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470B1 -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 Google Patents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470B1
KR101119470B1 KR1020100052742A KR20100052742A KR101119470B1 KR 101119470 B1 KR101119470 B1 KR 101119470B1 KR 1020100052742 A KR1020100052742 A KR 1020100052742A KR 20100052742 A KR20100052742 A KR 20100052742A KR 101119470 B1 KR101119470 B1 KR 10111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balloon
main
sten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163A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102010005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6Y-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48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mechanical expandability, e.g. in mechanical, self- or balloon expand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된 Y자형 스텐트(separated Y-shaped stent)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funnel-shaped balloon)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를 구비한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주혈관전단부,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에 일 단계의 시술만으로 삽입, 착설되어 상기 혈관을 동시에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및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장착될 수 있는 깔때기형 풍선 도자 유닛에 대한 발명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분리된 Y자형 스텐트는,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을 원통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스텐트에 있어서,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을 원통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스텐트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혈관전단부에 삽입되는 주혈관전단부삽입부;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에서 연장되고, 분리선을 경계로 분리되어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 및 반원통 형상의 분지혈관삽입부를 포함하는 갈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는 주혈관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는 분지혈관에 삽입되며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와 접하는 굴곡지점를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내에서 굴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의 확장 및 유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지혈관삽입부 또는 주혈관후단부삽입부는 각각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중첩하여 연결된 분지혈관스텐트 또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혈관 내 삽입을 보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착설될 수 있는 풍선도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선도자유닛은 종래의 풍선도자유닛이 이용될 수도 있고,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깔때기형 풍선; 제3 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 및 깔때기형 풍선압력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형 풍선 도자 유닛이 이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separated Y-shaped stent of blood vessel and funnel-shaped balloon}
본 발명은 분리된 Y자형 스텐트(separated Y-shaped stent)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funnel-shaped balloon)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를 구비한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주혈관 및 분지혈관에 일 단계의 시술만으로 삽입, 착설됨으로써 상기 혈관이 동시에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및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장착될 수 있는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 동맥경화반 등에 의해 발병한 혈관협착증에 대한 치료 방법은 수술을 통하여 좁아진 혈관 및 관상형 조직을 우회하여 인공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방법, 체외에서 혈관 내로 풍선(balloon)을 삽입하고 팽창시켜 협착된 부위를 확장하는 방법, 스테인레스 스틸 등 소재의 금속망으로 구성된 스텐트(stent)를 협착된 혈관 내에 삽입하고 혈관 내벽에 착설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풍선을 이용하는 시술법은 협착된 혈관에 삽입된 혈관유도철선에 따라 압축된 풍선도자를 이동시키고, 상기 풍선도자를 외부에서 유체를 주입해 팽창시킴으로써 혈관을 확장한 후 상기 풍선도자를 제거함으로써 협착된 혈관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풍선을 이용한 시술법에 있어서 확장된 혈관이 재협착되는 비율이 30% 이상을 상회하여 재수술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방법은 종래의 풍선으로 확장된 혈관이 확장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재협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혈관을 확장하면서 동시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금속망으로 구성된 스텐트를 혈관 내벽에 착설함으로써 확장된 혈관이 지속적으로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기 스텐트 시술 방법은 일반 혈관 뿐만 아니라 협착된 분지혈관에서 시술될 수 있는데, 이하 이에 대해서 도 1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분지혈관(40) 및 주혈관(30, 50)이 협착된 경우 종래의 스텐트 시술 방법은, 분리혈관 구역(60)을 포함하는 주혈관(30, 50)에 스텐트(200)를 선(先) 장착하고, 그후 순차적으로 분지혈관(40)에 별도의 스텐트를 착설하는 연속된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는 반대로 분지혈관(40)에 먼저 스텐트(300)를 착설한 후 순차적으로 분리혈관 구역(60)을 포함하는 주혈관(30, 50)에 착설하는 단계를 거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1a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분리혈관 구역(60)을 포함하는 주혈관(30, 50)에 스텐트를 착설하고 분지혈관(40)에 순차적으로 스텐트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주혈관(30, 50) 내의 협착된 부위에 혈관유도철선의 유도에 따라 스텐트(200)가 장착된 풍선도자유닛이 삽입되고, 외부에서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를 풍선도자 내부에 주입하여 풍선도자유닛이 팽창됨으로써 스텐트(200) 및 주혈관(30, 50)이 확장된 후 풍선도자유닛이 제거됨으로써 주혈관(30, 50)에 스텐트(200)가 착설된다. 상술한 바를 통해 상기 스텐트(2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설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텐트(200)는 분리혈관 구역(60)에도 착설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스텐트(200)가 착설된 후에도 분지혈관이 여전히 협착되어 분지혈관(40)에 새로 별도의 스텐트를 시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분지혈관에 별도의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주혈관(30, 50)에 착설된 스텐트(200)의 망 사이를 통과하여 혈관유도철선을 분지혈관 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망 사이로 별도의 스텐트를 외면에 장착한 풍선도자유닛을 상기 혈관유도철선의 유도를 통하여 분지혈관(40) 내에 삽입, 위치시킨다. 상기 풍선도자유닛을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流體)를 이용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분지혈관에 삽입된 스텐트 및 분지혈관이 확장된다. 상술한 단계를 통하여 분지혈관에 삽입된 스텐트는 분지혈관에 착설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시술법은 분지혈관에 삽입될 스텐트를 장착한 풍선도자가 상기 주혈관에 착설된 스텐트(200) 사이의 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분지혈관에 스텐트를 시술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먼저 분지혈관(40)에 스텐트를 장착하고 주혈관(30, 50)에 순차적으로 스텐트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도 1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분지혈관(40)에 스텐트(300)를 시술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가 분지혈관 내부에 온전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혈관지점(31)에 상기 스텐트(300)의 말단이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텐트 자체의 기본적인 형상, 즉 원통형 형상에 기인하여 상기 스텐트의 일부가 분지혈관 외부 즉, 분리혈관 구역(60) 내로 돌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로 인하여 추후 주혈관후단부(50)에 별도의 스텐트를 시술하는 경우 상기 스텐트(300)의 돌출된 부분이 주혈관후단부(50)의 일부를 차단하게 되어, 주혈관후단부(50)에의 스텐트의 삽입 및 착설이 어려워져 스텐트 시술시 별도의 스텐트가 정확한 위치에 착설되지 않거나 주혈관후단부(50)에 대한 스텐트 시술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텐트 삽입 기술은 일 회(回)의 시술로 안정적으로 혈관 내벽에 착설되는 것만은 아니다. 스텐트 삽입을 위한 일 회의 시술 후 혈관 내 초음파 장치(IVUS; Intravascular ultrasound)를 상기 스텐트가 착설된 혈관에 삽입하여 착설 여부 및 착설 위치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스텐트가 제대로 착설되지 않았거나 착설 위치가 잘못된 경우엔 반복 시술로 협착된 부위에 스텐트 착설을 재시도함으로써 비로소 스텐트가 혈관 내벽의 예정된 부위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지혈관 및 주혈관 양 혈관 모두에 스텐트를 삽입 시술하는 경우에 있어선 일 혈관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회수의 시술을 시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종래 스텐트를 개량한 반 열린 스텐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이 개발되었다. 