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014B1 - 루프랙 - Google Patents

루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014B1
KR102462014B1 KR1020190040692A KR20190040692A KR102462014B1 KR 102462014 B1 KR102462014 B1 KR 102462014B1 KR 1020190040692 A KR1020190040692 A KR 1020190040692A KR 20190040692 A KR20190040692 A KR 20190040692A KR 102462014 B1 KR102462014 B1 KR 10246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cover
rail
base port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596A (ko
Inventor
조언연
정용우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014B1/ko
Priority to PCT/KR2020/004662 priority patent/WO2020209570A1/ko
Publication of KR2020011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고,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베이스 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측벽 및 제2 측벽 내부로 삽입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베이스 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를 가지며, 제1 측벽 대 제2 측벽의 단면적은, 1: 0.6 내지 1: 1의 비율을 갖도록 마련된 루프랙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루프랙{ROOF LACK}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한 화물의 이송은 차량의 트렁크를 이용하 게 되는데, 트렁크 공간을 이용하기 어려운 큰 부피의 화물이나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는 루프랙을 이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루프랙은 차량의 지붕 상면인 루프 패널(roof panel)에 고정되고, 캠핑장비나 스키와 같은 레저장비 등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을 루프랙에 적재시키기 위해 클램프(clamp)를 루프랙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요즘에는 레저용 차량(SUV; Sport Utility Vehicle, RV; Recreational Vehicle)의 대중화 및 캠핑 등의 레저여행의 붐과 함께 루프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루프 레일과 커버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 루프랙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으나, 냉각과정에서 수축에 의한 휨 또는 형상변형이 발생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루프 레일과 커버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 루프랙은, 우천시 루프 레일과 커버 사이에 형성된 틈새 등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온으로 압출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있는 루프랙은, 냉각과정에서 수축에 의한 휨 또는 형상변형이 발생되고, 싱크마크(Sink mark)가 형성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마운팅 볼트 체결 시, 외관을 마감하기 위해, 캡을 다수 개 장착해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갖는 레일에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단면적을 1: 0.6 내지 1:1 로 설계하여, 플라스틱 루프랙을 사출 성형 시 폭(너비) 방향의 휨을 방지하고, 베이스부를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직(높이) 방향의 휨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 불량을 미연에 차단하여 외관 품질이 확보된 루프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루프랙 내로 유입된 유체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루프랙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고,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베이스 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측벽 및 제2 측벽 내부로 삽입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베이스 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를 가지며, 제1 측벽 대 제2 측벽의 단면적은, 1: 0.6 내지 1: 1의 비율을 갖도록 마련된, 루프랙을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 부를 따라 연장된 가상의 제1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1 측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연장선에서 하부를 향해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제1 굴곡 영역을 갖고,
제2 측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연장선에서 하부를 향해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제2 굴곡 영역을 가지며, 제1 굴곡 영역은, 제2 굴곡 영역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의 높이 방향을 따른 양 단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는, 커버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갖고, 제1면에서 커버 측으로 돌출되며, 슬롯을 갖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커버는,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롯 내부에 삽입된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가 커버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커버의 내주면에서 제1 두께로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한 쌍의 제1 리브 및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로 베이스 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리브를 포함하며, 폭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 리브를 연결하는 제3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리브는, 탄성 부재가 끼움 장착되도록 마련된 보스부재를 포함하며, 보스부재는, 제3 리브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슬롯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레일은 길이방향에 따른 베이스 부의 양 종단부에 각각 루프 패널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갖고, 커버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부 내에 고정되는 제1 장착돌기를 갖는다.
또한, 커버는, 둘레방향을 따라 레일 내부로 삽입 장착될 때,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각각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단멱적 비율을 1:0.6 내지 1:1을 갖도록 마련함으로써, 레일의 사출 성형 시, 어느 한 측벽 측으로 즉, 폭(너비)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를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직(높이) 방향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커버에 의해, 다수개의 캡을 이용하여 레일을 마감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루프랙 내로 유입된 유체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을 나타낸 결합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배면 측)이다.
