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354A - 신축성 패드를 사용한 의료용 첩부재 - Google Patents

신축성 패드를 사용한 의료용 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354A
KR20200102354A KR1020200015574A KR20200015574A KR20200102354A KR 20200102354 A KR20200102354 A KR 20200102354A KR 1020200015574 A KR1020200015574 A KR 1020200015574A KR 20200015574 A KR20200015574 A KR 20200015574A KR 20200102354 A KR20200102354 A KR 2020010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medical
area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노리 이카이
스바루 마츠오
히로미치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zed by parametric properties of the fluid retention layer, e.g. absorbency, wicking capacity, liquid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6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especially adapted f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19Wound bandage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72Wound bandages protection of the body or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74Plasters form or structure shaped as a body part
    • A61F2013/00578Plasters form or structure shaped as a body part conformable; soft or flexible, e.g. elastome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82Properties of backing
    • A61F2013/00595Properties of backing breaking strain or ex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04Multilayer
    • A61F2013/00612Multilayer with different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관절의 구부리고 폄이 반복되는 굴곡부에 대하여, 적용면이 큰 경우에도 움직임에 추종하는 신축성을 가지고, 또한 양호한 부착성을 가지며, 피부 자극이 적은 의료용 첩부재를 제공한다.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표면을 덮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배치된 패드를 갖는 의료용 첩부재로서, 상기 지지체는 4,700 내지 13,000 mm2의 면적을 갖고, 상기 패드는 1,500 내지 4,500 mm2의 면적을 갖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패드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15 N의 하중으로 20회 신장시켰을 때의 연속 신장회복률(A)(왕로)는 90% 이상이며, 연속 신장회복률(B)(귀로)는 70% 이상이며, 그리고 이들 신장 회복률의 비(B/A)의 값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축성 패드를 사용한 의료용 첩부재{Medical patch using elastic pad}
본 발명은 피부의 창상 부위에 적용되는 첩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꿈치나 무릎 등의 굴곡부에 있어서 양호한 부착성과 낮은 피부 자극성을 겸비한 의료용 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첩부재, 특히 구급 반창고는 외부로부터 창상 부위를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의 곡면이나 관절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이나 추종성, 신축성 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구급 반창고는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와 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패드의 대부분은 창상부로부터의 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는 부직포와 창상부로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네트가 조합된 구성을 갖는다.
종래 제품에 있어서, 상기 고착 방지를 위한 네트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지만, 부직포와 폴리에틸렌제 네트를 조합한 패드는 신축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러한 패드를 사용한 구급 반창고를 창상 부위에 적용했을 때, 관절의 움직임 등에 의해 한번 패드가 늘어나면, 원래의 크기로 복귀되지 않고 늘어난 그대로의 형상을 갖게 되어, 부착 개소로부터 패드가 들뜨거나, 나아가 반창고가 벗겨지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구급 반창고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패드가 신축성을 갖지 않음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주연부에의 피부 자극이 커지게 된다.
지금까지 패드의 신축성에 대하여 검토가 행해진 제안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신축성 기포(基布)와 고 권축면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와 신축성 커버(니트)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반창고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패드 부분에서도 인체의 형상으로의 추종을 도모한 구급 반창고로서, 지지체 필름과 패드 양쪽의 신장 모듈러스 및 신장 회복률을 검토한 반창고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밀착성과 신축성을 갖고, 피부 창상면에 유착되기 어려운 창상면용 패드로서, 신축성을 갖는 흡액층과 개구부를 갖는 수지층을 구비하고, 한쪽 방향에 있어서의 50% 신장 시의 강도를 규정한, 창상면용 패드가 제안되어 있다.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9-154871호 공보 2.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117513호 공보 3.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081045호 공보
구급 반창고를 몸의 굴곡부에 첩부한 상태에서 관절을 굽히고 펼 때, 구급 반창고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부착부에서의 위화감은 적고, 패드의 신축성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구급 반창고의 사이즈가 큰 경우, 패드의 신축성이 낮으면, 부착부의 위화감이나 패드 들뜸에 의한 혈액이나 삼출액의 누출, 피부 자극의 증대 등이 우려되고, 나아가 반창고의 박리로 이어지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패드의 신축성 검토가 행해진 반창고 등의 제안에 있어서, 팔꿈치나 무릎 등의 굴곡-신장의 움직임이 큰 부분에 첩부했을 경우의 부착성이나 피부 자극에 관한 보고는 없으며, 이러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구급 반창고에 있어서의 지지체나 패드의 사이즈, 그리고 반창고의 형상에 관하여 상세한 검토는 행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관절의 굽히고 펴는 것이 반복되는 굴곡부에 대하여, 적용면이 큰 경우에 있어서도 움직임에 추종하는 신축성을 갖고, 또한 양호한 부착성을 가지며, 피부 자극이 적은 의료용 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첩부 면적이 큰 의료용 첩부재에 있어서, 양호한 부착성과 피부 자극을 적게 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첩부재를 반복 신장시킨 후의 신장 회복률의 값이 요인 중의 하나가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첩부재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형상이나, 테이프와 패드의 면적이나 배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의 실시 형태를 제공한다.
(1)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표면을 덮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배치되는 패드를 갖는 의료용 첩부재로서,
상기 지지체는 4,700 내지 13,000 mm2의 면적을 갖고
상기 패드는 1,500 내지 4,500 mm2의 면적을 갖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패드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15 N의 하중으로 20회 신장시켰을 때의 연속 신장회복률(A)(왕로(往路))는 90% 이상이며, 연속 신장회복률(B)(귀로(復路))는 70% 이상이며, 그리고 이들 신장 회복률의 비(B/A)의 값이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첩부재.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다음의 (2) 내지(9)의 실시 형태를 제공한다.
