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254A -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 - Google Patents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254A
KR20200111254A KR1020207025078A KR20207025078A KR20200111254A KR 20200111254 A KR20200111254 A KR 20200111254A KR 1020207025078 A KR1020207025078 A KR 1020207025078A KR 20207025078 A KR20207025078 A KR 20207025078A KR 20200111254 A KR20200111254 A KR 20200111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nvex
shape
cas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579B1 (ko
Inventor
겐이치로 이자와
겐지 다구치
료 니시오카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속 주조 방법은, 주편의 중심 고상율이 0.8 이상이며 완전 응고 후를 포함하는 위치의 주편을, 압하 롤에 의해 압하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이며, 롤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이, 주편의 폭 방향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 형상은,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롤 폭 방향의 양측에 합계로 길이 0.80×W의 볼록 형상 규정 범위에 있어서, 코너부를 갖지 않는 형상이며, 상기 볼록 형상 규정 범위의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에 대해,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이 0.005×t 이상 크다.

Description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
본 발명은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3월 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4162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연속 주조 방법에 의해 슬래브나 블룸 등의 주편을 주조하는 경우에, 주편의 중심부에 인이나 망간 등의 성분이 편석하는, 소위 중심 편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주편 중심부에는 센터폴로시티라고 불리는 공공이 발생한다.
연속 주조 중의 응고 말기에 있어서, 강이 응고할 때의 응고 수축에 수반하여, 주편 내의 소정 체적에서 차지하는 강량이 부족하다. 미응고 용강이 유동 가능한 주편 부위에서는, 미응고 용강이 최종 응고부의 응고 완료점을 향하여 유동하고, 고액 계면의 불순물 농화 용강이 최종 응고부에 집적되고, 이것이 중심 편석의 원인으로 된다. 또한, 미응고 용강을 유동할 수 없는 위치(주편 중심 고상율이 0.8 이상)에서는, 주편 중심부에 공극이 생기고, 센터폴로시티의 원인으로 된다.
중심 편석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두께 중심이 고액 공존 영역이며 미응고 용강이 유동 가능한 영역에 있어서, 용강의 응고 수축량에 상응하는 만큼 응고 셸을 압하함으로써, 최종 응고부 부근의 용강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 유효해진다. 또한, 센터폴로시티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미응고 용강을 유동할 수 없는 응고 완료 위치 부근 또는 완전 응고 후의 주편을 압하하여 센터폴로시티를 압착하는 것이 유효해진다. 이러한 사고 방식에 기초하여, 연속 주조 말기의 응고 완료 전후에 있어서 서포트 롤에 의해 주편을 압하하는 경 압하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연속 주조 중에 응고가 완료되는 전후에 있어서 주편을 압하하려고 할 때, 이미 주편의 양쪽 짧은 변측은 응고가 완료되어 온도도 저하되기 때문에 압하에 수반하는 변형 저항이 크고, 소정의 압하량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롤의 직경이 롤 폭 방향으로 일정한 롤(이하 「플랫 롤」이라고 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주편 폭 중앙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롤 직경이 크고, 주편 폭 양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롤 직경이 폭 중앙부에 비교하여 작은 형상의 롤(이하 「볼록형 롤」이라고 함)을 사용하고, 주편의 응고가 완료된 양쪽 짧은 변측은 압하되지 않고, 주편 폭 중앙부만을 압하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1에는, 볼록 평면의 폭 200㎜ 내지 240㎜의 볼록형 크라운(평면) 롤을 사용하고, 미응고 상태의 주편에 압하를 가함으로써, 1단당 0.5㎜ 내지 10.0㎜의 압하를 실시함으로써 중심 편석의 발생을 경감 가능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주편 내부에 미응고부가 잔존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요구되는 설비 요건은 과소가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응고 수축에 의한 중심부 캐비티 보상을 주안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주편 중심부로의 압하 부여가, 충분히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응고 영역에서의 경 압하의 압하량을 증대하면, 내부 균열의 문제나 역 V 편석 발생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경 압하량을 적게 하지 않을 수 없고, 센터폴로시티의 감소에는 불충분한 결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센터폴로시티를 감소시키는 롤 압하 방법으로서, 주편이 완전 응고된 후에 그 절단 전에, 해당 주편의 표면 온도가 700℃ 이상 1000℃ 이하이고, 해당 주편의 내부 중심과 표면의 온도차가 250℃ 이상이 되는 영역을, 회전하는 상하 롤로 끼워서 압하하는 연속 주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압하 부위에서는 표층측에 대해 내부측이 고온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드러워지고 있어, 주편의 표면에 가한 압하력을 주편의 내부까지 전달시킬 수 있다. 압하 롤로서 사용하는 볼록형 롤은, 폭 방향의 중앙에 수평부, 수평부의 양측에 수평부에 연접하는 경사부를 구비한 압하용 돌출 영역을 갖는다. 수평부의 폭(압하 폭)이 주편 폭의 40% 이하이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압하량은 주편의 두께 2% 이상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압하 롤로서 적어도 하나의 크라운 롤을 마련하고, 주편의 중앙부 및 그의 근방을 압하하는 연속 주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주편의 응고 껍질의 생성 비율이 75% 이상에 상당하는 구역 내에 있어서 크라운 롤로 주편을 압하하고, 압하된 내부의 미응고 부분의 농화 용강이 상부에 밀어 올려져 배제된다고 되어 있다. 크라운의 형상은, 주편 폭 방향 중심부 및 그의 근방을 압하 가능한 형상이면 된다고 되어 있고, 도면에는, 롤 폭 방향 중심부가 외측으로 팽출되는 형상의 압하 롤이 기재되어 있다. 1단당 압하량은 최대 3㎜로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41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796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0-162560호 공보
연속 주조 중인 주편을 압하하는 경우, 특히 응고 완료 후의 주편을 압하하는 경우에 있어서, 압하 롤로서 플랫 롤이 아니고 볼록형 롤을 사용함으로써, 주편 폭 양단부의 압하 저항이 큰 부분의 압하를 행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압하를 실현하기 위한 압하 롤의 압하력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록형 롤을 사용한다고 해도, 센터폴로시티 저감을 실현하기 위해 충분한 압하를 행하려고 하면, 필요 압하력이 과대해지고, 압하력 확보에는 대규모의 설비 증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볼록형 롤을 사용하여 압하를 행하는 결과로서, 연속 주조 후의 주편에는 표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형성되고, 이 오목부가 원인으로 되어, 후공정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흠집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대규모의 설비 증강을 행하지 않고, 연속 주조 주편의 센터폴로시티를 경감할 수 있고, 아울러 후공정의 열간 압연에서의 흠집 발생을 경감할 수 있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는 이하와 같다.