등록 특허인 '반 열린 스텐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등록번호 10-0940993, 출원번호 10-2008-0038869)에 의하면 종래 2 단계로 시술하던 분지혈관 및 주혈관후단부에 스텐트를 착설하는 시술 방법은 상기 특허발명을 통해 일 단계 시술만으로 가능해졌고, 또한 스텐트 유닛이 하단부의 절반이 제거되어 열린 형상을 가짐으로써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기장착된 스텐트가 다음 단계의 시술에 있어서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등록특허에 의해서는 분지혈관(40) 및 주혈관후단부(50)에만 동시에 스텐트를 착설할 수 있었고, 상지 분지혈관(40) 및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된 각각의 스텐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일반혈관용 스텐트를 별도의 단계를 통해 추가적으로 장착해야 하여 여전히 많은 회수의 시술을 반복, 시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잔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주혈관전단부,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에 주혈관전단부용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용 스텐트 및 분지혈관용 스텐트를 동시에 삽입하여 상기 스텐트들과 혈관을 동시에 확장시킴으로써 최소한의 시술로 주혈관 및 분지혈관의 협착 증세를 치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스텐트 시술 방법에 있어서, 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할 때 혈관 내에 기장착된 스텐트가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것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 및 분지혈관삽입부에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중첩적으로 착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주혈관 및 분지혈관 내에서 불안정하게 장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 장착함에 있어서 주혈관전단부가 주혈관후단부보다 지나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리된 Y자형 스텐트는,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을 원통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스텐트에 있어서,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을 원통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스텐트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혈관전단부에 삽입되는 주혈관전단부삽입부;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에서 연장되고, 분리선을 경계로 분리되어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 및 반원통 형상의 분지혈관삽입부를 포함하는 갈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는 주혈관후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는 분지혈관에 삽입되며;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 또는 상기 분지혈관삽입부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와 접하는 굴곡지점를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내에서 굴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의 확장 및 유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는, 분지혈관스텐트 또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혈관 내 삽입을 보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착설될 수 있는 풍선도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선도자유닛은 종래의 풍선도자유닛이 이용될 수도 있고, 특허발명인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깔때기형 풍선; 제3 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 및 깔때기형 풍선압력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형 풍선 도자 유닛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처럼 다수의 혈관에 순차적으로 스텐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분지혈관스텐트와 더불어 장착되므로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를 각각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 착설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시술 이후 새로운 스텐트를 시술함에 있어 장애 요소가 제거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 및 분지혈관삽입부 에 주혈관후단부스텐트와 분지혈관스텐트가 중첩적으로 착설됨으로써 종래의 스텐트 시술에 있어서 종래의 스텐트가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 내에서 불안정하게 장착될 수 있는 가능성이 감소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삽입을 보조하기 위한 도구로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혈관 내에 착설함에 있어서 주혈관전단부의 직경이 주혈관후단부의 직경보다 2배 이상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1b는 종래의 분지혈관 및 주혈관에 스텐트를 시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단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측면도,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도 2f 및 도 2h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일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형성되는 망의 형상의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선도자유닛 및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조립된 풍선도자유닛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 및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의 각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의 단면구성도와 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각도 풍선도자에 분리된 Y자형 스텐트유닛이 착설된 상태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및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착설된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유닛이 협착 혈관 내에 시술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아래의 도면은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1) 먼저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2)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장착된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3)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풍선도자유닛에 대한 실시예 중에서 종래 혈관 내 스텐트 삽입을 위해 사용되던 풍선 및 상기 종래 사용되면 풍선에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장착된 상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4) 그리고 등록 특허인 '반 열린 스텐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등록번호 10-0940993, 출원번호 10-2008-0038869)에서 설명된 자유각도 풍선도자유닛 및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상기 자유각도 풍선도자유닛에 장착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5) 다음으로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을 설명하고 상기 깔대기형 풍선도자유닛에 상기 분리된 Y자형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장착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6) 마지막으로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 및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착설된 풍선도자유닛이 협착 혈관에 시술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1)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2c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접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2f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외형에 대한 다양한 일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에서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wire)로 구성된 망으로 형성된 스텐트 유닛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혈관전단부에 삽입되는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에서 연장된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혈관후단부에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에서 연장된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지혈관에 삽입되는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또는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와 연결되는 외면에 외측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열리게 하는 굴곡지점(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h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는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및 갈래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및 상기 갈래부(120)의 구분은 측면에 분리선(124)의 형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원통형 스텐트의 측면에 두 개의 선(線) 형태로 형성된 상기 분리선(124)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일 말단에서부터 상기 분리형 Y자형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리형 Y자형 스텐트의 상기 일 말단에서 3분의 2 되는 지점에 형성된 분리 종료 지점까지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측면의 3분의 2 정도를 분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하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중 상기 분리선(124)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가 두 갈래로 분리된 부분이 갈래부(120), 분리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라 한다.
