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729B1 -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 Google Patents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729B1
KR101148729B1 KR1020110015891A KR20110015891A KR101148729B1 KR 101148729 B1 KR101148729 B1 KR 101148729B1 KR 1020110015891 A KR1020110015891 A KR 1020110015891A KR 20110015891 A KR20110015891 A KR 20110015891A KR 101148729 B1 KR101148729 B1 KR 101148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information
sewing machine
bobbi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식
Original Assignee
조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식 filed Critical 조훈식
Priority to KR102011001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12Machine to the operator; Alarms
    • D05D2205/14Machine to the operator; Alarms acoustic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12Machine to the operator; Alarms
    • D05D2205/16Displa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실이 권취된 보빈이 내설된 침판에 바늘이 삽입되어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되, 봉제작업의 이상유무에 따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가 형성된 봉제기에 있어서, 밑실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챔버 양단에 고정된 원판 형태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중간플랜지와, 상기 중간플랜지 사이 사이의 챔버 외주면에 고정되며 밑실의 권취여부에 따라 신호가 송출되는 전파식별태그와, 봉제기 일측에 고정되어 전파식별태그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해 권취된 밑실의 잔량을 알람장치로 알려주는 전파식별기가 형성된 보빈과, 상기 봉제기로 작업되는 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컴퓨터를 통해 저장되도록 형성된 제어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봉제기는 다수개의 중간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챔버 외주면에 각각 전파식별태그가 고정되어, 협소한 봉제기에 효과적으로 설치해 밑실의 소진 시점과 잘못된 밑실의 삽입여부를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봉제불량률이 감소하고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공정중 및 소비자가 스마트폰 등으로 잠재불량의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여 안전상 결함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 Automatic sewing machine }
본 발명은 자동봉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중간플랜지에 의해 구획되며 각각 밑실이 권취된 챔버 외주면에 전파식별태그가 고정되어, 밑실 소진시 전파식별태그를 통해 전파식별기에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밑실 소진시점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봉제품에 QR코드 라벨을 부착해 봉제 완료 후 QR코드판독기를 통해 정상 봉제품임을 확인함으로써 사후관리가 필요한 안전제품에 대한 봉제이력을 소비자가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자동봉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제기는 가정 또는 산업용으로 직물 또는 가죽을 봉제하는데 사용되었다. 하지만, 대량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봉제하는 산업용 봉제기의 경우는 밑실의 소진시점을 작업자가 감에만 의존해 작업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밑실이 낭비되거나 밑실의 소진시점을 놓쳐 봉제품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밑실의 소진 시점을 감지하고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0471639호)에 등록된 종래의 "잔사를 감지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재봉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가마(100)는 회전축(170)에 결합되는 전극판(180)과, 일극은 상기 전극판(180)에 연결되며 타극은 상기 몸체(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50) 및 회전축(17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수용부에 삽입 설치되는 수광 센서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재봉틀에는 상기 회전 가마(100)의 배면 관통부(160)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500)가 상기 회전 가마(100)의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북집의 축(250)에는 상기 회전 가마(100)의 배면 관통부(160)를 지나 상기 북집의 공동부(220)로 입사되는 빛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홀(260)이 형성되며, 상기 축의 관통홀(260)을 통과한 빛을 상기 회전 가마(100)의 수광 센서(11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축 내부에는 일정 각도로 결합되는 반사판(265)이 구비되며; 상기 북(400)의 결합관(450)에는 상기 북집의 축(250)에 형성된 관통홀(260)에 대응되는 관통홀(460)이 구비되며; 상기 보빈(300)은 상기 회전 가마(100)의 배면 관통부(160), 상기 북집의 공동부(2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빛이 상기 북의 결합관(450)에 형성된 관통홀(160)과 상기 북집의 축(250)에 형성된 관통홀(2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원 공급부(610)와, 상기 전원 공급부(610)의 두 극이 상기 전극판(180)과 상기 회전 가마 몸체(15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광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되는 