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497A -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497A
KR20200120497A KR1020200023312A KR20200023312A KR20200120497A KR 20200120497 A KR20200120497 A KR 20200120497A KR 1020200023312 A KR1020200023312 A KR 1020200023312A KR 20200023312 A KR20200023312 A KR 20200023312A KR 20200120497 A KR20200120497 A KR 2020012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ownstream
switching
upstream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후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0012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4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5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about a horizontal axis
    • B65G47/647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about a horizontal axis th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물품(90)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여 반송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이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와, 높이 검출 센서(51)와, 물품 검출 센서(52)를 구비한다. 높이 검출 센서(51)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에 의해 반송되는 소정 높이 이상의 물품(90)을 검출한다. 물품 검출 센서(52)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되는 물품(90)을 검출한다. 제 1 요동 장치(20)에 의한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이 높이 검출 센서(51) 및 물품 검출 센서(52)에 의한 물품(90)의 검출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Description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APPARATUS FOR SWITCHING TRANSFER ROUTE}
본 발명은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설비에 있어서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설비에 있어서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6-131404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가 있다. 상기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는 상단에 배치되는 주반송 컨베이어와, 상하 2단에 배치되는 2개의 부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주반송 컨베이어와 2개의 부반송 컨베이어 사이에 3개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는 상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와 하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감아걸기 전동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하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와 하류측의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는 감아걸기 전동 부재를 동작시킴으로써 상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 및 하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요동하고, 하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요동함으로써 하류측의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링크를 통해 요동한다. 3개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요동시킴으로써 상단의 주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상단의 부반송 컨베이어로 반송되는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가 상단의 주반송 컨베이어로부터 하단의 부반송 컨베이어로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일본국 특허공개 2006-131404호 공보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는 하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와 하류측의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동일 링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의 스위칭을 행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2006-131404호 공보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와 같이 상하 2단의 스위칭 컨베이어 각각을 동일 링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의 스위칭을 행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로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를 들 수 있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는 상단에 배치되는 주반송 컨베이어(110)와, 하단에 배치되는 주반송 컨베이어(120)와, 상단에 배치되는 부반송 컨베이어(130)와, 하단에 배치되는 부반송 컨베이어(140)를 구비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는 주반송 컨베이어(110) 및 주반송 컨베이어(120)와, 부반송 컨베이어(130) 및 부반송 컨베이어(140) 사이에 4개의 스위칭 컨베이어(상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50), 상류측의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60), 하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70), 하류측의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80))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에 있어서는 상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50)와 상류측의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60)를 요동 링크(190)를 통해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요동 링크(190)를 요동시킴으로써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50)와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60)가 동시에 요동된다. 또한, 하류측의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70)와 하류측의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80)를 동일한 요동 링크(195)를 통해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요동 링크(195)를 요동시킴으로써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70)와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80)가 동시에 요동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에서는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50)를 하방으로 요동시키면 그것에 따라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60)가 하방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60)의 수평 위치보다 하방에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60)를 풀기 위한 공간(K1)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에서는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70)를 상방으로 요동시키기 위해서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70)가 요동하는 높이보다 더 상방으로 요동 링크(195)를 요동시킬 필요가 있는 점에서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70)의 수평 위치(도 5a 참조)보다 상방에 요동 링크(195)를 요동시키기 위한 공간(K2)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에서는 공간(K1) 및 공간(K2)을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설의 반송 컨베이어(110, 120, 130, 140)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이며, 또한 공간(K1) 및 공간(K2)을 확보할 수 없는 개소에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를 도입하고자 하면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80)가 상방으로 요동함과 아울러,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50)가 하방향으로 요동할 경우에 요동 링크(195)가 천장에 간섭함과 아울러,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160)가 바닥에 간섭한다. 이 때문에 기설의 반송 컨베이어(110, 120, 130, 140)에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0)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국제공개 제 2005/021410호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와 같이 상하 2단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요동시켰을 경우이어도 그것에 따라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하방으로 요동하지 않고, 또한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상방으로 요동시킬 때에 장치가 천장에 간섭하지 않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 2005/021410호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서는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에 따라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하방으로 요동하지 않는다. 또한,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에 따라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가 상방으로 요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풀기 위한 공간 및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설의 반송 컨베이어의 높이를 바꾸는 일 없이 기설의 반송 컨베이어에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제공개 제 2005/021410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하 2단의 스위칭 컨베이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시키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칭 컨베이어(210, 220, 230, 240)의 요동을 스위칭 컨베이어마다 제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스위칭 컨베이어(210, 220, 230, 240)의 제어가 복잡해진다. 특히,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220, 240)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물품(300)(피반송물)의 후속의 물품(310)을 상단의 컨베이어(250)를 향해 반송할 경우에는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230)는 후속의 물품(310)을 반송하기(받아들이기) 위해 물품(300)이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220, 240)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단계에서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230)의 상류측의 단부를 하방으로 요동시킨다. 