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173A -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173A
KR20200121173A KR1020190043902A KR20190043902A KR20200121173A KR 20200121173 A KR20200121173 A KR 20200121173A KR 1020190043902 A KR1020190043902 A KR 1020190043902A KR 20190043902 A KR20190043902 A KR 20190043902A KR 20200121173 A KR20200121173 A KR 20200121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green tea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751B1 (ko
Inventor
윤은섭
강미선
김종태
여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라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라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라팜
Priority to KR102019004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7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항미생물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과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극대화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균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치주질환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RIODONTAL DISEASE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AND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PRODUCTS, FRAGMENTED PRODUCTS OR EXTRACT OF THE SAME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에는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항미생물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치주질환은 치주 조직에 발생하는 병변의 총칭으로서, 치조농루라고도 한다. 치주질환은 충치와 더불어 2대 구강 질환이다. 치주질환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영양의 편향, 운동 부족, 당뇨병, 혈액 질환 등에 의한 면역력의 저하, 외상 등 다양한 원인들이 지적되고 있으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치구 내의 세균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치주질환이 제2형 당뇨병, 죽상동맥경화성 혈관 질환, 신진대사 증후군, 조산 및 저체중 출산, 폐렴 등 전신질환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특히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의 전신질환에의 영향력이 알려지면서, 구강내 세균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치주질환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치주질환의 치료제 또는 치료 보조제로는 항생제, 항균제 및 항염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는 장시간 사용 시 내성균 발현, 과민반응 및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며, 클로로헥시딘과 같은 항균제는 치아 염색 등 외관상의 문제와 미각 이상 및 구강점막의 작열감 등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불소는 체내에 흡수되므로 치아불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현재까지 주요 치주질환 치료제 또는 보조제들은 인체 건강을 해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천연물과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 등을 대체할 만큼 우수한 치주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결과물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KR 10-1920908 B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주질환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하여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유산균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구강유산균의 치주질환 개선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성분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미생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과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극대화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균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치주질환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녹차 추출물(도 1a), 뽕잎 추출물(도 1b), 감초 추출물(도 1c),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도 1d)이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독성 여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녹차 추출물, 뽕잎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F. nucleatum(도 2a) 및 P. gingivalis (도 2b)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한 결과이다:
□; 녹차 추출물, ▩; 뽕잎 추출물, ▧; 감초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도 3은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CFS의 항균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 P. gingivalis , ■; F. nucleatum.
도 4는 녹차 추출물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CFS 병용 시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4a는 대조군, 도 4b는 0.1 mg/ml의 녹차를 투여한 군, 도 4c는 15.6 mg/mL의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CFS를 투여한 군, 도 4d는 0.1 mg/ml의 녹차와 15.6 mg/ml의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CFS를 병용한 군에서의 F. nucleatum 생장을 보이는 도이다.
본 특허는 ㈜오라덴틱스의 주관하에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2017R1D1A1B03030952) 지원에 의한 산출물로, 연구과제명은 구취 유발 세균에 대한 바이셀라 사이베리아의 작용 및 분자기전 연구이고, 연구기간은 2017.06.01~2020.05.31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미생물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배양물은, 상기 유산균을 배양하여 발생하는 모든 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은 유산균의 배양으로 인해 발생된 배양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일 구현예에서 배양액의 상층액(supernatant)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녹차 추추물과,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병용함으로써,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각각 포함할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개선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 및/또는 항미생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녹차 추출물은, 녹차 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인 에피칼로카테킨 갈레이트(EGCG)가 일부 균주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아직까지 치주질환과 관련된 균주에 대하여 유의한 항균력이 있다는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퓨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퓨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은, 그람 음성균으로서, 방추형 간균의 형태를 지닌 균주이고, 절대 혐기성 조건에서 생장하는 세균 종이다. 