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960A - 루프 랙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루프 랙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960A
KR20200123960A KR1020190047176A KR20190047176A KR20200123960A KR 20200123960 A KR20200123960 A KR 20200123960A KR 1020190047176 A KR1020190047176 A KR 1020190047176A KR 20190047176 A KR20190047176 A KR 20190047176A KR 20200123960 A KR20200123960 A KR 2020012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roof rack
rib
hol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627B1 (ko
Inventor
박상현
이만수
권주현
강용한
이승열
이욱희
정용우
조언연
황용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2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714 priority patent/WO2020218756A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 제1측판, 제1홀을 갖는 제2측판, 두 측판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홀을 갖는 리브를 구비하는 루프 랙; 리브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제3홀 및 너트를 구비하는 클립; 차량 상부에 설치되고 제4홀을 구비하는 고리 구조물; 클립이 루프 랙에 끼워지고 고리 구조물이 루프 랙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정렬된 제1홀 내지 제4홀을 통해 삽입되어 너트에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루프 랙 마운팅 구조{Roof rack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루프 랙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루프 랙의 A/S 커버(캡) 삭제를 위한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루프 랙(roof rack)은 차량 상부에 짐을 적재하기 위한 기능성 부품으로서, 차량의 지붕 상면인 루프 패널(roof panel)에 고정되고, 캠핑 장비 및 스키와 같은 레저 장비 등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이 루프 랙에 적재된다. 요즘에는 레저용 차량(SUV: Sport Utility Vehicle, RV: Recreational Vehicle)의 대중화 및 캠핑 등의 레저 여행의 붐과 함께 루프 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차량용 루프 랙은 마운팅 볼트(mounting bolt) 등을 통해 루프 랙의 레일부를 차량의 루프 패널에 직접 고정하였는데, 마운팅 볼트가 레일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운팅 볼트 설치 영역에 캡(cap)을 장착하여 마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캡은 루프 랙의 외관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루프 랙은 차체 마운팅 후, 외관 노출부(루프 랙 상단)에 장착되는 캡으로 인해, ① 외관 고급감 저하가 발생하고, 실내 마운팅 방식 사용 시, ② 라인 조립성 저하, ③ 리페어, ④ A/S 어려움 등의 품질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출 타입 플라스틱 루프 랙 부품과 연계하여 새로운 마운팅 구조를 설정함으로써 자유도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판, 제1측판, 제1홀을 갖는 제2측판, 두 측판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홀을 갖는 리브를 구비하는 루프 랙; 리브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제3홀 및 너트를 구비하는 클립; 차량 상부에 설치되고 제4홀을 구비하는 고리 구조물; 클립이 루프 랙에 끼워지고 고리 구조물이 루프 랙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정렬된 제1홀 내지 제4홀을 통해 삽입되어 너트에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루프 랙은 제1리브 및 제2리브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립은 2개의 수직판, 두 수직판을 연결하는 이음부, 두 수직판 사이에 개방된 입구를 구비하여 리브에 끼워지는 클립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립의 입구의 폭은 클립의 두 수직판이 벌어지면서 리브에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의 두께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립은 이음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뚫린 노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립은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클립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립은 인접하는 두 클립 단위체를 연결하는 연결판, 리브와 측판 사이에 끼워지는 클립 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립은 제1리브에 끼워지는 제1클립 및 제2리브에 끼워지는 제2클립을 포함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실외 마운팅 컨셉을 유지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신규 컨셉의 마운팅 구조 적용으로 마운팅부 후-장착 캡을 삭제할 수 있고, 외관 비노출부에 마운팅 해제 홀을 추가하여 외관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외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내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외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내측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외측 결합 사시도, 도 2는 클립 사시도, 도 3은 내측 결합 사시도, 도 4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크게 구분하여 루프 랙(10), 클립(20), 고리 구조물(30), 볼트(40)를 구비할 수 있다.