빛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620)로 구성된 감지 회로부(600);를 더욱 구비하여 보빈(300)에 감긴 밑실(350)이 모두 소모된 경우에 신호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잔사가 없음을 알려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반사광 또는 광 투과방식을 통해 밑실의 소진시점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발광광원이 챔버에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협소한 봉제기의 구조에서 설치하기 위해선 공간상에 제약이 따랐고, 속가마와 보빈케이스에 발광과 수광을 위한 투과공을 뚫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가마의 형태에 따라서는 투과공이 보빈축의 일부에만 투과공을 뚫을 수 밖에 없어 제한적으로 사용되거나 보빈의 삽입방향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정공정에서는 특정재질의 밑실을 사용해야만 하나 이를 사전에 감지하기가 힘들었다.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자동차의 안전장치인 사이드에어백은 시트좌우측 내부에 수납되는 에어백모듈이, 측면충돌감지시에 봉제부위를 뜯고 에어백이 돌출되어야 정상이나, 본 사이드에어백 전개부위는 윗실과 밑실의 강도가 다른 실, 즉 윗실은 강력한 실을, 밑실은 약한 면사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밑실을 강력한 실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이드에어백이 전개되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유사 시스템은 각 공정이 끝날 때 연번의 바코드를 출력하여 봉제물의 내측에 부착하고는 사후에 이를 통해 추적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인데, 이 경우는 제조과정이나 소비자가 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없어 잠재불량으로 존재하다가 사고가 발생할 때 오작동되어 인명손상이 발생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협소한 봉제기에서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밑실의 소진 시점을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다수개의 중간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챔버 외주면에 전파식별태그가 고정된 자동봉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실이 사용되는 봉제품의 봉제시에 보빈에 권취되어 사용되고 있는 밑실의 정확한 종류와 길이 등 밑실의 정확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챔버 양단에 고정된 외부플랜지 외측면에 권취된 밑실의 각종 정보가 문자 또는 기호와 같은 정보문자로 인쇄된 자동봉제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특정한 용도로 사용되는 안전봉제품의 경우 사용자가 인터넷,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봉제이력정보를 확인 할 수 있고, 해당 제품이 기준에 맞는 봉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봉제품의 일측에 QR코드 라벨을 인쇄 후 부착하고 이를 봉제시에도 봉제기 일측에 형성된 QR코드판독기를 통해 정상적인 봉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해 제조과정 또는 소비자가 이를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밑실이 권취된 보빈이 내설된 침판에 바늘이 삽입되어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되, 봉제작업의 이상유무에 따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가 형성된 봉제기에 있어서, 밑실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챔버 양단에 위치한 원판 형태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중간플랜지와, 상기 중간플랜지 사이 사이의 챔버 외주면에 고정되며 밑실의 권취여부에 따라 신호가 송출되는 전파식별태그와, 봉제기 일측에 고정되어 전파식별태그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해 권취된 밑실의 잔량을 알람장치로 알려주는 전파식별기가 형성된 보빈과, 상기 봉제기로 작업되는 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컴퓨터를 통해 저장되도록 형성된 제어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침판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덮개가 개폐되며, 그 내측에 덮개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는 다수개의 중간플랜지에 의해 분할되며, 분할된 각각의 챔버 지름이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플랜지 외측면에 챔버에 권취되는 밑실의 종류 및 길이 정보와 중간플랜지의 높이 정보가 문자 또는 기호로 인쇄된 정보문자와, 봉제기 일측에 고정되어 침판에 보빈 고정시 정보문자가 판독되도록 카메라 모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플랜지는 분할된 챔버에 권취되는 밑실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높낮이가 다양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태그는 전파식별기에서 방출되는 전파에 의한 유도기전력 또는 자체 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내설된 IC칩을 이용해 보빈의 정보와 용도가 기록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기는 보빈에 형성된 전파식별태그를 봉제 전 인식 함으로써 특정 또는 불특정 전파식별태그의 신호가 수신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빈은 밑실이 감겨져 공급되되, 각 챔버에 순차적으로 밑실이 권취되고, 이후에는 각 챔버의 윗 챔버에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태그와 전파식별기는 봉제기 바늘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태그는 자체 전원에 의해 작동되되, 다수개의 전파식별태그가 하나의 전파식별기에 인식 후 각각의 전파식별태그의 신호정보가 알람장치로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밑실이 권취된 보빈이 내설된 침판에 바늘이 삽입되어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되, 봉제작업의 이상유무에 따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와, 