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396A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396A
KR20200125396A KR1020190163644A KR20190163644A KR20200125396A KR 20200125396 A KR20200125396 A KR 20200125396A KR 1020190163644 A KR1020190163644 A KR 1020190163644A KR 20190163644 A KR20190163644 A KR 20190163644A KR 20200125396 A KR20200125396 A KR 2020012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sole
face
golf club
club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루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Strengthening ri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63B53/0412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2Resonance frequency related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솔부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부와, 크라운부와, 솔부와, 상기 솔부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제 1 리브와, 상기 솔부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제 2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부, 상기 크라운부, 및 상기 솔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솔부의 내벽면에 있어서,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솔부의 내벽면에 있어서, 페이스-백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리브의 상기 솔부의 내벽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솔부의 내벽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낮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발명은,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우드형의 골프 클럽 헤드는, 종래부터 많은 개량이 이루어져 왔으며, 예를 들어, 솔부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반발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솔부의 내면에,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하고, 이로써, 솔부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396호
그러나, 솔부의 강성 향상에는 개량의 여지가 있어, 추가적인 강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솔부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부와, 크라운부와, 솔부와, 상기 솔부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제 1 리브와, 상기 솔부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제 2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부, 상기 크라운부, 및 상기 솔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솔부의 내벽면에 있어서,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솔부의 내벽면에 있어서, 페이스-백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리브의 상기 솔부의 내벽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솔부의 내벽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낮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를 상기 제 1 리브와 교차시킬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는, 각각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상기 솔부에는 가장 두께가 얇은 박육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 2 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박육부 상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토-힐 방향의 토측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상기 솔부에는, 상기 박육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당해 박육부보다 두께가 큰 후육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후육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는, 적어도 2 개의 상기 제 2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2 개의 제 2 리브가, 상기 솔부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제 1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1 개의 제 1 리브와 상기 2 개의 제 2 리브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상기 박육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페이스부와 상기 솔부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백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하면, 솔부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골프 클럽 헤드의 기준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기준 상태에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하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a 는 페이스부의 경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 는 페이스부의 경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솔부를 하면측으로부터 투과하여 내면을 본 평면도이다.
도 6 은 헤드의 일부를 잘라내어, 헤드의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헤드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 6 과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헤드의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헤드의 모델의 솔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는 진동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 는 진동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는 리브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 는 리브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c 는 리브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d 는 리브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e 는 리브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골프 클럽 헤드의 개요>
도 1 은 이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 도 2 는 헤드의 기준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3 은 기준 상태에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하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골프 클럽 헤드 (이하, 간단히「헤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10) 는,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이고, 페이스부 (1), 크라운부 (2), 솔부 (3), 및 호젤부 (4) 에 의해 벽면이 형성된, 우드형의 골프 클럽 헤드이다. 구체적으로는, 유틸리티 (하이브리드), 페어웨이 우드, 드라이버와 같은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할 수 있다.
