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474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474A
KR20200104474A KR1020190022605A KR20190022605A KR20200104474A KR 20200104474 A KR20200104474 A KR 20200104474A KR 1020190022605 A KR1020190022605 A KR 1020190022605A KR 20190022605 A KR20190022605 A KR 20190022605A KR 20200104474 A KR20200104474 A KR 2020010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rea
light blocking
window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961B1 (ko
Inventor
유리나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961B1/ko
Priority to US16/778,485 priority patent/US11696469B2/en
Priority to CN202010087867.0A priority patent/CN111613732A/zh
Publication of KR2020010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474A/ko
Priority to US18/201,906 priority patent/US20230301135A1/en
Priority to KR1020230174401A priority patent/KR2023016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표시 모듈, 윈도우, 접착층, 기능층 및 차광층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은 화소와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활성 영역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고, 활성 영역에서 전자 모듈과 중첩하도록 제공된 모듈 홀을 포함한다. 윈도우는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고, 접착층은 표시 모듈 및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한다. 기능층은 표시 모듈 및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한다. 차광층은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기능층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용 전자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그 기능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사용자는 더 넓은 면적의 표시영역 및 더 좁은 면적의 베젤영역을 갖는 전자 장치를 선호한다.
베젤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베젤영역이 생략된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표시영역에 중첩한 카메라 및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표시영역에 중첩한 카메라 및 센서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영역에 제공된 홀의 주변에서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화소와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도록 제공된 모듈 홀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가 정의된 접착층;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된 기능층;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상기 기능층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화소와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도록 제공된 모듈 홀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모듈 홀에 인접하여, 상기 윈도우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윈도우 차광층;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윈도우 차광층 사이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화소와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도록 제공된 모듈 홀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 영역은, 상기 모듈 홀에 인접하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은, 베이스층, 회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을 포함하는 하부 표시기판; 상기 하부 표시기판과 마주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하부 표시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을 결합하고, 차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윈도우와 표시 모듈 사이에 개재된 기능층에 모듈 홀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도록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모듈 홀의 주변 영역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XX'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EA)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A)로써 스마트 폰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EA)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F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FS)은 전자 장치(EA)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으며, 윈도우(100)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EA)의 표시면, 전면, 및 윈도우(100)의 전면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창 및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전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윈도우(100), 표시 모듈(200), 구동 회로부(300), 하우징(400), 및 전자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100)와 하우징(400)은 결합되어 전자 장치(EA)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평면 상에서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평면 상에서"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을 의미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모듈(200)의 비활성 영역(NAA)을 커버하여 비활성 영역(NA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0)에서 베젤 영역(BZA)이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듈 영역(MA)은 후술하는 전자 모듈(500)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장치(EA)는 모듈 영역(MA)을 통해 전자 모듈(500)에 필요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자 모듈(5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영역(MA)은 투과 영역(TA)과 중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젤 영역(BZA)에서 모듈 영역(MA)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영역만큼 베젤 영역(BZA)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b에서는 모듈 영역(MA)이 하나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듈 영역(MA)은 둘 이상의 복수 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모듈 영역(MA)이 투과 영역(TA)의 좌측 상단에 정의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모듈 영역(MA)은 투과 영역(TA)의 우측 상단, 투과 영역(TA)의 중심부, 투과 영역(TA)의 좌측 하단, 또는 투과 영역(TA)의 우측 하단 등 다양한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200)은 윈도우(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는 표시 모듈(200)이 영상을 제공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 모듈(200)은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모듈(200)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을 포함하는 전면(IS)을 포함한다. 활성 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활성 영역(A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적어도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한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활성 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하거나, 외부 입력(TC)을 제공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A)은 베젤 영역(BZA)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A)은 활성 영역(AA)에 인접한다. 비활성 영역(NAA)은 활성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A)에는 활성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200)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에서 평탄한 형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200)이 비활성 영역(NAA)에서 부분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 때, 표시 모듈(200)은 비활성 영역(NAA)에서 전자 장치(EA)의 배면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되어, 이에 따라 전자 장치(EA) 전면에서의 베젤 영역(BZA)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또는, 표시 모듈(200)은 활성 영역(AA)에서 부분적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200)에서 비활성 영역(NAA)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모듈(200)은 표시 패널(210) 및 입력 감지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이 생성하는 영상(IM)은 표시 모듈(200)의 전면(IS)에 표시되고,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된다.