상기 갈래부(120)와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를 구분하는 상기 분리선(124) 내측 말단의 분리 종료 지점은, 갈래부(120)의 길이와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의 길이가 2 대 1의 비율이 되는 지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가 삽입될 분지혈관 또는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가 삽입될 주혈관후단부에 순응하게 임의의 위치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갈래부(120)에 대한 일례를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설명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갈래부(120)는, 상기 분리선(124)에 의해 두 갈래로 분리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갈래의 반원통 형상은 각각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형성한다.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와 스텐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나,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분지혈관삽입부(122)은 분리선(124)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어, 각각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에 별도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분지혈관삽입부(122)의 둘레길이는 상기 분리선(124)의 형성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형성할 구역의 폭(①) 및 주혈관후단부삽입부를 형성할 폭(②+③)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길이의 다양성을 성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형성할 구역의 폭(①)이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를 형성할 폭(②+③)의 길이와 동일하게 함으로써(즉, ① = ②+③)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형성할 구역의 폭(①)을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를 형성할 폭(②+③)의 길이보다 단축함으로써(즉, ① < ②+③) 분지혈관삽입부를 주혈관후단부삽입부보다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분지혈관의 직경이 주혈관후단부의 직경보다 작음에 비추어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형성할 구역의 폭(①)은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를 형성할 구역의 폭(②+③)보다 짧게 형성됨이 일반적일 것이다.
도 2b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의 상단면에 형성된 굴곡지점(123)를 축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내에서 굴곡됨으로써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가 Y자 형태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곡지점(123)는, 외면의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가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굴곡지점(123)를 축으로 하여 외측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의 휘어짐은,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와 분리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굴곡지점(123) 및 그 주변의 다수의 파형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압축, 응축되거나 또는 스텐트의 망 소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굴곡지점(123) 및 그 주변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내부로 함몰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분지혈관삽입부(122)는 도 2b 및 도 2d와 같은 형태로 상 방향으로 휘어져 굽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식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b와 같이 도시된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갈래부(120)의 말단이 열린다.
물론 열린 상태에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지혈관삽입부(122) 말단이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말단에 접근하여 갈래부(120)의 말단이 닫히는 것도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물론 상술한 작동은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된 파형 와이어 간의 거리 또는 망 소재의 탄력성의 한계로 인하여 일정한 각도 이내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회전 범위 즉, 회전각이 좁다 하더라도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회전각은 분지혈관 및 주혈관후단부의 내각보다 충분히 커서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분지혈관 및 주혈관후단부, 양 혈관에 함께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역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와 동일하게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의 하단면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의 측면이 연결되어 형성된 일 면의 중심부 근처에 굴곡지점이 형성되어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는 상기 굴곡지점을 축으로 하여 상술한 분지혈관삽입부(122)가 굴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인체 내 혈관의 분지(分枝)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혈관 내에도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삽입, 착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상기 분리선(124)에 대한 일례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설명한다.