(1)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은, 연속 주조 중에 있어서, 주편의 중심 고상율이 0.8 이상이며 완전 응고 후를 포함하는 위치의 상기 주편을, 적어도 1쌍의 압하 롤에 의해 압하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이며, 주조하는 주편 폭을 W(㎜), 주편 두께를 t(㎜)로 하고,
상기 1쌍의 압하 롤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는, 롤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이, 상기 주편의 폭 방향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 형상은,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롤 폭 방향의 양측에 합계로 길이 0.80×W의 볼록 형상 규정 범위에 있어서,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과 길이가 0.25×W 이내의 직선의 조합이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형상의 어느 것이며,
상기 볼록 형상 규정 범위의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에 대해,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이 0.005×t 이상 크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압하 롤에 의해 압하되는 주조 방향의 주편 위치는, 완전 응고 후의 위치여도 된다.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압하 롤에 의한 상기 주편의 압하량은,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에 있어서, 0.005×t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4)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연속 주조용 압하 롤은, 연속 주조 중에, 주편 폭: W(㎜), 주편 두께: t(㎜)의 주편을 압하하기 위한 압하 롤이며,
롤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이, 상기 주편의 폭 방향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 형상은,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롤 폭 방향의 양측에 거리0.80×W의 볼록 형상 규정 범위에 있어서,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과 길이가 0.25×W 이내의 직선의 조합이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형상의 어느 것이며,
상기 볼록 형상 규정 범위의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에 대해,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이 0.005×t 이상 크다.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롤 외주 형상은, 상기 롤 회전축에 평행인 직선을 폭 방향 양단부에 가지고 있고,
상기 직선에 원활하게 접속하는, 외측에 오목한 곡선을 갖고 있어도 된다.
연속 주조 중의 완전 응고 후의 주편을 압하할 때, 압하 롤로서 본 발명의 볼록형 곡선 롤을 사용함으로써, 적은 압하량으로 충분한 압하를 행하여 센터폴로시티를 경감할 수 있음과 함께, 주편 압하 형상에 기인하는 열간 압연에서의 흠집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로 주편을 압하하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의 상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압하 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유한 요소법의 변형 해석으로 구한, 주편 표면 압하량의 폭 방향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유한 요소법의 변형 해석으로 구한, 주편에 있어서의 두께 중심의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의 폭 방향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의 상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유한 요소법의 변형 해석으로 구한, 주편에 있어서의 두께 중심의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의 폭 방향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조용의 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재로 되는 주편(10)을 연속 주조하는 데는, 블룸 연속 주조 또는 빌렛 연속 주조가 적용된다. 블룸 연속 주조에 있어서는, 주조된 주편(10)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예를 들어 폭 500㎜×두께 300㎜의 주편이 주조된다. 이와 같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주편(10)을 주조하는 경우, 주편(10)의 두께 중앙부가 완전 응고되기 직전의 위치에 있어서, 주편(10)의 미응고부는, 주편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폭 방향 양측에 합계 「주편 폭-주편 두께」의 범위에 걸쳐 있고, 센터폴로시티도 이 영역에서 발생된다. 그 때문에, 센터폴로시티 대책으로서 볼록형 롤(3)을 사용하여 주편(10)을 압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센터폴로시티 발생 영역을 확실하게 압하하기 위해, 볼록형 롤(3)로서, 종래,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편(10)(도시하지 않음)의 폭 방향 중심 위치(이하, 폭 중심 위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13)에 수평부(20)를 갖는 롤이 사용되어 있었다. 수평부(20)의 폭 방향 양측에는 경사부(21)를 마련하고, 수평부(20)와 경사부(21)의 접합 위치는 코너부(15)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완전 응고란, 고액의 비율로 결정되는 고상율이 1.0에 달하고, 액상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온도가 고상선 온도 TS 이하인 상태이다. 