루프 랙(1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아미드(나일론 등) 수지에 유리섬유 및/또는 미네랄이 강화된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루프 랙(10)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레일 형태의 긴 구조물일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루프 랙(10)의 길이는 예를 들어 1 내지 7 m, 높이와 폭은 예를 들어 30 내지 50 cm일 수 있다.
루프 랙(10)은 상판(11), 제1측판(12), 제2측판(13), 제1리브(15), 제2리브(16)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은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11)은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판(11)은 차량 루프에 설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고, 또한 경사 없이 수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측판(12)은 차량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판(11)의 외측 말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측판(12)은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1측판(12)은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두께가 하부보다 더 두꺼울 수 있고, 두꺼운 상부에서는 대략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면서 한 지점에서 최대 두께를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측판(13)은 차량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판(11)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측판(13)은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2측판(13)은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두께가 하부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제2측판(13)은 볼트(40)를 수용하기 위한 제1홀(hole)(14)을 가질 수 있다. 제1홀(14)이 제2측판(13)에 형성된 이유는 차량 내측에 배치되어 외측에서 볼 때 볼트(40)가 노출되지 않거나 적어도 잘 보이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제1홀(14)이 외측에 배치된 제1측판(12)에 형성될 경우, 볼트(40)가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이 저하될 수 있다. 제1홀(14)은 볼트(40)의 볼트 머리(41) 및 나사부(4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볼트(40)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리브(rib)(15, 16)는 루프 랙(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루프 랙(1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브(15, 16)는 상판(1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리브(15, 16)는 두 측판(12, 13)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 방향 리브 및/또는 폭 방향으로 두 측판(12, 13)을 연결하는 폭 방향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방향 리브의 수는 1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일 수 있다. 폭 방향 리브의 수는 2 내지 10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개일 수 있다. 루프 랙(10)은 제1리브(15) 및 제2리브(16)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를 구비할 수 있고, 제1리브(15) 및 제2리브(16)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리브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2개의 길이 방향 리브 및 3개 이상의 폭 방향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 방향 리브(15, 16)끼리 그리고 길이 방향 리브(15, 16)와 측판(12, 13)끼리는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리브(15, 16)는 볼트(40)를 수용하기 위한 제2홀(17)을 가질 수 있다. 제2홀(17)은 볼트(40)의 나사부(4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사부(42)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홀(17)은 제1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리브(15, 16)에 형성될 수 있다.
클립(clip)(20)은 고리 구조물(30) 및 볼트(40)와 조합하여 루프 랙(10)을 차량 루프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루프 랙(10)의 리브(15, 16)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3홀(21), 너트(22), 제1수직판(23), 제2수직판(24), 이음부(25), 입구(26), 노치(27), 연결판(28), 클립 말단부(29a, 29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클립(20)은 루프 랙(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 리브(15, 16) 및 측판(12, 13)과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제3홀(21)은 볼트(4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40)의 나사부(4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사부(42)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3홀(21)은 제1홀(14) 및 제2홀(1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클립(20)의 제1 및 제2수직판(23, 24)을 포함하여 모든 수직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클립 말단부(29a, 29b)에도 형성될 수 있다.