페이스부 (1) 는, 볼을 타구하는 면인 페이스면을 갖고 있고, 크라운부 (2) 는 페이스부 (1) 와 인접하고, 헤드 (10) 의 상면을 구성한다. 솔부 (3) 는, 주로 헤드 (10) 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페이스부 (1) 와 크라운부 (2) 이외의 헤드 (10) 의 외주면을 구성한다. 즉, 헤드 (10) 의 바닥면 외에, 페이스부 (1) 의 토측으로부터 헤드의 백측을 통과하여 페이스부 (1) 의 힐측으로 연장되는 부위도 솔부 (3) 의 일부이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부 (3) 의 백측에는, 웨이트 부재 (도시 생략) 가 장착되기 위한 고정공 (38)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공 (38) 의 내벽면에는, 웨이트 부재에 장착된 수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호젤부 (4) 는, 크라운부 (2) 의 힐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부위로서, 골프 클럽의 샤프트 (도시 생략) 가 삽입되는 삽입공 (41) 을 갖고, 헤드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통상 (筒狀) 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공 (41) 의 중심 축선 (Z) 은, 샤프트의 축선에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골프 클럽 헤드 (10) 를 지면에 설치할 때의 기준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축선 (Z) 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 (P1) 에 포함되고, 또한 소정의 라이각 및 리얼 로프트각으로 지면 상에 헤드가 재치 (載置) 된 상태를 기준 상태로 규정한다. 그리고, 상기 평면 (P1) 을 기준 수직면이라고 칭한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수직면 (P1) 과 지면의 교선의 방향을 토-힐 방향이라고 칭하고, 이 토-힐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페이스-백 방향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 토-힐 방향 및 페이스-백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이스부 (1) 와 크라운부 (2), 및 페이스부 (1) 와 솔부 (3) 의 경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양자 간에 능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이 경계가 된다. 한편, 명확한 능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 무게 중심 (G) 과 스위트 스폿 (SS) 을 연결하는 직선 (N) 을 포함하는 각 단면 (E1, E2, E3 …) 에 있어서, 도 4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페이스 외면 윤곽선 (Lf) 의 곡률 반경 (r) 이 스위트 스폿측에서 페이스 외측을 향하여 처음으로 200 ㎜ 가 되는 위치 (Pe) 가 페이스부 (1) 의 둘레 가장자리가 되고, 이것이 크라운부 (2) 또는 솔부 (3) 와의 경계로서 정의된다. 또한, 스위트 스폿 (SS) 이란, 헤드 무게 중심 (G) 을 통과하는 페이스면의 법선 (직선 (N)) 과 이 페이스면의 교점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라운부 (2) 와 솔부 (3) 의 경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크라운부 (2) 와 솔부 (3) 사이에 능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이 경계가 된다. 한편, 이것들 사이에 명확한 능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헤드를 기준 상태로 설치하고, 이것을 헤드 (10) 의 무게 중심의 바로 위에서 봤을 때의 윤곽이 경계가 된다.
헤드 (10) 는, 예를 들어, 비중이 거의 4.3 ∼ 4.5 정도의 티탄 합금 (Ti-6Al-4V, Ti-8Al-1Mo-1V 등) 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티탄 합금 이외에도,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머레이징강,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또는 아모르퍼스 합금 등 중에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골프 클럽 헤드 (10) 의 체적은, 예를 들어, 90 ㎤ 이상, 470 ㎤ 이하가 바람직하다.
<2. 솔부의 내면의 구조>
다음으로, 솔부 (3) 의 내면의 구조에 대해, 도 5 ∼ 도 7 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 는 솔부를 내부 공간측에서 본 평면도, 도 6 은 헤드의 일부를 잘라내어, 헤드의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도 6 과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부 (3) 의 내면에는, 사각형상의 박육부 (옅은 그레이로 착색된 부분) (31) 와, 이 박육부 (31) 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후육부 (32) (짙은 그레이로 착색된 부분)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후육부의 백측에는, 고정공 (38) 을 포함하는 후부 (後部) 영역 (33) 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박육부 (31) 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박육부 (31) 에 있어서, 페이스측의 외측 가장자리, 토측의 외측 가장자리, 백측의 외측 가장자리, 및 힐측의 외측 가장자리를, 각각 제 1 가장자리부 (311), 제 2 가장자리부 (312), 제 3 가장자리부 (313), 및 제 4 가장자리부 (314) 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제 1 가장자리부 (311) 는, 페이스부 (1) 로부터 약간 떨어져, 페이스부 (1) 와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 2 가장자리부 (312) 는, 솔부 (3) 의 토측의 가장자리부에 근접하고, 이 가장자리부를 따라 원호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가장자리부 (313) 는, 도중에 굴곡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힐측의 단부 (端部) 는, 제 1 가장자리부 (311) 의 힐측의 단부보다 더욱 힐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 4 가장자리부 (314) 는, 페이스-백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페이스측으로 감에 따라, 토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4 가장자리부 (314) 가 토-힐 방향의 센터보다 약간 힐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박육부는, 토-힐 방향의 센터에서 토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페이스-백 방향에 있어서, 이 박육부 (31) 는, 페이스부 (1) 의 근방으로부터, 페이스-백 방향의 센터보다 약간 백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박육부 (31) 의 두께는, 예를 들어, 0.3 ∼ 0.6 ㎜ 로 할 수 있고, 0.35 ∼ 0.45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후육부 (32) 에 대해 설명한다. 후육부 (32) 는, 박육부 (31) 의 제 3 가장자리부 (313) 보다 백측의 띠상의 제 1 부위 (321) 와, 제 4 가장자리부 (314) 보다 백측의 제 2 부위 (322) 를 갖고 있고, 박육부 (31) 의 백측 및 힐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육부 (32) 의 두께는, 박육부 (31) 보다 두껍고, 예를 들어, 0.5 ∼ 1.5 ㎜ 로 할 수 있고, 0.6 ∼ 1.2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부 영역 (33) 은, 후육부 (32) 의 제 1 부위 (321) 의 백측에 배치되어 있고, 솔부 (3) 의 백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부 영역 (33) 에는, 후육부 (32) 와 동등하거나, 혹은 그것보다 크게 형성된 부위가 혼재하고 있다.