(2) 상기 패드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과 신축 네트층의 적층 구성을 갖는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3) 상기 패드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이 50 내지 15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갖는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4) 상기 지지체는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 부직포인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5) 상기 지지체와 상기 패드의 면적 비율이 지지체 면적 : 패드 면적에 있어서 3:1 내지 2:1인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6) 상기 지지체와 상기 패드의 면적 비율이 지지체 면적 : 패드 면적에 있어서 3:1 내지 2.5:1인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7)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패드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30% 인장 하중(MD)이 5 내지 50 N/25 mm, 30% 인장 하중(CD)이 3 내지 50 N/25 mm인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8) 상기 지지체가 대략 방형(方形) 또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또한 대략 방형 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오목부를 갖는 것이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패드의 최단 거리가 10 내지 25 mm인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9) 관절용 첩부재인 것인, 상기 의료용 첩부재.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는 여러 번의 신장을 반복한 후의 신장 회복률이 소정 값을 만족함으로써, 면적이 큰 첩부재를 굴곡-신장이 반복되는 부위에 부착했을 경우에도 양호한 부착성을 갖고, 피부 자극이 적은 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시판품에서 보이던, 신축성이 없는 혹은 신축성이 부족한 패드를 사용한 첩부재(반창고)의 경우, 면적이 작은 첩부재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패드와 점착 테이프의 신축성의 차이가, 첩부재(및 패드)의 형상이 커짐에 따라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첩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테이프의 주연부(에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은 커지지만, 여기서 패드와 점착 테이프의 신축성이 다르면,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신축성의 차이도 더욱 달라져, 발생하는 응력은 더 커지며, 피부 자극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는 상기 신축성을 갖고, 즉 지지체와 점착제층으로 구성되는 소위 점착 테이프 부분뿐만 아니라 패드 부분도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응력이 완화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넓은 면적 부위에 적용하더라도, 피부 자극의 발생 위험을 낮출 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에 있어서, 연속 신장회복률이 높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몇 번이나 구부리고 피는 경우에도 테이프나 패드의 변형율이 적고,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는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는 변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꼬임이나 느슨해짐이 발생하기 어렵고, 부착 중의 피팅감의 향상도 기대되며, 낮은 점착력이라도 높은 부착율을 유지하기 쉬운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팔꿈치나 무릎 등의 굴곡부에 부착하는 첩부재에 있어서, 그 형상이 커지면 첩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주연부(에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은 커지고, 팔꿈치나 무릎의 움직임에 의해 피부 자극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에 있어서는, 특히 대략 방형 및 대략 사각형의 첩부재에 있어서 네 모서리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와 테이프(점착제층) 상에 배치한 패드와의 최단 거리를 소정 값으로 함으로써, 주연부(에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정면도)이다.
[의료용 첩부재 ]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는 상기 지지체의 표면을 덮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배치된 패드를 갖는 소위 반창고의 형태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는 첩부재 자체의 크기가 종래 제품(반창고)에 비하여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것, 즉 상기 지지체가 4,700 내지 13,000 mm2의 면적을 갖고, 또한 상기 패드가 1,500 내지 4,500 mm2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패드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후술하는 신장 회복률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신장 회복률>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신장 회복률이란, 대상을 15 N의 하중으로 20회 신장 시켰을 때의 연속 신장회복률(A)(왕로)와 연속 신장회복률(B)(귀로)이며, 이들은 "JIS L 1096 직물 및 편물의 생지 시험 방법"에 준거한 순서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인장 시험기 또는 이와 동등한 성능을 갖는 장치에 시험편을 세팅한다.
시험편에 초기 하중(예를 들어, 시험편의 폭 1 m의 길이에 따른 중력에 상당하는 하중)을 가하고, 이때 처음으로 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왕로)의 시험편의 길이(척간 거리)를 측정한다(1 사이클째의 왕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 L1a ').
다음으로, 15 N의 하중이 가해질 때까지 시험편을 신장시킨 후, 즉시 하중을 제거(하중 0N)하고, 처음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 후, 하중 부가(15 N)와 제거(0N)에 의한 시험편의 신축을 총 20회 반복 실시한다(20 사이클). 20회째에 하중을 가할 때, 상기 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왕로)의 시험편의 길이(20 사이클째의 왕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 L20a '), 15 N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시험편 길이(20 사이클째에 규정 하중에 도달했을 때의 상한 변이점: L20), 그리고 하중 제거 시에 상술한 초기 하중에 도달했을 때(귀로)의 시험편의 길이(20 사이클째의 귀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 L20b')을 각각 측정한다.