그 때문에 사이즈가 큰 물품(300)을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220, 240)에 의해 반송할 경우에는 하방으로 요동하고자 하는 상단의 스위칭 컨베이어(230)가 하단의 스위칭 컨베이어(220, 240)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물품(300)을 뭉개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거기에서 본 발명은 스위칭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 경로를 스위칭함으로써 상류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을 하류측에 설치한 복수의 하류측 컨베이어에 반송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상류측 컨베이어 및 하류측 컨베이어의 높이를 바꾸는 일 없이 설치 가능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이며, 또한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의 스위칭 시에 스위칭 컨베이어가 피반송물을 뭉개버리는 일이 없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이며, 이어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는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상류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로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여 반송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측을 지점으로 하여 하류측이 요동하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 및 상기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상방으로서, 상기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류측이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하방으로서, 상기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류측이 요동하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소정 높이 이상의 피반송물을 검출하는 높이 검출기와, 상기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피반송물을 검출하는 피반송물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는 각각 상이한 요동 장치에 의해 요동되고, 상기 요동 장치에 의한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이 상기 높이 검출기 및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에 의한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높이 검출기 및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을 검출함으로써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는 상기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에 상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가 소정 구동량으로 구동됨으로써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를 요동하는 요동 장치는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을 개시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이며, 또한 상기 피반송물이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에 있어서 소정 거리 반송된 후에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가 요동된다. 여기에서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란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을 「개시한」 후(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 전방측」을 검출한 후), 또는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을 「종료한」 후(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 후방측」을 검출한 후) 중 어느 한쪽의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는 상기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을 개시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피반송물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 소정 시간을 두고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가 요동된다. 여기에서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란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을 「개시한」 후(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 전방측」을 검출한 후), 또는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을 「종료한」 후(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 후방측」을 검출한 후) 중 어느 한쪽의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는 상기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을 개시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피반송물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에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가 요동된다. 여기에서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란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을 「개시한」 후(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 전방측」을 검출한 후), 또는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을 「종료한」 후(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 후방측」을 검출한 후) 중 어느 한쪽의 경우를 의미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에 의하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의 높이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피반송물을 검출함으로써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이 제어되는 점에서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를 구성하는 각 스위칭 컨베이어가 각각 상이한 요동 장치에 의해 요동되는 경우이어도 하방향으로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가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의 스위칭 시에 있어서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을 뭉개버리는 일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종래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는 트레이(91)에 수용된 물품(90)(「피반송물」의 일례)의 반송 경로를 상하 방향(세로 방향)으로 스위칭하는 종형의 경로 스위칭 장치이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는 공항이나 배송 센터 등에 있어서의 물품(90)을 분류하는 분류 설비(도시) 등에 설치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는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배치되는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 및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상류측 컨베이어」의 일례)와,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배치되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 및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 및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를 중심으로 해서 물품(90)의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 및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대하여 물품(90)을 반송한다.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의 바로 위에 있어서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와 평행하게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 및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를 중심으로 해서 물품(90)의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 및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로부터 반송되어 온 물품(90)을 반송한다.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의 비스듬히 상방에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의 하방에 있어서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와 평행하게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는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로부터 반송되어 온 물품(90)을 하류측에 설치된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 또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 중 어느 하나에 반송하도록 물품(90)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한다. 또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로부터 반송되어 온 물품(90)을 하류측에 설치된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 또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 중 어느 하나에 반송하도록 물품(90)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 또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로의 물품(90)의 반송 경로의 스위칭을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를 스위칭함으로써 행한다.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는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는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측을 지점으로 하여 하류측이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는 상기 지점이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배치된다.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는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의 바로 아래에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와 평행하게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측을 지점으로 하여 하류측이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는 상기 지점이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배치된다.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 및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비스듬히 상방에 배치된다.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류측이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는 상기 지점이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배치된다.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바로 아래에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와 평행하게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류측이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는 상기 지점이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는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나란히 늘어서 있음으로써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에 의해 반송되어 온 물품(90)이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로 반송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는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요동해서 나란히 늘어서 있음으로써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에 의해 반송되어 온 물품(90)이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로 반송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나란히 늘어서 있음으로써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에 의해 반송되어 온 물품(90)이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로 반송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요동해서 나란히 늘어서 있음으로써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에 의해 반송되어 온 물품(90)이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로 반송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 및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는 제 1 요동 장치(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제 1 요동 장치(20)는 롤러체인(21)과, 스프로킷(23)과, 스프로킷(23)을 회동하는 제 1 구동 장치(24)로 구성되어 있다.
