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489A - 차량 화물 관리 시스템의 다중 채널 크로스바 - Google Patents

차량 화물 관리 시스템의 다중 채널 크로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489A
KR20070117489A KR1020070055522A KR20070055522A KR20070117489A KR 20070117489 A KR20070117489 A KR 20070117489A KR 1020070055522 A KR1020070055522 A KR 1020070055522A KR 20070055522 A KR20070055522 A KR 20070055522A KR 20070117489 A KR20070117489 A KR 2007011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pair
crossbar
crossbar member
s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라드 제이. 크미타
노엘 브이. 랑카
브라이언 이. 핸더슨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픽업 트럭의 짐칸 내에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 레일들을 포함한다. 크로스바 어셈블리가 픽업 트럭의 짐칸 바닥면 상부에 걸쳐지도록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양단부가 측면 레일들에 의해 지지된다.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크로스바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평행하게 정렬된 다수의 채널들을 가지는 크로스바 부재를 포함한다. 채널들 각각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다양한 형태의 부속물들 및/또는 고정용구들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효용성이 향상된다. 일 예를 들면, 크로스바 부재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크로스바 부재의 구별되는 네 곳의 표면에는 분리된 채널들이 각각 형성된다.
차량, 측면 레일, 크로스바 어셈블리, 채널

Description

차량 화물 관리 시스템의 다중 채널 크로스바{MULTI-CHANNEL CROSS BAR FOR A VEHICLE CARGO MANAGEMENT SYSTEM}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관리 시스템이 구비된 픽업 트럭의 사시도;
도 2는 화물 관리 시스템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크로스바의 채널들의 평행한 정렬을 보여주는, 도 2의 3-3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크로스바의 채널에 위치한 부속물(즉, 회전가능한 고정 루프)을 예시해보인 도 3의 크로스바의 단면도;
도 5는 크로스바를 따라 특정 지점에 외부 지지 어셈블리의 완전한 록킹이 가능하도록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이격 형성된 다수의 홀들을 가지는 도 3의 크로스바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물 관리 시스템 14,16 : 측면 레일
300 : 크로스바 어셈블리 32,32' : 크로스바 부재
34,36 : 록킹 장치 38,40,42,44 : 채널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독립적인 고정용구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독립적인 채널들을 가지는 크로스바가 구비된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은 화물 또는 부속물(즉, 자전거 랙, 스키 랙 등)을 지지하거나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기 위해 자동차, 밴, 픽업 트럭,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s)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들에 사용된다. 화물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타입의 화물을 지지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픽업 트럭의 적재함에 사용되고, 또한 차량의 외부 몸체 표면상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 차량의 지붕에 채용된다. 이러한 적용 예들에 있어서, 화물 관리 시스템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 레일들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크로스바들이 그 양단부에서 측면 레일들에 고정된다. 운반 화물은 크로스바 상에 지지되거나 크로스바에 의해 구속된다. 종종 크로스바에 고정된 고정용 끈이나 줄(즉, 번지 코드 또는 신축성 있는 고무 끈)을 이용하여 화물을 크로스바에 고정하는 것이 유용하다.
다양한 운반 화물을 지지하고 구속하는데 충분히 견고하고, 다양한 부속물이 나 고정용 끈을 빠르고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크로스바를 이용한 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물품 운반 시스템의 측면 레일을 개조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쉽게 통합될 수 있는 크로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반 물품을 차량 위에 지지하거나 구속하기 위한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검토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픽업 트럭과 같은 차량에 사용되기에 적합하지만, 실시 예들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밴, 스테이션 웨건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차량들에 사용되기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는 픽업 트럭 짐칸의 내부 영역 내의 마주보는 측벽들에 한 쌍의 측면 레일들이 고정된 화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록킹 장치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다. 록킹 장치는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단부가 측면 레일들에 고정되도록 한다.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다수의 독립적인 채널들을 가지는 크로스바 부재를 가진다. 채널들은 부속물이나 고정용구들과 같은 다양한 부속물들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채널들은 크로스바 부재의 주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다양한 화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능을 하거나, 픽업 트럭이 움직이는 동안 큰(혹은 무거운) 물품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하는 격벽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충분히 견고한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는 끝단에서 볼 때 대체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네 곳의 외부 표면상에 평행하게 정렬된 채널들을 포함하는 크로스바가 개시된다. 채널들은 회전가능한 고정용구들, 자전거 랙, 스키 랙 등과 같은 부속물들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응용 범위는 이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 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특정한 예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함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과 그것의 응용 혹은 용도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관리 시스템(10)의 일 실시 예가 구비된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0)은 픽업 트럭(24)의 짐칸(22)의 대응하는 측벽들(18,20)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된 한 쌍의 측면 레일들(14,16)을 포함한다. 하지만, 시스템(10)이 다른 어떤 타입의 차량에도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10)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의 지붕 또는 화물용 밴(Cargo van)의 뒤쪽 내부 영역 등에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트럭(24)의 짐칸(22) 내의 시스템(10)에 대한 묘사는 단지 시스템(10)이 설치된 하나의 예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도 2의 사시도에는 화물 관리 시스템(10)이 예시되어 있다.