도 3a는 종래의 일반적인 스텐트의 망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 스텐트에 있어서 다수의 파형 와이어의 망형상은 링 형상이거나 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파형 와이어가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망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망형상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스텐트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종래의 망형상으로 구성된 스텐트에 상기 분리선(124)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형 와이어의 망은 세부적으로 복수의 파형 와이어 및 각 파형 와이어 간의 연결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상부망 및 하부망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의 파형 와이어의 말단 간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부재(不在)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중첩되어 있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상부망과 상기 하부망은 분리되고 상기 구조를 통해 상기 분리선(124)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는 상기 분리선(124)의 외형에 따라 도 2f 내지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f 및 도 2g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분리선은 분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갈래부의 일 말단에까지 상기 상부망의 파형 와이어 말단과 상기 하부망의 파형 와이어 말단 간의 간격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되면서 V자 형상으로 넓어지거나 또는 상부망의 파형 와이어 말단과 하부망의 파형 와이어 말단 간의 간격이 증가되면서 곡면을 가진 V자 형상으로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지혈관삽입부 및 주혈관후단부삽입부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선의 외형이 원통의 측면을 두 부분에서 완곡한 선분으로 구성된 삼각형 형상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갈래부의 말단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선의 외형이 원통의 측면을 두 부분에서 완곡한 선분으로 구성된 삼각형 형상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갈래부의 말단은 뽀족한 삼각형의 형태의 첨단(尖端)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선은 일정한 돌출부(12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는,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혈관 내에 착설되는 경우 스텐트 미착설 분지혈관 내벽의 지지를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즉, 도 4를 통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혈관 내에 착설되는 경우 분지혈관 구역 내에 혈관 내벽에는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장착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에 상기 돌출부(125)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Y자형 스텐트의 혈관 내 착설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이하 도 4에 도시된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에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착설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대한 전체구성도로, 특히 혈관 내에 밀착하여 확장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술한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는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에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중첩되어 연결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에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중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는 혈관 내에 삽입하는 종래의 스텐트와 구성 및 소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의 스텐트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각각의 스텐트는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에 중첩적으로 착설되므로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의 길이 또는 직경은 각각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의 길이 또는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대해서는 상술하였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에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착설되는 방법은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를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의 외면에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내면을 접착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간의 상기 연결은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를 동시에 압축하는 외부의 압축력에 의해 접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고, 다른 일례에 있어서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혈관 내에서의 확장에 장애요소가 되지 않는 선에서 상기 두 스텐트를 구성하는 일 이상의 파형 와이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의 와이어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의 와이어 간에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및 고정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분지혈관스텐트(300)를 연결하는 방법은 상술한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를 연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서 이룰 수 있다.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에 연결되는 분지혈관스텐트(300) 또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는 혈관 협착 증세에 따라서 양자 모두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에 연결될 수도 있고, 혹은 분지혈관 또는 주혈관후단부 중 어느 하나에만 협착 증세가 있는 경우에는 양자 중 어느 하나만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는,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각각에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를 구비할 수 있고, 후술하는 시술 방법에 따라 주혈관전단부,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에 함께 착설되어 종래 기술보다 확장된 혈관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혈관 내에 착설된 상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과 결합되어 혈관 내에 착설되어 있다.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중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는 주혈관전단부(30)에 착설되어 있고, 분지혈관삽입부(122)는 분지혈관(40) 내벽의 제1혈관지점(31)으로부터 분지혈관(40) 내벽에 설치된다. 굴곡지점(123)은 상기 제1혈관지점(31)에 위치된다. 한편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는 주혈관후단부(50)로 삽입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는 서로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있어 혈관 내에 다른 풍선도자유닛 등이 충분히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빈 공간이 분지혈관 구역에 형성된다. 한편 분지혈관스텐트(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지혈관삽입부(122)와 후단부의 일 측면에 있어서 중첩되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 측면의 반대 측면은 제2혈관지점(51)에 접하고 있어,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는 주혈관후단부 내로 도출되지 않는다. 또한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는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의 후단부의 일 측면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으며 반대 측면은 제2혈관지점(51)에 접하고 있다. 따라서 분지혈관의 입구 앞에 설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와 분지혈관스텐트(300)는 겹쳐지지도 않는다.
상기와 같이 혈관 내에 본 발명을 설치함에 있어서 스텐트들이 완전히 혈관벽에 설치되고 혈관 내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혈관 내에 시술에 있어서의 장애 요소가 제거되는 장점이 생기는 것이다.
(3) 이하 도 5a 내지 5b를 참조하여 일실시예로써 종래 사용되던 풍선 및 종래 사용되면 풍선에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전단부스텐트 및 주혈관후단부스텐트가 장착된 상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풍선(balloon)으로 구성된 풍선도자유닛 및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조립된 풍선도자유닛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a 상단에 도시된 풍선은 분지혈관에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1분지풍선(42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 하단에 도시된 풍선은 주혈관후단부에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 하단에 도시된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은 주혈관후단부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은 내부에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411),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412) 및 제1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41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412) 외부에는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이, 내부에는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411)이 배치된다.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412)은 혈관에 배치되어 있는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411)을 따라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과 더불어 주혈관후단부 내로 진입한다.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412) 외면에 설치된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413)은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의 내부에 압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이 팽창되도록 한다.
도 5a 상단에 도시된 상기 제1분지풍선(420)은 제1분지혈관유도철선(421), 제1분지혈관유도철선관(422) 및 제1분지풍선압력공급관(423)을 포함하고 있고, 분지혈관에 삽입된다. 상기 제1분지풍선(420) 및 개별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및 상기 제1분지풍선(420)의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의 개별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1분지풍선(420)은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보다 직경에 있어서 5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및 주혈관후단부, 분지혈관스텐트(200, 30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풍선의 외부에 장착하여 혈관 내에 삽입하는 경우 분지혈관 및 주혈관후단부에는 각각 제1분지풍선 및 제1주혈관후단부풍선이 개별적으로 삽입되나 주혈관전단부에는 상기 제1분지풍선 및 제1주혈관후단부풍선이 함께 삽입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의 직경이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의 직경보다 2배 정도로 확장되어 주혈관전단부이 주혈관후단부보다 지나치게 크게 확장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1분지풍선(420)과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의 후단부(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가 착설되는 부분)가 일정 범위에 걸쳐 접착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는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과 제1분지풍선(420)이 시술 중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b는 상기 두 종류의 풍선(410,420)에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조립된 상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에서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및 제1분지풍선(420)의 일 말단은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내부에 삽입되고 타말단은 각각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또는 분지혈관스텐트에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는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및 상기 제1분지풍선(420) 외부에 착설되고,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와 연결된 분지혈관스텐트(300)는 제1분지풍선(420) 외부에,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와 연결된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는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외부에 착설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한다.
