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637A -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637A
KR20200121637A KR1020190044437A KR20190044437A KR20200121637A KR 20200121637 A KR20200121637 A KR 20200121637A KR 1020190044437 A KR1020190044437 A KR 1020190044437A KR 20190044437 A KR20190044437 A KR 20190044437A KR 20200121637 A KR20200121637 A KR 2020012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ebral aneurysm
stent
coil support
aneurysm stent
clos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327B1 (ko
Inventor
강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4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327B1/ko
Priority to JP2021561706A priority patent/JP2022529452A/ja
Priority to PCT/KR2019/009857 priority patent/WO2020213791A1/ko
Priority to US17/604,162 priority patent/US20220192675A1/en
Priority to EP19925448.3A priority patent/EP3957281A4/en
Publication of KR2020012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61B17/1211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for positioning in conjunction with a s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3Stents, different from stent-grafts, adapted to cover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61F2240/004Using a positive or negative model, e.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 (10) 와, 본체부 (10) 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본체부 (10) 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 (20) 를 포함하는 뇌동맥류 스텐트 (1) 로서, 코일 지지부 (20) 는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서,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 (21)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CEREBRAL ANEURYSM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뇌동맥류 색전술용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지 혈관 부위에 형성된 뇌동맥류 속으로 삽입된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텐트를 이용하는,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용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 는 뇌혈관 벽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혈관 질환으로서, 그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과거에는 선천적으로 혈관벽이 약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주로 후천적 요인인 스트레스, 혈관염, 외상에 의한 혈관벽 손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뇌동맥류는 보통 별다른 증상이 없이 터지게 되며 뇌출혈로 발현되어 사망에 이르거나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게 되는데, 보통 40~60 대에게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출혈로 인해 뇌막이 자극을 받아 구토나 오심 또는 심각한 두통, 목이 뻣뻣한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할 경우에는 두개골 내의 압력이 높아져 의식이 저하되거나 혼수 상태에 빠지기도 하는 질환이다.
또한, 뇌동맥류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뇌혈관의 T 자 형태의 분지 혈관에 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뇌동맥류의 치료 방법은 크게 뇌동맥류 결찰술 (Cerebral aneurysm clipping) 과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Coil embolization of aneurysm) 이 알려져 있다.
먼저, 뇌동맥류 결찰술은 두개골 편을 제거하고 뇌조직 사이에 위치해 있는 뇌동맥류를 확보한 뒤 작은 클립으로 기시 부위 (origin) 를 결찰 (clipping) 하게 된다. 그러나 위치가 안 좋거나 모양이 안 좋은 경우 완전히 결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남은 부위에는 특수한 거즈로 덮어 혹시 출혈이 발생하더라도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수술을 하게 된다.
이어서,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개골 편을 제거할 필요 없이 뇌동맥류 속에 미세도관을 삽입하고 이를 통해 정상 혈관은 침범되지 않으면서 오로지 뇌동맥류만 막히도록, 예를 들면 백금과 같은 색전 물질의 코일을 뇌동맥류에 채워 넣음으로써, 혈류가 뇌동맥류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은 두개골 편을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치료법이기는 하나, 직경이 큰 크기의 뇌동맥류의 경우 코일이 뇌동맥류로부터 이탈되어 시술후 재발 가능성이 있다.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텐트를 삽입하여 코일이 뇌동맥류로부터 일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을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이라고도 하는데,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지 혈관에 2 개의 스텐트를 Y 자형으로 삽입함으로써, 코일이 뇌동맥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텐트가 코일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에서는 분지 혈관에 발생한 뇌동맥류에 대해, 2 개의 스텐트를 Y 자 형태로 오버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술과정이 복잡하여 임상의의 고난이도의 시술 기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또한 2 개의 스텐트 사용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의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2 개의 스텐트가 오버랩되어 팽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종래의 뇌동맥류 스텐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T 자형 분지 혈관에 적용가능한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는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를 포함하고, 코일 지지부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서,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뇌동맥류 스텐트가 팽창 시에, 코일 지지부는 본체부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크게 팽창하고, 코일 지지부는 뇌동맥류 내측에 배치되어 뇌동맥류에 삽입된 코일을 지지하며, 또한 뇌동맥류 스텐트가 팽창 시에, 코일 지지부의 닫힌 구조부는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을 닫고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뇌동맥류 스텐트는 닫힌 구조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성 (radiopaque) 재료의 마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닫힌 구조부는, 코일 지지부의 다른 부분의 패턴과 상이한 직선 형상으로 가공된 와이어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커는 닫힌 구조부의 선단을 묶거나 용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뇌동맥류 스텐트가 팽창 시에, 마커는 코일 지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중심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체부 및 코일 지지부는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와이어로 직조되거나,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튜브를 레이저 커팅 (laser cutting) 하여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은, a)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 및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코일 지지부의 뇌동맥류 스텐트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 c) 본체부 및 코일 지지부를 지그에 삽입하는 단계; 및 d) 지그 내에서 본체부 및 코일 지지부를 열처리하여 본체부 및 코일 지지부를 