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40A - 자동 봉제기 - Google Patents

자동 봉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40A
KR20200120240A KR1020190042868A KR20190042868A KR20200120240A KR 20200120240 A KR20200120240 A KR 20200120240A KR 1020190042868 A KR1020190042868 A KR 1020190042868A KR 20190042868 A KR20190042868 A KR 20190042868A KR 20200120240 A KR20200120240 A KR 20200120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sewing
cutt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416B1 (ko
Inventor
전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 소잉머신
전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 소잉머신, 전완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 소잉머신
Priority to KR102019004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41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05B37/08Cutting devices with rotat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봉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동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 봉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면에 섬유가 안착되도록 마련된 받침유닛;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유닛에 안착된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하도록 마련된 봉제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섬유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봉제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봉제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봉제기{AUTOMATIC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봉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동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 봉제기에 관한 것이다.
봉제기는 특정 실을 사용하여 섬유를 꿰맬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장치를 총칭하는 의미로서, 직물 또는 가죽 등의 섬유를 봉제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에도 봉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 봉제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봉제기는 일부 공정에 있어서 완전 자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인력이 필요하여 불편함이 있었다.
일 예로, 종래에는 봉제 작업이 완료된 섬유를 수동으로 적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 중 섬유가 통과하고 나서도 봉제가 일정 시간 계속되기 때문에 잉여 실밥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실밥을 사람이 직접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봉제 작업 전체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한 자동 봉제기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8729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동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 봉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면에 섬유가 안착되도록 마련된 받침유닛;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유닛에 안착된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하도록 마련된 봉제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섬유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봉제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봉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데스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는 데스크부; 상기 데스크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데스크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은, 상부에 상기 이송유닛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받침부; 상기 제1 받침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제유닛은,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는 봉제부; 상기 봉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센서부와 수직한 방향에 마련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가 상기 제1 센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봉제부와 연결되어 마련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섬유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제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과 연동되도록 마련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 사이에 상기 섬유가 존재하지 않게 된 시점과, 상기 이송유닛의 작동에 따른 상기 섬유의 이송 속도를 변수로 하여 상기 섬유의 위치를 도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이송몸체부;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바퀴부;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바퀴부; 상기 제1 바퀴부 및 상기 제2 바퀴부에 결합된 제1 벨트부;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이송몸체부; 상기 제2 이송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바퀴부와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제3 바퀴부; 상기 제2 이송몸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4 바퀴부; 상기 제3 바퀴부 및 상기 제4 바퀴부에 결합된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1 바퀴부, 상기 제2 바퀴부, 상기 제3 바퀴부 및 상기 제4 바퀴부가 동일한 회전 속도를 갖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대해 초과로 봉제된 실 부분을 자르도록 마련된 컷팅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컷팅유닛은, 상기 실 부분을 자르도록 마련된 커터부; 상기 커터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커터부가 교차될 때 상기 실을 자르도록 마련된 보조커터부; 상기 커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커터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하도록 회전축을 형성하는 커터회전축; 및 상기 커터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커터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보조커터부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을 승강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된 승강홀이 형성된 승강몸체부; 상기 승강홀에 결합되며, 승강되도록 마련된 승강가이드부;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유닛과 결합된 승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봉제 작업이 완료된 섬유를 이동시켜 적재하도록 마련된 회동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마련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할 때의 축을 형성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자동으로 봉제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동유닛에 의해 봉제 작업이 완료된 섬유가 자동으로 적층될 수 있다.
섬유에 초과로 더 봉제된 실밥이 자동으로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일측에서 사선으로 바라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타측에서 사선으로 바라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일측에서 사선으로 바라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봉제기의 타측에서 사선으로 바라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 봉제기(100)는 데스크유닛(110), 받침유닛(120), 봉제유닛(130), 이송유닛(140), 컷팅유닛(150), 승강유닛(160), 회동유닛(170) 및 제어유닛(180)을 포함한다.
