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56B1 -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56B1
KR102079956B1 KR1020170045967A KR20170045967A KR102079956B1 KR 102079956 B1 KR102079956 B1 KR 102079956B1 KR 1020170045967 A KR1020170045967 A KR 1020170045967A KR 20170045967 A KR20170045967 A KR 20170045967A KR 102079956 B1 KR102079956 B1 KR 10207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oof rail
vehicle
fastening memb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350A (ko
Inventor
정용우
권주현
강용한
이욱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4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5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출 성형되는 루프 레일부 및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팅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 레일부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상단부 단면 내측에 설정 크기로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랙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ROOF RACK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부품의 연비 개선 및 경량화 요구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량화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면서, 외관품질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화물을 실을 경우 트렁크를 이용하나, 레저 및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제한된 트렁크 공간에 적재하기 어려운 크기의 화물의 경우 차량의 루프에 마련된 화물 고정용 랙 장치(이를 '루프랙'이라 함)를 이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랙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루프랙(10)은 차량(1)에 장착되는 편의부품 중 하나로서, 차량(1)의 루프(또는 루프패널)(3)에 설치된다.
특히, 스키, 보드 등의 레저장비와 같이 트렁크에 수납하기 어려운 각종 화물을 루프랙(10)에 고정시켜 운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SUV(Sport Utility Vehicle)의 대중화와 함께 루프랙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랙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루프랙(10)은 루프 레일부(11, 21)와, 루프 레일부(11, 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루프(3, 도 1 참조)에 밀착되는 패드부(13)와, 루프 레일부(11, 21)를 체결 고정하는 마운팅 체결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한편, 종래의 루프 레일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를 압출하여 홀 가공 한 후 마운팅 체결부재(15)를 루프 레일부(11)에 체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경우, 아무리 경량의 금속소재를 이용한다 하여도 소재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무게 경량화를 실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도 4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루프 레일부(21)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라스틱 소재를 도 4의 단면 형상을 갖는 루프 레일부(21)로 사출 성형하는데, 이때, 마운팅 체결부재(15)를 루프 레일부(21)에 인서트 사출하여 루프랙을 제작하였다.
이 경우, 두꺼운 사출물인 루프 레일부(21)가 마운팅 체결부재(15)를 감싸는 구조로서 구조적으로 필요한 강성 확보가 가능하며, 종래의 금속소재에 비해 경량화된 소재(예: 플라스틱 등)를 이용하기에 차량의 경량화 및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사출공법을 적용하므로, 기존의 알루미늄 압출 시에 비해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으며 간단한 조립 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플라스틱 사출 방식에 따르면 외관 품질에 문제가 유발될 수 있었다. 플라스틱 사출 제품은 외관품질 확보가 관건인데, 마운팅 체결부재(15)를 감싸고 있는 루프 레일부(21)의 두께가 과다하여 제품 표면의 수축을 고르지 못하게 하는 점에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레일부(21)의 단면을 통해 두께 과다 영역(21a)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밖의 영역과 대비하여 수축이 고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플라스틱 사출 제품은 성형 후 고온에서 식는 과정 중 일정비율로 수축되는데, 도 5의 두께 과다 영역(21a)과 같이 두께에 편차가 존재하면 수축 정도에 차이가 나타난다. 이는 결과적으로 외관 불량(예: 표면 굴곡 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7320호(2010.05.03)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부품의 연비 개선 및 경량화 요구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량화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면서, 플라스틱 사출 제품의 적용 시 발생 가능한 외관 불량을 방지하여 품질을 개선한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차량용 루프랙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출 성형되는 루프 레일부; 및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팅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 레일부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상단부 단면 내측에 설정 크기로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부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상단부 단면을 통해 두께를 고르게 형성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상단부 단면을 통해 사각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부는, 상기 중공부를 나누어 다수의 분할 공간을 마련하는 리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보강부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보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보강부 각각의 중앙에서 상기 다수 개의 보강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리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마운팅 체결부재가 설정 깊이로 삽입 가능하게 