최종 형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d) 단계에서 코일 지지부는 본체부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최종 형상으로 팽창되고, 닫힌 구조부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편평하게 변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b) 단계에서, 닫힌 구조부의 선단에 불투과성 (radiopaque) 재료의 마커를 추가로 배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b) 단계에서, 닫힌 구조부를 코일 지지부의 다른 부분의 패턴과 상이한 직선 형상의 와이어 구조로 가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b) 단계에서, 마커는 닫힌 구조부의 선단을 묶거나 용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d) 단계에서, 마커는 코일 지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중심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a) 단계에서, 본체부 및 코일 지지부는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와이어로 직조되거나,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튜브를 레이저 커팅 (laser cutting) 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에서 사용하는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보다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의 시술과정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는 종래의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와 달리 관형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랩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 및 스텐트의 팽창의 장애 요소를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는 코일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의 조절이나 스텐트의 회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뇌동맥류 스텐트를 높은 효율성과 편의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뇌동맥류가 주로 발생되는 뇌혈관의 T 자형 분지 혈관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2 는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에 있어서 뇌동맥류에 코일이 채워지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 은 스텐트 보조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에 사용되는 종래의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가 뇌혈관의 T 자형 분지혈관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뇌동맥류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뇌동맥류 스텐트가 뇌혈관의 T 자형 분지혈관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뇌동맥류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뇌동맥류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할 수 있는 분리된 방식뿐만 아니라 어떤 임의의 실현 가능한 조합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들은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원에서, 이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비슷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뇌동맥류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 (10) 와, 본체부 (10) 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본체부 (10) 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 (20) 를 포함한다.
또한, 코일 지지부 (20) 는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서,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 (21) 를 포함한다.
코일 지지부 (20) 및 닫힌 구조부 (21) 로 인하여,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도 5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혈관의 T 자형 분지 혈관에 배치되었을 때, 코일이 뇌동맥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텐트의 길이방향 일단이 열려있는 상태라면, 스텐트의 중공 형상으로 인하여 코일이 뇌동맥류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텐트와 달리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코일 지지부 (20) 는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서,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 (21) 를 포함하고 있고, 도 5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혈관의 T 자형 분지 혈관에 배치되었을 때, 닫힌 구조부 (21) 가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반경방향 내측을 닫고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코일이 뇌동맥류로부터 이탈되는 공간을 막고 있기 때문에, 코일이 뇌동맥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코일 지지부 (20) 는 뇌동맥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스텐트 전달 장치에 의해 병변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스텐트 전달 장치로부터 배출될 때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본체부 (10) 는 대략 뇌동맥류의 입구에 상응하는 크기로 팽창한다. 또한, 뇌동맥류 내측에 배치되는 코일 지지부 (20) 는 스텐트 전달 장치로부터 배출될 때 도 5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 (10)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크게 팽창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코일 지지부 (20) 로 넓은 면적에서 코일을 지지함으로써, 뇌동맥류에 삽입된 코일이 뇌동맥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지금까지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에 사용되던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와 달리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 (10) 를 가지기 때문에,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가 가지는 합병증의 위험 및 스텐트의 팽창의 장애의 문제가 없다. 또한,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와 달리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의 시술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의 조절이나 스텐트의 회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와 달리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 (10) 를 가지는 대신, 본체부 (10) 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본체부 (10) 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 (20) 를 포함하고, 이 코일 지지부 (20) 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서,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 (21) 를 포함하기 때문에, 뇌동맥류로부터의 코일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뇌동맥류 스텐트를 높은 효율성과 편의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본체부 (10) 와 코일 지지부 (20)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 및 코일 지지부를 별개의 부재로 하는 것보다 높은 효율성과 편의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성 (radiopaque) 재료의 마커 (22)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커 (22) 는 백금-이리듐 (Pt-Ir) 합금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도 가능하다. 마커 (22) 방사선 불투과성으로 인하여, 스텐트를 병변 부위에 장착한 후에도 방사선 촬영 등을 통해 그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에 마커 (22) 가 배치되기 때문에, 마커 (22) 를 이용하여 닫힌 구조부 (21) 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닫힌 구조부 (21) 를 코일 지지부의 다른 부분의 패턴과 상이한 직선 형상으로 가공된 와이어 구조로 형성한다. 