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097Y1 -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097Y1
KR200433097Y1 KR2020060026235U KR20060026235U KR200433097Y1 KR 200433097 Y1 KR200433097 Y1 KR 200433097Y1 KR 2020060026235 U KR2020060026235 U KR 2020060026235U KR 20060026235 U KR20060026235 U KR 20060026235U KR 200433097 Y1 KR200433097 Y1 KR 200433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ewing
end point
bar code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식
Original Assignee
조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식 filed Critical 조훈식
Priority to KR2020060026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른 북실 잔사량이 남았을 때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는 봉제작업시 재봉용 북실의 끝점을 감지함에 있어서, 봉제작업용 북실을 감기 위한 보빈; 및 상기 보빈 표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인쇄되어 상기 보빈 표면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바코드를 포함한다.
바코드, 재봉, 봉제, 밑실, 북실, 보빈, 끝점감지, 헛박음질, 잔사량감지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Ending-point Detector of bobbin thread for sewing machine using bar cod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북실 끝점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빈 110: 바코드 120: 북집
130: 밑실크기(사용전) 140: 감지부 141: 발광부
142: 수광부 151: 디코더 152: 설정부
153: 처리부 160: 알림부 161: 스피커
162: 발광램프 170: 감지기 180: 전원연결선
190: 신호선
본 고안은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른 북실 잔사량 즉, 현 공정을 마무리하기에 충분한 잔사량이 남았을 때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2006년 3월 30일 출원한 '재봉기용 밑실 권취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밑실이 권취된 보빈(출원번호:10-2006-0028271)'에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봉제작업에 있어서, 윗실은 3000~4000m로 다량이며 눈에 보임으로써 윗실의 종료로 인한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북실(밑실)은 20~50m로 짧을 수밖에 없어 북실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북실 교체시기 판단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북실이 짧고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것은 북실이 재봉기의 원리상 회전하는 가마를 이용하여 윗실과 엮이게 될 때, 가마의 크기에 한계가 있고, 북실이 위치하는 공간이 협소하여 가마와 북실의 크기를 무한정 키울 수 없기 때문이다.
북실의 교체시기 판단에 있어서, 북실의 끝점을 미리 감지하여 북실이 단사되기 전에 작업자가 이를 미리 감지함으로써 북실의 단사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북실의 끝점을 미리 감지하지 못하면, 작업자는 북실의 끝점을 알지 못함으로 인해 북실 단사 후 헛박음질을 하게 되어 불량 제품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북실의 단사 이후 제2북실로 연결하여 봉제작업을 할 수밖에 없어 에어백, 신발, 수영복 등 고인장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서 제1북실과 제2북실의 연결부위가 터지는 탈봉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북실 끝점 감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광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장치들로서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광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의 경우 북실의 굵기가 얇아 감지를 위한 북실이 다 풀리기 전 일부만 풀리게 되어도 빛이 보빈을 투과하거나 반사되기 시작하여 감지를 위한 북실이 완전히 소진되었다는 의미로서의 남은 북실 잔사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바코드 인식방식을 이용하여 봉제작업시 작업자의 요구에 따른 북실의 잔사량만큼 남았을 때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 주도록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봉제작업시 재봉용 북실의 끝점을 감지함에 있어서, 봉제작업용 북실을 감기 위한 보빈; 및 상기 보빈 표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인쇄되어 상기 보빈 표면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바코드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북실 끝점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북실 끝점 감지 장치는 북실이 감긴 보빈(100) 및 보빈(100)에 감긴 북실의 끝점을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감지기(170)를 포함한다.
보빈(100)은 북실을 감는 'H'자형 또는 일자 튜브형 구조물일 수 있다.
보빈(100) 표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소정 위치에 바코드(110)가 인쇄된다. 바코드(110)는 보빈(100)에 감겨있는 북실이 풀려 노출되는 바코드를 읽음으로써 보빈(100) 표면의 소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바코드(110)는 UPC, CODE39 등으로써 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한다. 또한, 바코드(110)는 시작과 끝을 알리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바코드가 아닌 복수의 단계를 나타내는 바코드일 수 있다. 따라서, 바코드(110)는 단순 숫자만을 표현해도 무방하다.
