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719A -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719A
KR20200119719A KR1020200032676A KR20200032676A KR20200119719A KR 20200119719 A KR20200119719 A KR 20200119719A KR 1020200032676 A KR1020200032676 A KR 1020200032676A KR 20200032676 A KR20200032676 A KR 20200032676A KR 20200119719 A KR20200119719 A KR 2020011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container
roller
lift
seedling
trans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Publication of KR2020011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종래, 모든 이송 롤러와 리프트 롤러를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시켜, 회전 전동 구성이 복잡하다는 과제가 있다.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가,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에 설치한 출하용 이송대(15)로 옮겨지고, 육묘 용기(A)는, 후속의 육묘 용기(A)에 밀려,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공전(空轉) 가능한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 상을 이동하며, 선행 육묘 용기(A)가 개시 센서(45)에 접촉하면, 적층용 모터(M)가 공전 중의 이송 롤러를 구동 회전시켜 이송하고, 또한, 선행 육묘 용기(A)가 스토퍼에 접촉한 상태에서 리프트 롤러(20)를 구동 회전시켜 들어올림 개시하며, 들어올린 선행 육묘 용기(A)는 지지체(25)를 갖는 지지 장치(24)에 의해 지지하고, 지지되어 있는 선행 육묘 용기(A)의 하방에 후속 육묘 용기(A)를 받아들여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리며, 이 작업을 반복해서 미리 정해진 매수 적층한 육묘 용기(A)를 취출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Description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METHOD FOR STACKING AND REMOVING SEEDLING CONTAINERS AND APPARATUS FOR STACKING AND REMOVING SEEDLING CONTAINERS}
본 발명은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빈 육묘 용기에 파종하는 파종용 이송대의 종단에, 출하용 이송대의 시단부(始端部)를 접속하고, 출하용 이송대에는,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와, 들어올리는 리프트 롤러와, 리프트 롤러에 의해 들어올린 육묘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출하용 이송대의 종단에 반송용 이송대를 접속한 구성은 공지이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48864호 공보
상기 공지예는, 모든 이송 롤러와 리프트 롤러를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하기 때문에, 회전 전동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조립의 비용이 높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이 회전 전동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조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본원은, 리프트 롤러 및 반송 롤러의 구성을 고안하여, 회전 전동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육묘 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하여, 취출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파종용 이송대(1)에 빈 육묘 용기(A)를 공급하고, 이송 중의 육묘 용기(A)에 상방으로부터, 적어도, 상토(床土)와 종자와 복토(覆土)를 공급하며,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는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에 설치되는 출하용 이송대(15)로 옮겨지고,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옮겨진 육묘 용기(A)는, 후속의 육묘 용기(A)에 밀려,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공전(空轉) 가능한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 상을 이동하며, 이동한 선행 육묘 용기(A)의 전단이 개시 센서(45)에 접촉하면, 적층용 모터(M)에 통전하여 공전 중의 이송 롤러를 구동 회전시켜 이송하고, 또한, 선행 육묘 용기(A)의 전단이 스토퍼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를 구동 회전시켜 들어올림 개시하며,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린 선행 육묘 용기(A)는 지지체(25)를 갖는 지지 장치(24)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되어 있는 선행 육묘 용기(A)의 하방에 후속 육묘 용기(A)를 받아들여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리며, 이 작업을 반복해서 미리 정해진 매수 적층한 육묘 용기(A)를 취출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빈 육묘 용기(A)에 상토와 종자 등을 파종하는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부에 일체 또는 별체(別體)로 설치되는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의 취출 장치에 있어서, 취출 장치의 출하용 이송대(15)에는,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옮겨진 육묘 용기(A)를 반송하는 이송 롤러(17)를 복수 병설하고,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사이에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는 전후 한 쌍의 횡축 회전하는 리프트 롤러(20)를 설치하며,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린 미리 정해진 매수의 육묘 용기(A)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25)를 갖는 지지 장치(24)를 설치하고,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중 하나의 이송 롤러(17A)와 리프트 롤러(20)를 하나의 적층용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빈 육묘 용기(A)에 상토와 종자 등을 파종하는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부에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되는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의 취출 장치에 있어서, 취출 장치의 출하용 이송대(15)에는,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옮겨진 육묘 용기(A)를 반송하는 이송 롤러(17)와,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는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와,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린 미리 정해진 매수의 육묘 용기(A)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25)를 갖는 지지 장치(24)를 설치하고, 리프트 롤러(20)는, 육묘 용기(A)의 반송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의 롤러 부착축(22)에 의해 횡축 회전하여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송 롤러(17)는 반송 방향으로 복수 병설되고, 복수의 이송 롤러(17)는 육묘 용기(A)의 반송 방향으로는 자유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 롤러(17)만은 공전과 구동 회전의 전환 회전 가능한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로 이루어지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육묘 용기(A)가 미리 정해진 위치를 통과하면, 구동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전후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의 회전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리프트 롤러(20)와 이송 롤러(17)는 하나의 적층용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에의 회전 전동 경로 중에 원 웨이 클러치(50)를 설치하며,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감지할 때까지는 자유 회전하고,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검출하면,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원 웨이 클러치(50)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회전시키는 빠른 이송 롤러 회전축(39)에 설치되는 수동 기어(40)와,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에 설치되는 중간 기어(41) 사이에, 빠른 이송 체인(42)을 걸고, 중간 기어(41)에 원 웨이 클러치(50)를 내장시킨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리프트 롤러(20)는, 개시 센서(45)에 의해 육묘 용기(A)를 검출하면 구동 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개시 센서(45)는, 육묘 용기(A)의 전단이 출하용 이송대(15)의 종단에 설치되는 스토퍼(44)에 접촉한 후에 리프트 롤러(20)가 육묘 용기(A)를 상승시키도록,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적층용 