입력 감지층(22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층(220)은 윈도우(100)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TC)은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입력(TC)은 전자 장치(EA)의 표시면(FS)을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터치 동작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EA)의 구조에 따라 표시 장치(EA)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회로부(300)는 표시 패널(210) 및 입력 감지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회로부(300)는 메인 회로 기판(MB), 제1 연성 필름(CF1), 및 제2 연성 필름(C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은 표시 패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성 필름(CF1)은 표시 패널(210)과 메인 회로 기판(MB)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표시 패널(210)의 패드들(표시 패드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은 표시 패널(21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표시 패널(210)에 제공한다. 전기적 신호는 제1 연성 필름(CF1)에서 생성되거나 메인 회로 기판(MB)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제2 연성 필름(CF2)은 입력 감지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성 필름(CF2)은 입력 감지층(220)과 메인 회로 기판(MB)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성 필름(CF2)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입력 감지층(220)의 패드들(감지 패드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연성 필름(CF2)은 입력 감지층(22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 감지층(220)에 제공한다. 전기적 신호는 제2 연성 필름(CF2)에서 생성되거나 메인 회로 기판(MB)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표시 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과 제2 연성 필름(CF2)은 메인 회로 기판(MB)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메인 회로 기판(MB)을 통해 표시 모듈(200)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200)에 있어서, 표시 패널(210)과 입력 감지층(220)은 서로 다른 메인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도 있고, 제1 연성 필름(CF1)과 제2 연성 필름(CF2) 중 어느 하나는 메인 회로 기판(MB)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듈 영역(MA)과 대응되는 표시 모듈(200)의 일 영역은 모듈 영역(MA)과 중첩하지 않는 활성 영역(AA)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10)의 구성들, 및 입력 감지층(220)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영역(MA)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전자 모듈(500)이 모듈 영역(MA)을 통해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모듈 영역(MA)과 대응하는 표시 모듈(200)의 일 영역에 소정의 홀(MH, 이하 모듈 홀)이 정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모듈 홀(MH)은 활성 영역(AA)에 정의되어 표시 모듈(200)을 관통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 및 입력 감지층(220)은 모듈 홀(MH)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즉, 모듈 홀(MH)은 모듈 영역(MA)과 중첩하여 배치된 표시 패널(210)의 구성들 및 입력 감지층(200)의 구성들 모두가 제거되어 정의될 수 있다. 모듈 홀(MH)이 활성 영역(AA) 내에 정의됨으로써, 모듈 영역(MA)은 투과 영역(TA)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전자 모듈(500)은 모듈 홀(MH) 및 모듈 영역(MA)과 중첩할 수 있다. 전자 모듈(500)은 표시 모듈(20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전자 모듈(500)의 적어도 일부는 모듈 홀(MH)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전자 모듈(500)은 모듈 영역(MA)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거나, 모듈 영역(MA)을 통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윈도우(100)와 결합된다. 하우징(400)은 윈도우(10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표시 모듈(200) 및 전자 모듈(5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40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자 장치(EA)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EA)는 표시 모듈(200),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200),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전자 장치(EA)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전자 장치(EA)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표시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도시) 등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제어 모듈(CM), 무선통신 모듈(TM), 영상입력 모듈(IIM), 음향입력 모듈(AIM), 메모리(MM), 및 외부 인터페이스(I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CM)은 전자 장치(E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CM)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200)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200)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IIM)이나 음향입력 모듈(AIM)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TM1)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TM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 모듈(IIM)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모듈(20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AIM)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외부 인터페이스(IF)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및 카메라 모듈(CM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표시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AOM)은 무선통신 모듈(TM)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MM)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LRM)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M)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500)은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의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500)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카메라 모듈(CMM), 열 감지 모듈 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500)은 모듈 영역(MA)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모듈 영역(MA)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 또는 적외광 등의 광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500)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XX` 영역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10)은 베이스층(BL),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신호 배선들(GL, DL, PL), 및 복수의 표시 패드들(PDD)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의 활성 영역(A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활성 영역(NAA)은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표시 패널(210)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이 표시되었다. 활성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절연 필름, 또는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활성 영역(AA)은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제2 영역(AR2)은 제1 영역(AR1)을 에워쌀 수 있다. 제2 영역(AR2)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며, 비활성 영역(NAA)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제2 영역(AR2)에 대응하여 베이스층(BL) 위에는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R1)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 상에서 모듈 영역(MA)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AR1)의 내측에는 모듈 홀(MH)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모듈 홀(MH)은 표시 패널(210)의 구성들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형성되며, 모듈 영역(MA)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영역(AR1)은 모듈 홀(MH)을 에워쌀 수 있다.
