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071A - 차량 도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071A
KR20200106071A KR1020207022826A KR20207022826A KR20200106071A KR 20200106071 A KR20200106071 A KR 20200106071A KR 1020207022826 A KR1020207022826 A KR 1020207022826A KR 20207022826 A KR20207022826 A KR 20207022826A KR 20200106071 A KR20200106071 A KR 20200106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vehicle
fork
theft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 벨 (예치엘)
Original Assignee
나하브 2017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하브 2017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하브 2017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6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vehic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용 도난 방지 장치는 하우징 내에 포함된 이동 가능한 포크 장치를 가지고, 차례로 하우징이 차량 섀시, 예를 들어 차량의 바닥에 장착된 차체에 커플링되는 차축-로크 메커니즘(ALM)을 포함한다. 포크 장치는 차축과 연동하도록 연장하여 차량을 움직이지 않게 한다. 연동은 차축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서, 또는 차축의 원주 표면에 용접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차축에 부착된 돌출부 세트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ALM은 연동을 위한 3 개의 가능한 위치인 전방 차축, 후방 차축 및 구동축 중 하나, 즉 이러한 일들이 발생할 수 있는 3 개의 장소 중 하나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크 운동은 분리로부터, 차축 표면에 대한 포크의 연동 및 맞물림을 포함한 완전한 맞물림까지 다양하다. 포크 운동은 스윙 운동, 수직 운동 또는 측면 옆으로의 운동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축을 움직이지 않도록 반대 측에서 차축을 클램핑하기 위해서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브레이크 슈가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용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차축 중 하나에 맞물리거나 클램핑되어 차축을 움직이지 않게 하도록 갈라진 포크(tined fork) 또는 클램프(clamp)를 기계적으로 위치시켜,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시장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사용하는데 따른 가장 큰 단점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대부분이 차량 운전자에게 너무 비싸거나 너무 복잡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스티어링 로크(steering lock)가 장착될 수 있다. 스티어링 로크는 스티어링 칼럼에, 보통 스티어링 휠 아래에 장착된다. 로크는 점화 스위치와 조합되어 기계식 점화 키에 의해 또는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자식으로 맞물리거나 분리된다. 이러한 장치는 쉽게 접근하여 쉽게 털릴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의 로크 바는 쉽게 접근하여 자칭-도둑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덴버 부츠(Denver boot)로서 공지된 다른 종래 기술의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서, 차량의 휠은 휠을 잡도록 휠 위에 놓인 외부 기계식 자동차 휠 로크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다. 이러한 장치는 또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털릴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쉽게 설치될 수 있고 권한 없는 사람에 의한 차량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장치를 전개하기 위해서 차량 운전자 측의 적극적인 노력을 거의 또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저렴한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둑이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축의 회전을 방지하여 차축을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고 도난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차축 로크 메커니즘(ALM)은 하우징 내에 포함된 이동 가능한 포크 장치를 포함하고, 차례로 하우징은 차량 섀시(chassis), 예를 들어 차량의 바닥에 장착된 차체에 커플링된다. 포크 장치는 차축과 연동되도록 연장되어 차량을 움직이지 않게 한다. 연동은 차축에 형성된 홈에 의해서, 또는 차축의 원주 표면에 용접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차축에 부착된 돌출부 세트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LM은 연동을 위한 3 개의 가능한 위치인 전방 차축, 후방 차축 및 구동축 중 하나, 즉 이러한 일들이 발생할 수 있는 3 개의 장소 중 하나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크 운동은 분리로부터, 차축 표면에 대한 포크의 연동 및 맞물림을 포함한 완전한 맞물림까지 다양하다.
포크 운동은 스윙 운동, 수직 운동 또는 측면 옆으로의 운동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축을 움직이지 않도록 반대 측에서 차축을 클램핑하기 위해서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축-로크 메커니즘(ALM)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분리된다:
자동차의 로킹 해제;
코드 입력;
차량 내부의 전용 버튼/작동기를 통한 메커니즘 분리;
점화 장치에 키를 삽입;
자동차 시동 및/또는 핸드 브레이크 해제.