봉제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봉제기에 있어서, 봉제기로 작업되는 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저장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로 저장된 설계정보, 작업정보와 봉제품의 정보가 인쇄되는 QR코드 프린터가 형성된 제어부와; 봉제품의 일측에 봉제이력정보 또는 시리얼(serial)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인쇄된 QR코드 라벨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해 컴퓨터에 저장되도록 하는 QR코드판독기가 봉제기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봉제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봉제기로 저장되도록 컴퓨터가 구비되며, 상기 컴퓨터에 QR코드판독기에서 스캔한 QR코드 라벨 정보가 저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QR코드 라벨은 라벨 인쇄기 또는 스티커 인쇄기를 통해 라벨 또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밑실이 권취된 보빈이 내설된 침판에 바늘이 삽입되어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되, 봉제작업의 이상유무에 따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와, 봉제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봉제기에 있어서, 밑실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챔버 양단에 위치한 원판 형태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중간플랜지와, 상기 중간플랜지 사이 사이의 챔버 외주면에 고정되며 밑실의 권취여부에 따라 신호가 송출되는 전파식별태그와, 봉제기일측에 고정되어 전파식별태그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해 권취된 밑실의 잔량을 알람장치로 알려주는 전파식별기가 형성된 보빈과; 상기 봉제기로 작업되는 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컴퓨터를 통해 저장되도록 형성된 제어부와; 봉제품의 일측에 봉제이력정보 또는 시리얼(serial)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인쇄된 QR코드 라벨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해 컴퓨터에 저장되도록 하는 QR코드판독기가 봉제기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QR코드 라벨은 봉제공정 또는 봉제품 사용중 작업자 또는 소비자에 의해 봉제과정 정보가 확인되도록 봉제품 일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봉제기는 다수개의 중간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챔버 외주면에 각각 전파식별태그가 고정되어, 협소한 봉제기에 효과적으로 설치해 밑실의 소진 시점을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봉제불량률이 감소하고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챔버 양단에 고정된 외부플랜지 외측면에는 챔버에 권취된 밑실의 각종 정보가 문자 또는 기호와 같은 정보문자로 인쇄되어 다양한 종류의 실이 사용되는 봉제품의 봉제시에 보빈에 권취되어 사용되고 있는 밑실의 정확한 종류와 길이 등 밑실의 정확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봉제품의 일측에 QR코드 라벨을 인쇄하고 봉제시에도 봉제기 일측에 형성된 QR코드판독기를 통해 봉제생산이력정보를 생성 관리함으로써 봉제기의 설정에 맞게 인쇄될 봉제품이 정상적으로 봉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한 용도로 사용되는 안전봉제품의 경우 이후의 생산 전 공정과, 실 사용자가 인터넷,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QR코드 라벨에 저장된 봉제이력정보를 직접 확인하고, 해당제품의 기준에 맞는 봉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잔사를 감지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봉제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판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측 확대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중간플랜지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밑실이 권취된 보빈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봉제기 타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봉제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판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측 확대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중간플랜지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밑실이 권취된 보빈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봉제기의 제1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자동봉제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전원코드(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13)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며 발판(14)을 이용해 바늘(11)이 침판(12)에 삽입되는 봉제기(10)와, 상기 침판(12) 내측에 삽입되며 직물, 가죽 등이 봉제되도록 밑실(T)이 권취된 보빈(20)과, 상기 봉제기(10)와 보빈(20)의 작동 및 이상유무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이용해 알려주는 알람장치(30)와, 봉제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부(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판(12)은 바늘(11)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끝단이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덮개(121)가 내측에 삽입된 보빈(20)을 감싼 형태이며, 상기 덮개(121)의 개폐여부를 감지해 알람장치(3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작업중 밑실(T)의 단사가 발생할 수 있었음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내측에 개폐감지센서(123)가 형성된다.