도 6은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1홈부 부분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탄성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장착돌기 부분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1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을 나타낸 결합도 및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10)은, 차량의 루프 패널(차량의 지붕 상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100) 및 레일(100)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레일(100) 내부로 삽입되는 커버(2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루프랙(10)은, 상기 레일(100)과 차량의 루프 패널이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루프 패널 상에 패드(300)가 배치되고, 패드 상에 레일(100)이 장착되고, 레일의 일부 영역에 커버(10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루프 패널에는, 레일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마운팅 볼트(미도시)가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100)은,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을 갖고, 제1 및 제2 측벽(121,122)을 연결하는 베이스 부(110)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110)는, 커버(200)와 마주하는 제1면(101)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102)을 갖는다.
상기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은, 베이스 부(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커버(200)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측벽(121,122)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부(110)의 양측 가장자리 중앙 일부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200)는, 레일(100)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200)는, 둘레방향을 따라 레일 내부로 삽입 장착될 때,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각각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200)는, 제1 및 제2 측벽(121,122)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영역 내측으로 삽입되며, 레일(100) 측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날개부(20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2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측벽(121,122)과 대응하는 위치(대략 중앙영역)가 소정 높이만큼 내측으로 함몰되고, 양 단부 측에 날개부(201)가 각각 레일(100) 측으로 돌출된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각각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에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과 커버(200)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 부(110)는,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 각각의 높이 방향(h)을 따른 양 단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부(110)는, 제1 측벽(121)의 높이 방향(h)을 따른 양 단부의 중앙부와 제2 측벽(122)의 높이 방향(h)을 따른 양 단부의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 부(110)를 따라 연장된 가상의 제1 연장선(L1)을 기준으로 제1 측벽(12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연장선(L1)에서 하부를 향해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제1 굴곡 영역(1211)을 갖고, 제2 측벽(12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연장선(L1)에서 하부를 향해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제2 굴곡 영역(1221)을 가질 때, 제1 굴곡 영역(1211)은, 제2 굴곡 영역(1221)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랙(10)에는, 클램프(Clamp, 미도시) 등을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제1 측벽(121)에 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제1 굴곡 영역(1211)을 마련함으로써, 클램프가 장착될 때, 보다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며, 클램프가 장착될 때, 제1 굴곡 영역에 의해 보다 쉽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벽(121)과 제2 측벽(122)은 베이스 부(110)의 폭 방향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제1 측벽(121) 대 제2 측벽(122)의 단면적은, 1: 0.6 내지 1: 1의 비율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100)은 대략 'H' 형상을 가지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제1 측벽(121)과 제2 측벽(122)은 비대칭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도 3의 초록색으로 각각 표시된 부분을 참조하면, 제1 측벽(121)의 단면적(A1)과 제2 측벽(122)의 단면적(A2)의 비율은, 제1 측벽(121)의 단면적(A1)이 1 일 때, 제2 측벽(122)의 단면적(A2)은 0.6 내지 1 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측벽(121)의 단면적(A1) 대 제2 측벽(122)의 단면적(A2)의 비율은 1: 0.6 내지 1:1, 또는 1: 0.7 내지 1:1, 또는 1: 0.8 내지 1: 1, 또는 1:0.9 내지 1:1, 또는 1: 0.95 내지 1:1, 또는 1:1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측벽(121)을 기준으로, 제2 측벽(122)의 단면적의 비율이 전술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사출 성형 시 냉각 시간에 따른 수축율이 상이하게 되어 두께가 보다 두꺼운 측벽 측의 폭(너비) 방향을 따라 레일의 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레일(100)은 상기와 같은 단면적 비율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시, 수축에 의한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100)은, 길이방향에 따른 베이스부(110)의 양 종단부에 각각 루프 패널에 고정되는 장착부(120)를 갖고, 상기 커버(200)는,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부(120) 내에 고정되는 제1 장착돌기(210)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 종단부에 마련된 각각의 장착부(120)에는, 루프 패널에 마련된 마운팅 볼트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부 관통홀(12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관통홀(125)은, 장착부(1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마운팅 볼트가 장착부 관통홀(125)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마운팅 볼트가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장착부 관통홀을 각각 밀폐하도록 마련된 캡(12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120)는 캡(127)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120)는 커버(200)에 의해서 덮이지 않으며, 커버(200)는, 레일(100)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된 베이스 부(110)를 덮음으로써, 캡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00)에 의해, 다수개의 캡(127)을 이용하여 레일을 마감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돌기(210)는, 커버(200)의 양 종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돌기(210)는, 커버(200)의 종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레일(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배면 측), 도 6은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제1 홈부 부분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10)는, 제2면(102)에 루프 패널 측으로 돌출되고, 제1면 측으로 개방된 제1 홈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홈부(130)에서 루프 패널 측으로 더욱 돌출되고, 마운팅 볼트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151)을 갖는 마운팅부(150)를 가지며, 제1 홈부(130)는 상기 제1 관통홀(151)과 떨어져 위치한 하나 이상의 배수홀(137)을 갖는다.
