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597A -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597A
KR20160022597A KR1020140108356A KR20140108356A KR20160022597A KR 20160022597 A KR20160022597 A KR 20160022597A KR 1020140108356 A KR1020140108356 A KR 1020140108356A KR 20140108356 A KR20140108356 A KR 20140108356A KR 20160022597 A KR20160022597 A KR 20160022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eurysm
main body
contact network
st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실
Original Assignee
김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실 filed Critical 김현실
Priority to KR102014010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597A/ko
Publication of KR2016002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된 혈관부위에 형성된 뇌동맥류 속으로 삽입된 코일의 이탈을 단일의 스텐트로 차단할 수 있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에 있어서,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모혈관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형성된 동맥류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메쉬패턴으로 이루어진 차단망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STENT FOR CEREBRAL ANEURYSM}
본 발명은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된 혈관부위에 형성된 뇌동맥류 속으로 삽입된 코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뇌동맥류는 혈관벽의 약한 부분이 늘어나 꽈리처럼 부풀어오른 상태로서, 혈관벽이 예고 없이 터질 수 있는 질환이다.
뇌동맥류의 치료 방법은 크게 뇌동맥류 결찰술과 혈관 내 코일 색전술로 대별된다.
먼저, 뇌동맥류 결찰술은 신경외과에서 시행하는 전통적인 방법의 수술로서, 두개골 편을 제거하고 뇌조직 사이에 위치해 있는 뇌동맥류를 확보한 뒤 작은 클립으로 기시 부위(origin)를 결찰(외과에서 주로 쓰이는 말로, 혈관을 묶거나 한 부분을 조이는 행위 혹은 그 방법)하게 된다.
그러나 위치가 안 좋거나 모양이 안 좋은 경우 완전히 결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남은 부위에는 특수한 거즈로 덮어 혹시 출혈이 발생하더라도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수술을 하게 된다.
이어서,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혈관 내 코일 색전술은, 동맥류 속에 미세도관을 삽입하고 이를 통해 정상 혈관은 침범되지 않으면서 오로지 동맥류만 막히도록 코일을 채워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코일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2206호(2011.08.17)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혈관 내 코일 색전술은 동맥류 속에 채워진 코일이 빠지지 않도록 혈관 내에 스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스텐트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26641호(2013.11.20) '스텐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44928호 '동맥류용 혈관 스텐트'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모혈관(1)에서 양쪽으로 나뉘어서 갈라지는 위치에 형성된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텐트(10a)(10b)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치료 과정이 복잡하고 치료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83705호 출원한바 있다.
그런데 스텐트를 원하는 지점에 시술하기 위한 과정에서, 위 출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보통 스텐트를 배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스텐트를 스텐트 딜리버리 카테타에 삽입해서 원하는 지점에 도달해야 하고, 딜리버리 카테타가 원하는 지점에 도달한 후에는 스텐트를 원하는 지점에 배치해야하며, 스텐트를 한번 배치한 후에 최적의 위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텐트를 다시 딜리버리 카테타에 삽입시켜서 최적의 위치로 이동해서 재배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텐트가 딜리버리 카테타에 삽입, 배치 및 재삽입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위 출원은 스텐트가 용이하게 오무러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83705의 목적과 같이 기존 스텐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즉, 모혈관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형성된 동맥류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단일의 스텐트로 차단할 수 있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인이 선출한 스텐트의 배치 및 재배치 과정이 좀더 용이하게 시행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에 있어서,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모혈관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형성된 동맥류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메쉬 패턴으로 이루어진 차단망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차단망은 본체의 일단부 원주면이 안쪽으로 연장되어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연장부로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의 차단망은 동맥류의 입구 주변에 접촉되는 접촉망, 상기 접촉망과 본체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촉망은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내향 또는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망은 상기 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접촉망은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내향 또는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 및 차단망은 단일 또는 두 개 이상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직조하여 끝단을 접합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 및 차단망은 단일의 형상기억합금 판재의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본체는 모혈관에 형성된 다른 동맥류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스텐트에 의해 모혈관과 분기혈관 사이에 형성된 동맥류에 채워진 코일이 차단되므로 치료 과정이 단순화로 인해 치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 및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단망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차단망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차단망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차단망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정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차단망에 의한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차단망에 의한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및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100)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본체(110), 본체(1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모혈관(1)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형성된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도시생략)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메쉬패턴으로 이루어진 차단망(120)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차단망(120)은 본체(110)의 일단부 원주면을 안쪽으로 연장하여 연장부을 가지도록 한 접촉망(12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중앙에 발생하는 중공부(160)는 적어도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도시생략)의 이탈이 될수 없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차단망(120)이 본체(110)의 일단부 원주면이 안쪽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접촉망(122)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접촉망(122)에 코일이(미도시)걸려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스텐트는 중앙에 중공부(16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텐트를 시술하기 위하여 스텐트 딜리버리 카데타에 삽입할 때에도 용이하게 오무러 질 수 있게 된다.