모터(M)를 회전 개시시키는 개시 센서(45)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개시 센서(45)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와 전측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A) 사이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후측 리프트 롤러(20)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후측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B)를 설치하고, 후측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B)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개시 센서(45)를,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출하용 이송대(15)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육묘 용기(A)의 구동 반송 속도는, 파종용 이송대(1)의 육묘 용기(A)의 반송 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리프트 롤러(20)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구동하는 적층용 모터(M)를 출하용 이송대(15)의 프레임(16)의 하방에 설치되는 부착부(30)에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하고, 적층용 모터(M)의 모터 출력축(26)에 설치되는 출력 기어(27)와 상기 출력 기어(27)의 상방이며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에 설치되는 아암 기어(28) 사이에 리프트용 체인(29)을 걸며, 출력 기어(27)와 전후의 아암 기어(28)를 역삼각형 형상으로 배치하고, 전후의 아암 기어(28) 사이의 리프트용 체인(29)의 상면측에 텐션 기어(31)를 맞물리게 하며, 적층용 모터(M)는 부착부(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텐션 기어(31)의 상하 이동과 텐션 기어(31)의 상하 이동을 조합하여, 전후의 리프트 롤러(20) 및 아암(21)의 높이 위치를 동기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리프트 롤러(20)의 롤러(20A)는, 아암(21)의 선단에 적어도 2개 이상 병설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리프트 롤러(20)는 좌우 한 쌍 병설되며, 좌우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는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20B)를 형성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지지 장치(24)는, 리프트 롤러(20)에 의한 육묘 용기(A)의 상승은 허용하지만, 일단 상승시킨 육묘 용기(A)는 하강시키지 않도록 유지하는 지지체(25)를 갖도록 구성되고, 지지체(25)는, 지지체(25)의 기부(基部)를 부착축(61)에 의해 부착부(6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며, 지지체(25)의 상부에는 상승시킨 육묘 용기(A)를 지지하는 지지부(64)를 형성하고, 지지부(64)는, 상방에 이름에 따라 출하용 이송대(15)의 좌우 중앙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지지부(64)의 선단부(64B)는, 지지면(64A)이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 육묘 용기(A)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방 리브(64C)에 접촉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지지체(25)의 지지부(64)의 선단 위치는, 평면에서 보아, 리프트 롤러(20)의 회전 궤적(Z)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옮겨진 육묘 용기(A)는, 후속의 육묘 용기(A)에 밀려,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공전 가능한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 상을 이동하기 때문에, 파종용 이송대(1)의 육묘 용기(A)의 반송력을 이용하여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를 구성할 수 있고, 전동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송 롤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행 육묘 용기(A)가 개시 센서(45)에 접촉하면, 적층용 모터(M)에 의해 이송 롤러를 구동 회전시키기 때문에, 육묘 용기(A)의 반송을 확실히 할 수 있고, 하나의 적층용 모터(M)에 의해 리프트 롤러(20)와 이송 롤러(17)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파종용 이송대(1)의 육묘 용기(A)의 반송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리프트 롤러(20)와 이송 롤러(17)의 회전 전동을 간소하게 할 수 있고, 육묘 용기(A)가 스토퍼에 접촉한 상태에서 리프트 롤러(20)의 구동 회전을 개시시키기 때문에, 육묘 용기(A)를 가지런히 하여 들어올릴 수 있으며, 적층 자세를 가지런히 할 수 있고,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중 하나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와 리프트 롤러(20)를 하나의 적층용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동 구성을 간소하게 하고, 비용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송 롤러(17)는 육묘 용기(A)의 반송 방향으로는 자유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만은, 육묘 용기(A)가 미리 정해진 위치를 통과하면, 구동 회전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종용 이송대(1)의 육묘 용기(A)의 반송력을 이용하여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를 구성할 수 있고, 전동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구동 회전하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전후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의 회전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동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비용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감지할 때까지는 자유 회전하기 때문에, 파종용 이송대(1)의 육묘 용기(A)의 반송력을 이용하여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를 구성할 수 있고, 게다가, 구동 회전이 전달되고 있지 않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 상에 육묘 용기(A)가 놓였을 때에,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가 브레이크가 되는 일은 없으며, 육묘 용기(A)의 반송을 확실히 할 수 있고, 또한, 리프트 롤러(20)와 이송 롤러[17(17A)]를 하나의 적층용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이면서,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자유 회전과 구동 회전의 전환 겸용 구성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원 웨이 클러치(50)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회전시키는 빠른 이송 롤러 회전축(39)에 설치되는 수동 기어(40)와,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에 설치되는 중간 기어(41) 사이에, 빠른 이송 체인(42)을 걸고, 중간 기어(41)에 원 웨이 클러치(50)를 내장시키기 때문에, 전동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비용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개시 센서(45)는, 육묘 용기(A)의 전단이 출하용 이송대(15)의 종단에 설치되는 스토퍼(44)에 접촉한 후에 리프트 롤러(20)가 육묘 용기(A)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육묘 용기(A)를 가지런히 하여 들어올릴 수 있고, 그 결과, 육묘 용기(A)의 상승 자세 및 적층 자세를 가지런히 하여 안정시킬 수 있으며,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개시 센서(45)는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크기(길이)가 상이한 육묘 용기(A)의 적층 취출 작업에 대응할 수 있으며,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개시 센서(45)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리프트 롤러(20)를 이송 롤러의 상면보다 하방 위치에서 대기시킬 수 있고, 이동 중의 육묘 용기(A)와 리프트 롤러(2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육묘 용기(A)의 적층 자세를 가지런히 할 수 있고,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대기 상태의 리프트 롤러(20)가 이송 롤러(17)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구입자나 작업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보기 좋은 적층 취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품의 부가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곤포(梱包)나 운반 혹은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비용 절감에도 공헌한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개시 센서(45)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와 전측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A) 