베이스층(BL)의 제1 영역(AR1) 위에는 영상을 제공하는 화소들(PX)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영역(AA)에서 제1 영역(AR1)은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베이스층(BL)의 제2 영역(AR2) 위에는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영역(AA)에서 제2 영역(AR3)은 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표시 영역(AR2)에 의해 둘러싸인 비표시 영역(AR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AR1)은 전자 장치(EA)의 모듈 영역(MA, 도 1b 참조)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영역(AA)의 외곽에 모듈 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별도의 영역이 생략되어, 비활성 영역(NAA), 즉 베젤 영역(BZA)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배선들(GL, DL, PL)은 화소들(PX)에 연결되어 화소들(PX)에 전기적 신호들을 전달한다. 표시 패널(210)에 포함되는 신호 배선들 중 스캔 배선(GL), 데이터 배선(DL), 및 전원 배선(P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신호 배선들(GL, DL, PL)은 초기화 전압 배선, 발광 제어 배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신호 배선들(GL, DL, PL)은 베이스층(BL)의 제2 영역(AR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PX)의 등가 회로도를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화소(PX)는 제1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P), 제2 트랜지스터(TR2), 및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화소(PX)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스캔 배선(GL)을 통해 전달된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배선(DL)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커패시터(CP)는 제1 트랜지스터(TR1)와 전원 배선(PL)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P)는 제1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와 전원 배선(PL)에 인가된 제1 전원 신호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하량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1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P), 및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커패시터(CP)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TR2)의 턴-온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턴-온 시간 동안 전원 배선(PL)을 통해 전달된 제1 전원 신호를 발광 소자(OLED)에 제공한다.
발광 소자(OLE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시키거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OLED)는 유기발광소자 또는 양자점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전원 단자(VSS)와 연결되어 전원 배선(PL)이 제공하는 제1 전원 신호와 상이한 전원 신호(이하, 제2 전원 신호)를 제공받는다. 발광 소자(OLED)에는 제2 트랜지스터(TR2)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와 제2 전원 신호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발광 소자(OLED)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화소(PX)는 다양한 구성과 배열을 가진 전자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드들(PDD)은 제1 패드(D1) 및 제2 패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D1)는 복수로 구비되어 데이터 배선들(DL)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D2)는 전원 배선(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표시 패드들(PDD)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들을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드들(PDD)은 제1 패드(D1) 및 제2 패드(D2) 외에 다른 전기적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220)은 표시 패널(210, 도 1b 참조)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층(220)은 표시 패널(210) 위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고, 표시 패널(210)과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입력 감지층(220)은 표시 패널(210)을 형성한 후 연속 공정에 의해 표시 패널(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입력 감지층(220)은 표시 패널(210)과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220)은 제1 감지 전극(TE1), 제2 감지 전극(TE2), 복수의 감지 배선들(TL1, TL2, TL3), 및 복수의 감지 패드들(PDT)을 포함한다.
제1 감지 전극(TE1) 및 제2 감지 전극(TE2)은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다. 입력 감지층(220)은 제1 감지 전극(TE1) 및 제2 감지 전극(TE2)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TC, 도 1a 참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TE1)은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1 연결 패턴들(BP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패턴(BP1)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 패턴들(SP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TE2)은 제2 감지 패턴들(SP2) 및 제2 연결 패턴들(BP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패턴(BP2)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 패턴들(SP2)에 연결될 수 있다.
감지 배선들(TL1, TL2, TL3)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다. 감지 배선들(TL1, TL2, TL3)은 제1 감지 배선(TL1), 제2 감지 배선(TL2), 및 제3 감지 배선(T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배선(TL1)은 제1 감지 전극(TE1)에 연결된다. 제2 감지 배선(TL2)은 제2 감지 전극(TE2)의 일 단에 연결된다. 제3 감지 배선(TL3)은 제2 감지 전극(TE2)의 타 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2 감지 전극(TE2)의 타 단은 제2 감지 전극(TE2)의 일 단과 대향된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감지 전극(TE2)은 제2 감지 배선(TL2) 및 제3 감지 배선(TL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감지 전극(TE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진 제2 감지 전극(TE2)에 대하여 영역에 따른 감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3 감지 배선(TL3)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 패드들(PDT)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다. 