바꾸어 말하면, 완전 응고란, C 단면(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어느 점에 있어서도 온도가 TS를 하회하고 있는 상태이다. 주편이 완전 응고인 것은, 주편의 표면 또는 내부의 온도를 몇점 실측하고, 전열 계산에 의해 추정한 온도 분포로부터 산출된 추정 고상율을 보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편에 리벳을 박고, 리벳의 성분이 잔존하고 있는 액상 중에 확산될 경우, 응고 셸의 형상이 추정할 수 있음과 함께 완전 응고가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리벳이 원래 형태를 고정시킬 경우에 완전 응고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주편(10)을 압하하는 볼록형 롤(3)에 있어서, 종래의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평부(20)-코너부(15)-경사부(21)를 형성하는 롤이 아니고, 볼록형 롤(3)의 외주면과 롤 회전축(12)을 포함하는 단면이 교차하는 부분인 롤 외주 형상(11)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으로 함으로써, 주편(10)의 센터폴로시티를 확실하게 경감하면서, 압하에 요하는 압하력을 경감하고, 또한 후공정의 열간 압연에서의 흠집 발생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라고 착상하였다. 이하, 수평부(20)-코너부(15)-경사부(21)를 갖는 볼록형 롤(3)을 「볼록형 디스크 롤(5)」,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을 구성하는 볼록형 롤(3)을 「볼록형 곡선 롤(4)」이라고 칭한다. 또한, 「코너부를 갖는」이란, 실질적으로는, 롤 외주 형상을 규정하는 함수의 2차 미분값(함수의 접선 기울기 변화율)이 반경 10㎜의 원호로 정의되는 함수의 2차 미분값보다 커지는 개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원활하게 접속하는」이란, 롤 외주 형상을 규정하는 함수의 2차 미분값이 0이 되는 변곡점을 갖고, 변곡점의 전후에서 2차 미분값이 연속되는 것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먼저, 유한 요소법을 사용한 변형 해석에 의해, 상기 볼록형 디스크 롤(5)과 볼록형 곡선 롤(4)의 각각을 사용하여, 동일한 압하력에서 연속 주조 중의 주편(10)을 압하하였을 때, 주편 표면과 주편 두께 중앙부가 어떻게 변형될 것인지, 변형 거동을 구하였다. 연속 주조하는 주편(10)은 폭 W가 550㎜이며, 주편(10)의 종횡비(폭/두께)가 1.3이다. 볼록형 디스크 롤(5)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중앙에 0.4×W의 폭을 갖는 수평부(20)를 갖고, 수평부(20)의 양측에 경사 17°의 경사부(21)를 마련하고 있다. 볼록형 곡선 롤(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 회전축(12)을 통과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11)이 원호 반경 R1이 0.8×W의 원호 형상(18)으로 하고 있다. 어느 볼록형 롤(3)도, 폭 중심 위치(13)의 롤 반경 rC는 0.8×W이다. 볼록형 디스크 롤(5)은, 압하량 10㎜까지는 수평부(20)와 경사부(21)만으로 주편(10)에 접해 있다. 볼록형 곡선 롤(4)은, 압하량 10㎜까지는 원호 형상(18)만으로 주편(10)에 접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하 롤 쌍(1쌍의 압하 롤(1, 2)) 중, F측(하측)의 압하 롤(2)은 플랫 롤이며, L측(상측)의 압하 롤(1)에 각각의 볼록형 롤(3)을 사용하고 있다.
압하를 행하는 위치의 주편 내부의 온도 분포로서, 완전 응고된 위치로부터 3분 후(10m)의 위치에 있어서의 온도 분포를 설정하였다. 최종 응고부의 폭 방향 범위는 0.2×W의 범위이며, 이 범위가, 센터폴로시티 발생 영역이 된다. 주편 표면 온도는 850℃, 두께 중심부ㆍ폭 중심부의 온도는 1400℃였다.
볼록형 디스크 롤(5)과 볼록형 곡선 롤(4)의 각각에 대해, 압하력을 100톤 중(980.665kN)으로서 압하력을 부여하고, 유한 요소법에 의한 변형 해석을 행하였다. 변형 해석의 결과로서, 주편 표면의 압하량(㎜)과, 주편(10)의 두께 중심부에 있어서의 소성 변형(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에 대해 해석을 행하였다. 주편 폭 방향의 치수에 대해서는, 폭 중앙부를 원점으로 하고, W/2이 1이 되게 규격화하고, x로 표시하였다.
상당 소성 변형이란, 단축 방향의 소성 변형(ε1 p, ε2 p, ε3 p)으로부터 (식 1)의 εB로 정의되고, 3차원 변형에 있어서의 변형을 단축 변형으로 환산하여 스칼라양화한 것이다. 금회의 해석에서는, 변형이 클수록 압하에 의한 내부 변형량이 많아지고, 포로시티 저감 효과도 커진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해석 모델의 메쉬마다 상당 소성 변형을 산출하고, 롤 형상마다 두께 중심부의 변형량을 출력함으로써, 압하 효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이란, 상당 소성 변형εB에 대해, 볼록형 디스크 롤을 사용하여 압하하였을 때의 폭 중심 위치(13)의 상당 소성 변형의 값이 1이 되도록 규격화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 1)
도 5는, 유한 요소법의 변형 해석으로 구한, 주편 표면 압하량의 폭 방향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압하력 100톤 중을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폭 중심 위치(13)의 표면 압하량은, 볼록형 디스크 롤(5)이 4㎜ 정도, 볼록형 곡선 롤(4)이 9㎜ 정도였다. 한편, 폭 중심 위치(13)로부터 거리가 이격됨에 따라, 볼록형 디스크 롤(5)은 압하량이 일정한 것에 대해, 볼록형 곡선 롤(4)은 압하량이 감소하고, 폭 중심 위치(13)로부터 거리 x=0.3 부근으로 표면 압하량이 동일해지고, 그보다 외측으로부터 x=0.4까지 볼록형 디스크 롤(5)쪽이 큰 표면 압하량이 되어 있다. 볼록형 디스크 롤(5), 볼록형 곡선 롤(4)의 모두, 각각의 롤의 외형 형상을 따른 표면 압하량이 실현되어 있다.
