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399A - 루프랙 - Google Patents

루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399A
KR20200114399A KR1020190036111A KR20190036111A KR20200114399A KR 20200114399 A KR20200114399 A KR 20200114399A KR 1020190036111 A KR1020190036111 A KR 1020190036111A KR 20190036111 A KR20190036111 A KR 20190036111A KR 20200114399 A KR20200114399 A KR 20200114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ail
portions
mounting
roof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626B1 (ko
Inventor
조언연
정용우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3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26B1/ko
Priority to PCT/KR2020/004301 priority patent/WO2020197350A1/ko
Publication of KR2020011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베이스부를 갖고,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베이스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에 장착되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소정 영역과 각각 접촉하는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갖고, 제1 및 제2 커버부를 연결하는 상면이 마련된 커버; 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측벽은, 제1 및 제2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걸림턱을 갖는, 제1 및 제2 후크부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 커버부는, 제1 및 제2 걸림턱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레그와 제1 및 제2 커버부의 외관을 마감하도록 마련된 제2 레그 및 각각의 제1 레그 및 제2 레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방이 개방된 중공부가 마련된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는, 루프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루프랙{ROOF LACK}
본 발명은 차량용 플라스틱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한 화물의 이송은 차량의 트렁크를 이용하게 되는데, 트렁크 공간을 이용하기 어려운 큰 부피의 화물이나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는 루프랙을 이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루프랙은 차량의 지붕 상면인 루프 패널(roof panel)에 고정되고, 캠핑장비나 스키와 같은 레저장비 등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을 루프랙에 적재시키기 위해 클램프(clamp)를 루프랙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요즘에는 레저용 차량(SUV; Sport Utility Vehicle, RV; Recreational Vehicle)의 대중화 및 캠핑 등의 레저여행의 붐과 함께 루프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루프 레일과 커버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 루프랙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으나, 냉각과정에서 수축에 의한 휨 또는 형상변형이 발생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버와 레일의 조립 단차가 클 경우, 자동차 운행 중 커버의 이탈,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외부 단차로 인한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갖는 레일에서, 제1 및 제2 측벽에 각각 후크부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에 고정부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보다 쉽고 용이하게 레일과 커버를 장착 할 수 있는 루프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에는 소정의 중공부를 마련함으로써, 커버를 사출 성형 시 휨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 불량을 미연에 차단하여 외관 품질이 확보된 루프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베이스부를 갖고,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베이스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에 장착되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소정 영역과 각각 접촉하는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갖고, 제1 및 제2 커버부를 연결하는 상면이 마련된 커버; 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측벽은, 제1 및 제2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걸림턱을 갖는, 제1 및 제2 후크부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 커버부는, 제1 및 제2 걸림턱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레그와 제1 및 제2 커버부의 외관을 마감하도록 마련된 제2 레그 및 각각의 제1 레그 및 제2 레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방이 개방된 중공부가 마련된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는, 루프랙을 제공한다.
또한, 제1 및 제2 측벽은, 제1 및 제2 커버부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단턱면을 각각 포함하며, 제1 및 제2 후크부는, 제1 및 제2 단턱면에서 소정 두께로 제1 및 제2 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면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걸림턱은, 제1 부재의 종단부 측에서 제1 및 제2 커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후크부는, 제1 및 제2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소정 간격 떨어져 각각 위치하도록 복수 개 마련되며, 제1 및 제2 커버부는, 제1 및 제2 후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측벽은,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제1 후크부 사이 및 인접하는 2개의 제2 후크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및 제2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 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레일은, 제1 및 제2 측벽에 제1 및 제2 후크부가 마련된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구간 및 제1 및 제2 측벽에 제2 부재가 마련된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구간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부는 상면과 마주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을 갖고, 베이스부의 제2면 측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패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패드는, 베이스부의 제2면 측으로 돌출되고, 루프 패널 측으로 개방된 제1 홈부 및 제1 홈부에서 제2면 측으로 돌출된 제1 장착돌기를 갖는 제1 장착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제2면에서 패드 측으로 돌출되고, 제1면 측으로 개방되며 제1 장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1 관통홀을 갖는 제2 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부는 제1면에서 커버 측으로 돌출되고 스크류 볼트가 삽입되는 제4 관통홀을 갖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커버는 스크류 볼트가 삽입되어 커버와 레일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제3 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스크류 볼트는 볼트 헤드 및 나사부를 갖고, 볼트 헤드는 베이스부의 제2면 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나사부는 제4 관통홀을 통과하여 커버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며, 레일에 커버를 장착 시, 나사부는 제3 장착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길이방향에 따른 커버의 일단부 측 내주면에는, 레일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부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된 끼움홈을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부는, 루프 패널 측으로 돌출되고, 제1면 측으로 개방된 제3 홈부 및 제3 홈부에서 루프 패널 측으로 더욱 돌출되고, 마운팅 볼트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갖는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패드는, 마운팅 볼트 및 마운팅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3 관통홀을 갖는다.