상기 데스크유닛(110)은 상기 받침유닛(120)의 하부에 마련되며, 데스크부(111) 및 데스크승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스크부(111)는 상기 데스크유닛(11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 상기 받침유닛(120), 봉제유닛(130), 이송유닛(140), 컷팅유닛(150), 승강유닛(160), 회동유닛(170) 및 제어유닛(180)이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스크승강부(112)는 상기 데스크부(111)에 마련되며, 상기 데스크부(111)의 다리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 상기 데스크부(11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데스크승강부(112)는 봉제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편리한 높이로 상기 데스크부(1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받침유닛(120)은 상면에 섬유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데스크유닛(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받침유닛(120)은 제1 받침부(121), 제2 받침부(122) 및 액추에이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121)는 상기 데스크유닛(1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이송유닛(140)이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받침부(122)는 상기 제1 받침부(121)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받침부(121)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부(123)는 일단이 상기 데스크유닛(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받침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부(123)는 신축되면서 상기 제2 받침부(122)와 상기 제1 받침부(121)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2 받침부(122)는 상기 섬유의 너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받침부(121)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다양한 너비의 섬유에 대한 봉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봉제유닛(130)은 상기 받침유닛(12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유닛(120)에 안착된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제유닛(130)은 상기 이송유닛(14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며, 봉제부(131), 제1 센서부(132), 제2 센서부(133) 및 프레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제부(131)는 상기 제1 받침부(121)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14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32)는 상기 봉제부(13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센서부(132)는 상기 봉제부(131)에 의해 봉제되는 섬유가 투입되는 방향측에 마련되며, 상부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133)는 상기 제1 센서부(132)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센서부(132)와 수직한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센서부(133)는 상기 제1 센서부(132)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센서부(133)가 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센서부(132)가 적외선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센서부(132)와 상기 제2 센서부(133)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부(132)와 상기 제2 센서부(133) 사이에 섬유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고, 이러한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180)에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34)는 상기 제2 센서부(133)가 상기 제1 센서부(13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봉제부(131)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140)은 상기 받침유닛(12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섬유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140)은 제1 이송몸체부(141), 제1 바퀴부(142), 제2 바퀴부(143), 제1 벨트부(144), 제2 이송몸체부(145), 제3 바퀴부(146), 제4 바퀴부(147), 제2 벨트부(148) 및 모터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몸체부(141)는 상기 받침유닛(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유닛(120)의 길이 방향은 상기 섬유의 이송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제1 바퀴부(142)는 상기 제1 이송몸체부(141)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호 평행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퀴부(143)는 상기 제1 이송몸체부(141)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호 평행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벨트부(144)는 상기 제1 바퀴부(142) 및 상기 제2 바퀴부(143)에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벨트부(144)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하나는 상기 제1 바퀴부(142)의 일측 바퀴와 상기 제2 바퀴부(143)의 일측 바퀴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바퀴부(142)의 타측 바퀴와 상기 제2 바퀴부(143)의 타측 바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몸체부(145)는 상기 제1 이송몸체부(141)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몸체부(141)의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바퀴부(146)는 상기 제2 이송몸체부(145)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바퀴부(143)와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4 바퀴부(147)는 상기 제2 이송몸체부(145)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3 바퀴부(146)와 회전 방향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벨트부(148)는 상기 제3 바퀴부(146) 및 상기 제4 바퀴부(147)에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부(142), 상기 제2 바퀴부(143), 상기 제3 바퀴부(146) 및 상기 제4 바퀴부(147)는 동일한 회전 속도를 갖도록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49)는 상기 제1 바퀴부(142), 상기 제2 바퀴부(143), 상기 제3 바퀴부(146) 및 상기 제4 바퀴부(147)가 동일한 회전 속도를 갖도록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49)가 상기 제1 바퀴부(142), 상기 제2 바퀴부(143), 상기 제3 바퀴부(146) 및 상기 제4 바퀴부(147)를 회전시키는 속도는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이처럼 마련된 상기 이송유닛(140)과 상기 받침유닛(120) 사이에 삽입되어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컷팅유닛(150)은 상기 봉제유닛(130)과 상기 승강유닛(16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섬유에 대해 초과로 봉제된 실 부분을 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컷팅유닛(150)은 커터부(151), 보조커터부(152), 커터회전축(153) 및 커터동력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부(151)는 초과로 봉제된 상기 실 부분을 자르도록 마련되며, 봉제 작업이 완료된 섬유가 상기 이송유닛(140)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170)의 작동 위치로 완전히 이송되었을 때, 상기 섬유의 후방 끝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봉제유닛(130)이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섬유 끝단에서 바느질을 정확하게 멈추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만큼 바느질 멈추는 시간이 지연되어 섬유 영역을 초과하여 봉제 작업이 수행된 실 부분이 남게 된다. 