이들 측정값으로부터 하중을 가할 때(왕로)의 연속 신장회복률(A)와 하중을 제거할 때(귀로)의 연속 신장회복률(B)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L20: 20 사이클째에 규정 하중에 도달했을 때의 상한 변이점(20회째에 15 N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척간 거리)
L1a ': 1 사이클째의 왕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처음으로 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의 척간 거리)
L20a ': 20 사이클째의 왕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20회째에 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하중 부가 시)의 척간 거리)
L20b ': 20 사이클째의 귀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20회째에 초기 하중에 도달했을 때(하중 제거 시)의 척간 거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의료용 첩부재의 지지체와 점착제층과 패드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연속 신장회복률(A)(왕로)는 90% 이상이고, 연속 신장회복률(B)(귀로)는 70% 이상이며, 그리고 이 신장 회복률의 비(B/A)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첩 부분에 있어서의 연속 신장회복률의 값은 중첩 부분(의료용 첩부재)의 길이(MD) 방향 및 짧은(CD)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이, 연속 신장회복률(A)가 90% 이상, 연속 신장회복률(B)가 70% 이상, 이들의 비(B/A)가 0.5 이상의 값을 만족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MD 및 CD 방향 모두가, 상기 연속 신장회복률(A), 연속 신장회복률(B) 및 B/A의 값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체>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료용 첩부재를 구성했을 때에, 소정의 신장 회복률을 실현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그 재질이나 형태,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체는 4,700 내지 13,000 mm2의 면적을 갖는 것으로, 적용 개소(창상 부위)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즉, 의료용 첩부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방형(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사각형(사다리꼴, 마름모형 등),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삼각형, 초승달 모양 및 이들을 조합한 형상 등, 부착 개소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방형이나 사각형, 다각형 등 모서리를 갖는 형상의 경우에는, 모서리에 라운딩 처리(R)를 실시함으로써(상기 지지체의 표면 전체에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부착 개소로부터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로서, 방형 또는 사각형을 베이스로 하는 대략 방형 또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로는 필름, 발포체, 부직포, 편포, 직포 및 부직포와 필름의 라미네이트 복합체 등의 이들 2종 이상의 적층체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지지체를 들 수 있다.
이 지지체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 아세테이트 레이온, 레이온, 레이온/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셀로판 등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적합한 것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아크릴 수지 등을 원료로 하는 필름, 발포체, 부직포, 직포, 편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술한 신축성 외에, 피부에 밀착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나 관절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재질, 그리고 장시간 부착 후에 있어서 피부의 염증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고, 부착한 아래의 피부면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및 관절의 굽히고 핌에 추종할 수 있는 신축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우레탄제 필름 또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부착 시에 의료용 첩부재가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체를 안료, 유기 안료, 천연 색소 등의 착색제에 의해 피부색 등의 색조로 착색시킴으로써, 부착 시에 피부색과의 차이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착한 아래의 피부 색조를 투명하게 들여다 보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는, 투명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지지체의 두께는 신장, 인장 강도, 작업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나 부착 시의 감촉이나 환부의 밀폐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 가능하지만, 통상 5 μm 내지 1 mm 정도이다. 또한, 지지체의 두께가 5 μm 내지 30 μm정도로 극히 얇은 경우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지지체의 일 측면과는 반대의 면(이하, 타 측면이라고 함) 상에 후술하는 캐리어 필름을 설치해도 좋다.
지지체가 부직포 등의 천류일 경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μm 내지 1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μm 내지 8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μm 내지 700 μm이다.
또한 지지체가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μm 내지 30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μm 내지 2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μm 내지 150 μm이다. 또한, 지지체가 필름인 경우에는, 점착제층과 지지체의 투묘성(投錨性)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지지체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 혹은 이들 양면에 샌드블라스트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5 μm보다도 작으면, 지지체 자체의 강도나 취급성이 저하되어 피부에의 부착이 곤란해지고, 다른 부재 등과의 접촉에 의해 찢어지거나, 목욕 등의 물과의 접촉에 의해 단시간에 피부로부터 박리되거나 할 수가 있다. 또한, 지지체의 두께가 지나치게 크면(1 mm를 초과), 첩부재로 했을 때에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려워지고, 첩부재의 변연부로부터 박리될 계기를 형성하기 쉬워지므로, 단시간에 피부로부터 박리되거나 부착 중의 위화감이 증가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 중에서도 지지체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그 단위면적당 중량은 통상 10 g/m2 내지 100 g/m2이며, 의료용 첩부재의 투습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피부에 부착하기 쉬운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g/m2 내지 80 g/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m2 내지 70 g/m2이다.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10 g/m2 미만인 경우, 부직포의 신축성이 지나치게 커져서 오히려 의료용 첩부재의 취급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는 것 이외에, 점착제가 지지체(부직포)의 타 측면에까지 배어 나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단위면적당 중량이 100 g/m2을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의 신축성이 지나치게 작아 취급성이 나빠지거나, 의료용 첩부재의 투습성이 저하되어 피부 자극성이 커지거나, 나아가 부착 시에 있어서 피부에 위화감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들 지지체에 있어서, JISZ0208, 40℃, 90% RH에 있어서 측정되는 투습도는 1,000 g/m2·24h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0 g/m2·24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 g/m2·24h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투습도를 1,000 g/m2·24h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피부에 부착했을 때에 땀이 차는 것이 적고, 피부 자극이나 부착 중의 가려움이 발생하기 어렵다. 투습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투습도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통상 30,000 g/m2·24h 이하이다.
또한, 지지체의 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이오노머,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각종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각종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종 필름은 종이에 라미네이트된 상태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들 각종 필름 등으로 형성되는 캐리어 필름은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혹은 탄력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10 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μm 이상이며, 그 상한값은 500 μm 정도이다.
또한, 캐리어 필름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를 소정 개소에 부착 후 지지체로부터 박리되는 것이므로, 이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캐리어 필름에 하프 컷을 실시하거나, 지지체 표면과 밀착하고 있지 않은 부분(프리 리프트 부분)을 형성하거나, 혹은 이들 하프 컷이나 프리 리프트 부분의 근방에 캐리어 필름을 파지하기 쉽게 하기 위한 리드 테이프를 형성하는 등의 형태로 해도 좋다.