정의
휠 - 타이어가 장착되는 전체 부분. 휠은 허브, 스포크 및 림을 포함한다.
엔진 또는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차축이 구동 차축으로 불린다. 현대의 전륜-구동 자동차는 전형적으로, 변속기(기어 박스 및 차동 장치)와 전방 차축을 트랜스액슬(transaxle)로 불리는 단일 유닛으로 조합한다.
구동 차축은 두 개의 절반 차축들 사이에 차동 및 범용 조인트를 갖는 분할 축(split axle)이다. 각각의 절반 차축은 정속(CV) 조인트를 사용하여 휠에 연결되어 휠 조립체가 자유롭게 수직으로 이동하고 회전할 때 피봇되게 한다.
라이브 액슬 서스펜션 시스템(live-axle suspension system)에서, 차축은 휠에 구동 토크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휠 위치를 서로에 대해 그리고 차체에 대해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유형의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차축은 구동 토크를 휠에 전달하는 역할 만을 하며; 휠 허브의 위치와 각도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독립적인 기능이다.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만 설명되며, 유사한 참조 부호는 전반에 걸쳐서 대응하는 부분 또는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전륜 구동 차량의 전방 차축에 장착된 2 개의 포크 하우징을 갖는 차량 하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후륜 구동 차량의 후방 차축 및 구동축에 장착된 2 개의 포크 하우징을 갖는 차량 하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맞물림 회전 축을 따라 0°에서 완전히 분리된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45°의 맞물림 공정에서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90°에서 완전히 맞물린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90°에서 완전히 맞물린 포크의 개략적인 축-방향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3 개의 차축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측면 경로를 따라 완전히 분리된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3 개의 차축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측면 경로를 따라 완전히 맞물린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연장 수직축을 따라 완전히 분리된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연장 수직축을 따라 완전히 맞물린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차축에 대해 클램핑되도록 배열된 한 쌍의 원호 형상의 클램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차축에 근접한 한 쌍의 원호 형상의 클램프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차축을 클램핑하기 전에 도시된 도 12의 클램프의 개략적인 직선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차축에 대해 클램핑된 것으로 도시된 도 12의 클램프의 개략적인 직선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또는 자동차용 로킹 메커니즘의 원리 및 작동은 도면 및 첨부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전방 차축(130)에 근접 장착된 엔진(110), 기어 박스(120) 및 포크 하우징(140)을 갖는 전륜 구동 자동차(100)의 저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포크 하우징(140)은 각각의 하나에 포함된 포크(도시되지 않음)가 전방 차축(130)과 맞물릴 수 있도록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실시예에서, 도 1의 메커니즘은 비상 수동 오버라이드 수단(override means)(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이는 어떤 이유로 로크가 자동으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전기적 결함)에 필요하다. 로크는 차량 밑으로 기어 들어가 특수 키를 사용함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되고 메커니즘을 수동으로 로크 해제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로킹 메커니즘은 전기 연결의 수동 분리를 방지하는 보안 특징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로킹 메커니즘은 전기 고장의 경우에 백업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 2는 차동 장치(250)의 양측에 후방 차축(245)에 근접 장착된 2 개의 포크 하우징(241, 242)을 갖는 후륜 구동 자동차(200)의 하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대안적으로, 포크 하우징(243)은 구동축(230)에 근접 장착될 수 있다. 엔진(210) 및 기어 박스(220)는 참조용으로 도시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차축(330)에 형성된 돌출부(335) 위에 포크(320)의 전개를 도시한다. 포크(320)는 전기 기계적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자리로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다음의 설명은 전방 차축(130), 후방 차축(245) 또는 구동축(230)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차축(330)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맞물림 회전축(317)을 따라 0°에서 차축(3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포크(3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크(320)는 회전축(317) 주위에서 스윙 운동으로 전개될 준비가 된다. 포크 하우징(310)은 차량 본체(340),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절단 부분에 도시된다. 차축(330)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경사진 돌출부(335)가 형성되거나 돌출부가 끼워진다. 돌출부(335)는 용접 밴드에 추가되거나, 이미 사용중인 기존 자동차의 경우에 차축(330)에 볼트로 고정되거나 달리 장착될 수 있다. 돌출부(335)의 밴드는 바람직하게, 부착된 돌출부(335)를 갖는 차축 원주 주위의 링 형태이다.