도 6은, 유한 요소법의 변형 해석으로 구한, 주편에 있어서의 두께 중심의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의 폭 방향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놀랍게도, 폭 방향의 전역에 걸쳐, 볼록형 디스크 롤(5)에 비교하여 볼록형 곡선 롤(4)의 쪽이,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의 값이 큰 값으로 되어 있다. 폭 중심 위치(13)에 대해서는, 표면 압하량은, 볼록형 곡선 롤(4)의 쪽이 큰 것이기 때문에, 두께 중심부에 있어서의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도 큰 값이 되는 것은 예상 대로이다. 한편, 폭 중심 위치(13)로부터 거리 x=0.3을 초과하는 영역에 있어서는, 표면 압하량에 있어서 볼록형 디스크 롤(5)의 쪽이 큰 것이기 때문에, 두께 중심부에 있어서의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에 대해서도 볼록형 디스크 롤(5)의 쪽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유한 요소법에 의한 변형 해석에서는 예상에 반하여, 폭 방향 단부에 이르기까지 볼록형 곡선 롤(4)의 쪽이 두께 중심부에 있어서의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이 커진다는 결과였다.
이상의 유한 요소법에 의한 변형 해석 결과로부터는, 실제의 연속 주조에 있어서 볼록형 롤(3)을 사용한 압하에 의해 센터폴로시티 저감을 도모함에 있어서, 동일한 압하력이면, 압하 롤(1)로서, 볼록형 디스크 롤(5)보다 볼록형 곡선 롤(4)을 사용한 쪽이, 개선 효과가 클 것이라는 것이 시사되었다.
그래서, 실제의 연속 주조에 있어서, 연속 주조용 압하 롤(1)로서 볼록형 디스크 롤(5)과 볼록형 곡선 롤(4)의 각각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편(10)의 센터폴로시티 경감 효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주조하는 주편(10)의 종횡비(폭/두께)는 1.3이다. 주편(10)의 폭을 W(㎜)로 한다. 압하 롤(1)로서, 볼록형 디스크 롤(5)은, 폭 중앙에 0.4×W의 폭을 갖는 수평부(20)를 갖고, 수평부(20)의 양측에 경사 17°의 경사부(21)를 마련하고 있다. 볼록형 곡선 롤(4)은, 롤 회전축(12)을 통과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11)이 원호 반경 R1이 0.8×W의 원호 형상(18)으로 하고 있다. 어느 볼록형 롤(3)도, 폭 중심 위치(13)에 있어서의 롤 반경 rC는 0.8×W이다. 또한 어느 볼록형 롤(3)도, 폭 양측의 플랫 부분에 있어서의 롤 반경 rF는 0.65×W이다. 어느 쪽도, 압하 롤 쌍의 F측의 압하 롤(2)에는 플랫 롤을 사용하고 있다.
연속 주조 중에 있어서, 최종 응고 위치로부터 3분 후 위치(10m)에 있어서 압하 롤에 100톤 중의 압하력을 부가하고, 주편(10)의 압하를 행하였다. 주조된 주편(10)의 표면 형상과, 주편 두께 중앙부의 센터폴로시티 발생 상황에 대해 평가하였다.
주편(10)의 상면측에는, 모두 볼록형 롤(3)의 볼록부에 기인하는 오목함이 형성되어 있었다. 주편(10)의 폭 양단부의 두께와 폭 중앙부의 두께를 비교하면, 볼록형 디스크 롤(5)에 의한 오목량은 약 4㎜이며, 볼록형 곡선 롤(4)에 의한 오목량은 약 9㎜였다. 오목 형상은, 모두 볼록형 롤(3)의 외형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었다.
주편(10)의 센터폴로시티에 대해서는, 주편 단면의 컬러 체크에 의해 산출된 포로시티 면적률을 지표로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볼록형 디스크 롤은 포로시티 면적률이 3%, 볼록형 곡선 롤(4)은 포로시티 면적률이 0.3%라는 결과가 얻어졌다. 볼록형 곡선 롤(4)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센터폴로시티 개선 효과가 분명하다.