또한, 지지체에는 대전 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포함시킬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계면활성제(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제에 의해, 지지체의 투묘성이나 공정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 점착제층 >
상기 점착제층은 단일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점착제층이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형성된 구성일 경우, 종류가 다른 점착제층을 적층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은 지지체의 일 측면의 표면을 덮도록, 바람직하게는 표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상기 일 측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부분적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격자 형상, 네트형상, 분말형상, 당초 무늬 등의 임의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지지체와 점착제층의 적층체)의 통기성이나 투습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피부로부터의 박리 시의 자극을 조정(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점착제는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피부 표면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성을 갖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또한 투습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우레탄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모노머의 단독 공중합체 또는 이들 모노머의 공중합체, 나아가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의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비닐피롤리돈, (메타)아크릴아미드, 알콕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기타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점착제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하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의 NCO/OH 몰비는 반응에서 겔화가 억제되고 점착력이 상승하도록, 0.70/1.00 내지 1.00/1.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점착제의 제조는 예를 들어, 용융 상태에서 반응시키는 벌크 중합(고형 반응)법, 용액 중합법 등의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 중합법에서 사용하는 용제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셀로솔브, 카르비톨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등 또한 이들의 혼합 용제를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를 제조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촉매 및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촉매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옥틸산 주석, 스테아르산 주석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의 일반적인 우레탄화 촉매를 들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치환 벤조트리아졸류 등의 자외선 흡수제, 페놀 유도체 등의 산화 방지제 및 가수분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끈적거림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우레탄계 점착제의 제조에 사슬 연장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계 점착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병용하여 점착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병용에 의한 응집력의 향상은 끈적거림 등의 문제의 개선에 유효하다.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상기 반응에 사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과 2관능 이상의 폴리올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의 폴리올 어덕트가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메릭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소(주)의 코로네이트L, 코로네이트HL, 코로네이트3041, 코로네이트2030, 코로네이트2031, 코로네이트HX, 밀리오네이트MTL, 밀리오네이트M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임의 성분으로서 점착 부여제, 가교제, 연화제(가소제),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항산화제, 방부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료 및 향료 등의, 점착제층에 통상 배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0 μm 내지 200 μm, 바람직하게는 20 μm 내지 100 μm로 할 수 있다.
<패드>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를 구성하는 패드(신축성 패드라고도 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료용 첩부재를 구성했을 때에, 소정의 신장 회복률을 실현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라면, 재질이나 형태, 구성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패드는 1,500 내지 4,500 mm2의 면적을 갖는 것으로, 적용 개소(창상 부위)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패드로는 특수 직포, 거즈, 네트, 부직포 및 이들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흡액성이 우수한 신축성 부직포층에 신축성 네트층(적용면과의 접촉층)을 중첩한 적층 구성을 갖는 패드(신축성 패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과 신축 네트층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에 의한) 열 융착에 의해 접착(접합)될 수 있다.
상기 패드가 부직포층과 신축 네트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 경우, 상기 점착제층과 부직포층이 접하도록 패드가 배치된다.
상기 신축성 부직포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폴리올레핀 등으로 이루어지며, 권축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신축 네트층은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엘라스토머나, 폴리올레핀계, 염화비닐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부타디엔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패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방형(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사각형(사다리꼴, 마름모형 등),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삼각형, 초승달 모양 및 이들을 조합한 형상 등 부착 개소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에 있어서, 부직포층의 단위면적당 중량(평량)을 50 내지 150 g/m2, 적합하게는 70 내지 140 g/m2, 예를 들어 80 내지 120 g/m2으로 할 수 있다. 단위면적당 중량을 50 g/m2 이상으로 함으로써 흡수성을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고, 150 g/m2 이하로 함으로써 목욕·물을 사용하는 일 등에서 패드가 수분을 포함한 경우에도 탈락의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층/신축 네트층의 적층 구성을 갖는 신축 패드의 형태에 있어서, 그 두께를 0.5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mm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에 대하여, 미리 살균제를 스며들게 하여 살균 소독하거나, 혹은 완성품(의료용 첩부재)으로 한 후, 멸균 처리를 행해도 좋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에는 그 사용 직전까지 점착제층이나 패드의 보호를 목적으로 박리 라이너(박리층·박리지라고도 함)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형태도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박리 라이너로는 점착 테이프나 부착제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관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프로필렌(무연신, 연신 등),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 상질지, 글라신지, 파치먼트(parchment)지, 크라프트지 등의 종이나 합성지; 상기 플라스틱 필름, 종이 또는 합성지, 합성 섬유 등에 실리콘 수지나 불소 수지 등의 박리 성능을 갖는 박리제를 코팅한 박리 가공지; 알루미늄박; 이들 필름·시트를 다양하게 적층한 라미네이트 가공지 및 상기 라미네이트 가공지에 박리제를 코팅한 라미네이트 박리 가공지 등의 무색 또는 착색한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포장재로부터 취출하기 쉽도록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 μm 내지 1 mm, 예를 들어 20 μm 내지 500 μm, 바람직하게는 40 μm 내지 200 μm의 범위이다.
