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421A -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Google Patents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8421A KR20190138421A KR1020180064857A KR20180064857A KR20190138421A KR 20190138421 A KR20190138421 A KR 20190138421A KR 1020180064857 A KR1020180064857 A KR 1020180064857A KR 20180064857 A KR20180064857 A KR 20180064857A KR 20190138421 A KR20190138421 A KR 201901384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nt
- pair
- catheter
- horizontally
- cerebral aneurys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61B17/1211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for positioning in conjunction with a st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in a bifur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3—Stents, different from stent-grafts, adapted to cover an aneury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6—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more than one stent being applied sequential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카테타와; 한 쌍의 상기 카테타의 외표면을 둘러싸도록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스텐트본체와, 한 쌍의 상기 스텐트본체를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스텐트본체와 결합되는 스텐트연결부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스텐트와; 상기 카테타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각각 설치되며 한 쌍의 상기 카테타가 병변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병변부에 해당하는 뇌동맥류가 혈관의 분지부에 위치할 때 뇌동맥류의 목이 위치한 양쪽 분리 혈관에 스텐트를 삽입하며, 뇌동맥류의 목에 대해서 수평하게 스텐트를 삽입하여 동맥류의 색전술 시에 코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동맥류 뿐만 아니라 기구가 접근하는 방향의 혈관에서 분지된 두 개의 혈관으로 스텐트를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변부에 해당하는 뇌동맥류가 혈관의 분지부에 위치할 때 뇌동맥류의 목이 위치한 양쪽 분리 혈관에 스텐트를 삽입하며, 뇌동맥류의 목에 대해서 수평하게 스텐트를 삽입하여 동맥류의 색전술 시에 코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스텐트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뇌동맥류 뿐만 아니라 기구가 접근하는 방향의 혈관에서 분지된 두 개의 혈관으로 스텐트를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는 뇌혈관의 내측을 이루고 있는 내탄력층과 중막이 손상되고 결손되면서 혈관벽이 부풀어올라 혈관 내 공간을 형성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뇌동맥류를 그대로 방치하면 지속되는 혈류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혈관벽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손상되며, 해당 부위가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뇌동맥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크게 뇌동맥류 결찰술과 코일 색전술이 있다. 뇌동맥류 결찰술은 신경외과에서 시행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서, 두개골편을 제거하고 뇌조직 사이에 위치해 있는 뇌동맥류를 작은 클립으로 결찰하는 수술법이다. 반면, 코일 색전술은 다리 쪽의 대퇴동맥을 통해 카테타를 집어 넣어 뇌동맥에 접근한 뒤 뇌동맥류에 코일을 넣어 막는 수술법이다. 코일 색전술은 뇌동맥류 결찰술과는 달리 두개골을 여는 개두 시술을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수술 시간이 짧고 또한 시술 후 수일 내로 회복되어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코일 색전술을 이용한 방법은 뇌동맥류 내부에 코일을 충전함으로써 뇌동맥류의 내부로 혈류가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것이다. 코일 색전술을 이용한 방법 중 약 20% 정도는 별다른 보조 장치의 사용 없이 코일 색전술 시술이 가능하다. 하지만, 동맥류의 목(neck)이 넓은 광경 뇌동맥류의 치료에 있어서는 뇌동맥류의 입구를 막아서 코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도록 뇌동맥류가 발생한 모혈관의 내강에 원통형 스텐트를 설치하는 기술이 함께 사용된다.