이상과 같이, 연속 주조 중에 압하 롤에 의해 주편(10)을 압하할 때, 압하 롤로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볼록형 곡선 롤(4)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압하력에 있어서, 볼록형 디스크 롤(5)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터폴로시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 밝혀졌다. 또한, 센터폴로시티 개선 효과를 동일한 정도로 하는 경우에는, 볼록형 디스크 롤에 비교하여 볼록형 곡선 롤(4)의 쪽이, 적은 압하력에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도 밝혀졌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1)인 볼록형 곡선 롤(4)이 구비해야 할 요건에 대해, 이하,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순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압하 롤(1)은, 롤 회전축(12)을 통과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11)이 이하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롤 외주 형상(11)은, 주편(10)의 폭 방향 중심 위치(폭 중심 위치(13))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을 구성한다. 외측이란, 롤 외주가 롤 회전축(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이러한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폭 중심 위치(13)에 있어서 롤 반경 rC가 최대가 되고, 주편(10)을 압하하였을 때 주편 표면의 압하량은 폭 중심 위치(13)가 최대로 된다. 다음에, 폭 중심 위치(13)로부터 롤 폭 방향의 양측에 합계로 길이 0.80×W의 범위를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로 한다. 볼록형 롤(3)을 사용한 주편(10)의 압하에 있어서, 주편(10)의 폭 양단부는 변형 저항이 크기 때문에, 압하를 행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혹은 이것보다 좁은 폭에 있어서 주편(10)을 압하하는 것으로 하면, 필요한 압하량을 확보하면서 압하에 요하는 압하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에 있어서 압하 롤(1)의 볼록 형상을 정해 두면, 제1 실시 형태에 의해, 양호한 압하를 행할 수 있다.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은,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으로 한다. 외측으로 볼록함이란, 롤 회전축(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주조하는 주편(10)의 두께를 t(㎜)로 하고,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 rE에 대해, 폭 중심 위치(13)에 있어서의 롤 반경 rC가 0.005×t 이상 크다. 이에 의해, 압하 롤(1)로 주편(10)을 압하할 때, 압하 롤(1)의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전체가 주편(10)을 압하하도록 하면, 폭 중심 위치(13)에 있어서의 주편(10)의 압하량을 0.005×t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폭 중심 위치(13)에 있어서의 롤 반경 rC는, 0.010×t 이상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 중에서 가장 간결하게 하여 효과적인 형상으로 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 원호 반경 R1을 갖는 원호 형상(18)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의 롤 외주 형상(11)은,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의 길이 부분을 현(31)으로 하는 궁형 형상을 구성한다.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의 길이(현(31)의 길이)를 s, 궁형의 반경을 R, 궁형의 호(32)의 높이(볼록 형상 규정 범위(14)의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 rE와 폭 중심 위치(13)에 있어서의 롤 반경 rC와의 차)를 h로 하였을 때,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궁형의 중심각을 2θ로 한다.
Figure pct00002
(식 2)
Figure pct00003
(식 3)
이들 식으로부터, 이하의 식이 유도된다.
Figure pct00004
(식 4)
따라서, 먼저, 목표로 하는 s와 h를 정하고, 상기 (식 4)에 s와 h를 대입함에 따라서 θ를 정하고, 또한 (식 2) 또는 (식 3)에 θ를 대입하여 R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50㎜, h=9㎜를 목표로 하는 경우, 상기 식에 대입함으로써, R=316㎜으로 도출할 수 있다.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으로서는, 상기 단일 원호 반경 R1을 갖는 원호 형상(18) 외, 포물선 형상, 타원 형상, 쌍곡선 형상, 장소에 따라 반경이 다른 원호를 원활하게 접속한 형상 등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볼록 형상을 구성하는,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에 있어서, 곡선의 곡률 반경은 최소로도 1×h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볼록 형상이 곡선인 것에 의한 제1 실시 형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곡선의 최소 곡률 반경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압하 롤(1)의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의 외측에서 폭 방향 단부측의 롤 외주 형상(11)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롤 외주 형상(11)을 직선형 또는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형으로 한다. 압하 롤(1)의 폭 방향 양단부의 롤 형상을, 롤 회전축(12)에 대해 대략 평행인 외주면을 갖는 원통 형상(Cylindrical configuration)(22)으로 하는 경우, 롤 외주 형상(11)은,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로부터 폭 방향 양단부의 원통 형상(22)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직선과 곡선의 조합이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롤 외주 형상(11)에 있어서, 원통 형상(22)의 위치로부터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를 향해 추이하는 부분은, 롤 회전축(1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 되는 외측에 오목한 곡선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롤 외주 형상(11)은, 롤 회전축(12)에 평행인 직선을 폭 방향 양단부에 가지고 있고, 그 직선에 원활하게 접속하는, 외측에 오목한 곡선을 갖고 있다.
압하 롤(1)의 롤 외주 형상(11)으로서 가장 간결하게 하여 효과적인 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와 그 외의 양측 소정의 범위(반경 R1 범위(23))에 대해서는 단일 원호 반경 R1의 원호 형상(18)이다. 또한 그 양측의 반경 R2 범위(24)에 대해서는, 단일 원호 반경 R2의 원호 형상(19)이며 외측에 오목의 형상을 원활하게 접속하고, 최종적으로 플랫 롤의 원통 형상(22)의 직선에 원활하게 접속하는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롤 외주 형상(11)의 어느 부위에도 코너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압하 롤(1)에서의 롤 압하량이 증대하고, 폭 방향에 있어서의 롤에서의 압하 범위가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를 초과하고,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로부터 폭 방향 양단부의 원통 형상(22)에 접속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외측에 오목한 곡선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압하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압하 후의 주편 표면의 어느 부위에 대해서도, 코너가 형성되지 않는 매끄러운 표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플랫 롤의 원통 형상(22)부가 주편(10)에 접할 때까지의 압하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압하 후의 주편 표면의 어느 부위에 대해서도, 코너가 형성되지 않는 원활한 표면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 압하량이 커도, 압하 후의 주편 표면의 어느 부위에 대해서도, 코너가 형성되지 않는 원활한 표면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연속 주조에 계속되는 후공정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볼록형 롤(3)로 압연하였기 때문에 생성한 주편(10)의 오목 형상에 기인하는 압연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원호 반경 R2는, 주편(10)에 압연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경감시키는 관점에서,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하 롤(1)에서의 압하 제어를 행하는 압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압하 변위량을 목표로 하는 변위량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압하 변위 제어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면, 압하량을 압하 롤(1)의 상기 h 이하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압하시에 주편(10)에 접하는 롤 표면은,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는,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이기 때문에, 압하 후의 주편 표면에도 접평면의 각도 변화가 급준한 오목함이 형성되지 않고, 후공정의 열간 압연시에 흠집 발생의 원인이 되는 일은 없다.