또한, 제1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 후크부와 제1 및 제2 후크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에 의해 커버와 레일이 고정되고, 제1 장착부와 제2 홈부에 의해 레일과 패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간에서는, 제2 장착부와 제3 장착부에 의해 커버와 레일이 고정되고, 제1 장착부와 제2 홈부에 의해 레일과 패드가 고정되며, 패드의 제3 관통홀을 통과하여 마운팅 볼트가 삽입되는 마운팅부에 의해 루프 패널과 패드 및 레일이 고정되고, 제1 및 제2 단턱면과 각각의 제2 부재에 의해 커버가 레일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갖는 레일에서, 제1 및 제2 측벽에 각각 후크부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에 고정부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보다 쉽고 용이하게 레일과 커버를 장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에는 소정의 중공부를 마련함으로써, 커버를 사출 성형 시 휨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 불량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D-D'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장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부가 제3 장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레일이 결합된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플라스틱 루프랙(1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은, 레일(100) 및 커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레일(100)과 커버(200)가 차량의 루프 패널(차량의 지붕 상면)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500) 및 커버(300)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캡(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루프 패널(차량의 지붕 상면, 미도시)에는, 레일과 차체를 연결하기 위해 소정 간격 떨어져 복수 개 마련된 마운팅 볼트(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루프랙(10)에는, 클램프(Clamp, 미도시) 등을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루프랙(10)은,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패드가 안착되고, 패드의 상부에 레일이 결합되고, 레일 상에 커버를 장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부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100)은,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110),제2 측벽(130), 및 제1 및 제2 측벽(110,130)을 연결하는 베이스부(150)를 갖고, 제1 측벽(110), 제2 측벽(110, 130) 및 베이스부(150)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 측벽(110) 대 제2 측벽(130)의 단면적은 1: 0.6 내지 1:1의 비율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에 장착되며,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30)의 소정 영역과 각각 접촉하는 제1 커버부(310) 및 제2 커버부(330)를 갖고,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를 연결하는 상면(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레일(100)에 커버(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와 상면(350)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50)는 상면(350)과 마주하는 제1면(151) 및 제1면(151)의 반대방향의 제2면(152)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패드(500)는 베이스부(150)의 제2면(152) 측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벽(110,130)은, 제1 및 제2 커버부(310, 330)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단턱면(111,131)을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단턱면(111,131)은 각각 평탄면일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버부의 종단부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11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단턱면(111)에서 베이스부를 향해 두께가 증가하도록 마련된 제1 영역(113) 및 제1 영역(113)에서 베이스부를 향해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제2 영역(115)을 갖는 제1 굴곡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113, 115)은, 제1 측벽(110)의 일부 영역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영역(113, 115)은, 제1 단턱면(111)에서 베이스부(150)로 갈수록 베이스부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폭이 점차 증가하다 감소하는 단면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1 영역(113)과 제2 영역(115)이 만나는(접하는) 지점은 라운드 진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110)은, 베이스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심선(L1) 측으로 굴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130)은,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30)이 비대칭 구조를 갖도록 베이스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심선 측으로 굴곡된 제3 영역(133)을 갖는 제2 굴곡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굴곡부(120)는, 베이스부의 제2면(152)에서 연장된 가상의 제1 연장선(L2) 및 제1 단턱면(111)에서 연장된 가상의 제2 연장선(L3)의 사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굴곡부(140)는, 제1 연장선(L2) 및 제2 단턱면(131)에서 연장된 가상의 제3 연장선(L4)의 사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제1 굴곡부(120) 단면의 최대폭(W1)은, 제2 굴곡부(140) 단면의 최대폭(W2) 보다 크게(W1 > W2)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110)은, 제1 굴곡부(120)에서 패드(500) 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지지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벽(130)은 제2 굴곡부(140)에서 패드 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지지부(17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 지지부(170) 단면의 최대폭(W3)은, 제1 지지부(160) 단면의 최대폭(W4) 보다 크게(W3 > W4)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벽(110,130)은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걸림턱(182,192)을 갖는,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는, 제1 및 제2 걸림턱(182,192)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레그(321)와 제1 및 제2 커버부의 외관을 마감하도록 마련된 제2 레그(322) 및 각각의 제1 레그(321) 및 제2 레그(32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방이 개방된 중공부(323)가 마련된 고정부(320)를 각각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측벽(110,130)은,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는 제1 및 제2 측벽(110,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소정 간격 떨어져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는, 제1 및 제2 단턱면(111,131)에서 소정 두께로 제1 및 제2 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면(350)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부재(181, 191) 및 각각의 제1 부재(181,191)에서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턱(182,192)을 각각 포함한다.
즉, 제1 후크부(180)는 제1 단턱면(111)에서 소정 두께로 제1 측벽의 내주면(112)을 따라 상면(350)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후크부(190)는 제2 단턱면(131)에서 소정 두께로 제2 측벽의 내주면(132)을 따라 상면(350)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182)은 제1 부재(181)의 종단부 측에서 제1 커버부(310)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걸림턱(192)은 제2 부재(191)의 종단부 측에서 제2 커버부(330)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후크부(180)는, 제1 부재(181) 및 제1 걸림턱(182)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 내에 후술할 제1 레그가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제2 후크부(190)는 제1 부재(191) 및 제2 걸림턱(192)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 내에 후술할 제2 레그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182, 192)은, 상면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함으로써, 커버가 레일에 장착될 때 제1 및 제2 레그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소정의 공간 내로 삽입 및 안착되어 보다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가 마련되지 않은 제1 및 제2 측벽에는, 제1 및 제2 단턱면(111, 131)에서 소정 두께로 제1 및 제2 측벽(110,130)의 내주면을 따라 상면(350) 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부재(183,193)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 측벽(110,1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제1 후크부 사이 및 인접하는 2개의 제2 후크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 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재(183,19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측벽(110,1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제1 및 제2 커버부재 적어도 일부 영역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재(183,193)를 각각 포함하고, 제1 커버부(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측벽(110)의 제2 부재(183) 및 제1 단턱면(111)에 안착되며, 제2 커버부(3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2 측벽(130)의 제2 부재(193) 및 제2 단턱면(131)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측벽(110,1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소정간격 떨어져 각각 위치하며, 제1 및 제2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재(183,193)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부재의 두께(폭)는 제1 부재의 두께(폭)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100)은 대략 'H' 형상을 가지며,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비대칭 구조를 갖게 된다.
특히, 제1 측벽(110) 대 제2 측벽(130)의 단면적은, 1: 0.6 내지 1: 1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4의 빨간색으로 각각 표시된 부분을 참조하면, 제1 측벽(110)의 단면적(A1)과 제2 측벽(130)의 단면적(A2)의 비율은, 제1 측벽(110)의 단면적(A1)이 1 일 때, 제2 측벽(130)의 단면적(A2)은 0.6 내지 1 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측벽(110)의 단면적(A1) 대 제2 측벽(130)의 단면적(A2)의 비율은 1: 0.6 내지 1:1, 또는 1: 0.7 내지 1:1, 또는 1: 0.8 내지 1: 1, 또는 1:0.9 내지 1:1, 또는 1: 0.95 내지 1:1, 또는 1:1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측벽을 기준으로, 제2 측벽의 단면적의 비율이 전술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사출 성형 시 냉각 시간에 따른 수축율이 상이하게 되어 두께가 보다 두꺼운 측벽 측의 폭(너비) 방향을 따라 레일의 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레일(100)은 상기와 같은 단면적 비율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시, 수축에 의한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커버부재(310,330)는,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에 삽입 장착되어 커버와 레일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고정부(320; 320a, 320b)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20; 320a, 320b)는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소정 간격 떨어져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고정부(320; 320a, 320b)는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1 및 제2 걸림턱(182,192)에 걸림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레그(321; 321a, 321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커버부재(310,33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1 및 제2 커버부의 외관을 마감하도록 마련된 제2 레그(322; 322a, 322b)를 포함한다.