사이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리프트 롤러(20)를 이송 롤러의 상면보다 하방 위치에서 대기시킬 수 있고, 이동 중의 육묘 용기(A)와 리프트 롤러(2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육묘 용기(A)의 적층 자세를 가지런히 할 수 있고,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개시 센서(45)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빠른 이송 개시 위치를 스토퍼(44)보다 앞쪽으로 할 수 있고, 파종 및 적층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출하용 이송대(15)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육묘 용기(A)의 구동 반송 속도는, 파종용 이송대(1)의 육묘 용기(A)의 반송 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되기 때문에, 육묘 용기(A)의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서는, 적층용 모터(M)를 출하용 이송대(15)에 대해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하고, 적층용 모터(M)의 출력 기어(27)와 리프트 롤러(20)의 아암 기어(28) 사이에 1개의 리프트용 체인(29)을 걸며, 전후의 아암 기어(28) 사이의 리프트용 체인(29)의 상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한 텐션 기어(31)를 맞물리게 하기 때문에, 텐션 기어(31)의 상하 이동과 텐션 기어(31)의 상하 이동을 조합하여, 전후의 리프트 롤러(20) 및 아암(21)의 높이 위치를 동기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의 조립 및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서는, 리프트 롤러(20)의 롤러(20A)는, 아암(21)의 선단에 적어도 2개 이상 병설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리프트 롤러(20)는 좌우 한 쌍 병설되며, 좌우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는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20B)를 형성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바닥면 형상의 육묘 용기(A)여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게다가, 공간부(20B)에 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미 적층한 육묘 용기(A)의 취출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서는, 지지 장치(24)의 지지체(25)의 지지부(64)를, 상방에 이름에 따라 출하용 이송대(15)의 좌우 중앙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기 때문에, 들어올린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의 낙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고, 적층 작업 시의 쇼크를 완화시킬 수 있어 육묘 용기(A)의 파종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지지체(25)의 지지부(64)의 경사면에 의해, 육묘 용기(A)를 지지할 때에, 육묘 용기(A)의 자중으로 중앙의 위치로 유도하기 때문에, 좌우 방향(폭 방향)의 육묘 용기(A)의 적층 자세를 가지런히 할 수 있으며,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서는, 지지부(64)의 선단부(64B)는, 지지면(64A)이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 육묘 용기(A)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방 리브(64C)에 접촉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층, 들어올린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의 낙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고, 적층 작업 시의 쇼크를 완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에서는, 지지체(25)의 지지부(64)의 선단 위치는, 평면에서 보아, 리프트 롤러(20)의 회전 궤적(Z)보다 외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리프트 롤러(20)의 회전 궤적(Z)과 지지체(25)의 지지부(64)의 선단 위치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지지체(25)의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에 제약이 없어지며, 그 결과, 좌우 한 쌍의 지지체(25)를 전후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지지체(25)에 의한 육묘 용기(A)의 적층 자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 반송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적층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적층 취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적층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적층 취출 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리프트 롤러를 도시한 이송대의 좌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롤러 부착축의 캠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육묘 용기를 적층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지지 장치의 지지체의 측면도와 정면도와 조립 상태도이다.
도 10은 육묘 용기의 적층 상태 설명도이다.
도 11은 육묘 용기의 지지 상태 설명도이다.
도 12는 육묘 용기의 적층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적층 취출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동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부호 1은 육묘 용기(A)에 상토와 종자와 복토를 공급하여 이송하는 파종용 이송대이고, 파종용 이송대(1)의 상방 시단부측에는 이송 중의 육묘 용기(A)에 상토를 공급하는 상토 공급 장치(2)를 설치하고, 상토 공급 장치(2)의 이송 방향 하류측에는 이송 중의 육묘 용기(A)에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 공급 장치(3)를 설치하며, 종자 공급 장치(3)의 이송 방향 하류측에는 이송 중의 육묘 용기(A)에 복토를 공급하는 복토 공급 장치(4) 등을 설치하고 있다.
즉, 파종용 이송대(1) 상에는, 상기 상토 공급 장치(2) 등 외에, 상토를 고루 평평하게 하는 회전 브러시나 관수(灌水) 장치를 설치하고, 이송 중의 육묘 용기(A)에 파종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에는, 적층 취출 장치(10)를 설치한다. 적층 취출 장치(10)는, 파종된 육묘 용기(A)를 상방향으로 적층하여 중첩하고, 미리 정해진 단수 적층한 적층 육묘 용기(A)군을 취출하는 것으로,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이송하는 출하용 이송대(15)를 갖도록 구성한다.
이 출하용 이송대(15)는, 파종용 이송대(1)와 일체적 구성으로 해도, 별체 구성이어도 좋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별체로 구성되며,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하용 이송대(15)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16)을 갖고, 지지 다리(14)에 의해 바닥 위에 배치된다. 출하용 이송대(15)에는, 이송 방향으로 이송 롤러(17)를 복수 병설한다. 이송 롤러(17)는, 이송 롤러 회전축(18)을 프레임(16)에 축 장착하여 설치된다. 이송 롤러(17)의 전부는,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육묘 용기(A)를 받아들일 때에는 자유 회전하여, 후속의 육묘 용기(A)에 밀린 선행 육묘 용기(A)를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송 롤러(17)의 일부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의 선행 육묘 용기(A)의 진입에 의해 통전되는 적층용 모터(M)에 의해 구동 회전하여 선행의 육묘 용기(A)를 이송하여, 후속의 육묘 용기(A)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적층용 모터(M)는 리프트 롤러(20)를 구동하여 선행 육묘 용기(A)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육묘 용기(A)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 롤러(20)의 구성은 임의이지만, 리프트 롤러(20)는 아암(21)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아암(21)의 기부를 롤러 부착축(22)에 고정한다. 롤러 부착축(22)은, 육묘 용기(A)의 반송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으로 횡축 회전하여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을 프레임(16)에 축 장착한다.
이 경우, 리프트 롤러(20)의 롤러(20A)는, 아암(21)의 선단에 적어도 2개 이상 병설하여 형성되고, 또한, 리프트 롤러(20)는 좌우 한 쌍 병설되며, 좌우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는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20B)를 형성하고, 공간부(20B)로부터 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지지 장치(24)의 지지체(25)가 이미 지지하고 있는 적층 육묘 용기(A)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며, 취출 작업 전반의 작업의 용이화와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부호 20C는 리프트 롤러(20)의 이동 궤적의 전방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커버이고, 커버들(20C) 사이에 공간부(20B)를 형성한다.