본체(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의 그물망으로서, 이러한 본체(110)는 탄성회복의 기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刑狀記億合金) 소재로 이루어진 단일의 와이어를 나선으로 감아서 형성하거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몸 둘레가 둥글고 속이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110)를 두 개의 와이이어로 형성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나선으로 감기는 좌측 나선코일(111)과 우측 나선으로 감기는 우측 나선코일(112)을 서로 교차하는 직조구조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본체(110)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 또는 관재를 레이저커팅에 의해 가공하여 그물망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차단망(120)을 구성하는 접촉망(122)은 소정의 메쉬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일단부에 연결된 망으로서, 이러한 차단망(120)을 구성하는 접촉망(122)은 본체(110)와 동일한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와이어에 의해 망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때 차단망(120)을 구성하는 접촉망(122)은 본체(110)를 형성하는 와이어에 연결되어 본체(110)의 그물망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메쉬패턴으로 형성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단망(120)을 구성하는 접촉망(122)은 본체(110)를 형성하는 와이어와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본체(110)의 일단부에 접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단망(120)을 구성하는 접촉망(122)은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를 레이저커팅에 의해 가공하여 메쉬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차단망(120)을 구성하는 접촉망(122)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된 후 본체(110)의 일단부에 접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차단망(120)의 제1 실시예는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 주변(6)에 접촉되는 차단망(120)을 구성하는 접촉망(122), 이접촉망(122)과 본체(110)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망(124)을 포함한다. 이접촉망(122)은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의 주변(6), 즉 동맥류(4)로 코일이 삽입되는 입구(5)의 주변(6)에 접촉되어 코일이 입구(5)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망으로서, 이러한 접촉망(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연결망(124)은 접촉망(122)과 본체(110)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망으로서, 이러한 연결망(1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망(122)의 둘레와 본체(110)의 일단부 둘레를 만곡되게 연결 되도록 구성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1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연하면 모혈관(1)에서 양쪽으로 나뉘어서 갈라지는 분기혈관(2)(3)이 연결된 위치에 동맥류(4)가 형성되고 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로 형성된 본체(110)는 소재가 갖는 특징인 탄성회복력에 의해 모혈관(1)의 혈관벽에 지지되어 좌우로 유동되지 않으며, 접촉망(122)은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에 접촉되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고, 연결망(124)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혈관 내에 설치 시 혈관벽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접촉망(122)은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도 4에서와 같이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이 평평한 경우 등의 일반적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접촉망(122)가 동맥류(4)의 입구(5)의 일부를 차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동맥류(4)에 삽입하는 코일(미도시)은 길게 형성되어 구불 구불한 상태로 서로 엉켜서 동맥류(4)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코일(미도시)은 그 일부가 접촉망(122)에 의해 차단되어 중공부(160)의 내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혈관(1)에 형성된 다른 동맥류(4a)의 입구(5a)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차단망(120)의 제2 실시예는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 주변(6)에 접촉되는 접촉망(122a), 접촉망(122a)과 본체(110)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계속하여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망(124a)을 포함하되, 접촉망(122a)은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는 것이다.
접촉망(122a)은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의 주변(6)에 접촉되어 코일이 입구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망으로서, 이러한 접촉망(122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된다.