롤러체인(21)은 그 일단이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의 하류측 단부(자유단)에 연결되어 있다. 롤러체인(21)은 그 타단이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상류측 단부(자유단)에 연결되어 있다. 롤러체인(21)은 스프로킷(23)에 걸쳐 놓여 있다.
스프로킷(23)은 제 1 구동 장치(24)에 의해 회동한다. 스프로킷(23)은 그 회동에 의해 롤러체인(21)의 일단측을 끌어당김과 아울러, 롤러체인(21)의 타단측을 송출한다.
제 1 구동 장치(24)는 스프로킷(23)을 회동하는 제 1 회동축(25)과, 제 1 회동축(25)을 회동하는 제 1 모터(26)를 주로 구비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는 제 2 요동 장치(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제 2 요동 장치(30)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에 연결되는 상류측 하부 링크(31)와, 상류측 하부 링크(31)를 이동시키는 제 1 캠(32)과, 제 1 캠(32)을 회동하는 제 2 구동 장치(33)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 하부 링크(31)의 일단에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가 연결되어 있다. 상류측 하부 링크(31)의 타단에는 제 1 캠(32)이 연결되어 있다. 상류측 하부 링크(3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하류측을 요동시킨다.
제 1 캠(32)은 그 회동에 의해 상류측 하부 링크(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1 캠(32)은 제 2 구동 장치(33)에 의해 회동된다.
제 2 구동 장치(33)는 제 1 캠(32)에 설치되는 제 2 회동축(34)과, 제 2 회동축(34)을 회동하는 제 2 모터(35)를 주로 구비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는 제 3 요동 장치(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제 3 요동 장치(40)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연결되는 하류측 하부 링크(41)와, 하류측 하부 링크(41)를 이동시키는 제 2 캠(42)과, 제 2 캠(42)을 회동하는 제 3 구동 장치(43)로 구성되어 있다.
하류측 하부 링크(41)의 일단에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연결되어 있다. 하류측 하부 링크(41)의 타단에는 제 2 캠(42)이 연결되어 있다. 하류측 하부 링크(4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상류측을 요동시킨다.
제 2 캠(42)은 그 회동에 의해 하류측 하부 링크(4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2 캠(42)은 제 3 구동 장치(43)에 의해 회동된다.
제 3 구동 장치(43)는 제 2 캠(42)에 설치되는 제 3 회동축(44)과, 제 3 회동축(44)을 회동하는 제 3 모터(45)를 주로 구비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 및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는 제 1 요동 장치(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는 제 1 요동 장치(20)와는 상이한 제 2 요동 장치(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는 제 1 요동 장치(20) 및 제 2 요동 장치(30)와는 상이한 제 3 요동 장치(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사이에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높이 검출 센서(51)(「높이 검출기」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높이 검출 센서(51)는 수평 시의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반송면에 대한 상방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상류측에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되는 물품(90)을 검출하는 물품 검출 센서(52)(「피반송물 검출기」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상류측(입구측)에는 물품(90)이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상류측(입구측)을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54a, 54b, 54c, 54d)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하류측(출구측)에는 물품(90)이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하류측(출구측)을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출구 센서(55a, 55b, 55c, 55d)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에 입구 센서(54a, 54b, 54c, 54d) 및 출구 센서(55a, 55b, 55c, 55d)를 설치해서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에서의 물품(90)의 통과 및 재하를 확인함으로써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요동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 및 각 컨베이어(81, 82, 83, 84)는 통괄 컨트롤러(85)에 접속되고, 통괄 컨트롤러(85)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있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8)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58)는 통괄 컨트롤러(85)에 접속되고, 통괄 컨트롤러(85)의 지시에 따라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 전체를 컨트롤러(58)에 의해 제어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러(58)를 설치하지 않고, 통괄 컨트롤러(85)가 직접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 전체를 제어해도 상관없다.