리프트 롤러(20)는, 롤러 부착축(22)의 축 방향으로 복수 병설되고, 반송 방향으로 전후 한 쌍 설치되며, 도 6에 있어서, '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 롤러(17) 상의 육묘 용기(A)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그대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며, 들어올려진 육묘 용기(A)가 후술하는 지지 장치(24)의 지지체(25)에 의해 지지되면, 그대로,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퇴피하고, 다음의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기 위해서 대기한다.
리프트 기구(19)에의 전동 구성은 임의이지만, 일례를 나타내면, 적층용 모터(M)의 출력축(26)에 설치되는 출력 기어(27)와 롤러 부착축(22)에 설치되는 아암 기어(28) 사이에 리프트용 체인(29)을 걸고, 적층용 모터(M)의 구동 회전을 전달한다(도 3, 도 5).
이 경우, 적층용 모터(M)는 프레임(16)의 하면에 설치되는 부착부(30)에 부착되고, 출력 기어(27)와 전후의 아암 기어(28)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며, 전후의 아암 기어(28) 사이의 리프트용 체인(29)의 상면측에 텐션 기어(31)를 맞물리게 한다(도 5).
텐션 기어(31)는 텐션 아암(32)의 선단에 부착되고, 텐션 아암(32)의 기부는 부착부(30)에 부착축(3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텐션 기어(31)는, 부착부(3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리프트용 체인(29)을 긴장시키고, 텐션 기어(31)를 부착부(3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리프트용 체인(29)을 이완시킨다.
이 경우, 적층용 모터(M)는 부착부(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층용 모터(M)의 출력 기어(27)의 상하 이동과 텐션 기어(31)의 상하 이동을 조합하여, 전후의 리프트 롤러(20) 및 아암(21)의 높이 위치를 동기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적층용 모터(M)[출력 기어(27)]를 부착부(3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시켜 리프트용 체인(29)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후측 아암 기어(28)와 출력 기어(27) 사이의 리프트용 체인(29A)은 잠금되어 이동하지 않으나, 텐션 기어(31)를 조절 볼트(31A)에 의해 오르내리게 함으로써, 후측 아암 기어(28)로부터 전측 아암 기어(28)를 경유하여 출력 기어(27)에 이르는 리프트용 체인(29B)은 전측 아암 기어(28)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컨대, 텐션 기어(31)를 조절 볼트(31A)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5에 있어서, 전측 아암 기어(28)는 반시계 회전하고, 텐션 기어(31)를 조절 볼트(31A)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전측 아암 기어(28)는 시계 회전한다.
따라서, 예컨대, 전후의 리프트 롤러(20)를 대략 수평 상태로 하면, 전후의 리프트 롤러(20)의 고저차의 시인이 용이해지고, 이 상태에서, 후측의 리프트 롤러(20)의 높이에 전측의 리프트 롤러(20)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텐션 기어(31)를 조절 볼트(31A)에 의해 상하 이동시키면, 전후의 리프트 롤러(20)의 높이 위치의 동기(동조) 조절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적층용 모터(M)를 부착부(3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리프트용 체인(29)의 당김 상태를 조절하면, 전후의 리프트 롤러(20) 및 아암(21)의 높이 위치의 동기 조절과 리프트용 체인(29)의 당김 상태 조절이 완료된다.
그리고,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중, 미리 정해진 이송 롤러(17)는, 공전과 구동 회전의 전환 회전 가능한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로 이루어지고, 전후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까지 육묘 용기(A)가 반송될 때까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구동되지 않고, 공전하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 상으로 선행 육묘 용기(A)는 후속 육묘 용기(A)에 의해 밀려 반송되며, 공전하고 있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구동 회전으로 전환하여 후속의 육묘 용기(A)에 대해 선행의 육묘 용기(A)를 빠르게 이송하는, 빠른 이송 롤러를 겸용하도록 구성된다.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빠른 이송 롤러 회전축(39)에 롤러를 복수 축 방향으로 병설하여 설치하고, 빠른 이송 롤러 회전축(39)에는 소직경의 수동 기어(40)를 고정하며, 전후의 리프트 롤러(20) 중 어느 하나의 롤러 부착축(22)에 설치되는 대직경의 중간 기어(41)와의 사이에 빠른 이송 체인(42)을 걸고, 적층용 모터(M)의 구동 회전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파종용 이송대(1)에 의해 반송되는 후속 육묘 용기(A)의 반송력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개시 센서(45)까지 육묘 용기(A)를 반송할 수 있고, 합리적 구성으로 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적층용 모터(M)를 회전 개시시키는 개시 센서(45)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한다(도 3).
그 때문에, 리프트 롤러(20)를 이송 롤러의 상면보다 하방 위치에서 대기시킬 수 있고, 이동 중의 육묘 용기(A)와 리프트 롤러(2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육묘 용기(A)의 적층 자세를 가지런히 할 수 있고,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대기 상태의 리프트 롤러(20)가 이송 롤러(17)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보기 좋은 적층 취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품의 부가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곤포나 운반 혹은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비용 절감에도 공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용 모터(M)를 회전 개시시키는 개시 센서(45)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와 전측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하고 있고, 선행의 육묘 용기(A)의 전단이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통과하여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개시 센서(45)가 적층용 모터(M)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안정 상태로 육묘 용기(A)를 빠르게 이송할 수 있고, 또한,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상승된다.
이 경우, 육묘 용기(A)의 전단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 상을 통과하고 나서 개시 센서(45)에 접촉해서, 개시 센서(45)를 온으로 하여 적층용 모터(M)를 구동 개시시키기 때문에, 육묘 용기(A)의 전단이 출하용 이송대(15)의 종단에 설치되는 스토퍼(44)에 접촉한 후에 리프트 롤러(20)가 육묘 용기(A)를 상승시키도록, 개시 센서(45)의 전후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 때문에, 외형 치수가 상이한 육묘 용기(A)여도, 스토퍼(44)에 접촉시켜 가지런히 하여 적층할 수 있고, 적층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취출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44)는 세로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육묘 용기(A)에 선접촉하여 이송을 정지시킨다.
