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573A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573A
KR20220118573A KR1020210021627A KR20210021627A KR20220118573A KR 20220118573 A KR20220118573 A KR 20220118573A KR 1020210021627 A KR1020210021627 A KR 1020210021627A KR 20210021627 A KR20210021627 A KR 20210021627A KR 20220118573 A KR20220118573 A KR 20220118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window
module
display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동익
이우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573A/ko
Priority to US17/591,500 priority patent/US20220263054A1/en
Priority to CN202210122187.7A priority patent/CN114979323A/zh
Publication of KR2022011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윈도우는 제1 영역, 제1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영역, 및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및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1 나노 섬유;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 WINDOW,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개구부가 정의된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모듈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 장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에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화질의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전자 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카메라 모듈 등을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본 발명은 냄새 입자를 통과시키는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향기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1 나노 섬유;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한 제1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제2 영역에만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제1 나노 섬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는 제4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나노 섬유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4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하는 나노 섬유;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나노 섬유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및 상기 나노 섬유 사이에 배치된 차광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노 섬유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1 나노 섬유;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한 제1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제1 나노 섬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에는 관통홀이 정의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며, 냄새 입자를 포함하는 향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전자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모듈은 카메라 모듈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4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냄새 입자를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I-I'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50영역에 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도 8a의 II-II'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이다.
도 8d는 도 8a의 60영역에 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윈도우(100) 및 표시장치(DD)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DD)로써 스마트 폰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F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것일 수 있다. 표시면(F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면(FS)은 표시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으며, 윈도우(100)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표시장치(DD)의 표시면, 전면, 및 윈도우(100)의 전면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 창 및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윈도우(100), 표시모듈(200), 구동 회로부(300), 하우징(400), 전자 모듈(500) 및 향기 카트리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100)와 하우징(400)은 결합되어 표시장치(DD)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표시패널(210) 및 입력센서(22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1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10)의 표시 영역은 표시모듈(200)의 활성 영역(AA)에 대응될 수 있고, 비표시 영역은 표시모듈(200)의 비활성 영역(NAA)에 대응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패널(21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패널(210)과 윈도우(100) 사이에는 입력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와 표시모듈(200) 사이에는 접착층(ADL) 및 반사방지층(POL)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ADL)은 광학투명접착층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층(POL)은 선편광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지연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선편광층은 제공된 광을 일 방향으로 선 편광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지연층 및 λ/4 위상지연층일 수 있다. 반사방지층(POL)은 외부광에 의한 반사 현상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평면 상에서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표시 영역에 해당할 수 있고, 베젤 영역(BZA)은 비표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평면 상에서"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을 의미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모듈(200)의 비활성 영역(NAA)을 커버하여 비활성 영역(NA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0)에서 베젤 영역(BZA)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능영역(MA)은 후술하는 전자 모듈(500) 및 향기 카트리지(600)와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기능영역(MA)을 통해 전자 모듈(500)에 필요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자 모듈(5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기능영역(MA)을 통해서 향기 카트리지(600)로부터 확산되는 냄새 입자를 외부에 제공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영역(MA)은 투과 영역(TA)과 중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기능영역(MA)이 1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능영역(MA)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기능영역(MA)이 투과 영역(TA)의 우측 상단에 정의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능영역(MA)은 투과 영역(TA)의 좌측 상단, 투과 영역(TA)의 중심부, 투과 영역(TA)의 좌측 하단, 또는 투과 영역(TA)의 우측 하단 등 