스텐트(stent)는 혈관 내 시술에 주로 사용되는 시술 기구로, 카테타 내에 삽입(insertion)되어 카테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혈관 내에 설치(installation)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뇌동맥류를 충분히 폐색시키기 위해 사용되거나 색전용 코일이 혈관 내로 탈출(herniation)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색전용 코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은 뇌동맥류의 목을 스텐트가 제대로 폐색시킬 때 극대화될 수 있으나, 뇌동맥류의 생김에 따라 스텐트가 목을 완전히 덮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스텐트를 뇌동맥류의 목과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다면 뇌동맥류를 안전하게 그리고 충분히 폐색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갈라지는 혈관에 위치한 뇌동맥류는 혈관과 뇌동맥류의 위치 관계 때문에 스텐트를 이용하여 목을 완전히 덮지 못하며,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 이상의 스텐트(10)를 다양한 방법으로 겹치거나 나누어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도 1a는 수평으로 설치된 스텐트(10)로 이러한 방법으로는 설치가 매우 힘들며, 도 1b는 혈관의 한 쪽으로만 설치되는 스텐트(10)로 목을 완전히 덮지 못하게 된다. 또한 도 1c 및 도 1d는 두 개의 스텐트(10)를 설치한 것이며, 도 1e도 두 개의 스텐트(10)를 크로싱하여 설치하나 이 역시 목을 제대로 다 덮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뇌동맥류의 목을 다 덮지 못하거나 혈관 내에 스텐트(10)가 겹쳐 혈관이 좁아지거나, 스텐트(10)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다음 기구의 접근은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변부에 해당하는 뇌동맥류가 혈관의 분지부에 위치할 때 뇌동맥류의 목이 위치한 양쪽 분리 혈관에 스텐트를 삽입하며, 뇌동맥류의 목에 대해서 수평하게 스텐트를 삽입하여 동맥류의 색전술 시에 코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스텐트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뇌동맥류 뿐만 아니라 기구가 접근하는 방향의 혈관에서 분지된 두 개의 혈관으로 스텐트를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카테타와; 한 쌍의 상기 카테타의 외표면을 둘러싸도록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스텐트본체와, 한 쌍의 상기 스텐트본체를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스텐트본체와 결합되는 스텐트연결부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스텐트와; 상기 카테타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각각 설치되며 한 쌍의 상기 카테타가 병변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카테타는 상기 스텐트본체가 결합되는 외표면이 일정 두께만큼 함몰된 스텐트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텐트지지부에 상기 스텐트본체가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트연결부는 굽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텐트본체의 외표면에 둘레를 따라 일부에만 결합되며, 상기 스텐트연결부는 상기 스텐트본체의 외표면 전체 둘레 중 1/5 내지 1/3 둘레만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카테타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텐트본체 및 상기 스텐트연결부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변부에 해당하는 뇌동맥류가 혈관의 분지부에 위치할 때 뇌동맥류의 목이 위치한 양쪽 분리 혈관에 스텐트를 삽입하며, 뇌동맥류의 목에 대해서 수평하게 스텐트를 삽입하여 동맥류의 색전술 시에 코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동맥류 뿐만 아니라 기구가 접근하는 방향의 혈관에서 분지된 두 개의 혈관으로 스텐트를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텐트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유니트(100)는, 한 쌍의 카테타(catheter, 110)와, 스텐트(stent, 1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카테타(110)는 길이 방향으로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양단부에 각각 근단부와 원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단부(proximal tip)는 시술자와 근접한 단부를 의미하며, 원단부(distal tip)는 목표 지점으로 접근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카테타(110)는 유연하지만 시술자가 손으로 만지는 정도의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텐트(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텐트본체(131)와 스텐트연결부(133)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스텐트본체(131)는 카테타(110)의 근단부 영역에 외표면을 둘러싸도록 각각 결합되며, 스텐트연결부(1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카테타(110)의 외표면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스텐트본체(131)를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스텐트본체(131)와 결합된다.
이러한 스텐트(130)는 스텐트본체(131)가 각각의 카테타(110)에 결합된 상태로 스텐트연결부(133)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구조가 가능하도록 스텐트(130)는 카테타(110)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뇌동맥류 색전술을 위해 사용되는 스텐트의 경우 카테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병변부로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조를 통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100)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4b와 같이 스텐트(130)가 카테타(110)의 외부에 결합된다.
