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538A -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538A
KR20200121538A KR1020190044206A KR20190044206A KR20200121538A KR 20200121538 A KR20200121538 A KR 20200121538A KR 1020190044206 A KR1020190044206 A KR 1020190044206A KR 20190044206 A KR20190044206 A KR 20190044206A KR 20200121538 A KR20200121538 A KR 20200121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layer
schottky
schottky barrier
barri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319B1 (ko
Inventor
박동우
박경현
박정우
신준환
이의수
김현수
문기원
이일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4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319B1/ko
Priority to US16/848,826 priority patent/US11201250B2/en
Publication of KR2020012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2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7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AIIIBV compounds
    • H01L21/28581Deposition of Schottky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01L21/30612Etching of AIIIBV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wo or more compounds, e.g. alloys
    • H01L29/20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wo or more compounds, e.g. alloys in different semiconductor regions, e.g. hetero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7Schottky barri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7Schottky barrier electrodes
    • H01L29/475Schottky barrier electrodes on AIII-BV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09Diodes
    • H01L29/66143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196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 H01L29/66204Diodes
    • H01L29/66212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196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 H01L29/66204Diodes
    • H01L29/66219Diodes with a heterojunction, e.g. resonant tunneling diodes [RT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35Indium phosphide [In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37Indium gallium arsenide [InGa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는 제2 반도체층,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어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도대 오프셋은 설정된 값보다 작게 설정된다.

Description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라헤르츠(terahertz, THz) 전자기파에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라헤르츠(terahertz, THz) 대역에서 사용되는 검출 소자는 주로 열 검출기(thermal detector)와 광자 검출기(photon detector)로 분류된다. 열 검출기는 광 흡수에 의한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소자로 정확한 에너지 측정이 가능하지만 반응속도가 늦다는 단점이 있다. 광자 검출기는 반도체에 흡수된 빛이 전자-정공쌍을 형성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소자이다. THz 대역의 광자 에너지(photon energy)는 매우 작기 때문에 광자 검출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매우 작은 밴드 갭(band gap)을 갖는 물질을 사용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존재하지 않는다.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는 상온동작이 가능한 대표적인 THz 검출 소자이다.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금속과 반도체와의 접합을 통해 발생하는 쇼트키 장벽을 이용한 다이오드이다. 금속과 반도체는 서로 다른 페르미 준위(fermi level)를 가지고 있다. 금속과 반도체가 접합되면, 금속과 반도체의 페르미 준위가 일치하게 되는데, 금속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반도체의 전자친화력(electron affinity)의 차이만큼 반도체 표면에서 페르미-준위 고정(Fermi-level pinning)이 일어나게 되고 방향에 따라 쇼트키 접합(schottky contact)과 옴 접합(ohmic contact)으로 결정이 된다.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낮은 문턱전압, 짧은 역회복 시간, 낮은 접합 정전용량 등의 특성으로 고속동작이 가능한 정류소자로, THz 전자기파에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스위칭 속도를 가지고 있다.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의 전하 이동도가 빨라야 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III-V 화합물 반도체인 갈륨비소(Gallium arsenide, GaAs), 갈륨 비소 인듐(Indium gallium arsenide, InGaAs) 등이 사용되고 있다.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초고속 동작 소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검출 대역이 RF(Radio frequency)를 넘어 THz, IR(Infrared radiation)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
THz 전자기파의 검출을 위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전하 이동도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n- 타입의 반도체를 사용하며, n+ 반도체층인 옴층(Ohmic layer)은 저항을 낮추기 위해 도핑 농도가 높은 물질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높은 도핑의 박막 성장은 성장 장비에 따라 제한적이고 박막질이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소자의 특성상 박막 균일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해 테라헤르츠 전자기파에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제2 반도체층,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의 일부 위치에 형성되어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쇼트키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도대 오프셋은 설정된 값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지고, 제2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인듐인(Indium phosphid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갈륨 비소 인듐(Indium gallium arseni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값은 상온 300k의 열에너지일 수 있다.