한편, 보빈(20)은 도 4와 같이 밑실(T)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원통형 챔버(21)와, 상기 챔버(21) 양단에 위치한 원판 형태의 외부플랜지(22)와, 상기 외부플랜지(22)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22) 보다 낮은 높이로 챔버(21) 외주면에 형성된 중간플랜지(23)와, 상기 중간플랜지(23) 사이 사이의 챔버(21) 외주면에 다수개가 고정되며 밑실의 권취여부에 따라 신호가 송출되는 전파식별태그(24)와, 봉제기(10) 일측에 고정되어 전파식별태그(24)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해 권취된 밑실의 잔량이 알람장치(30)에 송신되도록 전파식별기(25)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21)는 원통형으로 도 6a와 같이 다수개의 중간플랜지(23)에 의해 분할되어 밑실(T)이 권취될 수 있으며, 도 6b와 같이 중간플랜지(23)에 의해 분할된 각 구역의 지름이 다르게 형성되어 밑실(T)이 한 번의 공정을 더 진행할 수 있는 적정량을 권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후 사용되는 밑실(T)이 권취된 챔버(21) 구역에 전파식별태그(24)를 고정해 작업자에게 밑실(T) 소진시점을 알려줌으로써 봉제공정의 진행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플랜지(22)는 외측면에 챔버(21)에 권취되는 밑실(T)의 종류 및 길이 정보와 중간플랜지(23)의 높이 정보가 문자 또는 기호를 사용해 인쇄된 정보문자(221)와, 봉제기(10) 일측에 고정되어 침판(12)에 보빈(20) 고정시 정보문자(221)를 판독해 현재 진행되는 봉제공정에 사용되는 밑실(T)인지 여부를 확인해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특정작업에서 사용되는 밑실(T)을 작업자가 오판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플랜지(23)는 각각 다수개로 분할된 챔버(21)에 권취되는 밑실(T)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이 높낮이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밑실(T)이 점진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분할된 챔버(21) 외주면에 고정된 전파식별태그(24)의 신호를 통해 밑실(T) 소진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파식별태그(24)는 압전센서 형태로 밑실(T) 권취에 따라 압입된 후 밑실(T) 소진에 따라 압입이 해제되면 신호가 발생되어 전파식별기(25)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전파식별기(25)에서 방출되는 전파에 의한 유도기전력 또는 자체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파식별태그(24)에 내설된 IC칩(241)에 봉제공정에 사용되는 보빈(20)의 정보와 용도 등이 기록되어 지정된 보빈(20) 인지 여부를 감지 후 제어부(40)에 이를 송출해 알람장치(3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파식별태그(24)는 봉제공정 시작 전 전파식별기(25)에서 인식되는 것으로, 특정 또는 불특정 전파식별태그(24)의 신호가 전파식별기(25)에서 수신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태그(24)와 전파식별기(25)는 봉제기(10)의 바늘(11) 개수 만큼 형성되는 것으로, 봉제기(10) 마다 별도의 전파식별기(25)와 알람장치(30)가 각각 형성되어 봉제공정 중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밑실(T) 소진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의 전파식별태그(24)를 하나의 전파식별기(25)에 인식 후 각각의 전파식별태그(24)의 이상유무가 알람장치(30)로 전달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은 밑실(T)이 감겨져 공급되되, 전파식별태그(24)가 형성된 중간플랜지(23) 사이 사이의 챔버(21)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권취되며, 그 후에는 각 챔버(21)에 감겨진 밑실(T) 상부에 전체적으로 권취 후 공급되어 밑실(T) 소진 시점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며, 권취된 상태로 공급됨에 따라 편리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한 공정 이하의 밑실(T)만을 버리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봉제기(10)와 연결된 컴퓨터(41)를 통해 봉제기(10)에 봉제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를 전달 또는 저장해 원활한 봉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봉제기의 사용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봉제기는 봉제하기 위한 제품을 선택하게 되며, 봉제공정 전 전파식별태그(24)가 챔버(21) 외주면에 고정되며 밑실(T)이 권취된 보빈(20)을 침판(12)에 삽입해 제어부(40)의 컴퓨터(41)에서 봉제기(10)로 저장된 봉제 설계정보를 통해 