도 5에서는 접촉망(122a)을 외향으로 완만히 만곡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접촉망(122a)을 외향으로 급격히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망(124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망(122a)의 둘레와 본체(110)의 일단부 둘레를 만곡되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접촉망(122a)과 연결망(124a)은 곡면이 연속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연하면 모혈관(1)에서 양쪽으로 나뉘어서 갈라지는 분기혈관(2)(3)이 연결된 위치에 동맥류(4)가 형성되고 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형성된 본체는 소재가 갖는 특징인 탄성회복력에 의해 모혈관(1)의 혈관벽에 지지되어 좌우로 유동되지 않으며, 접촉망(122a)은 동맥류(4)의 입구(5) 주변에 접촉되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고, 연결망(124a)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혈관 내에 설치 시 혈관벽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접촉망(122a)은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어 도 6에서와 같이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에서 더 넓은 혈관 내경의 확보가 필요한 경우 등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차단망(120)의 제3 실시예는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 주변(6)에 접촉되는 접촉망(122b), 접촉망(122b)과 본체(110)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형성하는 연결망(124b)을 포함하되, 접촉망(122b)은 내향으로 만곡되게 들어가는 것이다.
접촉망(122b)은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의 주변(6)에 접촉되어 코일이 입구(5)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망으로서, 이러한 접촉망(122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으로 만곡되게 들어간다.
도 7에서는 접촉망(122b)을 내향으로 완만히 만곡되게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내향으로 급격히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망(124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망(122b)의 둘레와 본체(110)의 일단부 둘레를 만곡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접촉망(122b)과 연결망(124b)은 곡면이 연속되는 곡률을 이루게 된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연하면 모혈관(1)에서 양쪽으로 나뉘어서 갈라지는 분기혈관(2)이 연결된 위치에 동맥류(4)가 형성되고 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형성된 본체는 소재가 갖는 특성인 탄성회복력에 의해 모혈관(1)의 혈관벽에 지지되어 좌우로 유동되지 않으며, 접촉망(122b)은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에 접촉되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고, 연결망(124b)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혈관 내에 설치 시 혈관벽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접촉망(122b)은 내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도 8에서와 같이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에서 동맥류 내로 더 많은 코일을 채워 넣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등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차단망(120)의 제4 실시예는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 주변(6)에 접촉되는 접촉망(122c), 접촉망(122c)과 본체(110)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망(124c)을 포함하되, 접촉망(122c)은 본체(110)의 외경(d1)보다 큰 외경(d2)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접촉망(122c)은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의 주변(6)에 접촉되어 코일이 입구(5)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망으로서, 이러한 접촉망(122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외경(d1)보다 큰 외경(d2)으로 형성된다.
연결망(124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망(122c)의 둘레와 본체(110)의 일단부 둘레를 만곡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접촉망(122c)과 연결망은(124c) 곡면이 연속되는 곡률을 이루게 된다.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연하면 모혈관(1)에서 양쪽으로 나뉘어서 갈라지는 분기혈관(2)(3)이 연결된 위치에 동맥류(4)가 형성되고 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형성된 본체(110)는 소재가 갖는 특징인 탄성회복력에 의해 모혈관(1)의 혈관벽에 지지되어 좌우로 유동되지 않으며, 접촉망(122c)은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에 접촉되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고, 연결망(124c)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혈관 내에 설치 시 혈관벽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접촉망(122c)은 본체(110)의 외경(d1)보다 큰 외경(d2)으로 형성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동맥류(4)의 입구(5)가 본체(110)의 외경보다 크거나 모혈관(1)의 내경보다 넓은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차단망(120)의 제5 실시예는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 주변(6)에 접촉되는 접촉망(122d), 접촉망(122d)과 본체(110)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망(124d)을 포함하되, 접촉망(122d)은 본체(110)의 외경(d1)보다 큰 외경(d3)을 이루면서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는 것이다.
접촉망(122d)은 동맥류(4)의 벌어진 입구(5)의 주변에 접촉되어 코일이 입구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망으로서, 이러한 접촉망(122d)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외경(d1)보다 큰 외경(d3)으로 형성된다.