그리고, 마커 (22) 를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이 모이도록 마커 (22) 로 선단을 묶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구조부 (21) 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을 확실히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을 모은 후에, 마커 (22) 를 이용하여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을 용접해도 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마커 (22) 를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에 형성한다면,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가 팽창 시에 마커 (22) 는 코일 지지부 (20) 의 반경방향 내측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뇌동맥류 스텐트 (1) 가 균형있게 코일을 지지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는, 예를 들면 니티놀 (NiTinol) 과 같은 형상 기억 합금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와이어로 직조되거나,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튜브를 레이저 커팅 (laser cutting) 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제조 방법은,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 (10) 및 본체부 (10) 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본체부 (10) 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 (20) 를 형성하는 단계 (S100); 코일 지지부 (20) 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뇌동맥류 스텐트 (10) 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 (21) 를 형성하는 단계 (S200);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를 지그 (30) 에 삽입하는 단계 (S300); 및 지그 (30) 내에서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를 열처리하여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를 최종 형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 (S400);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S100) 단계에서,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는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와이어로 직조되거나,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튜브를 레이저 커팅 (laser cutting) 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 (10) 와 코일 지지부 (20) 가 일체로 형성되면,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를 별개의 부재로 하는 것보다 높은 효율성과 편의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S200) 단계에서, 코일 지지부 (20) 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닫힌 구조부 (21) 를 형성할 수 있고, 닫힌 구조부 (21) 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지지부 (20) 의 다른 부분의 패턴과 상이한 직선 형상의 와이어 구조로 가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S200) 단계에서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에 불투과성 재료의 마커 (22) 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 (22) 는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을 묶을 수 있도록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0) 단계에서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을 모은 후에, 마커 (22) 를 이용하여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을 용접해도 된다.
이어서, (S300) 단계에서,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를 지그 (30) 에 삽입한다. 지그 (30) 는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최종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30) 는 코일 지지부 (20) 가 본체부 (10)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최종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어서, (S400) 단계에서, 지그 (30) 내에 삽입된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에 대해 열처리를 실시하여,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를 최종 형상으로 팽창시킨다.
뇌동맥류 스텐트 (1) 는 형상 기억 합금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S400) 단계에서 열처리를 통해 최종 형상으로 가공하면,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을 받더라도 기억된 최종 형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열처리는 400 ℃ ~ 600 ℃ 에서 15 분 ~ 20 분간 열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 ℃ 로 열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다만, 열처리 조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재료 및 형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그 (30) 는 코일 지지부 (20) 가 본체부 (10)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최종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이러한 지그 (30) 내에서 본체부 (10) 및 코일 지지부 (20) 가 열처리되기 때문에, 코일 지지부 (20) 는 본체부 (10)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최종 형상으로 팽창된다.
또한, 닫힌 구조부 (21) 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편평하게 변형된다.
아울러, 마커 (22) 를 닫힌 구조부 (21) 의 선단에 배치한 경우에는, 팽창된 뇌동맥류 스텐트 (1) 에서 마커 (22) 는 코일 지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중심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지금까지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에 사용되던 Y 자형으로 오버랩된 스텐트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뇌동맥류 스텐트 (1) 를 높은 효율성과 편의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뇌동맥류 스텐트 10: 본체부
20: 코일 지지부 21: 닫힌 구조부
22: 마커 30: 지그

Claims (14)

  1.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를 포함하는 뇌동맥류 스텐트로서,
    상기 코일 지지부는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서,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를 포함하는, 뇌동맥류 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가 팽창 시에, 상기 코일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크게 팽창하고, 상기 코일 지지부는 뇌동맥류 내측에 배치되어 뇌동맥류에 삽입된 코일을 지지하며,
    또한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가 팽창 시에, 상기 코일 지지부의 상기 닫힌 구조부는 상기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을 닫고 있는, 뇌동맥류 스텐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는 상기 닫힌 구조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성 (radiopaque) 재료의 마커를 더 포함하는, 뇌동맥류 스텐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닫힌 구조부는, 상기 코일 지지부의 다른 부분의 패턴과 상이한 직선 형상으로 가공된 와이어 구조인, 뇌동맥류 스텐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닫힌 구조부의 선단을 묶거나 용접하도록 형성된, 뇌동맥류 스텐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가 팽창 시에, 상기 마커는 상기 코일 지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중심에 위치하는, 뇌동맥류 스텐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코일 지지부는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와이어로 직조되거나,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튜브를 레이저 커팅 (laser cutting) 하여 형성된, 뇌동맥류 스텐트.