다양한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기능영역(MA)에 대응하여 윈도우(100)에 제1 기능영역(MA-100)이 정의되고, 표시모듈(200)에 제2 기능영역(MA-200)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기능영역(MA-100) 및 제2 기능영역(MA-200)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윈도우(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아래"는 표시모듈(200)이 영상을 제공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을 포함하는 전면(IS)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 영역(A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적어도 활성 영역(AA)과 중첩한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활성 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하거나, 외부 입력(TC)을 제공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A)은 베젤 영역(BZA)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A)은 활성 영역(AA)에 인접하여 활성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A)에는 활성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모듈(200)은 예시적으로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에서 평탄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모듈(200)은 비활성 영역(NAA)에서 부분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 때, 표시모듈(200)은 비활성 영역(NAA)에서 표시장치(DD)의 배면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되어, 이에 따라 표시장치(DD) 전면에서의 베젤 영역(BZA)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또는, 표시모듈(200)은 활성 영역(AA)에서 부분적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비활성 영역(NAA)은 표시모듈(2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표시패널(210) 및 입력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10)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210)이 생성하는 영상(IM)은 표시모듈(200)의 전면(IS)에 표시되고,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입력센서(2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입력센서(220)는 윈도우(100)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입력(TC)은 사용자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입력(TC)은 표시장치(DD)의 표시면(FS)을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터치 동작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표시장치(DD)의 구조에 따라 표시장치(D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회로부(300)는 표시패널(210) 및 입력센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회로부(300)는 메인 회로 기판(MB), 제1 연성 필름(CF1), 및 제2 연성 필름(C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은 표시패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성 필름(CF1)은 표시패널(210)과 메인 회로 기판(MB)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표시패널(210)의 패드들(표시 패드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은 표시패널(21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표시패널(210)에 제공한다. 전기적 신호는 제1 연성 필름(CF1)에서 생성되거나 메인 회로 기판(MB)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제2 연성 필름(CF2)은 입력센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성 필름(CF2)은 입력센서(220)와 메인 회로 기판(MB)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성 필름(CF2)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입력센서(220)의 패드들(감지 패드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연성 필름(CF2)은 입력센서(220)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센서(220)에 제공한다. 전기적 신호는 제2 연성 필름(CF2)에서 생성되거나 메인 회로 기판(MB)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표시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 필름(CF1)과 제2 연성 필름(CF2)은 메인 회로 기판(MB)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메인 회로 기판(MB)을 통해 표시모듈(200)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200)에 있어서, 표시패널(210)과 입력센서(220)는 서로 다른 메인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도 있고, 제1 연성 필름(CF1)과 제2 연성 필름(CF2) 중 어느 하나는 메인 회로 기판(MB)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기능영역(MA-200)과 대응되는 표시모듈(200)의 일 영역은 제2 기능영역(MA-200)과 중첩하지 않는 활성 영역(AA)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210)의 구성들, 및 입력센서(220)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능영역(MA-200)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전자 모듈(500)이 기능영역(MA-100, MA-200)을 통해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2 기능영역(MA-200)과 대응하는 표시모듈(200)의 일 영역에 소정의 홀(MH, 이하 모듈 홀)이 정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모듈 홀(MH)은 활성 영역(AA)에 정의되어 표시모듈(200)을 관통할 수 있다. 표시패널(210) 및 입력센서(220)는 모듈 홀(MH)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즉, 모듈 홀(MH)은 제2 기능영역(MA-200)과 중첩하여 배치된 표시패널(210)의 구성들 및 입력센서(220)의 구성들 모두가 제거되어 정의될 수 있다. 모듈 홀(MH)이 활성 영역(AA) 내에 정의됨으로써, 기능영역(MA, 도 1 참조)은 투과 영역(TA)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기능영역(MA, 도 1 참조)에 대응하여 접착층(ADL) 및 반사방지층(POL)에 소정의 홀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ADL)에는 제1 기능홀(MH-ADL)이 정의되고, 반사방지층(POL)에는 제2 기능홀(MH-POL)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기능홀(MH-ADL) 및 제2 기능홀(MH-POL)은 기능영역(MA, 도 1 참조)과 중첩하는 것일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전자 모듈(500) 및 향기 카트리지(600)는 모듈 홀(MH), 제1 기능홀(MH-ADL), 제2 기능홀(MH-POL) 및 기능영역(MA, 도 1 참조)과 중첩할 수 있다. 전자 모듈(500) 및 향기 카트리지(600) 각각은 표시모듈(20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자 모듈(500) 및 향기 카트리지(600)는 모듈 홀(MH)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모듈(500)은 윈도우(100) 및 표시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술할 신호 투과영역(STA)에 중첩할 수 있다. 전자 모듈(500)은 기능영역(MA-100, MA-200)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거나, 기능영역(MA, 도 1 참조)을 통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모듈(500)은 카메라 모듈, 적외선 센서 또는 포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향기 카트리지(600)는 윈도우(100) 및 표시패널(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술할 차광 패턴 영역(BMA)에 중첩할 수 있다. 