(4) 이하 등록 특허인 '반 열린 스텐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등록번호 10-0940993, 출원번호 10-2008-0038869)에서 설명된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 및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에 장착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bifurcation free angle balloon) 및 자유각도풍선도자의 각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의 단면구성도와 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및 분리된 Y자형 스텐트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에 대해서는 등록특허 '반열린 스텐트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등록번호 10-0940993, 출원번호 10-2008-0038869)의 문단 0045 내지 문단 0058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 설명된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에 대해 약술하기 위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은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제2분지풍선(520), 제2혈관유도철선관(512,522) 및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513) 및 제2분지풍선압력공급관(5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분지풍선(520)은, 일단이 모이는 형상으로,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의 측면에서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결합하는 결합부(53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혈관유도철선관(512, 522)과 상기 제2풍선압력공급관(513, 523)이 관통하는 부분 이외는 밀폐되어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및 상기 제2분지풍선(520)은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513) 및 제2분지풍선압력공급관(523)에 의해 개별적으로 팽창된다. 상기 제2분지풍선(520)은 상기 결합부(530)를 힌지축으로 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500)은 제2분지풍선과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이 접혀진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리는 과정을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도 6a의 상단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자유각도풍선유닛의 기본적인 형상은 상기 제2분지풍선(520)이 상기 제1분지풍선(420)에 평행한 상태로 근접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분지풍선은 도 6a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30)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분지풍선(52)과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사이에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과 상기 제2분지풍선(520)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혈관유도철선(511,52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6c를 참조하여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에 분리된 Y자형 스텐트가 조립된 형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500)에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조립된 측면도이다. 도 6c에서 도시된 본 발명은 제2주혈관후단부풍선 및 제2분지풍선에 압력을 삽입하여 풍선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풍선이 팽창하기 전의 상태에 대해서는 도 8a에 도시되어 있다.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각각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분지혈관삽입부(122) 외측면에 연결된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조립되는 과정은, 먼저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내부에 상기 자유각도도자유닛(500)의 제2분지풍선(520)이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에 밀착되어 접혀진 상태로 제2풍선압력공급관(513, 523)이 도출된 부위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자유각도도자유닛(500)은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가 상기 제2분지풍선(520) 상단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가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 하단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때까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분지풍선(520)과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을 연결하는 결합부(500)가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 말단의 굴곡지점 근처에 위치할 때까지 삽입함으로써 삽입 시술 과정에서 상기 제2분지풍선(520)이 분지혈관으로 삽입되기 위해 열리는 경우에 분지혈관삽입부(122)도 함께 안정적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가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및 제2분지풍선(520) 외부에 착설되면,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의 외부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가 착설된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의 외부에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착설되고 압축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위에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중첩되어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을 감싸고 있는 형상이 된다.
동일 방법으로 분리된 Y자형 스텐트의 분지혈관삽입부(122)의 외부 및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가 착설된 제2분지풍선의 외부에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착설되고 압축되어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 위에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중첩되어 상기 제2분지풍선을 감싸고 있는 형상이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상기 자유각도 도자유닛의 외부에 조립된다.
(5) 이하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및 상기 분리된 Y자형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상기 깔대기형 풍선도자유닛에 조립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텐트가 장착되기 위한 준비 단계로 두 개의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이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조립된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a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600)은, 일 풍선 즉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전단부 말단의 직경(⑦)이 상기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후단부 말단의 직경(⑥)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 말단에서 상기 후단부 말단까지의 풍선의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단부의 말단은 상기 풍선이 혈관 내에 삽입될 시 주혈관후단부의 방향을 향하고, 상기 후단부의 말단은 상기 풍선이 혈관 내에 삽입될 시 주혈관전단부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깔때기형풍선도자유닛(60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면 상기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전단부 말단 부위 근처가 상기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다른 측면보다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후단부 말단 근처는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깔때기형 풍선은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전단부 말단은 풍선의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611) 및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61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단부 말단은 제3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이 상술한 바와 같은 외형을 구비하고 있는 이유는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종래의 풍선도자유닛을 이용하여 혈관 내에 착설할 경우 주혈관전단부가 협착 전보다 더 확장되어 안전에 대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문제점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인 분리된 Y자형 스텐트를 삽입, 시술하는데 있어서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를 두 개 이상이 중첩된 종래의 풍선도자유닛의 외부에 조립한 후 혈관 내에 삽입하여 상기 스텐트를 착설시키는 경우 분지혈관 및 주혈관후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풍선이 삽입되나, 상기 분지혈관 및 주혈관후단부가 만나는 지점인 주혈관전단부에는 상기 종래의 풍선 두 개가 함께 삽입되게 된다. 이후 풍선에 유체가 주입되어 상기 두 풍선이 동시에 팽창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풍선을 분지혈관 및 주혈관후단부를 협착 전의 혈관 크기에 상응하도록 팽창시키면, 상기 분지혈관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는 협착 전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으나, 상기 두 개의 풍선이 삽입된 주혈관전단부는 두 개의 풍선의 팽창으로 인하여 협착 전보다 최대 2배 정도 초과하여 확장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역시 약 최대 2배 정도로 과도하게 확장된 주혈관전단부에 착설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형성된 깔때기형 풍선의 경우에는, 종래의 풍선에 있어서 일 말단의 직경(⑥)을 타 말단의 직경(⑦)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주혈관전단부의 풍선의 팽창 정도를 종래의 풍선보다 감소시켜 주혈관전단부의 혈관의 직경이 협착 전 혈관의 직경보다 지나치게 크게 확장된 상태로 스텐트가 착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부분 외의 다른 부분들,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611),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612) 및 제3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613)에 대한 설명은 도 5a 및 도 5b 및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상기 깔때기형 풍선에 스텐트가 장착되기 위해서는 우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풍선(610, 620)이 각각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후단부 및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제3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613)이 구비된 후단부 말단 근처과 제2깔때기형풍선(620)의 후단부 및 제2깔때기형풍선(620)의 제3분지풍선압력공급관(623)이 구비된 후단부 말단 근처에서 중첩적으로 겹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술한 분리된 Y자형 스텐트, 분지혈관스텐트 및 주혈관후단부스텐트가 상기 제1깔때기형 풍선(610) 및 제2깔때기형 풍선(620) 외면에 장착된다.