너트(22)는 루프 백(10)의 제1측판(12)과 인접하고 제2측판(13)과는 멀리 떨어진 클립(2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판(23)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홀(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너트(22)는 용접을 통해 클립(20)에 부착되는 용접 너트(weld nut)일 수 있고, 내부에 나사부를 구비하여 볼트(40)의 나사부(42)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은 이음부(25)로 연결되어 입구(26)를 갖는 클립 단위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클립(20)은 2개의 수직판(23, 24), 두 수직판(23, 24)을 연결하는 이음부(25), 두 수직판(23, 24) 사이에 개방된 입구(26)를 구비하여 리브(15, 16)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단위체는 리브(15, 16)를 감싸도록 리브(15, 16)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은 대략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은 마주보고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 사이의 간격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동일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이음부(25)로부터 입구(26) 쪽으로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수직판(23, 24)은 연결판(28) 및 클립 말단부(29a, 29b)와의 연결부에서 각각 곡면 처리될 수 있고, 즉 입구(26)의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립(20)이 리브(15, 16)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음부(25)는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태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입구(26)는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 사이에 개방된 말단부로서, 이음부(25)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클립(20)은 개방된 입구(26)를 가지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게 되고, 이음부(25)를 축으로 하여 입구(26) 영역에서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의 말단부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입구(26)가 벌어질 수 있다. 입구(26)의 폭은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이 벌어지면서 리브(15, 16)에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15, 16)의 두께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루프 백(10)과 클립(20)의 결합 후에 제1수직판(23) 및 제2수직판(24)이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리브(15, 16)를 가압하여 클립(20)을 리브(15, 16)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폭이 좁은 입구(26)를 벌려 클립(20)을 리브(15, 16)에 끼우면, 두 수직판(23, 24)이 리브(15, 16)에 맞물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노치(notch)(27)는 이음부(25)의 일부가 절단되어 뚫린 일종의 구멍으로서, 클립 제작 시에 평판을 구부려서 클립 단위체를 형성할 때 구부리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구부리는 가공 전에 수직판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치(27)는 클립(20)의 경량화에도 유리할 수 있다. 노치(27)는 이음부(25)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23, 24)의 상단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노치(27)의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에 원형의 구멍을 뚫고 이 원형 구멍을 기준으로 구부리면, 이음부(25)가 형성됨과 동시에, 도 2에 예시된 노치(2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립(20)은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클립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2개의 클립 단위체가 형성되어 있는데, 클립 단위체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5개일 수 있다. 클립(20)은 구부림 가공을 통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는 길게 수평방향으로는 짧게 주름진 파형(corrugat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평판이 상하 교대로 짧게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립(20)은 인접하는 두 클립 단위체를 연결하는 연결판(28), 리브(15, 16)와 측판(12, 13) 사이에 끼워지는 클립 말단부(29a, 29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28)은 연결된 수직판(23, 24)과 함께 리브(15, 16)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서, 클립(20)을 리브(15, 16)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클립 말단부(29a)는 연결된 수직판(23)과 함께 제1측판(12)과 제1리브(15)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고, 제2클립 말단부(29b)는 연결된 수직판(24)과 함께 제2측판(13)과 제2리브(16)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서, 클립(20)을 리브(15, 16)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수직판(23, 24)과 연결판(28) 및 클립 말단부(29a, 29b)가 조합되어 리브(15, 16)를 잡아주면서 지지함에 따라, 리브(15, 16)의 휨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클립 말단부(29a)는 너트(2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수평판 및 이와 연결된 짧은 수직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클립 말단부(29b)는 수평판 및 이와 연결된 긴 수직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클립 말단부(29a, 29b)의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긴 수직판을 갖는 제2클립 말단부(29b)에도 제3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리 구조물(30)은 루프 랙(10)과의 체결을 위해 차량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리 구조물(30)의 횡단면(수평방향)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고, 상단부는 원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과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고리 구조물(30)은 루프 랙(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 리브(15, 16) 및 클립(20)과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고리 구조물(30)은 차량 루프 상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차체에 설치된 인서트 너트와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이 경우 고리 구조물(30) 하단에 볼트나 나사가 직접 장착되거나, 평판 형태의 하부 구조물이나 별도의 브라켓 등을 통해 볼트나 나사를 설치하여 차체의 인서트 너트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클립(20)과 고리 구조물(30) 및 볼트(4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절단된 종단면도이므로, 도 4에는 고리 구조물(30)의 상부만이 도시되어 있고, 제4홀(31)에 해당하는 하부는 보이지 않는다.