  8.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중공의 관형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코일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코일 지지부의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한 닫힌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코일 지지부를 지그에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그 내에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코일 지지부를 열처리하여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코일 지지부를 최종 형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d) 단계에서,
    상기 코일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 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최종 형상으로 팽창되고,
    상기 닫힌 구조부는 상기 뇌동맥류 스텐트의 반경방향 내측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편평하게 변형되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상기 닫힌 구조부의 선단에 방사선 불투과성 (radiopaque) 재료의 마커를 추가로 배치하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상기 닫힌 구조부를 상기 코일 지지부의 다른 부분의 패턴과 상이한 직선 형상의 와이어 구조로 가공하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상기 마커는 상기 닫힌 구조부의 선단을 묶거나 용접하여 배치되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d) 단계에서,
    상기 마커는 상기 코일 지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중심에 배치되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a) 단계에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코일 지지부는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와이어로 직조되거나, 형상 기억 합금 재료의 튜브를 레이저 커팅 (laser cutting) 하여 형성되는, 뇌동맥류 스텐트의 제조 방법.
KR1020190044437A 2019-04-16 2019-04-16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37A KR102230327B1 (ko) 2019-04-16 2019-04-16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21561706A JP2022529452A (ja) 2019-04-16 2019-08-07 脳動脈瘤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19/009857 WO2020213791A1 (ko) 2019-04-16 2019-08-07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US17/604,162 US20220192675A1 (en) 2019-04-16 2019-08-07 Cerebral aneurysm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9925448.3A EP3957281A4 (en) 2019-04-16 2019-08-07 STENT FOR CEREBRAL ANEURYSM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37A KR102230327B1 (ko) 2019-04-16 2019-04-16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637A true KR20200121637A (ko) 2020-10-26
KR102230327B1 KR102230327B1 (ko) 2021-03-22

Family

ID=7283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437A KR102230327B1 (ko) 2019-04-16 2019-04-16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92675A1 (ko)
EP (1) EP3957281A4 (ko)
JP (1) JP2022529452A (ko)
KR (1) KR102230327B1 (ko)
WO (1) WO202021379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915A (ja) * 2006-08-17 2010-01-14 エヌフォーカス ニューロ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脈瘤の治療用隔離デバイス
KR20120132368A (ko) * 2011-05-26 2012-12-05 이덕희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한 스텐트
KR20160004766A (ko) * 2014-07-04 2016-01-13 김현실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KR20160022597A (ko) * 2014-08-20 2016-03-02 김현실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KR20170121230A (ko) * 2015-02-25 2017-11-01 갤럭시 테라퓨틱스 엘엘씨 동맥류 치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13A (ja) * 2001-02-21 2002-08-27 Terumo Corp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8252040B2 (en) * 2001-07-20 2012-08-28 Microvention, Inc. Aneurysm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BE1016067A3 (fr) * 2004-06-03 2006-02-07 Frid Noureddine Endoprothese luminale pour occlusion d'anevrism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endoprothese.
JP2008515468A (ja) * 2004-09-22 2008-05-15 リー アール. グターマン, 頭部動脈瘤の治療処置
CN102740799A (zh) * 2010-01-28 2012-10-17 泰科保健集团有限合伙公司 脉管重塑装置
WO2012078678A1 (en) * 2010-12-06 2012-06-14 Tyco Healthcare Group Lp Vascular remodeling device
US9186267B2 (en) * 2012-10-31 2015-11-17 Covidien Lp Wing bifurcation reconstruction device
JP6694688B2 (ja) * 2015-10-02 2020-05-20 株式会社新興セルビック 金型装置及びステン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915A (ja) * 2006-08-17 2010-01-14 エヌフォーカス ニューロ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脈瘤の治療用隔離デバイス
KR20120132368A (ko) * 2011-05-26 2012-12-05 이덕희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한 스텐트
KR20160004766A (ko) * 2014-07-04 2016-01-13 김현실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KR20160022597A (ko) * 2014-08-20 2016-03-02 김현실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KR20170121230A (ko) * 2015-02-25 2017-11-01 갤럭시 테라퓨틱스 엘엘씨 동맥류 치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7281A1 (en) 2022-02-23
JP2022529452A (ja) 2022-06-22
WO2020213791A1 (ko) 2020-10-22
EP3957281A4 (en) 2022-07-06
KR102230327B1 (ko) 2021-03-22
US20220192675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31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losing an anatomical opening
US202003678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neurysms
US9855047B2 (en) Flexible vascular occluding device
US8357180B2 (en) Thin film metallic device for plugging aneurysms or vessels
US7875044B2 (en) Remodeling device for aneurysms
US20180049859A1 (en) Intravascular flow diversion devices
JP4165908B2 (ja) 動脈瘤治療用ワイヤフレームによる部分的血液流妨害装置
CN103491886B (zh) 尤其用于闭塞分叉动脉瘤的植入物
US11344311B2 (en) Aneurysm devices with additional anchoring mechanis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20509922A (ja) 身体構造の塞栓形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046719A1 (en) Luminal Endoprosthesis For the Occlusion of an Aneurys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n Endoprosthesis
JP2013081868A (ja) 可撓性血管閉塞装置
KR102230327B1 (ko)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EP1210143A2 (en) Intravascular device and method using it
AU20102892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losing an anatomical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