도 7c를 참조하여 분리된 Y자형 스텐트, 분지혈관스텐트 및 주혈관후단부스텐트가 상기 제1깔때기형 풍선(610) 및 제2깔때기형 풍선(620) 외면에 장착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상기 갈래부(120) 내로 상기 두 깔때기형 풍선(610, 620)이 함께 삽입된다.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제3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613)이 구비된 말단과 상기 제3분지풍선압력공급관(623)이 구비된 말단이 서로 근접하고 있는 양 깔때기형 풍선(610, 620)의 후단부로부터이다. 이를 통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는 상기 두 깔때기형 풍선(610, 620)의 외면에 장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가 상기 두 깔때기형 풍선(610, 620) 모두의 외면에,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은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외면에,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제2깔때기형풍선(620)의 외면에 장착되게 된다.
한편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는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611)이 관통하는 상기 제1깔때기형풍선(610)의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612)이 구비된 전단부 말단 외면에 장착되고, 분지혈관스텐트(300)은 제3분지혈관유도철선(621)이 상기 제2깔때기형풍선(620)의 제3분지혈관유도철선관(622)이 구비된 전단부 말단 외면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를 통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깔때기형 분지풍선 외면에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장착된다.
(6) 이하 도 8a 내지 도 8d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이 협착혈관 내에 시술되어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혈관 내에 착설되는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이 압축된 형태로 협착된 혈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및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유닛은 압축된 상태로 혈관 내로 진입하여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511) 및 제2분지혈관유도철선(521)에 따라 협착된 혈관 근처로 이동한다.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500)의 제2분지풍선(520) 외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분지혈관삽입부(122)가 착설되어 있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 외측면 및 상기 제2분지풍선(520) 외면에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는 후단부에 있어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의 갈래부에 중첩되어 있다.
동일하게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500)의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외면에는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가 착설되어 있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외측면 및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외면에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착설된다.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는 후단부에 있어서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의 갈래부에 중첩되어 있다.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511)은 주혈관후단부(50)에 기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2분지혈관유도철선(521)은 분지혈관(40) 내에 기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및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유닛이 예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이 각 구성의 기능에 따라 벌어지면서 주혈관전단부,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이 혈관 내 협착 부위에 도달한 후,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은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512)과 함께 주혈관후단부(50)으로 진입하고, 제2분지풍선(520)은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과 결합되는 결합부(530)를 힌지축으로 하여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과 멀어지면서 벌려지고 열려 상기 제2분지혈관유도철선(521)을 따라 상기 제2분지혈관유도철선관(522)과 함께 분지혈관(40)으로 진입한다. 이때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과 제2분지풍선(520)이 이루는 각도는 분지혈관(40)과 주혈관후단부(50)에 기배치된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511) 및 상기 제2분지혈관유도철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에 순응하는바, 제2분지풍선(520)은 분지혈관(40)에 진입하면서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과 더욱 멀어지고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511) 및 상기 제2분지혈관유도철선(521) 사이에 형성된 각과 동일한 각도로 벌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500)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500)에 착설된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분지혈관삽입부(122),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도 함께 벌어져 최종적으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된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이 주혈관전단부, 주혈관후단부 및 분지혈관 내에서 팽창되어 혈관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8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착설된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이 혈관 내 협착 부위에서 벌어져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 각각이 개개의 혈관에 삽입된 후,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513) 및 상기 제2분지풍선압력공급관(523)을 통해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가 주입되어 상기 자유각도 풍선도자 유닛은 팽창하고, 팽창 압력은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 및 분지혈관스텐트(300)를 확장시킨다. 상기 스텐트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확장되어 혈관 벽에 설치된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이 제거되고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잔존하여 협착된 혈관을 확장시킨 상태로 유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지 제2분지풍선 및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에 주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면, 상기 풍선들(510,520)은 수축하고 상기 스텐트들(100, 200, 300)만이 혈관 내에서 팽창된 상태로 잔존하여 혈관의 팽창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상기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의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는 주혈관전단부(30)을 팽창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는 주혈관후단부(50)을 팽창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 및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는 분지혈관(40)을 팽창시킨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후 자유각도풍선도자를 철수시키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100, 200, 300)가 협착 혈관 내에 설치된 상태가 되어 혈관에 대한 스텐트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다. 상기 스텐트(100,200,300)가 혈관 내에 착설된 상태에 대한 설명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다.