그 때문에, 육묘 용기(A)가 스토퍼(44)에 접촉했을 때의 스토퍼(44)에의 이토(泥土)의 부착을 억제하고, 육묘 용기(A)의 이동 정지 위치의 일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적층 자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육묘 용기(A)의 전단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 상을 통과하고 나서 개시 센서(45)에 접촉하여 적층용 모터(M)를 구동 개시시키기 때문에, 육묘 용기(A)의 전단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 상을 활주하게 되지만, 본원에서는 후술하는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공전시키고, 개시 센서(45)에 의해 적층용 모터(M)가 구동 개시되면,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구동 회전되어 육묘 용기(A)를 빠르게 이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에 의해 육묘 용기(A)를 반송하기 때문에, 리프트 롤러(20)가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릴 때의 들어올림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중, 후측 리프트 롤러(20) 상으로 육묘 용기(A)를 통과시키고 나서, 리프트 롤러(20) 및 하나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만을 구동하면 되기 때문에, 개시 센서(45)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면 되고, 회전 전동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장치 전체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다른 회전 전동 경로도에서는,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중, 후측 리프트 롤러(20)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이송 롤러(17)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B)로 하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회전을 중간 기어(40A)와 중간 기어(40B)와 체인(42A)에 의해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며, 개시 센서(45)는 전후 한 쌍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 17B) 중 반송 방향 상류측이 되는 후측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B)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면, 파종용 이송대(1) 및 적층 취출 장치(10)의 출하용 이송대(15)의 파종·적층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에의 전동 경로 중에 원 웨이 클러치(50)를 설치하고,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감지할 때까지는 자유 회전하며,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검출하면,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도 3, 도 6).
그 때문에,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감지할 때까지는 자유 회전하기 때문에, 육묘 용기(A)의 상승 소정 위치까지의 반송을 원활하게 하고, 육묘 용기(A)의 상승 기구 리프트 기구(19)에 의한 상승을 확실히 시킨다.
또한, 후측의 리프트 롤러(20)의 앞쪽에도 이송 롤러(17)를 설치하고 있으나, 앞쪽의 이송 롤러(17)는 구동하지 않고, 파종용 이송대(1)에 의해 반송되는 후속 육묘 용기(A)의 반송력을 이용하여 개시 센서(45)까지 반송할 수 있고, 합리적 구성으로 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장치(24)의 지지체(25)는, 리프트 롤러(20)에 의한 육묘 용기(A)의 상승은 허용하지만, 일단 상승시킨 육묘 용기(A)는 하강시키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지지체(25)는, 아암(60)의 기부를 부착축(61)에 의해 부착부(6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아암(60)의 상부에는 상승시킨 육묘 용기(A)를 지지하는 지지부(64)를 형성한다(도 9).
지지부(64)는, 상방에 이름에 따라 출하용 이송대(15)의 좌우 중앙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승한 선행 육묘 용기(A)의 하면 하방을 지지면(64A)의 선단부(64B)가 통과하여, 선행 육묘 용기(A)는 후속 육묘 용기(A)의 상면으로 낙하하지만, 이 낙하폭은 예컨대, 도 11의 (b)와 같이, 수평의 지지면(64)이면 부착축(6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궤적(Y)의 정점과, 육묘 용기(A)가 놓이는 지지면(64A) 사이의 거리(T)는 크고, 그만큼, 지지체(25)가 선행 육묘 용기(A)의 하면으로부터 퇴피할 때의, 선행 육묘 용기(A)가 후속 육묘 용기(A)의 상면까지의 낙차는 거리(T)에 비례하여 커지며, 낙하 시의 진동에 의해 육묘 용기(A)의 파종면이 흐트러지지만, 본원에서는, 도 11의 (a)와 같이, 지지부(64)의 지지면(64A)을 경사지게 하면, 부착축(6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궤적(X)의 정점과, 육묘 용기(A)가 놓이는 지지면(64A) 사이의 거리(t)는 작아지고, 그 결과, 상승한 선행 육묘 용기(A)의 하면 하방을 지지면(64A)의 선단부(64B)가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의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육묘 용기(A)의 파종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부(64)의 선단부(64B)는, 지지면(64A)이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 육묘 용기(A)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방 리브(64C)의 지지도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도 10).
즉, 지지부(64)의 지지면(64A)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육묘 용기(A)의 바닥면을 지지면(64A)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개소에 있어서 점접촉으로 지지하지만, 후속 육묘 용기(A)의 상승에 의해, 지지면(64A)이 선행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에, 육묘 용기(A)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방 리브(64C)의 하면이 지지부(64)의 선단부(64B)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지지부(64)가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의 쇼크를 완화하여, 적층 육묘 용기(A)의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육묘 용기(A)의 파종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지지체(25)의 구성은 임의이고,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한 쌍의 세로판 부재에 의해 각각 아암(60)을 형성하며, 아암(60)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면(64A)으로 형성하고, 전후의 아암부(60)의 상측 내단을 선단부(64B)로 하며, 전후의 아암부(60)의 선단부[연결부(64D)](64B)를 축봉(軸棒)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이 선단부(64B)에 의해 측방 리브(64C)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도 9, 도 10).
또한, 지지체(25)는 판 부재를 굴곡 형성하여 제작되어도 좋다.
또한, 좌우의 지지체(25)의 지지부(64)를 각각 중앙을 향해 내림 경사로 경사지게 하기 때문에, 후속 육묘 용기(A)가 좌우의 지지체(25)의 지지부(64) 상에 놓이면, 경사면에 의해 출하용 이송대(15)의 좌우의 프레임(16)의 중앙을 향해 경사면을 자중으로 이동하고, 좌우의 지지체(25)는 프레임(16)의 중앙에 가지런히 하여 육묘 용기(A)를 적층 지지할 수 있으며, 취출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부(64)의 하방의 아암(60)의 내측면에는, 상승하는 육묘 용기(A)와의 접촉에 의해 지지체(25)를 외측으로 퇴피 회동시키는, 퇴피 유도면(65)을 형성한다.
