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769A - 코팅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코팅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769A
KR20200110769A KR1020207023753A KR20207023753A KR20200110769A KR 20200110769 A KR20200110769 A KR 20200110769A KR 1020207023753 A KR1020207023753 A KR 1020207023753A KR 20207023753 A KR20207023753 A KR 20207023753A KR 20200110769 A KR20200110769 A KR 2020011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agent
moisture
proof
receiving tank
proof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312B1 (ko
Inventor
류지 가와무라
히로후미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닛토 신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 신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 신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방습 코팅제를 수용하는 수용 탱크 내를 공기로 가압하여 방습 코팅제를 압송할 때에, 방습 코팅제를 코팅제 수용 백에 수용하여 수용 탱크의 내부에서 방습 코팅제가 직접 공기와 맞닿는 일이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코팅제 공급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1192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코팅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코팅제를 수용한 수용 탱크의 내부가 가압되어서 수용 탱크로부터 코팅제가 배출되는 코팅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린트 배선판에 칩 부품 등의 전자 부품을 탑재한 프린트 회로판이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에 대한 소형화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프린트 회로판에는,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프린트 배선판은, 배선 피치가 좁아지고 있다(협소 피치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협소 피치의 프린트 배선판을 사용한 프린트 회로판에서는, 배선 사이가 땜납으로 연결되는 땜납 브리지 등에 의한 쇼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쇼트는, 땜납 브리지를 원인으로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수분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내에 들어간 수증기에 의해 프린트 회로판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하면, 수적이 극히 작은 것이어도 회로를 쇼트시키는 원인으로 된다.
또한, 프린트 회로판의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면 마이그레이션 등의 원인으로도 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에 의한 회로 쇼트의 대책으로서, 프린트 회로판을 오버코트하여 방습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종래의 방습 처리는, 프린트 회로판의 표면에 방습 피막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다.
방습 피막의 형성에는, 하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상의 방습 코팅제가 사용되고 있다. 방습 피막은, 프린트 회로판의 피처리면에 상기 방습 코팅제를 도포하여 웨트 도막을 형성시킨 후에, 해당 웨트 도막을 건조시켜서 방습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1-0890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3-234256호 공보
방습 코팅제를 프린트 회로판의 표면에 도포할 때에는 방습 코팅제를 수용한 수용 탱크로부터 배관을 통하여 공급처로 방습 코팅제가 반송되어, 노즐 등을 통하여 프린트 회로판의 표면에 골고루 방습 코팅제가 분사되는 것과 같은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방습 피막은, 어느 정도 두꺼운 쪽이 방습 성능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기 쉽다.
이것을 생각하면 방습 코팅제는, 일정 이상의 점도를 갖고 있는 쪽이 유리하다.
그러나 점도가 높은 방습 코팅제로 방습 피막을 형성시키려고 하면 웨트 도막에 기포가 말려들어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방습 피막에 기포를 존재시킬 우려가 있고, 충분한 방습 성능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포는,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이나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소포 작용을 갖는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방습 코팅제에 배합하거나 하여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방습 피막에 있어서의 기포의 발생 원인은, 상기와 같은 기포의 말려 들어감 이외에도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도포 시공 시의 주변 공기의 말려 들어감 이외에서의 기포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충분히 구명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당연히 그 대책에 대해서도 충분히 실시되어 있지는 않다.
즉, 방습 코팅제로 방습 피막을 형성시킬 때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대책이 실시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를 갖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에 관한 코팅제 공급 장치는, 코팅제를 수용한 수용 탱크와, 상기 수용 탱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탱크에는, 상기 코팅제를 공급처를 향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급기 장치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공급처에 상기 코팅제가 공급되는 코팅제 공급 장치이며, 상기 코팅제가 프린트 회로판에 방습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방습 코팅제이고, 해당 코팅제는,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에서 직접 공기와 맞닿는 일이 없도록 코팅제 수용 백에 수용되어서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고, 해당 코팅제 수용 백은, 압력이 가해진 때에 내부의 상기 코팅제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를 구비하고, 또한, 압력이 가해진 때에 해당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에 상기 코팅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다.
도 1은, 방습 처리 설비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포 시공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코팅제 공급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a는, 가압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다르게 한 방습 코팅제로 형성한 방습 피막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방습 피막의 외관 사진).