연결망(124d)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망(122d)의 둘레와 본체(110)의 일단부 둘레를 만곡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접촉망(122d)과 연결망(124d)은 곡면이 연속되는 곡률을 이루게 된다.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차단망(120)에 의한 제5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연하면 모혈관(1)에서 양쪽으로 나뉘어서 갈라지는 분기혈관(2)(3)이 연결된 위치에 동맥류(4)가 형성되고 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형성된 본체(110)는 소재가 갖는 특징인 탄성회복력에 의해 모혈관(1)의 혈관벽에 지지되어 좌우로 유동되지 않으며, 접촉망(122d)은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에 접촉되어 동맥류(4)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고, 연결망(124d)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혈관 내에 설치 시 혈관벽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접촉망(122d)은 본체(110)의 외경(d1)보다 큰 외경(d3)을 이루면서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어도 도 12에서와 같이 동맥류(4)의 입구(5)가 넓으면서 동맥류(4)의 입구(5) 주변(6)에서 더 넓은 혈관 내경의 확보가 필요한 경우 등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 : 모혈관 2, 3 : 분기혈관
4 : 동맥류 5 : 입구
6 : 주변 100 : 스텐트
110 : 본체 120 : 차단망
122, 122a, 122b, 122c, 122d : 접촉망
124, 124a, 124b, 124c, 124d : 연결망

Claims (14)

  1.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에 있어서,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모혈관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형성된 동맥류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메쉬패턴으로 이루어진 차단망이 상기 본체의 일단부 원주면이 안쪽으로 연장되어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연장부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은 동맥류의 입구 주변에 접촉되는 접촉망, 상기 접촉망과 본체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망은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망은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망은 내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망은 상기 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망은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망은 외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망은 내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차단망은 단일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나 두 개 이상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차단망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각각 직조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차단망은 단일의 형상기억합금 판재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차단망은 형상기억합금 판재를 각각 가공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모혈관에 형성된 다른 동맥류에 채워진 코일의 이탈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KR1020140108356A 2014-08-20 2014-08-20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KR20160022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56A KR20160022597A (ko) 2014-08-20 2014-08-20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56A KR20160022597A (ko) 2014-08-20 2014-08-20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97A true KR20160022597A (ko) 2016-03-02

Family

ID=5558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56A KR20160022597A (ko) 2014-08-20 2014-08-20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5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421A (ko) 2018-06-05 2019-12-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WO2020213791A1 (ko) * 2019-04-16 2020-10-22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13221A (ko) 2021-07-16 2023-01-2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뇌동맥류 하이드로겔 스텐트 및 뇌동맥류 색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421A (ko) 2018-06-05 2019-12-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WO2020213791A1 (ko) * 2019-04-16 2020-10-22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21637A (ko) * 2019-04-16 2020-10-26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뇌동맥류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22529452A (ja) * 2019-04-16 2022-06-22 エスアンドジー バイオ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脳動脈瘤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13221A (ko) 2021-07-16 2023-01-2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뇌동맥류 하이드로겔 스텐트 및 뇌동맥류 색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9799C (en) Implant, especially for the occlusion of bifurcation aneurysms
US20230310185A1 (en) Stent
US20200000477A1 (en) Embolization Plug
AU2018217310B2 (en) Variable porosity intra vascular implant manufacturing method
JP5889902B2 (ja) 動静脈奇形の領域における血流に影響を与えるインプラント
US10543015B2 (en) Mesh disc for saccular aneurysms and cover for saccular out-pouching
CA3025793C (en) An embolisation device
JP6513859B2 (ja) マーカーを有する編組拡張リング
US11642213B2 (en) Caped stent
US20070270902A1 (en) Thin Film Metallic Devices for Plugging Aneurysms or Vessels
KR101480514B1 (ko)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한 스텐트
US2018031793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Endovascular and Non-Endovascular Defects in Humans
US2018022103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Endovascular and Non-Endovascular Defects in Humans Using Tandem Embolization Devices
KR20160022597A (ko)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KR20160004766A (ko)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US11103253B2 (en) Embolization scaffold devices
CN113226198A (zh) 用于治疗血管畸形的设备
CN215739208U (zh) 一种医用植入物及封堵系统
CN113274089A (zh) 一种医用植入物及封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