측면 레일들(14,16)은 리브너트(RIVNUT®)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구(미도시),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 혹은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측벽들(18,20)에 고정된다. 측면 레일들(14,16) 각각은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예시된 측면 레일들(14,16) 각각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채널(26,28)을 가진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측면 레일들은 크로스바 어셈블리(3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크로스바 어셈블리(30)는 크로스바 부재(32)와, 크로스바 부재(32)의 양단에 구비된 록킹 장치(34,36)를 가진다. 록킹 장치(34,36)는 크로스바 어셈블리(30)를 짐칸(22) 바닥면(33)의 상측에 지지하기 위해 각 측면 레일들(14,16) 내의 채널들(26,28) 중 하나와 결합한다.
록킹 장치(34,36)는 크로스바 어셈블리(30)가 측면 레일들(14,16)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필요하다면 새로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측면 레일들(14,16)에 용이하게 고정되고, 분리될 수 있는 어떠한 타입의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적합한 록킹 장치들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이하의 본 발명에서 참조되는 미국 특허 번호 5,826,766, 5,833,103, 6,068,169 및 6,179,179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스바 부재(32)의 확대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크로스바 부재(32)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타원형, 원형 등 다른 형상들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크로스바 부재(32)는 평행하게 정렬된 다수의 채널들(39,40,42,44)을 포함한다. 부착물들 - 예를 들어 자전거 랙, 스키 랙 등과 같은 부속물들 혹은 회전가능한 고정용 고리들 -이 각각의 채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채널들(39,40,42,44)이 사용될 수 있다. 채널(38)은 바닥 벽(46), 측벽들(48,50), 그리고 측벽(48)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돌출 벽(Ledge, 52)에 의해 형성된다. 채널(40)은 측벽(50)(본질적으로 바닥 벽 부 분으로 기능하는)과 내측으로 굽은 돌출 벽들(54)에 의해 형성된다. 채널(42)은 바닥 벽(56), 측벽(48,50)의 부분들, 그리고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 벽(58)에 의해 형성된다. 채널(44)은 측벽(48)(본질적으로 바닥 벽 부분으로 기능하는)과 내측으로 굽은 돌출 벽(60)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 벽들(46,56)은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사용되지 않는 폐쇄된 채널(62)을 형성한다. 그러나, 채널(62)은 전체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크로스바 부재(32)의 구조 강도와 강성을 보강시킨다. 각각의 채널들(38,40,42,44)은 적어도 크로스바 부재(32) 길이의 실질적인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 부재(3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각 채널 끝단의 방식 포트(Method Port)를 통해 부속물을 부착하는 특정한 구조물 혹은 특정한 타입의 고정용 고리들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채널들(38,40,42,44)은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로스바 부재(32)는 끝단에서 볼 때 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바 부재(32)는 알루미늄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크로스바 부재(32)는 알루미늄을 압연하거나 혹은 사출 성형하는 것과 같은 다른 제조 공정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압연 공정과 사출 성형 공정 모두 제조 관점 측면에서 압출 성형 공정보다 더 어려운 과제를 제공할 것이다.
