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217A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217A
KR20200103217A KR1020190020996A KR20190020996A KR20200103217A KR 20200103217 A KR20200103217 A KR 20200103217A KR 1020190020996 A KR1020190020996 A KR 1020190020996A KR 20190020996 A KR20190020996 A KR 20190020996A KR 20200103217 A KR20200103217 A KR 20200103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egion
bending
thickness
display devi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613B1 (ko
Inventor
이경아
김민구
남현석
윤효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13B1/ko
Priority to US16/703,711 priority patent/US11309501B2/en
Priority to CN202010098939.1A priority patent/CN111613135A/zh
Publication of KR2020010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5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2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벤딩 영역, 제1 비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장치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외측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에 각각 중첩하는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응력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영역의 최대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의 두께보다 작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불량이 감소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접을 수 있는 표시 장치(이하,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다양한 외측부재들, 및 각 구성들을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외측부재들은 각각의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 외측부재들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 상에 접착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외측부재들은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함께 휘어지거나 벤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영역에서의 접착부재의 두께를 비벤딩 영역에서의 접착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함으로써, 벤딩으로 인한 구성들 간의 박리를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비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외측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에 각각 중첩하는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응력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영역 중 상기 벤딩축과 중첩하는 중심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2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 및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3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보다 작다.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상기 외측 부재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비벤딩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2 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일 면과 대향하는 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타 면과 접촉하고, 상기 타 면은 상기 제2 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두께는 50um이상 내지 150u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의 두께는 150um이상 내지 300u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영역의 두께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상기 외측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비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외측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부재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응력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비벤딩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2 면은 곡면이다.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에 각각 중첩하는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영역 중 상기 벤딩축과 중첩하는 중심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2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 및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3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영역의 두께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두께는 50um이상 내지 150um이하이고,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의 두께는 150um이상 내지 300u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일 면과 대향하는 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타 면과 접촉하고, 상기 타 면은 상기 제2 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 중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의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써, 벤딩 시 발생하는 박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이 개선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표시 장치에 발생한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외측 부재(OSM), 응력 제어 부재(SCM), 표시 패널(DP), 및 보호 부재(BF)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에 의해 정의되는 표시면(DS) 및 표시면(DS)과 대향하는 비표시면(NDS)을 포함한다. 표시면(DS)은 응력 제어 부재(SCM)에 의해 커버된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표시면(DS)을 통해 영상을 외부에 표시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면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또는 전기습윤 표시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한 베이스층(미도시),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신호배선들(미도시),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절연층들(미도시) 및 신호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한다. 화소들 각각은 표시소자 및 표시소자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상기 화소들 중 일 화소(PX(i,j))의 등가회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화소(PX(i,j))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화소(PX(i,j))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으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고, j번째 데이터 라인(DLj)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화소(PX(i,j))는 전원라인(KL)으로부터 제1 전원전압(ELVDD)을 수신한다. 상기 화소(PX(i,j))는 표시소자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화소(PX(i,j))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로써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 및 커패시터(Cap)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는 상기 i번째 게이트 라인(GLi)에 인가된 게이트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커패시터(Cap)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는 상기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의 턴-온 구간 동안 발광한다.
커패시터(Cap)는 화소(PX(i,j))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절연층들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패시터(Cap)를 구성하는 2 개의 전극들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중 서로 다른 절연층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Cap)에 포함된 2 개의 전극들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외측 부재(OSM)는 응력 제어 부재(SCM) 상에 배치된다. 외측 부재(OSM)는 윈도우 부재, 터치 패널, 및 광학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부재(OSM)는 상술한 부재들 중 복수 개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부재들은 표시 패널(DP) 상에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적층 될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는 외측 부재(OSM) 및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는 표시 패널(DP)을 표시면(DS)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응력 제어 부재(SCM)는 표시 패널(DP)과 외측 부재(OSM)를 결합시킨다. 응력 제어 부재(SCM)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고분자, 가교제, 및 레진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는 아크릴 계열, 실리콘 계열, 및 우레탄 계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다양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시트(sheet)로 제공될 수 있다. 감압 접착 시트는 그 두께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점성이 높은 부분과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은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점성이 높은 부분이 상기 감압 접착 시트의 외면을 이루고, 상기 탄성이 높은 부분이 상기 감압 접착 시트의 내층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응력 제어 부재(SCM)는 감압 접착제에 제한되지 않고, 탄성을 갖는 내층과 점성을 갖는 외층을 포함하는 또 다른 접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보호 부재(BF)는 표시 패널(DP)의 하부에 배치된다. 보호 부재(BF)는 미도시된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BF)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부재(BF)는 차광층, 방열층, 쿠션층, 및 복수의 접착층들을 포함한다.