또, 솔부 (3) 에는, 3 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즉,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 (大) 리브 (51) 와, 페이스-백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소 (小) 리브 (52) 및 제 2 소리브 (53) 가 형성되어 있다.
대리브 (51) 는, 페이스부 (1) 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힐측으로 감에 따라, 백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대리브 (51) 의 토측의 단부는, 솔부 (3) 의 토측의 가장자리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고, 대리브 (51) 의 힐측의 단부는, 솔부 (3) 의 힐측의 가장자리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소리브 (52) 는, 솔부 (3) 의 토측이고 또한 페이스부 (1) 의 근방으로부터, 대리브 (51) 를 교차하여, 솔부 (3) 의 힐측이고 또한 백측의 단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제 1 소리브 (52) 는, 토측으로 감에 따라 페이스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제 2 소리브 (53) 는, 솔부 (3) 의 힐측이고 또한 페이스부 (1) 의 근방으로부터, 대리브 (51) 및 제 1 소리브 (52) 와 교차하여, 솔부 (3) 의 토측이고 또한 백측의 단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제 2 소리브 (53) 는, 토측으로 감에 따라 백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 개의 리브 (51 ∼ 53) 가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3 개의 리브 (51 ∼ 53) 가 교차함으로써 삼각형상의 영역 (50)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대리브 (51) 와 제 1 소리브 (52) 의 교점, 대리브 (51) 와 제 2 소리브 (53) 의 교점, 및 제 1 소리브 (52) 와 제 2 소리브 (53) 의 교점에 의해 삼각형상의 영역 (50)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영역 (50) 이 박육부 (31)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소리브 (52) 및 제 2 소리브 (53) 의 백측의 단부는, 후부 영역 (33) 내에 위치하고 있다.
대리브 (51) 의 솔부 (3) 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어, 3.0 ∼ 7.0 ㎜ 로 할 수 있고, 4.0 ∼ 6.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소리브 (52) 및 제 2 소리브 (53) 의 높이는, 대리브 (51) 보다 낮고, 예를 들어, 0.5 ∼ 4.0 ㎜ 로 할 수 있고, 1.0 ∼ 3.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양 소리브 (52, 53) 의 높이는, 대리브 (51) 의 높이의 10 ∼ 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리브 (51) 의 높이는, 토측 및 힐측으로 감에 따라, 낮아지고 있으며, 그 양 단부에 있어서는 솔부 (3) 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가 0 으로 되어 있다. 이 점은, 소리브 (52, 53) 도 동일하며, 양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있다.
대리브 (51) 의 폭은, 예를 들어, 0.5 ∼ 1.0 ㎜ 로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소리브 (52) 및 제 2 소리브 (53) 의 폭도, 예를 들어, 0.5 ∼ 1.0 ㎜ 로 할 수 있다.
