (ja) 2021-03-11
JP7331829B2 (ja)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6386A (ko)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6773118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379907B1 (ko)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7119424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55569B (zh) 光學膜及影像顯示裝置
WO2018070523A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09456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196384B2 (ja) ポリイミ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1060560A1 (ja) 樹脂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4050846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8180304A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35640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光透過性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
TWI731228B (zh) 光學膜及影像顯示裝置
KR20210134703A (ko) 수지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