상기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일부 위치에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식각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옴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트키 금속층 하부로 제2 반도체층 및 제1 반도체층이 부분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상기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제1 물질을 도핑하여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상기 제1 물질과 다른 제2 물질을 도핑하여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쇼트키 장벽이 형성되도록 쇼트키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도대 오프셋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도대 오프셋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지고, 제2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인듐인(Indium phosphid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갈륨 비소 인듐(Indium gallium arseni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쇼트키 금속층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쇼트키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일부 위치에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식각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옴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쇼트키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쇼트키 금속층의 하부로 제2 반도체층 및 제1 반도체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쇼트키층의 물질만 정해진다면 옴층은 물질, 조성, 도핑 등을 변화시켜 전도대 오프셋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반도체의 옴층과 쇼트키층의 전도대(혹은 가전자대) 오프셋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전자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테라헤르츠 전자기파에 대한 응답도를 쉽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종 접합 구조의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선택적 식각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에서 생기는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로 다른 농도로 도핑된 동일 종류의 두 반도체의 전도대 오프셋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서로 다른 밴드 갭을 가지는 두 반도체가 만났을 때 형성되는 밴드 정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InP와 InGaAs의 이종 접합 구조에서 발생하는 전도대 정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InP와 InGaAs의 접합 정전 용량(Junction Capacitance)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옴층의 물질 변화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THz 검출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기판(10), 버퍼층(20), n+ 반도체층인 옴층(Ohmic layer)(30) 및 n- 반도체층인 쇼트키층(Schottky layer)(40)을 포함한다. THz 대역에서 사용되는 검출기는 전하이동도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n형 반도체를 사용한다. 따라서 도 1에서는 n형 반도체를 도시하였다.
옴층(30)은 기판(10) 상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THz 검출을 위한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정전용량을 작게 하기 위해, 기판(10)으로 반절연체(semi-insulating, SI)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버퍼층(20)은 옴층(30)과 기판(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20)은 도핑되지 않은 인듐인(Indium phosphide, InP)으로 형성될 수 있다.
쇼트키층(40)은 옴층(30) 상에 형성된다.
옴층(30)의 경우 저항을 낮추기 위해 도핑 농도가 최대한 높을수록 좋지만 반도체 재료 특성상 1E19 cm-3 이상이 되면 결정구조에 스트레인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목적에 맞게 적절한 반도체의 도핑 농도가 사용되어야 하며,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최대한의 도핑 농도가 요구된다.
쇼트키층(40)도 쇼트키 장벽이 없어지는 지점까지 도핑 농도를 높이는 것이 THz 검출 특성에 유리하다.
일반적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에서 옴층(30)과 쇼트키층(40)은 서로 다른 농도로 도핑된 동일 물질의 동종 접합 구조를 가진다.
쇼트키층(40) 상에 금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쇼트키 장벽은 금속과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력이 높은 타이타늄(titanium)을 증착하면 쇼트키층(40)의 도핑 농도를 GaAs의 경우 1E18cm-3, InGaAs의 경우 2E17cm-3까지 높일 수 있다.
도 2는 서로 다른 농도로 도핑된 동일 종류의 두 반도체의 전도대 오프셋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옴층(30)과 쇼트키층(40)이 서로 다른 농도로 도핑된 동일 물질의 동종 접합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옴층(30)과 쇼트키층(40)이 서로 다른 농도로 도핑된 InGaAs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옴층(30)과 쇼트키층(40)이 동종의 반도체 재료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도핑 농도 차이가 클수록 전도대(conduction band) 오프셋은 커지게 된다. 이 경우, THz 전자기파의 에너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판(110) 상에 버퍼층(120)이 형성되고, 버퍼층(120) 상에 옴층(120)이 형성되며, 옴층(130) 상에 쇼트키층(140)이 형성된다.
옴층(130)과 쇼트키층(140)은 서로 다른 물질의 반도체로 구성된다. 즉,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격자 정합 혹은 격자 상수 차이가 크지 않는 서로 다른 반도체를 접합시키는 이종 접합(Heterojunction) 구조를 가진다.