봉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침판(12)은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덮개(121)가 개폐되어 보빈(20)이 삽입되는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개폐감지센서(123)에 의해 덮개(121) 개방시 알람장치(30)를 통해 작업자에게 밑실(T)의 단사발생정보를 알려주게 되어, 작업자가 이를 처리 및 이력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빈(20)은 외부플랜지(22) 외측면에 밑실(T)에 대한 종류 및 길이에 대한 기본 정보와 중간플랜지(23)의 높이 정보가 문자 또는 기호로 인쇄된 정보문자(221)로 인해 작업자가 봉제공정에 사용할 보빈(20)의 이상유무를 직접 확인하거나, 봉제기(10) 일측에 형성된 카메라 모듈(222)을 통해 정보문자(221)를 판독함으로써 봉제공정에 맞게 사용되는 보빈(20)인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봉제공전 전에 특정/불특정 전파식별태그(24)가 인식되는 전파식별기(25)를 통해 전파식별태그(24)가 전파식별기(25)에 인식된 상태에서 침판(12)에 장착되는 것이며, 바늘(11)이 위치한 침판(12)에 봉제하기 위한 제품을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품이 위치되면 작업자의 발판(14) 조절 또는 자동화 장치에 의해 봉제공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특히, 밑실(T) 소진시에는 전파식별태그(24)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파식별기(25)에서 수신 후 알람장치(30)에 전송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어, 봉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보빈(20) 교체 후 봉제공정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챔버(21)는 다수개의 중간플랜지(23)로 분할가능하고, 분할된 각각의 챔버(21) 지름을 다르게 형성 후 분할된 챔버(21) 마다 다수개의 전파식별태그(24)를 부착해 밑실(T) 소진 시점을 단계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보빈(20)은 중간플랜지(23)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형성해 밑실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어 봉제공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보빈(20)을 사용해 알람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봉제기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봉제기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제기(10a)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설명의 편의에 따라서 제1실시예와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봉제기는 전원플러그(13a)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며 발판(14a)을 이용해 바늘(11a)이 침판(12a)에 삽입되는 봉제기(10a)와, 직물, 가죽 등이 봉제되도록 밑실이 권취되며 침판(12a) 내측에 삽입되는 보빈(20a)과, 상기 봉제기(10a)와 보빈(20a)의 작동 및 이상유무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30a)와, 봉제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부(40a)와, 봉제품 일측에 봉제이력정보 또는 시리얼(serial)번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인쇄된 QR코드 라벨(51a)과, 상기 QR코드 라벨(51a)에 인쇄된 봉제이력정보를 스캔해 이상유무를 확인 후 봉제이력정보가 후술되는 컴퓨터(41a)에 저장되는 QR코드판독기(52a)가 봉제기(10a) 일측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QR코드 라벨(51a)을 차량의 측면에어백이 삽입된 시트(seat)와 같이 안전 봉제품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안전 봉제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안전규격에 맞는 봉제가 이루어졌는지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봉제공정 중에는 봉제기(10a) 일측에 형성된 QR코드판독기(52a)를 통해 QR코드 라벨(51a)을 판독해 저장된 봉제설계정보와 일치된 봉제공정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고, 발생된 봉제이력정보가 컴퓨터(41a)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a)는 봉제기(10a)와 연결된 컴퓨터(41a)가 형성되며, 상기 컴퓨터(41a)를 통해 봉제이력정보가 포함된 QR코드 라벨(51a)이 출력되는 QR코드 프린터(42a)가 형성된다. 상기 QR코드 라벨(51a)이 안전 봉제품에 장착되어 봉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QR코드판독기(52a)에서 QR코드 라벨(51a)을 읽어 봉제품에 대한 정보가 컴퓨터(41a)에 저장되는 것입니다.