도 4b는, 가압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다르게 한 방습 코팅제로 형성한 방습 피막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방습 피막의 외관 사진).
도 4c는, 가압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다르게 한 방습 코팅제로 형성한 방습 피막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방습 피막의 외관 사진).
도 4d는, 가압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다르게 한 방습 코팅제로 형성한 방습 피막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방습 피막의 외관 사진).
도 4e는, 가압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다르게 한 방습 코팅제로 형성한 방습 피막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방습 피막의 외관 사진).
도 4f는, 가압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다르게 한 방습 코팅제로 형성한 방습 피막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방습 피막의 외관 사진).
도 4g는, 가압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다르게 한 방습 코팅제로 형성한 방습 피막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방습 피막의 외관 사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예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프린트 회로판에 방습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습 처리 설비에 있어서의 사례을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습 코팅제로 방습 피막을 형성시키는 경우, 통상, 폴리실록산 화합물이나 반응하여 폴리실록산 화합물로 되는 실란 화합물(예를 들어, 오르가노알콕시실란 등)을 방습 코팅제에 배합함으로써 방습 피막으로의 기포의 말려 들어감이 억제된다.
한편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방습 피막으로의 기포의 말려 들어감을 억제한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발휘시킬 수 있는 사례로서, 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실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또는, 함유되어 있었다고 해도 극히 근소한 양(예를 들어, 5질량% 이하)밖에 함유되어 있지 않은 방습 코팅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습 처리 설비의 설비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방습 처리 설비는, 프린트 회로판에 방습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포 시공 장치(1)와, 해당 도포 시공 장치(1)에 방습 코팅제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제 공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 시공 장치(1)는, 프린트 회로판 A를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테이지부(11)와, 해당 스테이지부(11)에 있어서 수평하게 지지된 프린트 회로판 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방습 코팅제 W를 스프레이 도포 시공하기 위한 도포 시공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도포 시공부(12)는, 방습 코팅제 W를 하방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스프레이하는 노즐(1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포 시공 장치(1)는, 상기 코팅제 공급 장치(2)로부터 공급된 방습 코팅제 W를 직접 상기 노즐(121)에 공급하여 상기 노즐(121)로부터 정량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 시공부(12)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한 때에, 상기 X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 리니어 액추에이터(122)와, 상기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 리니어 액추에이터(1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즐(121)은, 상기한 2개의 리니어 액추에이터(122, 123)가 조합되어서 상기 프린트 회로판 A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된 홀더(124)에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도포 시공부(12)는, 프린트 회로판 A에 대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웨트 도막이 형성 가능함과 함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웨트 도막도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코팅제 공급 장치(2)는, 상기 노즐(121)을 공급처로 하여 방습 코팅제 W를 반송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팅제 공급 장치(2)는,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습 코팅제 W를 수용하는 수용 탱크(21)와, 상기 수용 탱크(21)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코팅제 공급 장치(2)에는, 상기 급기 장치로서, 가압 공기를 축적 가능한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에어콤프레서(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 탱크(21)는, 상부 개구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탱크 본체(211)와, 해당 탱크 본체(211)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여 내부를 밀봉 상태로 하기 위한 덮개(2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탱크 본체(211)는, 저벽부(2111)와, 해당 저벽부(2111)의 외주연보다 통 형상으로 일어서는 본체 동체부(2112)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212)는, 천장부(2121)와, 해당 천장부(2121)의 외주연보다 통 형상으로 되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덮개 동체부(2122)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수용 탱크(21)는, 상기 본체 동체부(2112)의 상단부와, 상기 덮개 동체부(2122)의 하단부를 접촉시킴으로써 밀봉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탱크(21)의 