컨트롤러(58)에는 제 1 요동 장치(20)의 제 1 구동 장치(24)와, 제 2 요동 장치(30)의 제 2 구동 장치(33)와, 제 3 요동 장치(40)의 제 3 구동 장치(43)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58)는 제 1 구동 장치(24)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 1 구동 장치(24)에 접속되는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 및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58)는 제 2 구동 장치(3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 2 구동 장치(33)에 접속되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요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58)는 제 3 구동 장치(4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 3 구동 장치(43)에 접속되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요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58)에는 높이 검출 센서(51)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58)는 높이 검출 센서(5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물품(90)이 소정 높이 이상의 물품인 것을 검출한다. 또한, 높이 검출 센서(5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는 물품(90)의 높이의 검출은 컨트롤러(58)를 통해 통괄 컨트롤러(85)를 행해도 상관없다.
컨트롤러(58)에는 물품 검출 센서(52)가 접속되어 있다. 물품 검출 센서(52)는 물품(90)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되면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다(물품 검출 센서(52)가 ON한다). 컨트롤러(58)는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물품(90)이 이송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는 물품(90)의 검출은 컨트롤러(58)를 통해 통괄 컨트롤러(85)를 행해도 상관없다.
컨트롤러(58)에는 입구 센서(54a, 54b, 54c, 54d)가 접속되어 있다. 입구 센서(54a, 54b, 54c, 54d)는 물품(90)이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에 반송되면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다(입구 센서(54a, 54b, 54c, 54d)가 ON한다). 컨트롤러(58)는 입구 센서(54a, 54b, 54c, 54d)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물품(90)이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상류측(입구측)을 통과했다고 판단한다.
컨트롤러(58)에는 출구 센서(55a, 55b, 55c, 55d)가 접속되어 있다. 출구 센서(55a, 55b, 55c, 55d)는 물품(90)이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하류측(출구측)에 반송되면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다(출구 센서(55a, 55b, 55c, 55d)가 ON한다). 컨트롤러(58)는 출구 센서(55a, 55b, 55c, 55d)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물품(90)이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의 하류측(출구측)을 통과했다고 판단한다.
이어서,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로부터 반송되어 온 물품(90)을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를 향해 반송할 경우의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로부터 반송되어 온 물품(90)의 반송 경로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에 반송되는 경로 또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에 반송되는 경로 중 어느 하나이다.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 경로는 물품(90)이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에 반송되어 올 때까지 이미 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58)는 물품(90)이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에 반송되어 온 단계에서 각 요동 장치(20, 30, 40)에 대하여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를 요동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90)이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에 반송되어 오면 컨트롤러(58)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90)의 반송 경로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물품(90)의 반송 경로가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로부터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로 반송되는 경로(버티컬 반송)일 경우 컨트롤러(58)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또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있어서 선행하는 물품(90)이 반송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높이 검출 센서(51) 및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컨트롤러(58)가 높이 검출 센서(51) 및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을 경우, 즉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있어서 선행하는 물품(90)이 반송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컨트롤러(58)는 제 1 요동 장치(20)의 제 1 구동 장치(24) 및 제 2 요동 장치(30)의 제 2 구동 장치(33)에 대해서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제 1 구동 장치(24)는 컨트롤러(58)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의거하여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을 개시한다. 또한, 아울러 제 2 구동 장치(33)는 컨트롤러(58)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의거하여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요동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하방향으로 요동하고,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 및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가 상방향으로 요동하고,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나란히 늘어선다.