감지 패드들(PDT)은 제1 감지 패드(T1), 제2 감지 패드(T2), 및 제3 감지 패드(T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패드(T1)는 제1 감지 배선(TL1)에 연결되어 제1 감지 전극(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감지 패드(T2)는 제2 감지 배선(TL2)에 연결되고 제3 감지 패드(T3)은 제3 감지 배선(TL3)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감지 패드(T2) 및 제3 감지 패드(T3)는 제2 감지 전극(T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입력 감지층(220)의 구성들 중 일부는 모듈 영역(M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전극(TE1)의 일부 및 제2 감지 전극(TE2)의 일부 중 적어도 일부는 모듈 영역(MA)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영역(MA)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제1 감지 전극(TE1)은 일부가 제거된 형상의 제1 감지 패턴을 포함하고, 제2 감지 전극(TE2)은 일부가 제거된 형상의 제2 감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영역(MA)과 중첩하는 영역의 감지 전극들(TE1, TE2) 중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제1 감지 전극(TE1)이나 제2 감지 전극(TE2)에 의해 전자 모듈(500, 도 1b 참조)이 가려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모듈(500)의 센싱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윈도우(WM)는 전자 장치(EA)의 전면을 제공한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200)의 전면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20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전자 장치(EA)의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 영역(TA)은 표시 영역(DA)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표시 영역(D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이미지(IM)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베젤층(BZ)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젤층(BZ)은 베젤 영역(BZA)을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WM) 중 베젤층(BZ)이 배치된 영역은 베젤 영역(BZA)으로 정의되고, 베젤층(BZ)으로부터 노출된 영역은 투과 영역(T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베젤층(BZ)은 소정의 무늬를 제공하는 패턴층 및 무채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층은 헤어라인이라 지칭되는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무채색층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층(BZ)은 증착, 프린트,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윈도우 차광층(WB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차광층(WBM)은 윈도우(WM)의 배면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윈도우 차광층(WBM)은 차광성이 높은 컬러로 인쇄될 수 있으며 차광성을 갖는 물질이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윈도우 차광층(WBM)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차광층(WBM)은 전자 장치(EA)의 모듈 영역(MA)과 중첩하도록 형성되고, 모듈 홈(MH)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윈도우 차광층(WBM)은 모듈 홈(MH) 주변 영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모듈 홈(MH)을 통해 누설되는 광이 모듈 홈(MH) 주변 영역으로 새어나와 외부로 시인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EA)의 모듈 영역(MA)은 모듈 홈(MH)에 대응하는 중심 영역(CA)과 윈도우 차광층(WBM)이 제공되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차광층(WBM)은 주변 영역(P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주변 영역(PA)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 차광층(WBM)과 윈도우(WM) 사이 또는 윈도우 차광층(WBM)과 표시 모듈(200) 사이에는 안티글래어(antiglare)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안티글래어층은 모듈 홀(MH)의 주변 영역(PA)에 제공되어 주변 영역(PA)에서 새어나오는 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윈도우(WM)와 표시 모듈(20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기능층(F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기능층(FL)은 외광 반사를 차단하는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전자 장치(EA)의 전면(FS)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이 표시 모듈(200)을 구성하는 소자들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편광필름 및/또는 위상지연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의 동작 원리에 따라 위상지연필름의 개수와 위상지연필름의 위상지연 길이(λ/4 또는 λ/2)가 결정될 수 있다.
윈도우(WM)와 기능층(FL)은 제1 접착층(AL1)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액상의 접착물질이 도포된 후, 경화되어 제조된 접착층이거나, 별도로 제조된 접착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AL1)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에는 모듈 홀(MH)에 대응하여 제1 개구부(OP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접착층(AL1)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모듈 영역(MA)의 중심 영역(CA)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제1 개구부(OP1)는 표시 모듈(200)의 모듈 홀(MH)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개구부(OP1)의 직경은 모듈 홀(MH)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은 표시 모듈(200)의 모듈 홀(MH)과 함께 전자 모듈(5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층(FL)은 제1 접착층(AL1)에 의해 윈도우(WM)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기능층(FL)에는 모듈 홀(MH)에 대응하여 제2 개구부(O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기능층(FL)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모듈 영역(MA)의 중심 영역(CA)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OP2)는 모듈 홀(MH)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개구부(OP2)의 직경은 모듈 홀(MH)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는 표시 모듈(200)의 모듈 홀(MH)과 함께 전자 모듈(5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주변에는 차광층(LBL)이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LBL)은 모듈 영역(MA)의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차광층(LBL)은 기능층(FL)의 상면에 인쇄, 증착 또는 코팅 방식으로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일 수 있다. 