한편, 압하 제어 장치로서 압하 변위 제어를 할 수 없는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를 벗어나는 위치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11)을 상기 가장 간결하게 하여 효과적인 형상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압연 롤의 롤 외주 형상(11)에는,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및 그 양측이며 원통 형상(22)부분까지 계속되는 어느 부위에 대해서도 코너부를 갖지 않는 매끄러운 형상이다. 그 때문에, 압하력이 크기 때문에 폭 양단의 플랫 롤부까지 주편(10)에 접하는 압하가 행해졌다고 해도, 압하 후의 주편 표면에는, 흠집의 원인으로 되는 접평면의 각도 변화가 급준한 형상이 형성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적은 압하량으로 충분한 압하를 행하여 센터폴로시티를 경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주편 압하 형상에 기인하는 열간 압연에서의 흠집을 경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1)인 볼록형 곡선 롤(4)이 구비해야 할 요건으로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7 및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하 롤(1)은, 롤 회전축(12)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11)이 이하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으로 정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16)과 길이가 0.25×W 이내의 직선(17)의 조합이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형상으로 정한다. 이하, 이와 같이 정한 근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유한 요소법을 사용한 변형 해석에 의해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롤 외주 형상(11)으로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한 곡선(16)과 직선(17)과의 조합에 대해, 볼록한 곡선은 원호 반경 R1이 0.8×W인 원호 형상(18)으로 하고, 직선(17)은, 폭 중심 위치(13)를 중심으로 하여 롤 축에 평행하게 임의 길이의 직선부를 마련하고, 원호 형상(18)과 직선(17)을 원활하게 접속하였다. 직선(17)의 길이를 다양하게 설정한 후에, 압하력을 100톤 중으로서 압하력을 부여하고, 유한 요소법에 의한 변형 해석을 행하였다. 변형 해석의 결과로서, 주편(10)의 두께 중심부에 있어서의 소성 변형(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에 대해 해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한다. 직선(17)의 길이 D에 대해, 도면 중에 D/W로 표기하고 있다. D/W가 커질수록, 즉 직선(17)의 길이 D가 길어질수록, 폭 방향 전역에 있어서 두께 중심부의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은 감소하지만, 직선(17)의 길이 D가 0.25×W 이하의 범위이면, 볼록형 디스크 롤(5)보다 양호한 규격화 상당 소성 변형의 값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압하 롤(1)의 형상을 제2 실시 형태로 하였다.
따라서, 적은 압하량으로 충분한 압하를 행하여 센터폴로시티를 경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주편 압하 형상에 기인하는 열간 압연에서의 흠집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볼록형 곡선 롤(4)이 종래의 볼록형 디스크 롤(5)에 비교하여 동일한 압하력에서도 센터폴로시티를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해 검토한다. 응고 후 압하에 의한 포로시티 저감은, 압하에 의해 포로시티 생성 영역으로의 변형이 부여되고, 포로시티가 압착되는 것에 의한다. 변형 부여량은, 원칙으로서 압하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특히 표면 부분의 변형은, 폭 방향의 압입량이 직접 반영되기 때문에, 볼록형 곡선 롤(4)과 종래의 볼록형 디스크 롤(5)을 비교하였을 때, 폭 방향에서 보면, 볼록형 디스크 롤(5)이 주편 표면에서의 변형 부여량에서 상회하는 개소가 존재한다. 한편, 변형이 두께 중심으로 침투함에 따라, 변형은 폭 방향으로도 확산된다. 이 때문에, 두께 방향 중심부의 변형량은, 곡선부에서 크게 압하량을 벌 수있는 볼록형 곡선 롤(4)이 우위가 되는 점에서, 전체 폭에서 볼록형 곡선 롤(4)을 능가한다는 해석 결과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1)을 사용하고, 연속 주조 중에 있어서, 주편(10)의 중심 고상율이 0.8 이상이며 완전 응고 후를 포함하는 위치의 주편(10)을 적어도 1쌍의 압하 롤(1)에 의해 압하하는 것이다. 주편(10)의 중심 고상율이 0.8 이상이면, 주편 두께 중심부의 잔 용강의 유동 곤란 영역으로 되어 있으므로, 압하를 행하였다고 해도, 내부 균열의 문제나 역 V 편석 발생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1쌍의 압하 롤(1)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압하 롤(1)을 사용한다. 또한, 중심 고상율은, C 단면에 있어서의 주편 두께 방향이 중심이고, 또한, 주편 폭 방향의 중심 고상율로 정의할 수 있다. 중심 고상율은, 중심 온도를 열전대에서 직접 측온하는 방법, 전열 계산에 의한 추정, 리벳 박기에 의한 추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압하 롤(1)에 의해 압하되는 주조 방향의 주편 위치는, 완전 응고 후의 위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완전 응고 후의 위치에 있어서 주편(10)을 압하함으로써, 내부 균열의 문제나 역 V 편석 발생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센터폴로시티의 압착 소멸을 도모할 수 있다. 완전 응고 후의 주편(10)을 압하할 때, 주조 하류측의 압하 위치 적합 범위 한계는, 폭 중심 표면 온도가 650℃ 이상의 영역이다. 폭 중심 표면 온도가 650℃ 미만이면, 온도 저하에 의해 주편(10)이 경화하고, 롤 형상에 상관없이, 충분한 압하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연속 주조 중의 압하 위치를 정함에 있어서, 중심 고상율이 0.8이 되는 위치, 완전 응고 위치, 완전 응고 후의 압하 위치 적합 범위 한계 위치의 각각에 대해서는, 연속 주조 중에 있어서의 주편 표면의 온도 측정, 주편(10)의 전열 응고 계산을 조합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실시예
주편 형상이, 폭: 550㎜, 두께: 400㎜의 블룸을 주조하는 만곡형의 블룸 연속 주조에 있어서, 실시예를 적용한 시험을 행하였다. 주조 속도 0.4m/분에 있어서, 응고 완료 위치가 주조 길이로 20m의 위치였다. F면 롤은 플랫 롤, L면 롤이 볼록형 롤(3)인 1쌍의 압하 롤(1)을 준비하고, 주조 길이로 30m의 위치에서 압하를 행하였다. 압하력은 100톤 중으로 하였다.