THz와 같이 작은 에너지를 정류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경우 옴층(130)과 쇼트키층(140)의 전도대 오프셋이 장벽 역할을 하여 전자의 이동을 방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옴층(130)과 쇼트키층(140)의 서로 다른 물질계로 전도대 에너지 레벨을 일치시킴으로써, 전자가 쉽게 이동하도록 한다.
도 1에서, THz 검출기용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는 기판(10)으로 SI 기판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110)으로 철(Fe)이 도핑된 SI-인듐인(InP) 기판이 사용되며, 버퍼층(120)은 예를 들면, 도핑되지 않은 InP로 성장시켜 형성될 수 있다. 옴층(130)은 InP와 규소(Si)가 설정된 비율로 화합된 InP:Si를 성장시켜 형성되고, 쇼트키층(140)은 InGaAs:Si를 성장시켜 형성된다.
또한 정전 용량을 줄이기 위해 쇼트키층(140) 위에 실리콘 산화막(SiO2)으로 이루어진 절연체층(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옴 금속(ohmic metal) 증착 위치에 대응하여 절연층(150)과 쇼트키층(140)까지 식각한 후, 해당 위치의 옴층(130) 위에 옴 금속층(170)을 증착한 후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쇼트키층(140)과 옴층(130)의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쇼트키층(140)의 InGaAs를 식각하는 H3PO4, H2O2 및 H2O 등이 적정의 비율로 혼합된 인산계 용액 등을 이용하여 식각을 수행하면, InP로 구성되는 옴층(130)은 손상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쇼트키 금속층(160)은 절연체층(150) 상에 증착된다. 쇼트키 금속층(160)은 정전 용량으로 인해 금속과 반도체의 접합 면적이 작을수록 THz 검출특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로 증착될 수 있다. 이후, 기생정전용량을 줄이기 위해 쇼트키 금속층(160) 하부를 식각하게 되는데, 식각 할 때에 쇼트키층(140)을 식각한 이후 옴층(130) 및 버퍼층(120)을 식각한다. 이때 옴층(130), 버퍼층(120) 및 기판(110)이 모두 InP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InP의 선택적 식각 용액인 H3PO4:HCl을 사용하게 되면 가장 중요한 부분인 쇼트키층(140) 쪽이 손상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서로 다른 밴드 갭을 가지는 두 반도체가 만났을 때 형성되는 밴드 정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이종 접합 구조는 반도체 고유의 밴드 갭과 전자친화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위치하는 이종 접합에서 발생하는 정렬은 조건에 따라 타입1, 타입2, 타입3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입1은 밴드 갭이 작은 반도체의 최소 전도대(Conduction band minimum, CBM)와 최대 가전자대(Valence band maximum, VBM)의 위치가 밴드 갭이 큰 반도체의 VBM과 CBM 내에 완전히 위치하는 정렬 상태를 나타내며, 두 반도체로는 GaAs/AlGaAs, In0.53Ga0.47As/In0.52Al0.48As, GaN/InGaN, In0.53Ga0.47As/In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입2는 밴드 갭이 큰 반도체의 CBM과 CBM 사이의 갭이 밴드 갭이 작은 반도체의 VBM과 CBM 사이의 갭과 중첩되는 정렬 상태를 나타내며, 두 반도체로는 Si/Ge, GaAs/GaSb, InP/In0.52Al0.48A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입3은 밴드 갭이 작은 반도체의 VBM과 CBM 사이의 밴드 갭은 밴드 갭이 큰 반도체의 CBM과 CBM 사이의 밴드 갭보다 낮으며,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두 반도체로는 InAs/GaS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다 높은 옴 특성을 얻기 위해 옴 접합 쪽에 도핑량을 높게 하여 터널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저도핑층을 쇼트키층(140)으로 구성하고, 고도핑층을 옴층(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InP와 InGaAs의 이종 접합 구조에서 발생하는 전도대 정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롤드(Harol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모사한 내용으로 옴층과 쇼트키층의 전도대 오프셋이 상온 300k의 열에너지인 26 meV보다 작게 설계한 구조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옴층은 InP로 구성되고, 쇼트키층은 InGaAs로 구성된다. 이 경우, 옴층과 쇼트키층의 전도대 오프셋은 16 meV로 나타났다. 이 값은 상온 300k의 열에너지인 26 meV보다 작다. InP와 InGaAs의 계면에서의 밴드 갭 스파이크는 이론치이며, 성장 중에 생기는 결함과 성장 온도로 인한 분자들의 상호 확산으로 인해 스무딩(smoothing) 된다.