또, 대리브 (51) 는, 후술하는 타구음의 관점에서는, 페이스부 (1) 의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페이스부 (1) 로부터, 헤드 (10) 의 페이스-백 방향의 길이의 50 % 이내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골프 클럽 헤드의 조립 구조>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 (10) 는, 다양한 조립 구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부 (1) 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페이스 부재를 끼워 넣고, 용접에 의해 고정시킨 구조로 할 수 있다. 페이스 부재는, 예를 들어, 단조 제법이나, 평판의 프레스 가공, 주조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페이스 부재 이외의 부분은, 공지된 로스트 왁스 정밀 주조법 등의 주조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혹은, 페이스부 (1) 및 그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둘레 가장자리부를 구비한 컵상의 페이스 부재를 형성하고, 이것을 크라운부 (2) 및 솔부 (3) 의 페이스측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하는, 이른바 컵 페이스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페이스 부재는, 상기와 같이, 단조 제법이나, 평판의 프레스 가공, 주조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와 같은 정밀 주조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4. 특징>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솔부 (3) 에 박육부 (31) 를 형성하고, 그 부분의 중량을 저감시키고 있기 때문에, 저감시킨 중량을 다른 부위에 배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헤드 (10) 의 무게 중심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박육부 (31) 를 토측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토측 전방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한편으로, 힐측 후방에는, 두께가 큰 후육부 (32)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힐측 후방의 중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시에 헤드가 돌아가기 쉬워져, 슬라이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
(2) 박육부 (31) 를 통과하도록,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리브 (51)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박육부 (31) 에 의한 강성 저하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솔부 (3) 는, 일반적으로는 페이스-백 방향보다 토-힐 방향이 길기 때문에, 토-힐 방향의 쪽이 변형되기 쉽다. 이 때문에, 토-힐 방향으로 높이가 높은 대리브 (51) 를 형성함으로써, 그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솔부 (3) 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구음의 저음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리브 (52, 53) 는, 토-힐 방향을 따른 곡면보다 변형이 작은 점에서, 대리브 (51) 보다 높이를 낮게 하고 있다.
또한, 3 개의 리브 (51 ∼ 53) 가 교차함으로써 형성되는, 특히 강성이 높은 삼각형상의 영역 (50) 이 박육부 (31) 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육부 (31) 에 의한 강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또, 페이스부 (1) 에 대한 타격에 의해 헤드가 진동한다. 이 때, 비교적 저차수 및 저진동수의 진동의 배는, 솔부 (3) 의 토-힐 방향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진동의 배가 발생하는 부분을 통과하도록,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리브 (51) 를 형성하면, 대리브 (51) 는 진동을 구속하는 데에 기여하고, 1 차 고유 진동수를 높게 할 수 있다. 특히, 비교적 저차수 및 저진동수의 진동의 배는, 페이스부 (1) 근방에서, 토-힐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대리브 (51) 를 형성함으로써, 그러한 비교적 저차수 및 저진동수의 진동을 구속할 수 있고, 타구음을 고음화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와 동일 형상의 헤드에 대해, 솔부의 진동에 관련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먼저, 헤드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헤드의 삼차원 데이터를 작성하였다. 이 헤드의 솔부 (3) 의 형상은, 대체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솔부 (3) 의 박육부 (31) 의 두께는 0.45 ㎜ 로 하고, 후육부 (32) 의 두께는 0.6 ㎜ 로 하였다. 또, 헤드 체적은 460 ㏄ 로 하였다. 헤드의 재질로는 티탄 합금이 선택되고, 이 재질에 기초한 계수를 사용하여 계산을 실시하였다. 헤드 중량은 190 g 으로 되었다.
다음으로, 시판되는 프리프로세서 (HyperMesh 등) 를 사용하여, 헤드 (10) 를 유한의 요소로 메시 분할하여, 계산 모델을 얻었다. 계속해서, 시판되는 고유값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고유값 해석을 실시하여, 고유 진동수 및 모드 형상을 계산하였다. 또, 대리브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헤드에 대해서도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도 9a 및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도 9a, 도 9b 의 헤드는 솔부의 조형이 도 8 과 일부 상이하지만, 상기와 같이 본 시뮬레이션은 도 8 의 형상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도 9a 는, 본 실시형태의 헤드에 있어서, 볼을 타격하였을 때의 솔부 (3) 의 1 차 고유 진동수에서의 진폭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9b 는, 대리브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헤드에 있어서, 볼을 타격하였을 때의 솔부 (3) 의 1 차 고유 진동수에서의 진폭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 9a 및 도 9b 에 있어서는, 색이 짙은 부분이 진폭이 보다 큰 부분이다. 도 9a 에 나타내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는, 1 차 고유 진동수가 3995 ㎐ 인 진동 모드가 나타났다. 한편, 도 9b 에 나타내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는, 1 차 고유 진동수가 3401 ㎐ 인 진동 모드가 나타났다.