한편, 상기 QR코드 라벨(51a)은 연번 형태로 안전 봉제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라벨인쇄기(도면 미도시)와, 스티커인쇄기(도면 미도시)를 통해 각각 라벨과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QR코드 프린터(42a)를 통해 QR코드 라벨(51a)로 출력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QR코드 라벨(51a)에 저장되는 내용은 단순히 안전 봉제품의 정보나 생산이력정보가 선택적으로 저장되어 안전 봉제품의 내/외부에 다양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봉제기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봉제기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봉제기(10b)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설명의 편의에 따라서 제1실시예와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봉제기는 전원플러그(13b)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며 발판(14b)을 이용해 바늘(11b)이 침판(12b)에 삽입되는 봉제기(10b)와, 직물, 가죽 등이 봉제되도록 밑실이 권취되며 침판(12b) 내측에 삽입되는 보빈(20b)과, 상기 봉제기(10b)와 보빈(20b)의 작동 및 이상유무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30b)와, 봉제기(10b)로 작업되는 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컴퓨터(41b)를 통해 저장되도록 형성된 제어부(40b)와, 봉제품 일측에 봉제이력정보 또는 시리얼(serial)번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인쇄된 QR코드 라벨(51b)과, 상기 라벨(51b)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해 이상유무를 확인 후 외부 컴퓨터(41b)에 그 내용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는 QR코드판독기(52b)가 봉제기(10b) 일측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QR코드 라벨(51b)은 봉제품 일측에 봉제공정 중 고정됨으로써 봉제공정 중 작업자가 QR코드 판독기(52b)로 정상적인 봉제공정이 이루어졌는지 해당 정보를 확인하거나, 봉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봉제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자동차 시트와 같은 안전봉제품이 정상적인 봉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봉제기는 다수개의 중간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챔버 외주면에 각각 전파식별태그가 고정되어, 협소한 봉제기에 효과적으로 설치해 밑실의 소진 시점을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봉제불량률이 감소하고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챔버 양단에 고정된 외부플랜지 외측면에는 챔버에 권취된 밑실의 각종 정보가 문자 또는 기호로 인쇄되어 다양한 종류의 실이 사용되는 봉제품의 봉제시에 보빈에 권취되어 사용되고 있는 밑실의 정확한 종류와 길이 등 밑실의 정확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봉제품의 일측에 QR코드 라벨을 인쇄하고 봉제시에도 봉제기 일측에 형성된 QR코드판독기를 통해 봉제생산이력정보를 생성 관리함으로써 봉제기의 설정에 맞게 인쇄될 봉제품이 정상적으로 봉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한 용도로 사용되는 안전봉제품의 경우 이후의 생산 전 공정과, 실 사용자가 인터넷,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QR코드 라벨에 저장된 봉제이력정보를 직접 확인하고, 해당제품의 기준에 맞는 봉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10a,10b: 봉제기 11,11a,11b: 바늘
12,12a,12b: 침판 121: 덮개
122: 힌지축 123: 개폐감지센서
13,13a,13b: 전원플러그 14,14a,14b: 발판
20,20a,20b: 보빈 21,21b: 챔버
22,22b: 외부플랜지 221: 정보문자
222: 카메라모듈 23,23b: 중간플랜지
24,24b: 전파식별태그 241: IC칩
25,25b: 전파식별기 30,30a,30b: 알람장치
40,40a,40b: 제어부 41,41a,41b: 컴퓨터
51a,51b: QR코드 라벨 52a,52b: QR코드판독기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밑실이 권취된 보빈이 내설된 침판에 바늘이 삽입되어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되, 봉제작업의 이상유무에 따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와, 봉제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봉제기에 있어서,
    봉제기(10a)로 작업되는 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저장되는 컴퓨터(41a)와, 상기 컴퓨터(41a)로 저장된 설계정보, 작업정보와 봉제품의 정보가 인쇄되는 QR코드 프린터(42a)가 형성된 제어부(40a)와;
    봉제품의 일측에 봉제이력정보 또는 시리얼(serial)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인쇄된 QR코드 라벨(51a)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51a)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해 컴퓨터(41a)에 저장되도록 하는 QR코드판독기(52a)가 봉제기(10a)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a)는 봉제공정의 설계정보 및 작업정보가 봉제기(10)로 저장되도록 컴퓨터(41a)가 구비되며, 상기 컴퓨터(41a)에 QR코드판독기(52a)에서 스캔한 QR코드 라벨(51a) 정보가 저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라벨(51a)은 라벨 인쇄기 또는 스티커 인쇄기를 통해 라벨 또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015891A 2011-02-23 2011-02-23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KR10114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891A KR101148729B1 (ko) 2011-02-23 2011-02-23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891A KR101148729B1 (ko) 2011-02-23 2011-02-23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212A Division KR101327435B1 (ko) 2011-12-30 2011-12-30 자동 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729B1 true KR101148729B1 (ko) 2012-05-21