차광층(LBL)은 차광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금속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LBL) 및 윈도우 차광층(WBM)은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차광층(LBL)은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LBL)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1)은 윈도우 차광층(WBM)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차광층(LBL)이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광층(LBL)은 윈도우 차광층(WB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차광층(LBL)은 모듈홀(MH)의 주변 영역(즉, 제1 영역(AR1))에 중첩하도록 형성되어, 제1 영역(AR1)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광층(LBL)과 기능층(FL) 사이에 또는 차광층(LBL)과 제1 접착층(AL1) 사이에는 안티글래어(antiglare)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안티글래어층은 주변 영역(PA)으로 새어나오는 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능층(FL)은 제2 접착층(AL2)을 통해 표시 모듈(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은 액상의 접착물질이 도포된 후, 경화되어 제조된 접착층이거나, 별도로 제조된 접착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층(AL2)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에는 모듈 홀(MH)에 대응하여 제3 개구부(OP3)가 정의될 수 있다. 제3 개구부(OP3)는 제2 접착층(AL2)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모듈 영역(MA)의 중심 영역(CA)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제3 개구부(OP3)는 표시 모듈(200)의 모듈 홀(MH)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3 개구부(OP3)의 직경은 모듈 홀(MH)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는 표시 모듈(200)의 모듈 홀(MH)과 함께 전자 모듈(5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 홀(MH)은 표시 모듈(DD)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모듈 홀(MH)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HA)와 중첩하고, 모듈 영역(MA)의 중심 영역(CA)과 중첩할 수 있다. 모듈 홀(MH)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HA)와 함께 전자 모듈(5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 전자 모듈(500)이 삽입되어 전자 모듈(5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 및 모듈 홀(MH)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가 모듈 홀(MH)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가 모듈 홀(MH)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모듈 홀(MH)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진행할수록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의 직경이 증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능층(FL)에는 모듈 홀(MH)에 대응하여 제2 개구부(O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주변에는 제1 및 제2 차광층(LBL)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층(LBL1)은 기능층의 상면에 구비되고, 모듈 영역(MA)의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차광층(LBL2)은 기능층의 하면에 구비되고, 모듈 영역(MA)의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은 기능층(FL)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은 인쇄, 증착 또는 코팅 등의 방식으로 기능층(FL)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은 차광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금속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은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이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은 윈도우 차광층(WB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제1 차광층(LBL1)은 윈도우 차광층(WB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고, 제2 차광층(LBL2)은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안티글래어층(antiglare)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전자 장치(EA)는 기능층(FL)의 하면에 제공된 차광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윈도우(WM)는 모듈 영역(MA)에 구비된 윈도우 차광층(WB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영역(MA)은 모듈 홀(MH)에 대응하는 중심 영역(CA) 및 중심 영역(CA)의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윈도우 차광층(WBM)은 주변 영역(PA)에서 윈도우(WM)의 배면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윈도우 차광층(WBM)은 차광성이 높은 컬러로 인쇄될 수 있으며 차광성을 갖는 물질이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윈도우(WM)와 표시 모듈(200) 사이에는 제3 방향(DR1)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접착층(AL2), 기능층(FL) 및 제1 접착층(AL1)이 구비된다. 모듈 홀(MH)에 대응하여 제1 접착층(AL1)에는 제1 개구부(OP1)가 제공되고, 기능층(FL)에는 제2 개구부(OP2)가 제공되며, 제2 접착층(AL2)에는 제3 개구부(OP3)가 제공된다.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는 모듈 홀(MH)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의 직경은 모듈 홀(MH)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는 모듈 영역(MA)의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은 표시 모듈(200)의 모듈 홀(MH)과 함께 전자 모듈(5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의 내측에는 차광층(BIL)이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BIL)은 모듈 영역(MA)의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차광층(LBL)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에 의해서 노출된 표시 모듈(200)의 상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BIL)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BIL) 및 윈도우 차광층(WBM)은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차광층(BIL)은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BIL)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1)은 윈도우 차광층(WBM)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차광층(BIL)이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광층(BIL)은 윈도우 차광층(WB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모듈 홀(MH)은 표시 모듈(2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모듈 홀(MH)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와 중첩하고, 모듈 영역(MA)의 중심 영역(CA)과 중첩할 수 있다. 모듈 홀(MH)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와 함께 전자 모듈(5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 전자 모듈(500)이 삽입되어 전자 모듈(5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표시 모듈(200)의 모듈 홀(MH) 주변에 정의된 제1 영역(AR1) 상에 차광층(BIL)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BIL)은 표시 모듈(200)의 상면에 제2 접착층(AL2)을 통해 기능층(FL)이 부착된 상태에서 잉크젯을 분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표시 모듈(200)의 제1 영역(AR1)에 대응하여 표시 모듈(200)의 상면에 잉크젯을 분사하여 차광층(BIL)을 형성한 후, 제2 접착층(AL2)을 통해 기능층(FL)을 표시 모듈(2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차광층(BIL)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의 내측 영역 중 윈도우 차광층(WBM)와 표시 모듈(200) 사이에 배치된다. 