박리 라이너의 형상은 방형, 직사각형, 원형 등으로 할 수 있고, 원하는 대로 모서리를 둥글게 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크기는 상기 의료용 첩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크기와 동일한 형상이거나, 약간 크게 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는 1매 또는 분할되어 복수매로 구성되어도 좋고, 그 절취선은 직선, 파선, 재봉선 형상으로 구성 되어도 좋고, 박리 라이너끼리의 일부가 겹치는 상태로 해도 좋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의료용 첩부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의 반창고나 첩부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 상에 패드를 배치함으로써 의료용 첩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등을 도포한 공정지 상에 점착제(합성 수지)의 용액 또는 에멀전을 도포 시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제층과 지지체를 적층하고,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상기 공정지라 함은 제조 공정 사이에 사용하는 종이나 필름을 말하며, 제품에는 잔존하지 않는 것의 총칭이며, 여기에서는 전술한 <박리 라이너>에서 예시한 필름이나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대로 점착제를 도포 시공 후, 상기 점착제층을 발포시킴으로써 합성 수지를 함유하는 통기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발포한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공정지를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여기에 적절한 크기로 재단한 패드를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의료용 첩부재로 했을 때에 상기 첩부재의 대략 중앙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통상은 박리 라이너를 점착제층 및 패드를 덮도록 더 배치한 후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지지체/점착제층/패드/박리 라이너의 적층 구성을 갖는 의료용 첩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점착제층과는 반대측 면에 캐리어 필름을 형성한 형태의 경우, 캐리어 필름/지지체/점착제층/패드/박리 라이너의 적층 구성을 갖는 첩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통상, 후속 공정에서 실온에 있어서, 종이, 플라스틱 필름 또는 그러한 복합재로 형성된 포장지 중에 의료용 첩부재를 봉입하여 제품으로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멸균 처리 등을 행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을(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1)는 지지체(2), 상기 지지체(2)의 표면을 덮는 점착제층(3) 및 상기 점착제층(3) 상에 배치된 패드(4)를 구비한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점착제층(3)은 지지체(2)의 전체 면에 걸쳐서 형성되고, 이들로부터 점착 테이프(7)의 형태를 갖고 이루어진다.
패드(4)는 부직포층(41)과 신축 네트층(42)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갖고, 상기 부직포층(41)이 점착제층(3)과 접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형태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5)와 캐리어 필름(6)을 더 구비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라이너(5)는 점착제층(3)과 패드(4)의 신축 네트층(42)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2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는 복수 매(2장)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필름(6)은 지지체(2)의 점착제층(3)이 형성된 면과는 타 측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1)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은 도 1에 도시하는 의료용 첩부재(1)의 정면도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1)는 대략 사각형의 지지체(2)(점착제층(3)과 함께 점착 테이프(7)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의 대략 중앙부에 사각형의 패드(4)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대략 사각형의 지지체(2)의 네 모서리에 지지체(2)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오목부(21)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21)의 존재에 의해, 오목부(21)가 없는 것과 비교하여, 패드(4)의 네 모서리와 지지체(2)의 네 모서리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첩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주연부(에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은 커지므로, 상기 오목부(21)의 존재에 의해, 주연부(에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단, 오목부(21)의 형상(크기)은 의료용 첩부재(1)의 부착성을 손상시키면 안되며,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재의 크기(지지체 면적: 4,700 내지 13,000 mm2, 패드 면적: 1,500 내지 4,500 mm2)를 고려하면, 상기 오목부(21)와 패드(4)의 최단 거리(CL)는 10 내지 25 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 부착 개소로부터의 박리의 어려움을 고려하면, 라운딩(R)을 갖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의료용 첩부재(1)의 주연부(에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할 목적으로, 지지체(2)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으로 오목부(22)를 형성함으로써, 부착 개소(창상 부위)의 크기나 부착 위치(부착 방향)에 관계없이, 안정된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대략 사각형의 지지체(2)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목부(21)는 없지만, 지지체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부(22)가 도 5 및 도 7의 형태에서는 1군데, 도 6의 형태에서는 2군데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오목부(22)를 형성함으로써 부착 개소(창상 부위)의 크기나 부착 위치(부착 방향)에 관계없이, 안정된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4의 의료용 첩부재에 사용한 패드는 권축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층 상에 신축층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엘라스토머 네트를 열 융착에 의해 접착시켜, 부직포층과 신축 네트층의 적층 구성을 갖는 것(부직포층의 단위면적당 중량: 90 g/m2)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료용 첩부재의 제작(1)]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의 제작>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산 2-에틸헥실/아세트산 비닐·아크릴산(질량비87/10/3) 100 질량부와 에폭시계 가교제(테트라드X, 미쓰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제) 0.03 질량부를 반응시킨 것〕를 건조 막 두께가 40 g/m2가 되도록, 실리콘 처리한 공정지에 도포 시공하였다. 통기성 처리로서, 미건조 점착제 도포면에 증류수를 분무한 후, 130℃에서 가열하여 미세한 구멍을 형성시켜 통기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로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부직포(두께 200 μm, 단위면적당 중량 65 g/m2)를 접합시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의료용 첩부재의 제작(1)>
상기 점착 테이프로부터 공정지를 박리하여, 통기성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노출시켰다.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패드를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패드의 부직포층이 대향하도록 점착제층 상에 올려놓았다.
이어서, 실리콘 처리한 박리 라이너를 점착 테이프 및 패드를 덮도록 접합하였다.
그 후, 패드가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크기·형상으로 펀칭하여 각 실시예의 의료용 첩부재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의료용 첩부재는 도 3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고, 실시예 2의 의료용 첩부재는 도 4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였다.