하향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체결부재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체결부재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돌출부; 및 상기 나사돌출부의 상부에서 단면적이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루프 레일부의 사출 시 상기 루프 레일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프 레일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차량용 루프랙;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차량용 루프랙에 의하면, 자동차 부품의 연비 개선 및 경량화 요구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량화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면서, 플라스틱 사출 제품의 적용 시 발생 가능한 외관 불량을 방지하여 부품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차량용 루프랙을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제작하는 경우, 마운팅 체결부재를 감싸고 있는 루프 레일부의 두께가 과다하여 제품 표면의 수축을 고르지 못하여,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중공 마운팅 구조를 통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공 마운팅 구조로 인해 저하된 구조 강성을 리브 형태의 보강 구조를 통해 보완하여, 부품 경량화 및 구조적인 강성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랙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랙의 세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루프 레일부 및 마운팅 체결부재와의 결합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 방식 루프 레일부 및 마운팅 체결부재와의 결합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라스틱 사출 방식 루프 레일부의 단면을 통해 두께 과다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의 배면 형상을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의 종 방향 단면 형상을 부분 확대하여 중공부와 보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를 사출 성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루프랙은 차량에 장착되는 편의부품 중 하나로서, 차량의 루프(또는 루프패널)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키, 보드 등의 레저장비와 같이 트렁크에 수납하기 어려운 각종 화물을 루프랙을 통해 차량의 루프에 고정시켜 운반할 수 있다. 특히 SUV(Sport Utility Vehicle)의 대중화와 함께 루프랙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루프랙(100)은 루프 레일부(110)와 마운팅 체결부재(150)를 포함한다.
루프 레일부(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레일부(110)는 크게 상단부(111)와 하단부(112)로 구분할 수 있는데, 루프 레일부(110)의 상단부(111)의 단면 내측에는 중공부(113)와 보강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루프 레일부(110)의 하단부(113)에는 마운팅 체결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루프 레일부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를 압출하여 성형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아무리 경량의 금속소재를 이용한다 하여도 무게 경량화를 실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루프 레일부의 무게 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한 루프 레일부(21, 도 4 참조)가 소개되었는데, 두꺼운 사출물인 루프 레일부(21, 도 4 참조)가 마운팅 체결부재(15, 도 4 참조)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루프 레일부(21)의 두께 과다로 인한 제품 표면 결함이 초래되었다. 즉, 플라스틱 사출 제품은 성형 후 고온에서 식는 과정 중 일정비율로 수축되는데, 종래의 루프 레일부(21, 도 4 참조)의 경우 두께 과다 영역(21a, 도 5 참조)이 존재하여 두께 편차에 따라 수축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외관 불량(예: 표면 굴곡 등)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출 제품의 두께 편차에 따른 수축 차이로 인한 표면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가 과다한 루프 레일부(110)의 단면 내측으로 중공부(113)를 형성하여 제품 두께를 고르게 구성하였다.
중공부(113)는 루프 레일부(110)의 상단부(111) 단면 내측에 설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중공부(113)는 루프 레일부(110)의 상단부(111) 단면을 통해 두께가 고르게 나타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단면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한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제품 두께가 고르게 형성될 경우 사출 후 고온에서 식는 과정 중에 두께 편차에 따른 수축 정도의 차이가 줄어들어 플라스틱 사출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도 표면 결함을 방지하여 외관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보강부(115)는 중공부(113)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루프 레일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1)의 단면 내측을 통해 빈 공간, 즉 중공부(113)가 형성됨에 따라 제품 두께를 고르게 해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중공부(113)가 형성되는 경우, 루프 레일부(110)의 구조 강성이 저하될 수 있는데, 필요한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중공부(113)를 보강하는 보강부(115)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보강부(115)는 중공부(113)를 다수의 분할 공간으로 나누어 다수의 리브 형태의 구조물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공부(113)는 루프 레일부(110)의 상단부(111) 단면을 통해 두께를 고르게 형성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일 측으로 기울어진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115)는 이와 같이 형성된 중공부(113)를 수평 방향으로 나누어 다수 개(예: 4개 등)의 분할 공간이 마련되도록 다수 개(예: 3개 등)의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중공부(113)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일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보강부(115)는 중공부(113)로 인한 구조적인 취약성을 보강하여 경량이면서도 목표하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루프 레일부(110)를 제공할 수 있다.