차광층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비치는 문제를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광층은 바인더 및 이에 분산된 복수의 안료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료 입자들은 카본 블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차광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BF)를 포함함으로써, 내 충격성 향상과 함께 광 차폐성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부 충격이나 응력에 대한 신뢰성과 함께 향상된 시인성을 가진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방열층은 표시 패널(DP)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방열층은 방열 특성이 좋은 흑연(graphite), 구리(Cu),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층은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자파 차폐 또는 전자파흡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쿠션층은 합성수지 발포 폼(form)일 수 있다. 쿠션층은 매트릭스 부재 및 복수의 공극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공극들은 매트릭스 부재에 분산되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층은 방열층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은 탄성을 가지며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매트릭스 부재는 유연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부재는 합성 수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부재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및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극들은 쿠션층에 인가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한다. 복수의 공극들은 쿠션층이 다공성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공극들은 쿠션층의 형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쿠션층의 탄성을 향상시켜, 지지부재의 내 충격성을 향상시킨다. 쿠션층은 복수의 합성 수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특정한 영역에서 벤딩될 수 있다. 도 1b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이 내측을 향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는 제1 면(SC1) 및 제1 면(SC1)과 대향하는 제2 면(SC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SC1)은 외측 부재(OSM)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면(SC2)은 표시 패널(DP)과 접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이 내측을 향하도록 벤딩됨에 따라, 제1 면(SC1)이 내측을 향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벤딩됨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벤딩 영역(BA), 제1 비벤딩 영역(PA1), 및 제2 비벤딩 영역(P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비벤딩 영역(PA1) 및 제2 비벤딩 영역(PA2)은 제2 방향(D2)에서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비벤딩 영역(PA1) 및 제2 비벤딩 영역(PA2)은 벤딩 영역(BA)에 비해 상대적으로 형상의 변형이 적은 영역이다. 제1 비벤딩 영역(PA1) 및 상기 제2 비벤딩 영역(PA2)은 평탄면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지거나 말려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비벤딩 영역(PA1) 또는 상기 제2 비벤딩 영역(PA2)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벤딩된 상태에서 소정의 곡률반경과 벤딩 각도를 갖는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벤딩축(AX)을 포함할 수 있다. 곡률 반경은 벤딩축(AX)으로부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예컨대, 곡률 반경(RC)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축(AX)으로부터 외측 부재(OSM)까지의 최단거리가 될 수 있다. 대체로, 동일 면적을 가진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곡률반경이 증가할수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벤딩 영역(BA)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벤딩 각도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벤딩된 상태에서 제1 비벤딩 영역(PA1)과 제2 비벤딩 영역(PA2)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비벤딩 영역(PA1)과 상기 제2 비벤딩 영역(PA2)이 평행하도록 벤딩된 형상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 각도는 180도로 정의될 수 있다.