상기 커터부(151)는 이처럼 섬유 영역을 초과하여 봉제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발생된 실 부분을 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커터부(152)는 상기 커터부(151)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커터부(151)가 상기 보조커터부(152)와 교차될 때 상기 실을 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터부(151)는 컷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보조커터부(152)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터회전축(153)은 상기 커터부(151)와 연결되며, 상기 커터부(151)가 소정의 각도만큼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하면서 상기 실을 컷팅하도록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터동력부(154)는 상기 커터회전축(153)과 연결되어 상기 커터회전축(153)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160)은, 상기 이송유닛(140)을 승강시키도록 마련되며, 승강몸체부(161), 승강가이드부(162) 및 승강결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부(161)는 상기 승강유닛(16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된 승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몸체부(161)는 상기 이송유닛(14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홀이 상기 이송유닛(1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부(162)는 상기 승강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홀(16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결합부(163)는 상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부(162)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이송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승강결합부(163)는 상기 승강가이드부(162)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140)을 승강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승강유닛(160)은 상기 섬유가 상기 회동유닛(170)의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되어 봉제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이송유닛(140)을 상승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170)은 상기 이송유닛(140)의 하부에 마련되며, 봉제 작업이 완료된 섬유를 이동시켜 적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170)은 회동부(171) 및 회동축(172)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171)는 상기 이송유닛(14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부(171)는 지면과 수직하게 세워져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171)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넓은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172)은 상기 회동부(171)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부(171)가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할 때의 축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회동유닛(170)은 상기 승강유닛(160)에 의해 상기 이송유닛(140)이 상승될 때 상기 회동부(171)를 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섬유를 상기 회동부(171) 아래에 적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80)은 상기 자동 봉제기(100)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유닛(180)은 상기 제어유닛(180)은 상기 제1 센서부(132)와 상기 제2 센서부(133) 사이에 상기 섬유가 존재하여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섬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송유닛(140)과 봉제유닛(130)을 작동시켜 자동으로 봉제 작업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80)은 상기 제1 센서부(132)와 상기 제2 센서부(133) 사이에 상기 섬유가 존재하지 않게 된 시점과, 상기 이송유닛(140)의 작동에 따른 상기 섬유의 이송 속도를 변수로 하여 상기 섬유의 위치를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80)은 도출된 상기 섬유의 끝단의 위치가 커터부(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이송유닛(14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어유닛(180)은 상기 섬유 영역을 벗어나 상기 섬유 끝단에 초과로 봉제된 실을 상기 커터부(151)가 컷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제어유닛(180)은 상기 승강유닛(160)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유닛(140)을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이송유닛(140)과 상기 받침유닛(120) 사이에 위치한 섬유의 고정 상태를 풀어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유닛(180)은 상기 회동유닛(170)의 상기 회동부(171)를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켜 상기 섬유가 상기 회동유닛(17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자동 봉제기(100)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봉제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동 봉제기
110: 데스크유닛 111: 데스크부
112: 데스크승강부 120: 받침유닛
121: 제1 받침부 122: 제2 받침부
123: 액추에이터부 130: 봉제유닛
131: 봉제부 132: 제1 센서부
133: 제2 센서부 134: 프레임부
140: 이송유닛 141: 제1 이송몸체부
142: 제1 바퀴부 143: 제2 바퀴부
144: 제1 벨트부 145: 제2 이송몸체부
146: 제3 바퀴부 147: 제4 바퀴부
148: 제2 벨트부 149: 모터부
150: 컷팅유닛 151: 커터부
152: 보조커터부 153: 커터회전축
154: 커터동력부 160: 승강유닛
161: 승강몸체부 162: 승강가이드부
163: 승강결합부 170: 회동유닛
171: 회동부 172: 회동축
180: 제어유닛

Claims (10)