향기 카트리지(60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모듈(500)을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향기 카트리지(600)는 기능영역(MA, 도 1 참조)을 통해 외부로 냄새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기 카트리지(600)는 윈도우(100) 전면(FS) 또는 사용자에게 냄새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향기 카트리지(600)는 향수 입자 또는 알코올 입자 등의 냄새 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향기 카트리지(600)는 예를 들어 냄새 입자를 포함하는 시트(she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향기 카트리지(600)의 냄새 입자는 윈도우(100)에 형성된 미세한 개구부를 통해서 윈도우(10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뒤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하우징(400)은 윈도우(100)와 결합된다. 하우징(400)은 윈도우(10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 및 전자 모듈(5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40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표시장치(DD)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200),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표시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표시장치(D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표시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도시) 등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제어 모듈(CM), 무선통신 모듈(TM), 영상입력 모듈(IIM), 음향입력 모듈(AIM), 메모리(MM), 및 외부 인터페이스(I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CM)은 표시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CM)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표시모듈(200)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제어 모듈(CM)은 표시모듈(200)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IIM)이나 음향입력 모듈(AIM)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TM1)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TM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 모듈(IIM)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모듈(20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AIM)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외부 인터페이스(IF)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카메라 모듈(CMM), 및 향기 모듈(PF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표시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AOM)은 무선통신 모듈(TM)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MM)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LRM)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M)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모듈(500)은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의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500)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카메라 모듈(CMM), 열 감지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모듈(500)은 기능영역(MA-100, MA-200)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기능영역(MA-100, MA-200)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 또는 적외광 등의 광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500)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향기 모듈(PFM)은 향기 카트리지(60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냄새 입자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기 모듈(PFM)은 향기 카트리지(600)를 통해서 윈도우(100) 밖으로 냄새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기 모듈(PFM)은 후술할 윈도우(100)의 개구부(OP1, OP2)를 통해서 외부로 냄새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향기 모듈(PFM)은 향기 카트리지(600)의 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0)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I-I'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윈도우(100)의 전면(FS)은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제1 서브 영역(TA1) 및 제2 서브 영역(T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TA2)은 도 2에 도시된 제1 기능영역(MA-100)에 해당한다. 제1 서브 영역(TA1)은 제2 서브 영역(TA2)을 둘러싸고, 이미지가 투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서브영역(TA2)은 이미지가 투과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TA2)은 광신호 투과영역(STA) 및 광신호 투과영역(STA)에 인접한 주변영역인 차광 패턴 영역(BM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의 기능영역(MA)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100) 아래에 접착층(ADL), 반사방지층(POL), 및 표시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표시패널(210) 및 입력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10)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및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또는 합성 수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베이스층은 가시광 파장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굴절률이 일정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의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는 신호라인,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을, 예컨대 유기물질을 포함한다.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밀봉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하, 봉지 유기막) 및 적어도 하나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무기막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봉지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봉지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봉지 유기막은 아크릴 계열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센서(220)는 표시패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센서(220)는 표시패널(210) 위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고, 표시패널(210)과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입력센서(220)는 표시패널(210)을 형성한 후 연속 공정에 의해 표시패널(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10) 및 입력센서(220)에는 모듈 홀(MH)이 정의될 수 있다.
접착층(ADL) 및 반사방지층(POL)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윈도우(100)는 윈도우 베이스(WP) 및 제1 나노 섬유(NW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베이스(WP)는 유리기판과 같은 투명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윈도우 베이스(WP)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베이스(WP)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한다. 윈도우 베이스(WP)의 제1 영역 내지 제 4 영역은 전술한 윈도우(100)의 영역들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윈도우(100)의 신호 투과 영역(STA)에 대응되고, 제2 영역은 차광 패턴 영역(BMA)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영역은 제1 서브 영역(TA1)에 대응되고, 제4 영역은 베젤 영역(BZA)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 상에서 제2 영역은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제3 영역은 제2 영역을 둘러싸고, 제4 영역은 제3 영역을 둘러싼다.