Family

ID=4627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891A KR101148729B1 (ko) 2011-02-23 2011-02-23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7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577B1 (ko) 2016-03-10 2016-11-18 이승복 자동차용 시트 봉제 밑실 자동교환용 자동봉제장치
CN110468521A (zh) * 2019-08-28 2019-11-19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梭芯绕线量计数装置
KR20200120240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아성 소잉머신 자동 봉제기
US10876529B2 (en) 2016-03-04 2020-12-29 Kwang-Seon Hwang Centrifugal suction-type hybrid vane fluid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936A (ja) * 2003-12-05 2005-06-23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情報通信システム並びに縫製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433097Y1 (ko) * 2006-05-03 2006-12-07 조훈식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KR100824346B1 (ko) * 2007-05-18 2008-04-24 (주) 현암바씨스 재봉기의 밑실 잔사량 감지장치
JP2010029390A (ja) * 2008-07-28 2010-02-12 Juki Corp 下糸巻回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936A (ja) * 2003-12-05 2005-06-23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情報通信システム並びに縫製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433097Y1 (ko) * 2006-05-03 2006-12-07 조훈식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KR100824346B1 (ko) * 2007-05-18 2008-04-24 (주) 현암바씨스 재봉기의 밑실 잔사량 감지장치
JP2010029390A (ja) * 2008-07-28 2010-02-12 Juki Corp 下糸巻回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6529B2 (en) 2016-03-04 2020-12-29 Kwang-Seon Hwang Centrifugal suction-type hybrid vane fluid machine
KR101677577B1 (ko) 2016-03-10 2016-11-18 이승복 자동차용 시트 봉제 밑실 자동교환용 자동봉제장치
KR20200120240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아성 소잉머신 자동 봉제기
CN110468521A (zh) * 2019-08-28 2019-11-19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梭芯绕线量计数装置
CN110468521B (zh) * 2019-08-28 2021-07-30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梭芯绕线量计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729B1 (ko)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US10952563B2 (en) Optical recognition system for capsules for the production of hot beverages
US73756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 time functional testing of RFID tags
KR101551376B1 (ko)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JP2009528629A (ja) 環境検出
KR101327435B1 (ko) 자동 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KR100824346B1 (ko) 재봉기의 밑실 잔사량 감지장치
JP5683754B1 (ja) アクセスレベル制御装置
US989229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magnetization to authenticate products
KR101155238B1 (ko)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밑실 감지장치
KR100690193B1 (ko) 재봉기용 밑실 검출장치
SI25772A (sl) Boben pralnega stroja
WO201600437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magnetization to authenticate products
JP5752325B1 (ja) アクセスレベル制御装置
US7646302B2 (en) Scooping device for container having an electromagnetic surveillance device
CN110409160A (zh) 输送带式检针机的灵敏度测试方法及输送带式检针机
JP4198454B2 (ja) 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用アンテナ装置
CN107264010A (zh) 识别方法
US7053776B2 (en) Control of programmable modules
JPH06292780A (ja) ミシン用ボビン及びボビンの糸切れ検出方法
ITMI20112351A1 (it) Sistema meccatronico di lavorazione e gruppo di comando del sistema meccatronico
CN209911996U (zh) 一种智能启停的检针扫码机
KR101721061B1 (ko) 후프 리미트 자동 설정 기능이 있는 자수기
CN106303136A (zh) 胶片防伪计数方法、装置及系统
JP2005102915A (ja) ミシンの縫製部品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