종래 형의 볼록형 디스크 롤(5)로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중심 위치(13)의 수평부(20)의 길이가 200㎜, 그 양측에 코너부(15)를 통하여 각도 17°의 경사부(21)를 갖는다. 수평부(20)의 롤 반경은, 폭 양단의 플랫 롤부의 롤 반경보다도 20㎜ 크다.
실시예의 볼록형 곡선 롤(4)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폭 중심 위치(13)로부터 롤 폭 방향의 양측에 합계로 길이 0.80×W의 범위)를 포함하여 반경이 430㎜ 일정한 원호 형상(18)이며,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 rE에 대해, 폭 중심 위치(13)에 있어서의 롤 반경 rC가 60㎜ 큰 롤을 사용하였다. 폭 중심 위치(13)의 롤 반경 rC는 400㎜이다.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 내의 원호 형상(18)은, 볼록 형상 규정 범위(14)의 외측까지 계속되고(반경 R1 범위(23)), 그 후, 원호 반경 R2=100㎜로 외부에 오목의 원호 형상(19)(반경 R2 범위(24))과 원활하게 접속되고, 최종적으로 롤 반경 rF가 340㎜의 원통 형상(22)을 갖는 플랫 롤부에 원활하게 접속되어 있다.
주편(10)의 센터폴로시티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편 단면의 컬러 체크에 의해 산출된 포로시티 면적률을 지표로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압하 롤(1)로서 볼록형 디스크 롤(5)을 사용한 종래예는, 센터폴로시티 면적률이 3% 이상으로 되었다. 볼록형 곡선 롤(4)을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센터폴로시티 면적률은 0.3%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속 주조 주편의 센터폴로시티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와 종래예의 주편을, 일반적인 열연 프로세스로서 열간 압연을 행하였다. 주편의 표면 상에 기인하는 제품 불량률에 대해 비교한 결과, 종래예의 주편에 있어서는 제품 불량률이 5% 정도였던 것이, 실시예의 주편(10)을 사용한 결과, 제품 불량률이 0.5% 이하까지 저감되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에서의 흠집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은, 각종 강제품의 소재로 되는 주편의 연속 주조에 이용 가능하다.
1: 압하 롤
2: 압하 롤
3: 볼록형 롤
4: 볼록형 곡선 롤
5: 볼록형 디스크 롤
10: 주편
11: 롤 외주 형상
12: 롤 회전축
13: 폭 방향 중심 위치(폭 중심 위치)
14: 볼록 형상 규정 범위
15: 코너부
16: 곡선
17: 직선
18: 원호 형상
19: 원호 형상
20: 수평부
21: 경사부
22: 원통 형상
23: 반경 R1 범위
24: 반경 R2 범위
31: 현
32: 호
W: 주편 폭
rC: 폭 중심 위치의 압하 롤 반경
rF: 폭 단부의 압하 롤 반경
rE: 볼록 형상 규정 범위의 양단의 압하 롤 반경
R1: 원호 반경
R2: 원호 반경
h: 궁형의 호 높이
s: 궁형의 현의 길이
θ: 궁형의 중심각의 절반
R: 궁형의 반경

Claims (5)

  1. 연속 주조 중에 있어서, 주편의 중심 고상율이 0.8 이상이며 완전 응고 후를 포함하는 위치의 상기 주편을, 적어도 1쌍의 압하 롤에 의해 압하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이며, 주조하는 주편 폭을 W(㎜), 주편 두께를 t(㎜)로 하고,
    상기 1쌍의 압하 롤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는, 롤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이, 상기 주편의 폭 방향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 형상은,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롤 폭 방향의 양측에 합계로 길이 0.80×W의 볼록 형상 규정 범위에 있어서,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과 길이가 0.25×W 이내의 직선의 조합이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형상의 어느 것이며,
    상기 볼록 형상 규정 범위의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에 대해,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이 0.005×t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 롤에 의해 압하되는 주조 방향의 주편 위치는, 완전 응고 후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압하 롤에 의한 상기 주편의 압하량은,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에 있어서, 0.005×t 이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4. 연속 주조 중에, 주편 폭: W(㎜), 주편 두께: t(㎜)의 주편을 압하하기 위한 압하 롤이며,
    롤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롤 외주 형상이, 상기 주편의 폭 방향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 형상은,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롤 폭 방향의 양측에 거리0.80×W의 볼록 형상 규정 범위에 있어서, 외측으로 볼록하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곡선 형상,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과 길이가 0.25×W 이내의 직선의 조합이며 코너부를 갖지 않는 형상의 어느 것이며,
    상기 볼록 형상 규정 범위의 양단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에 대해, 상기 폭 방향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압하 롤 반경이 0.005×t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압하 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 외주 형상은, 상기 롤 회전축에 평행인 직선을 폭 방향 양단부에 가지고 있고,
    상기 직선에 원활하게 접속하는, 외측에 오목한 곡선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압하 롤.