탱크 본체(211)에는, 상기 방습 코팅제 W를 상기 노즐(121)을 향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2a)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천장부(2121)에 상기 배출구(212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해당 배출구(212a)에는, 상기 노즐(121)을 향하여 방습 코팅제 W를 반송하기 위한 배관(23)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코팅제 공급 장치(2)는, 방습 코팅제 W가 배관(23)을 유통 가능하게 되는 개방 상태와, 배관(23)에 있어서의 방습 코팅제 W의 유통을 저지하는 폐쇄 상태로 전환 가능한 밸브(24)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밸브(24)는, 상기 배관(23)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212a)의 바로 뒤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상기 밸브(24)는, 삼방 밸브로 되어 있고, 방습 코팅제 W가 배관(23)을 유통 가능하게 되는 상태 이외에, 상기 수용 탱크(21)와 외부 공간을 접속하여 필요에 따라 방습 코팅제 W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코팅제 공급 장치(2)는, 상기 에어콤프레서(22)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수용 탱크(21)의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코팅제 공급 장치(2)는, 상기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121)에 상기 코팅제 W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습 코팅제 W는, 상기 수용 탱크(21)의 내부에서 직접 공기와 맞닿는 일이 없도록 코팅제 수용 백 B에 수용되어서 상기 수용 탱크(21)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제 수용 백 B는, 압력이 가해진 때에 내부의 코팅제 W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 Ba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코팅제 수용 백 B는, 압력이 가해진 때에 상기 토출구 Ba를 통하여 상기 수용 탱크(21)의 배출구(212a)에 상기 방습 코팅제 W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탱크(21)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팅제 수용 백 B는, 상기 토출구 Ba가 마련되어 있는 백 본체 B1과, 상기 토출구 Ba로부터 연장 돌출한 튜브 B2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튜브 B2는, 상기 토출구 Ba와 상기 배출구(212a)를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 부재로서 코팅제 수용 백 B에 구비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습 코팅제 W는, 상기 튜브 B2, 상기 배출구(212a) 및 상기 배관(23)을 통하여 상기 백 본체 B1로부터 상기 노즐(12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팅제 수용 백 B와 상기 수용 탱크(21)는, 상기 튜브 B2의 선단부를 상기 배출구(212a)에 접속한 상태와, 해당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코팅제 수용 백 B는, 상기 코팅제 W를 수용한 상태에서 자립 가능한 자립식 백이고, 해당 토출구 Ba를 상방에 위치시켜서 자립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상기 코팅제 수용 백 B는, 상기 토출구(212a)를, 수용 탱크(21)의 덮개(212)에 마련된 상기 배출구(212a)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시킨 상태에서 수용 탱크(21)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코팅제 수용 백 B는, 가령 백 내에 공기가 혼입되어도 토출구(212a)로부터 배출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백 본체 B1은, 파우치 등이라고 칭해지는 수지 필름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백 본체 B1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적층 구조여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으로서는, 알루미늄 적층 필름과 같은 가스 배리어성 및 차광성이 우수한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백 본체 B1은, 저부 B11 및 양쪽 측연부 B12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가젯(마치)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자립식 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튜브 B2는, 실리콘 고무 튜브와 같은 연질의 것이어도, 폴리에틸렌 튜브와 같은 경질의 것이어도 된다.
상기 튜브 B2는, 상기 백 본체 B1을 자립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배출구(212a)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튜브 B2의 기단부는, 상기 토출구 Ba로부터 백 본체 내에 침입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튜브 B2의 선단부와 상기 수용 탱크(21)의 배출구(212a) 사이의 접속은, 조인트와 같은 형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배출구(212a)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배관(23)의 내주 및 상기 튜브의 선단부의 한쪽에 나사 홈을 마련함과 함께 다른 쪽에 나사 산을 마련하여 서로 나사 결합 가능한 구조로 하면, 상기 튜브 B2가 부주의하게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B2의 기단부는, 백 본체 B1의 저부 B11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탱크(21)에 에어콤프레서(22)로 공기를 보내옴으로써, 수용 탱크 내에 있어서의 코팅제 수용 백 B의 주위의 기압이 상승한다. 이 압력이 코팅제 수용 백 B로부터 방습 코팅제 W를 토출시키는 원동력이 됨과 함께 이 압력이 수용 탱크(21)로부터 노즐(121)로의 방습 코팅제 W의 반송 동력으로 된다.
여기서, 방습 코팅제 W의 액 고임은, 통상, 코팅제 수용 백 B의 하측에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토출구 Ba가 상측이 되도록 코팅제 수용 백 B가 수용되어 있으면, 액 고임과 토출구 Ba 사이에서 코팅제 수용 백 B에 압력에 의한 밀착이 발생하기 쉬워져 버리게 된다.
한편으로 튜브 B2의 기단부를 백 본체 B1의 저부 B11에 위치시키고 있으면, 액 고임으로부터 튜브 B2를 통하여 방습 코팅제 W가 퍼 내지 게 되므로 내부의 방습 코팅제 W를 남기는 일없이 다 쓸 수 있다.