이것들을 비교하면, 도 9b 에 있어서는, 토-힐 방향으로 나열되는 2 개의 진동의 배가 솔부에 발생하고 있지만, 진동의 배가 발생하는 부분을 통과하도록 대리브 (51) 를 형성함으로써,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차 고유 진동이 3995 ㎐ 로 변화하고 있다. 즉, 대리브 (51) 를 형성함으로써, 1 차 고유 진동수가 상승하여, 타구음이 고음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대리브 (51) 는, 비교적 저차수 및 저진동수의 진동을 억제하여, 1 차의 고유 진동수를 보다 높게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볼의 타격시에 골퍼에게 기분 좋은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3)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소리브 (52, 53) 를 형성함으로써, 페이스-백 방향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백 방향의 변형을 억제하여, 반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소리브 (52, 53) 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교차시키고, 추가로 대리브 (51) 와도 교차시키고 있기 때문에, 교차 부분에서의 강성이 높아져, 반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형이 큰 방향으로 높이가 높은 대리브 (51) 를 형성하고, 그것보다 변형이 작은 방향으로 낮은 소리브 (52, 53) 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들을 교차시키고 있기 때문에, 솔부 (3) 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반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각 리브 (51 ∼ 53) 의 양 단부는, 변형이 적은 솔부 (3) 의 가장자리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 (51 ∼ 53) 에 의한 보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5) 백측에 두께가 큰 후부 영역 (33)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 (10) 의 무게 중심 심도를 깊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위트 스폿을 높게 할 수 있어, 볼의 타출 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5.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 이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5-1>
박육부 (31) 의 형상, 위치, 수는,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힐측, 혹은 백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박육부 (31) 를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5-2>
대리브 (51) 는,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되며, 그 위치, 형상은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리브 (51) 의 양 단부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대리브 (51) 의 높이는,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부분을 낮게 할지는,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대리브 (51) 의 높이는, 점진적으로 변화해도 되고, 단 (段) 을 형성하여 높이가 변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혹은, 대리브 (51) 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도 있다.
<5-3>
소리브 (52, 53) 는, 페이스-백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리브 (51) 와 교차하고, 또한 대리브 (51) 보다 높이가 낮으면 되며, 그 위치, 형상은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는다. 소리브 (52, 53) 의 높이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대리브 (51) 의 높이와 동일하게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소리브의 높이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소리브 (52, 53) 끼리의 교차 위치는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소리브 (52, 53) 끼리가 교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5-4>
대리브 (51) 및 소리브 (52, 53) 중 어느 것이 박육부 (31) 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모든 리브 (51 ∼ 53) 가 박육부 (31) 를 통과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대리브 (51) 및 소리브 (52, 53) 의 수는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형태 이외여도 된다. 예를 들어, 대리브를 2 개 이상, 소리브를 1 개로 할 수도 있다. 혹은, 모든 리브 (51 ∼ 53) 가 박육부 (31) 를 통과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솔부 (3) 에 박육부 (31) 를 형성하지 않고, 리브 (51 ∼ 53) 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서술한 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리브 (51) 및 소리브 (52, 53) 가 솔부 (3) 의 가장자리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양단 모두 가장자리부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각 리브 (51 ∼ 53) 의 양 단부 중 어느 것이 솔부 (3) 의 가장자리부까지 도달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5-6>
대리브와 소리브의 위치 관계는,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10a ∼ 도 10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도 10a 의 예에서는, 2 개의 소리브 (52, 53) 의 교차 위치를 대리브 (51) 보다 페이스측으로 하고 있다.