  1. 상면에 섬유가 안착되도록 마련된 받침유닛;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유닛에 안착된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하도록 마련된 봉제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섬유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봉제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봉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데스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는 데스크부;
    상기 데스크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데스크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은,
    상부에 상기 이송유닛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받침부;
    상기 제1 받침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유닛은,
    상기 섬유에 대한 봉제 작업을 수행하는 봉제부;
    상기 봉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센서부와 수직한 방향에 마련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가 상기 제1 센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봉제부와 연결되어 마련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섬유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과 연동되도록 마련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 사이에 상기 섬유가 존재하지 않게 된 시점과, 상기 이송유닛의 작동에 따른 상기 섬유의 이송 속도를 변수로 하여 상기 섬유의 위치를 도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이송몸체부;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바퀴부;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바퀴부;
    상기 제1 바퀴부 및 상기 제2 바퀴부에 결합된 제1 벨트부;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이송몸체부;
    상기 제2 이송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바퀴부와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제3 바퀴부;
    상기 제2 이송몸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4 바퀴부;
    상기 제3 바퀴부 및 상기 제4 바퀴부에 결합된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1 바퀴부, 상기 제2 바퀴부, 상기 제3 바퀴부 및 상기 제4 바퀴부가 동일한 회전 속도를 갖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대해 초과로 봉제된 실 부분을 자르도록 마련된 컷팅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컷팅유닛은,
    상기 실 부분을 자르도록 마련된 커터부;
    상기 커터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커터부가 교차될 때 상기 실을 자르도록 마련된 보조커터부;
    상기 커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커터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하도록 회전축을 형성하는 커터회전축; 및
    상기 커터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커터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보조커터부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을 승강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된 승강홀이 형성된 승강몸체부;
    상기 승강홀에 결합되며, 승강되도록 마련된 승강가이드부;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유닛과 결합된 승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봉제 작업이 완료된 섬유를 이동시켜 적재하도록 마련된 회동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유닛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마련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할 때의 축을 형성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기.
KR1020190042868A 2019-04-12 2019-04-12 자동 봉제기 KR10216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68A KR102168416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 봉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68A KR102168416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 봉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40A true KR20200120240A (ko) 2020-10-21
KR102168416B1 KR102168416B1 (ko) 2020-10-22

Family

ID=7303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68A KR102168416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 봉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4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279A (ja) * 1993-10-05 1995-04-18 Brother Ind Ltd プリセット装置を備えた自動縫製装置
JP2650772B2 (ja) * 1990-05-22 1997-09-03 ジューキ株式会社 縫製装置
JP2944029B2 (ja) * 1995-07-20 1999-08-30 株式会社九州エム・アイ・シイ 生地の連続プレス・サージング装置
KR101148729B1 (ko) 2011-02-23 2012-05-21 조훈식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0772B2 (ja) * 1990-05-22 1997-09-03 ジューキ株式会社 縫製装置
JPH07100279A (ja) * 1993-10-05 1995-04-18 Brother Ind Ltd プリセット装置を備えた自動縫製装置
JP2944029B2 (ja) * 1995-07-20 1999-08-30 株式会社九州エム・アイ・シイ 生地の連続プレス・サージング装置
KR101148729B1 (ko) 2011-02-23 2012-05-21 조훈식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416B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3181A (zh) 一种智能缝合压线机
JP2008168131A (ja) 自動縫製機
KR102168416B1 (ko) 자동 봉제기
JP2015066378A (ja)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CN106081679A (zh) 一种医用纱布自动生产线的转送机构
US6082277A (en) Automatic flange applying machine
CN1605674A (zh) 针织品用自动前衿缝制缝纫机
TWI675949B (zh) 下擺縫合機
CN207891543U (zh) 一种拉腰压线机
JPS61500904A (ja) 彎曲シ−ムを縫う装置
TWI703250B (zh) 縫紉機及縫製裝置、以及縫製方法
JP4236454B2 (ja) 玉縁縫製装置
CN205688148U (zh) 新型平缝机自动送料装置
JP2002126383A (ja) 畳縫着装置および縫着方法
CN209686053U (zh) 一种贴底档缝纫机的折料机构
CN209082153U (zh) 布料对折车缝设备
JPH08500508A (ja) 加工片位置決め装置
CN106592118B (zh) 裁片控边装置
US5622125A (en) Automatic coverstitch on circular garment bands
JPS5915677B2 (ja) 筒状ピ−スの自動縫製搬出装置
CN209669470U (zh) 一种贴底档缝纫机的送料压脚机构
JP2660194B2 (ja) 被縫製物の外周縫い装置
CN109629130B (zh) 一种贴底档缝纫机的送料机构
JP2019017787A (ja) ミシン
JP2019017785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