사람 구강과 인후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구강 내에서 우점하여, 다양한 세균들과 응집하여 치태를 형성하며,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육이란, 미생물의 증식, 발달(development) 등 새로운 개체의 생산과, 그 개체의 발달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유산균은, 바이셀라 사이베리아(Weissella cibari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는,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수탁번호: KCTC 10650BP),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S-1(수탁번호: KCTC 10678BP),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S-2(수탁번호: KCTC 10679BP), 및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S-3(수탁번호: KCTC 10680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0.01 mg/ml~5 mg/ml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조성물 총 부피를 기준으로, 0.01~3 mg/ml, 바람직하게, 0.01~2 mg/ml, 더욱 바람직하게, 0.5~1.2 mg/ml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 총 부피를 기준으로, 5 mg/ml~300 mg/ml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 총 부피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5~270 mg/ml, 더욱 바람직하게, 5~250 mg/ml, 더욱 바람직하게 80~250 mg/ml, 더욱 바람직하게 100~150 mg/ml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은, 1:100~3000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녹차 추출물과,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은, 1:100~2000, 더욱 바람직하게, 1:100~1000, 더욱 바람직하게, 1:100~300, 더욱 바람직하게, 1:100~200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과,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이,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될 때, 극대화된 항균력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 등의 C1~5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 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그리고 석유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메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유기용매 등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수용액의 농도는, 1~90%(v/v)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가 물일 경우에는, 냉수 추출, 열수 추출 등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추출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을 통상 사용한다. 이러한 고형 제제에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포함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상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측면에서 유효성분의 1일 투여량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01~1 g/kg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녹차 추출물의 유산균에 대한 독성 평가
본 연구에 사용된 녹차 추출물 (green tea extract), 뽕잎 추출물 (mulberry extract), 감초 추출물 (licorice extract), 프로폴리스 추출물 (propolis extract)은 디에스푸드웰 (DS Food Well Co., Ltd., Gunpo, Gyeonggi-do, Korea)에서 제공받아 냉장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천연추출물이 구강유산균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MRS broth 42.5 ml에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배양액(멸균식염수로 균 현탁액을 만들어 균 농도를 흡광도 600 nm(optical density, OD600)값을 0.4로 맞춘 균액)을 5%를 접종한 후 녹차, 뽕잎, 감초, 프로폴리스 추출물 분말을 각각 MRS broth에 녹여서 3.13, 6.25, 12.5 mg/ml 농도로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균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0, 8, 24시간 간격으로 배양액을 취한 후 microplate reader(VersaMax, Molecular devices,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 MRS broth를 처리하여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차, 뽕잎, 감초, 프로폴리스 4가지 추출물 모두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
[실험예 2] 천연 추출물의 항균력 확인
천연추출물의 치주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에서 제시한 미세희석법 (micro-dilution)을 변형하여 최소억제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천연추출물 분말을 각 균의 성장배지에 녹인 후 0.028, 0.056, 0.11, 0.23, 0.45, 0.9, 1.8, 3.6 mg/ml 농도가 되도록 각 희석액을 100 ㎕씩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F. nucleatumP. gingivalis 배양액을 OD600=0.05가 되도록 희석하여 100 μl씩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추출물 대신 추출물을 녹인 각 균의 배지를 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F. nucleatum KCTC 2488, P. gingivalis KCTC 5352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 Daejeon, Kore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그리고 W. cibaria CMU 는 ㈜오라덴틱스(Seoul, Korea)에서 보관하고 있는 균주를 사용하였다. F. nucleatum은 yeast extract(10000 ㎍/ml) (Difco, Detroit, MI, USA), cysteine(500 ㎍/ml) (Sigma, St. Louis, MO, USA), hemin(5 μg/ml) (Kisan Bio Co., Ltd., Seoul, Korea), menadione(0.5 μg/ml) (Kisan Bio)이 첨가된 brain heart infusion broth(BHI broth, Difco)에, P. gingivalis는 hemin(5 μg/ml), menadione(0.5 μg/ml)이 첨가된 TSB Hemin Menadione broth(Kisan Bio)에 각각 접종하여 37℃ 혐기조건(AnaeroPack-Anaero, Mitsubishi Gas Chemical Co., Tokyo, Japan)에서 48시간 배양하였으며,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는 De Man, Rogosa, Sharpe broth(MRS broth, Difco)에 접종하여 37℃ 호기조건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각각의 균은 실험에 이용하기 전에 본 배지에서 2회 계대배양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F. nucleatum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MIC는 1.8 mg/ml로 가장 좋았으며, 감초, 뽕잎,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모두 3.6 mg/ml에서 약 50~60%의 항균력을 보였다(도2a). 또한, P. gingivalis에 대한 녹차, 감초, 뽕잎 추출물의 MIC는 1.8 mg/ml이었으며, 프로폴리스 추출물만 3.6 mg/ml에서 MIC를 보였다(도 2b).