벤딩 각도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비벤딩 영역(PA1)과 제2 비벤딩 영역(PA2)이 60도의 사이각을 이루도록 120도 벤딩되거나, 90도의 사이각을 이루도록 90도 벤딩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제1 비벤딩 영역(PA1)과 제2 비벤딩 영역(PA2)이 이루는 사이각은 0도에서 180도 까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도 1b에는 상기 외측 부재(OSM)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벤딩되었으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사용태양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외측 부재(OSM)가 외측에 배치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도 1c에는 비벤딩 상태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는 제1 제어 영역(SC-C), 제2 제어 영역(SC-L), 제3 제어 영역(SC-R)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영역(SC-L) 및 제3 제어 영역(SC-R)은 제2 방향(D2)에서 제1 제어 영역(SC-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제어 영역(SC-C)은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제어 영역(SC-L) 및 제3 제어 영역(SC-R) 각각은, 제1 비벤딩 영역(PA1) 및 제2 비벤딩 영역(PA2)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의 제1 면(SC1) 및 제2 면(SC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부재(OSM)과 접촉하는 제1 면(SC1)은 비벤딩 상태에서 평면일 수 있다. 제1 면(SC1)과 대향하는 제2 면(SC2)은 비벤딩 상태에서 곡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는 제1 내지 제3 제어 영역들(SC-C, SC-L, SC-R)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제어 부재(SCM)는 제1 제어 영역(SC-C)에서 초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응력 제어 부재(SCM)는 제2 제어 영역(SC-L) 및 제3 제어 영역(S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는 제3 방향(D3)에서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의 최소 두께는 제1 제어 영역(SC-C) 중 벤딩축(AX)과 중첩하는 중심부(S-C)의 제1 두께(T1)일 수 있다.중심부(S-C)의 제1 두께(T1)는 50 micrometer(이하, um로 표기) 이상 내지 150um 이하일 수 있다. 중심부(S-C)의 제1 두께(T1)가 50um 미만인 경우, 외측 부재(OSM)과 인접한 부분의 응력 제어 부재(SCM)의 두께가 얇아서 벤딩 상태에서 인장 스트레스로 인해 크랙(crack)이 발행할 수 있다. 중심부(S-C)의 제1 두께(T1)가 150um 초과인 경우, 벤딩 시 중심부(S-C)의 두께로 인해 벤딩축(AX)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에서 표시 패널(DP) 및 외측 부재(OSM)와 응력 제어 부재(SCM)의 박리가 일어나게 될 수 있다. 또한, 중심부(S-C)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곡률반경이 증가하게 되어 벤딩 상태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의 중심부(S-C)는 제1 제어 영역(SC-C) 중 제1 방향(D1) 방향을 따라 벤딩축(AX)과 중첩된 부분의 제3 방향(D3)에서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c, 도 5,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각각의 중심부(S-C)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면상에서 하나의 지점으로 표시되었다.
응력 제어 부재(SCM)의 최대 두께는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이격된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들(SC-L, SC-R)의 제2 두께(T2)일 수 있다.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들(S-L, S-R)의 두께(T2)는 150um 이상 내지 300um 이하일 수 있다. 끝 단들(S-L, S-R)의 두께(T2)가 150um 미만인 경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내 충격성이 약화될 수 있다. 끝 단들(S-L, S-R)의 두께(T2)가 300um 초과인 경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의 두께는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중심부(S-C)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2)에따른 단면상에서 제2 면(SC2)은 곡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제어 영역(SC-C)의 최대 두께는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SC-L, SC-R)의 끝 단들(S-L, S-R)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서 정의된 제1 제어 영역(SC-C)의 평균 두께는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SC-L, SC-R)의 최소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은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표시 장치에 발생한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벤딩될 때,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중립면들(NP1, NP2, NP3)이 정의될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는 표시 패널(DP)과 외측 부재(OSM)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킨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과 보호 부재(BF)를 물리적으로 결합 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여 도 1a 내지 도 1c에는 표시 패널(DP)과 보호 부재(BF)를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응력 제어 부재(SCM)는 응력의 차원에서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외측 부재(OSM)를 부분적으로 분리(partially decoupled) 시킨다. 이에 따라, 응력 제어 부재(SCM)를 기준으로, 표시 패널(DP) 및 외측 부재(OSM)는 각각 독립적으로 응력을 인가 받는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벤딩될 때, 외측 부재(OSM), 표시 패널(DP), 및 보호 부재(BF)에는 서로 다른 중립면들(NP1, NP2, NP3)이 각각 발생된다.