아마도 초기 차량 제조 공정 후에 차축에 추가될 돌출부(335)와 달리, 포크 접근에 대응하는 차축 오목부(도 9 참조)를 갖는 자동차를 제조하는 것이 더 쉬울 것이다.
전기 기계적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포크(320)가 차축(330)의 제자리로 이동될 때, 차축(330)은 포크(320)가 차축(330)의 돌출부(335) 상으로 미끄러지도록 회전에 있어서 제자리에 있지 않을 수 있다. 포크(320) 내부에 형성된 포크 개구 또는 선택적으로 기계 가공된 홈(345)은 일반적으로, 차축(330)의 돌출부(335)와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정렬 불일치를 극복하기 위해서, 전기 구동식 진동기 요소(315)가 돌출부(335)와 포크(320)의 맞물림을 보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크가 제자리로 적절히 이동되면, 다음에 자동차가 이동될 때, 포크가 맞물림 위치로 미끄러질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기계적 메커니즘을 위한 백업 전원용 배터리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메커니즘의 작동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공회전 상태로 두거나 자동차를 떠나기 직전에 버튼을 누를 때 자동 또는 반자동이다.
도 4는 45°에서 차축(330)과 맞물리는 공정에서 포크(3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크 하우징(310)은 차체(340)의 절단 부분,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포크(320)의 배치는 돌출부(335) 위에서 발생한다.
도 5는 전동차 차축(330)에 90°로 완전히 맞물린 포크(3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크 하우징(310)은 차체(340)의 절단 부분,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포크(320)의 배치는 바람직하게 적절한 정렬을 용이하게하도록 경사지는 돌출부(335)와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도 6은 차축(330)에 90°로 완전히 맞물린 포크(32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포크(320)는 포크 하우징(310)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포크(320)의 배치는 돌출부(335) 위에서 발생한다.
도 7 및 도 8은 차축(330)을 따르는 측면 운동에 의한 포크(320)의 전개를 도시한다.
도 7은 3 개의 차축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측면 경로를 따라 완전히 분리된 포크(3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크(320)는 차축(330)을 따라 측면으로 전개될 준비가 된다. 포크 하우징(338)은 차체(340),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절단 부분에 도시된다. 포크 하우징(338)은 측면 운동에 적합하다. 차축(330)에는 돌출부(335)가 형성되거나 끼워진다. 돌출부(335)는 이미 사용 중인 기존의 자동차에 대해서 용접 밴드에 추가되거나, 차축(330)에 볼트로 고정되거나 달리 장착될 수 있다. 돌출부(335)의 밴드는 바람직하게, 차축(330)의 원주 주위에 감싸진 링의 형태이다. 또한, 돌출부(335) 위의 포크(320)의 배치를 보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진동기 요소(315)가 도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3 개의 차축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측면 경로를 따라 완전히 맞물린 포크(3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크 하우징(338)은 차체(340),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절단 부분에 도시된다. 차축(330)에는 돌출부(335)가 형성되거나 끼워진다. 돌출부(335)는 이미 사용 중인 기존의 자동차에 대해서 용접 밴드에 추가되거나, 차축(330)에 볼트로 고정되거나 달리 장착될 수 있다. 돌출부(335)의 밴드는 바람직하게, 차축(330)의 원주 주위에 감싸진 링의 형태이다.
도 9 및 도 10은 돌출부(335) 대신에, 차축(330)에 오목부로서 형성된 평탄한 표면(350)과 맞물리도록 차축(330)에 수직으로 운동하는 포크(320)의 전개를 도시한다.