즉, 각각의 제2 레그(322a, 322b)는 커버의 외관을 마감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레일에 장착되는 커버 측의 외관을 마감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레그(321,322)는,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의 종단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분기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레그(321,32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중공부(323; 323a, 323b)를 포함하며, 각각의 중공부(323a,323b)는 하방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레그(321,322)는 일 예로, 대략 'ㅅ'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중공부(323)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시, '살빼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레그(321,322) 각각의 두께는,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일에 커버를 고정시키도록,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의 종단부에 하방이 개방된 중공부(323)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제1 레그(321)는 레일과 커버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고, 제2 레그(322)는 루프랙의 외관을 마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커버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레일과 커버의 조립 단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레그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므로써, 커버의 사출 성형 시 커버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레그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커버 끝단에서 갑자기 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끝단에서 변형으로 인한 조립 단차의 불균형 및 외관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루프랙(10)에 클램프가 장착되어 적재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굴곡부(120)는, 제2 굴곡부(140) 보다 더 큰 하중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굴곡부(120)의 외주면(외곽선)의 굴곡 정도는, 적재 하중을 지지하도록 제2 굴곡부(140)의 외주면(외곽선)의 굴곡 정도보다 더 큰 굴곡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부(150)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의 높이 방향을 따른 양 단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50)는 레일의 상단 및 하단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50)가 상단부 측에 인접하게위치하게 되는 경우 레일은 높이 방향으로 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50)를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레일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의 내부 단면은 각각의 측벽의 외곽선을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측벽의 내부 단면은 각각의 측벽의 외곽선을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레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일(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가 제1 및 제2 측벽(110,130) 상에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각각 위치하고, 커버(300)에는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320)가 각각 마련된다.
즉, 제1 및 제2 커버부는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320)가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180, 190)는 제1 및 제2 측벽(110,130) 상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180, 190)는 제1 및 제2 측벽(110, 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하, 제1 구간(r1)이라고 함)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후크부(180, 190)는 제1 및 제2 측벽(110, 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구간(r1)은, 레일에서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 마련되어 있는 영역(구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구간(r1)은 레일 상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고,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커버(300)에는, 제1 구간(r1)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3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제1 구간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간(r1)은,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 상에서 제3 장착부(360)와 제4 관통홀(351)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를 사출 성형시, 복잡한 구조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고정부(320)를 마련함으로써, 사출 성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일(100)은,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 가 위치한 제1 구간(r1)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인 제2 구간(r2)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100)의 제2 구간(r2)의 제1 및 제2 측벽(110,130)은, 제1 및 제2 측벽(110,130) 각각에는 전술한 제2 부재(183,19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 대신 제2 부재가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 제1 구간(r1)과 동일한 구성 및 형상(구조)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제1 및 제2 측벽(110,130)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300)는, 레일의 제2 구간(r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커버부(310,330) 각각에 고정부(320)가 마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 및 형상(구조)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제1 및 제2 