도 4에는, 자전거 랙을 위한 부속물(64)과 회전가능한 고정용구(66)가 채널(38,40)에 각각 고정된 크로스바 부재(32)가 예시되어 있다. 부속물(64)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6,398,091 또는 6,866,175에 개시되고 본 발명에서 참조하는 자전거 캐리어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길게 연장된 구성 요소인 채널에 부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부속물에 대응할 수도 있다. 회전가능한 고정용구(66)는 미국 특허 번호 4,473,178과 4,501,385에 개시되고 본 발명에서 참조하는 요소에 대응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길게 연장된 구성 요소인 채널 내에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고정용구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크로스바 부재(32)의 다양한 채널들(38,40,42,44)에 다양한 형태의 부속물 및/또는 고정용구들을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크로스바 부재(32)의 효용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채널(38)은 (크로스바 부재(32) 위에 자전거를 싣도록) 자전거 부착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채널(40)은 고무 끈을 이용해 짐칸(22) 내의 다른 운반 화물을 크로스바 부재(32)에 또는 크로스바 부재(32) 위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 요소(64)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고정용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채널들(38,40,42,44) 각각이 바람직하게 크로스바 부재(3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크로스바 부재(32)에 화물을 최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부속물 및/또는 고정용구들이 크로스바 부재(32)를 따라 필요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크로스바 부재(32')를 예시한다. 크로스바 부재(32')는 크로스바 부재(32)와 구조적으로 동일하지만, 바닥 벽(46)과 측벽(50)에 이격 형성된 다수의 홀들(68,70)을 포함한다. 홀들(58,60)은 록킹 핀을 포함하는 부속물이 크로스바 부재(32')와 함께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부속물 혹은 고정용구가 고정용구(38) 의 길이를 따라 특정 위치에 보다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크로스바 부재들(32,32')의 장점은 크로스바 부재들(32,32')을 기존의 화물 관리 시스템 및 차량 물품 캐리어 시스템에 새로 추가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이다. 특정한 모양의 측면 레일들과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크로스바 부재들(32,32')의 양단에 채용되는 록킹 장치의 타입/모양과, 그리고 크로스바 어셈블리(30)의 전체 길이는 분명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태의 화물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부속물과 고정용구들이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지지하고 구속하여 화물 관리 시스템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운반 화물을 지지하고 구속하는데 충분히 견고하고, 다양한 부속물이나 고정용 끈을 빠르고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크로스바가 구비된 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물품 운반 시스템의 측면 레일을 개조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쉽게 통합될 수 있는 크로스바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차량의 몸체 부분에 고정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레일들과;
    한 쌍의 대향하는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단부들이 상기 측면 레일들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레일들에 걸쳐지는 크로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평행하게 정렬된 다수의 채널들을 가지는 크로스바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채널들은 다수의 외부 부속물들이 상기 크로스바 부재와 함께 사용되도록 상기 외부 부속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독립적인 채널들을 가지는 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부재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4 개의 독립적인 채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홀을 가지는 바닥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들은 4개의 평행한 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들 중 한 쌍의 제 1 채널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한 쌍의 제 2 채널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 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채널은 바닥 벽과 한 쌍의 돌출 벽들(ledges)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부재는 추가적인 구조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내부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0. 차량의 몸체 부분에 고정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레일들과;
    한 쌍의 대향하는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단부들이 상기 측면 레일들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레일들에 걸쳐지는 크로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평행하게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다수의 채널들을 가지는 크로스바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채널들은 바닥 벽 및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벽들에 의해 형성되고, 다수의 외부 부속물들이 상기 크로스바 부재와 함께 사용되도록 상기 외부 부속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 어셈블리의 핀과 같은 록킹 부재(pin-like locking element)와 결합하는 홀을 가지는 바닥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들은 4개의 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4 개의 채널들 중 한 쌍의 제 1 채널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4 개의 채널들 중 한 쌍의 제 2 채널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부재는,
    상기 크로스바 부재의 구조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내부의 접근할 수 없는 채 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부재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수의 채널들은 상기 크로스바 부재의 4 곳의 측면 상에 정렬된 4 개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관리 시스템.
  17. 차량들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 부재들 사이에 양단이 걸쳐지며, 물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시스템의 크로스바 부재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며, 평행하게 동일 길이로 연장된 다수의 채널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채널은 바닥 벽 및 서로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벽(ledge)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부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 중의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부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동일 길이로 연장된 채널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고, 쌍 을 이루는 다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부재.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동일 길이로 연장된 채널들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된 4 개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부재.