도 9는 차축(330)에 수직인 연장부의 축을 따라 완전히 분리된 포크(3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크 하우징(360)은 차체(340)의 절단 부분,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포크 하우징(360)은 수직 운동에 적합하다. 여기서, 포크(320)는 기계 가공된 평탄한 표면(355)으로 형성된다. 포크(320)의 배치는 진동자 요소(315)의 도움으로 포크(320)에 형성된 기계 가공된 평탄한 표면(355)과 함께 차축(330)에 형성된 평탄한 표면(350)과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축 로킹 메커니즘은 고정된 기저부 또는 하우징(360)으로부터 차축(330)에 수직으로 연장 및 수축하도록 배열된 포크(320)를 포함한다. 포크 하우징(360)은 하부 캐리지의 임의의 이용 가능한 구역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포크는 약간 개방되어 차축(330)의 평탄한 오목부 표면(350) 위로 미끄러져서 그에 밀착 폐쇄되는 집게 그립(pincer grip)을 제공하는 두 갈래 포크로서 구성된다. 포크(320)의 두 갈래 사이의 폭은 차축(330)의 대향 배치된 평탄한 표면(350) 사이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한다. 포크(320)는 포크 로드(370)로서 연장하고 수축한다. 자동차가 로크되거나 로킹 메커니즘이 맞물릴 때(예를 들어, 키가 점화 장치에서 제거될 때, 추가의 예를 위해 위를 참조), 포크(320)는 차축(330)과 맞물 리도록 하우징(360)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집게/갈래는 평탄한 표면(350)에 끼워 맞춰진다. 차축(330)은 이제 로크되고, 자동차는 이동될 수 없다.
도 10은 차축(330)과 완전히 맞물린 포크(3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크 하우징(360)은 차체(340),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절단 부분에 도시된다.
도 11 내지 도 14는 포크와 반대로 클램프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차축(330)에 대해 클램핑되도록 배열된 한 쌍의 원호 형상의 클램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하우징(37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클램프 하우징(370)은 차체(340),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절단 부분에 도시된다. 차축(330)은 하우징(370)을 통해 연장하고 그 길이를 가로지르는 수직 방향으로 운동 자유도를 가진다.
도 12는 하우징(370) 내에 완전히 포위된 한 쌍의 클램프(375, 376)를 포함한 하우징(370)의 개략적인 사시 저면도이다. 또한, 하우징(370)은 차체(340),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절단 부분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축 로킹 메커니즘은 유압 피스톤 메커니즘(도 13 참조)을 사용하여 하우징(370) 내에서 연장 및 수축되는 클램프-형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370)은 하부 캐리지의 임의의 이용 가능한 구역에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클램프 버전에서, 클램프는 차축(330)에 클램핑되는 원호 형상의 슈(shoe)로 구성된다. 자동차가 로크되거나 차축 로킹 장치가 작동될 때(예를 들어, 점화 장치로부터 키가 제거될 때, 추가의 예를 위해 위를 참조), 클램프(375, 376)는 연장되어 차축(330)에 클램핑된다. 차축(330)은 이제 로크되고 이동될 수 없다.
도 13은 예비-클램핑 위치에 근접한 차축(330)에서 한 쌍의 클램프(375(위) 및 376(아래))의 개략적인 직선의 저면도이다. 클램프(375, 376)는 하우징(370) 내에 완전히 포위된 유압 피스톤(380, 382)에 장착된다.
도 14는 차축(330)에 대한 클램프 위치에서 한 쌍의 클램프(375 및 376)의 개략적인 직선의 저면도이다. 클램프(375, 376) 및 유압 피스톤(380, 382)은 절단도로 도시된 하우징(370) 내에 완전히 포위된다. 또한, 하우징(370)은 차체(340), 바람직하게 차량의 바닥에 부착된 절단 부분에 도시된다. 하향 및 상향 화살표는 각각 유압 피스톤(380 및 382)에 의해 제공된 클램핑 운동을 나타낸다.