컨트롤러(58)가 높이 검출 센서(5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검출했을 경우 컨트롤러(58)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에 소정 높이 이상의 물품(90)이 반송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즉, 컨트롤러(58)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까지 반송되어 온 물품(90)의 전방에 소정 높이 이상의 다른 물품(90)이 반송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여기에서 물품(90)의 소정 높이란 물품(90)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되었음과 동시에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향으로 요동시켰을 경우에 요동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에 접촉해서 뭉개지는 물품(90)의 최소 높이를 말한다. 물품(90)의 소정 높이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있어서의 물품(90)의 반송 속도,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하방향으로의 요동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높이 검출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물품(90)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물품(90)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이송되었을 때에 물품 검출 센서(52)에 의해 검출된다. 즉, 물품(90)이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이송됨으로써 물품 검출 센서(52)는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하고, 컨트롤러(58)에 대하여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58)는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물품(90)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되었다고 판단한다.
컨트롤러(58)는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구동량을 검출한다. 즉,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하면(물품 검출 센서(52)가 ON하면) 컨트롤러(58)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구동량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58)는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하면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를 구동시키는 모터(57)의 펄스 수를 카운트한다. 컨트롤러(58)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모터(57)의 펄스 수를 카운트해서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구동량을 검출함으로써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 상에서의 물품(9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컨트롤러(58)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모터(57)의 펄스 수가 소정 펄스 수가 될 때까지 상기 펄스 수의 카운트를 행한다. 여기에서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모터(57)의 소정 펄스 수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 상에 있어서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하는 위치로부터 물품(90)이 하방향으로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와 접촉해서 뭉개지지 않는 위치까지 물품(90)을 반송할 때의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모터(57)의 펄스 수를 말한다.
컨트롤러(58)가 소정 펄스 수가 될 때까지 모터(57)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에 물품(90)이 접촉해서 뭉개지지 않도록 컨트롤러(58)는 제 1 구동 장치(24)에 대하여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제 1 구동 장치(24)는 컨트롤러(58)의 지시 신호에 의거하여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을 개시한다.
한편, 물품(90)이 물품 검출 센서(52)를 통과하고,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OFF가 되면(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종료하면) 컨트롤러(58)는 제 2 구동 장치(33)에 대하여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제 2 구동 장치(33)는 컨트롤러(58)의 지시 신호에 의거하여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요동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58)가 제 1 구동 장치(24) 및 제 2 구동 장치(33)에 대하여 지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하방향으로 요동하고,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가 상방향으로 요동하고,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나란히 늘어선다.
컨트롤러(58)가 높이 검출 센서(5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만을 검출했을 경우 컨트롤러(58)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소정 높이보다 낮은 물품(90)이 반송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즉, 컨트롤러(58)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까지 반송되어 온 물품(90)의 전방에 소정 높이보다 낮은 별도의 물품(90)이 반송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물품(90)이 물품 검출 센서(52)를 통과하고,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OFF가 되면(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종료하면) 컨트롤러(58)는 제 1 구동 장치(24) 및 제 2 구동 장치(33)에 대하여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제 1 구동 장치(24)는 컨트롤러(58)의 지시 신호에 의거하여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을 개시한다. 또한, 아울러 제 2 구동 장치(33)는 컨트롤러(58)의 지시 신호에 의거하여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요동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소정 높이보다 낮은 물품(90)이 반송되어 있을 경우에는 컨트롤러(58)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모터(57)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일 없이 제 1 구동 장치(24) 및 제 2 구동 장치(33)에 대하여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을 개시시킨다.
이상 정리하면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로부터 반송되어 온 물품(90)을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를 향해서 반송할 경우에는 상기 물품(90)보다 선행하는 물품(90)의 높이를 높이 검출 센서(51)에 의해 검출한다.
그리고 물품(9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일 경우에는 그 물품(90)이 하방향으로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와 접촉해서 뭉개지지 않는 위치까지 반송되도록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모터(57)를 소정 펄스 수 카운트한 후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하방향으로의 요동을 개시한다.