마운팅 체결부재(150)는 루프 레일부(110)의 하단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루프 레일부(110)의 하단부(112)는 중공부(113)로부터 간격을 두고 마운팅 체결부재(150)의 상단부가 삽입 가능한 깊이로 하향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마운팅 체결부재(150)는 루프 레일부(110)의 사출 성형 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마운팅 체결부재(150)는 볼트 형태의 부재로서, 그 재질은 기계구조용 탄소강(예: SM25C 등) 등이 이용 가능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마운팅 체결부재(150)는 루프 레일부(110)의 하단부(112)를 통해 돌출되며, 루프랙의 장착 시 체결너트 등으로 차량 루프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나사돌출부(151)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운팅 체결부재(150)는 나사돌출부(151)가 돌출된 형상으로 루프 레일부(110)에 인서트 사출되기 위하여 루프 레일부(110)의 하단부(112)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삽입고정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고정부(155)는 나사돌출부(151)에 비해 단면적이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의 형성 위치 및 형상은 조금씩 변경 가능하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수 개의 보강부(113)의 중심에서 이들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116, 도 9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16, 도 9 참조)는 다수 개의 보강부(113)(즉, 종 방향 리브) 각각의 중앙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횡 방향 리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의 배면 형상을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루프 레일부(110)의 배면 형상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모습으로서, 이와 같은 형상은 사출 성형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루프 레일부(110)의 하단부(112)의 저면 중앙을 통해 마운팅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홈(112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의 종 방향 단면 형상을 부분 확대하여 중공부와 보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루프 레일부(110)는 중공부(113)와 보강부(115)가 형성된 상단 몸체, 즉 상단부(111)와, 마운팅 체결부재(미도시)가 인서트 사출되는 하단 몸체, 즉 하단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중공부(113)에 의해 루프 레일부(110)의 두께가 고르게 형성됨에 따라 사출 후 고온에서 식는 과정에 수축 정도가 일정하여 수축 차이로 인한 표면 결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중공부(113)를 통해 보강부(115)가 구비되어 루프 레일부(110)의 구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루프 레일부(110)의 상단부(111) 단면 내측에는 두께를 고르게 하기 위한 중공부(113)가 마련되며, 이 중공부(113)의 구조 보강을 위해 다수의 종 방향 리브 형태로 구성된 보강부(115)가 형성된다.
한편, 이들 보강부(115)의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횡 방향 리브, 즉 연결부재(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루프 레일부(110)의 하단부(112)를 통해서는 삽입 홈(112a)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을 구성하는 루프 레일부의 사출 성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루프 레일부(110)의 상단부(111)를 통해 중공부(113, 도 9 참조)를 형성하면서 다수 개의 종 방향 리브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부(115, 도 9 참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2개의 금형 슬라이드 코어(이하, '슬라이드 코어'라 함)(C1, C2, 도 11 참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2개의 슬라이드 코어(C1, C2)가 적용될 수 있는데, 루프 레일부(110)의 사출 직후 좌, 우 2개의 슬라이드 코어(C1, C2)를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켜 중공부(113, 도 9 참조)를 만들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C1, C2)의 작동 구조 상 횡 방향 리브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16)는 하나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자동차 부품의 연비 개선 및 경량화 요구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량화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면서, 플라스틱 사출 제품의 적용 시 발생 가능한 외관 불량을 방지하여 부품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차량용 루프랙을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제작하는 경우, 마운팅 체결부재를 감싸고 있는 루프 레일부의 두께가 과다하여 제품 표면의 수축을 고르지 못하여,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중공 마운팅 구조를 통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공 마운팅 구조로 인해 저하된 구조 강성을 리브 형태의 보강 구조를 통해 보완하여, 부품 경량화 및 구조적인 강성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1, C3: 슬라이드 코어
1: 차량
3: 루프
10: 종래의 차량용 루프랙
11, 21: 종래의 루프 레일부
15: 종래의 마운팅 체결부재
21a: 두께 과다 영역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
110: 루프 레일부
111: 루프 레일 몸체부
112: 몸체 하단부
112a: 삽입홈
113: 중공부
115: 보강부
116: 연결부
150: 마운팅 체결부재
151: 나사돌출부
153: 삽입고정부

Claims (11)