아암(60)과 부착부(62)측[출하용 이송대(15)·프레임(16)] 사이에는, 지지체(25)를 상시 좌우의 프레임(16) 사이 중앙을 향해 돌출하도록 압박하는 스프링(66)을 설치한다(도 9).
아암(60)의 상부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스토퍼 돌기(67)를 형성하고, 스프링(66)은 부착부(62)의 상부에 접촉해서 아암(60)의 내측 회동을 규제하여 지지체(25)를 지지 위치에 유지한다.
지지체(25)는, 상시 스프링(66)에 의해 출하용 이송대(15)의 좌우 중앙을 향해 회동하도록 압박되고, 부착부(62)의 스토퍼 돌기(67)에 접촉시켜 지지 위치에서 대기시키며, 육묘 용기(A)가 상승하여 퇴피 유도면(65)에 접촉하면, 외측 회동하여 육묘 용기(A)로부터 퇴피하고, 육묘 용기(A)의 바닥면이 퇴피 유도면(65)의 상단을 통과하면, 스프링(66)의 스프링 탄력에 의해 내측 회동하여, 지지부(64)가 육묘 용기(A)의 바닥면의 하방에 위치해서 지지되어, 일단 상승시킨 육묘 용기(A)를 하강시키지 않는다.
또한, 지지체(25)의 지지부(64)의 선단 위치는, 평면에서 보아, 리프트 롤러(20)의 회전 궤적(Z)보다 외측에 위치된다(도 3).
그 때문에, 리프트 롤러(20)의 회전 궤적(Z)과 지지체(25)의 지지부(64)의 선단 위치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지지체(25)의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에 제약이 없어지며, 그 결과, 좌우 한 쌍의 지지체(25)를 전후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지지체(25)에 의한 육묘 용기(A)의 적층 자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아암(60)의 기부에 부착축(61)을 용접 고정하여 형성하고, 부착부(62)는 전후로 분할 형성되며, 아암(60)의 부착축(61)을 전후의 부착 부재(62A)에 의해 사이에 끼워 축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분할된 부착 부재(62A)를 볼트(62B)에 의해 연결하여 일체화하며, 출하용 이송대(15)의 프레임(16)에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한다(도 9).
그 때문에, 출하용 이송대(15)의 프레임(16)이나 지지 장치(24)의 지지체(25)의 제작 오차를 흡수하여, 설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적층된 육묘 용기(A)를 안정적으로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에는 캠체(70)를 설치하고, 캠체(70) 근방에는 적층 정지 스위치(71)를 설치하며, 적층 정지 스위치(71)의 접속 단자(72)가 캠체(70)의 외주면(73)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적층용 모터(M)에 통전하여, 선행 육묘 용기(A)가 지지체(25)에 지지되고, 리프트 롤러(20)가 대기 위치로까지 되돌아가면, 적층 정지 스위치(71)의 접속 단자(72)에 캠체(70)의 외주면의 절결(74)이 끼워져, 적층용 모터(M)에의 통전을 차단한다.
도 7에서는, 적층 정지 스위치(71)의 접속 단자(72)에 캠체(70)의 외주면의 절결(74)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출하용 이송대(15)의 프레임(16)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는, 지지체(25) 상에 육묘 용기(A)가 미리 정해진 단수 적층된 것을 검출하는 적층 검출 스위치(75)를 설치하고, 적층 검출 스위치(75)가 미리 정해진 단수 중첩된 것을 검지하면, 파종용 이송대(1)에의 통전을 차단한다.
(실시형태의 작용)
빈 육묘 용기(A)에 흙과 종자 등을 공급하는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에 적층 취출 장치(10)의 출하용 이송대(15)의 시단부를 접속한다.
다음으로, 파종용 이송대(1)의 시단부에 빈 육묘 용기(A)를 공급하고, 이송 중의 육묘 용기(A)는 상토 공급 장치(2)의 하방에서 상토의 공급을 받고, 관수되며, 종자 공급 장치(3)의 하방에서 종자의 공급을 받고, 복토 공급 장치(4)의 하방에서 복토의 공급을 받는다.
파종되어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으로 이송된 육묘 용기(A)는, 적층 취출 장치(10)의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17) 상으로 옮겨지고, 후속의 육묘 용기(A)에 의해 밀려 자유 회전 상태의 이송 롤러(17) 상을 그대로 이동하여 개시 센서(45)에 접촉한다.
개시 센서(45)에 육묘 용기(A)가 접촉하면, 적층용 모터(M)에 통전하여,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구동 회전시켜 육묘 용기(A)를 빠르게 이송 반송하여, 후속의 육묘 용기(A)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리프트 롤러(20)를 구동 회전시켜 선행 육묘 용기(A)를 지지체(25)가 지지할 때까지 상승시킨다.
지지체(25)는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육묘 용기(A)가 상승하면, 스프링(31)의 탄력에 대항하여 상승하는 육묘 용기(A)에 의해 유도면(29)이 외측으로 밀리고, 지지체(25)는 외측 회동하여 육묘 용기(A)로부터 퇴피하며, 육묘 용기(A)의 바닥면이 유도면(29)의 상단을 통과하면, 스프링(31)의 탄력에 의해 내측 회동하여, 지지면(64A)이 육묘 용기(A)의 바닥면의 하방으로 들어가 지지하여 대기시킨다.
선행 육묘 용기(A)가 지지체(25)에 지지되면, 적층 정지 스위치(71)의 접속 단자(72)에 캠체(70)의 외주면의 절결(74)이 들어가, 적층용 모터(M)에의 통전을 차단한다.