상기 마운팅부(150)는 제1 홈부(130)에서, 마운팅 볼트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홈부(130)는 마운팅부(150)와 연결되는 바닥부(131) 및 바닥부(131)와 베이스부(110)를 연결하는 측부(133)를 갖고, 배수홀(137)은 바닥부(131)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0)와 바닥부(131)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며, 루프 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부(131)가 베이스부(110) 보다 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31)와 측부(133)의 경계영역 및 측부(133)와 베이스부(110)의 경계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곡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부(135)는 일 예로, 베이스부(110)에서 바닥부(131)를 향하여, 소정 영역이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레일(100) 및 커버(200)는, 커버(200)와 레일(100)의 경계영역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제1 홈부(130)로 유입 후 배수홀(1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 유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200)와 레일(100)의 경계영역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경사진 제1 곡면부(135)를 따라 제1 홈부(130)의 바닥부(131)로 유입 후 배수홀(1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인 배수 유로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200)와 레일(100)의 경계영역은, 제1 측벽(121) 및 제2 측벽(122)과 커버(100) 사이의 틈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홈부(130)가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각각 위치하고, 베이스부(110)는, 인접하는 제1 홈부(130) 사이에, 제1면(101)에서 커버 측으로 돌출되며, 슬롯(161)을 갖는 제1 돌출부(160)를 갖는다.
상기 제1 돌출부(16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경사지도록 마련된 제2 곡면부(163)를 갖는다.
상기 커버(200)와 레일(100)의 경계영역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2 곡면부(163)에 의해 제1 홈부(13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슬롯(161)은, 제1 돌출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 일 수 있다.
상기 슬롯(161)은, 후술할 커버(200)에 마련된 탄성부재(230)가 삽입 장착되어 커버(200)와 레일(100)을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200)는,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롯(161) 내부에 삽입된 탄성부재(230) 및 탄성부재(230)가 커버(200)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고정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탄성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0)는, 레일(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롯(161) 내부에 삽입된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대략 "T" 자 형상을 갖는 몸체부(231) 및 상기 몸체부(231)의 양 측면 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 탄성 걸림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슬롯(161) 내부에 삽입되어, 제2 곡면부(163)와 접촉 걸림 되도록 제1 및 제2 측벽(121,122) 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 탄성 걸림부(23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 걸림부(233)는 소정의 탄성을 갖고, 슬롯(161)을 통과하여 삽입된 후, 제2 곡면부(16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걸림부(233)는 슬롯에 삽입 고정 될 때,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 복원되어 고정됨으로써, 레일과 커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30)는 일 예로, 클립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200)에는, 탄성부재(230)가 커버(200)에 고정되어 슬롯(161)에 삽입되도록 고정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40)는, 커버의 내주면에서 제1 두께(t1)로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한 쌍의 제1 리브(241) 및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t2)로 제1 리브에서 베이스 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리브(2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리브(241)는 제1 두께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제2 리브(242)는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어, 제1 리브(241)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241)는, 커버(200)를 사출 성형할 때 제2 리브 보다 살 두께를 얇게 제작함으로써, 사출 시 수축이 발생하여 커버의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리브(242)는 두껍게 마련하여 후술할 보스 부재 및 보스 부재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40)는, 폭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 리브(242)를 연결하는 제3 리브(24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리브(243)는 탄성 부재(230)가 끼움 장착되도록 마련된 보스 부재(250)를 포함하며, 보스 부재(250)는 제3 리브(243)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슬롯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부재(240)는, 커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단부 측 일부 영역이 폐쇄 되도록 제1 내지 제3 리브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240)는, 보강 부재에 의해, 일측이 폐쇄되고 내부에 소정의 중공이 형성되며, 타측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일 예로, 사출 성형 시 '살빼기' 공정을 통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출 시 수축이 발생하여 커버의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보스부재(250) 상에 탄성 부재(2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커버(200)가 레일에 장착될 때, 레일에 마련된 슬롯(161)을 통과하여 삽입된 후, 제2 곡면부(163)에 걸림 고정되어 레일(100)과 커버(20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스부재(250)의 적어도 일부 영역(보스부재의 하부) 및 탄성 부재(230)의 적어도 일부 영역(탄성 부재의 하부)은 슬롯(161)을 통과하여 제1 돌출부(160)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스부재(250)는 탄성부재(230)의 몸체부(23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대략 "T"자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장착돌기 부분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루프랙(10)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제2면(102) 측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장착돌기(310)를 갖는 패드(3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제2면(102)에서 패드(300) 측으로 돌출되며, 제2 장착돌기(310)가 삽입되기 위한 제2 관통홀(171)을 갖는 제2 홈부(170)를 갖는다.