제4홀(31)은 볼트(40)를 수용하기 위해 고리 구조물(30)에 형성된 것으로, 제1홀(14)과 제2홀(17) 및 제3홀(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고리 구조물(30)의 폭 방향으로 볼트(40)의 나사부(4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고리 구조물(30)의 폭 방향으로 나사부(42)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4홀(31)은 수직방향(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루프 랙(10)의 장착 후에 루프 랙(1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기 위해, 제4홀(31)의 상단부, 즉 고리 구조물(30)의 상부 내주면이 볼트(40)와 맞닿아서 볼트(40)가 걸리도록, 제4홀(31)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40)는 루프 랙(10)과 클립(20) 및 고리 구조물(30)을 루프 랙(10)의 폭 방향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클립(20)이 루프 랙(10)에 끼워지고 고리 구조물(30)이 루프 랙(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정렬된 제1홀(14) 내지 제4홀(31)을 통해 삽입되어 너트(22)에 결합할 수 있다. 볼트(40)는 볼트 머리(41) 및 나사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볼트 머리(41)는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제1홀(14)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트 머리(41)의 상면이 제2측판(13)으로부터 적어도 돌출되지 않도록, 제2측판(13)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거나, 제1홀(14)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부(42)는 너트(22)와 결합하는 말단 부위에만 나사산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전체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용접 너트(22)가 부착된 스틸 클립(20)을 루프 랙(10)에 끼우고 차체의 루프에 안착 시킨 후, 차체에서 고리 형태의 구조물(30)이 올라오면, 루프 랙(10) 내측 측면에서 접시 모양의 볼트(40)를 조립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1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외관에 볼트(40)가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루프 랙(10) 내측 측면에서 공구(tool)가 들어감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으나, 기존 실외 마운팅 컨셉을 유지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신규 컨셉의 마운팅 구조 적용으로 마운팅부 후-장착 캡을 삭제할 수 있고, 외관 비노출부에 마운팅 해제 홀을 추가하여 외관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한번 고정시키면 고정이 안정되고, 특수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외측 결합 사시도, 도 6은 내측 결합 사시도, 도 7은 클립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크게 구분하여 루프 랙(10), 클립(20), 고리 구조물(30), 볼트(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의 차이점은 클립(20)을 복수의 피스(20a, 20b)로 분할한 것이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부분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20)은 제1리브(15)에 끼워지는 제1클립(20a) 및 제2리브(16)에 끼워지는 제2클립(20b)을 포함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클립(20)의 개수는 예를 들어 2 내지 5개일 수 있다. 각 클립(20a, 20b)은 독립적인 부품이므로, 제1실시형태와 같은 연결판(28) 및 클립 말단부(29a, 29b)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너트(22)는 용접되지 않고 한쪽 클립(20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23, 24) 중 적어도 한쪽의 입구(26) 쪽 말단부는 곡면 처리될 수 있고, 즉 입구(26)의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립(20a, 20b)이 리브(15, 16)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루프 랙 마운팅 구조는 제1실시형태 대비 공수가 1공수 추가되고, 볼트(40) 쪼임 시 루프 랙(10)의 내측 리브(15, 16)에 휨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제1실시형태 대비 클립 구조를 1-피스에서 2-피스로 분할하여 형상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공용품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루프 랙은 차량의 상단에 짐을 싣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능 부품으로, 하기와 같은 하중 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시험 방법은 루프 랙 적재 하중 관련이다.
구분 평가 방법 하중 부하 비고
국내 기준
(수하물:
100 kg)
미끄럼
저항
종축
(전방)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400 kgf
(3,920 N)
주행
(급 정거/
회전)
경사
(좌/우
전방)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400 kgf
(3,920 N)
양력
저항
전방
(수직
상방)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350 kgf
(3,430 N)
수화물
양력
(고속
주행)
후방
(수직
상방)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175 kgf
(1,715 N)
10: 루프 랙
11: 상판
12: 제1측판
13: 제2측판
14: 제1홀
15: 제1리브
16: 제2리브
17: 제2홀
20: 클립
21: 제3홀
22: 너트
23: 제1수직판
24: 제2수직판
25: 이음부
26: 입구
27: 노치
28: 연결판
29a, 29b: 클립 말단부
30: 고리 구조물
31: 제4홀
40: 볼트
41: 볼트 머리
42: 나사부

Claims (8)

  1. 상판, 제1측판, 제1홀을 갖는 제2측판, 두 측판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홀을 갖는 리브를 구비하는 루프 랙;
    리브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제3홀 및 너트를 구비하는 클립;
    차량 상부에 설치되고 제4홀을 구비하는 고리 구조물;
    클립이 루프 랙에 끼워지고 고리 구조물이 루프 랙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정렬된 제1홀 내지 제4홀을 통해 삽입되어 너트에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루프 랙은 제1리브 및 제2리브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를 구비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립은 2개의 수직판, 두 수직판을 연결하는 이음부, 두 수직판 사이에 개방된 입구를 구비하여 리브에 끼워지는 클립 단위체를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클립의 입구의 폭은 클립의 두 수직판이 벌어지면서 리브에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의 두께보다 작거나 동일한 루프 랙 마운팅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클립은 이음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뚫린 노치를 구비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클립은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클립 단위체를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클립은 인접하는 두 클립 단위체를 연결하는 연결판, 리브와 측판 사이에 끼워지는 클립 말단부를 포함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클립은 제1리브에 끼워지는 제1클립 및 제2리브에 끼워지는 제2클립을 포함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는 루프 랙 마운팅 구조.