한편, 물품(90)의 높이가 소정 높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모터(57)의 펄스 수를 확인하는 일 없이 물품(90)이 물품 검출 센서(52)를 통과한 후에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하방으로의 요동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높이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되는 물품(90)을 검출함으로써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이 제어된다. 그 때문에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크기 및 물품(90)의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스위칭 컨베이어(11, 12, 13, 14)가 각각 상이한 요동 장치(20, 30, 40)에 의해 요동되는 경우이어도 하방향으로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물품(90)의 반송 경로의 스위칭 시에 있어서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을 뭉개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각 컨베이어(81, 82, 83, 84)의 높이를 바꾸는 일 없이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를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 및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와,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83) 및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84)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높이 검출 센서(51)가 물품(90)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 후,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소정 구동량으로 구동됨으로써 제 1 구동 장치(24)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향으로 요동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제 1 구동 장치(24)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여기에서 소정 시간이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물품(90)을 물품 검출 센서(52)에 의한 물품(90)의 검출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하방향으로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와 접촉해서 뭉개지지 않는 위치까지 반송할 때에 요하는 시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58)는 물품 검출 센서(52)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58)가 소정 시간까지 시간을 계측하면 컨트롤러(58)는 제 1 구동 장치(24) 및 제 2 구동 장치(33)에 대하여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 1 구동 장치(24) 및 제 2 구동 장치(33)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의 요동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하방향으로 요동하고,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가 상방향으로 요동하고,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가 나란히 늘어선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높이 검출 센서(51)가 물품(90)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하고 나서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소정 구동량으로 구동됨으로써 제 1 구동 장치(24)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향으로 요동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종료하고 나서(물품 검출 센서(52)가 ON으로부터 OFF로 되었을 때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가 소정 구동량으로 구동됨으로써 제 1 구동 장치(24)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향으로 요동시켜도 상관없다. 즉,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종료하고 나서 컨트롤러(58)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구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제 1 구동 장치(24)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향으로 요동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물품(90)의 검출을 개시한 물품 검출 센서(52)가 물품(90)의 검출을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제 1 구동 장치(24)가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를 하방향으로 요동시켜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가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 또는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에 의해 반송되어 온 물품(90)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를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에 의해 반송되어 온 물품(90)의 반송 경로만을 스위칭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즉, 상류측 상부 컨베이어(81)를 갖지 않는 설비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10)를 상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1)를 갖지 않는 구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요동 장치(20)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만을 요동하도록, 예를 들면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13)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를 이동시키는 캠과, 상기 캠을 회동하는 구동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높이 검출 센서(51)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 상을 반송되는 물품(90)의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로 이송될 때의 물품(90)의 높이를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높이 검출 센서(51)를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와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4)의 경계에 배치한다. 또한, 예를 들면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로부터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로 이송되는 물품(90)의 높이를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높이 검출 센서(51)를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82)와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의 경계에 배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90)의 높이를 높이 검출 센서(51)에 의해 실제로 검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90)의 높이 등의 정보를 부여한 태그를 물품(90)마다 사전에 부착하고, 부여한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물품(90)의 높이를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10: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12: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
13: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 14: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
20: 제 1 요동 장치(요동 장치) 30: 제 2 요동 장치(요동 장치)
40: 제 3 요동 장치(요동 장치) 51: 높이 검출 센서(높이 검출기)
52: 물품 검출 센서(피반송물 검출기)
82: 상류측 하부 컨베이어(상류측 컨베이어)
83: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 84: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
90: 물품(피반송물)

Claims (4)

  1.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상류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로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여 반송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측을 지점으로 하여 하류측이 요동하는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 및 상기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상방이며, 상기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류측 상부 컨베이어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류측이 요동하는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하방이며, 상기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류측 하부 컨베이어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류측이 요동하는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소정 높이 이상의 피반송물을 검출하는 높이 검출기와,
    상기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피반송물을 검출하는 피반송물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와, 상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는 각각 상이한 요동 장치에 의해 요동되고,
    상기 요동 장치에 의한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이 상기 높이 검출기 및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에 의한 상기 피반송물의 검출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에 상기 하류측 하부 스위칭 컨베이어가 소정 구동량으로 구동됨으로써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를 요동하는 요동 장치는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검출기가 피반송물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피반송물 검출기가 상기 피반송물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하류측 상부 스위칭 컨베이어의 요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KR1020200023312A 2019-04-12 2020-02-26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KR202001204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5995 2019-04-12
JP2019075995A JP7135983B2 (ja) 2019-04-12 2019-04-12 搬送経路切換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97A true KR20200120497A (ko) 2020-10-21

Family

ID=6994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12A KR20200120497A (ko) 2019-04-12 2020-02-26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67935B2 (ko)
EP (1) EP3722233B1 (ko)
JP (1) JP7135983B2 (ko)
KR (1) KR20200120497A (ko)
CN (1) CN111807022B (ko)
AU (1) AU2020202024A1 (ko)
CA (1) CA3076429A1 (ko)
DK (1) DK3722233T3 (ko)
PL (1) PL3722233T3 (ko)
RU (1) RU2762923C2 (ko)
SG (1) SG10202002983RA (ko)
TW (1) TW202037545A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9630A (en) * 1962-04-16 1965-02-16 Western Electric Co Conveyor mechanism
JP2755894B2 (ja) * 1993-09-30 1998-05-25 敷島製パン株式会社 製品落下防止機構付きデパンナー
CN1065504C (zh) * 1996-03-11 2001-05-09 东洋火热株式会社 输送路线的转换装置
NL1003975C2 (nl) 1996-09-06 1998-03-09 Vanderlande Ind Nederland Inrichting voor het transporteren van voorwerpen.