또한 당업자라면 상술한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주혈관후단부스텐트 및 분지혈관스텐트가 장착된 깔때기형 풍선 역시 상술한 스텐트가 장착된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분지혈관, 주혈관전단부 및 주혈관후단부에 착설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30: 주혈관전단부 40: 분지혈관
50: 주혈관후단부 60: 분지혈관 구역
100: 분리된 Y자형 스텐트 110: 주혈관전단부삽입부
120: 갈래부 121: 주혈관후단부삽입부
122: 분지혈관삽입부 123: 굴곡지점
124: 분리선 125: 돌출부
200: 주혈관후단부스텐트 300: 분지혈관스텐트
400: 풍선도자 유닛 410: 제1주혈관후단부풍선
420: 제1분지풍선 411: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
412: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 413: 제1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
421: 제1분지혈관유도철선 422: 제1분지혈관유도철선관
423: 제1분지풍선압력공급관 500: 자유각도풍선도자유닛
510: 제2주혈관후단부풍선 520: 제2분지풍선
511: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 512: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
513: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 521: 제2분지혈관유도철선
522: 제2분지혈관유도철선관 523: 제2분지풍선압력공급관
600: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610: 제1깔때기형풍선
611: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 612: 제3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
613: 제3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 620: 제2깔때기형풍선
621: 제3분지혈관유도철선 622: 제3분지혈관유도철선관
623: 제3분지풍선압력공급관

Claims (14)

  1. 협착된 혈관에 설치되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으로 형성된 스텐트 유닛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혈관전단부(30)에 삽입되는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에서 연장되고, 분리선(124)을 경계로 분리된 반원통 형상의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반원통 형상의 분지혈관삽입부(122)로 구성된 갈래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는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분지혈관(40)에 삽입되며,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또는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와 연결되는 외면에 일정 각도 내에서 굴곡될 수 있는 굴곡지점(12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에 연결되고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지혈관(40)에 삽입되는 분지혈관스텐트(3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에 연결되고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124)은, 분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갈래부(120)의 일 말단에까지 상부망의 파형 와이어의 상기 분리선(124) 측 말단과 하부망의 파형 와이어의 상기 분리선(124) 측 말단 간의 간격이 벌어져 V자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124)은, 분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갈래부(120)의 일 말단에까지 상부망의 파형 와이어의 상기 분리선(124) 측 말단과 하부망의 파형 와이어의 상기 분리선(124) 측 말단 간의 간격이 증가되어 V자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뽀족한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
  6.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기 위해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으로 형성된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 도자 유닛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지혈관(40)에 삽입되는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또는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와 연결되는 외면에 위치한 굴곡지점(123)를 축으로 하여 외측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가 착설되어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가 착설되어 분지혈관(40)으로 삽입되는 제1분지풍선(420), 외면에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이 설치되고 내면에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411)이 삽입되는 제1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412),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내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을 팽창시키는,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내에 배치되는 제1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413), 외면에 상기 제1분지풍선(420)이 설치되고 내면에 제1분지혈관유도철선(421)이 삽입되는 제1분지혈관유도철선관(422) 및 상기 제1분지풍선(420) 내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분지풍선(420)을 팽창시키는, 상기 제1분지풍선(420) 내에 배치되는 제1분지풍선압력공급관(423)를 포함하는 풍선도자유닛(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도자유닛.
  7.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지풍선(420)은, 상기 제1분지풍선(420)의 직경이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직경의 50% 이상 1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도자유닛.
  8.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망으로 형성된, 분지혈관(40)에 삽입되는 분지혈관스텐트(300)의 후단부와 중첩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망으로 형성된,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의 후단부와 중첩되며,
    상기 제1분지풍선(420) 외면에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장착되고,
    상기 제1주혈관후단부풍선(410) 외면에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도자유닛.
  9.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기 위해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으로 형성된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 도자 유닛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에서 연장된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에서 연장된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지혈관(40)에 삽입되는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또는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와 연결되는 외면에 위치한 굴곡지점(123)를 축으로 하여 외측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및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가 착설되어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일단이 모이는 형상으로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의 측면에서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가 착설되어 분지혈관(40)으로 삽입되는 제2분지풍선(520), 외면에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이 설치되고 내면에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511)이 삽입되는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512),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내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을 팽창시키는,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내에 배치되는 제2주혈관후단부풍선압력공급관(513), 외면에 상기 제2분지풍선(520)이 설치되고 내면에 제2분지혈관유도철선(521)이 삽입되는 제2분지혈관유도철선관(522) 및 상기 제2분지풍선(520) 내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분지풍선(520)을 팽창시키는, 상기 제2분지풍선(520) 내에 배치되는 제2분지풍선압력공급관(523)를 포함하는 풍선도자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도자유닛.
  10. 청구항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과 상기 제2분지풍선(520)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511) 또는 상기 제2분지혈관유도철선(52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도자유닛.