선행 육묘 용기(A)가 지지체(25)에 지지되는 동안에, 후속의 육묘 용기(A)가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으로부터 적층 취출 장치(10)의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17) 상으로 옮겨지고, 이송 롤러(17) 상을 이동하여 개시 센서(45)에 접촉하며, 개시 센서(45)는 적층용 모터(M)에 통전하여,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구동 회전시켜 육묘 용기(A)를 빠르게 이송하여, 후속의 육묘 용기(A)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리프트 롤러(20)를 회전시켜 2장째의 육묘 용기(A)를 상승시킨다.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2장째의 육묘 용기(A)가 상승하면, 스프링(31)의 탄력에 대항하여 상승하는 2장째의 육묘 용기(A)에 의해 유도면(29)이 외측으로 밀리고, 지지체(25)는 외측 회동하여 퇴피하며, 2장째의 육묘 용기(A)의 상면을 1장째의 육묘 용기(A)의 하면에 밀어붙여 중첩시키고, 리프트 롤러(20)는 2단 중첩인 채로 육묘 용기(A)를 상승시키며, 2장째의 육묘 용기(A)의 바닥면이 유도면(29)의 상단을 통과하면, 스프링(31)의 탄력에 의해 내측 회동하여, 지지면(64A)이 2장째의 육묘 용기(A)의 바닥면의 하방으로 들어가 지지한다.
2장째의 육묘 용기(A)가 지지체(25)에 지지되면, 적층 정지 스위치(71)의 접속 단자(72)에 캠체(70)의 외주면의 절결(74)이 들어가, 적층용 모터(M)에의 통전을 차단하고, 2단 중첩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파종용 이송대(1)에서 파종된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는, 상기 작동을 반복해서 미리 정해진 단수의 육묘 용기(A)를 적층하고, 미리 정해진 단수로 적층된 육묘 용기(A)는 적절히 수작업에 의해 출하용 이송대(15)로부터 취출된다.
한편, 지지체(25) 상에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의 육묘 용기(A)가 적층되면, 이것을 적층 검출 스위치(75)가 검지하여, 파종용 이송대(1)를 정지시킨다.
1: 파종용 이송대 2: 상토 공급 장치
3: 종자 공급 장치 4: 복토 공급 장치
10: 적층 취출 장치 15: 출하용 이송대
16: 프레임 17: 이송 롤러
17A: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전측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
17B: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후측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
19: 리프트 기구 20: 리프트 롤러
21: 아암 22: 롤러 부착축
20A: 롤러 20B: 공간부
20C: 커버 23: 가이드 부재
24: 지지 장치 25: 지지체
26: 모터 출력축 27: 출력 기어
28: 아암 기어 29: 리프트용 체인
30: 부착부 31: 텐션 기어
32: 텐션 아암 33: 부착축
39: 빠른 이송 롤러 회전축 40: 수동 기어
40A, 40B: 중간 기어 41: 중간 기어
42: 빠른 이송 체인 42B: 체인
45: 개시 센서 50: 원 웨이 클러치
60: 아암 61: 부착축
62: 부착부 62A: 부착 부재
62B: 볼트 64: 지지부
64A: 지지면 64B: 선단부
64C: 측방 리브 65: 퇴피 유도면
66: 스프링 67: 스토퍼 돌기
70: 캠체 71: 적층 정지 스위치
74: 적층 검출 스위치 M: 적층용 모터

Claims (16)

  1.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으로서,
    파종용 이송대(1)에 빈 육묘 용기(A)를 공급하고, 이송 중의 육묘 용기(A)에 상방으로부터, 적어도, 상토(床土)와 종자와 복토(覆土)를 공급하며,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는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에 설치되는 출하용 이송대(15)로 옮겨지고,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옮겨진 육묘 용기(A)는, 후속의 육묘 용기(A)에 밀려,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공전(空轉) 가능한 출하용 이송대(15)의 이송 롤러 상을 이동하며, 이동한 선행 육묘 용기(A)의 전단이 개시 센서(45)에 접촉하면, 적층용 모터(M)에 통전하여 공전 중의 이송 롤러를 구동 회전시켜 이송하고, 또한, 선행 육묘 용기(A)의 전단이 스토퍼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를 구동 회전시켜 들어올림 개시하며,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린 선행 육묘 용기(A)는 지지체(25)를 갖는 지지 장치(24)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되어 있는 선행 육묘 용기(A)의 하방에 후속 육묘 용기(A)를 받아들여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리며, 이 작업을 반복해서 미리 정해진 매수 적층한 육묘 용기(A)를 취출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2. 빈 육묘 용기(A)에 상토와 종자 등을 파종하는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부에 일체 또는 별체(別體)로 설치되는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의 취출 장치에 있어서,
    취출 장치의 출하용 이송대(15)에는,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옮겨진 육묘 용기(A)를 반송하는 이송 롤러(17)를 복수 병설하고,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사이에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는 전후 한 쌍의 횡축 회전하는 리프트 롤러(20)를 설치하며,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린 미리 정해진 매수의 육묘 용기(A)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25)를 갖는 지지 장치(24)를 설치하고, 복수 병설한 이송 롤러(17) 중 하나의 이송 롤러(17A)와 리프트 롤러(20)를 하나의 적층용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3. 빈 육묘 용기(A)에 상토와 종자 등을 파종하는 파종용 이송대(1)의 종단부에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되는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의 취출 장치에 있어서,
    취출 장치의 출하용 이송대(15)에는, 파종용 이송대(1)로부터 옮겨진 육묘 용기(A)를 반송하는 이송 롤러(17)와,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는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와, 리프트 롤러(20)에 의해 들어올린 미리 정해진 매수의 육묘 용기(A)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25)를 갖는 지지 장치(24)를 설치하고, 리프트 롤러(20)는, 육묘 용기(A)의 반송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의 롤러 부착축(22)에 의해 횡축 회전하여 파종이 끝난 육묘 용기(A)를 들어올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송 롤러(17)는 반송 방향으로 복수 병설되고, 복수의 이송 롤러(17)는 육묘 용기(A)의 반송 방향으로는 자유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 롤러(17)만은 공전과 구동 회전의 전환 회전 가능한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로 이루어지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육묘 용기(A)가 미리 정해진 위치를 통과하면, 구동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전후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의 회전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리프트 롤러(20)와 이송 롤러(17)는 하나의 적층용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 설치되고,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에의 회전 전동 경로 중에 원 웨이 클러치(50)를 설치하며,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감지할 때까지는 자유 회전하고, 개시 센서(45)가 육묘 용기(A)를 검출하면, 원 웨이 클러치(50)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원 웨이 클러치(50)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회전시키는 빠른 이송 롤러 회전축(39)에 설치되는 수동 기어(40)와,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에 설치되는 중간 기어(41) 사이에, 빠른 이송 체인(42)을 걸고, 중간 기어(41)에 원 웨이 클러치(50)를 