윈도우 베이스(WP)에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가 형성된다. 복수의 제 1개구부(OP1)는 차광 패턴 영역(BMA)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윈도우 베이스(WP)에 레이저를 가공하여 형성된 미세 홀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OP1)는 외부에 노출된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OP1)를 통해서 향기 카트리지(600, 도 1 참조)의 냄새 입자들이 윈도우(10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 베이스(WP) 하부에, 복수의 제1 개구부(OP1)와 중첩하게 배치된 제1 나노 섬유(NW1)를 포함한다. 제1 나노 섬유(NW1)는 차광 패턴 영역(BMA)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나노 섬유(NW1)는 초극세 섬유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나노 멤브레인(nano-membrane)일 수 있다. 제1 나노 섬유(NW1)의 포어(pore)는 직경이 약 300um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나노 섬유(NW1)는 방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물방울과 같이 큰 입자는 제1 나노 섬유(NW1)를 통과할 수 없지만, 냄새 입자와 같이 작은 입자 또는 기체는 제1 나노 섬유(NW1)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100)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가 정의된 윈도우 베이스(WP) 아래에 제1 나노 섬유(NW1)를 포함하여, 우수한 방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향기 카트리지(600)에서 확산된 냄새 입자는 제1 나노 섬유(NW1)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윈도우(100)는 윈도우 베이스(WP)에 제1 개구부(OP1)를 포함하여 방수 기능은 유지하면서, 표시장치(DD) 밖으로 냄새 입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100)는 윈도우 베이스(WP) 및 제1 나노 섬유(NW1) 사이에 배치된 제1 차광 패턴(BM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BM1)은 블랙 매트릭스 등의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BM1)은 투과영역(TA) 중 차광 패턴 영역(BM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BM1)은 차광 패턴 영역(BMA)에만 배치되고, 신호 투과 영역(STA)에는 비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BM1)은 내측에 신호 투과영역(STA)을 제공할 수 있다.
차광 패턴 영역(BMA)은 제1 차광 패턴(BM1), 제1 나노 섬유(NW1) 및 복수의 제1 개구부(OP1)에 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패턴 영역(BMA)은 윈도우(100)의 심미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냄새 입자를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 홀(MH), 제1 기능홀(MH-ADL), 및 제2 기능홀(MH-POL)은 신호 투과 영역(STA)에 중첩하고, 차광 패턴 영역(BMA)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할 수 있다.
모듈 홀(MH), 제1 기능홀(MH-ADL), 및 제2 기능홀(MH-POL) 내에 전자 모듈(500) 및 향기 카트리지(6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모듈(500)은 윈도우(100) 하부에 배치되고 신호 투과 영역(STA)에 중첩할 수 있다. 향기 카트리지(600)는 윈도우(100) 하부에 배치되고 차광 패턴 영역(BMA)에 중첩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100-1)는 별도의 차광 패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제1 나노 섬유(NW1-1)에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 물질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제1 나노 섬유(NW1-1)가 차광 패턴 영역(BMA)에 배치됨에 따라, 차광 패턴 영역(BMA)은 차광 기능 및 방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차광 패턴을 포함하지 않아 표시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이외의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5a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0)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50영역에 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측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평면 상에서 차광 패턴 영역(BMA)에 제1 차광 패턴(BM1)이 중첩하고, 베젤 영역(BZA)에 제2 차광 패턴(BM2)이 중첩할 수 있다. 제2 차광 패턴(BM2)은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차광 패턴(BM2)은 제1 차광 패턴(BM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b는 차광 패턴 영역(BMA)의 일부인 50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차광 패턴 영역(BMA)에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제1 개구부(OP1)는 윈도우(100)의 전면(FS)에 노출된 것일 수 있다.
도 6b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제1 개구부(OP1)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향기(PF)가 복수의 제1 개구부(OP1)를 통해서 표시장치(DD) 밖으로 확산될 수 있다. 향기(PF)는 향기 카트리지(600)에서 확산된 냄새 입자의 일 예시일 수 있다.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향기 카트리지(600)에서 알코올 등이 기화되어 표시장치(DD) 밖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도 8a의 II-II'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이다. 도 8d는 도 8a의 60영역에 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8a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베이스(WP-1)에 복수의 제2 개구부(O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윈도우 베이스(WP-1)에 레이저를 가공하여 형성된 미세 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베이스(WP-1)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OP1)는 차광 패턴 영역(BMA)에 중첩하고, 복수의 제2 개구부(OP2)는 베젤 영역(BZA)에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 베이스(WP-1) 하부에 복수의 제2 개구부(OP2)와 중첩하도록 제2 나노 섬유(NW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베이스(WP-1)는 제2 나노 섬유(NW2)를 포함하여, 외부의 물방울 등이 제2 개구부(OP2)를 통해 윈도우(100-1)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나노 섬유(NW2)는 예를 들어, 나노 멤브레인일 수 있으며, 제1 나노 섬유(NW1)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 베이스(WP-1) 및 제2 나노 섬유(NW2) 사이에는 제2 차광 패턴(BM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젤 영역(BZA)에는 제2 차광 패턴(BM2), 복수의 제2 개구부(OP2), 및 제2 나노 섬유(NW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BZA)은 차광 기능 및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향기 카트리지(600)가 베젤 영역(BZA) 아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BZA)에서도 복수의 제2 개구부(OP)를 통해 냄새 입자가 윈도우(100-1) 밖으로 확산될 수 있다.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100-2)는 별도의 차광 패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제1 나노 섬유(NW1-1) 및 제2 나노 섬유(NW2-1)에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 물질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광 패턴 영역(BMA) 및 베젤 영역(BZA)은 차광 기능 및 방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차광 패턴을 포함하지 않아 표시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도 8a 및 도 8d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개구부(OP2)는 베젤 영역(BZA)을 따라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것일 수 있다.