도 8은 InP와 InGaAs의 접합 정전 용량(Junction Capacitance)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InP와 InGaAs의 경우, 일반적으로 InGaAs는 물질의 유전상수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정전용량이 높을 수밖에 없어 고주파 특성이 좋지 않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InP를 사용하여 정전용량을 줄임으로써 THz 검출특성도 좋아지게 된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옴층의 물질 변화에 따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THz 검출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SI-InP:Fe 기판(110)에 성장을 하였다. 버퍼층(120)과 쇼트키층(140)은 각각 도핑되지 않은(undoped) InP 300nm와 n- 타입의 InGaA:Si(2E17cm-3) 200 nm로 고정을 시키고 변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공정을 최소화 하였다.
도 9를 참고하면, 옴층(130)을 도핑 농도 1E18 cm-3의 InP로 구성하면, 옴층(130)을 쇼트키층(140)과 같은 물질의 도핑 농도 1E18cm-3의 InGaAs를 이용한 것뿐만 아니라 전자의 개수가 10배 높은 1E19cm-3의 InGaAs를 이용한 것에 비해서도 높은 THz 응답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주 작은 THz 전자기파에 반응하는 전자 이동의 방해요소를 최소화 함으로써 반응한 전자 중 많은 양이 전극으로 흐르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와 같이, 쇼트키층(140)의 물질만 정해진다면, 옴층(130)은 물질, 조성, 도핑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옴층(130)과 쇼트키층(140)의 전도대 오프셋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로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제2 반도체층,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의 일부 위치에 형성되어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쇼트키 금속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도대 오프셋은 설정된 값보다 작게 설정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지고, 제2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지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인듐인(Indium phosphid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갈륨 비소 인듐(Indium gallium arsenide)을 포함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4. 제1항에서,
    상기 설정된 값은 상온 300k의 열에너지인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5. 제1항에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
    을 더 포함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6. 제5항에서,
    일부 위치에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식각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옴 금속층
    을 더 포함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7. 제1항에서,
    상기 쇼트키 금속층 하부로 제2 반도체층 및 제1 반도체층이 부분적으로 식각되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8. 제1항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는 버퍼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9.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판 위에 제1 물질을 도핑하여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상기 제1 물질과 다른 제2 물질을 도핑하여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쇼트키 장벽이 형성되도록 쇼트키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도대 오프셋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도대 오프셋보다 작게 설정되는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지고, 제2 반도체층은 n- 타입을 가지는 제조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인듐인(Indium phosphid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갈륨 비소 인듐(Indium gallium arsenide)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쇼트키 금속층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쇼트키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일부 위치에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식각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옴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4. 제12항에서,
    상기 쇼트키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쇼트키 금속층의 하부로 제2 반도체층 및 제1 반도체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190044206A 2019-04-16 2019-04-16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7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06A KR102371319B1 (ko) 2019-04-16 2019-04-16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US16/848,826 US11201250B2 (en) 2019-04-16 2020-04-14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06A KR102371319B1 (ko) 2019-04-16 2019-04-16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38A true KR20200121538A (ko) 2020-10-26
KR102371319B1 KR102371319B1 (ko) 2022-03-07

Family

ID=7283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06A KR102371319B1 (ko) 2019-04-16 2019-04-16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01250B2 (ko)
KR (1) KR102371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6867B (zh) * 2019-07-31 2020-09-25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渐变开口的宽带太赫兹调制器
CN112229511B (zh) * 2020-09-03 2023-04-07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肖特基接触光栅化结构的太赫兹探测器