스텐트(130)가 카테타(110)의 외표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카테타(110)는 스텐트본체(131)가 결합되는 외표면이 일정 두께만큼 함몰된 스텐트지지부(111)를 포함하며, 스텐트지지부(111)에 스텐트본체(131)가 지지된다. 함몰된 스텐트지지부(111)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스텐트(130)가 카테타(11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는 카테타(110)가 혈관 내로 삽입되어 병변부로 이동되는 과정 중 스텐트(130)가 혈관벽에 상처를 내거나 스텐트(130)가 카테타(11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지지부(111)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텐트지지부(111)가 함몰된 두께는 스텐트본체(13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얇은 두께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카테타(110) 및 스텐트(130)가 혈관 내로 삽입될 때 한 쌍의 카테타(1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스텐트(130)가 설치되는 병변부 지점에서 갈라지게 되면서 스텐트연결부(133)가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스텐트본체(131)를 연결하는 스텐트연결부(133)는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스텐트연결부(133)는 굽힘이 가능하도록 스텐트본체(131)의 외표면에 둘레를 따라 일부에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텐트연결부(133)가 스텐트본체(131)의 외표면 둘레를 따라 전 영역에 결합될 경우 굽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둘레에만 결합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일부 둘레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단면으로 가지는 스텐트연결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텐트연결부(133)는 판형상 또는 돔(dome)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 돔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스텐트본체(131)의 둘레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혈관의 내표면과도 유사한 형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뇌동맥류의 목을 용이하게 폐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텐트연결부(133)는 스텐트본체(131)의 외표면 전체 둘레 중 1/5 내지 1/3 둘레만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텐트본체(131) 외표면에 대해 1/5 둘레 미만일 경우 단면적이 감소하여 목을 용이하게 폐색시킬 수 없으며, 1/3 둘레를 초과할 경우 스텐트연결부(133)가 용이하게 구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스텐트연결부(133)는 혈관 내로 삽입될 때에는 굽혀진 상태로 삽입된 후 뇌동맥류의 목에 다다르게 되면 목을 폐색시키기 위해 혈관에 수평하게 펼쳐져야 하는데, 이러한 형상 변화가 가능하도록 스텐트연결부(133)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텐트연결부(133)와 마찬가지로 스텐트본체(131)도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스텐트본체(131) 또한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져 스텐트연결부(133)와 스텐트본체(131)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텐트연결부(133)와 스텐트본체(131)가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 쌍의 가이드와이어(guide wire, 150)는 카테타(110)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각각 설치되며, 한 쌍의 카테타(110)가 병변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가이드와이어(150)가 혈관 내로 먼저 삽입되어 경로를 결정한 뒤, 가이드와이어(150)를 따라 한 쌍의 카테타(110)가 각각의 가이드와이어(150)를 통해 병변부로 이동되고, 카테타(110)가 빠져나가면서 병변부에서 스텐트(130)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목을 폐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유니트(100)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뇌동맥류의 목을 나타낸 것으로 목의 주변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혈관과 수직으로 형성된 혈관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수직 혈관은 수평 혈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스텐트를 삽입할 때 수직 혈관에 삽입하는 것이 더 쉬운 시술 방법에 해당한다. 하지만 수직 혈관에 종래의 스텐트를 삽입할 경우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스텐트를 삽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이 수직 혈관에 삽입이 가능하면서 삽입 후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텐트 유니트(100)의 설치방법은 도 5b와 같이 먼저 수직 혈관에 한 쌍의 가이드와이어(150)를 삽입하고, 각각의 가이드와이어(15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 혈관에 설치한다. 그 다음 도 5c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와이어(150) 각각에 한 쌍의 카테타(110) 및 카테타(110)에 결합된 스텐트(130)를 삽입하고, 도 5d와 같이 가이드와이어(150)를 따라 수직 혈관으로부터 수평 혈관으로 이동한다. 그 후 도 5e와 같이 굽힘 상태의 스텐트연결부(133)와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삽입되는 스텐트본체(131)를 펼쳐 수평 혈관에 스텐트(130)가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스텐트본체(131) 및 스텐트연결부(133)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텐트본체(131)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전 및 스텐트연결부(133)가 구부러지기 전의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e와 같이 스텐트(130)로부터 카테타(110)를 제거하고 마찬가지로 가이드와이어(150)를 제거하여 목에 스텐트(130)가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카테타(11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텐트(130)가 설치된 후 시술자가 카테타(110)를 외부로 당기게 되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다.
병변부에 해당하는 뇌동맥류의 목에 근접한 혈관 중 상대적으로 수직 혈관보다 수평 혈관이 직경이 작기 때문에 종래의 스텐트를 이용할 경우 도 1과 같이 수평 혈관에 스텐트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텐트 유니트(100)를 사용할 경우 수직 혈관으로 스텐트(130)를 삽입하면서 수평 혈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뇌동맥류의 목을 완벽하게 폐색시킬 수 있다.