커버부(310,330)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의 제2 구간(r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커버 부재(310,330) 각각의 종단부는, 제1 및 제2 단턱면(111,131)에 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구간(r1)은, 제1 및 제2 측벽에 제1 및 제2 후크부가 마련된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구간은, 제1 및 제2 측벽에 제2 부재가 마련된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B-B'부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드(500)는 베이스부(150)의 제2면(152) 측으로 돌출되고, 루프 패널 측으로 개방된 제1 홈부(511) 및 제1 홈부(511)에서 제2면(152) 측으로 돌출된 제1 장착돌기(512)를 갖는 제1 장착부(510)를 포함하며, 베이스부(150)는 제2면(152)에서 패드(500) 측으로 돌출되고, 제1 면(151) 측으로 개방되며, 제1 장착돌기(511)가 삽입되기 위한 제1 관통홀(153)을 갖는 제2 홈부(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부(510)는 패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드(5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장착부(5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돌기(512)는 한 쌍의 체결후크(512a, 512b)가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형상으로, 제1 관통홀(153)에 삽입되어, 각각의 체결후크(512a, 512b)가 제1 관통홀(153)의 일부 영역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레일(100)의 제2 홈부(155)는 후술할 마운팅부(157)가 마련되는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베이스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장착부(510)는, 제2 홈부(155)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C-C'부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50)는, 루프 패널(미도시) 측으로 돌출되고, 제1면 측으로 개방된 제3 홈부(155) 및 제3 홈부(155)에서 루프 패널 측으로 더욱 돌출되고, 마운팅 볼트(900)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156)을 갖는 마운팅부(157)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패드(500)는, 마운팅 볼트(900) 및 마운팅부(157)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3 관통홀(513)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3 홈부(155) 및 마운팅부(157)는 베이스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된 복수 개의 제3 홈부(155) 및 마운팅부(157)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레일(100)의 제3 홈부(155) 및 마운팅부(157)는 제2 구간(r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베이스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관통홀(513)은, 마운팅부(157)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볼트(900)는 차량의 루프 패널 상에 레일(100)을 고정하도록 복수 개가 소정간격 떨어져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300)의 상면(350)에는, 마운팅부(157)와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제4 관통홀(35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각각의 제4 관통홀(351)을 폐쇄하며, 커버(300)의 외관을 마감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캡(353)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4 관통홀(351)은, 캡(353)이 제4 관통홀(351)에 삽입될 때, 걸림 고정되도록 단턱부(35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352)는 제4 관통홀(351)과 인접한 커버의 내주면 측에 제4 관통홀(351)의 중심부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D-D'부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장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부가 제3 장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50)는, 제1면(151)에서 커버(300) 측으로 돌출되고 스크류 볼트(910)가 삽입되는 제4 관통홀(158)을 갖는 제2 장착부(159)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볼트(910)의 볼트 헤드(911)는, 베이스부(150)의 제2면(152) 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나사부(912)는 제4 관통홀(158)을 통과하여 커버의 상면(350) 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300)는, 스크류 볼트(910) 즉, 나사부(912)가 삽입되어 커버와 레일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제3 장착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장착부(360)는, 상면(350)의 내주면에서 베이스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고정부재(361) 및 제1 고정부재(361)에서 베이스부 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제2 고정부재(3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361)는, 커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고, 내부 상면(350)에서 베이스부(1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한 쌍의 제1 리브(362) 및 폭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1 리브(362)를 연결하는 제2 리브(36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361)는, 커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단부 측의 한 쌍의 제1 리브(362) 및 제2 리브(363)를 연결하는 제4 리브(36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고정부재(361)는 제4 리브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중공이 형성되며, 타측이 폐쇄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리브(36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1 및 제2 리브 영역을 갖고, 커버의 상면의 내주면과 연결된 적어도 일부 영역(제1 리브영역)이 제2 리브와 연결된 적어도 일부 영역(제2 리브영역) 보다 얇게 마련되고 내부에 소정의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사출 시 수축이 발생하여 커버의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고정부재(365)는 제2 리브(363)에서 베이스부(150) 측으로 돌출되며, 나사부(91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5 관통홀(366)을 갖는다.