KR1020190047176A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KR10245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76A KR102450627B1 (ko)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PCT/KR2020/004714 WO2020218756A1 (ko) 2019-04-23 2020-04-08 루프 랙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76A KR102450627B1 (ko)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60A true KR20200123960A (ko) 2020-11-02
KR102450627B1 KR102450627B1 (ko) 2022-10-05

Family

ID=7294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176A KR102450627B1 (ko) 2019-04-23 2019-04-23 루프 랙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627B1 (ko)
WO (1) WO2020218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8109A1 (de) 2019-09-27 2021-04-01 Wkw Engineering Gmbh Lösbare befestigungsanordnung einer dachreling am dach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75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KR19980036679U (ko) * 1996-12-16 1998-09-15 김영귀 에어 댐의 취부구조
KR100668898B1 (ko) * 2005-12-13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장착장치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6434B1 (fr) * 1997-07-28 1999-10-08 Scambia Ind Dev Ag Porte-charg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e galerie fixe de toit
KR20150004987A (ko) * 2013-07-03 2015-01-14 (주)아이원 차량용 일체형 루프렉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79956B1 (ko) * 2017-04-10 2020-02-21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74726B1 (ko) * 2017-07-17 2019-05-02 최방식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75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KR19980036679U (ko) * 1996-12-16 1998-09-15 김영귀 에어 댐의 취부구조
KR100668898B1 (ko) * 2005-12-13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장착장치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27B1 (ko) 2022-10-05
WO2020218756A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467B2 (en) Structure of rear portion of car body
US11648882B2 (en) Vehicle roof rack
US4428517A (en) Vehicle luggage rack
US20030085586A1 (en) Sectional removably attachable top
US20120126561A1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8414046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10549782B2 (en) Frame-to-bed assembly
KR200488059Y1 (ko) 자동차용 루프박스 고정 구조체
KR20200123960A (ko) 루프 랙 마운팅 구조
KR20190037453A (ko) 차량용 루프랙
CN101456352A (zh) 用于将散热器安装到前端模块支架上的结构
CN109204350B (zh) 门立柱罩及轨道车辆
US8449022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KR102450628B1 (ko) 루프 랙 마운팅 구조
US7014400B1 (en) Cargo area rail system for tonneau cover and/or another accessory
US11433841B2 (en) Truck bracket assembly
CN216231998U (zh) 一种车顶行李框
KR102450619B1 (ko) 루프 랙 마운팅 구조
CN209426870U (zh) 汽车塑料部件的固定组件及具有该固定组件的车辆
KR20210133548A (ko) 밀착형 자동차 루프 박스
US20190381959A1 (en) Rack of Unitary One-Piece Construction
CN220615676U (zh) 用于固定车顶行李架的锁紧装置
CN220662717U (zh) 一种电动车尾箱和电动车
CN210554105U (zh) 一种汽车天窗用高强度座架组件
CN211308574U (zh) 一种轨道车辆用座椅骨架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