도 4a에 도시된 그래프들(GR1, GR2, GR3)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 발생한 스트레인을 나타낸다. 그래프들(GR1, GR2, GR3)은 9 개의 지점들(A1, A2, A3, A4, A5, A6, AN1, AN2, AN3)에 발생한 스트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9 개의 지점들(A1, A2, A3, A4, A5, A6, AN1, AN2, AN3)은 벤딩축(AX)으로부터 연장되며 표시 패널(DP)의 표시면(DS)에 수직하는 기준선(RA) 상에 배치된다.
스트레인(strain)은 스트레인이 측정된 부분에 인가된 응력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응력의 차원에서 상기 표시 패널(DP)과 외측 부재(OSM), 표시 패널(DP)과 보호 부재(BF)가 부분적으로 분리(partially decoupled)되었기 때문에, 표시 패널(DP)의 표시면(DS)에 발생한 스트레인과 외측 부재(OSM)의 내측면(IS)에 발생한 스트레인은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 및 인장 응력(tensile stress) 중 서로 다른 응력에 의해 발생한다.
보호 부재(BF)에 있어서 벤딩 시, 보호 부재(BF)의 중립면(NP1)을 기준으로, 접착층(AM)과 접촉한 보호 부재(BF)의 내측면(PS)에는 최대 압축 응력이 작용하고, 내측면(PS)과 대향하는 외측면(QS)에는 최대 인장 응력이 작용한다.
표시 패널(DP)에 있어서 벤딩 시, 표시 패널(DP)의 중립면(NP2)을 기준으로, 응력 제어 부재(SCM)와 접촉한 표시면(DS)에는 최대 압축 응력이 작용하고, 비표시면(NDS)에는 최대 인장응력이 작용한다.
또한, 외측 부재(OSM)에 있어서 벤딩 시, 외측 부재(OSM)의 중립면(NP3)을 기준으로, 응력 제어 부재(SCM)와 접촉한 내측면(IS)에는 최대 인장 응력이 작용하고, 내측면(IS) 보다 벤딩축(AX)에 더 가까운 외측면(OS)에는 최대 압축 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보호 부재(BF)의 외측면(QS)에서 발생한 스트레인과 내측면(PS)에서 발생한 스트레인은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 중 서로 다른 응력에 의해 발생한다. 보호 부재(BF)의 외측면(QS)의 일 지점인 제1 지점(A1)에는 인장 스트리인이 발생하고, 보호 부재(BF)의 내측면(PS)의 일 지점인 제2 지점(A2)에는 압축 스트레인이 발생한다.
표시 패널(DP)의 비표시면(NDS) 에서 발생한 스트레인과 표시면(DS)에서 발생한 스트레인은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 중 서로 다른 응력에 의해 발생한다. 표시 패널(DP)의 비표시면(NDS)의 일 지점인 제3 지점(A3)에는 인장 스트리인이 발생하고, 표시 패널(DP)의 표시면(DS)의 일 지점인 제4 지점(A4)에는 압축 스트레인이 발생한다.
또한, 외측 부재(OSM)의 내측면(IS)에서 발생한 스트레인과 외측면(OS)에서 발생한 스트레인은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 중 서로 다른 응력에 의해 발생한다. 외측 부재(OSM)의 내측면(IS)의 일 지점인 제5 지점(A5)에는 인장 스트리인이 발생하고, 외측 부재(OSM)의 외측면(OS)의 일 지점인 제6 지점(A6)에는 압축 스트레인이 발생한다.
보호 부재(BF)에 정의된 중립면(NP1)의 일 지점인 제1 중립 지점(AN1)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의 크기는 동일하다. 표시 패널(DP)의 중립면(NP2)의 일 지점인 제2 중립 지점(AN2)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의 크기는 동일하다. 또한, 외측 부재(OSM)의 중립면(NP3)의 일 지점인 제3 중립 지점(AN3)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의 크기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3 중립 지점(AN1, AN2, AN3)에서 실질적인 스트레인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벤딩된 방향에 대하여, 외측 부재(OSM)는 내측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DP)은 외측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제4 지점(A4)보다 상기 제6 지점(A6)에서 더 큰 압축 스트레인이 발생한다. 동일한 이유에서, 상기 제5 지점(A5) 보다 상기 제3 지점(A3)에서 더 큰 인장 스트레인이 발생한다. 다른 사용태양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반대 방향으로 벤딩 될 경우, 표시 패널(DP)에는 외측 부재(OSM)보다 더 큰 압축 스트레인이 발생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벤딩될 때, 응력 제어 부재(SCM)는 전단 응력(Shear stress)을 받는다.