상기 제2 고정부재(365)는 일 예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가 레일(100)에 장착될 때, 상기 나사부(912)가 제5 관통홀(366)에 삽입 장착되어, 레일과 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5 관통홀(366)은 나사부(912)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레일(100)의 제2 장착부(159)는 제1 구간(r1) 또는 제2 구간(r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베이스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장착부(360)는, 제2 장착부(159)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레일이 결합된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300)는 길이방향에 따른 커버(300)의 일단부(300a) 측 내주면에는 레일(100)의 일단부(100a)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부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된 끼움홈(370)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홈(370)은 커버(30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측단면이 대략 'ㄴ'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끼움홈(370)에 의해 커버를 레일에 장착 시, 끼움홈(370)을 레일의 일단부(100a)에 끼워 맞춘 후, 전술한 제1 및 제2 후크부(180,190)에 고정부(320)를 장착시켜 보다 쉽게 루프랙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레일의 제1 및 제2 후크부와 이에 결합되는 커버의 고정부는, 레일의 타단부(100b) 및 커버의 타단부(300b)에서 일단부 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단부는, 일단부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를 레일에 장착 시, 끼움홈(370)을 레일의 일단부(100a)에 끼워 맞춘 후, 레일 및 커버 각각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1 구간에 의해 커버와 레일의 결합력이 보다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랙(10)의 제1 및 제2 후크부와 이에 삽입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부는, 커버가 레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과 위치를 구속하는 기능이 있으며, 특히 폭 방향을 따르는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
즉, 커버와 레일의 폭 방향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랙(10)의 장착부들은, 커버가 레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과 위치를 구속하는 기능이 있으며, 특히 수직 방향(높이 방향)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와 레일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레일과 커버의 조립 단차를 최소화하여 자동차 운행 중 커버의 이탈, 소음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단차로 인한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일(100) 및 커버(3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예를들어, PP, PA6, PA66, ABS, PP+EPDM, PC+AB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레일(100) 및 커버(300)는 경량화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섬유 강화플라스틱은 베이스 수지에 보강섬유가 첨가된 것으로 베이스 수지로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보강섬유로 탄소 섬유 및/또는 유리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섬유 강화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연속섬유 강화플라스틱, 연속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연속 탄소섬유 강 화플라스틱, 단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단섬유 강화플라스틱, 탄소 단섬유 강화플 라스틱, 장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장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단섬유 강화플라스 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루프랙
100: 레일
300: 커버
500: 패드

Claims (13)

  1.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베이스부를 갖고,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베이스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에 장착되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소정 영역과 각각 접촉하는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갖고, 제1 및 제2 커버부를 연결하는 상면이 마련된 커버; 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측벽은, 제1 및 제2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걸림턱을 갖는, 제1 및 제2 후크부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 커버부는, 제1 및 제2 걸림턱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레그와 제1 및 제2 커버부의 외관을 마감하도록 마련된 제2 레그 및 각각의 제1 레그 및 제2 레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방이 개방된 중공부가 마련된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는, 루프랙.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벽은, 제1 및 제2 커버부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 단턱면을 각각 포함하며,
    제1 및 제2 후크부는, 제1 및 제2 단턱면에서 소정 두께로 제1 및 제2 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면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걸림턱은, 제1 부재의 종단부 측에서 제1 및 제2 커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된, 루프랙.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후크부는, 제1 및 제2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소정 간격 떨어져 각각 위치하도록 복수 개 마련되며,
    제1 및 제2 커버부는, 제1 및 제2 후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가 각각 배치된, 루프랙.
  4. 제 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벽은,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제1 후크부 사이 및 인접하는 2개의 제2 후크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및 제2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 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루프랙.
  5. 제 4항에 있어서,
    레일은, 제1 및 제2 측벽에 제1 및 제2 후크부가 마련된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구간 및 제1 및 제2 측벽에 제2 부재가 마련된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구간을 갖는, 루프랙.
  6.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상면과 마주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을 갖고,
    베이스부의 제2면 측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루프랙.
  7. 제 6항에 있어서,
    패드는, 베이스부의 제2면 측으로 돌출되고, 루프 패널 측으로 개방된 제1 홈부 및 제1 홈부에서 제2면 측으로 돌출된 제1 장착돌기를 갖는 제1 장착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제2면에서 패드 측으로 돌출되고, 제1면 측으로 개방되며 제1 장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1 관통홀을 갖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루프랙.
  8.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제1면에서 커버 측으로 돌출되고 스크류 볼트가 삽입되는 제4 관통홀을 갖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커버는 스크류 볼트가 삽입되어 커버와 레일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제3 장착부를 포함하는, 루프랙.
  9. 제 8항에 있어서,
    스크류 볼트는 볼트 헤드 및 나사부를 갖고,
    볼트 헤드는 베이스부의 제2면 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나사부는 제4 관통홀을 통과하여 커버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며,
    레일에 커버를 장착 시, 나사부는 제3 장착부에 삽입 장착되는, 루프랙.