[ 실시예 4: 의료용 첩부재의 제작(2)]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의 제작>
폴리우레탄계 점착제(폴리에테르계) 100 질량부와 가교제(코로네이트L, 도소(주)) 2 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뒤 탈포하고, 이것을 박리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공정지, 두께 50 μm) 상에 건조 막 두께가 25 μm로 되도록 나이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계속하여 120℃에서 3분간 경화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와 캐리어 필름의 적층체(지지체: 두께 20 μm의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의 필름 기재(투습도 3, 300 g/m2·day), 캐리어 필름: 두께 40 μm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지지체 면을 접합하였다. 그 후, 열풍 건조기 내에서 50℃의 분위기하에서 5일간 보존하고, 점착제의 가교 반응을 완결시켜 공정지에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캐리어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의료용 첩부재의 제작(2)>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공정지를 박리하고, 점착 테이프에 패드층을 올려놓고, 점착 테이프 및 패드층을 덮도록 실리콘 처리한 박리 라이너를 접합하고, 소정의 크기·형상으로 펀칭하여 실시예 4의 의료용 첩부재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4의 의료용 첩부재는 도 3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였다.
[ 비교예 1]
비교예 1의 의료용 첩부재로서, 제품명: FC 원터치 패드(백십자(주)제, 패드 사이즈: 40×60 mm, 테이프 사이즈: 60×100 mm)를 사용하였다.
[ 비교예 2]
비교예 2의 의료용 첩부재로서, 제품명: FC 방수 원터치 패드(백십자(주)제, 패드 사이즈: 45×90 mm, 테이프 사이즈: 80×130 mm)를 사용하였다.
[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 부직포(단위면적당 중량: 120 g/m2,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와 폴리에틸렌 네트의 적층 구성을 갖는 패드를 접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비교예 3의 의료용 첩부재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3의 의료용 첩부재는 도 4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였다.
[ 비교예 4]
실시예 4에서 사용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 부직포(단위면적당 중량: 120 g/m2,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와 폴리에틸렌 네트의 적층 구성을 갖는 패드를 접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순서로 비교예 4의 의료용 첩부재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4의 의료용 첩부재는 도 4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의료용 첩부재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중,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3 내지 4에서 WS, LS, CL, WP 및 LP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부호에 각각 대응하며, 즉 WS는 지지체(2)(첩부재)의 폭, LS는 지지체(2)(첩부재)의 길이, CL은 오목부(21)와 패드(4)의 최단 거리를 나타내고, WP는 패드(4)의 폭, LP는 패드(4)의 길이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인장 시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의료용 첩부재에 관해서, JIS Z0237(2009) 점착 테이프·점착 시트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30% 인장 하중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30% 인장 하중이란, 인장 대상의 전체 길이를 100%로 했을 때에 130%까지 잡아 당겼을 때의 응력을 나타낸다.
각 의료용 첩부재를 짧은(CD) 방향, 길이(MD)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폭 25 mm, 길이 50 mm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이것을 시험편으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편은 지지체와 점착제층과 패드의 중첩 부분으로 하였다(박리 라이너, 캐리어 필름은 포함하지 않음).
상기 시험편을 척간 거리 30 mm로 텐실론 만능 시험기에 설치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 분위기하에서, 100N 하중에서 인장 측정을 3회 실시하였다. 3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CD, MD 각각의 30% 인장 하중으로 하였다.
또한, 의료용 첩부재(지지체와 점착제층과 패드의 중첩 부분)에서 30% 인장 하중(MD)이 5 내지 50 N/25 mm, 30% 인장 하중(CD)이 3 내지 50 N/25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30% 인장 하중(MD)이 5 내지 15 N/25 mm, 30% 인장 하중(CD)이 3 내지 10 N/25 mm인 것을 들 수 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BA-SUS판 점착력]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의료용 첩부재에 관한 BA-SUS판에 대한 점착력에 대하여, JIS Z0237에 준거하여 180도 박리 시험을 행하여 측정하였다.
각 의료용 첩부재를 길이(MD) 방향에 대하여, 폭 12 mm × 길이 30 내지 150 mm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또한, BA-SUS판 점착력에 사용한 시험편은 지지체와 점착제층의 중첩 부분으로 하였다(패드, 그리고 박리 라이너, 캐리어 필름은 포함하지 않음). 온도 23℃, 50% RH의 분위기하에서, BA-SUS판에 상기 시험편을 부착하고, 1 kg의 고무 롤을 600±30 mm/분의 속도로 두 번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압착 후 1분 이내에, 박리 각도 180도 및 박리 속도 300±20 mm/분의 조건에서 박리력을 측정하고, 시험편의 BA-SUS판에 대한 점착력을 구하였다. 측정은 3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첩부재의 BA-SUS판에 대한 점착력(단위: N/12 mm)으로 하였다.
[신장 회복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의료용 첩부재에 관해서, 반복 인장 측정을 실시하고, 신장 회복률을 측정하였다.
각 의료용 첩부재를 짧은(CD) 방향, 길이(MD)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폭 30 mm, 길이 50 mm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이것을 시험편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편은 지지체와 점착제층과 패드의 중첩 부분으로 하였다(박리 라이너, 캐리어 필름은 포함하지 않음).
상기 시험편을 척간 거리가 30 mm가 되도록 상하 클램프로 고정하고, 텐실론 만능 시험기에 설치하였다. 온도 23℃, 상대 습도 50% 분위기하에서, 인장 속도 300±20 mm/min으로 시료에 규정 하중(상한점: 15 N)을 가하고, 규정 하중에 도달하면 같은 속도로 처음 위치까지 복귀시키고(하중: 0N), 이것을 20회 반복하였다(20 사이클).