KR1020207025078A 2018-03-08 2019-03-06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 KR102385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1620 2018-03-08
JP2018041620 2018-03-08
PCT/JP2019/008806 WO2019172302A1 (ja) 2018-03-08 2019-03-06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用の圧下ロ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254A true KR20200111254A (ko) 2020-09-28
KR102385579B1 KR102385579B1 (ko) 2022-04-12

Family

ID=6784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078A KR102385579B1 (ko) 2018-03-08 2019-03-06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34821B2 (ko)
JP (1) JP6973617B2 (ko)
KR (1) KR102385579B1 (ko)
CN (1) CN111867751B (ko)
BR (1) BR112020016343B1 (ko)
TW (1) TW201938289A (ko)
WO (1) WO2019172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1264B (zh) * 2018-08-31 2021-06-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连铸大方坯连续曲率凸形辊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560A (ja) 1984-01-31 1985-08-24 Nippon Steel Corp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3094154A (ja) 2001-09-21 2003-04-02 Sanyo Special Steel Co Ltd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4058129A (ja) * 2002-07-31 2004-02-26 Jfe Steel Kk 鋳片の表面疵防止方法およびその鋳片
JP2009279652A (ja) 2008-04-21 2009-12-03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凝固後鋳片のロール圧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455A (ja) 1984-03-01 1985-09-19 Nippon Steel Corp 圧下を加える連鋳片の製造方法
JP2000107844A (ja) * 1998-09-30 2000-04-18 Nippon Steel Corp クロムを含有した溶鋼の鋳造方法
JP6369122B2 (ja) * 2014-05-14 2018-08-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鋳片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鋳片
CN104399924B (zh) * 2014-11-20 2017-04-05 东北大学 一种用于大方坯连铸的拉矫机渐变曲率凸型辊及使用方法
CN105983668A (zh) * 2015-02-27 2016-10-05 新日铁住金工程技术株式会社 轻压下辊、具有其的轻压下装置及铸坯的制造方法
CN105834387B (zh) * 2016-05-18 2018-06-12 中冶连铸技术工程有限责任公司 连铸压下控制方法
CN107537987A (zh) * 2017-08-22 2018-01-05 东北特钢集团大连特殊钢有限责任公司 连铸合金钢大方坯凸型组合辊及重压下工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560A (ja) 1984-01-31 1985-08-24 Nippon Steel Corp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3094154A (ja) 2001-09-21 2003-04-02 Sanyo Special Steel Co Ltd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4058129A (ja) * 2002-07-31 2004-02-26 Jfe Steel Kk 鋳片の表面疵防止方法およびその鋳片
JP2009279652A (ja) 2008-04-21 2009-12-03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凝固後鋳片のロール圧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16343A2 (pt) 2020-12-15
CN111867751B (zh) 2023-04-04
TW201938289A (zh) 2019-10-01
JP6973617B2 (ja) 2021-12-01
JPWO2019172302A1 (ja) 2021-01-14
US20200391282A1 (en) 2020-12-17
CN111867751A (zh) 2020-10-30
US11534821B2 (en) 2022-12-27
WO2019172302A1 (ja) 2019-09-12
BR112020016343B1 (pt) 2023-12-12
KR102385579B1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9582B2 (ja) 鋳型設計方法および鋳型
JP5933751B2 (ja) 連続鋳造鋳型
JP2008093727A5 (ko)
KR20200111254A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용 압하 롤
US534665A (en) Method of casting projectiles
JP5835531B2 (ja) 極厚鋼板用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6390718B2 (ja) 連続鋳造鋳片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520031B2 (ja) センターポロシティ低減スラブの製造方法
JP5342905B2 (ja) スラブ鋳片の連続鋳造設備
US4565236A (en) Method of and mold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beam blanks
JP2014161876A (ja) パイプ状欠陥の無いNi鋼扁平鋳塊の造塊鋳造方法
JP5716376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表面割れ判定方法
JP2011177714A (ja) 鍛造用金型
JP7172346B2 (ja) 連続鋳造の圧下方法
JP5342904B2 (ja) スラブ鋳片の連続鋳造設備
JP2000254766A5 (ko)
JP6816523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4364852B2 (ja) スラブ鋳片の連続鋳造設備と連続鋳造方法
JP2015226918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US1463771A (en) Means to compress ingots
CN103418761B (zh) 一种管坯连铸用多边形曲面内壁结晶器
JP3082834B2 (ja) 丸断面鋳片の連続鋳造方法
US1086138A (en) Method of making car-wheels.
CN207508225U (zh) 铸造分型砂箱的紧固机构
Khoroshylov et al. Study of the Processes of Shaping the Hollow Billets from Antifriction Alloys by the Centrifugal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s, Usp. Fiz. Met., 2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