  11. 청구항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에 중첩적으로 결합되어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는,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지혈관삽입부(122)에 중첩적으로 결합되어 분지혈관(40)에 삽입되는 분지혈관스텐트(3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2분지풍선(520) 외면에 상기 분지혈관스텐트(300)가 착설되고,
    상기 제2주혈관후단부풍선(510) 외면에 상기 주혈관후단부스텐트(200)가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도자유닛.
  12. 외부에 혈관 내 착설되는 스텐트를 구비하여 스텐트와 동시에 혈관 내로 삽입되고 혈관 내에서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스텐트를 팽창시켜 스텐트의 혈관 내 착설을 지원하는 풍선도자유닛에 있어서,
    분지혈관(40) 또는 주혈관후단부(50) 방향의 일 말단의 직경이 반대 방향의 타 말단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 말단에서 상기 타 말단까지의 풍선의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축소되는 깔때기형 풍선;
    외면에 상기 깔때기형 풍선이 설치되고 내면에 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이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 및
    상기 깔때기형 풍선 내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풍선을 팽창시키는 상기 깔때기형 풍선 내에 배치되는 깔때기형 풍선압력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13. 청구항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 풍선의 주혈관전단부에 삽입되는 일 말단의 직경은 타말단의 직경의 50% 이상 1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14. 협착된 혈관을 팽창시키기 위해 다수의 파형 와이어로 구성된 망으로 형성된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풍선 도자 유닛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에서 연장된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혈관후단부(50)에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및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에서 연장된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지혈관(40)에 삽입되는 분지혈관삽입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주혈관후단부삽입부(121) 또는 분지혈관삽입부(122)는 상기 주혈관전단부삽입부(110)와 연결되는 외면에 위치한 굴곡지점(123)를 축으로 하여 외측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100); 및
    분지혈관(40) 또는 주혈관후단부(50) 방향의 일 말단에서 반대 방향의 타말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형 풍선, 외면에 상기 깔때기형 풍선이 설치되고 내면에 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이 삽입되는 주혈관후단부유도철선관, 및 상기 깔때기형 풍선 내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풍선을 팽창시키는 상기 깔때기형 풍선 내에 배치되는 깔때기형 풍선압력공급관을 포함하는 깔때기형 풍선 도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Y자형 스텐트 유닛이 장착된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KR1020100052742A 2010-06-04 2010-06-04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KR10111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42A KR101119470B1 (ko) 2010-06-04 2010-06-04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42A KR101119470B1 (ko) 2010-06-04 2010-06-04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63A KR20110133163A (ko) 2011-12-12
KR101119470B1 true KR101119470B1 (ko) 2012-02-22

Family

ID=4550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742A KR101119470B1 (ko) 2010-06-04 2010-06-04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83A (ko) * 2017-02-23 2018-08-3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WO2019235751A1 (ko) * 2018-06-05 2019-12-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615B1 (ko) * 2015-09-23 2016-01-19 신경민 분지형 스텐트
CN108095857A (zh) * 2017-12-18 2018-06-01 上海脉全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用于分叉处血管病变的可降解支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9560A (en) 1994-11-03 2000-08-08 Divysio Solutions Ltd. Expandable bifurcated stent and method for delivery of same
US20070276468A1 (en) 2005-05-24 2007-11-29 Inspiremd Ltd. Bifurcated stent assemblies
KR20080016785A (ko) * 2005-02-03 2008-02-22 지. 데이비드 장 3단 프로파일 풍선 카테터
KR20090113017A (ko) * 2008-04-25 2009-10-29 김대성 반 열린 스텐트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유 각도풍선도자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9560A (en) 1994-11-03 2000-08-08 Divysio Solutions Ltd. Expandable bifurcated stent and method for delivery of same
KR20080016785A (ko) * 2005-02-03 2008-02-22 지. 데이비드 장 3단 프로파일 풍선 카테터
US20070276468A1 (en) 2005-05-24 2007-11-29 Inspiremd Ltd. Bifurcated stent assemblies
KR20090113017A (ko) * 2008-04-25 2009-10-29 김대성 반 열린 스텐트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유 각도풍선도자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83A (ko) * 2017-02-23 2018-08-3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KR101960294B1 (ko) 2017-02-23 2019-03-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WO2019235751A1 (ko) * 2018-06-05 2019-12-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63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558A (en) Intraluminal grafting of a bifuricated artery
CA2597695C (en) Device allowing the treatment of bodily conduits at an area of a bifurcation
US5693088A (en) Intraluminal vascular graft
CA220244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anting a prosthesis within a body passageway
US5562724A (en) Endovascular graft prosthesis and an implantation method for such a prosthesis
JP4212477B2 (ja) 湾曲したルーメン用のプロテーゼ
US20080221655A1 (en) Bifurcated Balloon and Stent
KR101119470B1 (ko) 분리된 υ자형 스텐트 및 깔때기형 풍선도자유닛
WO2000020064A1 (en) Guidewire capture device
US7323007B2 (en)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JP2004521722A (ja) 血管内ステント留置用医用器具
WO2009086200A1 (en) Hinged endovascular device
KR20050118744A (ko) 인조혈관 스텐트
WO2000057813A9 (en) Angular vascular stent
KR100940993B1 (ko) 반 열린 스텐트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유 각도풍선도자유닛
CN112804964A (zh) 支架类型的主动脉植入物和由两个这样的植入物形成的组件
KR100728253B1 (ko) 분지혈관용 스텐트 및 이를 포함한 풍선도자 유닛
RU98100212A (ru) Разветвленный внутрисосудистый ст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