차광층(BIL)은 모듈 홀(MH)의 주변 영역(즉, 제1 영역(AR1))에 중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영역(AR1)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층(BIL)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OP1~OP3)의 내측 영역에 제공되므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차광층들(LBL, LBL1, LBL2)보다 제3 방향(DR3)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층(BIL)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차광층들(LBL, LBL1, LBL2)보다 높은 차광 성능을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제1 영역(AR1)에서의 빛샘 현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2)에서, 윈도우(WM)는 제1 모듈 영역(MA1) 및 제2 모듈 영역(MA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A2)는 제1 모듈 영역(MA1)의 구조는 도 6 내지 도 10에 구비된 모듈 영역(MA)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제1 모듈 영역(MA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EA2)는 제2 모듈 영역(MA2)에 배치된 제2 윈도우 차광층(WBM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듈 영역(MA2)은 제2 모듈 홀(MH2)에 대응하는 윈도우 모듈 홀(WMH) 및 윈도우 모듈 홀(WMH)의 주변 영역(PA2)을 포함한다. 제2 윈도우 차광층(WBM2)은 주변 영역(PA2)에서 윈도우(WM)의 배면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제2 윈도우 차광층(WBM2)은 차광성이 높은 컬러로 인쇄될 수 있으며 차광성을 갖는 물질이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윈도우(WM)와 표시 모듈(200) 사이에는 제3 방향(DR1)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접착층(AL2), 기능층(FL) 및 제1 접착층(AL1)이 구비된다. 제2 모듈 홀(MH2)에 대응하여 제1 접착층(AL1)에는 제4 개구부(OP4)가 제공되고, 기능층(FL)에는 제5 개구부(OP5)가 제공되며, 제2 접착층(AL2)에는 제6 개구부(OP6)가 제공된다. 제4 내지 제6 개구부(OP4~OP6)는 제2 모듈 홀(MH2) 및 윈도우 모듈 홀(WMH)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내지 제6 개구부(OP4~OP6)의 직경은 제2 모듈 홀(MH2)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제4 내지 제6 개구부(OP4~OP6)는 제2 모듈 홀(MH2) 및 윈도우 모듈 홀(WMH)과 함께 전자 모듈(6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듈 영역(MA2)에 배치되는 전자 모듈(600)은 제1 모듈 영역(MA1)에 배치되는 전자 모듈(500)과 다른 종류의 전자 모듈일 수 있다. 즉, 윈도우 모듈 홀(WM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스피커 등 음향출력 모듈(AOM, 도 2에 도시됨) 등일 수 있다.
제4 개구부(OP4)의 주변에는 제3 차광층(LBL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차광층(LBL3)은 제2 모듈 영역(MA2)의 주변 영역(PA2)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3 차광층(LBL3)은 기능층(FL)의 상면에 인쇄, 증착 또는 코팅 방식으로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일 수 있다. 제3 차광층(LBL3)은 차광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금속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차광층(LBL3) 및 윈도우 차광층(WBM)은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차광층(LBL3)은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차광층(LBL3)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1)은 윈도우 차광층(WBM)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차광층(LBL3)이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3 차광층(LBL3)은 윈도우 차광층(WB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제2 모듈 홀(MH2)은 표시 모듈(DD)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2 모듈 홀(MH2)은 제4 내지 제5 개구부(OP4~OP6)와 중첩하고, 제2 모듈 영역(MA2)의 윈도우 모듈 홀(WMH)과 중첩할 수 있다. 모듈 홀(MH)은 제4 내지 제6 개구부(HA) 및 윈도우 모듈 홀(WMH)와 함께 전자 모듈(6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 전자 모듈(600)이 삽입되어 전자 모듈(6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10)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봉지 기판(EC) 및 실링부재(SM)을 포함한다.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베이스층(BL)은 가시광 파장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굴절률이 일정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무기막인 버퍼막(BFL), 제1 중간 무기막(CL1) 및 제2 중간 무기막(CL2)을 포함하고, 유기막인 중간 유기막(CL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제1 트랜지스터(TR1)를 구성하는 반도체 패턴(OSP), 제어전극(GE), 입력전극(DE), 출력전극(SE)의 배치관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제1 내지 제2 콘택홀(CH1 내지 CH2) 역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OLED)를 포함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OLED)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 예컨대 유기물질을 포함한다.
중간 유기막(CL3)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중간 유기막(CL3)을 관통하는 제3 콘택홀(CH3)을 통해 출력전극(SE)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다른 개구부들과 구분하기 위해 발광 개구부로 명명된다.
표시 패널(210)의 표시영역(AR2)은 발광영역(PXA) 및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에워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발광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발광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화소들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소정의 유색 컬러광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과 전자 제어층(ECL)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다. 제2 전극(CE)은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보호층(PIL)이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IL)은 발광 소자(OLED)들의 제2 전극(CE)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층(PIL)은 무기물 예컨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EC)은 제2 전극(CE)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EC)과 제2 전극(CE)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봉지 기판(EC)과 제2 전극(CE) 사이의 공간(GP)은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간(GP)은 실리콘계 폴리머, 에폭시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충진재로 충진될 수도 있다.