  1. 사출 성형되는 루프 레일부; 및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팅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 레일부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상단부 단면 내측에 설정 크기로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상단부 단면을 통해 두께가 고르게 형성되도록 단면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루프 레일부의 사출 이후 두께 편차에 따른 수축 정도의 차이를 억제하여 상기 루프 레일부의 표면 결함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부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보강부는 상기 중공부를 나누어 다수의 분할 공간을 마련하는 리브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수 개의 보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보강부 각각의 중앙에서 상기 다수 개의 보강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리브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상단부 단면을 통해 사각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루프랙.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마운팅 체결부재가 설정 깊이로 삽입 가능하게 하향 돌출된 형상을 갖는
    차량용 루프랙.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체결부재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차량용 루프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체결부재는,
    상기 루프 레일부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돌출부; 및
    상기 나사돌출부의 상부에서 단면적이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루프 레일부의 사출 시 상기 루프 레일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삽입고정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랙.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레일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루프랙.
  11. 제1항, 제3항,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루프랙;
    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045967A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7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67A KR102079956B1 (ko)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67A KR102079956B1 (ko)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50A KR20180114350A (ko) 2018-10-18
KR102079956B1 true KR102079956B1 (ko) 2020-02-21

Family

ID=6413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967A KR102079956B1 (ko)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627B1 (ko) * 2019-04-23 2022-10-05 (주)엘엑스하우시스 루프 랙 마운팅 구조
DE102020206278A1 (de) * 2019-05-27 2020-12-03 Hyundai Motor Company Dachgestell und Fahrzeug damit
KR102537790B1 (ko) * 2021-05-17 2023-06-01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루프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774Y1 (ko) * 1996-12-04 1999-06-15 신진현 자동차의 일체형 루프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58B1 (ko) * 2009-01-05 2010-08-26 (주)몰드피아 사이드바
KR101693980B1 (ko) * 2015-04-28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속섬유복합소재 루프 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774Y1 (ko) * 1996-12-04 1999-06-15 신진현 자동차의 일체형 루프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50A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956B1 (ko)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225197B2 (en) Roof rack for vehicle
US9914490B2 (en) Fram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console for connecting further components, method for producing and motor vehicle body
US20200247325A1 (en) Roof rack for vehicle
US11046253B2 (en) Storage bin for assembly on a motor vehicle body structure
US11186230B2 (en)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0037716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oof rack, and roof rack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2079954B1 (ko) 차량용 루프랙
US11186229B2 (en)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693980B1 (ko) 차량용 연속섬유복합소재 루프 랙
KR102462010B1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101822230B1 (ko) 차량용 루프랙
US10940896B2 (en) Reinforcing devices
KR102055131B1 (ko) 차량용 루프랙
KR102337937B1 (ko) 러기지 보드 및 러기지 보드의 제조방법
KR102079958B1 (ko) 루프레일 및 루프 랙
KR20210050104A (ko) 테일게이트 모듈의 이너패널 및 보강재 조립구조
KR20190088620A (ko) 차량용 루프랙
KR20200074926A (ko) 차량용 루프랙
KR102462014B1 (ko) 루프랙
KR102100680B1 (ko) 루프레일 및 루프 랙
KR101999438B1 (ko) 자전거 프레임
KR102262660B1 (ko) 루프랙
US7690907B2 (en) Multi-film junction structure
KR100225794B1 (ko) 구조 보강 범퍼 커버에서의 싱크 마크와 가스 터짐 현상 방지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