상기 제2 장착돌기(310)는 한 쌍의 체결후크(311)가 소정간격 떨어져 배치된 형상으로, 제2 관통홀(171)에 삽입되어, 각각의 체결후크(311)가 제2 관통홀(171)의 일부 영역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패드(300)는 베이스부(110)의 마운팅부(150)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3 관통홀(320)을 갖는다.
상기 제3 관통홀(320)의 직경(d1)은 마운팅부(150)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관통홀(320)의 직경(d1)을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마운팅부(150)의 외주면과 제3 관통홀(320) 사이에 소정의 틈을 마련하여, 배수홀(137)을 통해 배출된 유체가 상기의 틈을 통해 제3 관통홀(3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관통홀(320)은 마운팅부(15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단부 측에는 장착부 관통홀(125)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루프 패널 상에 마련된 마운팅 볼트가 제3 관통홀을 통과하여 장착부 관통홀(125)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드(300)는, 베이스부(110)의 제2면(102) 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30)를 갖고, 제2 장착돌기(310)는 제2 돌출부(33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3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경사지도록 마련된 제3 곡면부(331)를 갖는다.
상기 제2 장착돌기(310)는 제2 돌출부(330)의 대략 중앙영역에 마련되어, 제2 관통홀(171)을 통과하여 제2 홈부(170)에 장착될 때, 제2 장착돌기(310)와 제2 관통홀(171)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제2 관통홀(17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체는, 상기와 같이 제2 돌출부(330)에 마련된 제3 곡면부(331)의 경사를 따라 유동하여 제3 관통홀(3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돌출부(330)와 제2 홈부(170)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랙은, 우천 시 커버(200)와 제1 및 제2 측벽(121,122)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된 유체(빗물 등)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200)와 제1 및 제2 측벽(121,122)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1 홈부(130)의 제1 곡면부(135)를 따라 바닥부(131)로 유입된 후, 배수홀(137)을 통해 패드 측으로 유동하여 마운팅부와 제3 관통홀의 사이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간격(d3)을 통과하여 루프랙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제1 돌출부(160)의 제2 곡면부(163)의 경사면에 의해 제1 홈부 측으로 유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커버(200)와 제1 및 제2 측벽(121,122)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되어 제2 홈부(170) 측으로 유동된 유체는, 제2 장착돌기(310)와 제2 관통홀의 사이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간격(d4)을 통과하여 제2 돌출부(330) 측으로 유동될 때, 제2 돌출부(330)의 제3 곡면부(331)의 경사면에 의해 제3 관통홀 측으로 유동이 안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랙(10) 내로 유입된 유체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루프랙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상기 레일(100) 및 커버(2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예를들어, PP, PA6, PA66, ABS, PP+EPDM, PC+AB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레일(100) 및 커버(200)는 경량화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섬유 강화플라스틱은 베이스 수지에 보강섬유가 첨가된 것으로 베이스 수지로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보강섬유로 탄소 섬유 및/또는 유리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섬유 강화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연속섬유 강화플라스틱, 연속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연속 탄소섬유 강 화플라스틱, 단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단섬유 강화플라스틱, 탄소 단섬유 강화플 라스틱, 장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장섬유 강화플라스틱, 유리 단섬유 강화플라스 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루프랙
100: 레일
200: 커버
300: 패드

Claims (8)

  1.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고,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는 베이스 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측벽 및 제2 측벽 내부로 삽입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베이스 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를 가지며,
    제1 측벽 대 제2 측벽의 단면적은, 1: 0.6 내지 1: 1의 비율을 갖도록 마련되고,
    베이스 부를 따라 연장된 가상의 제1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1 측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연장선에서 하부를 향해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제1 굴곡 영역을 갖고,
    제2 측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연장선에서 하부를 향해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제2 굴곡 영역을 가질 때,
    제1 굴곡 영역은, 제2 굴곡 영역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마련된, 루프랙.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의 높이 방향을 따른 양 단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루프랙.