도 10b 의 예에서는, 2 개의 소리브 (52, 53) 가 교차하고 있지 않고, 대체로 평행하게 페이스-백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0c 의 예에서는, 2 개의 소리브 (52, 53) 가 대리브 (51) 보다 백측에서 교차하고, 또한 각 소리브 (52, 53) 의 페이스측의 단부가 대리브 (51) 에 접하고 있다. 도 10d 의 예에서는, 2 개의 소리브 (52, 53) 가 대리브 (51) 에 접하고 있지만, 소리브 (52, 53) 끼리가 교차하지 않고, 대리브 (51) 보다 페이스측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리브 (52, 53) 는, 대리브 (51) 와 교차하지 않고, 접하기만 해도 된다. 단, 솔부 (3) 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리브 (51) 와 소리브 (52, 53) 가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e 의 예에서는, 소리브 (52) 가 1 개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소리브 (52, 53) 가 배치되는 위치는,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으며, 또, 소리브 (52, 53) 끼리의 교차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또한, 소리브 (52, 53) 끼리가 서로 교차하는 경우에는, 그 교차의 위치도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는다.
<5-7>
솔부 (3) 의 두께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두께 분포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육부 (32) 는, 박육부 (31) 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그 형상은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후부 영역 (33) 의 형상도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같은 후부 영역 (33) 을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1 : 페이스부
2 : 크라운부
3 : 솔부
31 : 박육부
32 : 후육부
51 : 대리브 (제 1 리브)
52 : 제 1 소리브 (제 2 리브)
53 : 제 2 소리브 (제 2 리브)

Claims (9)

  1. 페이스부와,
    크라운부와,
    솔부와,
    상기 솔부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제 1 리브와,
    상기 솔부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제 2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부, 상기 크라운부, 및 상기 솔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솔부의 내벽면에 있어서,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솔부의 내벽면에 있어서, 페이스-백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리브의 상기 솔부의 내벽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솔부의 내벽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낮은, 골프 클럽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리브와 교차하고 있는, 골프 클럽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는, 각각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에는 가장 두께가 얇은 박육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 2 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박육부 상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토-힐 방향의 토측에 배치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에는, 상기 박육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당해 박육부보다 두께가 큰 후육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후육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상기 제 2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2 개의 제 2 리브가, 상기 솔부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8. 제 7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제 1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1 개의 제 1 리브와 상기 2 개의 제 2 리브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상기 박육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페이스부와 상기 솔부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백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KR1020190163644A 2019-04-26 2019-12-10 골프 클럽 헤드 KR20200125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85939 2019-04-26
JP2019085939A JP6680388B1 (ja) 2019-04-26 2019-04-26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96A true KR20200125396A (ko) 2020-11-04

Family

ID=7016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644A KR20200125396A (ko) 2019-04-26 2019-12-10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38403A1 (ko)
JP (1) JP6680388B1 (ko)
KR (1) KR202001253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16497A1 (en) * 2020-07-15 2022-01-20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0396A (ja) 2010-06-21 2012-01-0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858A (ja) * 2002-10-17 2004-05-13 Mizuno Corp ウッド型金属製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5107074B2 (ja) * 2008-01-30 2012-12-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5936446B2 (ja) * 2012-05-31 2016-06-2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2014073158A (ja) * 2012-10-02 2014-04-24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929532B1 (ko) * 2015-08-12 2018-12-17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리브를 구비한 골프 클럽 헤드와 관련 방법
JP6690226B2 (ja) * 2015-12-22 2020-04-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0396A (ja) 2010-06-21 2012-01-0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79030A (ja) 2020-11-05
US20200338403A1 (en) 2020-10-29
JP6680388B1 (ja)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950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JP545118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576971B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077820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2081048B1 (ko) 골프 클럽 헤드
JP568104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6002136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498684B2 (en) Golf club head
JP2006149964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160947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55096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12474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892771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1072661A (ja) ゴルフクラブ
JP201300023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493333B2 (en) Golf club head
JP535978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200125396A (ko) 골프 클럽 헤드
JP7206606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10166443B2 (en) Golf club head
JP2011072662A (ja) ゴルフクラブ
JP201622116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21502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110327B2 (en) Golf club head
JP735476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