감지기(170)는 보빈(100)의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110)를 읽기 위한 발광부(141) 및 수광부(142)를 포함하는 감지부(140), 읽어들인 바코드(110)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코더(151), 변환된 디지털 값을 미리 설정해 놓은 다이얼 값과 비교하여 스피커(161)나 발광램프(162)를 동작시키기 위한 처리부(153) 및 처리부(153)의 결과에 따라 구동되는 스피커(161) 또는 발광램프(162)인 알림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얼 값은 보빈(100) 표면의 소정 위치에 해당하는 값으로 작업자가 북실이 소진되어 원하는 만큼의 북실 잔사량이 남았을 때 이를 알기 위해 설정부(152)에 미리 설정해 놓는 값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빈(100)을 향해 방사된 발광부(141)의 빛이 보빈(100)의 표면에 반사되어 수광부(142)가 이를 받아 바코드(110)를 읽게 되고, 이렇게 읽어들인 바코드(110)의 아날로그 값을 증폭부(미도시)를 통해 증폭한다. 증폭된 아날로그 값은 디코더(151)에 의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정확한 수치로서 보빈(100) 표면의 소정 위치를 표현하게 된다.
사용자는 설정부(152)를 통해 북실 끝점의 알림 시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설정부(152)를 통해 원하는 잔사량, 알람의 볼륨조절, 알람의 종류(소리 또는 발광램프) 및 알람의 시점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의 시점은 작업중 또는 작업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작업중 알람을 동작시키는 경우는 재봉 작업시 북실의 소정량이 남아 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함으로 설정부(152)를 통해 작업 중 알람의 시점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 시점 값인 다이얼 값과 보빈(100)의 표면으로부터 바코드(110)를 읽어들여 변환한 디지털 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만큼의 북실 잔사량이 남았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게 된다.
즉, 바코드(110)를 읽어들여 디코더(151)를 통해 변환한 디지털 값은 처리부(153)로 전달되고, 처리부(153)는 설정부(152)를 통해 미리 설정된 값인 다이얼 값과 상기 디지털 값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된 결과 상기 디지털 값과 다이얼 값이 일치할 경우 처리부(153)는 알림부(160)인 스피커(161) 또는 발광램프(162)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알림부(160)는 스피커(161) 또는 발광램프(162)에 국한되지 않고, LCD, 액정 또는 LED전광판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작업후에 알람을 동작시킬 경우는 알람을 동작시킬 주체를 감지기(170) 또는 재봉기(미도시)로 한정할 수 있다.
즉, 감지기(170)가 북실 끝점을 감지하여 이를 처리부(153)에서 기억하고 있다가, 이어서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신호를 재봉기로 전달하여 실을 잘라주는 사절장치(미도시)를 통해 북실을 자르게 된다. 이후, 사절장치의 사절신호에 따라 재봉기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재봉기에 포함된 알람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재봉기의 사절장치로부터 사절신호를 감지기(170)가 전달받아 감지기(170)의 알람인 스피커(161)나 발광램프(162)를 통해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재봉기 또는 감지기는 북실끝점의 감지 이후 계속되는 작업의 종료시점에 해당하는 사절장치의 사절신호에 따라 재봉기의 알람 또는 감지기의 알람을 통해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알리고, 재봉기를 정지시킴으로써 북실이 모두 소진된 후 발생할 수 있는 헛박음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작업후에 알람을 동작시키는 것은 현재의 작업을 완성할 수 있을 만큼의 북실 잔사량이 확보되어 있을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굳이 작업중에 북실 끝점 알람을 받아 심리적 불안정 요소를 유발시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굵고 가는 막대 바(Bar)로 이루어진 세로형 1차원 바코드(110)이고, (b)는 가로형 1차원 바코드(110)이며, (c)는 2차원 바코드(110)이다.
이 바코드(110)들은 보빈(100) 표면의 일측 또는 양측의 소정 위치에 인쇄되어 각 위치를 표현하기 위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보빈(100)에 감겨 있는 북실이 봉제작업시 풀려 사용되어짐으로써 보빈(100) 표면의 바코드(11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감지기(170)를 통해 읽혀진다.