도 8d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1)는 베젤 영역(BZA) 및 차광 패턴 영역(BMA)에서 향기(PF)가 확산될 수 있다. 향기(PF)는 향기 카트리지(600)의 냄새 입자가 복수의 제1 개구부(OP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OP2)를 통해서 밖으로 확산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향기(PF)는 향기 카트리지(600)에서 확산된 냄새 입자의 일 예시이며 냄새 입자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윈도우는 윈도우 베이스에 개구부를 포함하고, 윈도우 베이스 하부에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나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아래에 배치된 향기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향기 카트리지의 냄새 입자가 표시장치 밖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섬유는 표시장치 밖의 수분 등의 이물질이 개구부를 통해 표시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내투습성을 유지하면서 냄새 입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100: 윈도우 200: 표시모듈
300: 구동 회로부 400: 하우징
500: 전자 모듈 600: 향기 카트리지
WP: 윈도우 베이스 NW1, NW2: 제1 및 제2 나노 섬유
BM1, BM2: 제1 및 제2 차광 패턴 PFM: 향기 모듈

Claims (20)

  1.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1 나노 섬유; 를 포함하는 윈도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한 제1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제2 영역에만 중첩하는 윈도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제1 나노 섬유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는 제4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섬유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4 영역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10.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하는 나노 섬유;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나노 섬유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중첩하는 윈도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및 상기 나노 섬유 사이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윈도우.
  13.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1 나노 섬유;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한 제1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 및 상기 제1 나노 섬유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에는 관통홀이 정의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며, 냄새 입자를 포함하는 향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전자 모듈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은 카메라 모듈 또는 적외선 센서인 표시장치.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는 상기 제3 영역을 둘러싸고, 복수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4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영역에 중첩하는 제2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10021627A 2021-02-18 2021-02-18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118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27A KR20220118573A (ko) 2021-02-18 2021-02-18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7/591,500 US20220263054A1 (en) 2021-02-18 2022-02-02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2210122187.7A CN114979323A (zh) 2021-02-18 2022-02-09 窗和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27A KR20220118573A (ko) 2021-02-18 2021-02-18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573A true KR20220118573A (ko) 2022-08-26

Family

ID=8280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627A KR20220118573A (ko) 2021-02-18 2021-02-18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63054A1 (ko)
KR (1) KR20220118573A (ko)
CN (1) CN1149793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961B1 (ko) * 2019-02-26 2023-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3054A1 (en) 2022-08-18
CN114979323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555B2 (en) Under-screen biometric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800746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light sensors and displays
WO2020119289A1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CN109074488B (zh) 指纹模组和电子设备
WO2018205804A1 (zh) 输入输出模组及电子装置
CN111308784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11592600B2 (en) Window member,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member
KR20210038782A (ko) 전자 장치
US20220365322A1 (en) Lens assembly,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020568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756969A (zh) 光学模组及电子设备
WO2020252752A1 (zh) 镜头、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KR20230169910A (ko) 전자 장치
KR20220088603A (ko) 전자 장치
KR20220118573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08238A (ko) 전자 장치
CN110769099B (zh) 电子设备
KR20200002048A (ko) 전자 장치
KR20210113519A (ko) 전자 장치
CN112799212A (zh) 镜头系统、光学感测装置和电子设备
KR20210060734A (ko) 광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945271B (zh) 光学检测单元、光学检测装置和电子设备
KR20210124570A (ko) 광 감지 센서
US11474291B2 (en) Optical component, backlight modu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component
EP429057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