방습 코팅제 W를 코팅제 수용 백 B에 수용하지 않고, 곧 수용 탱크(21)에 수용해도 방습 코팅제 W를 남기는 일없이 다 쓸 수 있다. 그 때에는, 수용 탱크 내의 압력에 의해 방습 코팅제 W에 공기를 용존시키기 쉬워진다.
용존한 공기는, 프린트 회로판 A의 표면에 형성된 웨트 도막이 건조하여 방습 피막으로 되는 과정에 있어서 기포로 되어 나타날 우려가 있고, 방습 피막의 방습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수용 탱크 내의 압력이 그다지 올라가지 않도록 하면, 공기의 용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방습 코팅제 W의 반송 동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탱크(21)의 내부(코팅제 수용 백 B의 주위)의 기압이 높아도 방습 코팅제 W로의 공기의 용존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습 피막으로의 기포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방습 코팅제 W의 반송 동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방습 코팅제 W의 공급처로 되는 노즐(121)에 대한 양호한 반송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상기 방습 코팅제 W의 공급은, 상기 수용 탱크(21)의 내부에 0.1MPa 이상의 압력(게이지압)을 발생시켜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13MPa 이상의 압력(게이지압)을 발생시켜서 행하여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MPa 이상의 압력(게이지압)을 발생시켜서 행하여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 과도하게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도, 방습 코팅제 W의 반송성이 압력에 걸맞을 만큼 양호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압력(게이지압)은 0.4MP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MPa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탱크(21)로부터 방습 코팅제 W의 공급처로 되는 노즐(121)까지의 경로의 도중에, 해당 경로를 흐르는 방습 코팅제 W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삼방 밸브(밸브(24))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나의 코팅제 수용 백 B에 수용되어 있는 방습 코팅제 W를 다 쓰거나 하여, 다른 코팅제 수용 백을 사용하게 된 경우, 다른 코팅제 수용 백의 튜브 등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가 배관(23)을 통하여 노즐(121)에 공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코팅제 수용 백 B로부터 다른 코팅제 수용 백으로 전환하여 노즐(121)로의 방습 코팅제 W의 공급을 계속시킬 때, 일단, 튜브 등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를 소량의 방습 코팅제 W와 함께 밸브(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방습 피막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에어콤프레서(22)에는, 축류식이나 원심식 등의 터보형의 것이나, 레시프로식이나 로터리식 등의 용적형의 것 등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습 코팅제 W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방습 코팅제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아크릴계, 올레핀계, 실리콘계, 불소계, 고무계 등의 일반적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방습 코팅제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올레핀계 및 고무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습 코팅제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제계의 것이어도, 수계 용매를 포함하는 물 에멀션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상기 방습 코팅제로서는, 예를 들어 열경화 타입의 것, 자외선 경화 타입의 것, 습기 경화 타입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방습 코팅제는, 습기에서는 경화되지 않고 열이나 자외선으로 경화하는 타입의 것이 적합하다.
모두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상기 코팅제는, 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서로 결합하여 폴리실록산 화합물로 되는 실란 화합물의 함유량(합계 함유량)이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상기 코팅제는, 실리콘 수지나 실리콘 오일 등의 폴리실록산 화합물이나, 가수분해 후에 탈수 축합하거나 하여 실리콘 수지나 실리콘 오일 등의 폴리실록산 화합물로 되는 실란 화합물 등을 일정 이상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서로 결합하여 폴리실록산 화합물로 되는 실란 화합물의 방습 코팅제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시에 있어서는, 방습 코팅제 W의 공급처를 노즐(121)로 하고 있지만, 상기 방습 코팅제 W는, 버퍼 탱크 등을 통하여 노즐(121)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예시에 있어서는, 상기 토출구 Ba와 상기 배출구(212a)를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 부재로서 튜브 B2를 이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선단 외주부에 나사가 형성된 튜브를 수용 탱크측에 마련하고, 상기 코팅제 수용 백 B에는, 토출구 Ba와 연통하는 나사 구멍이 마련된 판재를 마련하여, 해당 판재를 수용 탱크측의 튜브와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부재로서 이용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예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효과가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는, 상기에 예시되어 있는 구체적인 양태에 대하여 각종의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팅제 공급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이점을 갖는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팅제 공급 장치는, 코팅제를 수용한 수용 탱크와, 상기 수용 탱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탱크에는, 상기 코팅제를 공급처를 향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급기 장치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공급처에 상기 코팅제가 공급되는 코팅제 공급 장치이며, 상기 코팅제가 프린트 회로판에 방습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방습 코팅제이고, 해당 코팅제는,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에서 직접 공기와 맞닿는 일이 없도록 코팅제 수용 백에 수용되어서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고, 해당 코팅제 수용 백은, 압력이 가해진 때에 내부의 상기 코팅제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를 구비하고, 또한, 압력이 가해진 때에 해당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에 상기 코팅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팅제 공급 장치에 의하면, 방습 코팅제를 공기로 압송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방습 코팅제 중에 용존시켜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방습 피막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코팅제 공급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코팅제 공급 장치는,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코팅제 공급 장치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포용의 노즐로서 노도손사제의 품명 「A7A 필름 코트건」이 TTnS사제, 제품명 「TCM45A」에 세트된 도포 시공 장치를 준비하였다.