[수학식 1]
d= π * (R1-R2)
Figure pat00001
π * TH
수학식 1을 참조할 때, 내측에 배치된 표시 패널(DP)과 벤딩축(AX)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 응력 제어 부재(SCM) 각각의 굽힘 반경(R1, R2)의 차이로 인해 벤딩 시 제2 방향(D2)으로 밀고 나가야 하는 밀림 길이(d)가 발생한다.
밀림 길이(d)는 응력 제어 부재(SCM)의 굽힘 반경(R2)와 표시 패널(DP)의 굽힘 반경(R1)과의 차에 따라 비례할 수 있다. 굽힘 반경(R2)과 굽힘 반경(R1)의 차는 외측에 배치된 응력 제어 부재(SCM)의 두께(TH)와 비례할 수 있다.
[수학식 2]
P-SCM = d/ TH
수학식 2를 참조할 때, 응력 제어 부재(SCM)는 밀림 저항(P-SCM)을 가질 수 있다. 밀림 저항(P-SCM)은 벤딩 시 응력 제어 부재(SCM)는 표시 패널(DP)과 외측 부재(OSM)을 결합시키는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밀림 길이(d)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응력 제어 부재(SCM)가 되돌아 가려는 밀림 저항(P-SCM)이 발생할 수 있다.
외측에 배치된 응력 제어 부재(SCM)의 밀림 길이(d)와 밀림 저항(P-SCM)이 클수록, 응력 제어 부재(SCM)에 가해지는 압축 스트레인이 증가하게 되어, 응력 제어 부재(SCM)와 접촉된 표시 패널(DP) 및 외측 부재(OSM)이 들뜨는 박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력 제어 부재(SCM)의 두께 중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SC-C)의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써, 벤딩 시 발생하는 박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이 개선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b에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의 응력 제어 부재(SCM-1)는 제1 제어 영역(SC-C1), 제2 제어 영역(SC-L1), 제3 제어 영역(SC-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영역(SC-L1) 및 제3 제어 영역(SC-R1)은 제2 방향(D2)에서 제1 제어 영역(SC-C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1)는 제1 내지 제3 제어 영역들(SC-C1, SC-L1, SC-R1)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제어 부재(SCM-1)는 제1 제어 영역(SC-C1)에서 초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응력 제어 부재(SCM-1)는 제2 제어 영역(SC-L1) 및 제3 제어 영역(SC-R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1)의 최소 두께는 제1 제어 영역(SC-C1) 중 벤딩축(AX, 도 1b 참조)과 중첩하는 중심부(S-C)의 제3 두께(T3)일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1)의 최대 두께는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이격된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들(SC-L, SC-R)의 두께인 제4 두께(T4)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1)의 두께는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중심부(S-C)에서 멀어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2)에 따른 단면상에서 제2 면(SC2)은 중심부(S-C)을 중심으로 경사진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b에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2)의 응력 제어 부재(SCM-2)는 제1 제어 영역(SC-C2), 제2 제어 영역(SC-L2), 제3 제어 영역(SC-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영역(SC-L2) 및 제3 제어 영역(SC-R2)은 제2 방향(D2)에서 제1 제어 영역(SC-C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2)는 제1 내지 제3 제어 영역들(SC-C2, SC-L2, SC-R2)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제어 부재(SCM-2)는 제1 제어 영역(SC-C2)에서 초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응력 제어 부재(SCM-2)는 제2 제어 영역(SC-L2) 및 제3 제어 영역(SC-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2)는 제1 제어 영역(SC-C2)에서 최소 두께인 제5 두께(T5)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2)의 최대 두께는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이격된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SC-L2, SC-R2) 각각의 끝 단들은 두께인 제6 두께(T6)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제어 부재(SCM-2)의 두께는 제1 제어 영역(SC-C2)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2)의 두께는 제1 제어 영역(SC-C2)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제어 영역(SC-L2) 및 제1 제어 영역(SC-C2)의 타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 제어 영역(SC-R2)에서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2)에 따른 단면상에서 제2 면(SC2) 중 제1 제어 영역(SC-C2)과 중첩하는 영역은 직선 형상을 가지며, 제2 면(SC2) 중 제2 제어 영역(SC-L2) 및 제3 제어 영역(SC-R2)과 중첩하는 영역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b에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3)의 응력 제어 부재(SCM-3)는 제1 제어 영역(SC-C3), 제2 제어 영역(SC-L3), 제3 제어 영역(SC-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영역(SC-L3) 및 제3 제어 영역(SC-R3)은 제2 방향(D2)에서 제1 제어 영역(SC-C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3)는 제1 내지 제3 제어 영역들(SC-C3, SC-L3, SC-R3)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제어 부재(SCM-3)는 제1 제어 영역(SC-C3)에서 초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응력 제어 부재(SCM-3)는 제2 제어 영역(SC-L3) 및 제3 제어 영역(SC-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3)는 제1 제어 영역(SC-C3)에서 최소 두께인 제7 두께(T7)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3)의 최대 두께는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이격된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SC-L3, SC-R3) 각각의 끝 단들은 최대 두께인 제8 두께(T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제어 부재(SCM-3)의 두께는 제1 제어 영역(SC-C3)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3)의 두께는 제1 제어 영역(SC-C3)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제어 영역(SC-L3) 및 제1 제어 영역(SC-C3)의 타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 제어 영역(SC-R3)에서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2)에 따른 단면상에서 제2 면(SC2) 중 제1 제어 영역(SC-C3)과 중첩하는 영역은 직선 형상을 가지고, 제2 면(SC2) 중 제2 제어 영역(SC-L3) 