내장시킨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리프트 롤러(20)는, 개시 센서(45)에 의해 육묘 용기(A)를 검출하면 구동 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개시 센서(45)는, 육묘 용기(A)의 전단이 출하용 이송대(15)의 종단에 설치되는 스토퍼(44)에 접촉한 후에 리프트 롤러(20)가 육묘 용기(A)를 상승시키도록,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적층용 모터(M)를 회전 개시시키는 개시 센서(45)는,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개시 센서(45)를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와 전측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A) 사이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후측 리프트 롤러(20)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후측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B)를 설치하고, 후측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B)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개시 센서(45)를,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출하용 이송대(15)의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의 육묘 용기(A)의 구동 반송 속도는, 파종용 이송대(1)의 육묘 용기(A)의 반송 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1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리프트 롤러(20)와 공전 구동 전환 이송 롤러(17A)를 구동하는 적층용 모터(M)를 출하용 이송대(15)의 프레임(16)의 하방에 설치되는 부착부(30)에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하고, 적층용 모터(M)의 모터 출력축(26)에 설치되는 출력 기어(27)와 상기 출력 기어(27)의 상방이며 리프트 롤러(20)의 롤러 부착축(22)에 설치되는 아암 기어(28) 사이에 리프트용 체인(29)을 걸며, 출력 기어(27)와 전후의 아암 기어(28)를 역삼각형 형상으로 배치하고, 전후의 아암 기어(28) 사이의 리프트용 체인(29)의 상면측에 텐션 기어(31)를 맞물리게 하며, 적층용 모터(M)는 부착부(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텐션 기어(31)의 상하 이동과 텐션 기어(31)의 상하 이동을 조합하여, 전후의 리프트 롤러(20) 및 아암(21)의 높이 위치를 동기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13.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트 롤러(20)의 롤러(20A)는, 아암(21)의 선단에 적어도 2개 이상 병설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리프트 롤러(20)는 좌우 한 쌍 병설되며, 좌우의 리프트 롤러(20) 사이에는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20B)를 형성한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14.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장치(24)는, 리프트 롤러(20)에 의한 육묘 용기(A)의 상승은 허용하지만, 일단 상승시킨 육묘 용기(A)는 하강시키지 않도록 유지하는 지지체(25)를 갖도록 구성되고, 지지체(25)는, 지지체(25)의 기부(基部)를 부착축(61)에 의해 부착부(6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며, 지지체(25)의 상부에는 상승시킨 육묘 용기(A)를 지지하는 지지부(64)를 형성하고, 지지부(64)는, 상방에 이름에 따라 출하용 이송대(15)의 좌우 중앙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지지부(64)의 선단부(64B)는, 지지면(64A)이 육묘 용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퇴피할 때, 육묘 용기(A)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방 리브(64C)에 접촉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지지체(25)의 지지부(64)의 선단 위치는, 평면에서 보아, 리프트 롤러(20)의 회전 궤적(Z)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것인,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KR1020200032676A 2019-04-10 2020-03-17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KR20200119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4666A JP7257033B2 (ja) 2019-04-10 2019-04-10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JPJP-P-2019-074666 2019-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719A true KR20200119719A (ko) 2020-10-20

Family

ID=7283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676A KR20200119719A (ko) 2019-04-10 2020-03-17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57033B2 (ko)
KR (1) KR202001197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9808B (zh) * 2020-11-24 2022-03-18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条状种子精播装置的落种机构及精播装置
CN114982435B (zh) * 2022-05-20 2023-08-08 黑龙江省农业科学院大庆分院 一种新型大豆新品种选育用育苗装置
CN115676402A (zh) * 2022-09-30 2023-02-03 高振佳 一种农作物栽培营养土均匀铺种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8864A (ja) 2017-03-14 2018-09-27 株式会社石井製作所 育苗箱積重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355A (ja) 2001-02-15 2002-08-27 Suzutec Co Ltd 育苗容器段積取出装置
JP6166918B2 (ja) 2013-03-19 2017-07-19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箱自動供給装置
JP6550248B2 (ja) 2015-03-27 2019-07-24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箱自動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8864A (ja) 2017-03-14 2018-09-27 株式会社石井製作所 育苗箱積重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71222A (ja) 2020-10-22
JP7257033B2 (ja)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9719A (ko)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US4355936A (en) Egg transfer apparatus
KR101418651B1 (ko) 육묘 용기 중첩 방법 및 육묘 용기 중첩 장치
CN106428769B (zh) 一种平包多层码垛机
US10583998B2 (en) Egg tray stacking machine
JP2012025589A (ja) 包装ユニットを積み重ねる装置および方法
CN106743697B (zh) 一种用于承载盒自动叠放装置
JP2020171222A5 (ko)
JPS6042127B2 (ja) 卵をコンベヤ−に移送する装置
KR20120095276A (ko) 맛살 입봉장치
EP1015357B1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or lowering an ordered stack of articles
JP7294740B2 (ja)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CN206155881U (zh) 一种平包多层码垛机
EP05720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xing ampoules
JP2007076802A (ja) 段ばらし装置、段積み装置及び段ばらし段積み装置
CN209871759U (zh) 一种托盘给送机
JP2023082327A (ja)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CN111776307A (zh) 一种套装组合餐具装箱机构
CN216186448U (zh) 一种包装机
JP6216153B2 (ja) 育苗容器段積取出装置
JP6552103B2 (ja) 育苗箱補給装置および育苗箱補給方法
CN114671064B (zh) 一种包装设备
JP2011109938A (ja) 播種済み育苗容器搬送方法および播種済み育苗容器搬送装置
CN113895710A (zh) 一种包装机
CN219545206U (zh) 一种纸杯成型系统的堆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