  10. 제 1항에 있어서,
    커버의 길이방향에 따른 커버의 일단부 측 내주면에는, 레일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부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된 끼움홈을 포함하는, 루프랙.
  11.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루프 패널 측으로 돌출되고, 제1면 측으로 개방된 제3 홈부 및 제3 홈부에서 루프 패널 측으로 더욱 돌출되고, 마운팅 볼트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갖는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패드는, 마운팅 볼트 및 마운팅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3 관통홀을 갖는, 루프랙.
  12. 제 5항에 있어서,
    제1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 후크부와 제1 및 제2 후크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에 의해 커버와 레일이 고정되고,
    제1 장착부와 제2 홈부에 의해 레일과 패드가 고정되는, 루프랙.
  13. 제 5항에 있어서,
    제2 구간에서는, 제2 장착부와 제3 장착부에 의해 커버와 레일이 고정되고,
    제1 장착부와 제2 홈부에 의해 레일과 패드가 고정되며,
    패드의 제3 관통홀을 통과하여 마운팅 볼트가 삽입되는 마운팅부에 의해 루프 패널과 패드 및 레일이 고정되고,
    제1 및 제2 단턱면과 각각의 제2 부재에 의해 커버가 레일에 지지되는, 루프랙.
KR1020190036111A 2019-03-28 2019-03-28 루프랙 KR10245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11A KR102450626B1 (ko) 2019-03-28 2019-03-28 루프랙
PCT/KR2020/004301 WO2020197350A1 (ko) 2019-03-28 2020-03-30 루프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11A KR102450626B1 (ko) 2019-03-28 2019-03-28 루프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399A true KR20200114399A (ko) 2020-10-07
KR102450626B1 KR102450626B1 (ko) 2022-10-05

Family

ID=7261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11A KR102450626B1 (ko) 2019-03-28 2019-03-28 루프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626B1 (ko)
WO (1) WO202019735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75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KR100668898B1 (ko) * 2005-12-13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장착장치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JP2013173499A (ja) * 2012-02-27 2013-09-0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ルーフレ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0508B2 (ja) * 1995-07-20 2004-10-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レール
KR200168203Y1 (ko) * 1996-05-09 2000-03-02 이관기 자동차용 루프랙어셈블리
KR101683510B1 (ko) * 2015-04-07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루프랙 구조
DE102015212684B3 (de) * 2015-07-07 2016-11-03 Süddeutsche Aluminium Manufaktur GmbH Dachreli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mit Dachreli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achre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75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KR100668898B1 (ko) * 2005-12-13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장착장치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JP2013173499A (ja) * 2012-02-27 2013-09-0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ルーフレ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26B1 (ko) 2022-10-05
WO2020197350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7325A1 (en) Roof rack for vehicle
US11225197B2 (en) Roof rack for vehicle
KR20140051414A (ko)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WO2018062792A1 (ko) 차량용 루프랙
US20070286697A1 (en) Multi-channel cross bar for a vehicle cargo management system
KR20200114399A (ko) 루프랙
KR102079956B1 (ko)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262660B1 (ko) 루프랙
KR101284765B1 (ko) 차량용 일체형 루프렉 및 그 제조방법
KR102462010B1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US20210170953A1 (en) Roof rail with divider wall configured to resist clamping force
KR101822230B1 (ko) 차량용 루프랙
KR102462014B1 (ko) 루프랙
KR20190088620A (ko) 차량용 루프랙
KR102360283B1 (ko) 루프랙
KR102055131B1 (ko) 차량용 루프랙
KR20200074926A (ko) 차량용 루프랙
KR102100680B1 (ko) 루프레일 및 루프 랙
KR102450619B1 (ko) 루프 랙 마운팅 구조
KR102079958B1 (ko) 루프레일 및 루프 랙
KR100315292B1 (ko) 승합차의 범퍼 스텝 고정구조
KR102620455B1 (ko) 다용도 루프랙 장치
KR102691978B1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100762963B1 (ko) 크로스바
KR100773387B1 (ko) 사이드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