일 예로서, 보빈(100) 표면의 북실 끝점 알람을 위한 위치 값을 3단계로 할 경우, 보빈(100)에 감겨진 북실이 보빈(100) 표면의 외측으로부터 풀려지게 됨으로써 보빈(100) 표면의 외측에 인쇄된 바코드부터 내측으로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바코드(110)는 0 내지 2로 표현될 수 있다. 즉, 보빈(100)의 외측에 감겨진 북실이 풀려 바코드 0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감지기(170)는 이를 읽어들이고 디지털 값인 이진수 '00'으로 변환하여 미리 설정된 다이얼 값과 비교하여 상기 다이얼 값에 해당할 경우 알림부(160)들을 동작시킨다. 같은 방법으로 보빈(100) 표면의 위치 1은 이진수 '01', 2는 이진수 '10'의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북실의 끝점 감지를 위한 보빈(100) 표면상의 감지 위치를 3단계로 정한 경우에 해당하지만, 이외에도 상기 감지 위치를 여러 가지 복수로 구성하여 북실 끝점 감지를 복수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바코드를 상기와 같이 순차적인 값이 아닌 일정한 값으로 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는 북실의 끝점을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봉제작업시 헛박음질로 인한 불량 및 단사 후 연결하여 재봉함으로 인한 탈봉불량의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북실의 잔사량을 대·중·소 등 복수의 단계별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으로 조절 감지가 가능하여 봉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봉제작업시 재봉용 북실의 끝점을 감지함에 있어서,
    봉제작업용 북실을 감기 위한 보빈; 및
    상기 보빈 표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인쇄되어 상기 보빈 표면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바코드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를 읽어 들여 상기 바코드가 나타내는 위치에 감긴 북실이 소진되었음을 봉제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기를 더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기는,
    상기 바코드를 읽어들이기 위한 감지부;
    읽어들인 상기 바코드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코더; 및
    상기 디지털 값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봉제작업자에게 상기 북실이 소진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상기 보빈 표면상의 순차적인 위치에 순차적인 값 또는 일정한 값으로 인쇄되는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인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에 해당하는 다이얼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및
    상기 읽혀진 바코드의 디지털 값이 상기 다이얼 값에 해당할 경우 상기 알림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KR2020060026235U 2006-05-03 2006-09-28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KR200433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235U KR200433097Y1 (ko) 2006-05-03 2006-09-28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204 2006-05-03
KR2020060026235U KR200433097Y1 (ko) 2006-05-03 2006-09-28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532A Division KR100713589B1 (ko) 2006-05-03 2006-07-12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097Y1 true KR200433097Y1 (ko) 2006-12-07

Family

ID=4178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235U KR200433097Y1 (ko) 2006-05-03 2006-09-28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0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29B1 (ko) * 2011-02-23 2012-05-21 조훈식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KR101327435B1 (ko) * 2011-12-30 2013-11-08 조훈식 자동 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KR101551376B1 (ko) 2014-01-08 2015-09-08 조훈식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29B1 (ko) * 2011-02-23 2012-05-21 조훈식 자동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KR101327435B1 (ko) * 2011-12-30 2013-11-08 조훈식 자동 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KR101551376B1 (ko) 2014-01-08 2015-09-08 조훈식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589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433097Y1 (ko)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CN104372538A (zh) 基于光纤传感器的工业缝纫机用底线检测控制系统及方法
JP2017213277A (ja) 歯科用インスツルメントハンガー
KR100824346B1 (ko) 재봉기의 밑실 잔사량 감지장치
JP5684026B2 (ja) 火災感知器およびその試験器
CN203954252U (zh) 紫外线消毒灯强度监控报警装置
KR101576778B1 (ko) 재봉기의 밑실 감지 장치
JP2008012547A (ja) 半田供給装置及び半田供給方法
CN108828275A (zh) 芯片测试系统
KR100929600B1 (ko) 바코드가 인쇄된 보빈상에 분할권취된 북실 끝점 감지장치및 그 방법
CN204237983U (zh) 基于光纤传感器的工业缝纫机用底线检测控制系统
KR101155238B1 (ko)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밑실 감지장치
CN103279783B (zh) Rfid信息采集装置及工作台
KR101237912B1 (ko) 밑실 잔량 감지장치
CN209919723U (zh) 一种电子产品检测夹持装置
KR20170016571A (ko) 야광 및 반사물질이 코팅된 보빈상에 분할권취된 북실 끝점 감지장치및 그 방법
WO2008063032A1 (en) End point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bobbin printing bar code and winding division thread
CN104071629A (zh) 在胶带分切机中使用的异物检测方法、异物检测装置及其胶带分切机
CN220454616U (zh) 一种编码器校准系统
JP3762879B2 (ja) 養鶏用自動機器正常有無判断システム
KR20190048330A (ko) 바코드 라벨 부착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N210856536U (zh) 圆机验布记录设备
CN218380873U (zh) 一种连续型金属圆盘加工用孔径检测装置
CN209850689U (zh) 一种检测削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