전체 차축은 둥근 로드 대신에 임의의 형상(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차축 회전을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한 바이스 메커니즘(vise mechanism)을 위한 장소가 있도록, 돌출부, 오목부 또는 전체 차축을 형성하는 임의의 형상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많은 변형, 수정 및 다른 용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범위에 인용된 바와 같은 청구된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7)

  1. 차축-로킹 시스템으로 제공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로서,
    상기 시스템은:
    차축 연동 수단; 및
    상기 연동 수단에 커플링된 기계적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차축에 맞물려서 차축을 움직이지 않게 하도록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을 기계적으로 위치 설정하여 차량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은:
    차량의 차축에 형성된 평탄한 오목부 표면과 맞물리는 포크, 및
    차축 중 하나에 제공된 돌출부와 맞물리는 포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차축 회전을 방지하고 차량 운동을 방지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을 포위하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연장 및 수축하고 상기 차축에 대하여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형 부재는 차축을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상기 차축의 대향 측에 대해 클램핑하는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브레이크 슈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차축에 근접한 상기 차량 아래의 편리한 위치에 제거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위한 상기 편리한 위치는 차량 하부 캐리지 또는 차량 섀시의 임의의 이용 가능한 구역에 부착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평탄한 오목부 표면 또는 상기 돌출부로 미끄러지는 집게 그립으로서 구성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포크의 갈래 사이의 폭은 차축의 상기 평탄한 오목부 표면 사이의 폭에 대응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또는 클램프를 연장 및 수축시키기 위한 포크 또는 클램프 로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차량이 로크되거나 로킹 메커니즘이 작동될 때(예를 들어, 키가 점화 장치에서 제거될 때), 포크 또는 클램프는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집게/갈래가 상기 평탄한 오목부 표면에 맞물리거나 상기 돌출부에 맞물림으로써, 차축이 로크되고 차량이 이동될 수 없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은:
    자동차의 로킹 해제;
    코드 입력;
    차량 내부의 전용 버튼/작동기를 통한 메커니즘 분리;
    점화 장치에 키를 삽입; 및
    자동차 시동 및/또는 핸드 브레이크 해제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분리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2. 차량 도난 방지 방법으로서,
    차축 연동 수단, 및 상기 연동 수단에 커플링된 기계적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차축-로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차축에 맞물려서 차축을 움직이지 않게 하도록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을 기계적으로 위치 설정하여, 차량의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은:
    차량의 차축에 형성된 평탄한 오목부 표면과 맞물리는 포크, 및
    차량의 차축 중 하나에 제공된 돌출부와 맞물리는 포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차축 회전을 방지하고 차량 운동을 방지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 운동함으로써 상기 차축에 제공된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위치 설정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차축을 따르는 측면 운동에 의해 상기 차축에 제공된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위치 설정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차축에 대한 수직 운동에 의해서 상기 차축에 형성된 상기 평탄한 오목부 표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연동 수단은 클램프-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차축을 클램프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서 상기 클램프-형 부재를 연장 및 수축시키도록 작동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KR1020207022826A 2018-01-07 2019-01-03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200106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14428P 2018-01-07 2018-01-07
US62/614,428 2018-01-07
PCT/IL2019/050013 WO2019135229A1 (en) 2018-01-07 2019-01-03 Vehicle anti-thef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071A true KR20200106071A (ko) 2020-09-10

Family

ID=6714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826A KR20200106071A (ko) 2018-01-07 2019-01-03 차량 도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10070249A1 (ko)
EP (1) EP3735366A4 (ko)
JP (1) JP7279955B2 (ko)
KR (1) KR20200106071A (ko)
CN (1) CN111556830A (ko)
BR (1) BR112020013807A2 (ko)
CA (1) CA3086961A1 (ko)
CL (1) CL2020001801A1 (ko)
JO (1) JOP20200170A1 (ko)
MX (1) MX2020007278A (ko)
RU (1) RU2020126269A (ko)
WO (1) WO20191352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2171A (en) * 1919-11-18 Motor-actuated locking device for automobiles
US1668395A (en) * 1926-05-24 1928-05-01 Arthur H Hough Shaft lock for automobiles
DE1078460B (de) * 1956-10-06 1960-03-24 Huelsbeck & Fuerst Sicherungsvorrichtung gegen Diebstahl von Kraftfahrzeugen
US3002370A (en) * 1958-09-17 1961-10-03 Jr Eugene A La Brie Axle lock
US3695071A (en) * 1971-10-14 1972-10-03 Jon R West Vehicle wheel immobilizing apparatus
DE3213719C2 (de) * 1982-04-14 1984-08-23 Neiman GmbH, 5657 Haan Vorrichtung zum Sperren der Drehbewegung ein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US5315290A (en) * 1992-08-10 1994-05-24 Computron, Inc. Cart theft prevention system
FR2695604B1 (fr) * 1992-09-15 1994-11-18 Michel Godinez Dispositif antivol pour tout véhicule muni d'un organe de direction comportant un arbre rotatif transmettant la commande.