KR1020070055522A 2006-06-07 2007-06-07 차량 화물 관리 시스템의 다중 채널 크로스바 KR20070117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165406P 2006-06-07 2006-06-07
US60/811,654 2006-06-07
US11/735,586 US20070286697A1 (en) 2006-06-07 2007-04-16 Multi-channel cross bar for a vehicle cargo management system
US11/735,586 2007-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489A true KR20070117489A (ko) 2007-12-12

Family

ID=3879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522A KR20070117489A (ko) 2006-06-07 2007-06-07 차량 화물 관리 시스템의 다중 채널 크로스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86697A1 (ko)
KR (1) KR20070117489A (ko)
CA (1) CA2589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4580C2 (nl) * 2007-10-25 2009-04-28 Load Lok Internat B V Ladingopsluitinrichting en ladingopsluitbalk voor gebruik daarbij.
US20100096872A1 (en) * 2008-10-16 2010-04-22 Gregory Ralph Brogdon Cargo system for cargo area of vehicle
US9308947B2 (en) * 2013-10-09 2016-04-12 Jac Products, Inc. Vehicle tailgate with built in stowage compartment
US10220793B2 (en) 2017-03-10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icycle attachment system for a truck bed
US10252680B2 (en) 2017-04-10 2019-04-09 Jac Products, Inc. Articulating cargo management and rack system
WO2019164837A1 (en) * 2018-02-20 2019-08-29 Dee Zee, Inc. Adaptable truck bed storage systems
US20220219590A1 (en) * 2019-04-30 2022-07-14 Maxiloda Limited Cargo stacking device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114A (en) * 1901-09-11 1901-11-19 James E Brown Corner-post and joint.
US5443190A (en) * 1993-09-14 1995-08-22 Jac Products, Inc. Truck bed support rails
US5439152A (en) * 1994-05-16 1995-08-08 Campbell; Samuel Extendable carrier rack for pick-up trucks
US5494327A (en) * 1995-01-31 1996-02-27 Tracrac, Inc. Sliding connection for releasably and adjustably attaching an overhead rack to a pickup truck
US5743702A (en) * 1996-05-03 1998-04-28 Gunderson; Michael J.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hicle mounted hoisting system
US5924614A (en) * 1997-04-03 1999-07-20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longitudinally adjustable from one side of a motor vehicle
US5927782A (en) * 1998-02-25 1999-07-27 Tailgater Overhead truck rack and corner bracket
US6279802B1 (en) * 1999-03-25 2001-08-28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wind noise reducing cross bar
US6786522B2 (en) * 2002-04-18 2004-09-07 Kench, Iii Stanley F. Modular reconfigurable vehicle rack system
US6971563B2 (en) * 2003-04-28 2005-12-06 Levi Avraham Y Stationary ladder rack with double wedge interlocking mechanism
US20080100075A1 (en) * 2006-10-31 2008-05-01 Derecktor Thomas E Sliding overhead rack for pickup trucks
US7464977B1 (en) * 2007-03-16 2008-12-16 Price Brent A Elevating long cargo support assembly for pickup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9681A1 (en) 2007-12-07
US20070286697A1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7489A (ko) 차량 화물 관리 시스템의 다중 채널 크로스바
US6799927B2 (en) Tie down anchor system
US8627989B2 (en) Support rail for a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blow molded decorative rail structure
EP3335939B1 (en) Roof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629114B1 (ko)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US10829056B2 (en) Vehicle cargo securement system
US20090243331A1 (en) Tonneau cover cargo containment track rail system
US20130193175A1 (en) Cargo accessory modular adapter
KR20100037516A (ko) 격납가능한 가로대를 갖는 차량 화물 운반 장치의 시스템 및 그 방법
US6336580B1 (en) Vehicle load carrier and fastening mechanism
US8985921B2 (en) Side rail of a flatbed trailer for use with cargo restraint devices
US20060279099A1 (en) Cargo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US20150034580A1 (en) Modular Storage in Passenger Compartments
US10207649B2 (en) Multi-axis roof-rack mounting system
US10040485B1 (en) Roof structure with integrated roof rack and accessory attachment assemblies
JP2013501676A5 (ko)
KR20080098362A (ko) 차량용 적재 장치
US20050145662A1 (en) Equipment and cargo carrier systems
US20020012576A1 (en) Cargo tie-down rail
US10112549B2 (en) Vehicle ladder mounting system for custom installations
US11535167B2 (en) Cargo hold assembly for a pickup truck cargo bed
US20070119886A1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towable cross bars and built-in stowage space for accessory items
US20240149651A1 (en) Vehicle with a Roof Rack System Under a Soft or Removable Roof
US20170120837A1 (en) Auxiliary storage moun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US20030213824A1 (en) Modular cargo carrier system for vehicle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