10: 스텐트
100: 스텐트 유니트
110: 카테타
111: 스텐트지지부
130: 스텐트
131: 스텐트본체
133: 스텐트연결부
150: 가이드와이어
100: 스텐트 유니트
110: 카테타
111: 스텐트지지부
130: 스텐트
131: 스텐트본체
133: 스텐트연결부
150: 가이드와이어
Claims (6)
-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카테타와;
한 쌍의 상기 카테타의 외표면을 둘러싸도록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스텐트본체와, 한 쌍의 상기 스텐트본체를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스텐트본체와 결합되는 스텐트연결부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스텐트와;
상기 카테타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각각 설치되며 한 쌍의 상기 카테타가 병변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카테타는 상기 스텐트본체가 결합되는 외표면이 일정 두께만큼 함몰된 스텐트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텐트지지부에 상기 스텐트본체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연결부는 굽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텐트본체의 외표면에 둘레를 따라 일부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연결부는 상기 스텐트본체의 외표면 전체 둘레 중 1/5 내지 1/3 둘레만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카테타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본체 및 상기 스텐트연결부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857A KR102125954B1 (ko) | 2018-06-05 | 2018-06-05 |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PCT/KR2019/005745 WO2019235751A1 (ko) | 2018-06-05 | 2019-05-13 |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857A KR102125954B1 (ko) | 2018-06-05 | 2018-06-05 |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8421A true KR20190138421A (ko) | 2019-12-13 |
KR102125954B1 KR102125954B1 (ko) | 2020-06-23 |
Family
ID=6877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4857A KR102125954B1 (ko) | 2018-06-05 | 2018-06-05 |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5954B1 (ko) |
WO (1) | WO2019235751A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76141A (en) * | 1995-08-28 | 1998-07-07 | Localmed,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luminal prosthesis delivery |
KR20080060247A (ko) * | 2005-09-21 | 2008-07-01 | 비-발론 엘티디. | 분기되는 풍선 및 스텐트 |
KR20140054032A (ko) * | 2011-07-12 | 2014-05-08 | 러쉬 유니버시티 메디컬 센터 | 지퍼식 카테터를 구비한 혈관 분지부 스텐트 전개 시스템 |
KR20140140077A (ko) | 2012-03-16 | 2014-12-08 |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 스텐트 및 스텐트 전달 장치 |
KR101480514B1 (ko) | 2011-05-26 | 2015-01-09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한 스텐트 |
KR20160022597A (ko) | 2014-08-20 | 2016-03-02 | 김현실 |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134997C (en) * | 1994-11-03 | 2009-06-02 | Ian M. Penn | Stent |
KR101119470B1 (ko) * | 2010-06-04 | 2012-02-22 | 김대성 |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
-
2018
- 2018-06-05 KR KR1020180064857A patent/KR1021259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5-13 WO PCT/KR2019/005745 patent/WO201923575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76141A (en) * | 1995-08-28 | 1998-07-07 | Localmed,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luminal prosthesis delivery |
KR20080060247A (ko) * | 2005-09-21 | 2008-07-01 | 비-발론 엘티디. | 분기되는 풍선 및 스텐트 |
KR101480514B1 (ko) | 2011-05-26 | 2015-01-09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한 스텐트 |
KR20140054032A (ko) * | 2011-07-12 | 2014-05-08 | 러쉬 유니버시티 메디컬 센터 | 지퍼식 카테터를 구비한 혈관 분지부 스텐트 전개 시스템 |
KR20140140077A (ko) | 2012-03-16 | 2014-12-08 |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 스텐트 및 스텐트 전달 장치 |
KR20160022597A (ko) | 2014-08-20 | 2016-03-02 | 김현실 |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235751A1 (ko) | 2019-12-12 |
KR102125954B1 (ko) | 202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8844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procedural catheter in tortuous vessels | |
CN108882975B (zh) | 用于改善曲折血管中手术导管的接近的装置和方法 | |
JP5171804B2 (ja) | 動脈瘤コイル送達システム | |
JP6591583B2 (ja) | コイル付き動脈瘤装置 | |
JP6317678B2 (ja) | 医学的治療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US9277923B2 (en) | Balloon assisted occlusion of aneurysms | |
US7153323B1 (en) | Aneurysm liner with multi-segment extender | |
US2014023621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closing an anatomical opening, including shock absorbing aneurysm devices | |
US20150005801A1 (en) | Microcatheter system | |
JP6100454B2 (ja) | 生体管腔閉塞装置 | |
KR20200115319A (ko) | 동맥류 치료 장치 | |
CN101479006A (zh) | 在血管内输送和放置闭塞装置的系统和方法 | |
JP2008541832A (ja) | 管路内に閉塞装置を供給して展開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2018035B1 (ko) | 추가적인 고정 메커니즘을 가진 동맥류 장치 및 이와 관련된 시스템과 방법 | |
CN109745094B (zh) | 封堵装置 | |
JP2020157065A (ja) | 動脈瘤治療デバイス | |
US20190307457A1 (en) | Embolization scaffold devices | |
Coley et al. | Endovascular occlusion with a new mechanical detachable coil. | |
KR101703539B1 (ko) | 가이드 카테터 | |
KR20190138421A (ko) |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 |
CN106859723B (zh) | 一种血管内介入医学用体内可降解弹簧圈 | |
CN115192129A (zh) | 一种血栓锚定装置及新型机械取栓方法 | |
CN215821052U (zh) | 一种医用植入物及封堵系统 | |
JP2004519273A (ja) | 内視鏡的補綴物案内システム | |
KR102123088B1 (ko) |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