이것에, 방습 코팅제(닛토 신코사제, 품명 「LSS-520MHF-K」)를 공급하고, 노즐 높이 8mm, 도포 폭 8mm, 도포 속도 400mm/초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웨트 도막을 형성시킨 후에, 이것을 상온에서 건조시켜서 방습 피막(초기: 도 4의 (a))으로 하였다.
이어서, 방습 코팅제(800g)를 용기(해방 용기: 긴키 요끼사제, 품명 「하이 팩 용기 No.150」)에 넣고 0.25MPa의 가압 조건 하에서 토탈 7시간 보관하고, 가압을 개시하고 나서 1시간마다 100g씩 방습 코팅제를 취출하여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방습 피막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도 4의 (b) 내지 (f)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후 3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방습 피막에 기포가 관측되는 결과로 되었다.
한편으로, 방습 코팅제를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폴리에틸렌 수지제 백(카우팩사제, 품명 「유메팩 DP16-TN1000」, 상단부에 스파우트(경질 수지 튜브)를 갖는 자립식 백)에 수용한 것을, 동일하게 0.25MPa의 가압 조건 하에서 토탈 7시간 보관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방습 피막을 형성시켰지만, 도 4의 (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후 7시간 경과한 방습 코팅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방습 피막에 기포는 관측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습 코팅제로 방습 피막을 형성시킬 때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도포 시공 장치
2: 코팅제 공급 장치
11: 스테이지부
12: 도포 시공부
21: 수용 탱크
22: 에어콤프레서
23: 배관
24: 밸브
211: 탱크 본체
212: 덮개
212a: 배출구
2111: 저벽부
2112: 본체 동체부
2121: 천장부
2122: 덮개 동체부
A: 프린트 회로판
B: 코팅제 수용 백
B1: 백 본체
B2: 튜브(조인트 부재)
Ba: 토출구
W: 방습 코팅제

Claims (6)

  1. 코팅제를 수용한 수용 탱크와,
    상기 수용 탱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탱크에는, 상기 코팅제를 공급처를 향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급기 장치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공급처에 상기 코팅제가 공급되는 코팅제 공급 장치이며,
    상기 코팅제가 프린트 회로판에 방습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방습 코팅제이고,
    해당 코팅제는,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에서 직접 공기와 맞닿는 일이 없도록 코팅제 수용 백에 수용되어서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고,
    해당 코팅제 수용 백은, 압력이 가해진 때에 내부의 상기 코팅제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를 구비하고, 또한, 압력이 가해진 때에 해당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에 상기 코팅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코팅제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수용 백은, 상기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백 본체와, 상기 토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코팅제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연장 돌출한 튜브인 코팅제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처로의 상기 코팅제의 공급이,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에 0.1MPa 이상의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행하여지는 코팅제 공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서로 결합하여 폴리실록산 화합물로 되는 실란 화합물의 함유량이 5질량% 이하인 코팅제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 수용 백이 상기 코팅제를 수용한 상태에서 자립 가능한 자립식 백이고, 해당 토출구를 상방에 위치시켜서 자립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코팅제 공급 장치.