봉지 기판(EC)은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봉지 기판(EC)은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봉지 기판(EC)은 가시광 파장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굴절률이 일정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 회로 소자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OLED)의 적층구조는 하부 표시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링부재(SM)는 하부 표시기판과 봉지 기판(EC)을 결합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SM)는 봉지 기판(EC)의 엣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실링부재(SM)는 표시 패널(210)의 비활성 영역(NAA, 도 3에 도시됨)에 중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SM)는 표시 패널(210)의 비표시 영역(AR1)에 중첩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의 비표시영역(AR1)에는 화소(PX)가 형성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210)의 비표시 영역(AR1)은 도 1a에 도시된 전자장치(EA)의 모듈 영역(MA)에 중첩할 수 있다.
봉지 기판(EC)와 실링부재(SM)는 하부 표시기판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링부재(SM)는 베이스층(BL)의 상면과 봉지 기판(EC)의 하면을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실링부재(SM)는 플릿과 같은 무기물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링부재(SM)는 유기물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패널(210)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봉될 수 있기 때문에 강도가 향상되고, 발광소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모듈(200)은 모듈 홀(MH)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영역(AR1)에 대응하여 표시 패널(210)의 상면에 제공된 제4 차광층(LBL4)을 더 포함한다. 특히, 제4 차광층(LBL4)은 봉지 기판(EC)의 상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4 차광층(LBL4)은 봉지 기판(EC)의 상면에 인쇄, 증착 또는 코팅 방식으로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층일 수 있다. 제4 차광층(LBL4)은 차광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금속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차광층(LBL4) 및 윈도우 차광층(WBM)은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4 차광층(LBL4)은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차광층(LBL4)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1)은 윈도우 차광층(WBM)의 제1 방향(DR1) 상에서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차광층(LBL4)이 윈도우 차광층(WBM)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4 차광층(LBL4)은 윈도우 차광층(WB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200)이 제4 차광층(LBL4)을 구비하는 경우, 기능층(FL)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한 면에는 차광층(LBL,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됨)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제4 차광층(LBL4) 및 차광층(LBL)이 전자 장치(EA)에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제4 차광층(LBL4)은 모듈 홀(MH)의 주변 영역(즉, 제1 영역(AR1))에 중첩하도록 형성되어, 제1 영역(AR1)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듈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10)은 표시 패널(210)의 비표시 영역(AR1)에 중첩하는 차광실링부재(BSM)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실링부재(BSM)는 차광성을 갖는 실링부재이다. 차광실링부재(BSM)는 접착부재 및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실링부재(BSM)는 표시 패널(210)의 비활성 영역(NAA, 도 3에 도시됨)과도 중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 예로, 차광실링부재(BSM)는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AR1)에 제공되고, 비활성 영역(NAA)에는 도 14에 도시된 실링부재(SM)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층(FL)의 상면에는 차광층(LBL)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패널(210)에 차광실링부재(BSM)가 채용되는 경우에도, 기능층(FL)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제공된 제1 및 제2 차광층(LBL1, LBL2, 도 8에 도시됨) 및 표시 모듈(200)의 상면에 분사된 차광층(BIL, 도 9 및 도 10에 도시됨)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홈(MH)을 통과하는 광이 모듈 홈(MH)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영역(AR1)으로 새어나오는 현상을 차광실링부재(BSM)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차광층(WBM) 및 차광층(LBL)에 의해서 재차 차단함으로써, 모듈 홈(MH)의 주변 영역(AR1)의 새어나온 광이 외부로 시인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A: 전자 장치 200: 표시 모듈
210: 표시 패널 220: 입력 감지층
MA: 모듈 영역 MH: 모듈 홀
BL: 베이스층 AR1: 제1 영역
AR2: 제2 영역 WM: 윈도우
FL: 기능층 AL1: 제1 접착층
AL2: 제2 접착층 WBM: 윈도우 차광층
LBL, BIL: 차광층 500, 600: 전자 모듈
SM: 실링 부재 BSM: 차광 실링 부재

Claims (20)

  1. 전자 모듈;
    화소와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도록 제공된 모듈 홀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가 정의된 접착층;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된 기능층;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상기 기능층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상기 기능층의 상기 상면에 배치된 제1 차광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기능층의 상기 상면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상기 기능층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표시 모듈과 마주하는 면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에 대응하여 제공된 상기 윈도우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윈도우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차광층의 폭은 상기 차광층의 폭보다 큰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모듈 홀에 대응하여 제공된 윈도우 모듈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차광층은 상기 윈도우 모듈 홀의 주변에 제공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은,
    상기 모듈 홀에 인접하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혼합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은,
    음향출력 모듈, 발광 모듈, 수광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모듈;
    화소와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도록 제공된 모듈 홀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모듈 홀에 인접하여 상기 윈도우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윈도우 차광층;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윈도우 차광층 사이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가 정의된 제1 접착층;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 홀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된 기능층; 및