초기 하중을 0.0001 N으로 하고, 이때의 척간 거리(시험편의 길이)를 초기 하중 변이점으로 하고, 첫번째 왕로(하중 부가 시)의 초기 하중 변이점을 L1a ', 20회째의 왕로(하중 부가 시)의 초기 하중 변이점을 L20a ', 20회째의 귀로(하중 제거 시)의 초기 하중 변이점을 L20b'로 하였다.
또한, 규정 하중(15 N)에 도달했을 때의 척간 거리(시험편의 길이)를 상한 변이점으로 하고, 20회째에 규정 하중에 도달했을 때의 상한 변이점을 L20으로 하였다.
이들 측정값으로부터,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연속 신장회복률(A)(%) 및 연속 신장회복률(B)(%)을 산출하였다.
또한, 하나의 시료에 대하여 3회 측정(3개의 시험편 각각에 대하여 측정)을 실시하고, 그 3회의 평균값으로서 각 연속 신장회복률(%)을 구하고, 또한 이 비(B/A)를 산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L20: 20 사이클째에 규정 하중에 도달했을 때의 상한 변이점(20회째에 15 N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척간 거리)
L1a ': 1 사이클째의 왕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첫번째의 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의 척간 거리)
L20a ': 20 사이클째의 왕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20회째에 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하중 부가 시)의 척간 거리)
L20b ': 20 사이클째의 귀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20회째에 초기 하중에 도달했을 때(하중 제거 시)의 척간 거리)
또한, 참고값으로서 첫번째(1 사이클째)의 신장 회복률(A)(%) 및 (B)를 표 2에 같이 나타내었다. 본 값은 상기 식에 있어서, 20 사이클째의 왕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 L20a '을 1 사이클째의 왕로(하중 부가 시)의 초기 하중 변이점: L1a '으로 대체하고, 20 사이클째의 귀로의 초기 하중 변이점: L20b '을 1 사이클째의 귀로(하중 제거 시)의 초기 하중 변이점: L1b '로 대체하고, 20 사이클째에 규정 하중에 도달했을 때의 상한 변이점: L20을 첫번째의 규정 하중(15 N)에 도달했을 때의 상한 변이점: L1로 대체하여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실용 평가]
성인 남녀 10 내지 30명의 피험자의 팔꿈치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의료용 첩부재를 부착하고, 24시간 부착하였다.
팔꿈치부에의 부착은 각 피험자 모두 목욕 후의 부착으로 하고, 다음날 목욕 후까지의 24시간에 걸쳐서 부착하였다. 또한, 팔꿈치(팔)를 편 상태에서 각 반창고의 길이 방향이 팔꿈치의 절곡 방향(팔의 길이 방향)이 되도록 부착하였다.
24시간 부착 경과 후, 박리 직전의 부착성을 다음의 평가 기준(평점: 1 내지 6)에 의해 평가하고, 피험자(10명 내지 30명) 전원의 평점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의료용 첩부재의 박리 후, 박리 1시간 후 및 박리 24 시간 후에 부착 개소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피부의 상태를 다음의 평가 기준(평점: 1 내지 6)에 의해 각각 평가하고, 피험자(10명 내지 30명) 전원의 평점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하기 평점의 평균값이 4 이상인 것을 ○, 4 미만인 것을 ×로 평가하였다.
<박리 직전의 부착성>
6: 전체면이 팔꿈치부에 잘 부착되어 있음
5: 에지부만 박리가 발생함(의료용 첩부재의 전체 면적 중, 5 내지 15% 정도의 박리가 보임)
4: 박리가 발생하고 있으나, 패드부에 들뜸은 보이지 않음(의료용 첩부재의 전체 면적 중, 15 내지 30% 정도의 박리가 보임)
3: 일부에 박리/들뜸이 발생함(의료용 첩부재의 전체 면적 중, 30 내지 50% 정도의 박리가 보임)
2: 절반 내지 절반 이상으로 박리/들뜸이 발생함(의료용 첩부재의 전체 면적 중, 50% 이상의 박리가 보임)
1: 탈락/이미 박리되어 있음
<피부반응>
6: 피부 발진 없음
5: 약간 피부가 붉어짐(약간 붉음)
4: 피부가 붉어짐(명백하게 붉음)
3: 붉게 부어 있음
2: 피부 트러블(발진·작은 물집 등)이 있음
1: 피부 트러블(발진·큰 물집 등)이 있음
Figure pat00006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의료용 첩부재는 연속 신장회복률(A)가 90% 이상이고, 연속 신장회복률이 70% 이상인 요건을 충족시키며, 이들 의료용 첩부재는 박리 직전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박리 1시간 후 및 24 시간 후의 피부 반응도 약하며, 피부 자극이 억제된 의료용 첩부재인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첩부재는 연속 신장회복률(B)이 37 내지 40%로 실시예와 비교하여 크게 떨어지며, 이들 첩부재는 모두 부착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은 비교적 작은 제제이므로 피부 자극이 적은 결과를 보였으나, 실시예의 첩부재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비교예 2에 있어서는, 피부 반응이 크며 피부 자극이 강한 첩부재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1: 의료용 첩부재
2: 지지체
21: 오목부
22: 오목부
3: 점착제층
4: 패드
41: 부직포층
42: 신축 네트층
5: 박리 라이너
6: 캐리어 필름
7: 점착 테이프

Claims (9)

  1.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표면을 덮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배치된 패드를 갖는 의료용 첩부재로서,
    상기 지지체는 4,700 내지 13,000 mm2의 면적을 갖고
    상기 패드는 1,500 내지 4,500 mm2의 면적을 갖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패드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15 N의 하중으로 20회 신장시켰을 때의 연속 신장회복률(A)(왕로(往路))는 90% 이상이고, 연속 신장회복률(B)(귀로(復路))는 70% 이상이며, 그리고 이들 신장 회복률의 비(B/A)의 값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과 신축 네트층의 적층 구성을 갖는 것인, 의료용 첩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이 50 내지 15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갖는 것인, 의료용 첩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 부직포인 것인, 의료용 첩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패드의 면적 비율은 지지체 면적 : 패드 면적에서 3:1 내지 2:1인 것인, 의료용 첩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패드의 면적 비율은 지지체 면적 : 패드 면적에서 3:1 내지 2.5:1인 것인, 의료용 첩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패드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30% 인장 하중(MD)은 5 내지 50 N/25 mm, 30% 인장 하중(CD)은 3 내지 50 N/25 mm인 것인, 의료용 첩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대략 방형 또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또한 대략 방형 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오목부를 갖는 것이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패드의 최단 거리는 10 내지 25 mm인 것인, 의료용 첩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첩부재는 관절용 첩부재인 것인, 의료용 첩부재.