US5810149A (en) 1996-11-26 1998-09-22 Formax, Inc. Conveyor system
DE50003795D1 (de) * 1999-06-23 2003-10-30 Ferag Ag Vorrichtung zum Entnehmen von Schuppenstromteilen aus einem Schuppenstrom
NL1024194C2 (nl) 2003-08-29 2005-03-01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richting.
WO2006038882A1 (en) * 2004-10-07 2006-04-13 Inter-Roller Engineering Limited Bi-directional distribution conveyor system
JP4602743B2 (ja) 2004-11-09 2010-12-22 三機工業株式会社 高速垂直分岐装置
JP5514524B2 (ja) * 2009-11-30 2014-06-04 株式会社イシダ 包装物の搬送装置
JP5551981B2 (ja) * 2009-07-28 2014-07-16 株式会社イシダ 箱詰装置
CN205471485U (zh) * 2016-01-21 2016-08-17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产品换路装置
DE102017106021B4 (de) * 2017-03-21 2020-12-17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Leergutannahme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07022A (zh) 2020-10-23
RU2020112360A (ru) 2021-09-28
US11167935B2 (en) 2021-11-09
US20200324980A1 (en) 2020-10-15
AU2020202024A1 (en) 2020-10-29
EP3722233B1 (en) 2024-01-03
CA3076429A1 (en) 2020-10-12
EP3722233A1 (en) 2020-10-14
JP2020172382A (ja) 2020-10-22
DK3722233T3 (da) 2024-03-25
SG10202002983RA (en) 2020-11-27
TW202037545A (zh) 2020-10-16
JP7135983B2 (ja) 2022-09-13
CN111807022B (zh) 2023-06-27
PL3722233T3 (pl) 2024-05-06
RU2020112360A3 (ko) 2021-11-26
RU2762923C2 (ru)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711B2 (en) Modular package sorting system
US9181041B2 (en) Buffer conveyor having parallel tracks
US20180057271A1 (en) Conveying system with segment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individual items
US20210362194A1 (en) Modular package sorting system
TWI805716B (zh) 輸送分類裝置
KR20200120497A (ko) 반송 경로 스위칭 장치
EP3848129B1 (en) Sorting facility
KR101644077B1 (ko) 물품 자동 분류시스템의 인덕션-캐리어 실시간 동기제어방법
JP2006160476A (ja) 振分装置
NZ762698A (en) Transportation path diverter
WO2022040322A1 (en) Modular package sorting system
JPH0940160A (ja) 仕分け設備
JP7109931B2 (ja) 荷物仕分装置
KR20220054296A (ko) 분기 설비
KR101715314B1 (ko) 이송물 합류시스템
JP4772640B2 (ja) 振分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検査システム
JPH0940176A (ja) 物品仕分け装置
JPH0769429A (ja) 缶の搬送状態の異常検知装置
JPH0551122A (ja) 荷搬送設備
KR20230088152A (ko) 데이터 트래킹 동기화를 이용한 화물 분류 장치
JPH0543037A (ja) 荷搭載方法
JPH04293195A (ja) 自動販売機
JPH03202092A (ja) パチンコ店等におけるメダル搬送装置
JPH11165857A (ja) 物品振分け装置
JPH04293194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