CN114141884A (zh) * 2021-12-14 2022-03-04 上海集成电路制造创新中心有限公司 可重构肖特基二极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419B1 (ko) * 1996-05-13 2001-02-01 갈라스 윌리엄 이.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제조 방법
KR20040030849A (ko) * 2001-07-23 2004-04-09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3족 질화물계 다이오드
KR20060053233A (ko) * 2004-10-22 2006-05-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20120047042A (ko) * 2010-11-03 2012-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애벌런치 광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035A (en) * 1988-01-25 1991-12-03 Nippon Mining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 iii-v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with a phosphoric oxide insulating layer
KR100240629B1 (ko) 1997-08-30 2000-01-15 정선종 테라급 집적이 가능한 대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3077670B2 (ja) 1998-06-02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ヘテロ接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7842974B2 (en) * 2009-02-18 2010-11-30 Alpha & Omega Semiconductor, Inc. Gallium nitride heterojunction schottky diode
US7989842B2 (en) 2009-02-27 2011-08-02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junction barrier diode detector for ultrahigh sensitivity
JP2013102081A (ja) 2011-11-09 2013-05-23 Tamura Seisakusho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US9685509B2 (en) 2013-07-30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fet devices including high mobility channel materials with materials of graded composition in recessed source/drain regions
US10147793B2 (en) 2013-07-30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FET devices including recessed source/drain regions having optimized depths
US9917158B2 (en) 2013-07-30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ontact structures including heterojunctions for low contact resistance
TWI696290B (zh) 2014-11-26 2020-06-1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半導體元件、電子元件及電子元件端子結構
US20160284872A1 (en) 2015-03-26 2016-09-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chottky dio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419B1 (ko) * 1996-05-13 2001-02-01 갈라스 윌리엄 이.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제조 방법
KR20040030849A (ko) * 2001-07-23 2004-04-09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3족 질화물계 다이오드
KR20060053233A (ko) * 2004-10-22 2006-05-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20120047042A (ko) * 2010-11-03 2012-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애벌런치 광다이오드 및 그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01250B2 (en) 2021-12-14
US20200335639A1 (en) 2020-10-22
KR102371319B1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6495B1 (en) Semiconductor device
US11201250B2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3502985A (ja) 量子ウェル電界制御半導体トリオード
JP6193849B2 (ja) 低ターンオン電圧を有するヘテロ接合のユニポーラ・ダイオード
Narozny et al. Si/SiG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made by molecular-beam epitaxy
JP201805638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2416353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130032856A1 (en) Semiconductor apparatus
US20040211955A1 (en) InGaAs/GaAs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ou et al. High band-to-band tunneling current in InAs/GaSb heterojunction esaki diodes by the enhancement of electric fields close to the Mesa sidewalls
JP2001156301A (ja) 共鳴トンネル装置
Schubert et al. High-transconductance heterostructure Ga/sub 0.47/In/sub 0.53/As/InP metal-insulator-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grown by chemical beam epitaxy
JP6751869B2 (ja) 検波ダイオード
Wang et al. Minimization of the offset voltage in heterojunction dipolar transistors by using a thick spacer
JP6489701B2 (ja) 検波ダイオード
US6201258B1 (en) Hot carrier transistors utilizing quantum well injector for high current gain
CN204289458U (zh) 一种抑制背栅效应的砷化镓基赝配高电子迁移率晶体管材料结构
JP2003133320A (ja) 薄膜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usters et al. Sub-half-micrometer pseudomorphic InP/In/sub x/Ga/sub 1-x/As/InP HEMT's (0.74/spl les/x/spl les/0.81) with very high f T values
Ketterson et al. DC and RF characterization of short-gate-length InGaAs/InAlAs MODFETs
JPH04277680A (ja) トンネル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565285B (zh) 一种GaAs基高电子迁移率晶体管材料及其制备方法
JP2661557B2 (ja) 電界効果型半導体装置
Inoue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ow barrier height InAs/Ga x In 1-x As/InAs heterostructure diodes toward millimeter-wave detection
Eastman Compound‐Semiconductor Transis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