US5673574A (en) * 1996-02-16 1997-10-07 Bertram; Bruce H. Vehicle wheel immobilizing clamp
US5828297A (en) * 1997-06-25 1998-10-27 Cummins Engine Company, Inc. Vehicle anti-theft system
CN2339466Y (zh) * 1998-07-13 1999-09-22 李旭峰 可设置于车轴部位的车锁
JP4184861B2 (ja) * 2003-04-17 2008-11-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イワイヤ方式操舵装置のロック装置
JP2006131043A (ja) * 2004-11-04 2006-05-25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4060817A1 (de) * 2004-12-17 2006-03-16 Daimlerchrysler Ag Blocki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motors
CN200999519Y (zh) * 2007-01-30 2008-01-02 邱志恂 汽车防盗锁
CN201124814Y (zh) * 2007-12-18 2008-10-01 张明建 差速传动式机动车后桥半轴防盗装置
CN201214436Y (zh) * 2008-05-22 2009-04-01 江苏弘盛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带有限向控制装置的人力运输车
FR2934341B1 (fr) * 2008-07-28 2011-01-21 Renault Sas Dispositif de blocage de l'arbre de sortie d'un moteur de vehicule automobile.
ITBA20090039U1 (it) * 2009-07-22 2011-01-23 Roberto Zammito Dispositivo bloccasterzo corazzato per smart (mercedes benz)
DE102010001911A1 (de) * 2010-02-15 2011-08-18 Robert Bosch GmbH, 70469 Lenk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0001914A1 (de) * 2010-02-15 2011-08-18 Robert Bosch GmbH, 70469 Len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5456577B2 (ja) * 2010-05-25 2014-04-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盗難防止装置
DE102010043533A1 (de) * 2010-11-08 2012-05-10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Sperren einer Lenkvorrichtung
CN104989747A (zh) * 2015-07-11 2015-10-21 贵州大学 一种刹车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5366A4 (en) 2021-03-17
JOP20200170A1 (ar) 2019-07-07
RU2020126269A3 (ko) 2022-04-29
JP7279955B2 (ja) 2023-05-23
CA3086961A1 (en) 2019-07-11
RU2020126269A (ru) 2022-02-07
BR112020013807A2 (pt) 2020-12-01
JP2021511239A (ja) 2021-05-06
EP3735366A1 (en) 2020-11-11
CN111556830A (zh) 2020-08-18
MX2020007278A (es) 2020-12-10
CL2020001801A1 (es) 2020-12-11
WO2019135229A1 (en) 2019-07-11
US20210070249A1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0970A (en) Power-assisted steering system
US5520272A (en) Combination manual-automatic hub lock
US20120205183A1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having an electromechanical steering lock
EP1840019B1 (en) Trailer with an auxiliary drive
US3566634A (en) Steering column lock-free wheeling
CN104976344A (zh) 机动车辆变速器的驻车锁定系统和具有其的机动车辆变速器
CN109996704A (zh) 车辆防盗装置
JP201152068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及びスーパーポジションギアを備えた自動車用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10816047B2 (en) Wet parking brake device
US4936120A (en)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s
KR20200106071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EP0470424A1 (en) Means to limit the lock angle of a vehicle's wheels
US20040069025A1 (en) Forward firing shaft lock mechanism
US11118640B2 (en) Wet parking brake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0534713B1 (ko) 유압식 타이어 구조
US4560026A (en) Parking system for an articulated tricycle
EP4001706B1 (en) An interlocking device for a transmission
RU2397072C2 (ru) 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нтробежного тягового уз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048369B2 (ja) ステアリングシヤフトのロック装置
JP2017089765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EP2949553B1 (en) Anti-theft element transformable pedal
JPH0125116Y2 (ko)
US11964639B2 (en) Traveling vehicle
WO2008115940A1 (en) Throttle lever breakaway mechanism
CN106907455A (zh) 一种电控后桥差速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