    상기 기능층과 상기 표시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 홀과 중첩하는 제3 개구부가 정의된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개구부는 상기 모듈 홀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내지 제3 개구부의 내측 영역 중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윈도우 차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혼합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개구부는 상기 모듈 홀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제2 접착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차광층의 폭은 상기 차광층의 폭보다 큰 전자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은,
    상기 모듈 홀에 인접하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모듈;
    화소와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도록 제공된 모듈 홀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상기 모듈 홀에 인접하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지 않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화소가 구비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모듈은,
    베이스층, 회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을 포함하는 하부 표시기판;
    상기 하부 표시기판과 마주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하부 표시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을 결합하고, 차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22605A 2019-02-26 2019-02-26 전자 장치 KR10261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605A KR102611961B1 (ko) 2019-02-26 2019-02-26 전자 장치
US16/778,485 US11696469B2 (en) 2019-02-26 2020-01-31 Electronic device
CN202010087867.0A CN111613732A (zh) 2019-02-26 2020-02-12 电子装置
US18/201,906 US20230301135A1 (en) 2019-02-26 2023-05-25 Electronic device
KR1020230174401A KR20230169910A (ko) 2019-02-26 2023-12-05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605A KR102611961B1 (ko) 2019-02-26 2019-02-26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401A Division KR20230169910A (ko) 2019-02-26 2023-12-05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474A true KR20200104474A (ko) 2020-09-04
KR102611961B1 KR102611961B1 (ko) 2023-12-11

Family

ID=721420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605A KR102611961B1 (ko) 2019-02-26 2019-02-26 전자 장치
KR1020230174401A KR20230169910A (ko) 2019-02-26 2023-12-05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401A KR20230169910A (ko) 2019-02-26 2023-12-05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696469B2 (ko)
KR (2) KR102611961B1 (ko)
CN (1) CN1116137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9325B2 (en) 2020-02-26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489A (ko) * 2020-03-05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220019898A (ko) * 2020-08-10 2022-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77B1 (ko) * 2010-10-29 2012-11-19 애플 인크. 전자 장치를 위한 카메라 렌즈 구조 및 디스플레이 구조
KR20140105149A (ko) * 2013-02-22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27058B1 (ko) * 2012-01-10 2016-06-03 애플 인크. 일체형 카메라 창
KR20170111827A (ko) * 2016-03-29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068B1 (ko) * 2015-09-11 2022-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501111B1 (ko) * 2015-12-28 2023-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57821A (ko) 2016-11-22 2018-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20180083459A (ko) 2017-01-12 2018-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용 마스크 어셈블리
WO2018216545A1 (ja) * 2017-05-22 2018-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KR20170077067A (ko) 2017-06-15 2017-07-05 유지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바닥에서 발생 된 누수부위 보수 시공방법
US11307448B2 (en) * 2018-06-11 2022-04-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8681131B (zh) * 2018-07-27 2021-07-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9031756A (zh) * 2018-08-01 2018-12-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20220118573A (ko) * 2021-02-18 2022-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77B1 (ko) * 2010-10-29 2012-11-19 애플 인크. 전자 장치를 위한 카메라 렌즈 구조 및 디스플레이 구조
KR101627058B1 (ko) * 2012-01-10 2016-06-03 애플 인크. 일체형 카메라 창
KR20140105149A (ko) * 2013-02-22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1827A (ko) * 2016-03-29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9325B2 (en) 2020-02-26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3934A1 (en) 2020-08-27
KR102611961B1 (ko) 2023-12-11
CN111613732A (zh) 2020-09-01
US20230301135A1 (en) 2023-09-21
US11696469B2 (en) 2023-07-04
KR20230169910A (ko)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58444B (zh) 电子面板和包括该电子面板的电子装置
EP3664143B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126263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90132602A (ko) 전자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69910A (ko) 전자 장치
KR20200065187A (ko) 전자 장치
KR20200065161A (ko) 표시 장치
KR20200066473A (ko) 표시 장치
KR20220000013A (ko) 전자 장치
US11842021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1402899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12310167A (zh) 电子设备
KR20210003990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6838A (ko) 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200042071A (ko) 전자 장치
KR20210008238A (ko) 전자 장치
KR20210002232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10121372A (ko) 표시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750390A (zh) 显示面板和显示设备
KR20200138529A (ko) 표시 장치
KR201900530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01578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0544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1382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45655A (ko)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