및 제3 제어 영역(SC-R3)과 중첩하는 영역 또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b에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4)의 응력 제어 부재(SCM-4)는 제1 제어 영역(SC-C4), 제2 제어 영역(SC-L4), 제3 제어 영역(SC-R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영역(SC-L4) 및 제3 제어 영역(SC-R4)은 제2 방향(D2)에서 제1 제어 영역(SC-C4)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4)는 제1 내지 제3 제어 영역들(SC-C4, SC-L4, SC-R4)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제어 부재(SCM-4)는 제1 제어 영역(SC-C4)에서 초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응력 제어 부재(SCM-4)는 제2 제어 영역(SC-L4) 및 제3 제어 영역(SC-R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제어 부재(SCM-4)는 제1 제어 영역(SC-C4)에서 최소 두께인 제9 두께(T9)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어 부재(SCM-4)의 최소 두께는 제1 제어 영역(SC-C4) 중 벤딩축(AX, 도 1b 참조)과 중첩하는 중심부(S-C)의 제9 두께(T9)일 수 있다. 제1 제어 영역(SC-C4)에서 응력 제어 부재(SCM-4)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1 제어 영역(SC-C3)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제어 영역(SC-L3) 및 제1 제어 영역(SC-C3)의 타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 제어 영역(SC-R3)에서 벤딩축(AX)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2)에 따른 단면상에서 제2 면(SC2) 중 제1 제어 영역(SC-C4)과 중첩하는 영역은 곡선 형상을 가지고, 제2 면(SC2) 중 제2 제어 영역(SC-L4) 및 제3 제어 영역(SC-R4)과 중첩하는 영역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 중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의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써, 벤딩 시 발생하는 박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이 개선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플렉서블 표시 장치 OSM: 외측 부재
SCM: 응력 제어 부재 DD: 표시 패널
BF: 보호 부재

Claims (20)

  1.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비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외측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에 각각 중첩하는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응력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영역의 최대 두께는,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2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 및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3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보다 작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상기 외측 부재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비벤딩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2 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는 상기 일 면과 대향하는 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타 면과 접촉하고,
    상기 타 면은 상기 제2 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벤딩축과 중첩된 부분의 두께는 중심부로 정의되고,상기 중심부의 두께는 50um 이상 내지 150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의 두께는 150um 이상 내지 300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의 두께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상기 외측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비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외측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부재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응력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비벤딩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2 면은 곡면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제어 영역, 상기 제1 제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에 각각 중첩하는 제2 제어 영역 및 제3 제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영역의 최대 두께는,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2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 및 상기 제1 제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제3 제어 영역의 끝 단의 두께보다 작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의 두께는,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벤딩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의 두께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벤딩축과 중첩된 부분의 두께는 중심부로 정의되고,
    상기 중심부의 두께는 50um이상 내지 150um이하이고,
    상기 제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3 제어 영역 각각의 끝 단의 두께는 150um이상 내지 300u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일 면과 대향하는 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타 면과 접촉하고,
    상기 타 면은 상기 제2 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 부재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190020996A 2019-02-22 2019-02-22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627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996A KR102627613B1 (ko) 2019-02-22 2019-02-22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6/703,711 US11309501B2 (en) 2019-02-22 2019-12-04 Flexible display device
CN202010098939.1A CN111613135A (zh) 2019-02-22 2020-02-18 柔性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996A KR102627613B1 (ko) 2019-02-22 2019-02-22 플렉서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17A true KR20200103217A (ko) 2020-09-02
KR102627613B1 KR102627613B1 (ko) 2024-01-23

Family