KR1020207023753A 2018-01-26 2019-01-25 코팅제 공급 장치 KR102628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1925 2018-01-26
JP2018011925A JP6964010B2 (ja) 2018-01-26 2018-01-26 コーティング剤供給装置
PCT/JP2019/002439 WO2019146747A1 (ja) 2018-01-26 2019-01-25 コーティング剤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769A true KR20200110769A (ko) 2020-09-25
KR102628312B1 KR102628312B1 (ko) 2024-01-24

Family

ID=6739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753A KR102628312B1 (ko) 2018-01-26 2019-01-25 코팅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64010B2 (ko)
KR (1) KR102628312B1 (ko)
CN (1) CN111699050A (ko)
WO (1) WO2019146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0383A (zh) * 2021-11-25 2022-03-11 上海大花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供胶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409A (ja) * 2002-12-20 2006-04-0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複室パウチおよび易壊シールを備えた飲料容器
KR20060078947A (ko) * 2004-12-31 2006-07-05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버블제거부가 구비된 포토레지스트 공급장치
JP2009241056A (ja) * 2008-03-10 2009-10-22 Toray Ind Inc 塗布液の脱泡方法および脱泡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
JP2011089061A (ja) 2009-10-23 2011-05-06 Nitto Shinko Kk 防湿コート剤
JP2012223715A (ja) * 2011-04-20 2012-11-15 Cemedine Co Ltd 塗布装置
KR20130021416A (ko) * 2010-10-22 2013-03-05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습 절연재료
JP2013234256A (ja) 2012-05-08 2013-11-21 Daikin Industries Ltd 防水・防湿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1549B2 (ja) * 2012-10-09 2015-07-0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液供給方法、処理液供給装置及び記憶媒体
JP6436634B2 (ja) * 2014-03-11 2018-12-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液状の膜材料の吐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409A (ja) * 2002-12-20 2006-04-0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複室パウチおよび易壊シールを備えた飲料容器
KR20060078947A (ko) * 2004-12-31 2006-07-05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버블제거부가 구비된 포토레지스트 공급장치
JP2009241056A (ja) * 2008-03-10 2009-10-22 Toray Ind Inc 塗布液の脱泡方法および脱泡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
JP2011089061A (ja) 2009-10-23 2011-05-06 Nitto Shinko Kk 防湿コート剤
KR20130021416A (ko) * 2010-10-22 2013-03-05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습 절연재료
JP2012223715A (ja) * 2011-04-20 2012-11-15 Cemedine Co Ltd 塗布装置
JP2013234256A (ja) 2012-05-08 2013-11-21 Daikin Industries Ltd 防水・防湿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4010B2 (ja) 2021-11-10
CN111699050A (zh) 2020-09-22
JP2019126798A (ja) 2019-08-01
KR102628312B1 (ko) 2024-01-24
WO2019146747A1 (ja)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18866A (ja) 微小調量装置
US20020008123A1 (en) Paste dispensing container
KR20200110769A (ko) 코팅제 공급 장치
WO2016107100A1 (zh) 胶材储存瓶、涂胶机、胶材制备方法
BR0107213A (pt) Correia transportadora e dispositivo de separação e recuperação de aparas
KR102014617B1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그 제작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
KR101686522B1 (ko)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JP2006192371A (ja) 液体定量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464329B2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supply apparatus
JP6090710B2 (ja) 長尺状流路部材、並びに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粘性液体吐出装置
JP7139150B2 (ja) 防湿皮膜付プリント回路板の製造方法
KR102145808B1 (ko) 압력 보조 액체 공급 조립체
TW201130765A (en) Glazing panel conditioning
US10734258B2 (en) Underfill solution supplying device for a dispenser, dispense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module using the same
JP6660033B2 (ja) 粘性液体吐出装置に用いられる接合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粘性液体吐出装置
CN111376526A (zh) 一种用于纸质包装盒加工的涂胶机
KR102378983B1 (ko) 약액 공급 장치 및 약액 공급 방법
KR101315727B1 (ko) 반도체 칩 패키징 공정에 사용되는 시린지 노즐 폐색장치
CN208189537U (zh) 基板处理装置
JP2007106428A (ja) 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
JP4300625B2 (ja) 吐出装置
KR20120031484A (ko) 기포없는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3474B1 (ko)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의 밀봉 방법
JPH07297532A (ja) スプレー式フラックス塗布装置
CN111146113A (zh) 药液供应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