[실험예 3] 구강유산균의 치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 확인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배양액을 원심분리(5,000 g, 10 min, 4℃)한 후 주사 필터(0.45 μm, Sartorius, Goettingen, Germany)를 이용하여 무균상청액(cell-free supernatant; CFS)을 얻은 후 96-well plate에 각 치주병원균의 배지를 이용하여 2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62.5 mg/ml(v/v)까지 분주하였다. F. nucleatum, P. gingivalis는 상기의 방법대로 균 배양액의 농도를 OD600=0.05가 되도록 배지에 희석하여 100 μl씩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CFS 대신 각 치주병원균의 배지를 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F. nucleatum에 대한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cell free supertanant)의 MIC는 250 mg/ml이었으며, P. gingivalis에 대한 MIC는 125 mg/ml로, P. gingivalis에 대한 항균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실험예 4] 녹차 추출물과 구강유산균의 치주 병원균에 대한 항균 시너지 효과 확인
녹차 추출물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시너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C(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s) 지수를 측정하였다. 녹차 추출물을 각 치주병원균의 배지로 용해시킨 후 3.6 mg/ml부터 2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0.23 mg/ml까지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는 상기의 방법대로 얻은 CFS를 250 mg/ml부터 각 치주병원균의 배지를 이용하여 2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15.63 mg/ml까지 희석하였다. 그 후 96 well plate에 녹차 추출물은 수평축 well에,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CFS는 수직축 well에 연속적인 희석액을 50 μl씩 각각 분주하였다. F. nucleatum, P. gingivalis은 상기의 방법대로 균 배양액의 농도를 OD600=0.05가 되도록 배지에 희석하여 각 well에 100 μl씩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으며, OD600의 변화가 0.05 이하인 농도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천연추출물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를 처리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였다.
FIC 지수는 ∑FIC = (A) / MIC(A) + (B) / MIC(B)의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여기에서 (A)와 (B)는 병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A와 B 각각의 MIC이며, MIC(A)와 MIC(B)는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각 A와 B의 MIC를 나타낸다. FIC 지수가 = 0.5이면 synergy 효과 발생, > 0.5~1이면 부분적 synergy 효과 발생, > 1~4이면 무관(indifference), > 4이면 길항 작용(antagonism)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녹차 추출물(0.1 mg/ml)을 처리한 실험군,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15.6 mg/ml)을 처리한 실험군, 녹차 추출물(0.1 mg/ml)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15.6 mg/ml)를 병합 처리한 실험군 및 무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위상차현미경을 통해 녹차 추출물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의 치주병원균에 대한 항균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 gingivalis에 대한 녹차 추출물 및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의 병합 MIC는 1.8 mg/ml, 62.5 mg/ml 로 각각 나타났으며, FIC 지수는 1.5로 산출되어 항균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에 반해 F. nucleatum에 대한 녹차 추출물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의 병합 MIC는 각각 0.1 mg/ml, 15.6 mg/ml로서,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모두 16배씩 감소하였으며, FIC 지수가 0.1로 산출되어 두 시료간의 항균 시너지를 보였다. 또한, 녹차 추출물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의 F. nucleatum에 대한 항균 시너지 효과를 위상차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F. nucleatum을 단독 배양했을 때보다 녹차 추출물과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 CFS를 병합하여 배양했을 때 F. nucleatum의 수가 확연히 감소하였다(표 1 및 도 4).