ID=7214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996A KR102627613B1 (ko) 2019-02-22 2019-02-22 플렉서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09501B2 (ko)
KR (1) KR102627613B1 (ko)
CN (1) CN1116131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5578A1 (en) * 2020-02-20 2021-08-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102872A1 (ko) * 2020-11-12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2821A (zh) * 2020-08-25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卷曲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2086491B (zh) * 2020-09-10 2022-11-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4241920B (zh) * 2021-12-30 2024-03-2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582233B (zh) * 2022-03-02 2023-08-25 安徽繁盛显示科技有限公司 导轨随动弯折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8219A1 (en) * 2015-05-11 2016-11-1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70123461A1 (en) * 2015-11-02 2017-05-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34056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표시 장치
KR20190006151A (ko) * 2017-07-07 2019-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0299B2 (ja) * 2008-01-31 2012-07-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部品の保持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1996437B1 (ko) * 2012-10-16 2019-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보호창, 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및 투명 보호창의 제조 방법
KR102132235B1 (ko) * 2013-11-28 2020-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50084257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60116122A (ko) 2015-03-25 2016-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41453B1 (ko) * 2015-08-31 2023-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94723B1 (ko) * 2015-09-30 2022-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75896A (ko) * 2015-12-23 2017-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1081B1 (ko) * 2016-02-05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4824B1 (ko) * 2016-03-25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60078314A (ko) * 2016-06-21 2016-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80003684A (ko) * 2016-06-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기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321562B2 (en) * 2016-07-22 2019-06-11 Lg Innotek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COF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524906B1 (ko) * 2016-09-19 2023-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5458B1 (ko) * 2016-10-06 2022-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71758B1 (ko) * 2017-12-11 2022-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8054188B (zh) * 2017-12-20 2020-11-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8219A1 (en) * 2015-05-11 2016-11-1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70123461A1 (en) * 2015-11-02 2017-05-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34056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표시 장치
KR20190006151A (ko) * 2017-07-07 2019-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5578A1 (en) * 2020-02-20 2021-08-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74492B2 (en) 2020-02-20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102872A1 (ko) * 2020-11-12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4085A1 (en) 2020-08-27
CN111613135A (zh) 2020-09-01
US11309501B2 (en) 2022-04-19
KR102627613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613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4284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7148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9801561B (zh) 窗口构件以及包括窗口构件的显示设备
CN107180849B (zh) 显示装置
EP2894672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1691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373560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654593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CN10584503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CN109524433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
KR10213223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33220B1 (ko) 표시 장치
US20160372701A1 (en) Display device
CN109148380B (zh) 显示面板、显示模组以及电子装置
KR102311470B1 (ko) 보호 시트,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545020B1 (ko) 표시 장치
US11147169B2 (en) Impact absorbing element for display device
KR20210085145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036048A1 (en) Window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809235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3192419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16007831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0956899A (zh)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351665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