  4.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는, 커버와 마주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을 갖고, 제1면에서 커버 측으로 돌출되며, 슬롯을 갖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커버는,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롯 내부에 삽입된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가 커버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루프랙.
  5. 제 4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커버의 내주면에서 제1 두께로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한 쌍의 제1 리브 및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로 제1 리브에서 베이스 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리브를 포함하며,
    폭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 리브를 연결하는 제3 리브를 포함하는, 루프랙.
  6. 제 5항에 있어서,
    제3 리브는, 탄성 부재가 끼움 장착되도록 마련된 보스부재를 포함하며,
    보스부재는, 제3 리브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베이스 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슬롯 내부에 삽입되는, 루프랙.
  7. 제 1항에 있어서,
    레일은 길이방향에 따른 베이스 부의 양 종단부에 각각 루프 패널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갖고,
    커버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부 내에 고정되는 제1 장착돌기를 갖는 루프랙.
  8. 제 1항에 있어서,
    커버는, 둘레방향을 따라 레일 내부로 삽입 장착될 때,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각각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접촉된, 루프랙.
KR1020190040692A 2019-04-08 2019-04-08 루프랙 KR10246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92A KR102462014B1 (ko) 2019-04-08 2019-04-08 루프랙
PCT/KR2020/004662 WO2020209570A1 (ko) 2019-04-08 2020-04-07 루프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92A KR102462014B1 (ko) 2019-04-08 2019-04-08 루프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596A KR20200118596A (ko) 2020-10-16
KR102462014B1 true KR102462014B1 (ko) 2022-11-02

Family

ID=7275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692A KR102462014B1 (ko) 2019-04-08 2019-04-08 루프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2014B1 (ko)
WO (1) WO20202095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040A (en) * 1987-04-09 1988-08-30 Miller Dennis J Snap-in end cap for article carriers
KR97003875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JP3553821B2 (ja) * 1999-05-17 2004-08-11 日産車体株式会社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KR100551785B1 (ko) * 2004-03-13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랙 어셈블리 장착구조
KR100535058B1 (ko) * 2004-04-06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랙 마운팅 구조
CZ2006272A3 (cs) * 2006-04-26 2007-11-07 Ac Lak, S.R.O. Strešní nosic pro vozidla
KR20160078560A (ko) * 2014-12-24 2016-07-05 (주)진원 루프랙 커버 체결용 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320B1 (ko) *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570A1 (ko) 2020-10-15
KR20200118596A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7325A1 (en) Roof rack for vehicle
KR102105944B1 (ko) 차량용 루프랙
US7226101B2 (en) Adjustable boss
KR102462014B1 (ko) 루프랙
US20200023783A1 (en) Roof rack for vehicle
KR102360283B1 (ko) 루프랙
KR20070117489A (ko) 차량 화물 관리 시스템의 다중 채널 크로스바
KR101822230B1 (ko) 차량용 루프랙
KR20180114350A (ko) 차량용 루프랙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62010B1 (ko)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102262660B1 (ko) 루프랙
KR102450626B1 (ko) 루프랙
KR102055131B1 (ko) 차량용 루프랙
KR20190088620A (ko) 차량용 루프랙
KR200438417Y1 (ko) 자동차 루프 랙의 스텐션
KR20200074926A (ko) 차량용 루프랙
KR100773387B1 (ko) 사이드바
KR102462011B1 (ko) 루프랙
CN112937454A (zh) 具有被构造成抵抗夹紧力的分隔壁的车顶纵梁
KR102429070B1 (ko) 차량의 루프랙 체결장치
KR102271881B1 (ko) 루프랙
KR102079958B1 (ko) 루프레일 및 루프 랙
KR100831617B1 (ko) 일체형 사이드 바
KR102100680B1 (ko) 루프레일 및 루프 랙
KR20200136291A (ko) 루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