균주 처리 물질 MIC (mg/ml) FIC Index 결과
Alone Combination
F. nucleatum
KCTC 2488
green tea extract 1.8 0.1 0.1 시너지 발생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CFS 250 15.6
P. gingivalis
KCTC 5352
green tea extract 1.8 1.8 1.5 Indifference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의 CFS 125 62.5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0650BP
수탁일자 : 20040604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0678BP
수탁일자 : 20040806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0679BP
수탁일자 : 20040806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0680BP
수탁일자 : 20040806

Claims (10)

  1.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미생물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퓨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의 생육을 저해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바이셀라 사이베리아(Weissella cibaria)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셀라 사이베리아는,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U(수탁번호: KCTC 10650BP),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S-1(수탁번호: KCTC 10678BP),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S-2(수탁번호: KCTC 10679BP), 및 바이셀라 사이베리아 CMS-3(수탁번호: KCTC 10680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조성물 총 부피를 기준으로, 0.01 mg/ml~5 mg/ml로 포함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 총 부피를 기준으로, 5 mg/ml~300 mg/ml로 포함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은,
    1:100~300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수용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90043902A 2019-04-15 2019-04-15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0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02A KR102208751B1 (ko) 2019-04-15 2019-04-15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02A KR102208751B1 (ko) 2019-04-15 2019-04-15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173A true KR20200121173A (ko) 2020-10-23
KR102208751B1 KR102208751B1 (ko) 2021-01-28

Family

ID=7303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902A KR102208751B1 (ko) 2019-04-15 2019-04-15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78B1 (ko) * 2020-12-21 2021-11-19 주식회사 신의제약디앤에프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개선용 구강 조성물
KR102439762B1 (ko) * 2021-03-09 2022-09-02 주식회사 오라팜 임플란트 주위점막염 예방 및 치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087B1 (ko) 2021-04-13 2021-12-03 주식회사 오라팜 웨이셀라 사이베리아(Weissella cibaria) CMU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아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992B1 (ko) * 2004-08-25 2006-07-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취를 억제하는 유산균
JP3921175B2 (ja) * 2001-04-02 2007-05-30 わかもと製薬株式会社 口腔内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R20140002445A (ko) * 2012-06-29 2014-01-08 (주) 바이오에스텍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N105770191A (zh) * 2015-10-21 2016-07-20 云南白药天颐茶品有限公司 具有降低牙周致病菌活性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20908B1 (ko) 2017-01-20 2018-11-21 콩 장 녹차를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1175B2 (ja) * 2001-04-02 2007-05-30 わかもと製薬株式会社 口腔内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R100605992B1 (ko) * 2004-08-25 2006-07-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취를 억제하는 유산균
KR20140002445A (ko) * 2012-06-29 2014-01-08 (주) 바이오에스텍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N105770191A (zh) * 2015-10-21 2016-07-20 云南白药天颐茶品有限公司 具有降低牙周致病菌活性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20908B1 (ko) 2017-01-20 2018-11-21 콩 장 녹차를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Eun Yeu 외.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 43(4) 2018년 12월, pp. 193-20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78B1 (ko) * 2020-12-21 2021-11-19 주식회사 신의제약디앤에프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개선용 구강 조성물
KR102439762B1 (ko) * 2021-03-09 2022-09-02 주식회사 오라팜 임플란트 주위점막염 예방 및 치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751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984B1 (ko) 나노형 김치 유산균
KR102208751B1 (ko)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44492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17525B1 (ko)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1743044B1 (ko) 면역증진 및 장내환경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1743043B1 (ko) 장내환경개선효과를 갖는 나노형 김치 유산균 조성물
KR101677187B1 (ko) 면역증진 및 장내환경개선용 건강기능성 음료
KR20110064910A (ko) 다시마 정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071721A (ko) 발효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133351A (ko) 플라보놀계 화합물 및 항생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80868B1 (ko)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azemi et al. Evaluation the effect of royal jelly on the growth of two members of gut microbiota; Bacteroides fragillis and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KR101363933B1 (ko) 가자 추출물과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브리오 패혈증 개선용 조성물
KR102323665B1 (ko) 그람음성구균 녹농균에 대해 항생제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디플로르에톡하이드록시카르말롤 및 이의 용도
KR20200142633A (ko)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1133B1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548162B1 (ko)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35635B1 (ko) 토양에서 분리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및 그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25887B1 (ko) 연두털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17518B1 (ko)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20130131973A (ko) 오리나무 수피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우식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