KR1020200015574A 2019-02-21 2020-02-10 신축성 패드를 사용한 의료용 첩부재 KR20200102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9731A JP7057299B2 (ja) 2019-02-21 2019-02-21 伸縮性パッドを用いた医療用貼付材
JPJP-P-2019-029731 2019-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354A true KR20200102354A (ko) 2020-08-31

Family

ID=7218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574A KR20200102354A (ko) 2019-02-21 2020-02-10 신축성 패드를 사용한 의료용 첩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57299B2 (ko)
KR (1) KR20200102354A (ko)
CN (1) CN111588546A (ko)
TW (2) TW20204510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871A (ja) 1995-12-07 1997-06-17 Kanebo Ltd 伸縮性バンソウコウ
KR20070117513A (ko) 2007-10-24 2007-12-12 김영유 다중조건 다공질 규소층의 제작 방법
KR20120081045A (ko) 2007-06-15 2012-07-18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선상 변환 패널, 신틸레이터 패널 및 방사선 이미지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1301A (en) * 1996-01-24 1997-10-28 Johnson & Johnson Worldwide Absorbent Products Backing web in an absorbent article
DE19652269C2 (de) * 1996-12-16 2002-04-11 Lohmann Therapie Syst Lts Konturen -TTS
JP2007117513A (ja) * 2005-10-31 2007-05-17 Toyo Kagaku Kk 救急絆創膏
JP5201532B2 (ja) * 2008-03-19 2013-06-05 Jnc株式会社 伸縮性積層シート
JP5276608B2 (ja) * 2009-09-18 2013-08-28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包装袋
US9149443B2 (en) * 2009-12-28 2015-10-06 Teikoku Seiyaku Co., Ltd. Tape preparation
CN109195557A (zh) * 2016-03-31 2019-01-11 千寿美国公司 贴附材料
CN106821596B (zh) * 2016-12-22 2022-10-21 浙江海创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低致敏性强力加压吸液敷贴
JP6807234B2 (ja) * 2017-01-10 2021-01-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871A (ja) 1995-12-07 1997-06-17 Kanebo Ltd 伸縮性バンソウコウ
KR20120081045A (ko) 2007-06-15 2012-07-18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선상 변환 패널, 신틸레이터 패널 및 방사선 이미지 센서
KR20070117513A (ko) 2007-10-24 2007-12-12 김영유 다중조건 다공질 규소층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53052U (zh) 2024-03-21
JP7057299B2 (ja) 2022-04-19
CN111588546A (zh) 2020-08-28
JP2020130726A (ja) 2020-08-31
TW202045109A (zh)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0228C (en) Medical dressings with multiple adhesi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10568767B2 (en) Silicone wound dressing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I701020B (zh) 貼附材及使用於該貼附材的貼附材用支撐體
AU2000279849A2 (en) Medical dressings with multiple adhesi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U2000279849A1 (en) Medical dressings with multiple adhesi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MX2007002920A (es) Sistema modular de aposito para heridas.
JPS6187549A (ja) 接着性ドレッシング
JP2017522137A (ja) 2段階式創傷包帯アセンブリ
JPH09154933A (ja) 医療用粘着テ−プ及び救急絆創膏
CN102655828A (zh) 包装的医用粘合剂复合物以及递送该复合物的方法
JPH08187295A (ja) 給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76875A1 (ja) 貼付材
JP5342702B1 (ja) 貼付材
KR20200102354A (ko) 신축성 패드를 사용한 의료용 첩부재
TWI803581B (zh) 絆創膏及絆創膏用聚胺甲酸酯不織布
KR101231069B1 (ko) 구급 반창고
JPH0838543A (ja) 適合性絆創膏
US20210038759A1 (en) Low trauma wound dressings and adhesives for same
CN211675113U (zh) 一种打针帖
JPH07231910A (ja) 高透湿性接着性ドレッシング
CA3019179A1 (en) A medical adhesive tape
JP6697463B2 (ja) 皮膚縫合用又は皮膚縫合後の補強用テープ
JP4841808B2 (ja) 裏打材付きドレッシング材
JPH0838544A (ja) 適合性絆創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